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내북경(海內北經) 번역

산해경/해내북경 2018. 2. 28. 00:00

海內西北陬以東者1。

해내 서남쪽 구석 동쪽을 기재하다


1 원가기록(珂案):이 경문의 위치와(此經方位與)해외북경(海外北經)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보이나 사실은 서로 같다(方位似相反實相同),見해외북경(海外北經)卷首注。


蛇巫之山,上有人操柸1而東向立2。

사무산은, 산 위에 있는 사람이 몽둥이를 손에 쥐고 동쪽을 바라보고 서있다.


一曰龜山。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구산이라 한다.


1 곽박(郭璞)云:「배는 방으로 쓰여야 하며(柸或作棓),같을 글자(字同)。」학의행(郝懿行)云:「배자는 방자의 다른 글자(柸即棓字之異文)。설문해자(說文)(육(六))云:『방은(棓),절이다(梲也)。』옥편(玉篇)云:『방은 봉과 같으며(棓與棒同),보와 항의 반절(步項切)。』태평어람(太平御覽)三百五十七卷引복건(服虔) 풍속통의(風俗通) 글(文)曰:『큰 지팡이를 방이라 한다(大杖曰棓)。』」원가기록(珂案):배는(柸),송본(宋本)、모의(毛扆)本、장경(藏經)本、항인(項絪)本均作배(杯),잘못된 글자(字之訛也)。

2 원가기록(珂案):이 구절과 다음 구절은 해내서경 개명 남쪽에 수조가 있다라는 구절 다음으로 옮겨야 한다(此節及下節當移在해내서경(海內西經)「개명 남쪽에 수조가 있다(開明南有樹鳥)」節之次),해내남경(海內南經)「흉노(匈奴)」구절과 (節與)해내서경(海內西經)「이부의 신하를 위하 한다(貳負之臣曰危)」구절도 옮겨야 한다(節當移於此),설명(說)已見앞에(前)。곤륜산은 예가 서왕모에게 불사약을 부탁한 땅이다(昆侖山為羿向西王母請不死藥之地),예와 관련되 신화 중(而有關羿之神話中),봉몽은 예를 죽였고(又有逢蒙殺羿),예는 복숭아 방망이로 죽었다는 등의 신화다(及羿死於桃棓等神話)。맹자(孟子) 이루(離婁) 하편(下篇)云:「봉몽은 예에게 활쏘기를 배웠는데(逢蒙學射於羿),예의 재주가 다하여(盡羿之道),세상에 예만이 나보다 낫다고 생각하여(思天下惟羿愈已),예를 죽였다(於是殺羿)。」회남자(淮南子) 전언편(詮言篇)云:「예는 복숭아 방망이로 죽었다(羿死於桃棓)。」허신(許慎)注:「방은(棓),큰 지팡이이고(大杖),복숭아 나무로 만들어(以桃木為之),예를 때려 죽였다(以擊殺羿),그런 이유로 나중에 귀신이 복숭아를 두려워하게 되었다(由是以來鬼畏桃也)。」則此「몽둥이를 손에 쥐고 동쪽을 바라보고 서있다(操柸(방(棓))而東向立)」곤륜 가까이에 사무산 위의 사람이고(於昆侖附近蛇巫山上之人),예를 죽이기 위해 봉몽이 지켜보는 것이 아닐까(其伺羿而欲殺之之逢蒙乎)?알 수 없다(不可知矣)。


西王母1梯几而戴勝杖2,其南有三青鳥3,為西王母取食4。

서왕모는 옥비녀를 머리에 꽃고 안석에 기대어 있다, 그 남쪽에 있는 세 마리의 푸른 새가 , 서왕모에게 음식을 바친다.


在昆侖虛北。

곤륜허 북쪽에 있다.


1 원가기록(珂案):서왕모 관련 신화는 서술되어 있다(有關西王母神話之記敘),이 경문에는 모두 세 개가 보이는데(見於此經者凡三),가장 먼저(最先)為서차삼경(西次三經):「옥산(玉山),이곳은 서왕모가 사는 곳이다(是西王母所居也)。서왕모는 그 모양이 사람 같고(西王母其狀如人),표범 꼬리에 범 이빨이고 휘파람을 잘 불며(豹尾虎齒而善嘯),헝크러진 머리에 옥비녀를 꽂았다(蓬髮戴勝),서왕모는 하늘의 재려와 다섯가지 잔인한 형벌을 관리한다(是司天之厲及五殘)。」稍後為此經。再後為대황서경(大荒西經):「서해의 남쪽(西海之南),유사의 끝(流沙之濱),적수의 뒤쪽(赤水之後),흑수의 앞쪽(黑水之前),큰 산이 있는데(有大山),이름을 곤륜구라 한다(名曰昆侖之丘)。신이 있는데 사람 얼굴에(有神——人面),범의 몸을 하고(虎身),꼬리에 무늬가 있으며(文尾),모두 희고 곤륜구에 산다(皆白——處之)。산 아래는 약수의 못으로 둘러싸여 있고(其下有弱水之淵環之),산 밖에는 염화산이 있는데(其外有炎火之山),물건을 던지면 바로 타버린다(投物輒然)。옥비녀를 착용한 사람이 있는데(有人戴勝),범 이빨에(虎齒),표범 꼬리가 달렸으며(豹尾),동굴에 산다(穴處),이름을 서왕모라 한다((名曰西王母)。이 산은 온갖 물건을 다 가지고 있다(此山萬物盡有)。」세 곳의 기록(三處所記),이 경문은 가장 간략하여(以此經為最簡),이미 나와있는(然既著「대승(戴勝)」(다음 장자는 덧붙여짐(下「장(杖)」字衍),설명이 뒤에 나옴(說見後))),그 생김새가 확실히 고쳐지지 않음(則其形貌固未易也)。

2 곽박(郭璞)云:「제는 빙을 일컫는다(梯謂馮也)。」학의행(郝懿行)云:「如곽박(淳)注한서(漢書) 사마상여(司馬相如) 대인부(大人賦)引이 경문에는 장자가 없다(此經無杖字)。」원가기록(珂案):장자가 없는 것이 맞다(無杖字是也),태평어람(御覽)卷七一0引이 경문 역시 장자가 없다(此經亦無杖字),서차삼경(西次三經)與대황서경(大荒西經) 역시도 모두 옥비녀만 쓰여 있다(亦俱止作「대승(戴勝)」),장자는 확실히 덧붙임(杖字實衍)。

3 원가기록(珂案):서차삼경(西次三經)云:「삼위산에(三危之山),세 마리 푸른 새가 산다(三青鳥居之)。이 산은(是山也),둘레가 백 리에 이른다(廣員百里)。」대황서경(大荒西經)云:「서왕모산에는(有西王母之山(원래 서쪽에 있는 왕모산(原作西有王母之山),나중에(從) 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校고침(改))),세 마리의 푸른 새가 있는데(有三青鳥),붉은 머리에 눈은 검다(赤首黑目),한 마리는 대려라 하고(一名曰大鵹),한 마리는 소려라 하며(一名少鵹),한 마리는 청조라 한다(一名曰青鳥)。」나중에 새들이 살고 있는 곳과 새의 생김새를 상상해 보아야 한다(從其居地及其形貌可以想見):이 세 마리 푸른 새는(此三青鳥者),군색한 데가 없이 순탄하고 원활하지 않아 남에게 의지하는 작은 새인데(非宛轉依人之小鳥),힘이 좋고 잘 나는 사나운 짐승이다(乃多力善飛之猛禽也)。

4 곽박(郭璞)云:「또한 발이 세 개 달린 새는 주인에게 먹을 것을 나른다(又有三足鳥主給使)。」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발이 세 개인 새(三足鳥),송본(宋本)、장경(藏經)本作발이 세 개인 까마귀(三足烏)。사기(史記) 사마상여(司馬相如) 대인부(大人賦)云:「역시 운이 좋게도 발이 세 개인 까마귀는 서왕모의 심부름꾼(亦幸有三足烏為之(서왕모(西王母))使)。」옥함산방집일서(玉函山房輯佚書)모음(輯) 하도괄지상(河圖括地象)亦云:「발이 세 개 달린 신령한 까마귀는(有三足神烏),서왕모에게 먹을 것을 가져다 준다(為西王母取食)。」발이 세 개인 까마귀로 쓰는 것이 맞다(則作三足烏是也)。


有人曰大行伯,把戈1。

대행백이라는 사람이, 창을 잡고 있다.


