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산경(北山經) 번역

산해경/북산경 2018. 2. 28. 00:00

北山經之首,曰單狐之山,多机木1,其上多華草2。

북산경의 첫머리를, 단호산이라 하는데, 느티나무가 많고, 산 위에 화초가 많다.


漨3水出焉,而西流注于泑水,其中多芘石4文石。

여기서 나오는 봉수는, 서쪽으로 흘러 유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비석과 문석이 많다.


1 곽박(郭璞)云:「느티나무는 느릅나무와 비슷하고(机木似榆),이것을 태워 논밭에 거름으로 쓸 수 있다(可燒以糞稻田),촉에서 자란다(出蜀中);音기(飢)。」양신(楊慎)云:「현재 오리나무다(即今之榿也)。」

2 원가기록(珂案):화초는(華草),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

3 곽박(郭璞)云:「音봉(逢)。」

4 학의행(郝懿行)云:「비는 자로 쓰여야 한다(疑芘當為茈),자는 옛 글자로 자를 임시로 빌려쓰던 글자다(茈古字假借為紫也)。」원가기록(珂案):經文비(芘),왕불(汪紱)本자로 쓰여 있다(正作茈)。


又北二百五十里,曰求如之山,其上多銅,其下多玉,無草木。

또 북쪽으로 이백 오십 리를 가면, 구여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구리가 많고, 산 아래에 옥이 많으며, 풀과 나무가 없다.


滑水出焉,而西流注于諸毗之水1。

여기서 나오는 활수는, 서쪽으로 흘러 제비수로 들어간다.


其中多滑魚,其狀如鱓2,赤背,其音如梧3,食之已疣4。

그 안에 활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드렁허리 같고, 등이 붉으며, 그 울음소리는 사람이 우물거리는 소리 같다, 먹으면 사마귀가 낫는다.


其中多水馬,其狀如馬,文臂牛尾5,其音如呼6。

그 안에 있는 수마는, 모양이 말 같고, 앞다리에 무늬와 소의 꼬리가 있다, 그 울음소리는 사람이 소리치며 부르는 소리 같다.


1 곽박(郭璞)云:「제비산에서 나오는 물이다(水出諸毗山也)。」원가기록(珂案):서차삼경(西次三經)云:「괴강산(槐江之山),북쪽으로 제비를 바라보고(北望諸毗)。」 바로 이 산 이다(即此山也)。

2 곽박(郭璞)云:「드렁허리는 뱀과 비슷하다(鱓魚似蛇);音선(善)。」원가기록(珂案):선어는(即鱔魚),보통 황선이라 부른다(俗稱黃鱔)。

3 곽박(郭璞)云:「사람이 우물거리는 소리 같다(如人相枝梧聲);音오자의 오(吾子之吾)。」

4 곽박(郭璞)云:「우는(疣),췌다(贅也)。혹을 말한다」

5 곽박(郭璞)云:「비는(臂),앞다리다(前腳也)。」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八九六引此經文비자 앞에 이라는 글자가 있다(臂上有而字),맞다(是也)。

6 곽박(郭璞)云:「사람이 소리치며 부르는 소리 같다(如人叫呼)。」학의행(郝懿行)云:「호는(呼),말이 크게 울부짖는 것을 일컫는다(謂馬叱吒也)。」


又北三百里,曰帶山,其上多玉,其下多青碧。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대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청벽이 많다.


有獸焉,其狀如馬,一角有錯1,其名曰䑏2疏,可以辟火。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말 같고, 뿔이 하나에 있는데 거친 숫돌 같다, 그 이름을 환소라 하며, 이것을 기르면 화재를 피할 수 있다.


有鳥焉,其狀如烏,五采而赤文,名曰鵸䳜3,是自為牝牡,食之不疽4。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까마귀 같고, 붉은 무늬에 다채로운 색을 했으며, 이름을 기여라 한다, 이것을 스스로 암컷과 수컷를 정하고, 먹으면 등창이 안 생긴다.


彭水出焉,而西流注于芘湖5之水,其中多儵魚6,其狀如雞而赤毛,三尾、六足、四首7,其音如鵲,食之可以已憂。

여기서 나오는 팽수는, 서쪽으로 흘러 비호수로 들어간다, 그 안에 유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붉은 털이 난 닭 같고, 세 개의 꼬리와 여섯 개의 발과 네 개의 머리가 있으며, 그 울음 소리는 까치 같다, 먹으면 우울함이 나을 수 있다.


