남차이경(南次二經) 번역

산해경/남산경 2018. 2. 28. 00:00

南次二經之首,曰柜山1,西臨流黃2,北望諸毗,東望長右3。

남차이경의 첫머리는, 구산이라 하는데, 서쪽으로 유황을 가까이 마주하고 있고, 북쪽으로 제비를 바라보고 있으며, 동쪽으로 장우를 바라보고 있다.


英水出焉,西南流注于赤水,其中多白玉,多丹粟4。

여기서 나오는 영수는, 서남쪽으로 흘러 적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백옥이 많고 단속이 많다.


有獸焉,其狀如豚,有距5,其音如狗吠,其名曰貍力6,見則其縣多土功。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새끼 돼지 같고, 닭의 며느리발톱이 있으며, 그 울음소리는 개가 짖는 것 같다, 그 이름을 이력이라 하는데, 만나면 그 고을에 토목공사가 많아진다.


有鳥焉,其狀如鴟而人手7,其音如痺8,其名曰鴸,其名自號也9,見則其縣多放士10。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사람 손이 달린 새매 같고, 그 울음소리는 비 같다, 그 이름을 주라 하는데, 울음소리 때문에 그 이름이 되었다, 만나면 그 고을에 방사가 많아진다. 


1 곽박(郭璞)云:「音구(矩)。」

2 원가기록(珂案):나라 이름이다(國名),즉 유황 풍씨(即流黃酆氏)、유황 신씨(流黃辛氏),見해내서경(海內西經)及해내경(海內經)。

3 곽박(郭璞)云:「제비와 장우(諸毗、長右),모두 산 이름이다(皆山名)。」원가기록(珂案):제비는 물 이름도 있다(諸毗亦水名),見後곽박(郭)注。毗音부와 이의 반절(符夷切),필원(畢沅)云。

4 곽박(郭璞)云:「가는 단사로 조 같다(細丹沙如粟也)。」

5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거는(距),닭의 뒷발톱(雞距也)。』」

6 원가기록(珂案):오임신(吳任臣)本有곽박(郭)注「이도라고도 쓴다(一作狸刀)」사자소학(四字),諸本모두 없다(俱無)。

7 곽박(郭璞)云:「그 다리가 사람 손 같다(其腳如人手)。」

8 곽박(郭璞)云:「모름(未詳)。」

9 원가기록(珂案):그 이름을 스스로 부르짖는다(自呼其名也);시경(詩):「산 새가 이름을 스스로 부르짖는다(山鳥自呼名)。」아래 나오는(下文)「기명자호(其鳴自呼)」、「기명자효(其鳴自詨)」등 모두 같은 뜻(等均此意)。

10원가기록(珂案):주의 신화 관련(關於鴸之神話),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一「환두국(讙頭國)」節注2及卷五「창오산(蒼梧山)」節注2。


東南四百五十里,曰長右之山1,無草木,多水。

동남쪽으로 사백 오십 리를 가면, 장우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물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禺而四耳,其名長右2,其音如吟3,見則郡縣大水4。

여기 있는 동물은, 그 모양이 네 개의 귀가 달린 원숭이 같고, 그 이름을 장우라 하고, 그 울음소리는 사람의 신음소리 같다, 만나면 마을에 물 난리가 난다


1 학의행(郝懿行)云:「광운(廣韻)引此經장우는 장설로 쓰여 있다(長右作長舌)。」

2 곽박(郭璞)云:「이 짐승이 산에서 발견되어(以山出此獸),그 이름이 되었다(因以名之)。」학의행(郝懿行)云:「광운(廣韻)引此經作장설(長舌)。」

3 곽박(郭璞)云:「사람이 신음하는 소리 같다(如人呻吟聲)。」

4 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군현(郡縣)앞에 기자가 있다(上有其字),맞다(是也)。


又東三百四十里曰堯光之山,其陽多玉,其陰多金1。

또 동쪽으로 삼백 사십 리를 가면, 요광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금이 많다.


有獸焉,其狀如人而彘鬣,穴居而冬蟄,其名曰猾褢2,其音如斲木3,見則縣有大繇4。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멧돼지 갈기가 난 사람 같고, 겨울에 겨울잠을 자기 때문에 동굴에 산다, 그 이름을 활회라 하는데, 그 울음소리는 나무를 베는 소리 같다, 만나면 마을에 큰 노역이 생긴다


1 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八一三引此經作극광산(克光之山),산의 남쪽에 쇠가 많다(其陰多鐵)。

2 곽박(郭璞)云:「활회(滑懷)兩音。」

3 곽박(郭璞)云:「사람이 나무를 베는 소리 같다(如人斫木聲)。」

4 곽박(郭璞)云:「강제 노역을 일컫는다(謂作役也)。혹은 마을에 재앙이 난다(或曰其縣是亂)。」원가기록(珂案):요와 난은 모양이 서로 비슷하여 잘못 바뀐 모양(繇、亂形近易訛)。


又東三百五十里,曰羽山1,其下多水,其上多雨,無草木,多蝮虫。

또 동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우산이라 하는데, 산 아래는 물이 많고, 산 위에는 비가 많이 내리며, 풀과 나무가 없고, 살무사가 많다.


1 곽박(郭璞)云:「현재 동해 축기현 서남쪽에 우산이 있다(今東海祝其縣西南有羽山),즉 곤이 죽은 곳이고(即鯀所殛處),그 마을 길이 서로 맞아 어울리지 않는다 주장한다(計其道里不相應),비와 비슷하다(似非也)。」원가기록(珂案):곤이 죽은 기산(鯀殛羽山)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三「곤이 기름진 토양를 훔쳤다(鯀竊息壤)」節注4。


又東三百七十里,曰瞿父之山,無草木,多金玉。

또 동쪽으로 삼백 칠십 리를 가면, 구보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又東四百里,曰句餘之山1,無草木,多金玉。

또 동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구여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1 곽박(郭璞)云:「현재 회계 여요현이 남쪽에 있고(今在會稽餘姚縣南),구장현이 북쪽에 있다(句章縣北),이 두 현 때문에 이 이름이 되었다(故此二縣因此為名云);見장씨(張氏) 지리지(地理志)。」


又東五百里,曰浮玉之山,北望具區1,東望諸毗2。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부옥산이라 하는데, 북쪽으로 구구을 바라보고, 동쪽으로 제비를 바라본다.


有獸焉,其狀如虎而牛尾,其音如吠犬,其名曰彘,是食人。

여기 있는 짐승은, 기 모양이 소 꼬리를 한 범 같고, 그 울음소리는 개가 짖는 것 같다, 그 이름을 체라 하는데, 이것은 사람을 잡아먹는다.


苕水出于其陰,北流注于具區。

산의 북쪽에서 나오는 초수는, 북쪽으로 흘러 구구로 들어간다.


其中多鮆魚3。

그 안에 자어가 많다.


1 곽박(郭璞)云:「구구는(具區),현재 오현 서남쪽 태호이다(今吳縣西南太湖也),상서에서는 진택을 일컫는다(尚書謂之震澤)。」

2 곽박(郭璞)云:「물 이름(水名)。」

3 곽박(郭璞)云:「제어는 얇고 긴데(鮆魚狹薄而長頭),큰놈은 일척 가까이 되고(大者尺餘),태호 안에 많이 산다(太湖中今饒之),일명 갈치라고 한다(一名刀魚)。」원가기록(珂案):鮆音자(咨)。


又東五百里,曰成山,四方而三壇1,其上多金玉,其下多青雘。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성산이라 하는데, 네모난 제단을 세 개 쌓은 모양이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질이 좋은 푸른 찰흙이 많다.


䦠2水出焉,而南流注于3虖勺4,其中多黃金5。

여기서 나오는 탁수는, 남쪽으로 흘러 호작으로 들어가고, 물안에 황금이 많다.


1 곽박(郭璞)云:「사람이 제단을 쌓아 포개 놓은 모양 같다(形如人築壇相累也);성역시 중일 뿐이다(成亦重耳)。」

2 곽박(郭璞)云:「音탁(涿)。」원가기록(珂案):장경(藏經)本시수(䦠水)作시수(𨴯水),왕념손(王念孫)校곽박(郭)注예전에 탁은 시 였다(昔涿作音豕),맞다(是也)。

3 곽박(郭璞)云:「서쪽으로 흘러 들어간다(一作流注于西)。」원가기록(珂案):是經文호작 앞에 서쪽이 있다(虖勺上有西字)。

4 곽박(郭璞)云:「虖音호(呼);작은 다로도 쓰여 있다(勺或作多),下同。」

5 곽박(郭璞)云:「현재 영창군에서 나오는 물은 금과 함께 곡식의 껍질이 나오고(今永昌郡水出金同糠),모래 안에 있다(在沙中)。시자(尸子)曰:『청수에서 황금과 옥영이 나온다(清水出黃金、玉英)。』」


又東五百里,曰會稽之山1,四方,其上多金玉,其下多砆石2。

또 동쪼으로 오백 리를 가면, 회계산이라 하는데, 네모나게 생겼다,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부석이 많다.


勺水出焉,而南流注于湨3。

여기서 나오는 작수는, 남쪽으로 흘러 결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현재 회계군 산음현 남쪽이고(今在會稽郡山陰縣南),산 위에 우임금 무덤과 우물이 있다(上有禹冢及井)。」

2 곽박(郭璞)云:「부는(砆),무부석이고(武夫石),옥과 비슷하다(似玉)。」원가기록(珂案):무부석(武夫石)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三「구구의 건목(九丘建木)」節注6。

3 원가기록(珂案):湨音결(決)。


又東五百里,曰夷山,無草木,多沙石,湨1水出焉,而南流注于列塗。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이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모래와 돌이 많으며, 여기서 나오는 격수는, 남쪽으로 흘러 열도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패라고도 쓴다(一作浿)。」


又東五百里,曰僕勾1之山,其上多金玉,其下多草木,無鳥獸,無水。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복구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풀과 나무가 많으며, 새와 짐승이 없고, 물도 없다.


1 곽박(郭璞)云:「석이라고도 쓴다(一作夕)。」학의행(郝懿行)云:「석은 다를 잘못 쓴 글자다(夕疑多字之訛)。」원가기록(珂案):구는 다를 잘못 쓴 글자(勾易訛為多字也)。


又東五百里,曰咸陰之山,無草木,無水。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함음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물도 없다.


又東四百里,曰洵山1,其陽多金,其陰多玉

또 동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순산이라고 하는데, 산의 남쪽에 금이 많고, 산의 북쪽에 옥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羊而無口,不可殺也2,其名曰䍺3。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입이 없는 양 같고, 죽이지 않으면 죽지 않는다, 그 이름을 환이라 한다.


洵水出焉,而南流注于閼4之澤,其中多芘蠃5。

여기서 나오는 순수는, 남쪽으로 흘러 알택으로 들어가고, 그 안에 자줏빛 소라가 많다.


1 곽박(郭璞)云:「순이라고도 쓴다(一作旬)。」

2 학의행(郝懿行)云:「죽일 수 없다(不可殺),죽일 수 없다(言不能死也);입이 없어 먹지 않는다(無口不食),눈으로만 산다(而自生活)。」

3 곽박(郭璞)云:「音환(還),或音환(患)。」

4 곽박(郭璞)云:「音알(遏)。」

5 곽박(郭璞)云:「자줏빛 소라다(紫色螺也)。」학의행(郝懿行)云:「곽박이 말한 자줏빛 소라는(郭云紫色螺),即知經文자는 자로 쓰여야 한다(芘當為茈),잘못된 글자(字之訛也)。자와 자는 옛날에 같을 글자로 통했다(古字通以茈為紫)。태평어람(御覽)引此經자는 자로도 쓰여 있다(芘作茈)。」원가기록(珂案):見태평어람(太平御覽)卷九四一。


又東四百里,曰虖勺之山,其上多梓柟1,其下多荊杞2。

또 동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호작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가래나무와 녹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가시나무와 구기자나무가 많다.


滂水3出焉,而東流注于海。

여기서 나오는 방수는, 동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재는(梓),산재다(山楸也);녹은(柟),큰 나무(大木),잎은 뽕나무와 비슷하다(葉似桑),현재 남으로 쓴다(今作楠),音남(南)。」

2 곽박(郭璞)云:「기는(杞),구기자다(苟杞也),열매가 붉다(子赤)。」

3 곽박(郭璞)云:「音방타의 타(滂沱之滂)。」


又東五百里,曰區吳之山,無草木,多沙石。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구오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모래와 자갈이 많다.


鹿水出焉,而南流注于滂水。

여기서 나오는 녹수는, 남쪽으로 흘러 방수로 들어간다.


又東五百里,曰鹿吳之山,上無草木,多金石。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녹오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돌이 많다.


澤更之水出焉,而南流注于滂水。

여기서 나오는 택경수는, 남쪽으로 흘러 방수로 들어간다.


水1有獸焉,名曰蠱雕2,其狀如雕而有角,其音如嬰兒之音,是食人。

여기 짐승은 물에 있는데, 이름을 고조라 하는데, 그 모양이 뿔이 있는 독수리 같고, 그 울음소리는 젖먹이 울음소리 같다, 이것은 사람을 잡아먹는다.


1 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校물은 덧붙인 글자(衍水字)。

2 곽박(郭璞)云:「고는 찬으로도 쓰여 있다(蠱或作纂)。」


東五百里,曰漆吳之山,無草木,多博石1,無玉。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칠오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박석이 많고, 옥이 없다.


處于2東海3,望丘山,其光載出載入4,是惟日次5。

바다 동쪽까지 이어지고, 언덕과 산을 바라보며, 그 빛이 나타났다 사라졌다 하는데, 이곳은 해가 머무는 곳이다.


1 곽박(郭璞)云:「박석이 토대가 될 수 있다(可以為博石)。」

2 하작(何焯)云:「처우 앞쪽에 빠진 글자가 있다(處于之上疑有脫文)。」

3 학의행(郝懿行)云:「동쪽 바다는(東海),바다 동쪽이라고도 쓰여 있다(一本作海東)。」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오관(吳寬) 초본(抄本)並作바다 동쪽(海東),즉 동자는바다 뒤로 와야한다(則東字宜屬下讀)。

4 곽박(郭璞)云:「신광이 숨었다 빛났다 하는 곳이다(神光之所潛燿)。」

5 곽박(郭璞)云:「이곳은 햇빛이 머물며 쉬는 곳이다(是日景之所次舍)。」


凡南次二經之首,自柜山至于漆吳之山,凡十七山,七千二百里。

무릇 남차이경의 첫머리인, 구산부터 칠오산까지, 모두 열일곱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칠천 이백 리에 이른다.


其神狀皆龍身而鳥首。

산의 신들 모양은 모두 용 머리에 새의 몸이다.


其祠:毛用一璧瘞,糈用稌1。

산의 제사는:사용하는 제물과 한 개의 벽옥을 함께 묻어 제사 지내고, 여물지 않은 벼를 젯메쌀로 쓴다


1 곽박(郭璞)云:「여물지 않는 벼다(稻穬也)。」학의행(郝懿行)云:「광자는 잘못 쓴듯 하다(穬字疑衍),혹은 경의 잘못 쓴 글자(或梗字之訛)。」

남차삼경(南次三經) 번역

산해경/남산경 2018. 2. 28. 00:00

南次三經之首,曰天虞之山,其下多水,不可以上。

남차삼경의 첫머리는, 천우산이라 하는데, 산 아래는 물이 많고, 산 위로 오를 수 없다.


東五百里,曰禱過之山,其上多金玉,其下多犀、兕1,多象。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도과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무소와 외뿔소가 많고, 코끼리가 많다.


有鳥焉,其狀同鵁2,而白首、三足3、人面,其名曰瞿如,其鳴自號也。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백로 같고, 흰 머리와 세 개의 발과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다, 그 이름을 구여라 하는데, 울음소리 때문에 그 이름이 되었다.


泿4水出焉,而南流注于海。

여기서 나오는 은수는, 남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其中有虎蛟5,其狀魚身而蛇尾6,其音7如鴛鴦,食者不腫,可以已痔8。

물안에 호교가 있는데, 그 모양이 뱀 꼬리가 달린 물고기 몸을 하고 있다, 그 울음소리는 원앙 같고, 먹은 사람은 종기가 안 생기고, 치질이 낫을 수 있다.


1 원가기록(珂案):무소와 외뿔소의 모양은(犀、兕之狀)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五「외뿔소(兕)」節注2及「성성(狌狌)」節注1。

2 곽박(郭璞)云:「백로는 작은 오리와 비슷하고(鵁似鳧而小),다리와 꼬리가 가깝다(腳近尾)。」원가기록(珂案):鵁音교(交)。

3 곽박(郭璞)云:「혹은 손으로 쓰여 있다(或作手)。」

4 곽박(郭璞)云:「音은(銀)。」

5 곽박(郭璞)云:「교는 뱀과 비슷 하고(蛟似蛇),발이 네개다(四足),용의 종류(龍屬)。」

6 원가기록(珂案):문선(文選)강부(江賦)注引此經뱀 꼬리 뒤에 날개가 있다는 두 글자가 있다(蛇尾下有有翼二字)。

7 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校음은 수로 쓰여 있다(音作首),증거가 많이 있다(有多證),이는 완전하지 못하다(此不具)。

8 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七四三引此經여기서 이치는 위치로도 쓴다(已痔作為痔),並引곽박(郭)注云,위의 뜻은(為),다스린다는 뜻이다(治也)。


又東五百里,曰丹穴之山,其上多金玉。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단혈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다.


丹水出焉,而南流注于渤海1。

여기서 나오는 단수는, 남쪽으로 흘러 바닷가로 들어간다.


有鳥焉,其狀如雞2,五采而文,名曰鳳皇,首文曰德,翼文曰義,背文曰禮3,膺文曰仁,腹文曰信。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닭 같고, 다채로운 무늬이며, 봉황이라 부른다, 머리의 무늬는 덕을 말하고, 날개의 무늬는 의를 말하며, 등의 무늬는 예를 말하고, 가슴의 무늬는 인을 말하며, 배의 무니는 믿음을 말한다.


是鳥也,飲食自然,自歌自舞,見則天下安寧4。

이 새는, 먹고 마심이 자연의 절도에 맞고, 스스로 노래하고 스스로 춤추며, 만나면 온 세상에 걱정이나 탈이 없다.


1 곽박(郭璞)云:「발해는(渤海),해안이 굽어 평탄하지 않은 곳이다(海岸曲崎頭也)。」

2 학의행(郝懿行)云:「사기(史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 정의(正義)、문선(文選)注안연지(顏延之) 증왕태상시(贈王太常詩)、예문유취(藝文類聚)九十九卷及초학기(初學記)五卷引此經,닭은 학으로도 쓴다(雞並作鶴);설종(薛綜)注동경부(東京賦)引作고니(鵠)。」

3 원가기록(珂案):두 개의 문구(二句) 왕념손(王念孫)校作날개의 무늬는 순을 말하고 등의 무늬는 의를 말한다(翼文曰順、背文曰義),引많은 증거가 있다(有多證)。학의행(郝懿行)역시 왕념손교와 같다(亦同王校)。

4 원가기록(珂案):봉황(鳳皇)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三「난조와 봉조(鸞鳥鳳鳥)」節注1。


又東五百里,曰發爽1之山,無草木,多水,多白猿。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발상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물이 많으며, 흰 원숭이가 많다.


汎水出焉,而南流注于渤海。

여기서 나오는 범수는, 남쪽으로 흘러 바닷가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혹은 상으로 쓰여 있다(或作𠼅[电改亾])。」원가기록(珂案):오임신(吳任臣)本、백자전서(百子全書)本、굉도당(宏道堂)本상은 모두 상으로 쓰여 있다(𠼅[电改亾]均作喪);상과 상은 같은 자(𠼅[电改亾]同喪),見광운(廣韻)。


又東四百里,至于旄山之尾,其南有谷,曰育遺1,多怪鳥,凱風自是出2。

또 동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모산의 끄트머리에 이르는데, 그 남쪽에 있는 골짜기를, 육유라 한다, 괴조가 많고, 이곳에서 저절로 남풍이 나온다.


1 곽박(郭璞)云:「혹은 수라고 쓰여 있다(或作隧)。」

2 곽박(郭璞)云:「개풍(凱風),남풍(南風)。」


又東四百里,至于非山之首,其上多金玉,無水,其下多蝮虫。

또 동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비산의 첫머리에 이르는데, 그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물이 없으며, 그 산 아래는 살무사가 많다.


又東五百里,曰陽夾之山,無草木,多水。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양협산이라 한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물이 많다.


又東五百里,曰灌湘之山1,上多木,無草;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관상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나무가 많고, 풀이 없다; 


多怪鳥,無獸。

괴조는 많으나, 짐승이 없다.


1 곽박(郭璞)云:「관호사산이라고도 한다(一作灌湖射之山)。」


又東五百里,曰雞山,其上多金,其下多丹雘1。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계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이 많고, 산 아래에 질이 좋은 붉은 찰흙이 많다.


黑水出焉,而南流注于海。

여기서 나오는 흑수는, 남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其中有鱄魚2,其狀如鮒3而彘毛4,其音如豚,見則天下大旱。

그 안에 있는 단어는, 그 모양이 멧돼지 털이 난 붕어 같고, 그 울음소리는 새끼돼지 같으며, 만나면 온 세상에 큰 가뭄이 든다.


1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단은(丹),파촉과 월국의 붉은 돌이다(巴越之赤石也);확은(雘),질 좋은 찰흙(善丹也)。』」

2 곽박(郭璞)云:「音단선의 단(團扇之團)。」

3 학의행(郝懿行)云:「광아(廣雅)云:『부는(鮒),적이다(鰿也)。』현재 붕어(即今鯽魚)。즉과 적은 같은 자(鯽、鰿同字),見옥편(玉篇)。」

4 학의행(郝懿行)云:「광운(廣韻)作돼지꼬리(豕尾)。」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三五作멧돼지 꼬리(彘尾),문선(文選)강부(江賦)注同。


又東四百里,曰令丘之山,無草木,多火。

또 동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영구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불이 뿜어져 나온다.


其南有谷焉,曰中谷,條風1自是出。

여기 남쪽에 있는 골짜기는, 중곡이라 하는데, 이곳에서 저절로 동북풍이 나온다.


有鳥焉,其狀如梟,人面四目而有耳,其名曰顒2,其鳴自號也,見則天下大旱。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부엉이 같고, 사람 얼굴에 귀가 있고 네 개의 눈이 달린 사람 얼굴이다, 그 이름을 오라 하는데, 울음소리 때문에 그 이름이 되었고, 만나면 온 세상에 큰 가뭄이 든다.


1 곽박(郭璞)云:「동북풍을 조풍이라 한다(東北風為條風)。」

2 곽박(郭璞)云:「音오(娛)。」학의행(郝懿行)云:「옥편(玉篇)、광운(廣韻)並作우(𪃍)。」


又東三百七十里,曰侖者之山1,其上多金玉,其下多青雘。

또 동쪽으로 삼백 칠십 리를 가면, 윤자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질이 좋은 푸른 찰흙이 많다.


有木焉,其狀如穀2而赤理,其汗如漆,其味如飴,食者不飢,可以釋勞3,其名曰白咎4,可以血玉5。

여기 있는 나무는, 그 모양이 나무결이 붉은 닥나무 같고, 그 수액은 옻나무 진 같고, 그 맛은 엿 같이 달다, 먹은 사람은 배고프지 않고, 근심이 풀어진다, 그 이름을 백고라 하는데, 옥을 붉게 물들일 수 있다.


1 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五0引자지 두 글자는 없다(無者之二字)。

2 원가기록(珂案):곡은 곡으로 쓰여야 한다(穀當為榖),잘못된 글자(字之訛也)。

3 학의행(郝懿行)云:「고유(高誘)注회남자(淮南)정신훈(精神訓)云:로는(勞),우다(憂也)。」

4 곽박(郭璞)云:「혹은 고소라고도 쓰여 있다(或作睾蘇);고소는 백학으로 불리기도 한다(睾蘇一名白咎),見광아(廣雅),音고(羔)。」

5 곽박(郭璞)云:「혈은 옥을 물들여 광채를 내는 것을 일컫는다(血謂可用染玉作光彩)。」


又東五百八十里,曰禺稿1之山,多怪獸,多大蛇。

또 동쪽으로 오백 팔십 리를 가면, 우고산이라 하는데, 괴수가 많고, 큰 뱀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오임신(吳任臣)本、필원(畢沅)校本,고는 모두 고로 쓰여 있다(稿均作槁)。


又東五百八十里,曰南禺之山,其上多金玉,其下多水。

또 동쪽으로 오백 팔십 리를 가면, 남우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물이 많다.


有穴焉,水出1輒入,夏乃出,冬則閉。

여기 있는 구덩이는, 봄에는 물이 빠져도 쉽게 들어온다, 여름에는 도리어 샘솟고, 겨울에는 즉시 사라진다.


佐水出焉,而東南流注于海,有鳳皇、鵷雛2。

여기서 나오는 좌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고, 봉화과 원추가 있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出,송본(宋本)、장경(藏經)本、하작(何焯)校本、오임신(吳任臣)本모두 봄이 쓰여 있다(並作春)。

2 곽박(郭璞)云:「역시 봉황 부류이다(亦鳳屬)。」


凡南次三經之首,自天虞之山以至南禺之山,凡一十四山,六千五百三十里。

무릇 남차 삼경의 첫머리인, 천우산부터 남우산까지, 모두 열네 개의 산으로 되있고, 육천 오백 삼십 리에 이른다.


其神皆龍身而人面。

산의 신들은 모두 사람 얼굴에 용의 몸을 했다.


其祠皆一白狗祈1,糈用稌。

산의 제사는 모두 흰 개 한 마리를 제물로 산제사를 지내고, 찰벼를 젯메쌀로 쓴다.


1곽박(郭璞)云:「기는(祈),기도를 고하다(請禱也)。」필원(畢沅)云:「기는 기로 쓰여야 한다(祈當為𧗓);설문해자(說文)云,제물 잘라 그 피로 제사를 지낸다(以血有所刏涂祭也)。」


右南經之山志(학의행(郝懿行)云:「이 문장의 끝부분(篇末此語),蓋校書者所題,故舊本皆亞於經。」원가기록(珂案):此疑是古經原有之總結,止作「南經之山」,無「志」字,「志」字是後人妄加,說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一篇首注1),大小凡四十山,萬六千三百八十里。

남경에 기록된 산을 보면, 크고 작은 산이 모두 마흔 개이며, 일만 육천 삼백 팔십 리에 이른다.



서산경(西山經) 번역

산해경/서산경 2018. 2. 28. 00:00

西山經華山之首,曰錢來之山,其上多松,其下多洗石1。

서산경 화산 산맥의 첫머리는, 전래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소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세석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羊而馬尾,名曰羬羊2,其脂可以已腊3。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말 꼬리를 한 양 같고, 이름을 함양이라 한다, 그 기름은 피부가 트는 병을 낫게 한다.


1 곽박(郭璞)云:「목욕 할 때 때를 밀 수 있다(澡洗可以磢體去垢圿)。창(磢),초와 양의 반절(初兩反)。」학의행(郝懿行)云:「창은 창으로 쓰여야 한다(磢當為㼽);설문해자(說文)云,더러운 기와와 돌을 닦는다(磋瓦石)。」

2 곽박(郭璞)云:「현재 대월저국에 큰 양이 있는데 말 꼬리를 한 나귀같다(今大月氐國有大羊如驢而馬尾);이아(爾雅)云,육 척 양을 함이라 한다(羊六尺為羬),이 양을 일컫는다(謂此羊也)。」원가기록(珂案):羬音함(咸)。곽박(郭)注월저국 큰 양 즉 큰 꼬리 양이다(月氐國大羊即大尾羊),꼬리를 먹을 수 있고(尾可供食),시육의 종류이다(蓋視肉之類也);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一「적산(狄山)」節注7。

3 곽박(郭璞)云:「피부가 튼 것을 치료한다(治體皴);腊音석(昔)。」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석은(昔),마른 살(乾肉也),석을 말한다(籀文作腊)。』이 석은 준과 석의 변한 글자(此借為皴腊之字)。현재 사람에게 양 기름을 바르면 튼 피부에 효과가 있다(今人以羊脂療皴有驗)。」


西四十五里,曰松果之山。

서쪽으로 사십 오 리를 가면, 송과산이라 한다.


濩水1出焉,北流注于渭,其中多銅。

여기서 나오는 호수는, 북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가고, 그 안에 구리가 많다.


有鳥焉,其名曰䳋渠2,其狀如山雞,黑身赤足,可以已𦢊3。

여기 있는 새는, 그 이름을 동거라 하는데, 그 모양이 산 닭 같고, 검은 몸에 붉은 발이다, 이것을 기르면 피부가 트고 붓는 병을 낫게 한다.


1 학의행(郝懿行)云:「수경(水經)注作관수(灌水)。」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필원(畢沅)并校改作관(灌)。

2 곽박(郭璞)云:「동은(䳋),音동궁의 동(彤弓之彤)。」

3 곽박(郭璞)云:「피부가 트고 붓는 것을 일컫는다(謂皮皴起也)。」원가기록(珂案):𦢊音폭(暴)。


又西六十里,曰太華之山1,削成而四方,其高五千仞2,其廣十里,鳥獸莫居。

또 서쪽으로 육십 리를 가면, 태화산이라 하는데, 네모나게 깍은 모양에, 그 높이는 오천 길에 이고, 그 넓이는 십리에 이른다, 새와 짐승이 살지 않는다.


有蛇焉,名曰肥𧔥3,六足四翼,見則天下大旱4。

여기 있는 뱀은, 이름을 비유라 하는데, 발이 여섯 개에 날개가 네 개다, 만나면 온 세상에 큰 가뭄이 든다.


1 원가기록(珂案):즉 서악 화산(即西岳華山),현재 섬서성 화음현 서남쪽에 있다(在今陝西省華陰縣西南)。

2 곽박(郭璞)云:「한 길은(仞),팔 척이다(八尺也)。산 위에 명성옥녀가 있고(上有明星玉女),옥 즙을 손에 쥐고(持玉漿),복용하면 하늘에 오른다(得上服之),즉 신선이다(即成仙)。길이 험하고 외져 지나기 힘들다(道險僻不通)。시함신무(詩含神霧)云。」학의행(郝懿行)云:「명성옥녀는(明星玉女),화산의 봉우리 이름이다(華山名也)。」

3 학의행(郝懿行)云:「유는 유가 되어야 한다(𧔥當為遺);유소(劉昭)注군국지(郡國志)及예문유취(藝文類聚)九十六卷并引此經作비유로 쓰여 있다(肥遺)。」

4 곽박(郭璞)云:「양시에 이 뱀은 양산 아래에서 보인다(湯時此蛇見於陽山下)。또 비유뱀이 있다(復有肥遺蛇),이것은 이름이 같다고 의심된다(疑是同名)。」원가기록(珂案):곽박(郭云)「또 비유뱀이 있다(復有肥遺蛇)」,見북차삼경(北次三經)혼석산과 팽비산(渾夕山、彭毗山)。또 비유조는(又有肥遺鳥),見此經下文영산(英山)。


又西八十里,曰小華之山1,其木多荊杞,其獸多㸲牛2,其陰多磬石3,其陽多㻬琈之玉4,鳥多赤鷩5,可以禦火,其草有萆荔6,狀如烏韭,而生于石上,亦緣木而生,食之已心痛。

또 서쪽으로 팔십 리를 가면, 소화산이라 하는데, 산 나무는 가시나무와 구기자나무가 많고, 산에 짐승은 작우가 많다, 산의 북쪽에 경석이 많고, 산의 남쪽에 서부옥이 많다, 새는 적별이 많고, 이것을 기르면 화재를 막을 수 있다, 산에 있는 풀 비려는, 모양이 맥문동 같고, 돌 위에 나기도 하고, 또 나무에 기생하여 살기도 한다, 먹으면 가슴 아픈 것이 멈춘다.