其東有犬封國2。

그 동쪽에 견봉국이 있다.


貳負之尸3在大行伯東。

이부시는 대행백 동쪽에 있다.


1 원가기록(珂案):현재 책(今本) 풍속통의(風俗通義)卷八引예전(禮傳)云:「공공의 자식을 수라 하는데(共工之子曰脩),멀리 놀러 나가는 것을 좋아하여(好遠遊),배와 수레가 갈 수 있고(舟車所至),발이 닿는 곳이라면(足跡所達),쓰러지지 않을 정도로 구경을 했는데(靡不窮覽),조상신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서다(故祀以為祖神)。」이 창을 잡고 서북쪽에 위치한 이는 태행백인가(此把戈而位居西北之大行伯),공공의 자식 수는 멀리 놀러 나가는 것을 좋아했을까(其共工好遠遊之子脩乎)?

2 곽박(郭璞)云:「옛날에 반호가 융왕을 죽이자(昔盤瓠殺戎王),고신은 아름다운 딸을 시집 보내는 것이(高辛以美女妻之),본받아 배울 만한 본보기가 못 된다 하였고(不可以訓),이에 회계 동쪽 바다 속으로 떠났고(乃浮之會稽東海(송본(宋本)、모의(毛扆)本作동남쪽 바다(東南海)——珂)中),삼백 리의 땅을 얻어(得三百里地封之),아들은 낳으면 개가 되었고(生男為狗),딸을 낳으면 아름다운 사람이 되었다(女為美人),이들은 구봉국이 되었다(是為狗封之國(송본(宋本)、장경(藏經)本국은 민으로 쓰여 있다(國作民)——珂)也)。」원가기록(珂案):전해지길(傳)亦為곽박(郭璞)所作之현중기(玄中記)(이미 없어짐(已佚),고소설구침(古小說鉤沉) 기록 모음이 있다(有輯錄))이 옛날 이야기가 쓰여 있는데(亦述此故事),문장의 줄거리가 서로 같고(文字大體相同),오로지 융왕이 견융으로 쓰여 있으며(惟「융왕(戎王)」作「견융(犬戎)」),삼백 리는 삼천 리로 쓰여 있다(三百里作三千里)。이 신화의 자세하고 세밀한 기록은(此一神話之詳細記錄),乃見於조금 뒤(稍後)於곽박(郭璞)之간보(干寶) 수신기(搜神記)。그것은 나중에(其後) 후한서(後漢書) 남만전(南蠻傳)亦쓰여 있다(載之),문장과 수신기가 크게 다른 점이 없다(文字與搜神記無大差異)。有注云:「이미 위쪽 풍속토의에 모두 나왔다(已上並見)풍속통의(風俗通)。」풍속통의(風俗通) 한나라(漢) 말미에(末) 응소(應劭) 지음(撰),이 신화는 한나라 시절에 이미 널리 퍼졌다고 알렸다(知此一神話漢代已有流傳矣)。삼국(三國) 어환(魚豢) 위략(魏略)(이미 없어짐(已佚),나중에(從) 후한서(後漢書) 이현(李賢)注引)云:「고신씨의 늙은 아내는(高辛氏有老婦),왕실에 살다(居王室),귀앓이를 하여(得耳疾),귀를 파냈는데(挑之),귀에서 나온 물건의 크기가 고치만 하였다(得物大如繭)。아내는 항아리 속에 담아(婦人盛瓠中),쟁반으로 덮었더니(覆之以槃),삽시간에 변해 개가 되었다(俄頃化為犬),그 무늬가 여러 빛깔을 띄어서(其文五色),이름을 반호라 하였다(因名槃瓠)。」이 반혼이라는 이름의 생긴 이유다(此盤(반(槃))瓠一名之來源也)。수신기(搜神記) 기록에(所敘) 반호의 옛날 이야기가 처음 나왔고(盤瓠故事首段) 이것이 근거다(即本此)。又有한위총서(漢魏叢書)八卷本수신기(搜神記),글의 내용과(文體與) 최근 돈황에서 찾아낸 (年敦煌所發現) 구도흥(句道興) 수신기(搜神記)가 서로 아주 비슷하고(頗相近),그 안은 많은 항목까지 문장과 옛날 이야기가 줄거리가 서로 같으며(其中多條竟至文字與故事大體相同),두 가지 기록이 백성들 사이에서 나온게 원본이라고 볼만 하다(可見二書原出民間)。청나라(清) 왕모(王謨) 뒷날의 기록(跋此),云「당나라 때 마을 이름이다(有唐時州名)」,당나라 사람들이 지은 것으로 더욱 의심할 것이 없다(則為唐人撰造更無可疑)。그 글에 적힌 반호 신화는(其敘盤瓠神話),則云:「옛날 고신씨 때(昔高辛氏時),방왕이 난을 일으켰고(有房王作亂),나라가 위태롭고 망할까 괴로워(憂國危亡),임금은 세상 사람들을 모아 방씨의 머리를 가져오면(帝乃召募天下有得房氏首者),금 천 근을 주고(賜金千斤),미녀를 상으로 나누어 준다하였다(分賞美女)。여러 신하들은 방씨의 병사가 강하고 말들이 뛰어나서(群臣見房氏兵強馬壯),잡기 힘들다 하였다(難以獲之)。신제는 반호라는 개를 길렀는데(辛帝有犬字曰盤瓠),그 털은 여러 빛깔에(其毛五色),언제나 임금이 있는 곳을 드나든다 하였다(常隨帝出入)。이 개는 어느 날 갑자기 사라졌는데(其日忽失此犬),사라진지 삼 일이 넘고(經三日以上),있는 곳을 알지 못하여(不知所在),임금은 아주 괴이하다 여겼다(帝甚怪之)。그 개가 달려와 방왕에게 뛰어들었다(其犬走投房王)。방왕을 개를 보고 크게 기뻐했는데(房王見之大悅),주변 사람들에게 말하길(謂左右)曰:『신씨가 죽었나 보다(辛氏其喪乎)!개가 주인을 버리고 나에게 뛰어들니(犬猶棄主投吾),나는 반드시 난을 성공할 것이다(吾必興也)。』방씨는 이에 축하 잔치를 크게 벌려(房氏乃大張宴會),개를 즐겁게 해주었다(為犬作樂)。그날 밤 방씨는 술에 취해 잠을 잤고(其夜房氏飲酒而臥),반호는 왕의 머리를 물고 돌아왔다(盤瓠咬王首而還)。고신은 개가 방왕의 머리를 물고 온 것을 보고(辛見犬銜房首),크게 기뻐하며(大悅),두텁게 썬 고기와 잘게 썬 고기를 줬지만(厚與肉糜飼之),끝내 먹지 않았다(竟不食)。하루가 지나고(經一日),임금은 개를 불렀으나(帝呼),개는 일어나지 않았다(犬亦不起)。고신씨(帝)曰:『어찌하여 음식을 먹지 않고(如何不食),불러도 오지 않으며(呼又不來),짐이 상을 주지 않아 원망하는 것인가(莫是恨朕不賞乎)?과거에 사람을 모아 상을 준다한 것이 너의 물건인데(今當依召募賞汝物),못 받아서 그러냐(得否)?』반호는 임금이하는 이 말을 듣고(盤瓠聞帝此言),벌떡 일어나 뛰올랐다(即起跳躍),임금은 반호를 회계후에 봉하며(帝乃封盤瓠為會稽侯(원본(原)注:계림후라 쓰여 있다(一作桂林侯))),아름다운 여자 다섯 사람과(美女五人),회계군 일천 호를 내렸다(會稽郡(원본(原)注:계림군이라 쓰여 있다(一作桂林郡))一千戶)。나중에 세 명의 아들과 여섯 명의 딸을 낳았다(後生三男六女)。반호가 아들을 낳았을 때(其男當生之時),사람의 모양과 비슷하였으나(雖似人形),개의 꼬리가 달렸었다(猶有犬尾)。