1 곽박(郭璞)云:「뿔의 껍질이 말라 소나무껍질처럼 된 것(言角有甲錯也);혹은 착으로 쓰여 있다(或作厝)。」학의행(郝懿行)云:「의자는 착이 되어야 한다(依字正當為厝)。설문해자(說文)云:착은(厝),거친 숫돌이다(厲石也);引시경(詩)『다른 산의 하찮은 돌이라도(他山之石),이것은 내가 가진 옥을 가는 숫돌이 될 수 있다(可以為厝)』。현재 시경에서 숫돌이라 알려져 있다(今詩通作錯)。」

2 곽박(郭璞)云:「音환(歡)。」

3 원가기록(珂案):기여(鵸䳜)已見서차삼경(西次三經)익망산(翼望之山),그 새와 다르다(與此異)。

4 곽박(郭璞)云:「큰 종기가 없다(無癰疽病也)。」

5 원가기록(珂案):經文비는(芘),태평어람(太平御覽)卷九三七引자로 쓰여 있다(作茈)。

6 곽박(郭璞)云:「音유(由)。」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御覽)卷九三七引숙이라 쓰여 있다(作儵);학의행(郝懿行)云:「숙과 유는 같다(儵與鯈同),옥편(玉篇)유라 쓰여 있다(作鯈)。」

7 원가기록(珂案):經文네 개의 머리(四首),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並校네 개의 눈이라 쓰여 있다(作四目)。학이행(郝)云:「현재 그림에 도 네 개의 눈으로 되어 있다(今圖正作四目)。」


又北四百里,曰譙明之山,譙水出焉,西流注于河。

또 북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초명산이라 하는데, 여기서 나오는 초수는 서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多何羅之魚,一首而十身,其音如吠犬1,食之已癰。

그 안에 하라어가 많은데, 몸에 열 개에 머리가 한 개 이다, 그 울음소리는 개가 짖는 것 같고, 먹으면 악창이 낫는다.


有獸焉,其狀如貆而赤豪2,其音如榴榴,名曰孟槐,可以禦凶3。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털이 붉은 호저 같고, 그 울음소리는 유유 같으며, 이름을 맹괴라 한다, 이것을 기르면 흉한 일을 막을 수 있다.


是山也,無草木,多青雄黃4。

이 산은, 풀과 나무가 없고, 청웅황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초학기(初學記)卷三十引此經개가 짖음으로 쓰여 있다(作犬吠)。오임신(吳任臣)산해경(山海經)廣注引이어도찬(異魚圖贊)云:「하라어는(何羅之魚),몸이 열 개에 머리가 한 개다(十身一首);새가 변한 것이고(化而為鳥),그 이름은 휴구다(其名休舊);봄(해가 지면)에 양식을 훔치고(竊糈于春(舂?)),다쳐서 절구에 사로잡혀 있다(傷隕在臼);밤에 날며 소리를 끌어당긴다(夜飛曳音),봄내를 맡으며(우레소릴 들으며) 질주한다(聞春(雷?)疾走)。」즉 이 물고기과 관련된 다름 이야기이다(則是關於此魚之異聞也)。열 개의 머리에 몸이 한 개인 고획조의 의미는(意十首一身之姑獲鳥(귀차(鬼車))),고획조는 이 물고기가 잘못 변한 것일 수도(其此魚之所化乎)?왕숭경(王崇慶)云:「하라어(何羅之魚),귀차조(鬼車之鳥),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可以並觀)。」맞다(是也)。

2 곽박(郭璞)云:「환은(貆),호저다(豪豬也);音환(丸)。」원가기록(珂案):환저는 흰 호저로(貆豬白豪),已見서산경(西山經)죽산(竹山)。

3 곽박(郭璞)云:「흉하고 사악한 기운을 피한다(辟凶邪氣也)。또한 외수화를 보면(亦在畏獸畫中也)。」

4 곽박(郭璞)云:「청벽이 많다로도 쓰여 있다(一作多青碧)。」


又北三百五十里,曰涿光之山,囂水出焉,而西流注于河。

또 북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탁광산이라 하는데, 여기서 나오는 효수는 서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多鰼鰼之魚1,其狀如鵲而十翼,鱗皆在羽端,其音如鵲,可以禦火,食之不癉。

그 안에 습습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열 개의 날개가 달린 까치 같고, 비늘이 모두 날개 끝에 있으며, 그 울음소리는 까치 같다, 이것을 기르면 화재를 막을 수 있고, 먹으면 황달이 안 생긴다.