1 곽박(郭璞)云:「즉 소화산(即少華山)。」

2 곽박(郭璞)云:「현재 화음산 안에 산 소와 산 양이 많은데(今華陰山中多山牛山羊),무게가 모두 천 근이고( 肉皆千斤),소 즉 작우다(牛即此牛也);音작(昨)。」

3 곽박(郭璞)云:「이것으로 경쇠를 만들 수 있다(可以為樂石)。」

4 원가기록(珂案):서부는(㻬琈),音서부(嶼浮),옥 이름(玉名),형태(形態)모름(未詳),산경에 많이 기록됨(山經中多記有之),이것이 그 중 하나다(此其一也)。

5 곽박(郭璞)云:「적별은(赤鷩),꿩의 종류(山雞之屬);音별(鱉)。」

6 원가기록(珂案):비려는(萆荔),향기나는 풀(香草),초사(楚辭)이소(離騷)作폐려(薜荔),音폐려(蔽戾)。


又西八十里,曰符禺之山,其陽多銅,其陰多鐵。

또 서쪽으로 팔십 리를 가면, 부우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구리가 많고, 산의 북쪽에 철이 많다.


其上有木焉,名曰文莖,其實如棗,可以已聾。

산 위에 있는 나무는, 이름을 문경이라 하는데, 그 열매는 대추 같고, 이것은 귀먹은 것을 낫게 한다.


其草多條,其狀如葵,而赤華黃實,如嬰兒舌,食之使人不惑。

산의 풀은 조가 많은데, 그 모양이 해바라기 같고, 붉은 꽃에 누런 열매가 열린다, 열매는 젖먹이 혀 같이 생겼고, 먹으면 다른 사람에게 미혹되지 않는다.


符禺之水出焉,而北流注于渭。

여기서 나오는 부우수는, 북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간다.


其獸多蔥聾,其狀如羊而赤鬣1。

산에 짐슴은 총롱이 많은데, 그 모양이 붉은 갈기가 달린 양 같다.


其鳥多鴖2,其狀如翠3而赤喙,可以禦火4。

산에 새는 민이 많은데, 그 모양이 붉은 부리를 한 물총새 같고, 이것을 기르면 화재를 막을 수 있다.


1 학의행(郝懿行)云:「이것은 즉 야양의 하나로(此即野羊之一種),현재 하양이나 적별이다(今夏羊亦有赤鬣者)。」

2 곽박(郭璞)云:「音민(旻)也。」학의행(郝懿行)云:「민은 민으로 쓰여야 한다(鴖當為𪂆);태평어람(御覽)引此正作민(𪂆)。설문해자(說文)云:『민은(𪂆),새다(鳥也)。』광운(廣韻)云:『민조는 붉은 부리의 물총새와 비슷하다(𪂆鳥似翠而赤喙)。』」

3 곽박(郭璞)云:「물총새는 감색 제비와 비슷하다(翠似燕而紺色也)。」

4 곽박(郭璞)云:「기르면 화재를 막는다(畜之辟火災也)。」


又西六十里,曰石脆1之山,其木多棕柟,其草多條,其狀如韭,而白華黑實2,食之已疥。

또 서쪽으로 육십 리를 가면, 석취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종려나무와 녹나무가 많고, 산에 풀은 조가 많은데, 그 모양이 부추 같고, 흰 꽃에 검은 열매가 열린다, 먹으면 옴이 낫는다.


其陽多㻬琈之玉,其陰多銅。

산의 남쪽에 서부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구리가 많다.


灌水出焉,而北流注于禺水。

여기서 나오는 관수는, 북쪽으로 흘러 우수로 들어간다.


其中有流赭3,以塗牛馬無病4。

그 안에 붉은 흙이 흐르고 있고, 이것을 소와 말에 바르 병이 없다.


1 원가기록(珂案):취는(脆),왕념손(王念孫)、필원(畢沅)、학의행(郝懿行)並校作취([月色])。

2 원가기록(珂案):부우산에 나온 조초과 이름은 같으나 모양이 다르다(條草與上文同名異狀)。

3 곽박(郭璞)云:「자는(赭),붉은 흙(赤土)。」

4 곽박(郭璞)云:「현대인은 소 뿔에 붉게 바르므로써(今人亦以朱塗牛角),악기를 막는다고 했다(云以辟惡)。말 혹은 뿔이다(馬或作角)。」


又西七十里,曰英山,其上多杻橿1,其陰多鐵,其陽多赤金。

또 서쪽으로 칠십 리를 가면, 영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유목고가 강목이 많고, 산의 북쪽에 철이 많으며, 산의 남쪽에 적금이 많다.


禺水出焉,北流注于招水2,其中多䰷魚3,其狀如鱉,其音如羊。

여기서 나오는 우수는, 북쪽으로 흘러 소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방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자라 같고, 그 울음소리는 양 같다.


其陽多箭䉋4,其獸多㸲牛、羬羊。

산의 남쪽에 이대와 미죽이 많고, 산에 짐승은 작우와 함양이 많다.


有鳥焉,其狀如鶉,黃身而赤喙,其名曰肥遺,食之已癘5,可以殺蟲。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메추라기 같고, 붉은 부리에 누러 몸이다, 그 새 이름을 비유라 하는데, 먹으면 돌림병이 낫고, 이것을 기르면 해충을 잡아 죽인다.


1 곽박(郭璞)云:「유목은 잎이 가는 산앵두나무와 비슷하다(杻似棣而細葉),토강이라고도 한다(一名土橿),音유(紐);강은(橿),수레의 재료가 되는 나무(木中車材),音강(姜)。」

2 곽박(郭璞)云:「音소(韶)。」

3 곽박(郭璞)云:「音同방합의 방(蚌蛤之蚌)。」

4 곽박(郭璞)云:「현재 한중군에서 미죽이 나온다(今漢中郡出䉋竹),마디가 길고 속이 두껍다(厚裏而長節),뿌리가 깊어(根深),겨울에도 땅에서 죽순이 나온다(筍冬生地中),사람이 파내서 먹기도 한다(人掘取食之)。䉋音미(媚)。」

5 곽박(郭璞)云:「려는(癘),역병이다(疫病也);혹은 악창이라고도 한다(或曰惡創)。」실명(失名)云:「一音뢰(賴)。」


又西五十二里,曰竹山,其上多喬木,其陰多鐵。

또 서쪽으로 오십 이 리를 가면, 산 위에 교목이 많고, 산의 북쪽에 철이 많다.


有草焉,其名曰黃雚,其狀如樗,其葉如麻,白華而赤實,其狀如赭1,浴之已疥,又可以已胕2。

여긱서 나오는 풀은, 그 이름을 황관이라 하는데, 그 모양이 가죽나무 같고, 그 잎은 마 같으며, 붉은 열매가 열리고 흰 꽃이 핀다, 그 열매 모양이 붉은 자주색인데, 이것으로 몸을 씻으면 옴이 낫고, 또 살갗의 종기가 낫는다.


竹水出焉,北流注于渭,其陽多竹箭3,多蒼玉。

여기서 나오는 죽수는, 북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가고, 강의 북쪽에 대나무와 조릿대가 많고, 창옥이 많다.


丹水出焉,東南流注于洛水,其中多水玉,多人魚4。

여긱서 나오는 단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수옥이 많고, 인어가 많다.


有獸焉,其狀如豚而白毛5,大如笄6而黑端7,名曰豪彘8。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흰 털이 난 새끼 돼지 같고, 털의 크기는 끝이 검은 비녀 같고, 이름을 호체라 한다.


1 곽박(郭璞)云:「자적색(紫赤色)。」

2 곽박(郭璞)云:「살갗의 종기를 치료한다(治胕腫也);音부(符)。」

3 곽박(郭璞)云:「전은(箭),조릿대(篠也)。」원가기록(珂案):조릿대는(篠),작은 대나무다(小竹也),見설문해자(說文)。

4 곽박(郭璞)云:「다리가 네 개인 큰 잉어 같다(如䱱魚四腳)。」원가기록(珂案):인어에 관한 것은(關於人魚),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七「능어(陵魚)」節注1。

5 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俱校모 다음에 부유모 글자가 있다(毛下復有毛字),다음 글자들도 읽는게(屬下讀),맞다(是也)。

6 곽박(郭璞)云:「계는(笄),비녀의 종류(簪屬)。」

7 원가기록(珂案):문선(文選)장양부(長楊賦)이선(李善)注引此經흑단(黑端)뒤에(下有)털을 쏜다는(以毛射物)네 글자가 있다(四字),현재 책에는 빠진 걸로 의심(疑今本脫去之)。

8 원가기록(珂案):즉 호저다(即豪豬),보통 산미치광이라고도 부른다(俗稱箭豬)。


又西百二十里曰浮山,多盼木1,枳葉而無傷2,木蟲居之3。

또 서쪽으로 일백 이십 리를 가면 부산이라 하는데, 반목이 많고, 가시가 없고 잎은 탱자나뭇잎 같다, 나무 속에 벌레가 산다.


有草焉,名曰薰草,麻葉而方莖,赤華而黑實,臭如蘼蕪4,佩之可以已癘。

여기 있는 풀은, 이름을 훈초라 하는데, 네모난 줄기에 삼 잎이다, 검은 열매가 열리고 붉은 꽃이 핀다, 냄새는 미무 같고, 몸에 지니면 돌리병이 낫는다


1 곽박(郭璞)云:「音미목반혜의 반(美目盼兮之盼)。」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既音반(盼),경문에 반이라 쓰여있다 알려졌지만(知經文必不作盼),어느 글자가 잘못된 것인지 확실하지 않다(未審何字之訛)。」

2 곽박(郭璞)云:「지는(枳),자침(刺針)(바늘(鍼))也,사람을 다치게 한다(能傷人),바늘 옛 이름(故名云)。」원가기록(珂案):광아(廣雅)云:「상은(傷),바늘이다(箴也)。」此言가시가 있는 탱자나뭇잎(枳葉有刺),반목 잎은 가시가 없는 탱자나뭇잎과 비슷하다(盼木葉似枳葉而無刺),상이 없는 이유다(故云無傷也)。

3 곽박(郭璞)云:「나무 안에 살고 있다(在樹之中)。」

4 곽박(郭璞)云:「미무(蘼蕪),향초(香草);역경(易)曰:『그 냄새가 난 같다(其臭如蘭)。』미무(眉無)兩音。미무는 궁궁이의 싹이다」


又西七十里,曰羭次之山,漆水出焉,北流注于渭。

또 서쪽으로 칠십 리를 가면, 유차산이라 하는데, 여기서 나오는 칠수는, 북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간다.


其上多棫橿1,其下多竹箭,其陰多赤銅,其陽多嬰垣之玉2。

산 위에 상수리나무와 강목이 많고, 산 아래에 대나무와 이대가 많다, 산의 북쪽에 붉은 구리가 많고, 산의 남쪽에 영원옥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禺而長臂,善投,其名曰囂3。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습이 긴 팔을 한 원숭이 같고, 던지는 것을 좋아한다, 그 이름을 효라 한다.


有鳥焉,其狀如梟,人面而一足,曰橐𩇯4,冬見夏蟄,服之不畏雷5。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올빼미 같곡, 발이 한 개에 사람 얼굴이다, 탁비라 하는데, 겨울에는 나타나고 여름에는 숨는다, 몸에 깃털을 달면 우레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1 곽박(郭璞)云:「역은(棫),상수리나무다(白桵也);音역(域)。」

2 곽박(郭璞)云:「원이나 단으로 쓰여 있다(垣或作短),혹은 근으로도 쓰여 있다(或作根),혹은 매로도 쓰여 있다(或作埋),전해지는 글에는 잘못된 것이 있어(傳寫謬錯),자세한 설명이 없다(未可得詳)。」원가기록(珂案):經文영원옥(嬰垣之玉),강소원(江紹原)謂當即영두옥(嬰脰之玉),見下文서차삼경(西次三經)「유산(泑山)」注2。

3 곽박(郭璞)云:「또한 외수화를 보면(亦在畏獸畫中),원숭이가 물건을 던지는 것과 비슷하다(似獼猴投擲也)。」원가기록(珂案):효는(囂),학의행(郝懿行)云,효와 노는 성조가 비슷하다(囂、夒聲相近);필원(畢沅)校本作효(囂),효와 노는 글꼴이 비슷하다(云囂、夒形相近);설문해자(說文)云:「노는(夒),어미 원숭이(母猴),사람과 비슷하다(似人)。」효는 노가 잘못된 글자다(囂當即夒之訛變也)。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九「동해기우(東海夔牛)」節注2。

4 곽박(郭璞)云:「音비(肥)。」원가기록(珂案):經文曰탁비(橐𩇯)앞에(上)왕념손(王念孫)校명자가 있어야 한다(增名字)。

5 곽박(郭璞)云:「새의 깃을 나타낸다(著其毛羽),착한 사람은 우레를 두려워 하지 않는다(令人不畏天雷也)。혹은 재로 쓰여 있다(或作災)。」


又西百五十里,曰時山,無草木。

또 서쪽으로 일백 오십 리를 가면, 시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다.


逐1水出焉,北流注于渭,其中多水玉。

여기서 나오는 축수는, 북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가고, 그 안에 수옥이 많다.


1 곽박(郭璞)云:「혹은 수라고 쓰여 있다(或作遂)。」


又西百七十里,曰南山,上多丹粟。

또 서쪽으로 일백 칠십 리를 가면, 남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단속이 많다.


丹水出焉,北流注于渭。

여기서 나오는 단수는, 북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간다.


獸多猛豹1,鳥多尸鳩2。

짐승은 맹표가 많고, 새는 시구가 많다.


1 곽박(郭璞)云:「맹표는 작은 곰과 비슷하다(猛豹似熊而小),털이 얇고(毛淺),광택이 있으며(有光澤),뱀을 잡아 먹을 줄도 안다(能食蛇),구리와 철을 먹고(食銅鐵),촉에서 나온다(出蜀中)。표는 범으로도 쓰였다(豹或作虎)。」학의행(郝懿行)云:「맹표는 즉 맥표다(猛豹即貘豹也),맥표와 맹표는 비슷한 발음이다(貘豹、猛豹聲近而轉)。맥표는 불가사리를 말한다」

2 곽박(郭璞)云:「시구는(尸鳩),뻐꾸기 종류이다(布穀類也)。구는 구로도 쓰였다(鳩或作丘)。」학의행(郝懿行)云:「구역시 구라고도 쓴다(鳩或作丘者),발음이 비슷해 임시로 쓰였따(聲近假借字)。」


又西百八十里,曰大時之山,上多穀1柞2,下多杻橿,陰多銀,陽多白玉。

또 서쪽으로 일백 팔십 리를 가면, 대시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닥나무와 상수리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유목과 강목이 많다, 산의 북쪽에 은이 많고, 산의 남쪽에 백옥이 많다.


涔3水出焉,北流注于渭。

여기서 나오는 잠수는, 북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간다.


清水出焉,南流注于漢水。

여기서 나오는 청수는, 남쪽으로 흘러 한수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곡자는(穀字)오임신(吳任臣)本作곡(榖),맞다(是也),닥나무(即構),책에 나온 곡자는 모두 잘못 쓰여 있다(諸本作穀皆誤)。

2 곽박(郭璞)云:「작은(柞),력이다(櫟)。」

3 곽박(郭璞)云:「音잠(潛)。」


又西三百二十里,曰嶓冢之山1,漢水出焉,而東南流注于沔;

또 서쪽으로 삼백 이십 리를 가면, 파총산이라 하는데, 여기서 나오는 한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면수로 들어간다.


囂水出焉,北流注于湯2水。

여기서 나오는 효수는, 북쪽으로 흘러 탕수로 들어간다.


其上多桃枝鉤端3,獸多犀兕熊羆,鳥多白翰4赤鷩。

산 위에 도지죽과 구단죽이 있고, 짐승은 무소와 외뿔소와 곰과 말곰이 있고, 새는 백한과 적별이 있다.


有草焉,其葉如蕙5,其本6如桔梗,黑華而不實,名曰蓇蓉7,食之使人無子。

여기 있는 풀은, 그 잎이 혜란 같고, 그 뿌리는 도라지 같으며, 열매는 열리지 않고 검은 꽃이다, 이름을 골용이라 하고, 먹은 사람은 자식을 가질 수 없다


1 곽박(郭璞)云:「嶓音파(波)。」

2 곽박(郭璞)云:「혹은 양이라 쓰여 있다(或作陽)。」

3 곽박(郭璞)云:「구단은(鉤端),도지죽의 종류(桃枝屬)。」원가기록(珂案):도지는(桃枝),대나무 이름이다(竹名);이아(爾雅) 석초(釋草):「도지는 네 치마다 마디가 있다(桃枝四寸有節)。」疏:「모든 대나무는 멀리 떨어져 있고 네 치마다 마디가 있따(凡竹相去四寸有節者),도지죽이라 한다(名桃枝竹)。」

4 곽박(郭璞)云:「백한은(白翰),백탁이다(白鵫也),혹는 탁치라고도 하며(亦名鵫雉),또 백치라고도 한다(又曰白雉)。」

5 곽박(郭璞)云:「혜는(蕙),향초다(香草),난초의 종류다(蘭屬也)。」

6 곽박(郭璞)云:「본은(本),근이다(根也)。」

7 곽박(郭璞)云:「蓇音골(骨)。」


又西三百五十里,曰天帝之山,上多棕柟,下多菅蕙1。

또 서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천제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종려나무와 녹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솔새와 혜란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狗,名曰谿邊2,席其皮者不蠱。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개 같고, 이름을 계변이라 하는데, 그 가죽으로 만든 돗자리에 있는 사람은 고독에 당하지 않는다.


有鳥焉,其狀如鶉,黑文而赤翁3,名曰櫟4,食之已痔。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메추라기 같고, 붉은 목털이 나있고 검은 무늬이다, 이름을 력이라 하는데, 먹으면 치질이 낫는다.


有草焉,其狀如葵5,其臭如蘼蕪,名曰杜衡6,可以走馬7,食之已癭8。

여기 있는 풀은, 그 모양이 해바라기 같고, 그 냄새는 미무 같다, 이름을 두형이라 하는데, 허리끈으로 쓰면 말이 잘 달리고, 먹으면 목의 혹을 낫게 한다.


1 곽박(郭璞)云:「관은(菅),띠 풀 종류이다(茅類也)。」

2 곽박(郭璞)云:「혹은 곡유라고 쓰여 있다(或作谷遺)。」

3 곽박(郭璞)云:「音급옹의 옹(汲甕之甕)。」원가기록(珂案):설문해자(說文)四云:「옹은(翁),목에 난 털이다(頸毛也)。」

4 곽박(郭璞)云:「音사력의 력(沙礫之礫)。」

5 곽박(郭璞)云:「사기(史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 색은(索隱)引此經作잎이 해바라기 같다(葉如葵)。」

6 곽박(郭璞)云:「향초다(香草也)。」

7 곽박(郭璞)云:「띠를 하면 사람이 말을 모는데 편하다(帶之令人便馬);혹은(或曰),말을 타면 건강해 진다(馬得之而健走)。」

8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영은(癭),목의 혹이다(頸瘤也)。』회남자(淮南)지형훈(墬形訓)云:『기운이 막히면 혹이 많다(險阻氣多癭)。』」


西南三百八十里,曰皋塗之山1,薔2水出焉,西流注于諸資之水;

서남쪽으로 삼백 팔십 리를 가면, 고도산이라 하는데, 여기서 나오는 색수는, 서쪽으로 흘러 제자수로 들어간다.


塗水出焉,南流注于集獲之水。

여기서 나오는 도수는, 남쪽으로 흘러 집획수로 들어간다.


其陽多丹粟,其陰多銀、黃金,其上多桂木。

산의 남쪽에 단속이 많고, 산의 북쪽에 은과 황금이 많다, 산 위에 계수나무가 많다.


有白石焉,其名曰礜,可以毒鼠3。

여기 있는 흰 돌은, 그 이름을 예라 하는데, 이 돌의 독으로 쥐를 잡을 수 있다.


有草焉,其狀如槁茇4,其葉如葵而赤背,名曰無條,可以毒鼠。

여기 있는 풀은, 그 모양이 고발 같고, 그 잎은 붉은 등을 한 해바라기 같다, 이름을 무조하 하는데, 이 풀의 독으로 쥐를 잡을 수 있다.


有獸焉,其狀如鹿而白尾5,馬腳人手6而四角,名曰𤣎如7。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흰 꼬리가 난 사슴 같고, 뿔리 네 개 달리고 뒷발을 말 다리에 앞발은 사람 손을 했다, 그 이름을 영여라 한다.


有鳥焉,其狀如鴟而人足,名曰數斯,食之已癭8。

여기 새는, 그 모양이 사람 발이 달린 새매 같고, 이름을 수사라 한다, 먹으면 목의 혹아 낫는다.


1 학의행(郝懿行)云:「사기(史記)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색은(索隱)引此經作비도(鼻塗)。」

2 곽박(郭璞)云:「音색(色);혹은 기로 쓰여 있다(或作蕢),또는 복으로 쓰여 있다(又作葍)。」

3 곽박(郭璞)云:「현재 여석이며 쥐를 죽인다(今礜石殺鼠),音예(豫);누에가 먹으면 살이 찐다(蠶食之而肥)。」

4 곽박(郭璞)云:「고발은(槁茇),향초(香草)。」필원(畢沅)云:「즉 고본이다(即槁本也);두 발음이 비슷하다(本、茇聲之緩急)。」원가기록(珂案):고본은(槁本)見중차삼경(中次三經)청요산(青要之山),槁作藁,같은 글자다(字同)。

5 학의행(郝懿行)云:「사기(史記)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색은(索隱)引此經흰 꼬리 두 글자는 없다(無白尾二字)。」

6 곽박(郭璞)云:「앞쪽 두 다리가 사람 손과 비슷하다(前兩腳似人手)。」

7 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並校영여는 확여로 쓰여야 한다(𤣎如當作玃如)。

8 곽박(郭璞)云:「혹은 간질로 쓰여 있다(或作癎)。」


又西百八十里,曰黃山,無草木,多竹箭。

또 서쪽으로 일백 팔십 리를 가면, 황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대나무와 이대가 많다.


盼水出焉1,西流注于赤水,其中多玉。

여기서 나오는 반수는, 서쪽으로 흘러 적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옥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牛,而蒼黑大目,其名曰𤛎2。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소 같고, 푸프고 검은빛에 큰 눈을 하고 있다, 그 이름을 민이라 한다.


有鳥焉,其狀如鴞,青羽赤喙,人舌能言,名曰鸚3。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솔개 같고, 푸른 날개에 붉은 부리이며, 혀는 사람 같아 말을 할 수 있다, 이름을 앵무라 한다.


1 곽박(郭璞)云:「音미목반혜의 반(美目盼兮之盼)。」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既音반(盼),경문에 반이라 쓰여있다 알려졌지만(知經文必不作盼),어느 글자가 잘못된 것인지 확실하지 않다(未審何字之訛)。」원가기록(珂案):부산애 나온 반목과(上文浮山盼木),곽박(郭)음이 같다고 했다(音與此相同)。

2 곽박(郭璞)云:「音민(敏。」원가기록(珂案):주서(周書)왕회편(王會篇)云:「초나라에서 모든 소를 조사했는데(數)楚每牛),모두 소들이 였다(每牛者),소의 작은 놈이다(牛之小者也)。」即此。

3 원가기록(珂案):앵무다(即鸚鵡)。


又西二百里,曰翠山,其上多棕柟,其下多竹箭,其陽多黃金1、玉,其陰多旄牛、麢、麝2;

또 서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취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종려나무와 녹나무가 많고, 산 아래는 대나무와 이대가 많다, 산의 남쪽에 황금과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모우와 영양과 사향노루가 많다.


其鳥多鸓3,其狀如鵲,赤黑而兩首四足,可以禦火。

산에 새는 유가 많은데, 그 모양이 까치 같고, 두 개의 머리에 네 개의 발이 달렸으며 붉고 검은빛이다, 이것을 기르면 화재를 막을 수 있다.


1 원가기록(珂案):항인(項絪)本、필원(畢沅)校本、백자전서(百子全書)本黃下금은 없는 글자 이다(無金字)。

2 곽박(郭璞)云:「영양은 양과 비슷한데 뿔이 크고 가늘어 먹을 수 있다(麢似羊而大角細食),절벽 사이에 있는 것을 좋아한다(好在山崖間);사향노루는 작은 노루와 비슷하다(麝似獐而小),향이 난다(有香)。」

3 원가기록(珂案):경문(經文) 유는(鸓),왕념손(王念孫)、필원(畢沅)、학의행(郝懿行)並校作첩(䴑);音첩(疊)。


又西二百五十里,曰騩山1,是錞2于西海,無草木,多玉。

또 서쪽으로 이백 오십 리를 가면, 외산이라 하는데, 이 산은 서해까지 이어져 있다, 풀과 나무가 없고, 옥이 많다.


淒3水出焉,西流注于海,其中多采石4、黃金,多丹粟。

여기서 나오는 처수는, 서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고, 그 안에 채석과 황금이 많으며, 단속이 많다.


1 곽박(郭璞)云:「音외(巍);一音외효의 외(隗囂之隗)。」

2 곽박(郭璞)云:「순은 마땅히 둑이다(錞猶隄埻也);音장과 윤의 반절(章閏反)。」왕불(汪紱)云:「순은 마땅히 쪼그리고 앉다(錞猶蹲也)。」원가기록(珂案):汪說於義近之,순자는 준자의 발음을 빌린다(錞蓋蹲字假音也)。

3 곽박(郭璞)云:「혹은 수로 쓰여 있다(或作浽)。」

4 곽박(郭璞)云:「채석은(采石),아름다운 빛이 있는 돌이다(石有采色者);현재 자황과 공청과 벽록의 종류이다(今雌黃、空青、碧綠之屬)。」


凡西經之首,自錢來之山至于騩山,凡十九山,二千九百五十七里。

무릇 서산경의 첫머리인, 전래산부터 외산까지, 모두 열일곱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이천 구백 오십 칠리에 이른다.


華山冢也1,其祠之禮:太牢2。

화산은 신선과 귀신이 기거하는 곳이다, 그 산의 제사 예법 : 소를 통째로 제물로 바치는 태뢰이다.


羭山神也,祠之用燭3,齋百日以百犧4,瘞用百瑜5,湯6其酒百樽,嬰7以百珪百璧。

유산은 신령이 사는 곳이다, 제사에 쓰는 불은 등불을 쓰고, 백 일 동안 몸과 마음을 깨끗이하고 백 마리의 짐승을 바치며, 백 개의 유옥을 묻어 제사를 지내고, 백 동이의 술을 따뜻하게 데워, 백 개의 규옥과 백 개의 벽옥을 신에게 바친다.


其餘十七山之屬,皆毛牷8用一羊祠之9。

산의 나머지 열일곱 개의 산들은, 모든 제물의 짐승은 한 마리의 양을 사용해 제사를 지낸다.


燭者百草之未灰10,白蓆采等純之11。

등불들은 온갖 풀로 만들어 쉽게 재가 되지 않고, 가장자리를 오색으로 한 흰색 돗자리를 만든다.


1 곽박(郭璞)云:「무덤은(冢者),신선과 귀신이 기거하는 곳이다(神鬼之所舍也)。」

2 곽박(郭璞)云:「소와 양과 돼지를 잡아 태뢰를 행한다(牛羊豕為太牢)。」

3 곽박(郭璞)云:「혹은 양으로 쓰여 있다(或作煬)。」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촉은(燭),마당에서 불타는 촛불이다(庭燎火燭也);양은(煬),말려서 굽는다(炙燥也)。』」

4 곽박(郭璞)云:「제물이 순수한 빛이 나게 만든다(牲純色者為犧)。」원가기록(珂案):經文재(齋),왕불(汪紱)本作제(齊),맞다(是也),옛날에 재자는 제로 많이 썼다(古齋字多作齊)。

5 곽박(郭璞)云:「유는 아름다운 옥의 이름이다(瑜亦美玉名);音유(臾)。」

6 곽박(郭璞)云:「혹은 따뜻하다로 쓰여 있다(或作溫)。」학의행(郝懿行)云:「湯讀去聲;현대인은 끓인 술이 데운 술이라고 근거한다(今人呼溫酒為湯酒本此)。」원가기록(珂案):끓인 술은(湯酒),현재를 술을 데웠다고 쓴다(今作燙酒)。

7 곽박(郭璞)云:「영은 둥글게 차려 놓고 제사를 지내는 것을 일컫는다(嬰謂陳之以環祭也);혹은 영을 옛날 양병을 말한다(或曰嬰即古罌字),사발이라 일컫는다(謂盂也)。」원가기록(珂案):강소원(江紹原)중국 고대여행의 연구(中國古代旅行之研究)第一章注10云,영은 신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묶은 옥을 칭한다(嬰係以玉祀神之專稱),其說近是,참고 가능(可供參考)。

8 곽박(郭璞)云:「전은 제물의 몸이 전부 갖추어진 것을 일컫는다(牷謂牲體全具也)。」원가기록(珂案):牷音전(全)。

9 실명(失名)云:「이오(二吳)(오관(吳琯)、오임신(吳任臣))本均作소뢰나 태뢰(牢),아마도 그렇지 않다(恐非)。」원가기록(珂案):經文한 마리 양을 사용해 제사를 지내며(用一羊祠之),왕불(汪紱)本용자는 없는 글자(無用字)。

10학의행(郝懿行)云:「옛 사람들이 사용하던 초의 시작(此蓋古人用燭之始),經云『百草未灰』,이것은 옛 사람들이 초를 만든 걸로 안다(是知上世為燭),또 삼를 찌고 갈대로 홰를 만들어 사용한다(亦用麻蒸葦苣為之)。자세히 나왔다(詳見)시소(詩疏)及주례소(周禮疏)。」

11곽박(郭璞)云:「순은(純),연이다(緣也);오색 가장자리(五色純之),그 무늬 색깔이 순서가 있다(等差其文綵也)。」

서차이경(西次二經) 번역

산해경/서산경 2018. 2. 28. 00:00

西次二經之首,曰鈐山1,其上多銅,其下多玉,其木多杻橿。

서차이경의 첫머리는, 겸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구리가 많고, 산 아래에 옥이 많으며, 산에 나무는 유목과 강목이 많다.


1 곽박(郭璞)云:「音곤겸의 겸(髠鉗之鉗);혹은 냉으로 쓰여 있고(或作冷),또는 도르 쓰여 있다(又作塗)。」


西二百里,曰泰1冒之山,其陽多金,其陰多鐵。

서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태모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금이 많고, 산의 북쪽에 쇠가 많다.


浴水2出焉,東流注于河,其中多藻玉3,多白蛇4。

여기서 나오는 욕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가고, 물안에 연옥이 많고, 흰 뱀이 많다.