그의 자손들은 크게 발전하여(其後子孫昌盛),견융국이라 불리게 되었다(號為犬戎之國)。」이것이 비록 나중의 기록과 비교되었기 때문에(此雖較後之記敘),백성들 사이에서 전해졌으며(然因傳自民間),사실 이 신화의 본래 모습에 훨씬 가깝다(實更接近此一神話本貌)。글 속에 쓰여진 반호가 회계후에 봉해지게 되었다와 낳은 아들이 개의 꼬리가 있다와 그 자손들이 크게 발전하여 견융국이라 불리게 되었다 등은(文中所敘封盤瓠為會稽侯、生男而有「개의 꼬리(犬尾)」、「그 자손들이 크게 발전하여(其後子孫昌盛),견융국이라 불리게 되었다(號為犬戎之國)」等),與곽박(郭)注모두 서로 맞다(均甚相合)。수신기 20권과 후한서 남만전의 기록을 비교해보면(以較二十卷本수신기(搜神記)及후한서(後漢書) 남만전(南蠻傳)所敘),겉으로 꾸민이 없고 수수하며 거짓으로 꾸미는 것이 없어 한눈에 훤히 보이게 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했다(樸質與塗飾殆一目暸然矣)。반호신화전 현재까지 중국내 서남쪽 묘와 요와 동과 여 등 소수민족에서만 전해지고(盤瓠神話至今猶傳於我國西南苗、瑤、侗、畬等少數民族中),본래 어느 한 민족 기원에서 유래된 신화이고(本為某一民族起源之推原神話),신화가 널리 퍼져서(迨神話演進),천지개벽에서 유래된 신화가 되어 갖춰지다(乃成為天地開闢之推原神話_。삼국(三國) 오나라(吳) 서정(徐整) 삼오력기(三五曆紀)(이미 없어짐(已佚),나중에(從) 예문유취(藝文類聚)卷一引)云:「하늘과 땅이 나누어지지 않고 달걀 같았는데(天地渾沌如雞子),반고가 그 안에서 태어났다(盤古生其中)。만 팔천 년이 지나고(萬八千歲),하늘이 열리고 땅이 열리며(天地開闢),밝고 맑은 것은 하늘이 되고(陽清為天),어둡고 흐린 것은 땅이 되었다(陰濁為地)。반고는 그 안에 있으면서(盤古在其中),하루에 아홉 전 변하였다(一日九變)。하늘보다 신령하고(神於天),땅보다 성스럽다(聖於地)。하늘은 날마다 일 장씩 높아지고(天日高一丈),땅은 날마다 일 장씩 두터워졌으며(地日厚一丈),반고는 날마자 일 장씩 커졌다(盤古日長一丈)。이렇게 만 팔천 년이 지나(如此萬八千歲),하늘을 끝없이 높아지고(天數極高),땅은 끝없지 깊어졌으며(地數極深),반고는 끝없지 커졌다(盤古極長)。그리하여 나중에 삼황이 되었다(後乃有三皇)。수는 하나가 일어나(數起於一),셋이 서고(立於三),다섯을 이루어(成於五),일곱을 담아(盛於七),아홉이 모였기 때문에 (處於九),하늘은 땅에서 구만 리 떨어졌다(故天去地九萬里)。」역사(繹史)(청나라(清) 마숙(馬驌) 지음(撰))卷一引同一作者之오운력년기(五運歷年記)云:「처음 반고가 태어났고(首生盤古),죽어 가며 몸이 변화했다(垂死化身):숨은 바람과 구름이 되고(氣成風雲),목소리는 우레와 천둥이 되었으며(聲為雷霆),왼눈은 해가 되고(左眼為日),오른눈은 달이 되었으며(右眼為月),네 다리와 몸통은(四肢五體),사방 끝과 오악인 태산(泰山)과 화산(华山)과 형산(衡山)과 항산(恒山)과 숭산(崇山)이 되었고(為四極五嶽),피는 강과 하천이 되었으며(血液為江河),힘줄과 핏줄은 땅을 이어주게 되었으며(筋脈為地里),살가죽은 논밭이 되었고(肌膚為田土),머리털과 콧털은 별이 되고(髮髭為星辰),몸의 털은 풀과 나무가 되었으며(皮毛為草木),이와 뼈는 금과 돌이 되고(齒骨為金石),뼛골을 구슬과 옥이 되었으며(精髓為珠玉),땀이 흘러 비의 은혜와 덕이 되었고(汗流為雨澤),몸은 모든 벌레는(身之諸蟲),마음을 느끼고 좋은 기회를 잡아(因風所感),많은 백성으로 변하게 되었다(化為黎甿)。」반고는(盤古),반호의 소리가 전해진 것이다(即盤瓠之音轉)。반호는 어느 한 민족의 첫 조상 신이 되었고(盤瓠為某一民族之始祖神),반고는 우주의 창립자다(盤古則宇宙之開創者矣)。이 반고는(而此盤古),얼마 전에 묘나 요 등 소수민족이 거룩하게 여겨 떠 받들었고(不久以前猶為苗瑤等族所崇奉),반왕이라 일컬었다(謂之「반왕(盤王)」)。유석번(劉錫蕃) 영표기만(嶺表紀蠻)謂「반고는 보통 요족이 경건하게 제사를 지내며(盤古為一般瑤族所虔祀),반왕이라 부른다(稱之為盤王)。요족 사람들은 사람이 낳고 죽음과 오래 삶과 일찍 죽음과 가난하고 천함이(瑤人以為人之生死壽夭貧賤),모두 반왕이 관리하며(皆盤王主之),가뭄이 들면 반왕에게 기도하여(天旱禱盤王),왕을 여럿이 맞들고 논밭을 지났다(舁王遊田間)。」묘적 역시 반왕서가 있다(苗族亦有「반왕서(盤王書)」),마치 구약 성서 창세기와 비슷한데(類乎舊約創世紀),백성들 사이에서 유전되어 불리어진다(傳唱於民間),云:「생각하는 반왕이 먼저 떠올린 생각이 있는데(記起盤王先記起),반왕은 생각이 떠올라 쟁기를 만들고(盤王記起造犁耙),만든 쟁기는 쓰지 않고(造得犁耙也未使),집 뒤에 큰 둑을 만들어 곡식의 싹을 틔웠다(屋背大塘谷曬芽)。생각하는 반왕이 먼저 떠올린 생각이 있는데(記起盤王先記起),반왕은 생각이 떠올라 모시풀과 삼을 심었고(盤王記起種蔴),심은 모시풀과 마를 아들과 손자에게 길쌈하라 하였으며(種得苧兒孫績),자손 대대로 비단으로 가짜 꽃을 만들었다(兒孫世代績羅花)。생각하는 반왕이 먼저 떠올린 생각이 있는데(記起盤王先記起),반왕은 생각이 떠올라 의자에 앉아서 만드는 베틀을 만들었으나(盤王記起造高機),만든 베틀로 곱고 가늘게 짜여진 삼베를 짰고(造得高機織細布),천의 폭은 버드나무 가지 같은 실이었다(布面有條楊柳絲)。……」(見설문해자(說文) 월간(月刊)第一卷第十、十一 그 합쳐서 간행한(期合刊) 상임협(常任俠) 중경 사평파에서 나온 돌관의 그림 연구(沙坪壩出土之石棺畫象研究))그것은 묘와 요의 사람들 속 신앙이라 할 수 있다(可見彼在苗瑤人民中之信仰)。견봉국의 시조 반호는(犬封國之始祖盤瓠),점점 변화하고 발전하여 하늘이 열리고 땅이 열리며 갖가지 문물을 생각해내 만드는 사람인 시조 반고와 비슷한데(竟逐漸演變而為開天闢地及種種文物創造發明者之人類共同始祖盤古),거의 신화가 전해지는 게 다르며 처음 예상대로 되다(則殆非神話傳述者之始料所及矣)。