其上多松柏,其下多棕橿,其獸多麢羊,其鳥多蕃2。

산 위에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종려나무와 강목이 많다, 산에 짐승은 영양이 많고, 산에 새는 번이 많다.


1 곽박(郭璞)云:「音고습의 습(袴褶之褶)。」

2 곽박(郭璞)云:「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솔개라고도 한다(或云即鴞),音번(煩)。」


又北三百八十里,曰虢山1,其上多漆,其下多桐椐2,其陽多玉,其陰多鐵。

또 북쪽으로 삼백 팔십 리를 가면, 괵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옻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오동나무와 영수목이 많다, 산의 남쪽에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철이 많다.


伊水出焉,西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이수는, 서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獸多橐駝3,其鳥多寓4,狀如鼠而鳥翼,其音如羊,可以禦兵。

산에 짐승은 탁타가 많고, 산에 새는 우가 많은데, 모양이 새의 날개가 달린 쥐 같고, 그 울음소리는 양 같다, 이것을 기르면 날이 선 병기를 피할 수 있다.


1 학의행(郝懿行)云:「초학기(初學記)及태평어람(太平御覽)引此經並作호산(號山),이아(爾雅)疏作호산(䝞山),호는 즉 호의 다른 글자다(䝞即號之異文也)。」

2 곽박(郭璞)云:「동은(桐),오동이다(梧桐也);거는(椐),궤목(樻木),마디가 굵어 지팡이로 쓰이다(腫節中杖)。椐音거(袪)。」

3 곽박(郭璞)云:「몸에 안장이 있다(有肉鞍),사막에서도 잘 다니고(善行流沙中),하루에 삼백 리를 가며(日行三百里),그것은 천근의 짐을 진다(其負千斤),샘솟는 물이 있는 곳을 안다(知水泉所在也) 낙타일듯 하다。」

4 학의행(郝懿行)云:「방언(方言)云:『우는(寓),기다(寄也)。』此經우조(寓鳥),蓋박쥐의 종류다(蝙蝠之類)。」


又北四百里,至于虢山之尾,其上多玉而無石。

또 북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괵산의 끄트머리에 이르는데, 산 위에 돌은 없으나 옥이 많다.


魚水出焉,西流注于河,其中多文貝。

여기서 나오는 어수는, 서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가고, 그 안에 문패가 많다.


又北二百里,曰丹熏之山,其上多樗柏,其草多韭䪥1,多丹雘。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단훈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가죽나무와 측백나무가 있고, 산에 풀은 부추와 염교가 많고, 질이 좋은 붉은 찰흙이 많다.


熏水出焉,而西流注于棠水。

여기서 나오는 훈수는, 서쪽으로 흘러 당수로 들어간다.


有獸焉,其狀如鼠,而菟首麋身2,其音如獆犬,以其尾飛3,名曰耳鼠4,食之不䐆5,又可以禦百毒。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쥐 같은데, 토끼 머리에 사슴 몸이다, 그 울음소리는 개가 짖는 것 같고, 그 꼬리로 날아다니며, 이름을 이서라 한다, 먹으면 배가 나오지 않고, 또한 이것을 기르면 온갖 독을 막을 수 있다.


1 곽박(郭璞)云:「모두 산나물이다(皆山菜);이아(爾雅) 그 이름이 있다(有其名)。」원가기록(珂案):이아(爾雅) 석초(釋草)云:「육은(蒮),산부추(山韭);경은(葝),산염교다(山䪥)。」䪥音계(械),해와 같다(同薤)。

2 원가기록(珂案):초학기(初學記)卷二十九引此經作토끼 머리에 사불상의 귀(兔頭麋耳)。왕념손(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獸廿二作사불상의 귀(麋耳),초학기(初學)同,백첩(白帖)九十八作사슴의 귀(鹿耳)。귀로 쓰는 것이 맞다(當係耳字)。」

3 곽박(郭璞)云:「혹은 목구멍 아래에 난 깃털로 날아다닌다로 쓰여 있다(或作髯飛)。獆音호(豪)。」

4 학의행(郝懿行)云:「疑即이아(爾雅)날다람쥐(鼯鼠)를 잘못 쓰다(夷由也),이와 오는 같은 소리라 전해진다(耳、鼯、夷並聲之通轉);그 모양은 몸에 날개가 꼬리와 발까지 이어져 있다(其形肉翅連尾足),그러므로 꼬리로 나는 것이다(故曰尾飛)。」

5 곽박(郭璞)云:「채는(䐆),배가 불룩하게 나오다(大腹也),見작고 푸르다(裨蒼);音채(采)。


又北二百八十里,曰石者之山,其上無草木,多瑤碧1。

또 북쪽으로 이백 팔십 리를 가면, 석자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고, 요벽이 많다.