1 곽박(郭璞)云:「혹은 진으로 쓰여 있다(或作秦)。」원가기록(珂案):초학기(初學記)卷六及태평어람(太平御覽)卷六二引此經진이라 쓰였다(正作秦)。

2 원가기록(珂案):욕수(浴水),초학기(初學記)及태평어람(御覽)並引作낙수(洛水),맞다(是也)。

3 곽박(郭璞)云:「연옥(藻玉),기호 무늬가 있는 옥이다(玉有符彩者);혹은 간으로 쓰여 있다(或作柬),音연(練)。」원가기록(珂案):초학기(初學記)及태평어람(御覽)引此經많음이 있음으로 쓰였다(多作有)。

4 곽박(郭璞)云:「물 뱀이다(水蛇)。」


又西一百七十里,曰數歷之山,其上多黃金,其下多銀,其木多杻橿,其鳥多鸚

또 서쪽으로 일백 칠십 리를 가면, 수력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황금이 많고, 산 아래에 은이 많다, 산에 나무는 유목과 강목이 많고, 산에 새는 앵무가 많다.


楚水出焉,而南流注于渭,其中多白珠1。

여기서 나오는 초수는, 남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가고, 물안에 흰 진주가 많다.


1 곽박(郭璞)云:「현재 촉군 평택에서 푸른 진주가 나온다(今蜀郡平澤出青珠)。시자(尸子)曰:『물이 끊어지는 곳에 진주가 있다(水員折者有珠)。』」


又西北五十里高山1,其上多銀,其下多青碧2、雄黃,其木多棕,其草多竹。

또 서북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고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은이 많고, 산 아래에 청벽과 웅황이 많다, 산에 나무는 종려나무가 많고, 산에 풀은 대나무가 많다.


涇3水出焉,而東流注于渭,其中多磬石、青碧。

여기서 나오는 경수는, 동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가고 , 물안에 경석과, 청벽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오관(吳寬)초본(抄本)、오임신(吳任臣)本、왕불(汪紱)本、필원(畢沅)校本、백자전서(百子全書)本,경문의 고산 앞쪽에 왈자가 있는데(經文高山上並有曰字),이게 빠짐(此脫)。

2 곽박(郭璞)云:「벽옥도 역시 옥의 종류다(碧亦玉類也)。」원가기록(珂案):설문해자(說文)一云:「벽은(碧),푸른빛이 도는 돌이다(石之青美者)。」이 청소가 청벽으로 불리기도 했다(此碧所以稱青碧也)。

3 곽박(郭璞)云:「音경(經)。」


西南三百里,曰女床之山,其陽多赤銅,其陰多石涅1,其獸多虎豹犀兕。

서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여상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붉은 구리가 많고, 산의 북쪽에 석열이 많다, 산에 짐승은 범과 표범과 무소와 외뿔소가 많다.


有鳥焉,其狀如翟而五采文2,名曰鸞鳥,見則天下安寧3。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무늬가 다채로운 꽁지가 긴 꿩 같고, 이름을 난조라 한다, 만나면 온 세상에 걱정이나 탈이 없다.


1 오임신(吳任臣)云:「본초(本草):『흑석지는(黑石脂)一名석묵(石墨),一名석열(石涅),남인의 그림을 보면(南人謂之畫)미석(眉石)。』양신(楊慎)보충설명(補注)曰:『석열은 검은색으로 염색이 가능하다(石涅可以染黑色);논어(論語)「열은 검은빛이 아니다(涅而不淄)」,即此物也。또 책을 보면(又可以書字),석묵이라 일컫는다(謂之石墨)。』」

2 곽박(郭璞)云:「적은 큰 꿩과 비슷하다(翟似雉而大),꽁지가 길다(長尾)。혹은 락이라 쓰여 있다(或作𪇱);목이 붉은 매는(𪇱),수리의 종류다(雕屬也)。」원가기록(珂案):문선(文選)동경부(東京賦)설종(薛綜)注引此經꿩은 학으로 쓴다(翟作鶴),오채는 오색으로 쓴다(五采作五色)。

3 곽박(郭璞)云:「구설에(舊說)난은 닭과 비슷하다(鸞似雞),서조다(瑞鳥也),주서왕 때 서융이 헌상했다(周成王時西戎獻之。」


又西二百里,曰龍首之山,其陽多黃金,其陰多鐵。

또 서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용수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황금이 많고, 산의 북쪽에 쇠가 많다.


苕水出焉,東南流注于涇水1,其中多美玉。

여기서 나오는 동남쪽으로 흘러 경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아름다운 옥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모의(毛扆)校本동남류 앞에 으로가 있어야 한다(東南流上有而字)。


又西二百里,曰鹿臺之山,其上多白玉,其下多銀,其獸多㸲牛、羬羊、白豪1。

또 서쪽으로 이십 리를 가면, 녹대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백옥이 많고, 산 아래 은이 많다, 산에 짐승은 작우와 함양과 흰 호저가 많다.


有鳥焉,其狀如雄雞而人面,名曰鳧徯,其鳴自叫也2,見則有兵。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사람 얼굴을 한 수탉 같고, 이름을 부혜라 했다, 울음소리에 따라 그런 이름이 붙여졌으며, 만나면 전쟁이 난다.


1 곽박(郭璞)云:「호는(豪),환저다(貆豬也)。」원가기록(珂案):호는 즉 호저고(豪即豪彘),죽산에 이미 나왔다(已見上文竹山);그 털이 흰색이므로(以其毛白),옛부터 백호로 칭했다(故稱白豪)。

2 학의행(郝懿行)云:「북당서초(北堂書鈔)一百三十卷引此經얼굴은 머리로 쓰였다(面作首),호는 명으로 쓰였다(鳴作名),잘못 쓰인 글자(蓋形聲之訛)。」


西南二百里,曰鳥危之山,其陽多磬石,其陰多檀楮1,其中多女床2。

서남쪽으로 이십 리를 가면, 조위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경석이 많고, 산의 북쪽에 박달나무와 닥나무가 많다, 산속에 여상이 많다.


鳥危之水出焉,西流注于赤水,其中多丹粟。

여기서 나오는 조위수는, 서쪽으로 흘러 적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단속이 많다.


1 곽박(郭璞)云:「저는 닥나무다(楮即榖木)。」원가기록(珂案):닥나무는(榖木)已見남산경(南山經)首초요산(招搖之山),즉 닥나무다(即構樹)。

2 곽박(郭璞)云:「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


又西四百里,曰小次之山,其上多白玉,其下多赤銅。

또 서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소차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백옥이 많고, 산 아래에 붉은 구리가 많다.


有獸焉,其狀如猿,而白首赤足,名曰朱厭,見則大兵1。

여기서 나오는 짐승은, 그 모양이 원숭이 같고, 흰 머리에 붉은 발이다, 이름을 주염이라 하며, 만나면 큰 전쟁이 난다.


1 곽박(郭璞)云:「만나면 전쟁이 일어난다로 쓰여 있다(一作見則有兵起焉),만나면 전쟁이 생긴다라고도 쓰여 있다(一作見則為兵)。」학의행(郝懿行)云:「북당서초(北堂書鈔)一百十三卷、태평어람(太平御覽)三百二十九卷引此經並作만나면 전쟁이 난다(見則有兵)。」


又西三百里,曰大次之山,其陽多堊1,其陰多碧,其獸多㸲牛、麢羊。

또 서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대차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흰흙이 많고, 산의 북쪽에 벽옥이 많다, 산에 짐승은 작우와 영양이 많다.


1 곽박(郭璞)云:「악은 흙의 색과 비슷하다(堊似土色),매우 희다(甚白);音악(惡)。」학의행(郝懿行)云:「중산경(中山經):『총롱산(蔥聾之山),흰흙과 여러빛이 섞이 흙이 많다(多白堊,黑、青、黃堊)。』흙의 색이 하나가 아니다(明堊色非一),흰 것이 아닌 것만 이름이 악이다(不獨白者名堊也)。」


又西四百里,曰薰吳之山,無草木,多金玉。

또 서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훈오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又西四百里,曰1陽之山,其木多稷2、柟、豫章3,其獸多犀、兕、虎、犳4、㸲牛。

또 서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지양산이라 하는데, 그 산에 나무는 즉목과 녹나무와 예장목이 많고, 그 산에 짐승은 무소와 외뿔소와 범과 작과 작우가 많다.


1 곽박(郭璞)云:「音지(旨)。」원가기록(珂案):經文지(㕄),왕념손(王念孫)、필원(畢沅)、학의행(郝懿行)並校作지(厎)。

2 곽박(郭璞)云:「즉목은 소나무와 비슷하고(稷似松),가시가 있으며有刺,나무결이 가늘다(細理);音즉(即)。」

3 곽박(郭璞)云:「예장은(豫章),큰 나무(大木),가래나무와 비슷하며(似楸),잎은 사시사철 푸르다(葉冬夏青),칠 년이 지나야 알 수 있다(生七年而後可知也)。」

4 곽박(郭璞)云:「작은(犳),音지와 삭의 반절(之藥反)。」학의행(郝懿行)云:「옥편(玉篇)云:『작은(犳),짐승으며(獸),표범 무늬다(豹文)。』音與곽박(郭)同。아마도 재규어인 듯하다」


又西二百五十里,曰眾獸之山,其上多㻬琈之玉,其下多檀楮,多黃金,其獸多犀兕。

또 서쪽으로 이백 오십 리를 가면, 중수산이라 하는데, 산 위는 서부옥이 많고, 산 아래에 박달나무와 닥나무가 많으며, 황금이 많다, 산에 짐승은 무소와 외뿔소가 많다.


又西五百里,曰皇人之山,其上多金玉,其下多青雄黃1。

또 서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황인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청웅황이 많다.


皇水出焉,西流注于赤水,其中多丹粟。

여기서 나오는 황수는, 서쪽으로 흘러 적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단속이 많다.


1 오임신(吳任臣)云:「소송(蘇頌)云:『계주산 안에(階州山中),푸르고 검은빛으로 굳은 웅황이 있다(雄黃有青黑色而堅者),이름을 훈황이라 한다(名曰熏黃)。』청웅황의 뜻이 바로 이것이다(青雄黃意即此也)。」


又西三百里,曰中皇之山,其上多黃金,其下多蕙、棠1。

또 서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중황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황금이 많고, 산 아래에 혜란과 해당화가 많다.


1 곽박(郭璞)云:「붉은 팥배나무 종류(彤棠之屬也)。혜도 고로 쓰여있다(蕙或作羔)。」


又西三百五十里,曰西皇之山,其陽多金,其陰多鐵,其獸多麋1鹿、㸲牛。

또 서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서황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금이 많고, 그 삼의 북쪽에 쇠가 많다, 산에 짐승은 사불상과 사슴과 작우가 많다.


1 곽박(郭璞)云:「사불상은 크기가 작은 소 같다(麋大如小牛),사슴 종류다(鹿屬也)。」


又西三百五十里,曰萊山,其木多檀楮,其鳥多羅羅1,是食人。

또 서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내산이라 하는데, 그 산에 나무는 박달나무와 닥나무가 많고, 그 산에 새는 라라가 많다. 이 새는 사람을 잡아먹는다.


1 곽박(郭璞)云:「라라조는(羅羅之鳥),所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也。」학의행(郝懿行)云:「해외북경(海外北經)有푸른 짐승(青獸),모양이 범 같고(狀如虎),이름을 라라라 한다(名曰羅羅),이 새와 이름이 같다(此鳥與之同名)。」


凡西次二經之首,自鈐山至于萊山,凡十七山,四千一百四十里。

무릇 서차이경의 첫머리인, 겸산부터 내산까지, 모두 열일곱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사천 일백 사십 리에 이른다.


其十神者,皆人面而馬身。

산의 열 명의 신들은, 모두 말의 몸에 사람 얼굴이다.


其七神皆人面牛身,四足而一臂,操杖以行:是為飛獸之神;

산의 일곱 명의 신은 모두 사람 얼굴에 소의 몸이고, 팔이 한 개에 발이 네 개이며, 지팡이를 손에 쥐고 걸어 다닌다 이것은 날짐승들의 신이다.


其祠之,毛用少牢1,白菅為席。

산의 제사는, 양을 통째로 제물로 바치는 쇠로이고, 흰 솔새로 돗자리를 만든다.


其十輩2神者,其祠之,毛一雄雞,鈐而不糈3;毛采4。

열 명의 신들은, 산의 제사는, 한 마리 수탉은 제물로 쓰며, 제사에 젯메쌀을 쓰지 않고, 여러 가지 빛이 섞인 닭을 쓴다.


1 곽박(郭璞)云:「나라에서 제사 지낼 때 양과 돼지를 통째로 제물로 바치는 것이 소뢰이다(羊豬為少牢也)。」

2 학의행(郝懿行)云:「배는 류다(輩猶類也)。」

3 곽박(郭璞)云:「검은(鈐),제사에 사용되는 그릇의 이름으로 쓰임(所用祭器名),所모름(未詳)也。혹은 젯메쌀 없이 기도를 드린다로 생각된다(或作思訓祈不糈),쌀 없이 제사를 지낸다(祠不以米)。」학의행(郝懿行)云:「검은 기로 의심된다고 전해진다(鈐疑祈之聲轉耳),經文젯메쌀 없이 기도를 드린다(祈而不糈),즉 제사에 쌀을 쓰지 않는다(即祠不以米之義);해석이 아직 자세하지 않음(思訓未詳)。」

4 곽박(郭璞)云:「여러 가지 빛이 섞인 닭을 말한다(言用雜色雞也)。」원가기록(珂案):이 사람 얼굴에 말의 몸을 한 열 명의 신들에게 제사를 지낼 때(此言祠此人面馬身之十輩神),제물은 여러 가지 빛이 섞인 한 마리 수탉을 사용하고(毛物但用一雜色雄雞),쌀은 사용하지 않는다(而不以米也)。

서차삼경(西次三經) 번역

산해경/서산경 2018. 2. 28. 00:00

西次三經之首,曰崇吾1之山,在河之南,北望冢遂2,南望䍃3之澤,西望帝之搏4獸之丘5,東望䗡6淵。

서차삼경의 시작을, 숭오산이라 하는데, 황하의 남쪽에 있고, 북쪽으로 총수산을 바라보고, 남쪽으로 요택을 바라보며, 서쪽으로 제나라의 박수구를 바라보고, 동쪽으로 언연을 바라본다.


有木焉,員葉而白柎7,赤華而黑理,其實如枳8,食之宜子孫。

여기 있는 나무는, 흰 꽃받침에 둥근 잎이고, 검은 나무결에 붉은 꽃이 피며, 그 열매는 탱자 같다, 먹으면 자손들 형편이 좋다.


有獸焉,其狀如禺而文臂,豹虎9而善投,名曰舉父10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팔에 무늬가 있는 원숭이 같고, 표범 꼬리에 던지는 것을 좋아하며, 이름을 거보라 한다.


有鳥焉,其狀如鳧,而一翼一目,相得乃飛,名曰蠻蠻11,見則天下大水。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오리 같고, 날개가 하나에 눈도 하나여서, 짝을 지어야만 날 수 있으며, 이름을 만만이라 한다, 만나면 온 세상에 홍수가 난다


1 학의행(郝懿行)云:「博物志及사기(史記)봉선서(封禪書)색은(索隱)引此經並作숭구(崇丘);박물지(博物志)又作참우(參嵎)。」

2 곽박(郭璞)云:「산 이름(山名)。」

3 곽박(郭璞)云:「音요(遙)。」

4 곽박(郭璞)云:「박 혹은 부로 쓰여 있다(搏或作簿)。」

5 원가기록(珂案):經文구(丘),소은(邵恩)多校本、하작(何焯)校本、필원(畢沅)校本、백자전서(百子全書)本並作산(山)。

6 곽박(郭璞)云:「音어와 연의 반절(於然反)。」

7 원가기록(珂案):부는(柎),꽃받침(花萼房也),音부(附)。

8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탱자는(枳),나무이고(木),귤과 비슷하다(似橘)。』고공기(考工記)云:『귤이 북쪽에 회하를 건너면서(橘逾淮而北),탱자가 되었다(為枳)。』」

9 오임신(吳任臣)云:「잘못된 글자(字有誤)。」원가기록(珂案):經文범은(虎),미가 잘못 쓰여진 글자다(疑是尾字之誤)。

10곽박(郭璞)云:「혹은 과보라 쓰여 있다(或作夸父)。」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懿行)云:「이아(爾雅)云:『거는(豦),신두다(迅頭)。고릴라인 듯하다』곽박(郭)注云:『현재 건평산 안에 거가 있다(今建平山中有豦),크기는 개 같고(大如狗),원숭이와 비슷하다(似獼猴),누렇고 검은 빛이며(黃黑色),수염과 갈기가 많다(多髯鬣),머리가 좋고 날래고 빨라서(好奮迅其頭),돌을 던져 사람을 맞출 수 있다(能舉石擿人),큰 원숭이 종류(玃類也)。』如곽박(郭)설명(所說),돌을 던져 사람을 맞출 수 있다(惟能舉石擿人),경문에 나온 던지는 것을 좋아한다(故經曰善投),그런 이유러 이름이 거보가 되었다(因亦名舉父)。거와 거는 발음이 같다(舉、豦聲同),옛전에 같은 글자로 통했다(故古字通用);여와 과는 비슷한 소리고(與夸聲近),그런 이유로 혹은 과보로 쓰여 있다(故或作夸父)。」즉 과보는(則夸父者),원숭이 종류의 짐승이다(猿類之獸也)。동산경(東山經)남산(혹은 시산)에 있는 짐승은(柟山有獸),「모양이 멧돼지 갈기가 난 과보 같고(狀如夸父而彘毛),그 울음소리는 호통치는 소리 같다(其音如呼),만나면 온 세상에 홍수가 난다(見則天下大水)」;북차이경(北次二經)양거산에 있는 새는(梁渠之山有鳥),「모양이 과보 같고(狀如夸父),날개가 네 개에 눈이 한 개이며(四翼一目),꼬리는 개이다(犬尾),이름을 효라 하는데(名曰囂),그 울음소리는 까치 같고(其音如鵲),먹으면 배를 앓는 병이 낫고(食之已腹痛),이것을 기르면 설사를 멈추게 할 수 있다(可以止衕)」:두 짐승 모양이 원숭이와 비슷하다(均形似猿猴之怪鳥獸也)。힘이 좋고 날래고 빨라서(而神之多力奮迅者),과보라 이름이 되었다(亦或以夸父名矣)。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三「과보와 해가 달리기를 했다(夸父與日逐走)」節注1。

11곽박(郭璞)云:「비익조다(比翼鳥也),색은 푸르고 붉으며(色青赤),혼자서는 날지 못 한다(不比不能飛),이아(爾雅)作겸겸조(鶼鶼鳥)也。」원가기록(珂案):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一「비익조(比翼鳥)」節注1。


西北三百里,曰長沙之山1

서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장시산이라 한다.


泚水出焉,北流注于泑水2,無草木,多青雄黃。

여기서 나오는 자수는, 북쪽으로 흘러 유수로 들어간다, 풀과 나무가 없고, 청웅황이 많다.


1 학의행(郝懿行)云:「목천자전(穆天子傳)云:『송천자가 장시산에 이르다(送天子至于長沙之山。』即此。」

2 곽박(郭璞)云:「音유(黝),물색이 검다(水色黑也)。」원가기록(珂案):부주산에 나오는(即下文)云「동쪽으로 유택을 바라본다(東望泑澤)」은 유택이 맞다(是也)。


又西北三百七十里,曰不周之山1。

또 서북쪽으로 삼백 칠십 리를 가면, 부주산이라 한다.


北望諸毗之山,臨彼嶽崇之山,東望泑澤,河水所潛也,其原渾渾泡泡2。

북쪽으로 제비산을 바라보고, 맞은편의 악숭산과 가까이 마주하고 있으며, 동쪽으로 유택을 바라보고, 황하로 들어간다, 그곳은 물이 콸콸 나오는 근원지이다.


爰有嘉果,其實如桃3,其葉如棗,黃華而赤柎,食之不勞4。

여기 아름다운 과일이 있는데, 그 열매는 복숭아 같고, 그 잎은 대추나무 같으며, 꽃받침이 붉은 누런 꽃이 핀다, 먹으면 근심이 안 생긴다.


1 곽박(郭璞)云:「이 산의 모양은 빙 둘러진 곳이 없이 이지러져 있다(此山形有缺不周帀處),그런 이유로 이름이 되었다(因名云)。이 산 서북쪽에서 부주풍이 스스로 나온다(西北不周風自此山出)。」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산의 모양이 이지러져 있다(山形有缺)」,이는 공공과 전욱이 황제가 되기 위해 싸운 곳이며(乃共工與顓頊爭為帝),싸움의 결과이다(怒觸之所致也);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三「공공의 신하 상류(共工之臣相柳氏)」節注1及卷十一「부주부자산(不周負子山)」節注1。

2 곽박(郭璞)云:「渾渾泡泡,물이 내뿜어져 솟구치는 소리이다(水濆湧之聲也);곤포(衮咆)二音。」

3 원가기록(珂案):한무고사(漢武故事)「서왕모가 심은 복숭아 나무는 삼천 년에 한 번씩 과실을 맺는다(西王母種桃三千歲一著子)」云云,說蓋本此也。

4 학의행(郝懿行)云:「勞,憂也。태평어람(太平御覽)九百六十四卷引此經作그 열매는 복숭아와 오얏 같고, 그 꽃을 먹으면 배고프지 않다, 더불어 근본이 달라진다(其實如桃李、其華食之不飢,與今本異)。」


又西北四百二十里,曰峚山1,其上多丹木,員葉而赤莖,黃華而赤實,其味如飴,食之不飢。

또 서북쪽으로 사백 이십 리를 가면, 밀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단목이 많은데, 붉은 줄기에 둥근 잎이 나며, 붉은 열매가 열리고 누런 꽃이 핀다, 그 맛은 엿 같고, 먹으면 배고프지 않다. 


丹水出焉,西流注于稷澤2,其中多白玉,是有玉膏,其原沸沸湯湯3,黃帝是食是饗。

여기서 나오는 단수는, 서쪽으로 흘러 직택으로 들어간다, 물안에 백옥이 많고, 이곳에 옥고가 있는데 , 그 백옥은 옥고가 부글부글 나온는 근원지다, 황제는 이것으로 잔치를 벌였다.


是生玄玉4。

이곳에서 검은 옥이 한번씩 나온다.


玉膏所出,以灌丹木。

일정량의 옥고을, 단목에게 부어준다.


丹木五歲,五色乃清,五味乃馨。

단목이 오년이 지나면, 다채로운 빛이 난다.


黃帝乃取峚山之玉榮5,而投之鍾山之陽6。

황제는 밀산의 옥영을 채집해, 종남의 남쪽에 뿌렸다.


瑾瑜之玉為良7,堅粟精密8,濁澤有而光9。

근유옥이 가장 좋은데, 이 옥의 결은 빈 틈이 없고 매끈하며, 광택이 나지만 불투명하다.


五色發作,以和柔剛。

다채로운 빛깔을 발산하고, 부드럽고 단단함이 조화를 이룬다.


天地鬼神,是食是饗;

온 세상 귀신들이, 이것으로 잔치를 벌인다.


君子服10之,以禦不祥。

군자가 이것을 노리개로 만들어 착용하면, 불길한 것을 막을 수 있다.


自峚山至于鍾山,四百六十里11,其閒盡澤也。

밀산에서 종산까지, 사백 육십 리이고, 그 사이가 모두 늪이다.


是多奇鳥、怪獸、奇魚,皆異物焉。

이곳에는 기이한 새와 괴수와 기이한 물고기가 많고, 여기 물건은 모두 기이하다.


1 곽박(郭璞)云:「音밀(密)。」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注목천자전(穆天子傳)及이선(李善)注남도부와 천태산부南都賦、天台山賦)引此經모두 밀산이라 쓰여 있다(俱作密山),두 밀자 모두 옛날부터 같은 글자로 통했다(蓋峚、密古字通也)。」

2 곽박(郭璞)云:「신 후직이 맡겨진 곳이다(后稷神所憑),그런 이유로 이름이 되었다(因名云)。」원가기록(珂案):후직과 관련있다(關於后稷),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一「서주국(西周國)」節注2。

3 곽박(郭璞)云:「옥의 기름이나오는 모양이다(玉膏湧出之貌也)。하도옥판(河圖玉版)曰:『소밀산은(少室山),산 위에 흰 옥 기름가 있고(其上有白玉膏),한 번 복용하면 신선이 된다(一服即仙矣)。』亦此類也。沸音불(拂)。」

4 곽박(郭璞)云:「옥고가 안에서 흑옥이 나온다(言玉膏中又出黑玉也)。」

5 곽박(郭璞)云:「순수하고 깨끗한 옥을 일컫는다(謂玉華也)。」

6 곽박(郭璞)云:「옥종이라 생각한다(以為玉種)。」

7 곽박(郭璞)云:「가장 좋다(言最善也)。혹은 먹는다(或作食)。근유(覲臾)兩音。」원가기록(珂案):此段通篇多係韻語,식이라 쓰였는데 음절이 적합하지 않다(作食則於韻不協),곽박은 이미 책에서 잘못되어 있다고 했다(疑郭所見別本已訛)。

8 곽박(郭璞)云:「옥의 결이다(說玉理也)。」학의행(郝懿行)云:「왕념손(王)引之說經文조는 율로 쓰여야 한다(粟當為栗)。」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引之父)校正作栗。

9 곽박(郭璞)云:「탁은 윤이나고 짙음을 일컫는다(濁謂潤厚)。」원가기록(珂案):경문의 택은(經文澤),소은(邵恩)多校송본(宋本)、오자배임황요포(吳慈培臨黃蕘圃)校송본(宋本)、오관(吳寬)초본(抄本)均흑이라 쓰여 있다(作黑),올바른 뜻(於義為長)。또 경문의 유이는(又經文有而),唯오임신(吳任臣)本同,왕불(汪紱)本、필원(畢沅)校本、백자전서(百子全書)本並이유라 쓰여 있다(作而有),應乙正。

10원가기록(珂案):복은(服),띠를 두르다(佩帶也)。

11학의행(郝懿行)云:「또는 사백 이십 리(下又云四百二十里)。」


又西北四百二十里,曰鍾山,其子曰鼓,其狀如1人面而龍身2,是與欽䲹3殺葆江于昆侖之陽4,帝乃戮之鍾山之東曰𡺯崖5,欽䲹化為大鶚,其狀如雕而黑文白首,赤喙而虎爪,其音如晨鵠6,見則有大兵;

또 서북쪽으로 사백 이십 리를 가면, 종산이라 하는데, 그 산신의 자손들을 고라 하고, 그 모양이 용의 몸에 사람 얼굴을 한 것 같다, 고와 흠비는 보강을 곤륜산 남쪽에서 죽였으며, 황제는 이들을 종산의 동쪽 요애라는 곳에서 육시하였고, 흠비는 큰 물수리로 되살아났다, 그 모양이 검은 무늬에 흰 머리를 한 수리 같고, 범의 발톱에 붉은 부리이다, 그 울음은 징경이 같고, 만나면 큰 전쟁이 난다.


鼓亦化為鵔7鳥,其狀如鴟,赤足而直喙,黃文而白首,其音如鵠8,見則其邑大旱。

고 또한 준조로 되살아났고, 그 모양이 새매 같다, 곧은 부리에 붉은 발을 하고, 흰 머리에 누런 무늬이다, 그 울음은 백조 같다, 만나면 그 마을에 큰 가뭄이 든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여자는(如字),왕념손(王念孫)校덧붙임(衍),맞다(是也)。

2 곽박(郭璞)云:「이것 역시 신의 이름(此亦神名),종산의 자손들의 이름(名之為鍾山之子耳),其類皆見귀장(歸藏)하후계의 서(啟筮)。하후계서(啟筮)曰:『여산의 자식은(麗山之子),푸른 깃에 사람 얼굴과 말의 몸을 하고 있다(青羽人面馬身)。』亦似此狀也。」원가기록(珂案):經文「鍾山,그 자식을 고라 한다(其子曰鼓)」者,종산 산신의 자손을 고라 일컫는다(謂鍾山山神之子曰鼓也)。해외북경(海外北經)云:「종산의 신(鍾山之神),이름을 촉음이라 한다(名曰燭陰)(촉룡(燭龍)),그 모양이 사람 얼굴에 뱀의 몸을 하고 있다(其為物人面蛇身)。」정과 고의 모습이 합쳐있다(正與鼓之狀合),고는 종산 산신 촉음의 자손임을 알 수 있다(是知鼓即鍾山山神燭陰(촉룡(燭龍))之子耳),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三「종산의 신 촉음(鍾山之神燭陰)」節注1。又곽박(郭)注「其類皆見귀장(歸藏)하후계의 서(啟筮)」者,제산 수신의 자식의 모습을 귀장 하후계의 서에서 볼수 있다고 일컫는다(謂諸山水神之子之狀皆見歸藏啟筮也)。所舉麗山之子之狀,即其一例。又문선(文選)앵무부(鸚鵡賦)注引귀장(歸藏)하후계의 서(啟筮)云:「금수의 자식은(金水之子),그 이름을 우몽이라 하는데(其名曰羽蒙),이것은 온갖 새를 낳는다(是生百鳥)。」亦其一例。

3 곽박(郭璞)云:「音비(邳)。」학의행(郝懿行)云:「후한서(後漢書) 장형전(張衡傳)注引此經흠비로 쓰여 있다(作欽駓),장자(莊子) 대종사편(大宗師篇)作감배(堪坏),云:『감배를 얻으면(堪坏得之),곤륜을 계승한다(以襲昆侖)。』석문(釋文)云:『崔作邳。』사마상여(司馬)云:『감배는 신의 이름이다(堪坏神名),사람 얼굴에 짐승 모양이다(人面獸形)。』회남자(淮南子)作흠부(欽負)。이 흠감과 배부는 같은소리는 내는 글자다(是欽堪、坏負並聲類之字)。」

4 곽박(郭璞)云:「보(葆)或作조(祖)。」원가기록(珂案):문선(文選) 사현부(思玄賦)云:「종산을 지나다 휴식을 할 때(過鍾山而中休),요계의 적안을 내려다보고(瞰瑤谿之赤岸),조강의 죽음을 조문하였다(弔祖江之見劉)。」이선(李善)注引此經作祖江。又도잠(陶潛)독산해경시(讀山海經詩)亦作祖江。

5 원가기록(珂案):經文요애(𡺯崖),왕념손(王念孫)云:「장형전(張衡傳)注、태평어람(御覽)요이삼(妖異三)作요안(瑤岸)。」학의행(郝懿行)亦校요안(瑤岸)。

6 곽박(郭璞)云:「신곡은(晨鵠),징경이 종류(鶚屬),猶云신부(晨鳧)耳。」

7 곽박(郭璞)云:「音준(俊)。」

8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곡은(鵠),큰기러기와 고니다(鴻鵠也)。』」원가기록(珂案):황제가 고와 흠비를 육시했다(黃帝戮鼓與欽䲹),또 황제는 이부와 위의 무리들에게 쇠고랑을 채워다(亦猶黃帝梏貳負與危之類是也);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六「위와 이부는 알유를 죽였다(危與貳負殺窫窳)」節注3。


又西百八十里,曰泰器之山。

또 서쪽으로 일백 팔십 리를 가면, 태기산이라 한다.