3 원가기록(珂案):해내서경(海內西經)云:「이부의 신하 위라 하는데(貳負之臣曰危),위와 이부가 알유를 죽여서(危與貳負殺窫窳),황제는 소속산에 가두웠으며(帝乃梏之疏屬之山),그 오른발에 차꼬를 채우고(桎其右足),두 손은 뒤로 젖히고 묶어(反縛兩手),산 위 나무에 매달았다(繫之山上木)。」황제의 처벌이 오직 위에게만 내려졌고(帝之處罰似僅及危),이부에게는 아직 내려지지 않았다(未及貳負)。이 말은(此言「이부시(貳負之尸)」),산해겨(山海經) 이른바(所謂)「시(尸)」者,큰 도시에서 참혹하게 당한 죽음의 형상을 내보이며(大都遭殺戮以後之景象),이부 역시 함께 형벌을 받았다(則并貳負亦受刑矣)。


犬封國曰犬戎國1,狀如犬2。

견봉국은 견융국이라고도 하며, 모양이 개 같다.


有一女子,方跪進柸食3。

한 여자가 있는데, 꿇어앉아 술과 음식을 바친다


有文馬4,縞身5朱鬣,目若黃金,名曰吉量6,乘之壽千歲7。

무늬있는 말이 있는데, 몸은 흰 빛이고 붉은 갈기이고, 눈은 황금 같으며, 이름을 길량이라 한다, 그 말을 타면 천 살까지 산다.


1 원가기록(珂案):봉과 융의 소리는 비슷하기 때문에(封、戎音近),견봉국은 견융국이라고도 한다(故犬封國得稱犬戎國)。又「견봉국(犬封國)」者,개가 공을 세워 나라를 얻고 제후가 됐다(蓋以犬立功受封而得國),即곽박(郭)注이른바(所謂)「구봉국(狗封國)」也。이윤(伊尹) 사방령(四方令)云:「서쪽에 곤륜과 구국(正西昆侖狗國)。」회남자(淮南子) 지형편(墬形篇)云:「구국은 그 동쪽에 있다(狗國在其(건목(建木))東)。」구국 전설의 확실한 기원은 서북쪽에서 시작되어 점점 동남으로 퍼짐(則狗國之傳說實起源於西北然後始漸於東南也)。

2 곽박(郭璞)云:「황제의 후손 변명은 흰개 두 마리를 낳았는데(黃帝之後卞明生白犬二頭),암컷과 수컷이 함께 살며(自相牝牡),이 나라는 이루었고(遂為此國),구국이라 한다(言狗國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本대황북경(大荒北經)。대황북경(大荒北經)云:「이름이 견융이라 불리는 사람이 있다(有人名曰犬戎)。황제는 묘룡을 낳고(黃帝生苗龍),묘룡은 융오를 낳고(苗龍生融吾),융오는 농명을 낳고(融吾生弄(곽박(郭璞)注。변이라고도 쓴다(一作卞))明),농명은 백견을 낳았고(弄明生白犬),백견은 암것과 수컷이 있었는데(白犬有牝牡),이들이 견융이 되었다(是為犬戎)。」흰개 암컷과 수컷이 함께 사는 나라라고 전해지며(白犬自相牝牡而傳國),이것은 이 신화의 다른 이야기다(是又此一神話之異聞也),故곽박(郭)注이것을 갖다 붙임(乃附及之)。대황북경(大荒北經)又云:「견융국이 있다(有犬戎國)。신이 있는데(有神(사기(史記) 주본기(周本紀) 모음집(集解)引여기에 사람이라 쓰여 있다(此作人)),사람 얼굴에 짐승 몸이며(人面獸身),이름을 견융이라 한다(名曰犬戎)。」此「사람 몸에 짐승 몸이여 이름을 견융이라한다(人面獸身、名曰犬戎)」之「신(神)(사람(人))」,그것이 제일 처음 전설의 반호 아닐까(其最初傳說之盤瓠乎)?

3 곽박(郭璞)云:「함께 술을 마신다(與酒食也)。」학의행(郝懿行)云:「예문유취(藝文類聚)七十三卷引이 경문에는 배자 앞에 옥자가 있다(此經柸上有玉字),명나라(明) 장본(藏本) 배는 배로 쓰여 있고(柸作杯),주자는 구자로 쓰여 있다(注酒字作狗)。」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 배는 배로 쓰여 있고(柸亦作杯),배가 맞다(作杯是也)。옛 배자는 배로 썼고(古杯字作桮),배는 배를 잘못 씀(柸或桮之訛也)。

4 원가기록(珂案):설문해자(說文)十云:「말이 붉은 갈기에 흰 몸이고(馬赤鬣縞身),눈은 황금 같으며(目若黃金),이름을 문이나(名曰鳼),길황지승이라 한다(吉皇之乘),주나라 문왕 시절에 견융이 바침(周文王時犬戎獻之)。」

5 곽박(郭璞)云:「명주 같은 흰 색이다(色白如縞)。」

6 곽박(郭璞)云:「량이라고 쓴다(一作良)。」원가기록(珂案):문선(文選) 동경부(東京賦) 이선(李善)注引이 경문에는 길량이라 쓰여 있다(此經正作吉良)。

7 곽박(郭璞)云:「주서(周書)曰:『견융의 무늬 있는 말은(犬戎文馬),붉은 갈기에 흰 몸이고(赤鬣白身),눈은 황금 같으며(目若黃金),이름을 길황지승이라 한다(名曰吉黃之乘)。』(현재 쓰여진(案今) 주서(周書) 왕회편(王會篇)作길황지승(古黃之乘),잘못된 글자(字之訛也)——珂)육도(六韜)曰:『무늬 있는 몸에 붉은 갈기이고(文身朱鬣),눈은 황금 같으며(眼若黃金),목덜미는 닭의 꼬리 같다(項若雞尾),이름을 계사지승이라 한다(名曰雞斯之乘)。』대전(大傳)(상서대전(尚書大傳))曰:『얼룩얼룩한 몸에 붉은 갈기이고 닭의 눈이다(駮身朱鬣雞目)。』산해경(山海經)亦有길황을 타면(吉黃之乘),천 살까지 살 수 있다(壽千歲者(현재 쓰인(按今) 산해경(山海經) 이 이름이 없고(無此名),원래 경문에 있는 것으로 의심되나(疑本在經中),현재 빠짐(今逸)——珂))。오직 이름만 같지 않은데(惟名有不同),설명에 작은 착각이 있고(說有小錯),그것은 확실하 하나의 물건이며(其實一物耳),현재 광범위하게 제기되는 옛 책의 서로 다음을 비교하여 교정함(今博舉之以廣異聞也)。」원가기록(珂案):견융의 무늬 있는 말은犬戎文馬),기굉국(奇肱國) 역시 있으며(亦有之),已見해외서경(海外西經)。역사(繹史)卷十九引육도(六韜)云:「상나라 왕이 주나라 백창을 유리에 가두자(商王拘周伯昌於羑里),태공과 산의생은 금 천 일을 모아 세상의 진귀한 물건을 바치며 임금에게 죄를 용서받았다(太公與散宜生以金千鎰求天下珍物以免君之罪)。이때 견융씨에게 무늬 있는 말을 얻었는데(於是得犬戎氏文馬),얼룩얼룩한 몸에 붉은 갈기이고(駮身朱鬣),눈은 황금 같았다(目若黃金),이름은 계사지승이며(名雞斯之乘),상나라 왕에게 바쳤다(以獻商王)。」무늬 있는 말 신화의 가장 빠르고 관계가 있는 가장 완전히 정리된 기록(即有關文馬神話之最早而又最完整之記錄也)。앞서 나온 무늬 있는 말은(前乎此者),회남자(淮南子) 도응편(道應篇)與사기(史記) 주본기(周本紀)亦기록 되어 있다(記有之)。도응편(道應篇)云:「산의생은 많은 돈으로 계사지승을 얻어 상나라 왕 주에게 바쳤다(散宜生以千金求雞斯之乘以獻紂)。」주본기(周本紀)云:「굉요의 무리는 여융의 무늬 있는 말을 얻어 상나라 왕 주에게 바쳤다(閎夭之徒求驪戎之文馬獻之紂)。」모두 한 신화의 간단한 설명(均此一神話之概略也)。견융의 무늬 있는 말은(犬戎文馬),유리에 갇힌 문왕을 풀어주었다(能解文王羑里之囚),말들이 진나라와 한나라 시절 있었으며(其在秦漢之際),많은 사람들이 탐내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為眾所艷稱可知矣)。길량과 길량과 길황과 길황과 계사지승과 등황과 길광은(吉量、吉良、吉黃、吉皇、雞斯之乘、騰黃、吉光)(문선(文選) 동경부(東京賦) 이선(李善)注引서응도(瑞應圖)云:「등황은 신령스런 말이고(騰黃神馬),길광이라고도 한다)一名吉光)」),모두 무늬 있는 말의 다른 이름이며(均此文馬之異名),그것들은 확실이 한 종류다(其實一也)。


鬼國1在貳負之尸北,為物人面而一目。

귀국은 이부시 북쪽에 있고, 생김새는 눈이 하나에 얼굴이 사람이다.


一曰貳負神在其東,為物人面蛇身2。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그 동쪽에 이부라는 신이 있는데, 생김새는 얼굴은 사람에 몸은 뱀이다.