泚水出焉,西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자수는 서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有獸焉,其狀如豹,而文題2白身,名曰孟極,是善伏3,其鳴自呼。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표범 같고, 이마에 무늬가 있고 몸이 희다, 이름을 맹극이라 하는데, 이것은 감추는 것을 좋아하고,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1 학의행(郝懿行)云:「벽은(碧),장경(藏經)本옥이라 쓰여 있다(作玉)。」

2 곽박(郭璞)云:「제는(題),액이다(頟也)。」원가기록(珂案):액은(頟),즉 액이다(即額字)。

3 왕숭경(王崇慶)云:「선복은(善伏),감추는 것을 좋아한다(言善藏也);혹은 엎드려 눕다의 엎드려이다(或伏臥之伏)。」


又北百一十里,曰邊春之山1,多蔥2、葵、韭、桃3、李。

또 북으로 일백 일십 리를 가면, 변춘산이라 하는데, 산마늘과 해바라기와 부추와 복숭아나무와 오얏나무가 많다.


杠水出焉,而西流注于泑澤4。

여기서 나오는 강수는, 서쪽으로 흘러 유택으로 들어간다.


有獸焉,其狀如禺而文身5,善笑,見人則臥6,名曰幽鴳7,其鳴自呼。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몸에 무늬가 있는 원숭이 같고, 잘 웃으며, 사람을 보면 거짓으로 자는 척 한다, 이름을 유알이라 하며, 그것은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1 곽박(郭璞)云:「혹은 용산이라 쓰여 있다(或作舂山)。」학의행(郝懿行)云:「목천자전(穆天子傳)有용산(舂山),즉 종산이다(即鍾山也),已見서산경(西山經)。」원가기록(珂案):종산(鍾山)見서차삼경(西次三經)。

2 곽박(郭璞)云:「산총은(山蔥),이름은 산마늘(名茖),큰 잎(大葉)。」원가기록(珂案):산총(山蔥)見이아(爾雅)석초(釋草)。

3 곽박(郭璞)云:「개복숭아(山桃),산복숭아(榹桃),열매가 작다(子小),씨가 쪼개지지 않는다(不解核也)。」원가기록(珂案):산복숭아(榹桃)見이아(爾雅)석목(釋木)。

4 원가기록(珂案):유택(泑澤)已見서차삼경(西次三經)부주산(不周之山)。

5 원가기록(珂案):經文무늬 있는 몸(文身),태평어람(太平御覽)卷九一三引作무늬 있는 등(文背)。

6 곽박(郭璞)云:「거짓으로 잠을 잔다(言佯眠也)。」

7 곽박(郭璞)云:「혹은 독회라 쓰여 있다(或作嬻嬒)。鴳音알(遏)。」원가기록(珂案):經文유알(幽鴳),태평어람(御覽)卷九一三引作유알(幽頞),引도찬(圖讚)亦作유알(幽頞),근거(據)곽박(郭)音,作유알(幽頞)맞다(是也)。


又北二百里,曰蔓聯之山1,其上無草木。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만련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다.


有獸焉,其狀如禺而有鬣,牛尾、文臂、馬蹏,見人則呼2,名曰足訾,其鳴自呼。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갈기가 있는 원숭이 같고, 소 꼬리와 무늬 있는 팔과 말의 굽을 하고 있으며, 사람을 보면 소리지른다, 이름을 족자라 하고, 그것은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有鳥焉,群居而朋飛3,其毛如雌雉,名曰鵁4,其鳴自呼,食之已風。

여기 있는 새는, 무리 지어 날고 무리 지어 산다, 그 털은 암꿩 같고, 이름을 교라하며, 그것은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먹으면 중풍이 낫는다.