觀水出焉1,西流注于流沙。

여기서 나오는 관수는, 서쪽으로 흘러 사막으로 들어간다.


是多文鰩魚2,狀如鯉魚3,魚身而鳥翼,蒼文而白首,赤喙,常行4西海,遊于東海5,以夜飛。

이곳에 문요어가 많은데, 모양이 리어 같고, 물고기 몸에 새의 날개가 달렸으며, 머리는 희고 푸른 무늬에, 주둥이는 붉다, 늘 서해에 가고, 동해에서 노닐며, 밤에는 날아다닌다.


其音如鸞雞6,其味酸甘,食之已狂,見則天下大穰7。

그 울음소리는 난계 같고, 그 맛은 시고 달다, 먹으면 광증이 낫고, 만나면 온 세상에 풍년이 든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관수(觀水),여씨춘추(呂氏春秋)본미편(本味篇)作관수(雚水),고유(高誘)注:「관수는 서쪽 끝에 있다(雚水在西極)。」문선(文選)오도부(吳都賦)及조식(曹植)칠계(七啟)이선(李善)注引此經均作호수(濩水)。

2 곽박(郭璞)云:「音요(遙)。」원가기록(珂案):여씨춘추(呂氏春秋)본미편(本味篇)云:「맛있는 물고기다(味之美者),관수어(雚水之魚),이름을 요라 한다(名曰鰩)。」오도부(吳都賦)及조식(曹植)칠계(七啟)注引此經止作요어(鰩魚),문는 없는 글자(無文字)。

3 원가기록(珂案):經文이어(鯉魚),왕념손(王念孫)校衍어는 덧붙이 글자(魚字)。

4 원가기록(珂案):經文당행(常行),여씨춘추(呂氏春秋)본미편(本味篇)及초학기(初學記)卷三十均作당종(常從) 즉 자주간다。

5 원가기록(珂案):經文동해에서 노닐며(遊于東海),문선(文選)오도부(吳都賦)及조식(曹植)칠계(七啟)注引유자 앞에 모두 으로가 있다(遊上均有而字)。

6 곽박(郭璞)云:「난계는(鸞雞),새 이름(鳥名),모름(未詳)也;혹은 란이라 쓰여 있다(或作欒)。」학의행(郝懿行)云:「鸞或作欒,옛자로 임시로 썻다(古字假借),난계는 난조로 의심된다(鸞雞疑即鸞也)。초학기(初學記)三十卷引此經계는 없는 글자(無雞字)。」

7 곽박(郭璞)云:「풍년으로 잘 여문 곡식을 거둔다(豐穰收熟也)。한자(韓子)曰:『풍년이 든 해의 가을(穰歲之秋)。』」


又西三百二十里,曰槐江之山。

또 서쪽으로 삼백 이십 리를 가면, 괴강산이라 한다.


丘時之水出焉,而北流注于泑水。

여기서 나오는 구시수는, 북쪽으로 흘러 육수로 들어간다.


其中多蠃母1,其上多青雄黃,多藏琅玕、黃金、玉2,其陽多丹粟,其陰多采黃金銀3。

물안에 우렁이가 많고, 산 위에 청웅황이 많고, 좋은 낭간과 황금과 옥이 많다, 산의 남쪽에 단속이 많고, 산의 남쪽에 질 좋은 황금과 은이 많다.


實惟帝之平圃4,神英招司之5,其狀馬身而人面,虎文而鳥翼,徇6于四海,其音如榴7。

여기가 바로 천제의 평포이고, 신 영소가 다스린다, 그 모양이 말의 몸에 사람 얼굴을 하고, 범 무늬에 새의 날개가 달렸으며, 온 세상을 주유한다, 그 울음소리는 유 같다.


南望昆侖,其光熊熊,其氣魂魂8。

남쪽으로 곤륜이 바라보이고, 산의 빛은 아름답고, 산의 기운은 자욱하다.


西望大澤,后稷所潛也9;

서쪽으로 대택을 바라보이고, 대택은 후직이 죽어서 신이 된 곳이다.


其中多玉,其陰多榣木之有若10。

그 안에 옥이 많고, 강의 남쪽에 요목이 많은데 약목이 있다.


北望諸毗11,槐鬼離侖居之12,鷹鸇13之所宅也。

북쪾으로 제비산를 바라보이고, 제비산은 괴귀 이윤이 사는 곳이며, 매와 송골매의 서식지이다. 


東望恆山四成14,有窮鬼居之,各在一搏15。

동쪽으로 네 겹으로 이루어진 항산을 바라보이고, 항산에 궁귀가 살고 있다, 각기 한 겹씩 차지하고 있다.


爰有淫水,其清洛洛16。

여기 있는 요수는, 그 물이 꿜꿜 쏟아진다.


有天神焉,其狀如牛,而八足二首馬尾,其音如勃皇17,見則其邑有兵。

여기 있는 하늘 신은, 그 모양이 소 같고, 여덟 개의 발과 두 개의 머리와 말의 꼬리가 달렸고, 그 울음소리는 발황 같다, 만나면 마을에 전쟁이 일어난다.


1 곽박(郭璞)云:「즉 소라다(即䗱螺也)。」원가기록(珂案):經文라(蠃),音라(螺);곽박(郭)注복라(螺),북차삼경(中次三經)청요산(青要之山)作달팽이(僕纍)。

2 곽박(郭璞)云:「낭간은(琅玕),옥돌과 비슷하다(石似珠者);장은 은이다(藏猶隱也)。낭간(郎干)二音。」학의행(郝懿行)云:「장은(藏),옛 글자 장이고(古字作臧),장은(臧),좋다는 뜻이다(善也):이 말은 낭강 황금 옥이 가장 좋다(此言琅玕黃金玉之最善者)。」

3 학의행(郝懿行)云:「채는금 은에 가로 무늬가 있는걸 일컫는다(采謂金銀之有符采者)。」

4 곽박(郭璞)云:「즉 현포다(即玄圃也)。」원가기록(珂案):현포는(玄圃),목천자전(穆天子傳)、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作현포(縣圃),현과 현은 같은 발음(玄、縣聲同),옛 글자로 같이 썼다(古字通用)。

5 곽박(郭璞)云:「사는(司),다스린다는 뜻이다(主也)。招音소(韶)。」

6 곽박(郭璞)云:「순은 두루 돌아다니면서 유람하는 것을 일컫는다(徇謂周行也)。」

7 곽박(郭璞)云:「音유(留),혹은 주라고 쓰여 있다(或作籀);此所모름(未詳)也。」

8 곽박(郭璞)云:「모든 빛의 기운과 불꽃의 성대함이 서로 밝게 비추는 모양(皆光氣炎盛相焜燿之貌)。」

9 곽박(郭璞)云:「후직은 신령스런 지혜를 가지고 태어났고(后稷生而靈知),더불어 죽은 뒤에는(及其終), 육체를 탈피하여 이 못의 신이 되었다(化形遯此澤而為之神),亦猶부열은 죽은 뒤 기미성을 타고 하늘에 올라 별이 되었다(傅說騎箕尾也)。또 정승의 죽음을 뜻한다」필원(畢沅)云:「즉 직택은(即稷澤),직이 묻힌 곳이다(稷所葬也)。」원가기록(珂案):직이 묻힌 곳(稷葬所)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六「후직의 무덤(后稷之葬)」節注1。

10곽박(郭璞)云:「요목은(榣木),큰 나무다(大木也);산 위에서 약목이 생겨났다(言其上復生若木)。큰 나무의 기이한 영이 약이 되었다(大木之奇靈者為若),見시자(尸子)。」

11곽박(郭璞)云:「산 이름(山名)。」원가기록(珂案):제비 역시 물 이름(諸毗亦水名),見남차이경(南次二經)부옥산(浮玉山)。

12곽박(郭璞)云:「이윤은 신의 이름이다(離侖其神名)。」

13곽박(郭璞)云:「송골매 역시 새매의 종류다(鸇亦鴟屬也)。」

14곽박(郭璞)云:「성이나 중이다(成亦重也)。」학의행(郝懿行)云:「문선(文選)注장적부(長笛賦)引此經作환산(桓山)네 겹(四成)。」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校同학의행(郝)注。

15곽박(郭璞)云:「박은 협이다(搏猶脅也);귀신 떼가 끼리끼리 모여있고(言群鬼各以類聚),산이 네 개의 층이고(處山四脅),그 가난한 귀신들이 모두 울부짖는 소리가 들린다(有窮其總號耳)。박은 단으로 쓰여 있다(搏亦作摶)。」

16곽박(郭璞)云:「물이 아래에서 머무르는 모양(水留下之貌也)。淫音요(遙)也。」학의행(郝懿行)云:「도잠(陶潛)독산해경시(讀山海經詩)云:『깨끗하고 맑은 요수가 흘러간다(落落清瑤流)。』이 낙락은 낙락으로 쓰여야 한다(是洛洛本作落落),요는 요라 쓰여야 한다(淫本作瑤),모두 임시로 빌려 발음하는 비슷한 글자(皆假借聲類之字)。」

17곽박(郭璞)云:「발황(勃皇)모름(未詳)。」


西南四百里,曰昆侖之丘,是實1惟帝之下都2,神陸吾司之3。

서남쪽 사백 리를 가면, 곤륜구라 하는데, 여기가 바로 천제의 하계 도읍이고, 신 육오가 다스린다.


其神狀虎身而九尾,人面而虎爪4;

그 신의 모양은 범의 몸에 아홉 개의 꼬리가 달렸고, 사람 얼굴에 범의 발톱이 달렸다.


是神也,司天之九部及帝之囿時5。

이 신은, 하늘의 아홉 구역과 천제의 정원 계절을 다스린다.


有獸焉,其狀如羊而四角,名曰土螻,是食人。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뿔이 네 개가 난 양 같고, 이름을 토루라 하며, 사람을 잡아먹는다.


有鳥焉,其狀如6,大如鴛鴦,名曰欽原7,蠚鳥獸則死,蠚木則枯8。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벌 같고, 크기는 원앙 같으며, 이름을 흠원이라 한다, 새나 짐승이 독에 쏘이면 즉사하고, 나무가 독에 쏘이면 시들어 죽는다.


有鳥焉,其名曰鶉鳥9,是司帝之百服10。

여기 있는 새는, 그 이름을 순조라 하는데, 이 새는 천제의 온갖 물건을 관리한다.


有木焉,其狀如棠,黃華赤實11,其味如李而無核,名曰沙棠,可以禦水,食之使人不溺12。

여기 있는 나무는, 그 모양이 팥배나무 같고, 누런 꽃에 붉은 열매가 열리며, 그 맛은 씨가 없는 오얏 같다, 이름을 사당이라 하고, 이것을 심으면 수재를 막을 수 있으며, 먹은 사람은 물에 뜬다.


有草焉,名曰薲草13,其狀如葵,其味如蔥,食之已勞14。

여기 있는 풀은, 이름을 빈초라 하는데, 그 모양이 해바라기 같고, 그 맛은 파 같으며, 먹으면 우울함이 낫는다.


河水出焉,而南流東注于無達15。

여기서 나오는 황하는, 남쪽으로 동쪽으로 흘러 무달산으로 들어간다.


赤水出焉,而東南流注于氾天之水16。

여기서 나오는 적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범천수로 들어간다.


洋水出焉17,而西南流注于醜塗之水18。

여기서 나오는 양수는, 서남쪽으로 흘러 추도수로 들어간다.


黑水出焉,而西流于大杅19。

여기서 나오는 흑수는, 서쪽으로 흘러 대우산에 들어간다


是多怪鳥獸20。

이곳에 괴조와 괴수가 많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이것은 참으로(是實),왕념손(王念孫)校衍이라는 글자는 부연 설명(是字),실은 식으로 썼다(實作寔)。

2 곽박(郭璞)云:「지상에 존재하는 천제의 도읍(天帝都邑之在下者)。」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천제는 즉 황제(天帝即黃帝),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六「해내곤륜허(海內昆侖之虛)」節注2。

3 곽박(郭璞)云:「즉 견오다(即肩吾也)。장주(莊周)曰:『견오는 득도하여(肩吾得之),대산에 머물렀다(以處大山)』也。」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설명(說)見장자(莊子)대종사편(大宗師篇);석문(釋文)引사마표(司馬彪)云:『산신은 죽지 않았다(山神不死),공자 때부터(至孔子時)。』」

4 원가기록(珂案):이 신은(此神)即해내서경(海內西經)之개명수(開明獸)也,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六「해내곤륜허(海內昆侖之虛)」節注2。

5 곽박(郭璞)云:「전체 영토의 마을 구석과 천제원포의 시간과 계절을 다스린다(主九域之部界、天帝苑圃之時節也)。」

6 원가기록(珂案):經文봉은(蠭),송본(宋本)作봉(蜂),즉 벌이다(即蜂字)。

7 곽박(郭璞)云:「흠은 혹 원이나 지로 쓰여 있다(欽或作爰,或作至也)。」

8 원가기록(珂案):蠚音약(弱),독을 쏘다(螫也)。

9 학의행(郝懿行)云:「순조는(鶉鳥),봉조다(鳳也);해내서경(海內西經)云,곤륜허 개명수 서북쪽에는 봉황이 어디에나 있고(昆侖開明西北皆有鳳皇),이 새가 맞다(此是也)。비아(埤雅)引사광금경(師曠禽經)曰:『적봉을 순이라 일컫는다(赤鳳謂之鶉)。』」

10곽박(郭璞)云:「복은(服),그릇과 의복(器服也);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一曰),服,업무(事也)。혹은 장이라 쓰여 있다(或作藏)。」학의행(郝懿行)云:「혹은 창고라 쓰여 있는데(或作藏者),온갖 창고(百藏),만물이 모여있는 곳(言百物之所聚)。」

11곽박(郭璞)云:「팥배(棠),배(梨也)。」원가기록(珂案):經文누런 꽃에 붉은 열매(黃華赤實),송본(宋本)、모의(毛扆)本作꽃이 누렇고 붉은 열매(華黃赤實)。

12곽박(郭璞)云:「몸이 가벼워져 물에 뜬다(言體浮輕也);사당은 나무이며(沙棠為木),가라앉지 않는다(不可得沉)。」

13곽박(郭璞)云:「音빈(頻)。」

14원가기록(珂案):기로는(已勞),우울함이 낫는 것을 일컫는다(謂已憂也)。여씨춘추(呂氏春秋)본미편(本味篇)云:「맛 좋은 나물(菜之美者),곤륜빈(昆侖之蘋)。」

15곽박(郭璞)云:「산 이름(山名)。」

16원가기록(珂案):대황남경(大荒南經)云:「범천산에 있는데(有氾天之山),적수가 여기에 다아있다(赤水窮焉)。」이 범천은 산 이름이다(是氾天亦山名)。

17곽박(郭璞)云:「혹은 청으로 쓰여 있다(或作清)。」

18곽박(郭璞)云:「추도 역시 산 이름이다(醜塗亦山名也);모두 남쪽 끝에 존재한다(皆在南極)。」원가기록(珂案):대황남경(大荒南經)云:「산 이름이 후도라는 산이 있다(有山名㱙塗之山),청수가 여기에 다아있다(青水窮焉)。」즉 이 산과 물을 말한다(即此山此水)。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우 임금이 운우산 나무를 베다(禹攻雲雨)」節注1。

19곽박(郭璞)云:「산 이름(山名也)。」

20곽박(郭璞)云:「아홉개의 머리가 달린 한 마리 짐승과 여섯 개의 머리가 달린 한 마리 새의 무리를 일컫는다(謂有一獸九首、有一鳥六首之屬也)。」원가기록(珂案):머리가 아홉 개인 구명수(九首開明獸),머리가 여섯 개인 수조(六首樹鳥),並見해내서경(海內西)經(해경신석(海經新釋)卷六)。


又西三百七十里,曰樂游之山。

서쪽으로 삼백 칠십 리를 가면, 악유산이라 한다.


桃水出焉,西流注于稷澤1,是多白玉。

여기서 나오는 도수는, 서쪽으로 흘러 직택으로 들어가고, 이곳에 백옥이 많다.


其中多䱻魚2,其狀如蛇而四足,是食魚。

그 안에 활어가 많고, 그 모양이 네 개의 발이 달린 뱀 같으며, 이것은 물고기를 잡아 먹는다.


1 원가기록(珂案):직택(稷澤)已見上文밀산(峚山)。

2 곽박(郭璞)云:「音활(滑)。」원가기록(珂案):經文활은 활이다(䱻、注文滑),왕념손(王念孫)、필원(畢沅)、학의행(郝懿行)並校作위와 위(𩹂、渭)。


西水行四百里,曰流沙,二百里至于蠃母之山1,神長乘司之2,是天之九德也3。

서쪽으로 물을 따라 사백 리를 가면, 사막이고, 이백 리를 더 가면 나모산에 이른다, 신 장승이 다스리며, 장승은 하늘의 구덕을 낳는다.


其神狀如人而犳4尾。

그 신의 모양은 작의 꼬리가 난 사람 같다.


其上多玉,其下多青石而無水。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물이 없으나 청석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이곳은 경문에서(此處經文),의심(疑)當作서쪽으로 물을 따라 사백 리(西水行四百里),사막으로 이배 리(流沙二百里),나모산에 이른다(至于蠃母之山),왈자는 덧붙인 글자(曰字衍)。

2 학의행(郝懿行)云:「수경(水經)注云:『우 임금이 서쪽 조수의 상류에 이르렀는데(禹西至洮水之上),장이라는 사람을 만나 흑옥을 받았다(見長人受黑玉)。』이 신으로 의심 된다(疑即此神)。」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引수경(水經)注조수 글자(洮水文),「흑옥(黑玉)」뒤에 서라는 글자가 있어야 한다(下當有「書」字)。

3 곽박(郭璞)云:「구덕의 기운이 태어난다(九德之氣所生)。」

4 곽박(郭璞)云:「지와 삭의 반절(之藥反)。」


又西三百五十里,曰玉山1,是西王母所居也。

또 서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옥산이라 하는데, 이 산에 서왕모가 산다.


西王母其狀如人,豹尾虎齒而善嘯,蓬髮戴勝2,是司天之厲及五殘3。

서왕모는 그 모양이 사람 같고, 표범 꼬리에 범 이빨이고 휘파람을 잘 불며, 헝크러진 머리에 옥비녀를 꽂았다, 서왕모는 하늘의 재려와 다섯가지 잔인한 형벌을 관리한다.


有獸焉,其狀如犬而豹文,其角如牛4,其名曰狡,其音如吠犬,見則其國大穰。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표범 무늬를 한 개 같고, 그 뿔은 소 같으며, 그 이름을 교라 한다, 그 울음소리는 개가 지는 것 같고, 만나면 그 나라에 풍년이 든다.


有鳥焉,其狀如翟而赤,名曰胜5遇,是食魚,其音如錄6,見則其國大水。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붉은 색에 
꽁지가 긴 꿩 같고, 이름을 성우라 한다, 이것을 물고기를 잡아먹으며, 그 울음소리는 녹 같다, 만나면 그 나라에 홍수가 난다.


1 곽박(郭璞)云:「이 산에 옥석이 많다(此山多玉石),그런 이유로 이름이 되었다(因以名云)。목천자전(穆天子傳)군옥산이라 일컫는다(謂之群玉之山)。」

2 곽박(郭璞)云:「봉두난발(蓬頭亂髮);승은(勝),옥비녀(玉勝也)。」

3 곽박(郭璞)云:「재해와 역병과 오형잔살의 기를 알고 관리한다(主知災厲五刑殘殺之氣也)。」원가기록(珂案):서왕모 관련(關于西王母),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七「西王母」節注1。

4 곽박(郭璞)云:「혹은 양으로 쓰여 있다(或作羊)。」

5 곽박(郭璞)云:「音성(姓)。」

6 곽박(郭璞)云:「音록(錄);의미(義)모름(未詳)。」오임신(吳任臣)云:「사슴 대신 빌려 쓴걸로 의심된다(疑為鹿之借字)。」학의행(郝懿行)云:「經文作록(錄),곽박(郭)復音록(錄),틀림없이 잘못되었다(必有誤)。」


又西四百八十里,曰軒轅之丘1,無草木。

또 서쪽으로 사백 팔십 리를 가면, 헌원구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다.


洵2水出焉,南流注于黑水,其中多丹粟,多青雄黃。

여기서 나오는 순수는, 남쪽으로 흘러 흑수로 들어간다, 그 안에 단소이 많고, 청웅황이 많다.


1 곽박(郭璞)云:「황제가 이 언덕에 산다(黃帝居此丘),서릉씨 딸에게 장가를 갔다(娶西陵氏女),그런 이유로 헌원구로 불려진다(因號軒轅丘)。」

2 곽박(郭璞)云:「音순(詢)。」


又西三百里,曰積石之山,其下有石門,河水冒以西流1。

또 서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적석산이라 하는데, 산 아래에 석문이 있고, 황수가 좁은 협곡 지나 서쪽으로 흘러간다.


是山也,萬物無不有焉。

이 산은, 세상의 모든 만물이 다 있다고 한다.


1 곽박(郭璞)云:「모는(冒),당연히 복이다(猶覆也)。」원가기록(珂案):經文서쪽으로 흘러(西流),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並서 다음에 남이 들어가야한다(于西下校增南字)。또 적석산 관련은(又關於積石山),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三「우임금이 적석산에 산다(禹所積石山)」節注1。


又西二百里,曰長留之山1,其神白帝少昊居之2。

또 서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장류산이라 하는데, 그 백제 소호가 산다.


其獸皆文尾3,其鳥皆文首4。

그 산에 짐승은 모두 꼬리에 무늬가 있고, 그 산에 새는 모두 머리에 무늬가 있다.


是多文玉石。

이 산에 무늬 있는 옥돌이 많다.


實惟員神磈5氏之宮。

여기가 바로 원신 외씨의 궁이다.


是神也,主司反景6。

이 신은, 저녁 노을을 관리한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장류(長留),태평어람(太平御覽)卷三八八引作장류(長流)。

2 곽박(郭璞)云:「소호 금천씨(少昊金天氏),제지의 이름(帝摯之號也)。」원가기록(珂案):소호 관련(關於少昊),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九「소호국(少昊之國)」節注2。

3 곽박(郭璞)云:「무늬거나 길거나(文或作長)。」

4 곽박(郭璞)云:「무늬거나 길거나(文或作長)。」

5 곽박(郭璞)云:「音외(隗)。」

6 곽박(郭璞)云:「해가 서쪽으로 들어가면 그림자 반대인 동쪽을 비춘다(日西入則景反東照),보면서 관리한다(主司察之)。」학의행(郝懿行)云:「이 신은(是神),원신(員神),모두 소호다(蓋即少昊也);붉은 빛은(紅光),욕수다(蓋即蓐收),유산에서 볼 수 있다(見下文泑山)。」


又西二百八十里,曰章莪之山,無草木,多瑤碧1。

또 서쪽으로 이백 팔십 리를 가면, 장아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요벽이 많다.


所為甚怪2。

매우 괴이한 것이 있는 곳이다.


有獸焉,其狀如赤豹3,五尾一角,其音如擊石,其名如猙4。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붉은 표범 같고, 꼬리가 다섯 개에 뿔이 한 개이며, 그 울음소리는 돌을 두드리는 소리 같고, 그 이름을 쟁이라 한다.


有鳥焉,其狀如鶴,一足,赤文青質而白喙,名曰畢方5,其鳴自叫也,見則其邑有訛火6。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학 같고, 다리가 한 개에, 흰 부리를 했으며 붉은 무늬에 푸른 몸을 했다, 이름을 필방이라 하고, 울음소리에 따라 그런 이름이 붙여졌으며, 만나면 그 마을에 까닭을 알 수 없이 일어난 불이 난다.


1 곽박(郭璞)云:「벽 또한 옥의 종류다(碧亦玉屬)。」원가기록(珂案):經文장아(章莪),태평어람(太平御覽)卷八0九引作장의(章義),요벽이 많다 앞에(多瑤碧上)이곳에라는 글자가 있다(有是字)。

2 곽박(郭璞)云:「여사롭지 않고 특별한 물건이 많아 있다(多有非常之物)。」

3 학의행(郝懿行)云:「적표(赤豹),광운(廣韻)引此經적은 없는 글자(無赤字)。」

4 원가기록(珂案):經文쟁 같다는(如猙),송본(宋本)、오관(吳寬)초본(抄本)並作쟁이라 한다(曰猙),왕념손(王念孫)、손성연(孫星衍)、학의행(郝懿行)校同,맞다(是也)。

5 원가기록(珂案):필방 관련(關於畢方),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一「필방조(畢方鳥)」節注1。

6 곽박(郭璞)云:「와 역시 요가 잘못된 글자(訛亦妖訛字)。」원가기록(珂案):와화는(訛火),즉 괴화다(即怪火也)。


又西三百里,曰陰山。

또 서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음산이라 한다.


濁浴1之水出焉,而南流注于蕃澤,其中多文貝。

여기서 나오는 탁욕수는, 남쪽으로 흘러 번택으로 들어가고, 그 안에 문패가 많다.


有獸焉,其狀如貍2而白首,名曰天狗3,其音如榴榴4,可以禦凶。

여기 짐승은, 그 모양이 흰 머리를 한 너구리 같고, 이름을 천구라 하며, 그 울음소리는 유유 같다, 이것을 기르면 흉한 일을 막을 수 있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탁욕(濁浴),태평어람(太平御覽)卷八0七、卷九一三並引作탁곡(濁谷)。

2 곽박(郭璞)云:「표라고도 쓰여 있다(或作豹)。」

3 원가기록(珂案):대황서경(大荒西經)亦有獸,이름을 천견이라 한다(名曰天犬),더불어 암컷과 수컷을 모양이 각기 다르다(與此性態各異),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一「황거시와 비익조와 천견(黃姖尸、比翼鳥、天犬)」節注6。

4 곽박(郭璞)云:「묘묘라고도 쓰여 있다(或作貓貓)。」


又西二百里,曰符愓之山1,其上多棕柟,下多金玉,神江疑居之。

또 서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부양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종려나무와 녹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금과 옥이 많다, 신 강의가 산다.


是山也,多怪雨,風雲之所出也2。

이 산은, 노랗거나 벌겋거나 한 비가 내리고, 바람과 구름이 나오는 곳이다.


1 곽박(郭璞)云:「音양(陽)。」학의행(郝懿行)云:「예문유취(藝文類聚)二卷、태평어람(太平御覽)九卷及十卷並引此經作부양산(符陽之山),지금 책과 다르다(與今本異)。」

2 학의행(郝懿行)云:「제법(祭法)云:『산과 숲과 개천과 골짜기와 작은 언덕과 큰 언덕에서 구름이 나와 비바람을 만드면 괴이한 물건들이 보이는데 모두 신이라 한다(山林川谷丘陵能出雲、為風雨、見怪物者皆曰神)。』即斯類也。」


又西二百二十里,曰三危之山,三青鳥居之1。

또 서쪽으로 이백 이십 리를 가면, 삼위산이라 하는데, 세 마리 푸른 새가 산다.


是山也,廣員百里。

이 산은, 둘레가 백 리에 이른다.


其上有獸焉,其狀如牛,白身2四角,其豪如披蓑3,其名曰傲𢓨4,是食人。

산 위에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소 같고, 흰 몸에 뿔이 네 개이며, 그 털은 도롱이를 씌워 놓은 것 같다, 그 이름을 오열이라 하는데, 이것은 사람을 잡아먹는다.


有鳥焉,一首而三身,其狀如𪇱5,其名曰鴟。

여기 있는 새은, 세 개의 몸에 한 개의 머리가 달렸고, 그 모양이 락 같으며, 그 이름을 치라 한다.


1 곽박(郭璞)云:「세 마리 푸른 새는 주인인 서왕모을 위해 음식을 가져다 준다(三青鳥主為西王母取食者),스스로 나와 이 산에 깃들어져 쉰다(別自棲息於此山也)。」원가기록(珂案):세 마리 푸른 새(三青鳥)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七「서왕모(西王母)」節注3。

2 학의행(郝懿行)云:「광운(廣韻)引此經作흰 머리(白首)。」

3 곽박(郭璞)云:「도롱이(蓑),비를 피하기 위해 만든 풀옷(辟雨草衣也);音최(催)。」

4 곽박(郭璞)云:「오열(傲噎)二音。」원가기록(珂案):經文오열(傲𢓨),왕념손(王念孫)校作오열(傲𤝱)。

5 곽박(郭璞)云:「락은 수리와 비슷하다(𪇱似鵰),무늬가 검고 목이 붉다(黑文赤頸);音洛。」


又西一百九十里,曰騩山,其上多玉而無石。

또 서쪽으로 일백 구십 리를 가면, 귀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돌은 없으나 옥이 많다. 


神耆童居之1,其音常如鍾磬2。

신 기동이 살며, 기동은 항상 종경을 울렸다.


其下多積蛇。

산 아래 뱀이 많이 모여 있다.


1 곽박(郭璞)云:「기동은(耆童),노동이고(老童),전욱의 아들이다(顓頊之子)。」

2 학의행(郝懿行)云:「이 종경 역시 하늘에서 내려 준 것이 분명하다(此亦天授然也),그 손자 장금이(其孫長琴),풍악을 만들 수 있던 이유이다(所以能作樂風),本此。亦見대황서경(大荒西經)。」원가기록(珂案):노동 관련(關於老童),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一「태자장금(太子長琴)」節注2。


又西三百五十里,曰天山,多金玉,有青雄黃。

또 서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천산이라 하는데, 금과 옥이 많고, 청웅황이 있다.


英水出焉,而西南流注于湯谷1。

여기서 나오는 영수는, 서남쪽으로 흘러 탕곡으로 들어간다.


有神焉2,其狀如黃囊,赤如丹火3,六足四翼,渾敦4無面目,是識歌舞,實為帝江也5。

여기 있는 신은, 그 모양이 누른빛의 두루주머니 같고, 불꽃 같이 붉으며, 발이 여섯 개에 날개가 네 개다, 혼돈과 마찬가지로 얼굴이 없어 보지 못 하는데, 이것은 노래와 춤을 이해한다, 이것이 바로 제강이다.