1 원가기록(珂案):일목국이다(即一目國),已見해외북경(海外北經)。대황북경(大荒北經)亦云:「눈이 하나인 사람이 있는데(有人一目),얼굴 가운데 있다(當面中生)。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이들은 위씨 성을 쓰고(一曰是威姓),소호의 자식이며(少昊之子),기장을 먹는다(食黍)。」이 나라다(即此國也)。이윤(伊尹) 사방령(四方令)云:「서쪽에 귀친(正西鬼親)。」위지동이전(魏志東夷傳)云:「여왕국 북쪽에 귀국이 있다(女王國北有鬼國)。」전설 속 이 나라의 있는 곳이 한 곳이 아니다(則傳說中此國之所在非一也)。

2 원가기록(珂案):이부 신은 알유를 죽였고(為貳負神所殺之窫窳),사람 얼굴에 뱀의 몸인데(亦人面蛇身),모두 옛 천신의 모양이다(蓋均古天神之狀也)。


蜪犬1如犬,青2,食人從首始。

도견은 개 같은데, 푸른 빛이고, 사람을 머리부터 먹는다.


1 곽박(郭璞)云:「音도(陶)。或作구(蚼),音구(鉤)。」원가기록(珂案):설문해자(說文)十三云:「북쪽에 구견이 있는데(北方有蚼犬),사람을 먹는다(食人)。」即此。

2 왕념손(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 수부(獸部)十六(卷九0四)푸르스름한 개 같다고 쓰여 있고(作如犬而青),예문유취(類聚) 수부(獸部)四(卷九十四)푸른 빛 개같다고 쓰여 있다(作如犬青色)。」


窮奇狀如虎,有翼1,食人從首始,所食被髮,在蜪犬北。

궁기는 모양이 범 같고, 날개가 있으며, 머리부터 사람을 먹는다, 잡아먹히는 것은 머리가 풀어헤쳐진다, 도견 북쪽에 있다.


一曰從足2。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발부터 먹는다고도 한다.


1 곽박(郭璞)云:「털이 고슴도치 같다(毛如蝟)。」손성연(孫星衍)云:「털이 고슴도치 같다는 세 글자는 이 경문에서 의심된다(毛如蝟三字亦疑是經文)。」원가기록(珂案):서차사경(西次四經)云:「규산(邽山),산 위에 짐승이 있는데(其上有獸焉),그 모양이 소 같고(其狀如牛),고슴도치 털이며(蝟毛),이름을 궁기라 한다(名曰窮奇),울음소리는 개가 짖는 것 같고(音如獋狗),이것은 사람을 먹는다(是食人)。」即곽박(郭)注근거가 있는데(所本),예를 들을 필요가 없다(不必如)손선연(孫)설명(所說也)。춘추좌씨전(左傳) 문공(文公) 십팔 년(十八年)云:「소호씨에게 재주가 모자란 아들이 있는데(少皞氏有不才子),세상 사람들이 궁기라고 일컬었다(天下之民謂之窮奇)。」옛 신화에 확실히 소호는 궁기를 낳았다고 일컬었다(古神話實當謂少皞生窮奇也)。신이경(神異經) 서북황경(西北荒經)云:「서북쪽에 있는 짐승은(西北有獸焉),모양이 범 같고(狀似虎),날개가 있어 날 수 있으며(有翼能飛),간단히 사람을 제압해서 먹는다(便勦食人)。사람을 말을 안다(知人言語)。싸운다는 사람들을 들으면(聞人鬥),정직한 사람을 먹는다(輒食直者);충직하고 믿을만한 사람이 있다 들으면( 聞人忠信),그 코를 먹는다(輒食其鼻);악독하고 착하지 안다는 사람이 있다 들으면(聞人惡逆不善),짐승을 죽여 선물로 준다(輒殺獸往饋之):이름을 궁기라 한다(名曰窮奇)。새나 짐승도 먹는다(亦食諸禽獸也)。」이 경문의 설명과 비슷하다(似即本此經為說)。注引별본(別本)云:「궁기는 삵의 꼬리가 달린 소 같고(窮奇似牛而狸尾),꼬리가 길어 땅에 끌리며(尾長曳地),그 울음 소리는 개와 비슷하다(其聲似狗),개 머리에 사람 모양인데(狗頭人形),발톱은 갈고리 같고 어금니는 톱같다(鉤爪鋸牙)。충신한 사람을 만나면(逢忠信之人),씹어 먹는다(齧而食之);간사한 사람을 만나면 새나 짐승을 사로잡아 선물로 준다(逢姦邪則擒禽獸而伺之)。」서차사경의 설명과 비슷하다(似又本서차사경(西次四經)為說)。而후한서(後漢書) 예의지(禮儀志) 기록(所記)대나는 역신이나 나쁜 전염병을 내쫓는 열두 신이 있는데(大儺逐疫「나쁘고 모질며 사나움을 내쫓다(追惡兇)」之十二神中),有「궁기와 등근은 모두 고를 먹는다(窮奇騰根共食蠱)」,궁기는(則窮奇者),사람에게 도움을 주며(亦或於人有益),나쁜게 되지 않는다(不盡為惡也)。故곽박(郭氏) 도찬(圖讚)亦云:「궁기라는 짐승은(窮奇之獸),그 모양이 매우 못생겼다(厥形甚醜);요망하고 간사스러움을 달려가서 쫓아(馳逐妖邪),이리저리 뛰어다닌다(莫不奔走);이것의 다른 이름은(是以一名),신구라 한다(號曰神狗)。」고유(高誘)注회남자(淮南子) 지형편(墬形篇)「궁기는(窮奇),광막풍이 낳았다(廣莫風之所生也)」,궁기는 천신이 되었다(則逕以窮奇為「천신(天神)」),이것이 옛부터 이어지는 정확한 설명이다(當是古有成說也)。

2 원가기록(珂案):「머리부터(從首)」或「발부터(從足)」者,모두 그림 모양이 같지 않고 그 설명이 다르다(均圖象不同而異其說也)。


帝堯臺、帝嚳臺、帝丹朱臺、帝舜臺,各二臺,臺四方,在昆侖東北1。

제요의 대와 제곡의 대와 제단주의 대와 제순의 대는,곤륜 동북쪽에 있다


1 곽박(郭璞)云:「임금이 나라 안을 두루 보살피고 돌아다며 일을 기념해 만들다(此蓋天子巡狩所經過),오랑캐가 성인의 은덕을 그리워하며(夷狄慕聖人恩德),항시 함께하여 대관을 쌓아 세우고(輒共為築立臺觀),그 옛 건축물의 터를 표현 했다(以標顯其遺跡也)。다른 책(一本)云:상류를 죽인 곳의(所殺相柳),땅에서 비리고 누린내가 나서(地腥臊),온갖 곡식을 심을 수 없었다(不可種五穀),이에 많은 임금이 대를 세웠다(以為眾帝之臺)。」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오랑캐가 성인의 은덕을 그리워하다(夷狄慕聖人恩德)」云云,이것이 정통 역사 관점이 신화의 근거 없는 말로 풀이되고(乃其以正統歷史眼光釋神話之臆說),확실히 부족함 없이 받아들인다(實無足取)。이 곤륜 동북쪽의 제요의 대와 제곡의 대와 제단주의 대와 제순의 대는(此「곤륜 동북쪽(昆侖東北)」帝堯、帝嚳、帝丹朱、帝舜之臺),實해외북경(海外北經)(亦見대황북경(大荒北經))기록된(所記)「곤륜의 북쪽(昆侖之北)」「많은 임금들의 높고 평평한 건축물(眾帝之臺)」,임금이 상류를 죽이고 높고 평평한 건축물을 쌓아 요사하고 간사한 사람을 막았다(乃禹殺相柳(대황북경(大荒北經)作상요(相繇))所築臺以厭妖邪者也),요와 곡과 단주와 순 등은 이른바 많은 임금들은(堯、嚳、丹朱、舜等即所謂「많은 임금(眾帝)」),설명에서 말하는(注中)引「다른 책(一本)云」맞다(是也)。


其狀如螽1。

큰 벌은 그 모양이 메뚜기 같다.


朱蛾其狀如蛾2。

붉은 나방은 그 모양이 개미 같다.