1 곽박(郭璞)云:「만련(萬連)二音。」

2 왕념손(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獸廿五呼웃는다로 쓰여 있다(作笑)。」

3 곽박(郭璞)云:「붕은 배와 같다(朋猶輩也)。」

4 곽박(郭璞)云:「音교(交);혹은 갈이라 쓰여 있다(或作渴也)。」학의행(郝懿行)云:「옥편(玉篇)교(鵁)云:『백교조는 무리 지어 날며(白鵁鳥群飛),꼬리는 암꿩 같다(尾如雌雞)。』疑經文털은 꼬리가 잘못 쓰인 글자(毛當為尾字之訛)。」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교 혹은 갈이라 쓰여있다(鵁或作渴),의심(疑)即이아(爾雅) 이른바(所謂) 복치(鳪雉)也。


又北百八十里,曰單張之山,其上無草木。

또 북쪽으로 일백 팔십 리를 가면, 단장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다.


有獸焉,其狀如豹而長尾,人首而牛耳,一目,名曰諸犍1,善吒,行則銜其尾,居則蟠其尾。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긴 꼬리가 달린 표범 같고, 소의 귀가 달린 사람 머리 같으며, 눈이 한 개다, 이름을 제건이라 하고, 혀 차는 것을 좋아한다, 움직일 때 꼬리를 입에 물고, 앉을 때 꼬리를 몸에 감는다.


有鳥焉,其狀如雉,而文首、白翼、黃足,名曰白鵺2,食之已嗌痛3,可以已痸4。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꿩 같은데, 무늬 있는 머리와 흰 머리와 누런 발이고, 이름을 백야라 한다, 먹으면 목구멍 아픈 것이 낫고 이것을 기르면 치매가 낫는다.


櫟水出焉,而南流注于杠水。

여기서 나오는 역수는, 남쪽으로 흘러 강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音如건우의 건(犍牛之犍)。」

2 곽박(郭璞)云:「音야(夜)。」

3 곽박(郭璞)云:「익은(嗌),인이다(咽也)。곡량전(穀梁傳)曰:『밥알이 목구멍으로 넘어가지 않는다(嗌不容粒)。』현재 오나라 사람들은 인을 애라 한다(今吳人呼咽為嗌),音애(隘)。」

4 곽박(郭璞)云:「체병은(痸),치병이다(癡病也)。」


又北三百二十里,曰灌題之山,其上多樗柘,其下多流沙,多砥。

또 북쪽으로 삼백 이십 리를 가면, 관제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가죽나무와 산뽕나무가 많고, 산 아래 흩날리는 모래가 많고, 고운 숫돌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牛而白尾,其音如訆1,名曰那父。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흰 꼬리가 달린 소 같고, 그 울음소리는 사람이 크게 외치는 소리 같다, 이름을 나보라 한다.


有鳥焉,其狀如雌雉而人面,見人則躍,名曰竦斯2,其鳴自呼也。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사람 얼굴을 한 암꿩 같고, 사람을 보면 뛰어오른다, 으름을 송사라 하는데, 그것은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匠韓之水出焉,而西流注于泑澤,其中多磁石3。

여기서 나오는 장한수는, 서쪽으로 흘러 유택으로 들어가고, 그 안에 자석이 많다.


1 곽박(郭璞)云:「사람이 크게 외치는 소리 같다(如人呼喚);訆音규(叫)。」

2 학의행(郝懿行)云:「초사(楚詞)복거(卜居)云:『남의 비유를 맞추며 아부를 한다(將哫訾慄斯)。』왕일(王逸)注云:『웃어른을 뵙는 모양(承顏色也)。』족자(哫訾)即족자(足訾),같은 발음(其音同);율사(慄斯)即송사(竦斯),전해 내려오는 소리(聲之轉)。」원가기록(珂案):만련산(上文)족자(足訾)「사람을 보면 소리지른다(見人則呼(혹은 웃는다(或笑)))」,여기(此)송사(竦斯)「사람을 보면 뛰어오른다(見人則躍)」,正왕일(王逸)注所謂「웃어른을 뵙는 모양(承顏色)」之狀;학의행(郝)해석이 믿을 만하다(說可信)。

3 곽박(郭璞)云:「이것으로 쇠를 찾을 수 있다(可以取鐵)。관자(管子)曰:『산 위에 자석이 있으면(山上有磁石者),산 아래 반드시 구리가 있다(下必有銅)。』音자(慈)。」


又北二百里,曰潘侯之山,其上多松柏,其下多榛楛,其陽多玉,其陰多鐵。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번후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개암나무와 모형나무가 많다, 산의 남쪽에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쇠가 많다.