1 원가기록(珂案):이곳과(此與)해외동경(海外東經)及대황동경(大荒東經) 기록된 탕곡은(所記之湯谷)蓋다른 장소 같은 이름(異地同名)。

2 학의행(郝懿行)云:「초학기(初學記)、문선(文選)注引此經並作신조(神鳥),현재 책에 이는 언자는(今本作焉),잘못된 글자다(字蓋訛)。」원가기록(珂案):왕불(汪紱)本、필원(畢沅)校本作신조(神鳥),惟오관(吳寬)초본(抄本)、오임신(吳任臣)本、백자전서(百子全書)本仍作焉。

3 곽박(郭璞)云:「붉은 빛 윤이 나고 몸의 빛깔은 누렇다(體色黃而精光赤也)。」

4 학의행(郝懿行)云:「초학기(初學記)八卷引此經돈은 없는 글자(無敦字)。」

5 필원(畢沅)云:「제강은 기러기 같고(江讀如鴻),춘추전(春秋傳)云:제홍씨에게 재는이 없는 자식이 있는데(帝鴻氏有不才子),세상은 혼돈이라 일컫다(天下謂之渾沌)。이 제강은(此云帝江),제강씨 자식이라 전해진다(猶言帝江氏子也)。」원가기록(珂案):經文이것이 바로 제강(實為帝江),송본(宋本)、모의(毛扆)本作이것이 바로 제강(實惟帝江),올바른 뜻(於義為長)。필원(畢)설명(說)강은 홍이라 발음한다(江讀如鴻),맞다(是也);제강은 제강씨의 자식이라 전해진다(謂帝江猶言帝江氏子),즉 왜곡된 말이다(則曲說也)。옛신화에는 제홍이 반드시 나타났다(古神話必以帝鴻)即此「혼돈 같이 얼굴이 없다(渾敦無面目)」의 괴이한 짐승이다(之怪獸也)。제홍과 같은가(帝鴻者何)?춘추좌씨전(左傳)문공 십팔 년(文公十八年)두예(杜預)注:「제홍은(帝鴻),황제다(黃帝)。」장자(莊子)응제왕(應帝王):「중앙의 임금이 혼돈이 되었다(中央之帝為渾沌)。」정과 황제는(正與黃帝)在「오방제(五方帝)」 중 중앙천제부가 되었고(中為中央天帝符),이 경문의 제강으로 알 수 있다(以知此經帝江) 즉 제홍 역시 황제다(即帝鴻亦即黃帝也)。이것에 관해서는(至于)대황동경(大荒東經)又謂「제준이 제홍을 낳았다(帝俊生帝鴻)」者,신화전설과 일치하지 않고(神話傳說之紛歧),번번이 이와 같고(每每如是),충분히 달라 관계 없다(無足異也)。


又西二百九十里,曰泑山1,神蓐收居之2。

또 서쪽으로 이백 구십 리를 가면, 유산이라 하는데, 신 욕수가 산다.


其上多嬰短之玉3,其陽多瑾瑜之玉,其陰多青雄黃。

산 위에 영원옥이 많고, 산의 남쪽에 근유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청웅황이 많다.


是山也,西望日之所入,其氣員4,神紅光之所司也5。

이 산은, 서쪽으로 해가 지는 것을 바라보는데, 그 노을은, 신 홍광이 관리한다.


1 곽박(郭璞)云:「유(泑),音유흑의 유(黝黑之黝)。」학의행(郝懿行)云:「이선(李善)注사현부(思玄賦)引此經作몽산(濛山),蓋即회남자(淮南子)云,몽곡으로 알려는게 맞다(日至於蒙谷是也)。」

2 곽박(郭璞)云:「역시 금의 신이다(亦金神也),사람 얼굴과 범 발톱과 흰 꼬리에(人面、虎爪、白尾(털(毛))),도끼를 손에 쥐고(執鉞),見외전(外傳)云。」원가기록(珂案):욕수 관련(關於蓐收),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二「서방 욕수(西方蓐收)」節注1。

3 곽박(郭璞)云:「모름(未詳)。」원가기록(珂案):即영원옥은(嬰垣之玉),已見上文유차산(羭次之山),곽박(郭)注云:「원 혹은 단이라 쓰여 있다(垣或作短)。」謂此也。강소원(江紹原)중국 고대여행의 연구(中國古代旅行之研究)第一章注10謂원과 단은 두의 잘못된 쓰기다(垣、短均當係脰字之誤),영두옥(嬰脰之玉),즉 경식옥으로 쓰여야 한다(即作為頸飾之玉),그것에 대한 설명은(其說近是),충분히 갖추어 살펴봐야 한다(足供參考)。

4 곽박(郭璞)云:「태양의 모양이 둥글다(日形員),그 해의 현상이 불타는 모양(故其氣象亦然也)。」

5 곽박(郭璞)云:「듣지 못함(未聞)其狀。」학의행(郝懿行)云:「홍광(紅光)蓋即욕수(蓐收)也。」


西水行百里,至于翼望之山1,無草木,多金玉。

서쪽으로 물을 따라 백 리를 가면, 익망산에 이르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有獸焉,其狀如貍,一目而三尾,名曰讙2,其音如𡙸百聲3,是可以禦凶,服之已癉4。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너구리 같고, 꼬리가 세 개에 눈이 한 개이며, 이름을 환이라 한다, 그 울음소리는 온갖 종류의 소리를 만들어 내고, 이것을 기르면 흉한 일을 막을 수 있으며, 먹으면 황달이 낫는다.


有鳥焉,其狀如烏,三首六尾而善笑,名曰鵸䳜5,服之使人不厭6,又可以禦凶。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까마귀 같고, 잘 웃으며 머리는 세 개에 꼬리는 여섯 개이다, 이름을 기여라 하고, 먹은 사람은 가위눌리는 악몽을 안 꾸며, 또한 이것을 기르면 흉한 일을 막을 수 있다.


1 곽박(郭璞)云:「혹 토치산이라 쓰여 있다(或作土翠山)。」원가기록(珂案):중차십일경(中次十一經)首曰익망산(翼望之山),이 산과 이름이 같다(與此同名);혹은 산의 기슭이다(或一山之連麓)。

2 곽박(郭璞)云:「讙音환(歡);혹은 원이라 쓰여 있다(或作原)。」

3 곽박(郭璞)云:「그것은 여러 가지 소리를 낼 수 있다(言其能作百種物聲也)。혹은(或曰),탈백은(𡙸百),물건이름(物名),亦所모름(未詳)。」학의행(郝懿行)云:「탈(奪),설문해자(說文)作탈(𡙜),모두 비슷해 탈을 잘못 쓰였다(蓋形近誤作𡙸也)。」원가기록(珂案):오관(吳寬)초본(抄本)字正作탈(奪)。

4 곽박(郭璞)云:「황단병(黃癉病也);音단(旦)。」

5 곽박(郭璞)云:「기여(猗餘)兩音。」원가기록(珂案):북산경(北山經)대산에 있는 새(帶山有鳥),이름을 기여라 하고(名曰鵸䳜),자기 스스로 암컷과 수컷를 정한다(自為牝牡),이 새와 이름이 같다(與此同名)。

6 곽박(郭璞)云:「가위눌리는 악몽을 안 꾼다(不厭夢也)。」


凡西次三經之首,崇吾之山1至于翼望之山,凡二十三山,六千七百四十四里。

무릇 서차삼경의 시작인, 숭오산부터 익망산까지, 모두 스물세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육천 칠백 사십 사 리에 이른다.


其神狀皆羊身人面。

산의 신들 모습은 모두 양의 몸에 사람 얼굴이다.


其祠之禮,用一吉玉瘞2,糈用稷米。

산의 제사 예절은, 한 개 길옥을 땅에 묻어 제사를 지내고, 기장쌀을 젯메쌀로 쓴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숭오산(崇吾之山)앞에 까지가 빠져있다(上當脫自字)。

2 곽박(郭璞)云:「옥에 아름다운 빛이 칠해짐(玉加采色者也)。시자(尸子)曰:『길옥을 대구라 한다(吉玉大龜)。』」

서차사경(西次四經) 번역

산해경/서산경 2018. 2. 28. 00:00

西次四經之首曰陰山1,上多穀2,無石,其草多茆、蕃3。

서차사경의 첫머리를 음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닥나무가 많고, 돌은 없다, 그 산에 풀은 순채와 단고추가 많다.


陰水出焉,西流注于洛。

여기서 나오는 음수는, 서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서차삼경에 음산이 나온다(上文已有陰山),같은 이름(與此同名)。

2 원가기록(珂案):經文곡은(穀),왕불(汪紱)本、모의(毛扆)校本、오임신(吳任臣)本並곡으로 쓰여 있다(作榖),맞다(是也)。

3 곽박(郭璞)云:「묘는(茆),부규다(鳧葵也) 순나물이라고도 함;번은(蕃),풋고추(青蕃),크기가 사초 비슷하다(似莎而大);묘번(卯煩)兩音。」원가기록(珂案):묘는(茆),송본(宋本)、오임신(吳任臣)本、왕불(汪紱)本、필원(畢沅)校本均묘라 쓰여 있다(作茆),묘와 묘는같은 글자(𦯄、茆字同),책에 묘라 써야한다(本當作𦯄),설문해자(說文)一云:「묘는(𦯄),부규다(鳧葵也)。」與곽박(郭)注合。


北五十里,曰勞山,多茈草1。

북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노산이라 하는데, 자초가 많다.


弱水出焉,而西流注于洛。

여기서 나오는 익수는, 서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간다.


1 오임신(吳任臣)云:「자초다(即紫草)。」


西五十里,曰罷父之山1。

서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파보산이라 한다.


洱水出焉,而西南流注于洛,其中多茈、碧2。

여기서 나오는 이수는, 서남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자석과 벽옥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파보(罷父),왕념손(王念孫)、오임신(吳任臣)、필원(畢沅)、학의행(郝懿行)並校作파곡(罷谷)。

2 학의행(郝懿行)云:「자와 벽은 다른 것(茈、碧二物也);자는 자석이다(茈即茈石)。」


北百七十里,曰申山,其上多穀1柞,其下多杻橿,其陽多金玉。

북쪽으로 일백 칠십 리를 가면, 신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닥나무와 상수리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유목과 강목이 많으며, 산의 남쪽에 금과 옥이 많다.


區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구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곡은(穀),왕불(汪紱)本、모의(毛扆)校本、오임신(吳任臣)本並곡으로 쓰여 있다(作榖),맞다(是也)。


北二百里,曰鳥山,其上多桑,其下多楮,其陰多鐵,其陽多玉。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조산이라 한느데, 산 위에 뽕나무가 많고, 산 아래 닥나무가 많다, 산의 북쪽에 쇠가 많고, 산의 남쪽에 옥이 많다.


辱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욕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又北二十里,曰上申之山,上無草木,而多硌石1,下多榛楛2,獸多白鹿。

또 북쪽으로 이십 리를 가면, 상신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고, 옥돌이 많으며, 산 아래에 개암나무와 싸리나무가 많고, 짐승은 흰 사슴이 많다.


其鳥多當扈3,其狀如雉,以其髯飛4,食之不眴目5。

그 산에 새는 당호가 많은데, 그 모양이 꿩 같고, 목구멍 아래에 난 깃털로 날아다니며, 먹으면 눈을 자주 깜빡거리는 것을 안 한다.


湯水出焉,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탕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옥돌 락은(硌),뢰석(磊硌),큰 돌의 모양(大石貌也);音락(洛)。」

2 곽박(郭璞)云:「개암은 작은 밤과 비슷하다(榛子似栗而小),맛이 좋다(味美);호목은 화살을 만들 수 있다(楛木可以為箭)。시경(詩)云:『개암나무와 싸리나무가 많기도 하다(榛楛濟濟)。』진호(臻怙)兩音。」

3 곽박(郭璞)云:「호라고도 쓰여 있다(或作戶)。」

4 곽박(郭璞)云:「구레나룻은(髯),목구멍 아래 난 깃털이다(咽下須毛也)。」

5 원가기록(珂案):순목은(眴目),순목이다(即瞬目);音순(舜)。


又北八十里,曰諸次之山,諸次之水出焉,而東流注于河。

또 북쪽으로 팔십 리를 가면, 제차산이라 하는데, 여기서 나오는 제차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是山也,多木無草,鳥獸莫居,是多眾蛇。

이 산은, 나무가 많고 풀은 없으며, 새와 짐승이 살지 않는다, 이 산에 여러 뱀이 많다.


又北百八十里,曰號山,其木多漆、棕,其草多葯、虈、芎藭1。

또 북쪽으로 일백 팔십 리를 가면, 호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옻나무와 종려나무가 많고, 산에 풀은 백지와 향초인 효, 궁궁이 많다.


多汵石2。

감석이 많다.


端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단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약은(葯),백지의 별명이다(白芷別名) 백지는 구릿대의 뿌리다;효는(虈),향초다(香草也);궁궁은 강리라고도 한다(芎藭一名江蘺) 강리는 미무의 다른 이름이다。葯音오와 각의 반절(烏較反)。」원가기록(珂案):芎藭音궁궁(穹窮),즉 천궁이다(即川芎也) 천궁은 궁궁이의 뿌리다。

2 곽박(郭璞)云:「감은 금이라고도 발음한다(汵或音金);모름(未詳)。」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감은 감이라 쓴다(汵字作淦),천양지차(云泥也),예석은 진흙 같이 부르러고 연하다(藝石質柔軟如泥者),현재는 물 속 흙에 있는 것이 감석이다(今水中土中俱有此石也)。」


又北二百二十里,曰盂山,其陰多鐵,其陽多銅,其獸多白狼白虎,其鳥多白雉白翟1。

또 북쪽으로 이백 이십 리를 가면, 우산이라 하는데, 산의 북쪽에 쇠가 많고, 산의 남쪽에 구리가 많다, 산에 짐승은 흰 이리와 흰 범이 많고, 산에 새는 흰 꿩과 흰 색에 꽁지가 긴 꿩이 많다.


生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생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혹은 흰 물총새로 쓰여 있다(或作白翠)。」학의행(郝懿行)云:「치와 적은 같은 새이나 다른 종류다(雉、翟一物二種),經백치는 당연히 백취이다(白翟當為白翠)。」


西二百五十里,曰白於之山,上多松柏,下多櫟檀1,其獸多㸲牛、羬羊,其鳥多鴞2。

 서쪽으로 이백 오십 리를 가면, 백어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있고, 산 아래에 떡갈나무와 박달나무가 있다, 산에 짐승은 작우와 함양이 많고, 산에 새는 솔개가 많다.


洛水出于其陽,而東流注于渭;

산의 남쪽에서 나오는 낙수는, 동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간다.


夾水出于其陰,東流注于生水。

산의 북쪽에서 나오는 협수는, 동쪽으로 흘러 생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역목은 떡갈나무다(櫟即柞)。」

2 곽박(郭璞)云:「효는 푸른 빛깔의 비둘기와 비슷하다(鴞似鳩而青色)。」


西北三百里,曰申首1之山,無草木,冬夏有雪。

서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신수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사시사철 눈이 있다.


申水出于其上,潛于其下,是多白玉。

산 꼭대기에서 신수가 나오나, 산 바닥에서 사라진다, 이 산에 백옥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신수(申首),왕념손(王念孫)、오임신(吳任臣)、학의행(郝懿行)並校作유수(由首);신은 유자의 잘못된 글자다(申蓋由字之訛也)。


又西五十五里,曰涇谷之山1,涇水出焉,東南流注于渭,是多白金白玉。

또 서쪽으로 오십 오 리를 가면, 경곡산이라 하는데, 여거서 나오는 경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간다, 이 산에 백금과 백옥이 많다.


1 곽박(郭璞)云:「혹은 지산이라는 두 글자가 없다(或無之山二字)。」


又西百二十里,曰剛山,多柒木1,多㻬琈之玉。

또 서쪽으로 일백 이십 리를 가면, 강산이라 하는데, 옻나무가 많고, 서부옥이 많다.


剛水出焉,北流注于渭。

여기서 나오는 강수는, 북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간다.


是多神𩳁2,其狀人面獸身,一足一手,其音如欽3。

이 산에 신치가 많은데, 그 모양이 사람 얼굴에 짐승의 몸이며, 발이 한 개이고 손도 한 개이다, 그 울음소리는 신음 소리 같다.


1 왕불(汪紱)云:「칠은 즉 칠이다(柒即漆字)。」

2 곽박(郭璞)云:「치 역시 도깨비 종류다(𩳁亦魑魅之類也);音치와 회의 반절(恥回反)。

3 곽박(郭璞)云:「음도 음자를 빌려 발음한다(欽亦吟字假音)。」


又西二百里,至剛山之尾,洛水出焉,而北流注于河。

또 서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강산의 끄트머리에 이르는데, 여기서 나오는 낙수는 북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多蠻蠻1,其狀鼠身而鱉首,其音如吠犬。

그 안에 만만이 많은데, 그 모양이 자라 머리에 쥐의 몸을 하고 있다, 그 울음소리는 개가 짖는 것 같다.


1 학의행(郝懿行)云:「만만수는(蠻蠻之獸),비익조의 다름 이름과 같다(與比翼鳥同名),수달로 의심 된다(疑即獱也)。빈과 만은 성조가 비슷하다(獱、蠻聲相近)。설문해자(說文)云:『편이나 빈으로 쓰여 있다(猵或作獱),수달 종류(獺屬)。』문선(文選)우렵부(羽獵賦)注引곽씨(郭氏)삼창해고(三蒼解詁)曰:『수달은 여우와 비슷하다(獱似狐),푸른 색이고(青色),물안에 산다(居水中),물고기를 먹는다(食魚)。』」


又西三百五十里,曰英鞮之山,上多漆木,下多金玉,鳥獸盡白。

또 서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영제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옻나무가 많고, 산 아래 금과 옥이 많으며, 새와 짐승이 모두 하얗다.


涴水出焉,而北流注于陵羊之澤。

여기서 나오는 완수는, 북쪽으로 흘러 능양택으로 들어간다.


是多冉遺之魚1,魚身蛇首六足,其目如馬耳,食之使人不眯2,可以禦凶。

이곳에 염유어가 많은데, 몸은 물고기에 뱀의 머리이며 발이 여섯 개이다, 염유어의 눈은 말의 귀 같고, 먹은 사람은 가위눌리지 않으며, 이것을 기르면 흉한 일을 막을 수 있다.


1 학의행(郝懿行)云:「태평어람(太平御覽)九三九卷引此經作무유어(無遺之魚),포이어로 의심된다(疑即蒲夷之魚也),見북차삼경(北次三經)갈석산(碣石之山)승수(下);포와 무는 성조가 비슷하고(蒲、無聲相近),이와 유는 소리가 같다(夷、遺聲同)。」

2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미는(眯),눈 안에 티가 들어감(艸入目中也)。』」설명(案):이 고미의 첫번째 뜻은(此固眯之一義),고미의 설명은 경문에 나온 미이며(然以此釋此經之眯),즉 적합하지 않다(則未當也)。「눈 안에 티가 들어갔다(艸入目中)」,우연히 일어난 사소한 일이고(偶然小事),약을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勿用服藥);즉 약을 복용하는 일은(即令服藥),또 어찌 할 수 있는가(亦何能)「使人不眯」?장자(莊子)천운편(天運篇)云:「꿈을 꾸지 않는다면(彼不得夢),반드시 자주 가위에 눌리게 될 것이다(必且數眯焉)。」석문(釋文)引사마표(司馬彪)云:「미는(眯),가위눌리다는 뜻이다(厭也)。」엽은(厭),일반 적으로 가위눌릴 엽으로 쓰이고(俗作魘),즉 가위눌리는 악몽의 의미다(即厭夢之義):이 글에 나오는 미의 올바를 풀이이다(此經文眯之正解也),더불어 다음 나오는(與下文)「이것을 기르면 흉한 일을 막을 수 있다(可以禦凶)」의 의미 또한 맞다(之義亦合)。서차삼경(西次三經)익망산(翼望之山)기여(鵸䳜),「먹으면 가위눌리는 악몽을 안 꾼다(服之使人不厭)」,곽박(郭)注云:「가위눌리는 악몽을 안 꾼다(不厭夢也)。」산경에 나오는 모든 말(山經凡言)「불미(不眯)」은,모두 이 풀이로 쓰여야 한다(均當作此解)。


又西三百里,曰中曲之山,其陽多玉,其陰多雄黃、白玉及金。

또 서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중곡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웅황과 백옥과 금이 많다.


有獸焉,其狀如馬而白身黑尾,一角,虎牙爪,音如鼓音1,其名曰駮,是食虎豹2,可以禦兵3。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몸은 희고 꼬리는 검은 말 같고, 뿔이 한 개이며, 범의 이빨과 발톱이다, 울음소리는 북소리 같고, 그 이름을 박이라 하며, 이것은 범과 표범을 먹는다, 이것을 기르면 날이 선 병기를 피할 수 있다.


有木焉,其狀如棠,而員葉赤實,實大如木瓜,名曰櫰木4,食之多力。

여기 있는 나무는, 그 모양이 팥배나무 같은데, 잎은 둥글고 붉은 열매가 열리며, 열매의 크기는 모과 같다, 이름을 회화나무라 한다, 먹으면 힘이 세진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울음 소리는 북소리 같고(音如鼓音),왕념손(王念孫)、필원(畢沅)、학의행(郝懿行)並校마지막 음자는 없는 글자(無下音字)。

2 곽박(郭璞)云:「이아(爾雅)說박(駮),악랄하고 뿔과 범 발톱이 있다(不道有角及虎爪)。박 또한 외수화를 보면(駮亦在畏獸畫中)。」원가기록(珂案):이아(爾雅) 석수(釋獸)云:「박은 말 같고(駮如馬),어금니가 크고(倨牙),범과 표범을 먹는다(食虎豹)。」박 관련(關於駮),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三「북해제수(北海諸獸)」節注2。

3 곽박(郭璞)云:「기르면 날이 선 병기를 피한다(養之辟兵刃也)。」

4 곽박(郭璞)云:「音회(懷)。」


又西二百六十里,曰邽1山。

또 서쪽으로 이백 육십 리를 가면, 규산이라 한다.


其上有獸焉,其狀如牛,蝟毛,名曰窮奇,音如狗,是食人2。

산 위에 짐승이 있는데, 그 모양이 소 같고, 고슴도치 털이며, 이름을 궁기라 한다, 울음소리는 개가 짖는 것 같고, 이것은 사람을 먹는다.


濛水出焉,南流注于洋水,其中多黃貝3,蠃魚,魚身而鳥翼,音如鴛鴦,見則其邑大水。

여기서 나오는 몽수는, 남쪽으로 흘러 양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황패와, 나어가 많은데, 새의 날개가 달린 물고기 몸이다, 울음소리는 원앙 같고, 그 마을에 홍수가 난다.


1 곽박(郭璞)云:「音규(圭)。」

2 곽박(郭璞)云:「혹은 범과 비슷하다고 한다(或云似虎),고슴도치 털에 날개가 있다(蝟毛有翼)。」원가기록(珂案):궁기 관련(關於窮奇),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七「궁기(窮奇)」節注1。

3 곽박(郭璞)云:「조개(貝),갑각류(甲蟲),몸이 올챙이 같다(肉如科斗),하지만 머리와 꼬리에 귀가 있다(但有頭尾耳)。」


又西二百二十里,曰鳥鼠同穴之山1,其上多白虎、白玉。

또 서쪽으로 이백 이십 리를 가면, 조서동혈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흰 범과 백옥이 많다.


渭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위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多鰠魚2,其狀如鱣魚3,動則其邑有大兵4。

그 안에 소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철갑상어 같고, 이 물고기가 움직이면 그 마을에 큰 전쟁이 난다.


濫5水出于其西,西流注于漢水。

산의 서쪽에서 나오는 함수는, 서쪽으로 흘러 한수로 들어간다.


多𩶯魮之魚6,其狀如覆銚7,鳥首而魚翼魚尾,音如磬石之聲,是生珠玉。

함수에 여빈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냄비가 엎어진 것 같고, 물고기 지느러미에 물꼬리 꼬리이며, 새의 머리를 하고 있다, 울음소리는 경석을 두드리는 소리 같고, 이 물고기는 주옥을 낳는다.


1 곽박(郭璞)云:「현재 농서 수양현 서남쪽 산(今在隴西首陽縣西南山),조서동혈이 있고(有鳥鼠同穴),새 이름을 도라하고(鳥名曰䳜),쥐 이름을 돌이라한다(鼠名曰鼵)。돌은 사람 비에 사는 꼬리가 짧은 쥐 같고(鼵如人家鼠而短尾),도는 황색 제비와 비슷하다( 䳜似燕而黃色)。땅을 깊게 파고 들어가(穿地入數尺),쥐는 안쪽에(鼠在內),새는 바깥쪽에 함께 산다(鳥在外而共處)。손씨(孔氏) 상서전(尚書傳)曰,암컷과 수컷이 하나다(共為雌雄);장씨(張氏)지리기(地理記)云,암컷과 수컷이 아니다(不為牝牡也)。」

2 곽박(郭璞)云:「音소(騷)。」

3 곽박(郭璞)云:「전어는(鱣魚),큰 물고기다(大魚也),입이 턱 아래에 있다(口在頷下),몸이 단단한 비늘로 싸여 있다(體有連甲也)。」

4 곽박(郭璞)云:「혹은 뒷글자 무종동 글자가 빠져있다(或脫無從動則以下語者)。」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유자는 잘못된 글자로 의심된다(疑有訛誤)。

5 곽박(郭璞)云:「音함(檻)。」

6 곽박(郭璞)云:「여빈(如玭)兩音。」

7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조는(銚),냄비다(溫器也)。』」


西南三百六十里,曰崦嵫之山1,其上多丹木,其葉如穀2,其實大如瓜,赤符3而黑理,食之已癉,可以禦火。

서남쪽으로 삼백 육십 리를 가면, 엄자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단목이 많다, 그 잎은 닥나무 같고, 그 열매의 크기는 오이 같으며, 나무결이 검고 꽃받침이 붉다, 먹으면 황달이 낫고, 이것을 기르면 화재를 막을 수 있다.


其陽多龜,其陰多玉。

산의 남쪽에 거북이 많고, 산의 북쪽에 옥이 많다.


苕4水出焉,而西流注于海5,其中多砥礪6。

여기서 나오는 초수는, 서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고, 그 안에 고운 숫돌과 거친 숫돌이 있다.


有獸焉,其狀馬身而鳥翼,人面蛇尾,是好舉人7,名曰孰湖。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말의 몸에 새의 날개가 달렸고, 사람 얼굴에 뱀 꼬리가 있으며, 이것은 사람을 안아 들기를 좋아한다, 이름을 숙호라 한다.


有鳥焉,其狀如鴞而人面,蜼身犬尾8,其名自號也,見則其邑大旱。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사람 얼굴을 한 솔개이고, 거미원숭이 몸에 개의 꼬리가 있으며,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만나면 그 마을에 큰 가뭄이 든다.


1 곽박(郭璞)云:「해가 지며 산으로 들어간다(日沒所入山也),見이소(離騷)。엄자(奄茲)兩音。」원가기록(珂案):이소(離騷)云:「해가 숨는 산인 엄자에게 일러 가까이 못오게 하라(望崦嵫而勿迫)。」왕일(王逸)注:「엄자(崦嵫),해가 들어가는 산이다(日所入山也);산 아래 몽수가 있고(下有蒙水),몽수 안에 우연이 있다(水中有虞淵)。」

2 원가기록(珂案):經文곡(穀),송본(宋本)、왕불(汪紱)本、오임신(吳任臣)本作곡(榖),맞다(是也)。

3 필원(畢沅)云:「부 대신 쓴 글자(借為柎也)。」

4 곽박(郭璞)云:「혹은 약이라 쓰여 있다(或作若)。」

5 곽박(郭璞)云:「우대전(禹大傳)曰:『유반수는(洧盤之水),엄자산에서 나온다(出崦嵫山)。』」원가기록(珂案):초사(楚辭) 이소(離騷)云:「아침에 유반수에서 머리를 감는다(朝濯髮乎洧盤)。」왕일(王逸)注引우대전(禹大傳)與곽박(郭)注同,是곽박(郭)유반수가 즉 초수다(以洧盤即苕水矣)。

6 곽박(郭璞)云:「마석이다(磨石也);지는 곱고(精為砥),려는 거칠다(麄為礪也)。」

7 곽박(郭璞)云:「사람을 안아 들고 기뻐한다(喜抱舉人)。」

8 곽박(郭璞)云:「유는(蜼),원숭이 종류다(獼猴屬也),音증유의 유(贈遺之遺),一音뢰(誄),見중산경(中山經)。꼬리 또는 눈초리로 쓰여 있다(尾又作眥)。」원가기록(珂案):유(蜼)見중차구경(中次九經) 격산(鬲山)。


凡西次四經自陰山以下,至于崦嵫之山,凡十九山,三千六百八十里。

무릇 서차사경은 음산부터, 엄자산까지, 모두 열아홉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삼천 육백 팔십 리에 이른다.


其神祠禮,皆用一白雞祈。

산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법, 모두 흰 닭 한 마리를 사용해 산제사를 지낸다.


糈以稻米,白菅為席。

찹쌀을 젯메쌀을 쓰고, 흰 솔새로 돗자리를 만든다.


右西經之山(학의행(郝懿行)云:「산 다음에 지자가 빠져야 한다(山下脫志字)。」원가기록(珂案):산 다음에 지자는 없는 글자(山下本無志字),지자는 후대에 함부로 더해졌다(志字乃後人所妄加),說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一篇首注1),凡七十七山,一萬七千五百一十七里。

서경에 기록된 산을 보면, 모두 일흔일곱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일만 칠천 옫백 일십 칠 리에 이른다.

북산경(北山經) 번역

산해경/북산경 2018. 2. 28. 00:00

北山經之首,曰單狐之山,多机木1,其上多華草2。

북산경의 첫머리를, 단호산이라 하는데, 느티나무가 많고, 산 위에 화초가 많다.


漨3水出焉,而西流注于泑水,其中多芘石4文石。

여기서 나오는 봉수는, 서쪽으로 흘러 유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비석과 문석이 많다.


1 곽박(郭璞)云:「느티나무는 느릅나무와 비슷하고(机木似榆),이것을 태워 논밭에 거름으로 쓸 수 있다(可燒以糞稻田),촉에서 자란다(出蜀中);音기(飢)。」양신(楊慎)云:「현재 오리나무다(即今之榿也)。」

2 원가기록(珂案):화초는(華草),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

3 곽박(郭璞)云:「音봉(逢)。」

4 학의행(郝懿行)云:「비는 자로 쓰여야 한다(疑芘當為茈),자는 옛 글자로 자를 임시로 빌려쓰던 글자다(茈古字假借為紫也)。」원가기록(珂案):經文비(芘),왕불(汪紱)本자로 쓰여 있다(正作茈)。


又北二百五十里,曰求如之山,其上多銅,其下多玉,無草木。

또 북쪽으로 이백 오십 리를 가면, 구여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구리가 많고, 산 아래에 옥이 많으며, 풀과 나무가 없다.


滑水出焉,而西流注于諸毗之水1。

여기서 나오는 활수는, 서쪽으로 흘러 제비수로 들어간다.


其中多滑魚,其狀如鱓2,赤背,其音如梧3,食之已疣4。

그 안에 활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드렁허리 같고, 등이 붉으며, 그 울음소리는 사람이 우물거리는 소리 같다, 먹으면 사마귀가 낫는다.


其中多水馬,其狀如馬,文臂牛尾5,其音如呼6。

그 안에 있는 수마는, 모양이 말 같고, 앞다리에 무늬와 소의 꼬리가 있다, 그 울음소리는 사람이 소리치며 부르는 소리 같다.


1 곽박(郭璞)云:「제비산에서 나오는 물이다(水出諸毗山也)。」원가기록(珂案):서차삼경(西次三經)云:「괴강산(槐江之山),북쪽으로 제비를 바라보고(北望諸毗)。」 바로 이 산 이다(即此山也)。

2 곽박(郭璞)云:「드렁허리는 뱀과 비슷하다(鱓魚似蛇);音선(善)。」원가기록(珂案):선어는(即鱔魚),보통 황선이라 부른다(俗稱黃鱔)。

3 곽박(郭璞)云:「사람이 우물거리는 소리 같다(如人相枝梧聲);音오자의 오(吾子之吾)。」

4 곽박(郭璞)云:「우는(疣),췌다(贅也)。혹을 말한다」

5 곽박(郭璞)云:「비는(臂),앞다리다(前腳也)。」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八九六引此經文비자 앞에 이라는 글자가 있다(臂上有而字),맞다(是也)。

6 곽박(郭璞)云:「사람이 소리치며 부르는 소리 같다(如人叫呼)。」학의행(郝懿行)云:「호는(呼),말이 크게 울부짖는 것을 일컫는다(謂馬叱吒也)。」


又北三百里,曰帶山,其上多玉,其下多青碧。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대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청벽이 많다.