1 학의행(郝懿行)云:「봉은 아주 흉포하고 크다(有極桀大者),거의 메뚜기 같다고 하는데(僅曰如螽),크기는 충분하지 않으나 비슷하다(似不足方之)。종자는 봉자가 잘못된 것으로 의심되고(疑螽即為字之譌),더불어 다음 글귀의 의미가 서로 비교된다(與下句詞義相比)。옛날에 봉자는 봉으로 쓰였고(古文𧒒),종자의 모양과 비슷하기 때문에(與螽字形近),잘못쓴 것이다(故耳)。」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亦校종은 봉으로 쓰여야 한다(螽作𧒒)

2 곽박(郭璞)云:「의는(蛾),왕개미다(蚍蜉也)。초사(楚詞)云:『검은 벌은 항아리 같고(玄如壺),붉은 개미는 코끼리 같다(赤蛾如象)。』이를 일컫는다(謂此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引초사(楚辭)見 초혼편(招魂篇),云:「붉은 개미는 코끼리 같고(赤螘若象),검은 벌은 작은 항아리 같다(玄若壺些)。」의는(螘),의자의 원래 글자(蟻本字),即의(蛾)。


蟜1,其為人虎文,脛有綮2。

교는, 그 모습이 범 무늬를 한 사람 같고, 다리에 힘줄이 있다.


在窮奇東。

궁기 동쪽에 있다.


一曰,狀如人。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모양이 사람 같다.


昆侖虛北所有3。

곤륜허 북쪽에 살고 있다.


1 곽박(郭璞)云:「교(蟜)音교(橋)。」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十三)云:『교는(蟜),벌레다(蟲也)。』틀렸다(非此)。광운(廣韻)『교(蟜)』字注引이 경문(此經)云:『시골 사람들 몸에 짐스 무늬가 있다(野人身有獸文)。』현재 책과 약간 다르다(與今本小異)。」

2 곽박(郭璞)云:「각에 박장이 있다(言腳有膊腸也)。」학의행(郝懿行)云:「팔뚝은 장딴지가 되어야 한다(膊當為腨)。설문해자(說文)(四)云:『천은(腨),비장이다(腓腸也);비는(腓),종아리와 장딴지다(脛腨也)。』已見해외북경(海外北經) 무계국(無綮國)。」

3 곽박(郭璞)云:「이는 위와 같은 물건이다(此同上物事也)。」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 뜻(意) 이것은 이미 앞의 물건이 모두 곤륜허 북쪽을 가지고 있다(此已上物事皆昆侖虛北所有也)。명나라(明) 장본(藏本)同作目。」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모의(毛扆)校本同亦作目。목은 원래 이로 의심(目疑原作㠯),옛날 글자(古以字),처음 잘못쓰여 목이 되었고(始誤為目),재차 잘못 쓰여 같아짐(再誤為同)。


闒非1,人面而獸身,青色。

탑비는, 몸이 짐승이고 얼굴이 사람이며, 푸른 빛이다.


1 곽박(郭璞)云:「탑(闒)音탑(榻)。」학의행(郝懿行)云:「이윤(伊尹) 사방령(四方令)云:『서쪽에 탑이(正西闒耳)。』이것으로 의심(疑即此)。비와 이는 모양이 서로 비슷하다(非、耳形相近)。」


據比1之尸,其為人折頸被髮,無一手2。

거비시는, 그 모습이 목이 꺽이고 머리를 풀어헤친 사람 같고, 한 손이 없다.


1 곽박(郭璞)云:「一云연비(掾比)。」학의행(郝懿行)云:「연비(掾比),다른 책에는 연북로 쓰여 있다(一本作掾北)。」원가기록(珂案):회남자(淮南子) 지형편(墬形篇)云:「제비는(諸比),양풍이 낳았다(涼風之所生也)。」고유(高誘)注:「제비는(諸比),천신이다(天神也)。」거비와 연비로 의심(疑即據比、掾比(북(北)))。제와 거와 연은 하나의 성조로 전해진다(諸、據、掾一聲之轉)。

2 원가기록(珂案):신국에서 반란을 일으켰는데(蓋亦神國起訌),전투에서 이기지 못하여(戰鬥不勝),참혹하게 당한 죽음의 형상(慘遭殺戮之象)。


環狗,其為人獸首人身。

환구는, 그 모습이 머리는 짐승이고 몸은 사람이 사람같다.


一曰蝟狀如狗,黃色1。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고슴도치인데 모양이 개 같고, 누런 빛이다.


1 원가기록(珂案):그 생김새를 보면(觀其形狀),蓋亦견융(犬戎),구봉의 종류(狗封之類)。


𥘯[示末]1,其為物人身黑首從目2。

매는, 그 모습이 몸은 사람에 머리는 검고 눈은 모여있다.


1 곽박(郭璞)云:「매는 매다(𥘯[示末]即魅也)。」학의행(郝懿行)云:「이매는 한나라 비석에 이매로 쓰여 있고(魑魅漢碑作[示离]𥘯[示末]),(후한서(後漢書))예의지(禮儀志)云:『웅백은 매를 먹는다(雄伯食魅)。』옥편(玉篇)云:『매는 귀매다(𥘯[示末]即鬼魅也)。』本此。」

2 학의행(郝懿行)云:「초사(楚詞) 대초(大招)云:『돼지 머리에 눈은 세로 되었고(豕首從目),풀어헤친 머리는 엉클어졌다(被髮鬤只)。』이런 모양으로 의심(疑即此)。」


戎1,其為人人首三角2。

융은, 그 모습이 머리는 사람이고 뿔이 세 개이다.


1 학의행(郝懿行)云:「주서(周書) 사기편(史記篇)云:『옛날에 임씨가 있었는데 이융의 임금을 불러 정사를 논했다(昔有林氏召離戎之君而朝之)。』오랑캐를 부르는 것이 융이 되었고(或單呼為戎),임씨국과 서로 비교하다(又與林氏國相比),맞는 것으로 의심(疑是也)。」원가기록(珂案):사기편(史記篇)云:「옛날에 임씨가 있었는데 이융의 임금을 불러 정사를 논했다(昔有林氏召離戎之君而朝之);무례가 도를 지나처(至而不禮),머물렀으나 보지 않았고(留而弗視),이융은 내쫓기듯 도망쳤으며(離戎逃而去之),임씨는 주살하였다(林氏誅之),임씨를 배반하였다(天下叛林氏)。」공조(孔晁)注:「임씨는(林氏),제후다(諸侯)。세상에 나온 임씨는 무례한 융을 만났고(天下見其遇戎不以禮),끝내 임씨를 배반하였으며(遂叛林氏),임씨는 홀로 위태롭게 되었다(林氏孤危也)。」

2 학의행(郝懿行)云:「융은(戎),광운(廣韻)作융(𠈋),云:『융은(𠈋),사람 몯ㅇ에 뿔이 세 개다(人身三角也)。』머리가 몸으로 쓰여 있음(首作身),현재 책과 다르다(與今本異)。」


林氏國1有珍獸,大若虎,五采畢具2,尾長于身,名曰騶吾,乘之日行千里3。

임씨국에 있는 세상에 드문 진기한 짐승은, 크기가 범 같고, 다채로운 빛깔에 꼬리 길이가 몸만 하며, 이름을 추오라 한다, 타면 달리면 하루에 천 리를 간다.


1 학의행(郝懿行)云:「주서(周書) 사기편(史記篇)云:『옛날에 임씨가 있었는데 이융의 임금을 불러 정사를 논했다(昔有林氏召離戎之君而朝之)。』又云:『임씨와 상형씨는 권력을 다퉜고(林氏與上衡氏爭權),함께 죽어 나라가 망했다(俱身死國亡)。』이 나라다(即此國也)。」원가기록(珂案):사기편(史記篇)「권력을 다투다(爭權)」하상에 는 두 구절이 있다(下尚有「임씨는 재차 싸워 이겼고(林氏再戰而勝),상형씨는 거짓으로 이기지 못했다(上衡氏偽義弗克)」二語)。

2 학의행(郝懿行)云:「모시전(毛詩傳)云:『추우는 흰 범 같이 검은 무늬가 있고(騶虞白虎黑文),살아 있는 물건을 먹지 않는다(不食生物)。』이것과 다르다(與此異)。」