有獸焉,其狀如牛,而四節生毛,名曰旄牛1。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소 같고, 다리 관절마다 털이 나있으며, 이름을 모우라 한다.


邊水出焉,而南流注于櫟澤。

여기서 나오는 변수는, 남쪽으로 흘러 역택으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현재 모우는 등과 무릎에서 꼬리까지 드리워저 있고 털이 전부 길다(今旄牛背膝及胡尾皆有長毛) 모우는 야크다。」원가기록(珂案):모우 관련(關於旄牛),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五「모마(旄馬)」節注1。


又北二百三十里,曰小咸之山,無草木,冬夏有雪。

또 북쪽으로 이백 삼십 리를 가면, 소함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사시사철 눈이 있다.


北二百八十里,曰大咸之山,無草木,其下多玉。

북쪽으로 이백 팔십 리를 가면, 대함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산 아래에 옥이 많다.


是山也,四方,不可以上。

이 산은, 네모져서, 오를 수 없는 산이다.


有蛇名曰長蛇1,其毛如彘豪2,其音如鼓柝3。

이름이 장사라는 뱀이 있는데, 그 털은 멧돼지 털 같고, 그 울음소리는 딱따기를 두드리는 소리 같다.


1 원가기록(珂案):회남자(淮南子)본경편(本經篇)云:「예는 동정호에서 수사를 절단 냈다(羿斷修蛇於洞庭)。」즉 예가 잡을 뱀의 종류다(即此之類)。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五「파사는 코끼리를 먹는다(巴蛇食象)」節注1。

2 곽박(郭璞)云:「전해지는 말로(說者云) 길이가 백 심이나 되었다(長百尋) 심은 팔 척이다。현재 살모사 같이 쑥무늬와 줄무늬가 있다(今蝮蛇色似艾綬文),글에 있는 털은 돼지 갈기이고(文間有毛如豬鬐),此其類也。」

3 곽박(郭璞)云:「밤에 돌아다니며(如人行夜),서로 마주 쳐서 딱딱 소리를 내게 만든 두 짝의 나무토막(敲木柝聲);音탁(託)。」


又北三百二十里,曰敦薨之山,其上多棕柟,其下多茈草。

또 북쪽으로 삼백 이십 리를 가면, 돈훙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종려나무와 녹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자초가 많다. 


敦薨之水出焉,而西流注于泑澤。

여기서 나오는 돈훙수는, 서쪽으로 흘러 유택으로 들어간다.


出于昆侖之東北隅,實惟河原。

곤륜의 동북쪽 구석에서 나오며, 여기가 바로 황하의 근원지이다


其中多赤鮭1,其獸多兕、旄牛2,其鳥多鳲鳩3。

그 안에 붉은 연어가 많고, 산에 짐승은 외뿔소와 모우가 많으며, 산에 새는 뻐꾸기가 많다.


1 곽박(郭璞)云:「현재 이름이 후태에서 규어로 바뀌었다(今名鯸鮐為鮭魚);音규(圭)。」

2 곽박(郭璞)云:「혹은 복우로 쓰여 있다(或作樸牛),복우(樸牛)見이소(離騷)천문(天問),所모름(未詳)。」원가기록(珂案):초사(楚辭)천문(天問)云:「왕해의 아우 긍은 아비 왕계의 덕을 지니고(恆秉季德), 어떻게 큰 소를 얻었는가?(焉得夫朴牛?)」왕일(王逸)注:「박은(朴),대이다(大也)。」박우는 복우다(當即此樸牛矣)。분명히 박우는 복우다(然朴牛又即服牛),有「소를 부리고 말을 타며(服牛乘馬)、무거운 짐을 수레이 실어 먼 곳으로 보내니(引重致遠)」(역계사(易繫辭))의 뜻(之義),마땅히 해는(及該)(왕해(王亥))、긍은(恆)(왕긍(王恆))잃은 것과 얻을 것의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失之得之之由),此곽박(郭)云「所모름(未詳)」也。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九「왕해(王亥)」節注5。

3 원가기록(珂案):經文시구(鳲鳩),송본(宋本)、장경(藏經)本、모의(毛扆)本均作시구(尸鳩)。학의행(郝懿行)云:「시는 당연히 시가 변한 것이다(鳲當為尸)。」


又北二百里,曰少咸之山,無草木,多青碧。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소함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청벽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牛,而赤身、人面、馬足,名曰窫窳1,其音如嬰兒,是食人。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소 같고, 붉은 몸과 사람 얼굴과 말의 발이며, 이름을 알유라 한다, 그 울음소리는 젖먹이 같고, 이것은 사람을 먹는다.