有獸焉,其狀如馬,一角有錯1,其名曰䑏2疏,可以辟火。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말 같고, 뿔이 하나에 있는데 거친 숫돌 같다, 그 이름을 환소라 하며, 이것을 기르면 화재를 피할 수 있다.


有鳥焉,其狀如烏,五采而赤文,名曰鵸䳜3,是自為牝牡,食之不疽4。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까마귀 같고, 붉은 무늬에 다채로운 색을 했으며, 이름을 기여라 한다, 이것을 스스로 암컷과 수컷를 정하고, 먹으면 등창이 안 생긴다.


彭水出焉,而西流注于芘湖5之水,其中多儵魚6,其狀如雞而赤毛,三尾、六足、四首7,其音如鵲,食之可以已憂。

여기서 나오는 팽수는, 서쪽으로 흘러 비호수로 들어간다, 그 안에 유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붉은 털이 난 닭 같고, 세 개의 꼬리와 여섯 개의 발과 네 개의 머리가 있으며, 그 울음 소리는 까치 같다, 먹으면 우울함이 나을 수 있다.


1 곽박(郭璞)云:「뿔의 껍질이 말라 소나무껍질처럼 된 것(言角有甲錯也);혹은 착으로 쓰여 있다(或作厝)。」학의행(郝懿行)云:「의자는 착이 되어야 한다(依字正當為厝)。설문해자(說文)云:착은(厝),거친 숫돌이다(厲石也);引시경(詩)『다른 산의 하찮은 돌이라도(他山之石),이것은 내가 가진 옥을 가는 숫돌이 될 수 있다(可以為厝)』。현재 시경에서 숫돌이라 알려져 있다(今詩通作錯)。」

2 곽박(郭璞)云:「音환(歡)。」

3 원가기록(珂案):기여(鵸䳜)已見서차삼경(西次三經)익망산(翼望之山),그 새와 다르다(與此異)。

4 곽박(郭璞)云:「큰 종기가 없다(無癰疽病也)。」

5 원가기록(珂案):經文비는(芘),태평어람(太平御覽)卷九三七引자로 쓰여 있다(作茈)。

6 곽박(郭璞)云:「音유(由)。」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御覽)卷九三七引숙이라 쓰여 있다(作儵);학의행(郝懿行)云:「숙과 유는 같다(儵與鯈同),옥편(玉篇)유라 쓰여 있다(作鯈)。」

7 원가기록(珂案):經文네 개의 머리(四首),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並校네 개의 눈이라 쓰여 있다(作四目)。학이행(郝)云:「현재 그림에 도 네 개의 눈으로 되어 있다(今圖正作四目)。」


又北四百里,曰譙明之山,譙水出焉,西流注于河。

또 북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초명산이라 하는데, 여기서 나오는 초수는 서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多何羅之魚,一首而十身,其音如吠犬1,食之已癰。

그 안에 하라어가 많은데, 몸에 열 개에 머리가 한 개 이다, 그 울음소리는 개가 짖는 것 같고, 먹으면 악창이 낫는다.


有獸焉,其狀如貆而赤豪2,其音如榴榴,名曰孟槐,可以禦凶3。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털이 붉은 호저 같고, 그 울음소리는 유유 같으며, 이름을 맹괴라 한다, 이것을 기르면 흉한 일을 막을 수 있다.


是山也,無草木,多青雄黃4。

이 산은, 풀과 나무가 없고, 청웅황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초학기(初學記)卷三十引此經개가 짖음으로 쓰여 있다(作犬吠)。오임신(吳任臣)산해경(山海經)廣注引이어도찬(異魚圖贊)云:「하라어는(何羅之魚),몸이 열 개에 머리가 한 개다(十身一首);새가 변한 것이고(化而為鳥),그 이름은 휴구다(其名休舊);봄(해가 지면)에 양식을 훔치고(竊糈于春(舂?)),다쳐서 절구에 사로잡혀 있다(傷隕在臼);밤에 날며 소리를 끌어당긴다(夜飛曳音),봄내를 맡으며(우레소릴 들으며) 질주한다(聞春(雷?)疾走)。」즉 이 물고기과 관련된 다름 이야기이다(則是關於此魚之異聞也)。열 개의 머리에 몸이 한 개인 고획조의 의미는(意十首一身之姑獲鳥(귀차(鬼車))),고획조는 이 물고기가 잘못 변한 것일 수도(其此魚之所化乎)?왕숭경(王崇慶)云:「하라어(何羅之魚),귀차조(鬼車之鳥),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可以並觀)。」맞다(是也)。

2 곽박(郭璞)云:「환은(貆),호저다(豪豬也);音환(丸)。」원가기록(珂案):환저는 흰 호저로(貆豬白豪),已見서산경(西山經)죽산(竹山)。

3 곽박(郭璞)云:「흉하고 사악한 기운을 피한다(辟凶邪氣也)。또한 외수화를 보면(亦在畏獸畫中也)。」

4 곽박(郭璞)云:「청벽이 많다로도 쓰여 있다(一作多青碧)。」


又北三百五十里,曰涿光之山,囂水出焉,而西流注于河。

또 북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탁광산이라 하는데, 여기서 나오는 효수는 서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多鰼鰼之魚1,其狀如鵲而十翼,鱗皆在羽端,其音如鵲,可以禦火,食之不癉。

그 안에 습습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열 개의 날개가 달린 까치 같고, 비늘이 모두 날개 끝에 있으며, 그 울음소리는 까치 같다, 이것을 기르면 화재를 막을 수 있고, 먹으면 황달이 안 생긴다.


其上多松柏,其下多棕橿,其獸多麢羊,其鳥多蕃2。

산 위에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종려나무와 강목이 많다, 산에 짐승은 영양이 많고, 산에 새는 번이 많다.


1 곽박(郭璞)云:「音고습의 습(袴褶之褶)。」

2 곽박(郭璞)云:「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솔개라고도 한다(或云即鴞),音번(煩)。」


又北三百八十里,曰虢山1,其上多漆,其下多桐椐2,其陽多玉,其陰多鐵。

또 북쪽으로 삼백 팔십 리를 가면, 괵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옻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오동나무와 영수목이 많다, 산의 남쪽에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철이 많다.


伊水出焉,西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이수는, 서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獸多橐駝3,其鳥多寓4,狀如鼠而鳥翼,其音如羊,可以禦兵。

산에 짐승은 탁타가 많고, 산에 새는 우가 많은데, 모양이 새의 날개가 달린 쥐 같고, 그 울음소리는 양 같다, 이것을 기르면 날이 선 병기를 피할 수 있다.


1 학의행(郝懿行)云:「초학기(初學記)及태평어람(太平御覽)引此經並作호산(號山),이아(爾雅)疏作호산(䝞山),호는 즉 호의 다른 글자다(䝞即號之異文也)。」

2 곽박(郭璞)云:「동은(桐),오동이다(梧桐也);거는(椐),궤목(樻木),마디가 굵어 지팡이로 쓰이다(腫節中杖)。椐音거(袪)。」

3 곽박(郭璞)云:「몸에 안장이 있다(有肉鞍),사막에서도 잘 다니고(善行流沙中),하루에 삼백 리를 가며(日行三百里),그것은 천근의 짐을 진다(其負千斤),샘솟는 물이 있는 곳을 안다(知水泉所在也) 낙타일듯 하다。」

4 학의행(郝懿行)云:「방언(方言)云:『우는(寓),기다(寄也)。』此經우조(寓鳥),蓋박쥐의 종류다(蝙蝠之類)。」


又北四百里,至于虢山之尾,其上多玉而無石。

또 북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괵산의 끄트머리에 이르는데, 산 위에 돌은 없으나 옥이 많다.


魚水出焉,西流注于河,其中多文貝。

여기서 나오는 어수는, 서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가고, 그 안에 문패가 많다.


又北二百里,曰丹熏之山,其上多樗柏,其草多韭䪥1,多丹雘。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단훈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가죽나무와 측백나무가 있고, 산에 풀은 부추와 염교가 많고, 질이 좋은 붉은 찰흙이 많다.


熏水出焉,而西流注于棠水。

여기서 나오는 훈수는, 서쪽으로 흘러 당수로 들어간다.


有獸焉,其狀如鼠,而菟首麋身2,其音如獆犬,以其尾飛3,名曰耳鼠4,食之不䐆5,又可以禦百毒。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쥐 같은데, 토끼 머리에 사슴 몸이다, 그 울음소리는 개가 짖는 것 같고, 그 꼬리로 날아다니며, 이름을 이서라 한다, 먹으면 배가 나오지 않고, 또한 이것을 기르면 온갖 독을 막을 수 있다.


1 곽박(郭璞)云:「모두 산나물이다(皆山菜);이아(爾雅) 그 이름이 있다(有其名)。」원가기록(珂案):이아(爾雅) 석초(釋草)云:「육은(蒮),산부추(山韭);경은(葝),산염교다(山䪥)。」䪥音계(械),해와 같다(同薤)。

2 원가기록(珂案):초학기(初學記)卷二十九引此經作토끼 머리에 사불상의 귀(兔頭麋耳)。왕념손(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獸廿二作사불상의 귀(麋耳),초학기(初學)同,백첩(白帖)九十八作사슴의 귀(鹿耳)。귀로 쓰는 것이 맞다(當係耳字)。」

3 곽박(郭璞)云:「혹은 목구멍 아래에 난 깃털로 날아다닌다로 쓰여 있다(或作髯飛)。獆音호(豪)。」

4 학의행(郝懿行)云:「疑即이아(爾雅)날다람쥐(鼯鼠)를 잘못 쓰다(夷由也),이와 오는 같은 소리라 전해진다(耳、鼯、夷並聲之通轉);그 모양은 몸에 날개가 꼬리와 발까지 이어져 있다(其形肉翅連尾足),그러므로 꼬리로 나는 것이다(故曰尾飛)。」

5 곽박(郭璞)云:「채는(䐆),배가 불룩하게 나오다(大腹也),見작고 푸르다(裨蒼);音채(采)。


又北二百八十里,曰石者之山,其上無草木,多瑤碧1。

또 북쪽으로 이백 팔십 리를 가면, 석자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고, 요벽이 많다.


泚水出焉,西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자수는 서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有獸焉,其狀如豹,而文題2白身,名曰孟極,是善伏3,其鳴自呼。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표범 같고, 이마에 무늬가 있고 몸이 희다, 이름을 맹극이라 하는데, 이것은 감추는 것을 좋아하고,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1 학의행(郝懿行)云:「벽은(碧),장경(藏經)本옥이라 쓰여 있다(作玉)。」

2 곽박(郭璞)云:「제는(題),액이다(頟也)。」원가기록(珂案):액은(頟),즉 액이다(即額字)。

3 왕숭경(王崇慶)云:「선복은(善伏),감추는 것을 좋아한다(言善藏也);혹은 엎드려 눕다의 엎드려이다(或伏臥之伏)。」


又北百一十里,曰邊春之山1,多蔥2、葵、韭、桃3、李。

또 북으로 일백 일십 리를 가면, 변춘산이라 하는데, 산마늘과 해바라기와 부추와 복숭아나무와 오얏나무가 많다.


杠水出焉,而西流注于泑澤4。

여기서 나오는 강수는, 서쪽으로 흘러 유택으로 들어간다.


有獸焉,其狀如禺而文身5,善笑,見人則臥6,名曰幽鴳7,其鳴自呼。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몸에 무늬가 있는 원숭이 같고, 잘 웃으며, 사람을 보면 거짓으로 자는 척 한다, 이름을 유알이라 하며, 그것은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1 곽박(郭璞)云:「혹은 용산이라 쓰여 있다(或作舂山)。」학의행(郝懿行)云:「목천자전(穆天子傳)有용산(舂山),즉 종산이다(即鍾山也),已見서산경(西山經)。」원가기록(珂案):종산(鍾山)見서차삼경(西次三經)。

2 곽박(郭璞)云:「산총은(山蔥),이름은 산마늘(名茖),큰 잎(大葉)。」원가기록(珂案):산총(山蔥)見이아(爾雅)석초(釋草)。

3 곽박(郭璞)云:「개복숭아(山桃),산복숭아(榹桃),열매가 작다(子小),씨가 쪼개지지 않는다(不解核也)。」원가기록(珂案):산복숭아(榹桃)見이아(爾雅)석목(釋木)。

4 원가기록(珂案):유택(泑澤)已見서차삼경(西次三經)부주산(不周之山)。

5 원가기록(珂案):經文무늬 있는 몸(文身),태평어람(太平御覽)卷九一三引作무늬 있는 등(文背)。

6 곽박(郭璞)云:「거짓으로 잠을 잔다(言佯眠也)。」

7 곽박(郭璞)云:「혹은 독회라 쓰여 있다(或作嬻嬒)。鴳音알(遏)。」원가기록(珂案):經文유알(幽鴳),태평어람(御覽)卷九一三引作유알(幽頞),引도찬(圖讚)亦作유알(幽頞),근거(據)곽박(郭)音,作유알(幽頞)맞다(是也)。


又北二百里,曰蔓聯之山1,其上無草木。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만련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다.


有獸焉,其狀如禺而有鬣,牛尾、文臂、馬蹏,見人則呼2,名曰足訾,其鳴自呼。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갈기가 있는 원숭이 같고, 소 꼬리와 무늬 있는 팔과 말의 굽을 하고 있으며, 사람을 보면 소리지른다, 이름을 족자라 하고, 그것은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有鳥焉,群居而朋飛3,其毛如雌雉,名曰鵁4,其鳴自呼,食之已風。

여기 있는 새는, 무리 지어 날고 무리 지어 산다, 그 털은 암꿩 같고, 이름을 교라하며, 그것은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먹으면 중풍이 낫는다.


1 곽박(郭璞)云:「만련(萬連)二音。」

2 왕념손(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獸廿五呼웃는다로 쓰여 있다(作笑)。」

3 곽박(郭璞)云:「붕은 배와 같다(朋猶輩也)。」

4 곽박(郭璞)云:「音교(交);혹은 갈이라 쓰여 있다(或作渴也)。」학의행(郝懿行)云:「옥편(玉篇)교(鵁)云:『백교조는 무리 지어 날며(白鵁鳥群飛),꼬리는 암꿩 같다(尾如雌雞)。』疑經文털은 꼬리가 잘못 쓰인 글자(毛當為尾字之訛)。」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교 혹은 갈이라 쓰여있다(鵁或作渴),의심(疑)即이아(爾雅) 이른바(所謂) 복치(鳪雉)也。


又北百八十里,曰單張之山,其上無草木。

또 북쪽으로 일백 팔십 리를 가면, 단장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다.


有獸焉,其狀如豹而長尾,人首而牛耳,一目,名曰諸犍1,善吒,行則銜其尾,居則蟠其尾。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긴 꼬리가 달린 표범 같고, 소의 귀가 달린 사람 머리 같으며, 눈이 한 개다, 이름을 제건이라 하고, 혀 차는 것을 좋아한다, 움직일 때 꼬리를 입에 물고, 앉을 때 꼬리를 몸에 감는다.


有鳥焉,其狀如雉,而文首、白翼、黃足,名曰白鵺2,食之已嗌痛3,可以已痸4。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꿩 같은데, 무늬 있는 머리와 흰 머리와 누런 발이고, 이름을 백야라 한다, 먹으면 목구멍 아픈 것이 낫고 이것을 기르면 치매가 낫는다.


櫟水出焉,而南流注于杠水。

여기서 나오는 역수는, 남쪽으로 흘러 강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音如건우의 건(犍牛之犍)。」

2 곽박(郭璞)云:「音야(夜)。」

3 곽박(郭璞)云:「익은(嗌),인이다(咽也)。곡량전(穀梁傳)曰:『밥알이 목구멍으로 넘어가지 않는다(嗌不容粒)。』현재 오나라 사람들은 인을 애라 한다(今吳人呼咽為嗌),音애(隘)。」

4 곽박(郭璞)云:「체병은(痸),치병이다(癡病也)。」


又北三百二十里,曰灌題之山,其上多樗柘,其下多流沙,多砥。

또 북쪽으로 삼백 이십 리를 가면, 관제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가죽나무와 산뽕나무가 많고, 산 아래 흩날리는 모래가 많고, 고운 숫돌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牛而白尾,其音如訆1,名曰那父。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흰 꼬리가 달린 소 같고, 그 울음소리는 사람이 크게 외치는 소리 같다, 이름을 나보라 한다.


有鳥焉,其狀如雌雉而人面,見人則躍,名曰竦斯2,其鳴自呼也。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사람 얼굴을 한 암꿩 같고, 사람을 보면 뛰어오른다, 으름을 송사라 하는데, 그것은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匠韓之水出焉,而西流注于泑澤,其中多磁石3。

여기서 나오는 장한수는, 서쪽으로 흘러 유택으로 들어가고, 그 안에 자석이 많다.


1 곽박(郭璞)云:「사람이 크게 외치는 소리 같다(如人呼喚);訆音규(叫)。」

2 학의행(郝懿行)云:「초사(楚詞)복거(卜居)云:『남의 비유를 맞추며 아부를 한다(將哫訾慄斯)。』왕일(王逸)注云:『웃어른을 뵙는 모양(承顏色也)。』족자(哫訾)即족자(足訾),같은 발음(其音同);율사(慄斯)即송사(竦斯),전해 내려오는 소리(聲之轉)。」원가기록(珂案):만련산(上文)족자(足訾)「사람을 보면 소리지른다(見人則呼(혹은 웃는다(或笑)))」,여기(此)송사(竦斯)「사람을 보면 뛰어오른다(見人則躍)」,正왕일(王逸)注所謂「웃어른을 뵙는 모양(承顏色)」之狀;학의행(郝)해석이 믿을 만하다(說可信)。

3 곽박(郭璞)云:「이것으로 쇠를 찾을 수 있다(可以取鐵)。관자(管子)曰:『산 위에 자석이 있으면(山上有磁石者),산 아래 반드시 구리가 있다(下必有銅)。』音자(慈)。」


又北二百里,曰潘侯之山,其上多松柏,其下多榛楛,其陽多玉,其陰多鐵。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번후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개암나무와 모형나무가 많다, 산의 남쪽에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쇠가 많다.


有獸焉,其狀如牛,而四節生毛,名曰旄牛1。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소 같고, 다리 관절마다 털이 나있으며, 이름을 모우라 한다.


邊水出焉,而南流注于櫟澤。

여기서 나오는 변수는, 남쪽으로 흘러 역택으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현재 모우는 등과 무릎에서 꼬리까지 드리워저 있고 털이 전부 길다(今旄牛背膝及胡尾皆有長毛) 모우는 야크다。」원가기록(珂案):모우 관련(關於旄牛),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五「모마(旄馬)」節注1。


又北二百三十里,曰小咸之山,無草木,冬夏有雪。

또 북쪽으로 이백 삼십 리를 가면, 소함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사시사철 눈이 있다.


北二百八十里,曰大咸之山,無草木,其下多玉。

북쪽으로 이백 팔십 리를 가면, 대함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산 아래에 옥이 많다.


是山也,四方,不可以上。

이 산은, 네모져서, 오를 수 없는 산이다.


有蛇名曰長蛇1,其毛如彘豪2,其音如鼓柝3。

이름이 장사라는 뱀이 있는데, 그 털은 멧돼지 털 같고, 그 울음소리는 딱따기를 두드리는 소리 같다.


1 원가기록(珂案):회남자(淮南子)본경편(本經篇)云:「예는 동정호에서 수사를 절단 냈다(羿斷修蛇於洞庭)。」즉 예가 잡을 뱀의 종류다(即此之類)。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五「파사는 코끼리를 먹는다(巴蛇食象)」節注1。

2 곽박(郭璞)云:「전해지는 말로(說者云) 길이가 백 심이나 되었다(長百尋) 심은 팔 척이다。현재 살모사 같이 쑥무늬와 줄무늬가 있다(今蝮蛇色似艾綬文),글에 있는 털은 돼지 갈기이고(文間有毛如豬鬐),此其類也。」

3 곽박(郭璞)云:「밤에 돌아다니며(如人行夜),서로 마주 쳐서 딱딱 소리를 내게 만든 두 짝의 나무토막(敲木柝聲);音탁(託)。」


又北三百二十里,曰敦薨之山,其上多棕柟,其下多茈草。

또 북쪽으로 삼백 이십 리를 가면, 돈훙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종려나무와 녹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자초가 많다. 


敦薨之水出焉,而西流注于泑澤。

여기서 나오는 돈훙수는, 서쪽으로 흘러 유택으로 들어간다.


出于昆侖之東北隅,實惟河原。

곤륜의 동북쪽 구석에서 나오며, 여기가 바로 황하의 근원지이다


其中多赤鮭1,其獸多兕、旄牛2,其鳥多鳲鳩3。

그 안에 붉은 연어가 많고, 산에 짐승은 외뿔소와 모우가 많으며, 산에 새는 뻐꾸기가 많다.


1 곽박(郭璞)云:「현재 이름이 후태에서 규어로 바뀌었다(今名鯸鮐為鮭魚);音규(圭)。」

2 곽박(郭璞)云:「혹은 복우로 쓰여 있다(或作樸牛),복우(樸牛)見이소(離騷)천문(天問),所모름(未詳)。」원가기록(珂案):초사(楚辭)천문(天問)云:「왕해의 아우 긍은 아비 왕계의 덕을 지니고(恆秉季德), 어떻게 큰 소를 얻었는가?(焉得夫朴牛?)」왕일(王逸)注:「박은(朴),대이다(大也)。」박우는 복우다(當即此樸牛矣)。분명히 박우는 복우다(然朴牛又即服牛),有「소를 부리고 말을 타며(服牛乘馬)、무거운 짐을 수레이 실어 먼 곳으로 보내니(引重致遠)」(역계사(易繫辭))의 뜻(之義),마땅히 해는(及該)(왕해(王亥))、긍은(恆)(왕긍(王恆))잃은 것과 얻을 것의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失之得之之由),此곽박(郭)云「所모름(未詳)」也。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九「왕해(王亥)」節注5。

3 원가기록(珂案):經文시구(鳲鳩),송본(宋本)、장경(藏經)本、모의(毛扆)本均作시구(尸鳩)。학의행(郝懿行)云:「시는 당연히 시가 변한 것이다(鳲當為尸)。」


又北二百里,曰少咸之山,無草木,多青碧。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소함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청벽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牛,而赤身、人面、馬足,名曰窫窳1,其音如嬰兒,是食人。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소 같고, 붉은 몸과 사람 얼굴과 말의 발이며, 이름을 알유라 한다, 그 울음소리는 젖먹이 같고, 이것은 사람을 먹는다.


敦水出焉,東流注于鴈門之水2,其中多䰽䰽之魚3,食之殺人。

여기서 나오는 돈수는, 동쪽으로 흘러 안문수로 들어간다, 그 안에 패패어가 많고, 먹기 위해 사람을 죽인다.


1 곽박(郭璞)云:「이아(爾雅)云:『알유는 이리와 비슷하고(窫窳似貙),범 발톱이다(虎爪)。』與此錯。알유(軋愈)二音。」학의행(郝懿行)云:「해내남경(海內南經)云:『알유는 용 머리이고(窫窳龍首),익수 안에 산다(居弱水中)。』해내서경(海內西經)云:『알유는 뱀의 몸에 사람 얼굴이다((窫窳蛇身人面)。』又與此及이아(爾雅)서로 다르다(不同)。」원가기록(珂案):알유관련(關於窫窳),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五「알유는 용 머리다(窫窳龍首)」節注1及注4。

2 곽박(郭璞)云:「안문산 사이에서 나오는 물(水出鴈門山間)。」

3 곽박(郭璞)云:「音패(沛);모름(未詳)。혹은 포라고 쓰여 있다(或作鯆)。」필원(畢沅)云:「즉 국어고(即䱡魚也),강돈이라고 한다(一名江豚) 돌고래다。」


又北二百里,曰獄法之山。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옥법산이라 한다.


瀤1澤之水出焉,而東北流注于泰澤。

여기서 나오는 회택수는, 동북쪽으로 흘러 태택으로 들어간다.


其中多䲃魚2,其狀如鯉而雞足,食之已疣。

그 안에 조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닭의 발이 달린 잉어 같고, 먹으면 혹이 낫는다.


有獸焉,其狀如犬而人面,善投,見人則笑,其名山𤟤3,其行如風,見則天下大風。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사람 얼굴을 한 개 같고, 던지는 것을 좋아하며, 사람을 보면 웃는다, 그 이름을 산휘라 하는데, 그것은 바람 같이 움직이고, 만나면 온 세상에 큰 바람이 분다.


1 곽박(郭璞)云:「音회(懷)。」

2 곽박(郭璞)云:「音조(藻)。」

3 곽박(郭璞)云:「音휘(暉)。」원가기록(珂案):산휘는 즉 거보와 효양의 종류(山𤟤蓋即舉父、梟陽之類也);거보(舉父)已見서차삼경(西次三經) 숭오산(崇吾之山),효양(梟陽)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五「효양국(梟陽國)」節注4。


又北二百里1,曰北嶽之山,多枳棘剛木2。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북악산이라 하는데, 탱자나무와 멧대추나무와 단단한 나무가 많다


有獸焉,其狀如牛,而四角、人目、彘耳,其名曰諸懷,其音如鳴鴈,是食人。

여기 짐승은, 그 모양이 소 같고, 네 개의 뿔과 사람의 눈과 멧돼지의 귀를 했으며, 그 이름을 제회라 한다, 그 울음소리는 기러기의 울음소리 같고, 이것은 사람을 잡아먹는다.


諸懷之水出焉,而西流注于囂水,其中多鮨魚3,魚身而犬首,其音如嬰兒4,食之已狂。

여기서 나오는 제회수는, 서쪽으로 흘러 효수로 들어간다, 그 안에 예어가 많은데, 머리는 개이고 몸은 물고기이다, 그 울음소리는 젖먹이 같다, 먹으면 광증이 낫는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이백 리(二百里),오관(吳寬)초본(抄本)作일백 리(一百里),소은(邵恩)多校同。

2 곽박(郭璞)云:「단자의 종류(檀柘之屬)。」

3 곽박(郭璞)云:「音예(詣)。」

4 곽박(郭璞)云:「현재 바다 안 호록어와 해희(今海中有虎鹿魚及海豨),몸은 모두 물고기이고 머리는 호록저와 비슷하다(體皆如魚而頭似虎鹿豬),같은 종류(此其類也)。」학의행(郝懿行)云:「찾아서 가져옴(推尋)곽박(郭)義,此經예어는 개의 머리가 달리고 물고기 몸과 꼬리를 했다(鮨魚蓋魚身魚尾而狗頭),극은 물개와 비슷하다(極似今海狗),본초(本草)서술된 뼈는(家謂之骨)(물개(膃))물개가 맞다(肭獸是也)。」


又北百八十里,曰渾夕之山,無草木,多銅玉。

또 북쪽으로 일백 팔십 리를 가면, 혼석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구리와 옥이 많다.


囂水出焉,而西北流注于海。

여기서 나오는 효수는, 서북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有蛇一首兩身,名曰肥遺,見則其國大旱1。

머리는 하나에 몸은 둘인 뱀이 있는데, 이름을 비유이라 한다, 만나면 그 나라에 큰 가뭄이 든다.


1 곽박(郭璞)云:「관자(管子)曰:『마른 물의 귀신은(涸水之精),이름을 위라 한다(名曰蟡),몸이 두 개에 머리는 한 개이고(一頭而兩身),그 모양이 뱀 같다(其狀如蛇),길이는 팔 척에(長八尺),그 이름을 부르면(以其名呼之),이것은 물고기와 거북을 찾게 할 수 있다(可使取魚龜)。』역시 이 종류(亦此類)。」


又北五十里,曰北單之山,無草木,多蔥韭。

또 북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북단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파와 부추가 많다.


又北百里,曰羆差之山,無草木,多馬1。

또 북쪽으로 백 리를 가면, 비차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말이 많다.


1 곽박(郭璞)云:「야마다(野馬也),작은 말과 비슷하다(似馬而小)。」


又北百八十里,曰北鮮之山,是多馬。

또 북쪽으로 배 팔십 리를 가면, 북선산이라 하는데, 이곳엔 말이 많다.


鮮水出焉,而西北流注于涂吾之水1。

여기서 나오는 선수는, 서북쪽으로 흘러 도오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한무제 원수 이 년(漢元狩二年),도오수에서 말이 나왔다(馬出涂吾水中也)。」


又北百七十里,曰隄山1,多馬。

또 북쪽으로 일백 칠십 리를 가면, 제산이라 하는데, 말이 많다.


有獸焉,其狀如豹而文首,名曰泑2。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머리에 무늬가 있는 표범 같고, 이름을 요이라 한다.


隄水出焉,而東流注于泰澤,其中多龍龜3。

여기서 나오는 제수는, 동쪽으로 흘러 태택으로 들어가고, 그 안에 용과 거북이 많다.


1 곽박(郭璞)云:「혹은 제라 쓰여 있다(或作䧑),옛 글자다(古字耳)。」

2 곽박(郭璞)云:「音요(ㄠ)요。」

3 학의행(郝懿行)云:「용과 거북 두가지(龍、龜二物也);혹은 하나다(或是一物),疑即길조(吉弔)也,용의 머리에 거북의 몸(龍種龜身),그래서 용구라 부른다(故曰龍龜)。」원가기록(珂案):이것은 하나의 개체(當是一物)。


凡北山經之首,自單狐之山至于隄山,凡二十五山,五千四百九十里,其神皆人面蛇身。

무릇 북산경의 첫머리인, 단호산부터 제산까지, 모두 스물 다섯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오천 사백 구십 리를 에 이른다, 그곳 신은 모두 사람 얼굴에 뱀의 몸이다.


其祠之,毛用一雄雞彘瘞,吉玉用一珪,瘞而不糈1。

산의 제사는, 한 마리 수탉과 멧돼지를 사용해 땅에 묻어 제사를 지내고, 하나의 서옥 중 좋은 옥을 사용해, 젯메쌀을 쓰지 않고 땅에 묻어 제사를 지낸다.


其山北人,皆生食不火之物2。

산의 북쪽 사람들은, 모두 음식에 불을 사용하지 않고 날것으로 먹는다.


1 곽박(郭璞)云:「쌀을 쓰지 않고 제사를 지낸다(言祭不用米),사용한 제물과 옥을 모두 땅에 묻는다(皆薶其所用牲玉)。」

2 곽박(郭璞)云:「혹은 모두 불 없이 날 것으로 먹는다(或作皆生食而不火)。」


북차이경(北次二經) 번역

산해경/북산경 2018. 2. 28. 00:00

北次二經之首,在河之東1,其首枕汾2,其名曰管涔之山3。

북차이경의 첫머리는, 황하의 동쪽에 있으며, 그 첫머리가 분수의 상류와 가까이 마주하고 있고, 그 이름을 관잠산이라 한다.


其上無木而多草,其下多玉

산 위에 풀은 많으나 나무는 없고, 산 아래에 옥이 많다.