3 곽박(郭璞)云:「육도(六韜)云:『은나라 주는 문왕을 감금했고(紂囚文王),굉요는 이 짐승을 얻어 헌상하기 위해 임씨국을 찾아갔다(閎夭之徒詣林氏國求得此獸獻之),주는 크게 기뻐하며(紂大悅(송본(宋本)、장경(藏經)本、모의(毛扆)本作열(說)——珂)_,바로 풀어줬다(乃釋之)。』주서(周書)曰:『협림의 추이는(夾林(현재(今)주서(周書)왕회편(王會篇)作앙림(央林),글자 모양이 잘못됨(蓋字形之訛也)——珂)酋耳),추이는 범 같고(酋耳若虎),꼬리는 몸보다 길며(尾參於身),범과 표범을 먹는다(食虎豹)。』대전에서 어리석은 짐승이라 일컬었다(大傳謂之侄獸(현재(今) 상서(尚書) 대전(大傳)作괴상한 짐승(怪獸)——珂))。오는 마땅히 우로 쓴다(吾宜作虞也)。」원가기록(珂案):추오 신화는(騶吾(우(虞))神話),문왕이 유리에서 빠져나온 신화의 세부 묘사다(亦文王脫羑里神話之一細節也)。상서(尚書) 대전(大傳)云:「산의생이 어릉씨에게 괴상한 짐승을 받았는데(散宜生之於陵氏取怪獸),크기가 범과 이리의 사이이고(大不辟虎狼閒),꼬리는 그 몸의 곱절이며(尾倍其身),이름을 우라 한다(名曰虞)。」이것이 추우다(是此騶虞也)。회남자(淮南子) 도응편(道應篇)云:「산의생은 많은 돈으로 세상의 진귀하고 괴상한 것을 구했는데(散宜生乃以千金求天下之珍怪),추우와 계사지승과 검은 옥과 온갖 장인들과 대패와 백붕과 검은 표범과 누런 큰곰과 푸른 들개와 흰 범과 무늬 있는 가죽을 천합 정도 얻었고(得騶虞、雞斯之乘、玄玉百工、大貝百朋、玄豹黃羆、青犴白虎、文皮千合),은나라 주에게 헌상하였다(以獻於紂)。」처음 나열된 추우는(首列騶虞),그 귀중함을 알 수 있다(其貴可知矣)。


昆侖虛南所,有氾林方三百里1。

곤륜허 남쪽에 있는, 범림의 넓이가 삼백 리에 이른다.


1 필원(畢沅)云:「회남자(淮南子) 지형훈(墬形訓) 번동이 있는데(有樊桐),곤륜 창합의 안에 있다(云在昆侖閶闔之中)。광아(廣雅)云:『곤륜허에 판동이 있다(昆侖虛有板桐)。』수경(水經)注(황하(河水))云:『곤륜산(昆侖之山),아래를 번동이라 하며(下曰樊桐),판동이라고도 한다(一名板桐)。』쓰여 있는 범과 번과 판의 성조는 서로 비슷하고(案氾、樊、板聲相近),림과 동은 서로 비슷하 글자다(林、桐字相似),모두 하나다(當即一也)。」원가기록(珂案):필원(畢)說가장 맞다(近是)。則이른바(所謂) 번동산 또는 판동산이고(樊桐或板桐之山),蓋亦以「풀의 나무가 넘쳐 흘러 넓게 퍼짐(林木氾濫布衍)」(해외남경(海外南經) 곽박(郭璞)注)널리 알려진 이름이고(而得名),그런 의미로 범림이다(其義則氾林也)。


從極之淵1深三百仞,維冰夷恆都焉2。

종극연은 깊이가 삼백 길이고, 빙이가 항도를 지탱하고 있다.


冰夷人面3,乘兩龍4。

빙이는 사람 얼굴이고, 두 마리의 용을 타고 있다.


一曰忠極之淵5。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충극연이라고도 한다.


1 원가기록(珂案):문선(文選) 강부(江賦) 이선(李善)注引 이 경문에此經作「종극천(從極之川)」。

2 곽박(郭璞)云:「빙이는(冰夷),풍이다(馮夷也)。회남자(淮南)云:『빙이가 도를 얻어(馮夷得道),대천 속으로 깊이 들어갔다(以潛大川)。』하백이다(即河伯也)。목천자전(穆天子傳) 이른바(所謂)『하백(河伯) 무이(無夷)』者,죽서(竹書)作풍이(馮夷),字或作빙(冰)也。」원가기록(珂案):經文「항도(恆都)」,장경(藏經)本作「잠도(潛都)」。곽박(郭)注引회남자(淮南子) 제속편(齊俗篇) 글(文),확실히 장자의 대종사에서 나온다(實出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대종사(大宗師)云:「풍이는 깨달음 얻어(馮夷得之),대천을 떠돌았다(以遊大川)。」석문(釋文)引사마표(司馬彪)云:「청령전(清泠傳)曰:『풍이는 화음 동향 둑의 우두머리인데(馮夷華陰潼鄉隄首人也),팔석을 먹고(服八石),깨달음을 얻어 수선이 되었다(得水仙),아것이 하백이 되었다(是為河伯)。』」후한서(後漢書) 장형전(張衡傳)注引용어하도(龍魚河圖)則云:「하백의 성은 여씨이고(河伯姓呂),이름은 공자다(名公子),부인의 성은 풍씨이고(夫人姓馮),이름은 이다(名夷)。」초사(楚辭) 구가(九歌) 홍흥조(洪興祖) 보충설명(補注)引포박자(抱朴子) 석귀편(釋鬼篇)(현재 없는 책(今本無))復云:「풍이는 팔월 상경일에 강을 건너다 물에 빠져 죽었는데(馮夷以八月上庚日渡河溺死),천제가 벼슬을 내려 하백이 되었다(天帝署為河伯)。」等等,이들 모두 나중에 나온 설명(是皆後起之說),아무래도 내용이 뒤섞이고 어수선하여 올바르지 못하다(未免蕪雜不倫)。하백은 옛 황하의 수신이고(河伯蓋古黃河水神),목천자전(穆天子傳)卷一이른바(所謂)「양우산은(陽紆之山),하백 무이가 사는 도읍이다(河伯無夷之所都居)」者맞다(是也)。수경(水經)注낙수(洛水)引죽서기년(竹書紀年)云:「낙백 용과 하백 무이가 싸움(洛伯用與河伯馮夷鬥)。」풍이와 용은 모두 황하와 낙수의 신이다(馮夷與用蓋即河洛之神也)。은허복사(殷墟卜辭)에 요우하와 팽우하 등이 자주 쓰여 있고(屢有「요우하(𤉲于河)」(은허서계(殷墟書契) 전편(前編):一三二‧五)、「팽우하(祊于河)」(철운장귀(鐵雲藏龜):九六‧四)等記敘),하백 신화의 연원이 옛부터 알려졌다(知河伯神話之淵源亦已古矣)。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云:「소의 흰 이마는(牛之白額者),새끼돼지의 높은 코와(與豚之亢鼻者),치질이 있는 사람은(與人有痔病者),황하의 수신에게 제사를 지낼 수 없다(不可以適河)。」적하는(適河),석문(釋文)引 사마표(司馬彪)云:「황하의 제사에서 물에 빠뜨리는 사람을 일컫는다(謂沈人於河祭也)。」전국시대에 하백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속이 있었는데 여전히 늘어날 뿐 끝나지 않는다(則在戰國之世奉祀河伯之風仍有增未已)。至초사(楚辭) 구가(九歌),하백전 단락의 서술이 있는데(乃有河伯專章之敘寫),그 안에 구절은(其中「여자와 논다(與女遊)」、「아름다운 여자를 보내다(送美人)」等語),단지 사람과 신의 연애의 정황을 표현한 것이다(要無非表現人神戀愛之情況(見문일다(聞一多) 구가(九歌)는 옛 연극에 생사의 고락을 초월함(古劇懸解)))。則하백은(河伯者),확실히 방자하고 방탕한 풍류의 신이다(固亦浪蕩風流之神):此사기(史記) 골개열전(滑稽列傳) 서문표전(西門豹傳)「하백에게 처자를 바치다(河伯娶婦)」전설의 이유가 생깅다(傳說之所由起也)。초사(楚辭) 천문(天問)云:「천제가 이예를 내려보낸 것은 하나라 백성의 재앙을 없애란 것인데(帝降夷羿、革孽夏民),어찌 저 하백을 쏘아 하백의 아내인 낙빈을 아내로 삼았나(胡射夫河伯而妻彼雒嬪)?」예가 한 일은(羿「낙빈을 아내로 삼다(妻雒嬪)」事),옛날 이야기의 숨은 뜻(古說隱淪),세상 물정에 아주 어두워 알 수가 없다(茫昧不可知矣)。而「하백을 쏘다(射河伯)」,則有왕일(王逸)注云:「하백이 변하여 백룡이 되었는데(河伯化為白龍),물가에서 헤엄치는 것을(遊于水旁),예가 보고 활로 쐈고(羿見射之),그 왼쪽 눈이 멀었다(眇其左目)。하백은 하늘에 올라 천제에게 하소연하며(河伯上訴天帝),曰:『나를 위해 예를 죽여주시오(為我殺羿)。』천제(天帝)曰:『너는 무슨 까닭으로 화살을 맞았느냐(爾何故得見射)?』하백(河伯)曰:『나는 당시에 백룡으로 변하여 놀러 나갔다(我時化為白龍出遊)。』천제(天帝)曰:『니가 깊은 곳에서 신령하게 머물렀으면(使汝深守神靈),예가 어찌 너를 공격했겠느냐(羿何從得犯汝)?벌레나 짐승이 되었기에(今為蟲獸),사람에게 화살을 맞았으니(當為人所射),참으로 마땅한 일인데(固其宜也),예에게 무슨 죄가 있겠느냐(羿何罪歟)?』」고유(高誘)注 회남자(淮南子)(범론편(氾論篇))乃逕云:「하백이 사람을 물에 빠트려 죽이자(河伯溺殺人),예가 그 왼쪽 눈을 화살로 쏘았다(羿射其左目)。」하백은 백성에게 재앙을 주며(河伯蓋為民害),예는 그것이 도리에 어긋나고하여 활로 쐈다(羿射其不道也)。而박물지(博物志) 다른 이야기(異聞)云:「담대자우가 천금 값이 나가는 구슬을 지니고 황하를 건너는데(澹臺子羽渡河,齎千金之璧於河)。하백이 구슬을 원하자(河伯欲之),양후가 파도를 일으키고(至陽侯波起),교룡 두 마리가 사이에 배가 끼웠다(兩鮫夾船)。자우는 왼손에 구슬을 쥐고(子羽左摻璧),오른손에 검을 들며(右操劍),교룡을 공격하여 모두 죽였다(擊鮫皆死)。건너자마자(既渡), 황하에 세 번 구슬을 던졌고(三投璧於河),하백은 뛰쳐나와 돌려주었고(河伯躍而歸之),자우는 구슬을 부수고 떠났다(子羽毀而去)。」하백은 됨됨이가 못나고 어리석으며 지저분하다(河伯性行之卑劣),이것은 더욱이 한 부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於此尤可見一斑)。그것은 고대 신화 속에 있는 반동적이고 부정적인 형상의 인물이며(其在古代神話中為反面形象人物),의문이 없다(蓋無疑問矣)。