敦水出焉,東流注于鴈門之水2,其中多䰽䰽之魚3,食之殺人。

여기서 나오는 돈수는, 동쪽으로 흘러 안문수로 들어간다, 그 안에 패패어가 많고, 먹기 위해 사람을 죽인다.


1 곽박(郭璞)云:「이아(爾雅)云:『알유는 이리와 비슷하고(窫窳似貙),범 발톱이다(虎爪)。』與此錯。알유(軋愈)二音。」학의행(郝懿行)云:「해내남경(海內南經)云:『알유는 용 머리이고(窫窳龍首),익수 안에 산다(居弱水中)。』해내서경(海內西經)云:『알유는 뱀의 몸에 사람 얼굴이다((窫窳蛇身人面)。』又與此及이아(爾雅)서로 다르다(不同)。」원가기록(珂案):알유관련(關於窫窳),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五「알유는 용 머리다(窫窳龍首)」節注1及注4。

2 곽박(郭璞)云:「안문산 사이에서 나오는 물(水出鴈門山間)。」

3 곽박(郭璞)云:「音패(沛);모름(未詳)。혹은 포라고 쓰여 있다(或作鯆)。」필원(畢沅)云:「즉 국어고(即䱡魚也),강돈이라고 한다(一名江豚) 돌고래다。」


又北二百里,曰獄法之山。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옥법산이라 한다.


瀤1澤之水出焉,而東北流注于泰澤。

여기서 나오는 회택수는, 동북쪽으로 흘러 태택으로 들어간다.


其中多䲃魚2,其狀如鯉而雞足,食之已疣。

그 안에 조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닭의 발이 달린 잉어 같고, 먹으면 혹이 낫는다.


有獸焉,其狀如犬而人面,善投,見人則笑,其名山𤟤3,其行如風,見則天下大風。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사람 얼굴을 한 개 같고, 던지는 것을 좋아하며, 사람을 보면 웃는다, 그 이름을 산휘라 하는데, 그것은 바람 같이 움직이고, 만나면 온 세상에 큰 바람이 분다.


1 곽박(郭璞)云:「音회(懷)。」

2 곽박(郭璞)云:「音조(藻)。」

3 곽박(郭璞)云:「音휘(暉)。」원가기록(珂案):산휘는 즉 거보와 효양의 종류(山𤟤蓋即舉父、梟陽之類也);거보(舉父)已見서차삼경(西次三經) 숭오산(崇吾之山),효양(梟陽)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五「효양국(梟陽國)」節注4。


又北二百里1,曰北嶽之山,多枳棘剛木2。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북악산이라 하는데, 탱자나무와 멧대추나무와 단단한 나무가 많다


有獸焉,其狀如牛,而四角、人目、彘耳,其名曰諸懷,其音如鳴鴈,是食人。

여기 짐승은, 그 모양이 소 같고, 네 개의 뿔과 사람의 눈과 멧돼지의 귀를 했으며, 그 이름을 제회라 한다, 그 울음소리는 기러기의 울음소리 같고, 이것은 사람을 잡아먹는다.


諸懷之水出焉,而西流注于囂水,其中多鮨魚3,魚身而犬首,其音如嬰兒4,食之已狂。

여기서 나오는 제회수는, 서쪽으로 흘러 효수로 들어간다, 그 안에 예어가 많은데, 머리는 개이고 몸은 물고기이다, 그 울음소리는 젖먹이 같다, 먹으면 광증이 낫는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이백 리(二百里),오관(吳寬)초본(抄本)作일백 리(一百里),소은(邵恩)多校同。