汾水出焉,而西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분수는, 서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왕숭경(王崇慶)云:「북차이경의 첫머리는(北次二經之首),뒤에 산자가 빠져 있다(下當遺山字)。」원가기록(珂案):왕숭경(王)의 생각이 맞다고 본다(所見甚是),만약 그렇지 않다면 말이 되지 않는다(否則不辭矣);여러 곳에서도 빠져 있다(諸家皆漏略)。그러므로 빠진 산자는(然所遺「산(山)」字),의수 앞에 있어야 하고(當在「의 첫머리之(首)」上),本作「북차이경의 첫머리는(北次二山之首)」,경문에 산자를 넣어 고쳐 써야 한다(迨改山字為經字),그래야만 말이 된다(始成此不辭之語)。여기 산해경의 경은 내용의 경이 확실하다(此亦為山海經之「경(經)」本當為「경력(經歷)」之「경(經)」確證之一也);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一篇首注1。

2 곽박(郭璞)云:「분수의 상류와 가까이 마주하고 있다(臨汾水上也);音분(墳)。」

3 곽박(郭璞)云:「涔音잠(岑)。」


又西1二百五十里,曰少陽之山,其上多玉,其下多赤銀2。

또 서쪽으로 이백 오십 리를 가면, 소양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붉은 은이 많다.


酸水出焉,而東流注于汾水,其中多美赭3。

여기서 나오는 산수는, 동쪽으로 흘러 분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부드러운 붉은 흙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서(西),송본(宋本)、오관(吳寬)초본(抄本)並북으로 쓰여 있다(作北),학의행(郝懿行)校장경(藏經)本역시 북으로 쓰여 있다(亦作北),여기도 북으로 쓰는게 맞다(作北是也)。

2 곽박(郭璞)云:「은의 종류(銀之精也)。」

3 곽박(郭璞)云:「관자(管子)曰:『산 위에 붉은 흙이 있고(山上有赭者),산 아래에 쇠가 있다(其下有鐵)。』」


又北五十里,曰縣雍之山,其上多玉,其下多銅,其獸多閭麋1,其鳥多白翟白䳑2。

또 북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현옹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구리가 많다, 산에 짐승은 염소와 사불상이 많고, 산에 새는 백적과 백유가 많다.


晉水出焉,而東南流注于汾水。

여기서 나오는 진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분수로 들어간다.


其中多鮆魚,其狀如儵而赤麟3,其音如叱,食之不驕4。

그 안에 제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비늘이 붉은 피라미 같다, 그 울음소리는 혀를 차는 소리 같고, 먹으면 겨드랑이에서 냄새가 안 난다.


1 곽박(郭璞)云:「려는 유다(閭即羭也),굽이 갈라진 당나귀와 비슷하다(似驢而岐蹏),뿔은 영양 같고(角如麢羊),산 나귀라고도 한다(一名山驢)。주서(周書)曰:『북당이려(北唐以閭)。』」

2 곽박(郭璞)云:「즉 백탁(即白鵫也);音어와 육의 반절(于六反)。」원가기록(珂案):백탁은 즉 백한(白鵫即白翰),已見上文서산경(西山經)파총산(嶓冢之山)。

3 곽박(郭璞)云:「작은 물고기를 숙이라 한다(小魚曰儵)。」원가기록(珂案):經文숙(儵),송본(宋本)作조(鯈),숙과 조는 같은 뜻(儵、鯈字通)。經文린(麟),송본(宋本)、왕불(汪紱)本、필원(畢沅)校本、백자전서(百子全書)本並作린(鱗),린과 린은 같은 발음이다(麟、鱗聲同)。

4 곽박(郭璞)云:「혹은 소라 쓰여 있다(或作騷),수컷의 구린내(騷臭也)。」학의행(郝懿行)云:「소취는 온저의 병이고(騷臭蓋即蘊羝之疾),호소라고도 한다(俗名狐騷也)。」원가기록(珂案):經文그 울음 소리는 혀를 차는 소리는(其音如叱),송본(宋本)、하작(何焯)校책의 질은 타로 쓰여 있다(本叱作吒)。


又北二百里,曰狐岐之山,無草木,多青碧。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호기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청벽이 많다.


勝水出焉,而東北流注于汾水,其中多蒼玉。

여기서 나오는 승수는, 동북쪽으로 흘러 분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창옥이 많다.


又北三百五十里,曰白沙山,廣員三百里,盡沙也,無草木鳥獸。

또 북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백사산이라 하는데, 둘레가 삼백 리에, 모두 모래이며, 풀과 나무와 새와 짐승이 없다.


鮪水出于其上,潛于其下1,是多白玉。

산 꼭대기에서 유수가 나오나, 산 바닥에서 사라진다, 이곳에 백옥이 많다.


1 곽박(郭璞)云:「산의 꼭대기에서 나온다(出山之頂),그 바닥에서 멎는다(停其底也)。」


又北四百里,曰爾是之山,無草木,無水。

또 북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이시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물이 없다.


又北三百八十里,曰狂山,無草木。

또 북쪽으로 삼백 팔십 리를 가면, 광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다.


是山也,冬夏有雪。

이 산은, 사시사철 눈이 있다.


狂水出焉,而西流注于浮水,其中多美玉。

여기서 나오는 광수는, 서쪽으로 흘러 부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아름다운 옥이 많다.


又北三百八十里,曰諸餘之山,其上多銅玉,其下多松柏。

또 북쪽으로 삼백 팔십 리를 가면, 제여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구리와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다.


諸餘之水出焉,而東流注于旄水。

여기서 나오는 제여수는, 동쪽으로 흘러 모수로 들어간다.


又北三百五十里,曰敦頭之山,其上多金玉,無草木。

또 북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돈두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풀과 나무가 없다.


旄水出焉,而東流注于印澤1,其中多𩣡馬2,牛尾而白身,一角,其音如呼。

여기서 나오는 모수는, 동쪽으로 흘러 인택으로 들어가고, 그 안에 발마가 많은데, 몸은 희고 꼬리는 소에, 뿔은 하나다, 그 울음소리는 부르짖는 소리 같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인택(印澤),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並校공택(邛澤),即下文북효산(北囂山)공택(邛澤)也。왕불(汪紱)本、필원(畢沅)校本역시 모두 공택으로 쓰여 있다(亦俱作邛澤)。

2 곽박(郭璞)云:「音발(勃)。」


又北三百五十里,曰鉤吾之山,其上多玉,其下多銅。

또 북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구오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구리가 많다.


有獸焉,其狀如羊身人面,其目在腋下1,虎齒人爪,其音如嬰兒,名曰狍鴞,是食人2。

여기 짐승은, 그 모양이 몸은 양이고 얼굴은 사람 같은데, 그 눈은 겨드랑이 아래에 달렸고, 범 이빨에 사람 손톱이며, 그 울음소리는 젖먹이 같다, 이름을 포효라 하는데, 이것은 사람을 먹는다.


1 원가기록(珂案):문선(文選)원소는 진림에게 예주를 토벌하라는 격문을 쓰게 하였다(진림(陳琳)為원소(袁紹)토벌(討)예주(豫州)격문(檄))注引이 경문에 그 모양이 같다는 세글자는 없는 글자다(此經無其狀如三字),그 눈은 그 입으로 쓰여야 한다(其目作其口);학의행(郝懿行)校장경(藏經)本역시 같다는 없는 글자(亦無如字),같다는 글자는 덧붙인 글자로 의심(如字疑衍)。

2 곽박(郭璞)云:「재물이나 음식에 욕심을 내며(為物貪惏),사람을 먹다 충분하지 못하면(食人未盡),자신의 몸을 해친다(還害其身),하나라 시대 솥에 모양이 있으며(像在夏鼎),춘추좌씨전에서는 도철이 맞다고 일컫는다(左傳所謂饕餮是也)。狍音포(咆)。」원가기록(珂案):포효관련(關於狍鴞),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송산(宋山) 풍목(楓木)」節注2。


又北三百里,曰北囂之山,無石,其陽多碧,其陰多玉。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북효산이라 하는데, 돌이 없고, 산의 남쪽에 벽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옥이 많다.


有獸焉,其狀如虎,而白身犬首,馬尾彘鬣,名曰獨𤞞1。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범 같고, 흰 몸에 개의 머리를 하고 있으며, 말 꼬리에 멧돼지 갈기가 있다, 이름을 독곡이라 한다.


有鳥焉,其狀如烏,人面,名曰𪄀𪃑2,宵飛而晝伏3,食之已暍4。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까마귀 같은데, 사람 얼굴이다, 이름을 반모라 한다, 낮에는 엎드려 있고 밤에는 날아 다니며, 먹으면 더위를 먹어서 생기는 병이 낫는다.


涔水出焉,而東流注于邛澤5。

여기서 나오는 잠수는, 동쪽으로 흘러 공택으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音곡(谷)。」

2 곽박(郭璞)云:「반모(般冒)兩音;혹은 하라 쓰여 있다(或作夏也)。」학의행(郝懿行)云:「하는 가와 비슷하다(夏形聲近賈),대황남경(大荒南經)매와 메까마귀가 있다(有鷹賈),곽박(郭)注云가 역시 매의 종류(賈亦鷹屬);수경(水經)注引장자(莊子)아가가 있다(有雅賈),모두 까마귀 종류다(蓋是烏類),經言이 새의 모습은 까마귀 같고(此鳥狀如烏),의심 된다(疑是也)。」

3 곽박(郭璞)云:「부엉이 종류(鵂鶹之屬)。」

4 곽박(郭璞)云:「더위먹다(中熱也);音알(謁)。」왕불(汪紱)云:「현재 부엉이 역시 체열과 두풍을 치료할 수 있다(今鵂鶹亦可治熱及頭風)。」

5 원가기록(珂案):即上文돈두산(敦頭之山)인택(印澤);공과 이 두 글자는 잘못 쓴 글자로 알 수 있다(以知邛、印二字之易訛也),則대황서경(大荒西經)「려공에게 땅을 아래로 내리라 명하다(黎邛下地)」를 바꾸다(之為)「려인에게 땅을 아래로 내리라 명하다(黎印下地)」,그러므로 이것이 하나의 증거가 된다(于此又得一證矣);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一「일월산(日月山)」節注7。


又北三百五十里,曰梁渠之山,無草木,多金玉。

또 북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양거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脩水出焉,而東流注于鴈門1,其獸多居暨,其狀如彙而赤毛2,其音如豚。

여기서 나오는 수수는, 동쪽으로 흘러 안문수로 들어가고, 산에 짐승은 거기가 많은데, 그 모양이 털이 붉은 고슴도치 같으며, 그 울음소리는 새끼돼지 같다.


有鳥焉,其狀如夸父3,四翼、一目、犬尾,名曰囂,其音如鵲,食之已腹痛,可以止衕4。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과보 같고, 네 개의 날개와 한 개의 눈과 개의 꼬리가 있으며, 이름을 효라 한다, 그 울음소리는 까치 같고, 먹으면 배를 앓는 병이 낫으며, 이것을 기르면 설사를 멈추게 할 수 있다.


1 곽박(郭璞)云:「물 이름(水名)。」

2 곽박(郭璞)云:「위는(彙),쥐와 비슷하고(似鼠),(붉은(赤))털은 가시 같고(毛如刺)(고슴도치(蝟))也;彙音위(渭)。」

3 곽박(郭璞)云:「혹은 거보라 쓰여 있다(或作舉父)。」원가기록(珂案):거보(舉父)已見上文서차삼경(西次三經)숭오산(崇吾之山)。

4 곽박(郭璞)云:「설사를 치료한다(治洞下也);音동(洞)。」


又北四百里,曰姑灌之山,無草木,是山也,冬夏有雪。

또 북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고관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으며, 이 산은, 사시사철 눈이 있다.


又北三百八十里,曰湖灌之山,其陽多玉,其陰多碧,多馬。

또 북쪽으로 삼백 팔십 리를 가면, 호관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벽옥이 많고, 말이 많다.


湖灌之水出焉,而東流注于海,其中多䱇1。

여기서 나오는 호관수는, 동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고, 물안에 드렁허리가 많다.


有木焉,其葉如柳而赤理。

여기 있는 나무는, 그 붉은 나무결에 잎은 버드나무 같다.


1 곽박(郭璞)云:「역시 선어다(亦鱓魚字)。」


又北水行五百里,流沙三百里,至于洹山,其上多金玉。

또 북쪽으로 물을 따라 오백 리를 가다, 사막을 따라 삼백 리를 가면, 원산에 이른다, 산 위는 금과 옥이 많다.


三桑生之,其樹皆無枝,其高百仞1。

세 그루의 뽕나무가 자라는데, 세 나무 모두 나뭇가지가 없고, 나무의 높이가 백 길에 이른다.


百果樹生之。

온갖 과일이 나무에 열린다.


其下多怪蛇。

산 아래에 괴상한 뱀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세 그루 뽕나무 관련(關於三桑),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三「삼상무지(三桑無枝)」節注1。


又北三百里,曰敦題之山,無草木,多金玉。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돈제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是錞1于北海。

이 산은 북쪽 바다까지 이어져 있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순의 의미는(錞之義),已見上文서산경(西山經)외산(騩山)곽박(郭)注,곽박(郭)云순은 제방이다(錞猶隄埻也);학의행(郝懿行)云,모두 제방의 의미(蓋埤障之義)。왕불(汪紱)풀이(釋)순은 준자를 빌려 발음한다(錞為蹲字假音),그것이 부합하다(尤洽)。


凡北次二經之首,自管涔之山至于敦題之山,凡十七山,五千六百九十里。

무릇 북차이경의 첫머리인, 관잠산에서 돈제산까지, 모두 열일곱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오천 육백 구십 리에 이른다.


其神皆蛇身人面。

산의 신은 모두 뱀의 몸에 사람 얼굴이다.


其祠:毛用一雄雞彘瘞1;

산의 제사:제물로 사용한 한 마리 수탉과 멧돼지를 함께 묻어 제사를 지낸다.


用一璧一珪,投而不糈2。

사용한 벽옥 한 개와 서옥 한 개는, 젯메쌀 대신 던진다.


1 곽박(郭璞)云:「묻는다(薶之)。」원가기록(珂案):매와 매는 같다(薶同埋),송본(宋本)매로 쓰여 있다(作埋);제물로 사용한 한 마리 수탉과 한 마리 멧되지를 묻는 것을 일컫는다(謂毛物用一雄雞與一彘埋之也)。

2 곽박(郭璞)云:「산속에서 옥을 던지는 것은 신에 대한 예의(擿玉於山中以禮神),묻지 않는다(不薶之也)。」원가기록(珂案):젯메쌀 없이는(不糈),쌀을 쓰지 않고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不以精米祠也)。

북차삼경(北次三經) 번역

산해경/북산경 2018. 2. 28. 00:00

北次三經之首,曰太行之山。

북차삼경의 첫머리는, 태행산맥이라 한다.


其首曰歸山,其上有金玉,其下有碧1。

산의 시작을 귀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있고, 산 아래에 벽옥이 있다.


有獸焉,其狀如麢羊2而四角,馬尾而有距,其名曰䮝,善還3,其名自訆4。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네 개의 뿔이 달린 영양 같고, 꼬리는 말에 닭의 며느리발톱이 있다, 그 이름을 휘이라 하며, 빙빙 도는 것을 잘 한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有鳥焉,其狀如鵲5,白身6、赤尾、六足,其名曰䴅7,是善驚,其鳴自詨8。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까치 같고, 흰 몸과 붉은 꼬리와 여섯 개의 발이 있으며, 그 이름을 분이라 한다, 이것은 잘 놀라고,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1 학의행(郝懿行)云:「예문유취(藝文類聚)七卷引此經벽 다음에 옥자가 있다(碧下有玉字)。」

2 학의행(郝懿行)云:「유소(劉昭)注군국지(郡國志)引此經영은 미로 쓰여 있고(麢作麋),양은 없는 글자(無羊字)。」

3 원가기록(珂案):還音선(旋),춤을 추며 빙글빙글 돈다(盤旋而舞也)。䮝音휘(暉)。

4 원가기록(珂案):규와 규는 같다(訆同叫);오임신(吳任臣)本作규(叫)。

5 학의행(郝懿行)云:「광운(廣韻)설명(說)분은 고니와 비슷하다(䴅云似鵠)。」

6 학의행(郝懿行)云:「광운(廣韻)흰 몸 뒤에 눈이 세 개라는 두 글자가 있다(此下有三目二字)。」

7 곽박(郭璞)云:「音분(奔)。」

8 곽박(郭璞)云:「현재 오나라 사람들은 효라고 발음한다(今吳人謂呼為詨),音호와 교의 반절(呼交反)。」


又東北二百里,曰龍侯之山,無草木,多金玉。

또 동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용후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決決之水1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결결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多人魚,其狀如䱱魚2,四足,其音如嬰兒,食之無癡疾3。

그 안에 인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큰 잉어 같고, 발은 네 개다, 그 울음소리는 젖먹이 같으며, 먹으면 똑똑해 진다.


1 학의행(郝懿行)云:「태평어람(太平御覽)九百三十八卷引此經결수(決水),결자는 두 번 쓰지 않았다(決字不作重文)。」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校同학의행(郝)注。

2 곽박(郭璞)云:「제어는(䱱)見중산경(中山經)。혹은(或曰),인어는 즉 도룡뇽이다(人魚即鯢也),발이 네 개 달린 메기와 비슷하고(似鮎而四足),울음소리는 어린아이가 우는 소리 같다(聲如小兒嗁),현재도 제는 점이라 부른다(今亦呼鮎為䱱);音제(蹏)。」원가기록(珂案):중차칠경(中次七經)소실산(少室山)휴수(休水)제어가 많다(多䱱魚),即곽박(郭)注所云「見중산경(中山經)」者。또한 인어는(又人魚),서산경(西山經)죽산에서 나오는 죽수에도 있다(竹山竹水亦有之),見該節注4。

3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치는(癡),총명하지 못하다(不慧也)。』중산경(中山經)云:『제어를 먹은 사람은 의심이 없어진다(䱱魚食者無蠱疾)。』이것과 다르다(與此異)。」


又東北二百里,曰馬成之山,其上多文石,其陰多金玉。

또 동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마성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문석이 많고, 산의 북쪽에 금과 옥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白犬而黑頭,見人則飛1,其名曰天馬,其鳴自訆。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머리가 검은 흰 개 같고, 사람을 보면 날아다니며, 그 이름을 천마라 한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有鳥焉,其狀如烏,首白而身青、足黃,是名曰鶌鶋2,其鳴自詨,食之不飢,可以已寓3。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까마귀 같다, 푸른 몸에 발은 누렇고 머리는 희다, 이것의 이름은 굴거라 하며,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먹으면 배고프지 않고, 이것을 기르면 우가 낫는다.


1 곽박(郭璞)云:「몸의 날개로 자유롭게 날아다닌다(言肉翅飛行自在)。」

2 곽박(郭璞)云:「굴거(屈居)二音。」

3 곽박(郭璞)云:「모름(未詳);혹은(或曰),우는 오 같다(寓猶誤也)。」학의행(郝懿行)云:「우와 오는 모두 발음이 비슷하다(寓、誤蓋以聲近為義),혼망병으로 의심 된다(疑昏忘之病也)。왕인지(王引之)曰:『우는 우자를 임시로 빌려서 기록한 것이라 생각된다(案寓當是𤸒字之假借),옥편(玉篇)、광운(廣韻)並音우와 구의 반절(牛具切),사마귀 병(疣病也)。』」


又東北七十里,曰咸山,其上有玉,其下多銅,是多松柏,草多茈草。

또 동북쪽으로 칠십 리를 가면, 함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있고, 산 아래에 구리가 많다, 이곳엔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고, 풀은 자초가 많다.


條菅1之水出焉,而西南流注于長澤。

여기서 나오는 조간수는, 서남쪽으로 흘러 장택으로 들어간다,


其中多器酸,三歲一成2,食之已癘。

그 안에 기산이 많은데, 삼 년 한 번 나오며, 먹으면 돌림병이 낫는다.


1 원가기록(珂案):菅音간(姦)。

2 곽박(郭璞)云:「所모름(未詳)也。」왕숭경(王崇慶)云:「기산은 신 것만 먹을 수 있는데(器酸或物之可食而酸者),해주에서 나오는 소금의 종류 같다(如解州鹽池出鹽之類);연못에 물을 흐르지 않고 머물게 만들고(蓋澤水止而不流),신 맛이 나게 오래 쌓아 놓는데(積久或酸),그런 이유로 삼 년에 한 번 나온다(故曰三年一成)。」


又東北二百里,曰天池之山,其上無草木,多文石。

또 동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천지산이라 한다,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고, 문석이 많다.


有獸焉,其狀如兔而鼠首,以其背飛1,其名曰飛鼠。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쥐의 머리를 한 토끼 같고, 등 위의 털로 날아다니며, 그 이름을 비서이라 한다.


澠水出焉,潛于其下,其中多黃堊2。

여기서 나오는 승수는, 산 바닥에서 사라진다, 물안에 누런흙이 많다.


1 곽박(郭璞)云:「등 위에 털을 나는데 사용한다(用其背上毛飛),비는 의지하는 것을 말한다(飛則仰也) 낙하산으로 생각됨。」

2 곽박(郭璞)云:「악은(堊),흙이다(土也)。」원가기록(珂案):악은(堊)已見서차이경(西次二經) 대차산(大次之山),詳該節注1。


又東三百里,曰陽山,其上多玉,其下多金銅。

또 동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양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금과 구리가 많다.


有獸焉,其狀如牛而赤尾,其頸𦜜1,其狀如句瞿2,其名曰領胡3,其鳴自詨,食之已狂。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꼬리가 붉은 소 같고, 목에 혹이 있으며, 혹의 모양이 뒤집힌 국자 머리 같다, 그 이름을 영호라 한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먹으면 광증이 낫는다.


有鳥焉,其狀如雌雉,而五采以文,是自為牝牡,名曰象蛇,其鳴自詨。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암꿩 같고, 무늬가 다채롭다, 이것은 스스로 암컷과 수컷을 정하고, 이름을 상사라 한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留水出焉,而南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유수는, 남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有䱤4父之魚,其狀如鮒魚,魚首而彘身,食之已嘔。

물 에 있는 함보어는, 그 모양이 붕어 같고, 멧돼지 몸에 물고기 머리가 달렸다, 먹으면 구토를 멈춘다.


1 원가기록(珂案):𦜜音신(腎)。

2 곽박(郭璞)云:「목 위에 혹 덩어리가 있다(言頸上有肉𦜜);구구는(句瞿),구기다(斗也),音구(劬)。」

3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영은(領),항이다(項也);호는(胡),소의 턱밑살(牛顄垂也)。』이 소의 목살이 구기 같아서(此牛頸肉垂如斗),영호라는 이름이 되었다(因名之領胡與?)」

4 곽박(郭璞)云:「音함(陷)。」


又東三百五十里,曰賁聞之山,其上多蒼玉,其下多黃堊,多涅石1。

또 동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분문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창옥이 많고, 산 아래에 누런흙이 많고, 열석이 많다.


1 학의행(郝懿行)云:「반석이다(即礬石也)。회남자(淮南) 숙진훈(俶真訓)云:『열석으로 검게 물들일 수 있다(以涅染緇)。』고유(高誘)注云:『열은(涅),반석(礬石也)。』」


又北百里,曰王屋之山1,是多石。

또 북쪽으로 백 리를 가면, 왕옥산이라 하는데, 이곳에 돌이 많다.


水2出焉,而西北流于泰澤。

여기서 나오는 연수는, 서북쪽으로 흘러 태택으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현재 산서성 양성현 서남쪽에 있다(在今山西省陽城縣西南)。經태행산맥의 첫머리인(首太行山),하남성 제원현에서 시작해(則起自河南省濟源縣),산서성 가장자리 북쪽으로 들어간다(北入山西省境),더불어 왕옥산을 멀리 마주하고 있다(與王屋山遙相對),열자(列子) 태형이라 했다(謂之「태형(太形)」)。태형과 왕옥 두 산은(云太形王屋二山),길이가 칠백 리에 이르고(方七百里),높이가 만 길에 이른다(高萬仞),산은 본디 기주의 남쪽과 하양의 북쪽에 있다(本在冀州之南,河陽之北)。천제는 어리석은 노인이 정성을 다해 산을 옮기는 것에 감동 받아(天帝感愚公移山之誠),과아씨의 두 아들에게 명해(命夸蛾氏二子),두 산을 짊어지게 해(負二山),하나는 삭동에 두고(一厝朔東),하나는 옹남에 두었다(一厝雍南),두 산은 이 때부터 떨어지게 되었다(自此異之)。云云,즉 두 산은 신화전설로 이어져오는 하나의 이야기이다(則二山在神話傳說中原本一地也)。

2 곽박(郭璞)云:「音연(輦)。」


又東北三百里,曰教山,其上多玉而無石。

또 동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교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돌은 없지만 옥은 많다.


教水出焉,西流注于河,是水冬乾而夏流,實惟乾河。

여기서 나오는 교수는, 서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가고, 이곳의 물은 여름에는 흐르고 겨울에 마른다, 여기가 바로 건하.


其中有兩山。

물안 양쪽에 산이 있다.


是山也,廣員三百步,其名曰發丸之山,其上有金玉。

이 산은, 둘레가 삼백 걸음이고, 그 이름을 발환이라 한다, 산 위는 금과 옥이 많다.


又南三百里,曰景山,南望鹽販之澤1,北望少澤,其上多草、藷藇2,其草多秦椒3,其陰多赭,其陽多玉。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경산이라 하는데, 남쪽으로 염판택을 바라보고, 북쪽으로 소택을 바라본다, 산 위에 풀과 서서가 많고, 분디가 많으며, 산의 북쪽에 붉은 흙이 많고, 산의 남쪽에 옥이 많다.


有鳥焉,其狀如蛇,而四翼、六目、三足,名曰酸與,其鳴自詨,見則其邑有恐4。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뱀 같은데, 네 개의 날개와 여섯 개의 눈과 세 개의 발이 달렸고, 이름을 산여이라 하며,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만나면 그 마을은 공황상태가 된다.


1 곽박(郭璞)云:「염지다(即鹽池也);현재 하동 의씨현에 있다(今在河東猗氏縣)。또 판은 없는 글자(或無販字)。」원가기록(珂案):수경(水經)注속수(涑水)及태평어람(太平御覽)卷八六五引이 주석 염지 앞에도 해현 두 글자가 있어야 한다(此注鹽池上並有解縣二字),則正심괄(沈括)몽계필담(夢溪筆談)所謂「해주 염택(解州鹽澤),소금 색이 붉디 붉은 건(滷色正赤),소문에 의하면(俚俗)치우의 피 때문이다(謂之『치우의 피(蚩尤血)』」者);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九「응룡이 치우와 과보를 죽였다(應龍殺蚩尤與夸父)」節注2。

2 곽박(郭璞)云:「뿌리가 양의 굽과 비슷하다(根似羊蹏),먹을 수 있다(可食);서서(曙豫)二音。」학의행(郝懿行)云:「현재의 산약(即今之山藥也)。」

3 곽박(郭璞)云:「열매가 산초의 가는 잎사귀 같다(子似椒而細葉),풀이다(草也)。」

4 곽박(郭璞)云:「혹은 먹으면 취하지 않는다(或曰食之不醉)。」


又東南三百二十里,曰孟門之山1,其上多蒼玉,多金,其下多黃堊,多涅石。

또 동남쪽으로 삼백 이십 리를 가면, 맹문산이라 한다, 산 위에 창옥이 많고, 금이 많으며, 산 아래에 누런흙이 많고, 열석이 많다.


1 곽박(郭璞)云:「시자(尸子)曰:『용문이 허물어지지 않고(龍門未辟),여량이 뚫리지 않았을 때(呂梁未鑿),황하는 맹문산 위에서 나와(河出於孟門之上),크게 넘쳐 거꾸로 흘렀다(大溢逆流),낮은 언덕 높은 언덕 가릴 것 없이(無有丘陵高阜),물에 잠겼다(滅之),이름하여 홍수라 하였다(名曰洪水)。』목천자전(穆天子傳)曰:『맹문산 북쪽에 올라 구하를 우러른다(北升孟門九河之隥)。』」


又東南三百二十里,曰平山。

또 동남쪽으로 삼백 이십 리를 가면, 평산이라 한다.


平水出于其上,潛于其下,是多美玉。

산 꼭대기에서 평수가 나오나, 산 바닥에서 사라진다, 이곳에 아름다운 옥이 많다.


又東二百里1,曰京山,有美玉,多漆木,多竹,其陽有赤銅,其陰有玄䃤2。

또 동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경산이라 하는데, 아름다운 옥이 있고, 옻나무가 많으며, 대나무가 많다, 산의 남쪽에 붉은 구리가 있고, 산의 북쪽에 현소가 있다.


高水出焉,南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고수는, 남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또 동쪽으로 이백 리에 이른다(又東二百里),하작(何焯)校이가 삼으로 쓰여 있다(二作三)。

2 곽박(郭璞)云「검고 고운 숫돌이다(黑砥石也);시자(尸子)曰:『검고 누렇고 고운 숫돌을 더하다(加玄黃砥)。』빛깔이 여러 개(明色非一也)。䃤音죽소의 소(竹篠之篠)。」


又東二百里1,曰虫尾之山,其上多金玉,其下多竹,多青碧。

또 동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충미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대나무가 많고, 청벽이 많다.


丹水出焉,南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단수는, 남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薄水出焉,而東南流注于黃澤。

여기서 나오는 박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황택으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또 동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又東二百里),하작(何焯)校이가 삼으로 쓰여 있다(二作三)。


又東三百里,曰彭𣬈1之山,其上無草木,多金玉,其下多水。

또 동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팽비산이라 한다,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으며, 산 아래에 물이 많다.


蚤林之水出焉,東南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조림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肥水出焉,而南流注于床水,其中多肥遺之蛇。

여기서 나오는 비수는, 남쪽으로 흘러 상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비유사가 많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팽비(彭𣬈),하작(何焯)校本、황비열(黃丕烈)、주숙도(周叔弢)校本均作팽피(鼓𣬈)


又東百八十里,曰小侯之山。

또 동쪽으로 백 팔십 리를 가면, 소후산이라 한다.


明漳之水出焉,南流注于黃澤。

여기서 나오는 명장수는, 남쪽으로 흘러 황택으로 들어간다.


有鳥焉,其狀如烏而白文,名曰鴣𪄶1,食之不灂2。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흰 무늬가 있는 까마귀 같고, 이름을 고습이라 하며, 먹으면 곁눈질을 안 한다.


1 곽박(郭璞)云:「고습(姑習)二音。」

2 곽박(郭璞)云:「곁눈질을 안 한다(不瞧目也)。혹은 눈을 부릅뜬다로 쓰여 있다(或作䂃)。音초(醮)。」


又東三百七十里,曰泰頭之山。

또 동쪽으로 삼백 칠십 리를 가면, 태두산이라 한다.


共1水出焉,南注于虖池2。

여기서 나오는 공수(共水)는, 남쪽으로 흘러 호타수로 들어간다.


其上多金玉,其下多竹箭。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대나무와 이대가 많다.


1 곽박(郭璞)云:「音공(恭)。」

2 곽박(郭璞)云:「호타(呼佗)二音;아래도 같다(下同)。」


又東北二百里,曰軒轅之山,其上多銅,其下多竹。

또 동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헌원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구리가 많고, 산 아래에 대나무가 많다.


有鳥焉,其狀如梟而白首,其名曰黃鳥1,其鳴自詨,食之不妒。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머리가 흰 올빼미 같고, 그 이름을 황조라 하며,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먹으면 샘을 안 낸다.


1 학의행(郝懿行)云:「주서(周書)왕회편(王會篇)云:『하늘로 황조를 날리므로써(方揚以黃鳥)。』이아(爾雅)云:『황조는(皇),황조(黃鳥)。』모두 이 경문의 황조다(蓋皆此經黃鳥也)。」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說非是,학의행(郝)此注移於대황남경(大荒南經)「무산 황조(巫山黃鳥)」節則是矣;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무산(巫山) 황조(黃鳥)」節注2。


又北二百里,曰謁戾之山,其上多松柏,有金玉。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알려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고, 금과 옥이 있다.


沁水出焉,南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심수는, 남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東有林焉,名曰丹林。

그 동쪽에 있는 숲은, 이름을 단림이라 한다.


丹林之水出焉,南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단림수는, 남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嬰侯之水出焉,北流注于氾水。

여기서 나오는 영후수는, 북쪽으로 흘러 범수로 들어간다.


東三百里,曰沮洳之山,無草木,有金玉。

동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저여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있다.


濝1水出焉,南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기수는, 남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音기(其)。」


又北三百里,曰神囷之山1,其上有文石,其下有白蛇,有飛蟲。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신균산이라 하는데, 산 위(上)에 문석(文石)이 있고, 산 아래(下)에 흰 뱀(白蛇)이 있고, 날벌레(飛蟲)가 있다.


黃水出焉,而東流注于洹2。

여기서 나오는 황수는, 동쪽으로 흘러 환수로 들어간다.


滏水出焉,而東流注于歐水。

여기서 나오는 부수는, 동쪽으로 흘러 구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音如창균의 균(倉囷之囷)。」학의행(郝懿行)云:「균은 즉 창균의 균이다(囷即倉囷之囷),곽박도 같은 발음이라 했다(郭氏復音如之),경문에 균이라 쓰여 있다 알려졌지만(知經文必不作囷),광운(廣韻)引作신균(神箘),이것으로 의심(疑是也)。」

2 곽박(郭璞)云:「洹音환(丸)。」


又北二百里,曰發鳩之山1,其上多柘木。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발구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산뽕나무가 많다.


有鳥焉,其狀如烏,文首、白喙、赤足2,名曰精衛,其鳴自詨。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까마귀 같은데, 무늬 있는 머리와 흰 부리와 붉은 발이며, 이름을 정위라 한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是炎帝之少女名曰女娃3,女娃游于東海,溺而不返,故為精衛,常銜西山之木石,以堙于東海4。

이것은 염제의 작은 딸이며 이름은 여와라 한다, 여왜는 동쪽 바다로 놀러 갔다가, 바다에 빠져 돌아오지 못 했고, 정위가 되었다, 항상 서쪽 산의 나무와 돌을 입으로 물고 와, 동쪽 바다를 메우려고 한다.


漳水出焉,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장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현재 상당군 장자현 서쪽에 있다(今在上黨郡長子縣西)。」원가기록(珂案):장자현은 현재 산서성에 속한다(長子縣屬今山西省);발구산 또한 발포산과 녹곡산과 염산이라 했다(發鳩山亦名發苞山、鹿谷山、廉山),태행 산맥의 갈래(為太行山分支)。

2 학의행(郝懿行)云:「광운(廣韻)引此經作흰 머리(白首)붉은 부리(赤喙)。」

3 곽박(郭璞)云:「염제는(炎帝),신농씨(神農也);와(娃),오과 가의 반절(惡佳反),혹은 계를 잘못 쓴 것 같다(語誤或作階)。」원가기록(珂案):염제 신화 관련(關於炎帝之神話),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一「호인국(互人國)」節注2。

4 곽박(郭璞)云:「인은(堙),새다(塞也);音인(因)。」원가기록(珂案):술이기(述異記)云:「옛날에 염제의 딸이 동해에 빠져 죽었고(昔炎帝女溺死東海中),정위가 되었다(化為精衛)。바다제비와 짝을 이루어 자식을 나았는데(偶海燕而生子),태어난 암컷은 정위 같고(生雌狀如精衛),태어난 수컷은 바다제비 같았다(生雄如海燕)。현재 동해 정위는 서수하며 살고 있다(今東海精衛誓水處),바다에 빠져 물귀신이 되었고(曾溺此川),자신이 빠진 물을 절대 마시지 않겠다고 맹세하였다(誓不飲其水)。서조하고도 하고(一名誓鳥),원금이라고도 하며(一名寃禽),또한 지조라고도 불린다(又名志鳥),민간에서는 제녀작이라고 한다(俗呼帝女雀)。」즉 이 신화는 내려오며 발전하였다(則是此一神話之流傳演變也)。


又東北百二十里,曰少山,其上有金玉,其下有銅。

또 동북쪽으로 백 이십 리를 가면, 소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있고, 산 아래에 구리가 있다.


清漳之水出焉,東流1于濁漳之水。

여기서 나오는 청장수는, 동쪽으로 흘러 탁장수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동쪽으로 흘러 다음에 들어간다는 글자가 빠짐(東流下疑脫注字)。


又東北二百里,曰錫山,其上多玉,其下有砥。

또 동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석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고운 숫돌이 있다.


牛首之水出焉,而東流注于滏水。

여기서 나오는 우수수는, 동쪽으로 흘러 부수로 들어간다.


又北二百里,曰景山,有美玉。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경산이라 하는데, 아름다운 옥이 있다.


景水出焉,東南流注于海澤。

여기서 나오는 경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갯벌로 들어간다.


又北百里,曰題首之山,有玉焉,多石,無水。

또 북쪽으로 백 리를 가면, 제수산이라 하는데, 여기에 옥이 있고, 돌은 많으며, 물은 없다.


又北百里,曰繡山,其上有玉、青碧,其木多栒1,其草多芍藥、芎藭2。

또 북쪽으로 백 리를 가면, 수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과 청벽이 있고, 산에 나무는 순나무가 많고, 산에 풀은 작약과 궁궁이 많다.


洧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유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有鱯3、黽4。

물안에 큰 메기와 맹꽁이가 있다.


1 곽박(郭璞)云:「나무 가운데 줄기(木中枚也);音순(荀)。」원가기록(珂案):설문해자(說文)六云:「매는(枚),간이다(榦也),이것으로 지팡이를 만들 수 있다(可為杖)。」

2 곽박(郭璞)云:「작약은 신이라고도 한다(芍藥一名辛夷),또한 향초의 종류(亦香草屬)。」원가기록(珂案):궁궁(芎藭)已見서차사경(西次四經) 호산(號山)。

3 곽박(郭璞)云:「호는 큰 메기와 비슷하다(鱯似鮎而大),흰 색이다(白色也)。」

4 곽박(郭璞)云:「추맹은 청개구리와 비슷하다(䵸黽似蝦蟆),작고 푸르다(小而青);혹은(或曰),화맹이라고도 했다(鱯黽一物名耳)。」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맹꽁이는(䵸黽),학의행(郝懿行)경맹의 잘못 바뀐 글자(以為當為耿黽之訛);이아(爾雅)석어(釋魚):「맹은 물에 산다(在水者黽)。」곽박(郭)注云:「경맹이다(耿黽也);청개구리와 비슷하고 배가 불룩하다(似青蛙大腹),토압이라고도 한다(一名土鴨)。」即곽박(郭)추맹을 이렇게 설명 했다(此注之䵸黽也)。


又北百二十里,曰松山,陽水出焉,東北流注于河。

또 북쪽으로 백 이십 리를 가면, 송산이라 하는데, 여기서 나오는 양수는, 동북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又北百二十里,曰敦與之山,其上無草木,有金玉。

또 북쪽으로 백 이십 리를 가면, 돈여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있다.


溹水1出于其陽,而東流注于泰陸之水;

산의 남쪽에서 나오는 색수는, 동쪽으로 흘러 태육수로 들어간다.


泜水2出于其陰,而東流注于彭水。

산의 북쪽에서 나오는 저수는, 동쪽으로 흘러 팽수로 들어간다.


槐水出焉,而東流注于泜澤。

여기서 나오는 괴수는, 동쪽으로 흘러 저택으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溹音색(索)。

2 원가기록(珂案):泜音저(底)。


又北百七十里,曰柘山,其陽有金玉,其陰有鐵。

또 북쪽으로 백 칠십 리를 가면, 자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금과 옥이 있고, 산의 북쪽에 쇠가 있다.


歷聚之水出焉,而北流注于洧水1。

여기서 나오는 역취수는, 북쪽으로 흘러 유수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洧音유(鮪)。


又北三百里,曰維龍之山,其上有碧玉,其陽有金,其陰有鐵。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유룡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벽옥이 있고, 산의 남쪽에 금이 있고, 산의 북쪽ㄱ에 쇠가 있다.


肥水出焉,而東流注于皋澤,其中多礨石1。

여기서 나오는 비수는, 동쪽으로 흘러 고택로 들어가고, 물안에 뇌석이 많다.


敞鐵之水出焉,而北流注于大澤。

여기서 나오는 창철수는, 북쪽으로 흘러 대택으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모름(未詳)也。音뢰(雷)。혹은 루라고 쓰여 있다(或作壘);괴루는(磈壘),큰 돌의 모양(大石貌)。혹은 돌의 이름(或曰石名)。」왕불(汪紱)云:「비수 안에 괴루와 큰 돌이 많다(言肥水中多磈礨大石也)。」


又北百八十里,曰白馬之山,其陽多石玉,其陰多鐵,多赤銅。

또 북쪽으로 백 팔십 리를 가면, 백마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돌과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쇠가 많고, 붉은 구리가 많다.


木馬之水出焉,而東北流注于虖沱1。

여기서 나오는 목마수는, 동북쪽으로 흘러 호타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호타(呼佗)二音。」원가기록(珂案):經文호타(虖沱),송본(宋本)作호타(虖池),即上文태두산(泰頭之山)호타(虖池)맞다(是也),곽박(郭)注並云「호타(呼佗)二音。」


又北二百里,曰空桑之山1,無草木,冬夏有雪。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공상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사시사철 눈이 있다.


空桑之水出焉,東流注于虖沱。

여기서 나오는 공상수는, 동쪽으로 흘러 호타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동차이경에 이미 이 산이 있다(上已有此山),같은 이름으로 의심(疑同名也)。」학의행(郝懿行)云:「동차이경에 이산이 있다(東經有此山),북차이경에는 없다(此經已上無之),북차이경을 조사해(檢此篇)북차이경의 첫머리인(北次二經之首),관잠산부터 돈제산까지(自管涔之山至于敦題之山),모두 열일곱 개의 산으로 되어있다(凡十七山),지금은 열여섯 개의 산이 분명하다(今才得十六山),이 한 개의 산이 빠진 것이 정확하다(疑經正脫此一山也)。」


又北三百里,曰泰戲之山,無草木,多金玉。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태희산이라 한다,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羊,一角一目,目在耳後,其名曰䍶䍶1,其鳴自訆。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양 같고, 뿔 한 개에 눈도 한 개이고, 귀 뒤에 눈이 있으며, 그 이름을 동동이라 한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虖沱2之水出焉,而東流注于漊3水。

여기서 나오는 호타수는, 동쪽으로 흘러 루수로 들어간다.


液4女之水出于其陽,南流注于沁水。

산의 남쪽에서 나오는 역녀수는, 남쪽으로 흘러 심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音옥동의 동(屋棟之棟)。」

2 원가기록(珂案):上文공상산(空桑之山)호타수(虖沱)及이 산(此山)호타수(虖沱)는,송본(宋本)均作호타(虖池)。

3 곽박(郭璞)云:「音루(樓)。」원가기록(珂案):經文루(漊),오관(吳寬)초본(抄本)作루(婁)。

4 곽박(郭璞)云:「液音열역의 역(悅懌之懌)。」


又北三百里,曰石山,多藏1金玉。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석산이라 하는데, 좋은 금과 옥이 많다.


濩濩2之水出焉,而東流注于虖沱;

여기서 나오는 확확수는, 동쪽으로 흘러 호타수로 들어간다.


鮮于之水出焉,而南流注于虖沱3。

여기서 나오는 선우수는, 남쪽으로 흘러 호타수로 들어간다.


1 학의행(郝懿行)云:「장은(藏),장의 옛 글자(古字作臧),좋다(善也);서차삼경(西次三經)괴강산(槐江之山)좋은 황금과 옥이 많다(多藏黃金玉),같은 의미다(義與此同)。」

2 곽박(郭璞)云:「音척확의 확(尺蠖之蠖)。」

3 원가기록(珂案):經文二호타(虖沱),송본(宋本)均作호타(虖池),오임신(吳任臣)本同。又오임신(吳任臣)本남쪽 앞에 서쪽이 있다(南上有西字)。


又北二百里,曰童戎之山。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동융산이라 한다.


皋涂之水出焉,而東流注于漊液水。

여기서 나오는 고도수는, 동쪽으로 흘러 루액수로 들어간다.


又北三百里,曰高是之山。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고시산이라 한다.


滋水1出焉,而南流注于虖沱,其木多棕,其草多條。

여기서 나오는 자수는, 남쪽으로 흘러 호타수로 들어가고, 산에 나무는 종려나무가 많고, 산에 풀은 조초가 많다.


滱水2出焉,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구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音자(茲)。」

2 곽박(郭璞)云:「音구(寇)。」


又北三百里,曰陸山,多美玉。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육산이라 하는데, 아름다운 옥이 많다.


𨜰水1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강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혹은 담수로 쓰여 있다(或作郯水)。」


又北二百里,曰沂1山。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기산이라 한다.


般2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반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音기(祈)。」

2 곽박(郭璞)云:「音반(盤)。」


北百二十里,曰燕山,多嬰石1。

북쪽으로 백 이십 리를 가면, 연산이라 하는데, 영석이 많다.


燕水出焉,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연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사람이 목걸이를 한 듯한 모양의 무늬가 있는 옥과 비슷한 돌(言石似玉有符彩嬰帶),이른바(所謂) 연석(燕石)者。」학의행(郝懿行)云:「영은 연이 내려오는 소리로 의심(嬰疑燕聲之轉),영대의 의미를 모른다(未必取嬰帶為義)。」


又北山行五百里,水行五百里,至于饒山。

또 북쪽으로 산을 따라 오백 리, 물을 따라 오백 리를 가면, 요산에 이른다.


是無草木,多瑤碧,其獸多橐駞1,其鳥多鶹2。

이곳엔 풀과 나무가 없고, 요벽이 많으며, 산에 짐승은 탁타가 많고, 산에 새는 류가 많다.


歷虢之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역괵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有師魚,食之殺人3。

물안에 사어가 있는데, 먹으면 사람을 죽인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탁타(橐駞),송본(宋本)作탁타(橐駝),已見上文북산경(北山經)괵산(虢山)。

2 곽박(郭璞)云:「모름(未詳)。혹은(或曰),류는(鶹),올빼미다(鵂鶹也)。」

3 곽박(郭璞)云:「모름(未詳)。혹은 예라 쓰여 있다(或作鯢)。」학의행(郝懿行)云:「사(師),옥편(玉篇)作사(鰤),아니다(非也)。곽박(郭)云或作예(鯢)者,사와 예는 전해지는 소리(師、鯢聲之轉),예는 인어다(鯢即人魚也),已見용후산(上文)。유양잡조(酉陽雜俎)云:『골짜기 사이에 사람을 먹는 예어가(峽中人食鯢魚),얼켜있는 나무 위에(縛樹上),매질하면 닥나무 즙 같은 흰 즙이 나오는데(鞭至白汁出如構汁),먹을 수 있지만(方可食),독이 있다(不爾有毒也)。』이것이 맞는 말이다(正與此經合)。」


又北四百里,曰乾山,無草木,其陽有金玉,其陰有鐵而無水1。

또 북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건산이라 하는데, 산에 풀과 나무가 없고, 산의 남쪽에 금과 옥이 있고, 산의 북쪽에 물은 없으나 쇠가 있다.


有獸焉,其狀如牛而三足,其名曰獂2,其鳴自詨。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세 개의 발을 가진 소 같고, 그 이름을 원이라 하며,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1 왕불(汪紱)云:「이를 근거로(據此),건은 간으로 발음해야 한다(則乾當音干)。」

2 학의행(郝懿行)云:「원은 원으로 바꾸어야 한다(獂當為豲),見설문해자(說文)。」원가기록(珂案):필원(畢沅)校本원은 원으로 쓰여 있다(獂正作豲)。


又北五百里,曰倫山。

또 북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윤산(倫山)이라 한다.


倫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윤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有獸焉,其狀如麋,其川在尾上1,其名曰羆2。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사불상 같고, 꼬리 위에 구멍이 있고, 그 이름을 비이라 한다。


1 곽박(郭璞)云:「천은(川),규다(竅也)。」필원(畢沅)云:「이아(爾雅)云:『백주연(白州驠)。』곽박(郭)云:『주는(州),규다(竅)。』천은 주로 바꾸어야 한다(則川當為州)。」원가기록(珂案):經文천(川),왕념손(王念孫)、손성연(孫星衍)並校作주(州)。

2 학의행(郝懿行)云:「장경(藏經)本作비구(羆九),郭氏도찬(圖讚)亦作비구(羆九),疑經文비 다음에 구자가 있다(羆下有九字),현재 책에 빠졌다(今本脫去之)。」원가기록(珂案):經文비(羆),왕념손(王念孫)、손성연(孫星衍)亦均校作비구(羆九)。


又北五百里,曰碣石之山。

또 북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갈석산이라 한다.


繩水出焉,而東流注于河,其中多蒲夷之魚1。

여기서 나오는 승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가고, 물안에 포이어가 많다.


其上有玉,其下多青碧。

산 위에 옥이 있고, 산 아래에 청벽이 많다.


1 곽박(郭璞)云:「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원가기록(珂案):포이어(蒲夷魚)疑即염유어(冉遺魚),已見서차사경(西次四經)영제산(英鞮之山)。


又北水行五百里,至于鴈門之山1,無草木。

또 북쪽으로 물을 따라 오백 리를 가면, 안문산에 이르는데, 풀과 나무가 없다.


1 원가기록(珂案):해내서경(海內西經)云:「안문산은(鴈門山),산의 사이에서 기러기가 나온다(鴈出其閒)。고류의 북쪽에 있다(在高柳北)。」이 산이다(即此山也)。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六「안문산(鴈門山)」節注1。


又北水行四百里,至于泰澤。

또 북쪽으로 물을 따라 사백 리를 가면, 태택에 이른다.


其中有山焉,曰帝都之山,廣員百里,無草木,有金玉。

물안 있는 산을, 제도산이라 하는데, 둘레가 백 리이고, 풀과 나무가 없며, 금과 옥이 있다.


又北五百里,曰錞于毋逢之山,北望雞號之山1,其風如䬅2。

또 북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순우무봉산이라 하는데, 북쪽으로 계호산을 바라보며, 산에 바람은 빠른 바람 같다.


西望幽都之山3,浴水出焉4。

서쪽으로 유도산을 바라보며, 여기서 욕수가 나온다.


是有大蛇,赤首白身,其音如牛,見則其邑大旱。

이곳에 큰 뱀이 있는데, 머리는 붉고 몸은 희며, 그 울음소리는 소 같다, 만나면 그 마을에 큰 가뭄이 든다.


1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옥편(玉篇)引此經並作유호산(惟號之山)。」

2 곽박(郭璞)云:「협은(䬅),갑자기 세차게 일어나는 바람의 모양(急風貌也);音렬(戾)。혹은(或云),표풍(飄風也)。」

3 원가기록(珂案):유도산은 북해의 안에 있다(幽都之山在北海之內),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三「유도산(幽都山)」節注1。

4 곽박(郭璞)云:「욕은(浴)(수(水))即흑수(黑水)也。」


凡北次三經之首,自太行之山以至于無逢之山,凡四十六山,萬二千三百五十里。

무릇 북차삼경의 첫머리인, 태행산부터 무봉산까지, 모두 마흔 여섯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만 이천 삼백 오십 리에 이른다.


其神狀皆馬身而人面者廿神。

산의 신들 모양은 모두 사람 얼굴에 말의 몸을 한 스무 명의 신이다.


其祠之,皆用一藻茞瘞之1。

산의 제사는, 모두 사용한 하나의 조와 신을 땅에 묻는다.


其十四神狀皆彘身而載2玉。

산의 열네 명의 신들 모양은 모두 옥을 머리에 얹고 있고 멧돼지의 몸을 했다.


其祠之,皆玉,不瘞3。

산의 제사는, 제물은 모두 옥이며, 묻지 않는다.


其十神狀皆彘身而八足蛇尾。

산의 열 명의 신들 모양은 모두 여덟 개의 발에 뱀의 꼬리가 달린 멧돼지 몸을 했다.


其祠之,皆用一璧瘞之。

산의 제사는, 모두 사용한 한 개의 벽옥을 묻어 제사를 지낸다.


大凡四十四神,皆用稌糈米祠之,此皆不火食4。

대체로 마흔 네 명의 신이고, 제사를 지내는 젯메쌀은 모두 찰벼를 사용하며, 이곳에서는 모두 음식에 불을 사용하지 않고 날것으로 먹는다.


1 곽박(郭璞)云:「조는(藻),취조(聚藻);신은(茞),향초(香草),난초의 종류(蘭之類),音창과 대의 반절(昌代反)。」원가기록(珂案):經文조신은(藻茞),강소원(江紹原)중국 고대여행의 연구(中國古代旅行之研究)第一章注10조규를 잘못 쓴 것으로 의심 된다(謂疑是藻珪之誤),이 설명의 근거가 이것인데(其說近是),이것을 참고하 였다(可供參攷);옛날에 신에게 기도를 할 때 옥을 모두 땅에 묻었다(古祠神皆以玉瘞),취조와 향초를 묻었다는 것은 듣지 못했다(未聞以聚藻香草瘞者)。參見중산경(中山首)經문장의 끝부분(篇末)注2。

2 학의행(郝懿行)云:「재는 재이고(載亦戴也),옛날에 같은 글자로 통했다(古字通)。」

3 곽박(郭璞)云:「사용한 옥은 묻지 않는다(不薶所用玉也)。」

4 학의행(郝懿行)云:「모두 불을 사용하지 않고 날로 먹는다(皆生食不火之物)。」


右北經之山志,凡八十七山,二萬三千二百三十里。

북경에 기록된 산을 보면, 모두 여든일곱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이만 삼천 이백 삼십 리에 이른다.

동산경(東山經) 번역

산해경/동산경 2018. 2. 28. 00:00

東山經之首,曰樕𧑤1之山,北臨乾昧2。

동산경의 첫머리는, 속주산이라 하는데, 북쪽으로 건매산과 가까이 마주하고 있다.


食水出焉,而東北流注于海。

여기서 나오는 식수는, 동북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其中多鱅鱅之魚,其狀如犁牛3,其音如彘鳴4。

물안에 용용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얼룩소 같고, 그 울음소리는 멧돼지가 우는 것 같다.


1 곽박(郭璞)云:「속주(速株)二音。」

2 곽박(郭璞)云:「역시 산 이름(亦山名也);音매(妹)。」

3 곽박(郭璞)云:「牛似虎文者。」

4 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九三九引此經止기음여체라 쓰여 있는데(作其音如彘),명은 없는 글자다(無鳴字),맞다(是也)。


又南三百里,曰藟1山,其上有玉,其下有金。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뇌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있고, 산 아래에 금이 있다.


湖水出焉,東流注于食水,其中多活師2。

여기서 나오는 호수는, 동쪽으로 흘러 식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활사가 많다.


1 곽박(郭璞)云:「音뢰(誄)。」

2 곽박(郭璞)云:「과두(科斗也) 올챙이,이아(爾雅)활동이라고도 일컫는다(謂之活東)。」


又南三百里,曰栒狀之山,其上多金玉,其下多青碧石。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순상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청벽과 돌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犬,六足,其名曰從從,其鳴自詨。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개 같고, 발이 여섯 개이며, 그 이름을 종종이라 한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有鳥焉,其狀如雞而鼠毛1,其名曰䖪2鼠,見則其邑大旱。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쥐의 털이 난 닭 같고, 그 이름을 자서라 하며, 만나면 그 마을에 큰 가뭄이 든다.


𣲵3水出焉,而北流注于湖水。

여기서 나오는 지수는, 북쪽으로 흘러 호수로 들어간다.


其中多箴魚,其狀如儵4,其喙如箴5,食之無疫疾。

물안에 잠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피라미 같고, 그 주둥이가 바늘 같으며, 먹으면 돌림병이 없어진다.


1 학의행(郝懿行)云:「모는(毛),설문해자(說文)꼬리라 쓰여 있다(作尾)。」

2 곽박(郭璞)云:「音자(咨)。」

3 곽박(郭璞)云:「音지(枳)。」

4 학의행(郝懿行)云:「숙은 즉 조다(儵即鯈字)。」

5 곽박(郭璞)云:「동해로 나간다(出東海);현재 강동의 물안에도 있다(今江東水中亦有之)。」


又南三百里,曰勃亝1之山,無草木,無水。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발제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물이 없다.


1 왕불(汪紱)云:「제는(亝),제의 옛 글자(古齊字)。」


又南三百里,曰番條之山,無草木,多沙。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번조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모래가 많다.


減水1出焉,北流注于海,其中多魚2。

여기서 나오는 감수는, 북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고, 물안에 자가사리가 많다.


1 곽박(郭璞)云:「音同감손의 감(減損之減)。」학의행(郝懿行)云:「감은 즉 감속의 글자(減即減損之字),감이라 쓰게 된 이유는(何須用音),경문에 감이라 쓰여 있다 알려졌만(知經文必不作減),어느 글자가 잘못된 것인지 확실하지 않다(未審何字之訛)。」

2 곽박(郭璞)云:「황협이라고도 한다(一名黃頰);音감(感)。」


又南四百里,曰姑兒之山,其上多漆,其下多桑柘。

또 남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고아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옻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뽕나무와 산뽕나무가 많다.


姑兒之水出焉,北流注于海,其中多鱤魚。

여기서 나오는 고아수는, 북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고, 물안에 자가사리가 많다.


又南四百里,曰高氏之山,其上多玉,其下多箴石1。

또 남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고씨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잠석이 많다.


諸繩之水出焉,東流注于澤,其中多金玉。

여기서 나오는 제승수는, 동쪽으로 흘러 못으로 들어가고, 물안에 금과 옥이 많다.


1 곽박(郭璞)云:「이것을 갈아 돌침을 만들 수 있다(可以為砥(폄(砭)))악창과 종기를 침술로 치료한다(針治癰腫者)。」


又南三百里,曰嶽山,其上多桑,其下多樗。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악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뽕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가죽나무가 많다.


濼1水出焉,東流注于澤,其中多金玉。

여기서 나오는 낙수는, 동쪽으로 흘러 못으로 들어가고, 물안에 금과 옥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濼音락(落)。


又南三百里,曰山1,其上無草木,其下多水,其中多堪㐨2之魚。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시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고, 산 아래에 물이 많고, 물안에 감서어가 많다.


有獸焉,其狀如夸父而彘毛,其音如呼,見則天下大水。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멧돼지 털이 난 과보 같고, 그 울음소리는 호통 같으며, 만나면 온 세상에 홍수가 난다.


1 학의행(郝懿行)云:「시는 즉 시가 잘못하여 딴 글자로 된 글자(即豺別字)。」

2 곽박(郭璞)云:「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音서(序)。」


又南三百里,曰獨山,其上多金玉,其下多美石。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독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미석이 많다.


末塗之水出焉,而東南流注于沔,其中多䖺䗤1,其狀如黃蛇,魚翼,出入有光,見則其邑大旱。

여기서 나오는 말도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면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조용이 많은데, 그 모양이 누런 뱀 같고, 물고기 지느러미가 있으며, 드나들 때 빛이 난다, 만나면 그 마을에 큰 가뭄이 든다.


1 곽박(郭璞)云:「조용(條容)二音。」


又南三百里,曰泰山1,其上多玉2,其下多金。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태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금이 많다.


有獸焉,其狀如豚而有珠,名曰狪狪3,其鳴自訆。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구슬을 지닌 새끼돼지 같고, 이름을 통통이라 한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訆).


環水出焉,東流注于江4,其中多水玉。

여기서 나오는 환수는, 동쪽으로 흘러 장강으로 들어가고, 물안에 수정이 많다.


1 곽박(郭璞)云:「즉 동악 대종이다(即東嶽岱宗也)。현재 태산 봉고현 서북쪽에 있다(今在泰山奉高縣西北),산의 아래에서 꼭대기까지 사십 팔 리에 이르고 삼백 보다(從山下至頂四十八里三百步也)。」원가기록(珂案):태산은 현재 산동성 태안현 북쪽에 있다(泰山在今山東省泰安縣北)。

2 원가기록(珂案):사기(史記)진시황(秦始皇)본기(本紀)정의(正義)引此經옥은 돌로 쓰여 있다(玉作石)。

3 원가기록(珂案):狪音통(通)。

4 곽박(郭璞)云:「바다라 쓰기도 한다(一作海)。」


又南三百里,曰竹山,錞于江1,無草木,多瑤碧。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죽산이라 하는데, 장강까지 이어져 있고, 풀과 나무가 없으며, 요벽이 많다.


激水出焉,而東南流注于娶檀之水,其中多茈羸2。

여기서 나오는 격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취단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자리가 많다.


1 곽박(郭璞)云:「애라 쓰기도 한다(一作涯)。」

2 학의행(郝懿行)云:「리는 라로 바꾸어야 한다(羸當為蠃),잘못된 글자(字之訛);자라는(茈蠃),자주색 소라다(紫色蠃也)。」원가기록(珂案):오임신(吳任臣)、하작(何焯)、필원(畢沅)校同;왕불(汪紱)本正作라(蠃)。


凡東山經之首,自樕𧑤之山以至于竹山,凡十二山,三千六百里。

무릇 동산경의 첫머리인, 속주산부터 죽산까지, 모두 스물 두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삼천 육백 리에 이른다.


其神狀皆人身龍首。

산의 신들 모양은 모두 몸은 인간에 머리는 용이다.


祠:毛用一犬祈,䎶用魚1。

제사는:제물은 한 마리의 개를 사용해 산제사를 지내고, 물고기의 피를 바르고 제사를 지낸다.


1 곽박(郭璞)云:「제물을 바치기 위해 피를 바르고 제사를 지낸다(以血塗祭為䎶也)。공양전(公羊傳)云:『제물의 코를 꿰어 끌어 당겨 제사를 지낸다(蓋叩其鼻以䎶社)。』音조이의 이(釣餌之餌)。」원가기록(珂案):경문과 주서의 이는(經文及注文之䎶),왕불(汪紱)本、필원(畢沅)本均作이(衈),학의행(郝懿行)亦校作이(衈),이는 피를 바르는 것을 일컫는다(謂衈者釁也),먼저 귀 옆의 털을 잘라 바치고 제물를 찌르고 베어 피를 바른다(將刲割牲以釁、先滅耳旁毛薦之);又謂곽박(郭)引공양전(公羊傳)乃공량전(穀梁傳) 잘못됨(之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