2 곽박(郭璞)云:「단자의 종류(檀柘之屬)。」

3 곽박(郭璞)云:「音예(詣)。」

4 곽박(郭璞)云:「현재 바다 안 호록어와 해희(今海中有虎鹿魚及海豨),몸은 모두 물고기이고 머리는 호록저와 비슷하다(體皆如魚而頭似虎鹿豬),같은 종류(此其類也)。」학의행(郝懿行)云:「찾아서 가져옴(推尋)곽박(郭)義,此經예어는 개의 머리가 달리고 물고기 몸과 꼬리를 했다(鮨魚蓋魚身魚尾而狗頭),극은 물개와 비슷하다(極似今海狗),본초(本草)서술된 뼈는(家謂之骨)(물개(膃))물개가 맞다(肭獸是也)。」


又北百八十里,曰渾夕之山,無草木,多銅玉。

또 북쪽으로 일백 팔십 리를 가면, 혼석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구리와 옥이 많다.


囂水出焉,而西北流注于海。

여기서 나오는 효수는, 서북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有蛇一首兩身,名曰肥遺,見則其國大旱1。

머리는 하나에 몸은 둘인 뱀이 있는데, 이름을 비유이라 한다, 만나면 그 나라에 큰 가뭄이 든다.


1 곽박(郭璞)云:「관자(管子)曰:『마른 물의 귀신은(涸水之精),이름을 위라 한다(名曰蟡),몸이 두 개에 머리는 한 개이고(一頭而兩身),그 모양이 뱀 같다(其狀如蛇),길이는 팔 척에(長八尺),그 이름을 부르면(以其名呼之),이것은 물고기와 거북을 찾게 할 수 있다(可使取魚龜)。』역시 이 종류(亦此類)。」


又北五十里,曰北單之山,無草木,多蔥韭。

또 북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북단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파와 부추가 많다.


又北百里,曰羆差之山,無草木,多馬1。

또 북쪽으로 백 리를 가면, 비차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말이 많다.


1 곽박(郭璞)云:「야마다(野馬也),작은 말과 비슷하다(似馬而小)。」


又北百八十里,曰北鮮之山,是多馬。

또 북쪽으로 배 팔십 리를 가면, 북선산이라 하는데, 이곳엔 말이 많다.


鮮水出焉,而西北流注于涂吾之水1。

여기서 나오는 선수는, 서북쪽으로 흘러 도오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한무제 원수 이 년(漢元狩二年),도오수에서 말이 나왔다(馬出涂吾水中也)。」


又北百七十里,曰隄山1,多馬。

또 북쪽으로 일백 칠십 리를 가면, 제산이라 하는데, 말이 많다.


有獸焉,其狀如豹而文首,名曰泑2。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머리에 무늬가 있는 표범 같고, 이름을 요이라 한다.


隄水出焉,而東流注于泰澤,其中多龍龜3。

여기서 나오는 제수는, 동쪽으로 흘러 태택으로 들어가고, 그 안에 용과 거북이 많다.


1 곽박(郭璞)云:「혹은 제라 쓰여 있다(或作䧑),옛 글자다(古字耳)。」

2 곽박(郭璞)云:「音요(ㄠ)요。」

3 학의행(郝懿行)云:「용과 거북 두가지(龍、龜二物也);혹은 하나다(或是一物),疑即길조(吉弔)也,용의 머리에 거북의 몸(龍種龜身),그래서 용구라 부른다(故曰龍龜)。」원가기록(珂案):이것은 하나의 개체(當是一物)。


凡北山經之首,自單狐之山至于隄山,凡二十五山,五千四百九十里,其神皆人面蛇身。

무릇 북산경의 첫머리인, 단호산부터 제산까지, 모두 스물 다섯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오천 사백 구십 리를 에 이른다, 그곳 신은 모두 사람 얼굴에 뱀의 몸이다.


其祠之,毛用一雄雞彘瘞,吉玉用一珪,瘞而不糈1。

산의 제사는, 한 마리 수탉과 멧돼지를 사용해 땅에 묻어 제사를 지내고, 하나의 서옥 중 좋은 옥을 사용해, 젯메쌀을 쓰지 않고 땅에 묻어 제사를 지낸다.


其山北人,皆生食不火之物2。

산의 북쪽 사람들은, 모두 음식에 불을 사용하지 않고 날것으로 먹는다.


1 곽박(郭璞)云:「쌀을 쓰지 않고 제사를 지낸다(言祭不用米),사용한 제물과 옥을 모두 땅에 묻는다(皆薶其所用牲玉)。」

2 곽박(郭璞)云:「혹은 모두 불 없이 날 것으로 먹는다(或作皆生食而不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