3 원가기록(珂案):하백 생김새 관련(關於河伯形狀),시자(尸子) 집본(輯本)卷下云:「우가 물을 다스리다(禹理水),황하를 보니(觀於河),흰 얼굴에 키가 크고 물고기 몸을 한 사람이 나오는 것을 보았는데(見白面長人魚身出),曰:『내가 황하의 요정이다(吾河精也)。』우에게 하도를 주며 물 속으로 돌아갔다(授禹河圖而還於淵中)。」역사(繹史)卷十一引박물지(博物志) 서술한 이 고사는 나중에 고처져 풀이 되었음(於述此故事後更為之釋)云:「하백이다(蓋河伯也)。」한비자(韓非子) 내저설(內儲說) 상략(上略)云:「제나라 사람이 제나라 왕에게 고핟길(齊人有謂齊王)曰:『하백은(河伯),무서운 귀시이니(大神也),임금께서 잠시 만나보시는 것이 어떻겠습니까(王何不試與之遇乎)?신이 임금님 안내하겠습니다(臣請使王遇之)。』압록강 상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한 터를 만들고(乃為壇場大水之上),왕과 함께 서있었다(而與王立之焉)。잠시 후(有閒),큰 물고기가 나타나다(大魚動),물고기가 나타난 이유(因)曰:『이것이 하백이다(此河伯)。』」하백의 모양이라 할 수 있고(可見河伯之形),확실히 사람 얼굴에 물고기 몸이다(實當是人面魚身)。유양잡조(酉陽雜俎) 낙고기(諾皋記) 상(上)云:「하백은 사람 얼굴에(河伯人面),두 마리의 용을 타고 있다(乘兩龍)。또는 사람 얼굴에 물고기 몸이라 한다(又曰人面魚身)。」「사람 얼굴에(人面),두 마리의 용을 타고 있다(乘兩龍)」,현재 생각으로(今所見) 산해경(山海經) 맞다(是也),「또는 사람 얼굴에 물고기 몸이라 한다(又曰人面魚身)」,고쳐저 참고된 옛날 이야기에 추가되어 전체의 이야기가 이루어짐(蓋更參古說而為之補充使成全貌也)。

4 곽박(郭璞)云:「그림의 네 면에는 각각이 영거를 탔으며(畫四面各乘靈車),두 마리 용이 끌고 있다駕二龍。」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注령은 운이 맞다(靈蓋雲),잘못된 글자다(字之訛也)。수경(水經)注(河水)引괄지도(括地圖)云:『풍이는 항상 운거를 탔고(夷恆乘雲車),두 마리 용이 끌었다(駕二龍)。』이 영은 운이 되어야 한다(是靈當為雲)。태평어람(太平御覽)六十一卷引이 설명에는 확실히 운이라 쓰여 있다(此注正作雲),증거라 할 수 있다(可證)。」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說맞다(是也),왕념손(王念孫)校同。

5 학의행(郝懿行)云:「수경(水經)注(황하(河水))引이 경문에(此經)作중극(中極),중과 충은 옛날에 뜻이 같았다(中、忠古字通)。」


陽汙之山,河出其中;

양우산은, 그 안에서 황하가 나온다.,


凌門之山,河出其中1。

능문산은 그 안에서 황하가 나온다.


1 곽박(郭璞)云:「모두 황하의 지류가 나오는 곳이다(皆河之枝源所出之處也)。」학의행(郝懿行)云:「양우는 양우고(陽汙即陽紆),성조가 서로 비슷하다(聲相近)。목천자전(穆天子傳)(卷一)云:『양우산은(至于陽紆之山),하백 무이가 사는 곳이다(河伯無夷之所都居)。』수경(水經)注(황하(河水))云:『황하는 양우산과 능문산에서 나오는데(河水又出于陽紆、陵門之山),풍일산으로 들어간다(而注于馮逸之山)。』蓋即引이 경문의 글(此經之文)。능문은 능문이다(陵門即凌門也)。或云即용문(龍門),능과 용 역시 같은 성조로 전해진다(凌、龍亦聲相轉也)。예문유취(藝文類聚)八卷引이 경문에는 확실히 양우와 능문으로 쓰여 있고(此經正作陽紆、陵門),與수경(水經)注合。양우산와 능문산의 그 위치는 모두 진나라에 있다(陽紆、陵門其地皆當在秦),故회남자(淮南子)云:『옛날 우임금이 홍수를 다스리며(昔禹治洪水),양우산에서 기도를 했다(具禱陽紆)。』고유(高誘)注云:『양우는(陽紆),진나라 늪이다(秦藪)。』맞다(是也)。수경(水經)注되돌아보면(反)以고유(高誘)為틀렸다(非),잘못되다(謬矣)。」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引수경(水經)注「풍일산(馮逸之山)」,當即「풍이산(馮夷之山)」,이것의 하백의 이름이 붙은 산이다(是以河伯之名而名山矣)。


王子夜1之尸,兩手、兩股、2、首、齒3,皆斷異處4。

왕자야시는, 두 손 과 두 다리와 가슴과 머리와 이는, 모두 다른 곳에 나누어졌다..


1 원가기록(珂案):일본(日本) 소천탁치(小川琢治) 목천자전(穆天子傳) 지명고(地名考)謂「야(夜)」即「해(亥)」가 모양 잘못된 것이(之形訛),아닌가 의심 된다(疑是)。만약 이와 같다면(若果如此),이 구절은 옛부터 내려오는 왕해 이야기의 한 부분(則此節亦王亥故事之片段),即대황동경(大荒東經) 곽박(郭璞)注引옛 책(古本) 죽서기년(竹書紀年) 이른바(所謂)「은나라 왕자해가 유역의 땅에 초대되어 음탕하게 놀자 유역의 임금 면신이 죽여서 내버렸다(王子亥賓於有易而淫焉、有易之君綿臣殺而放之)」、왕해가 참혹하게 죽음을 당하 뒤의 형상이다(王亥慘遭殺戮以後之景象也)。자세한 경문은(詳該經「왕해(王亥)」節)。

2 학의행(郝懿行)云:「흉은 흉이 되어야 한다(當為匈)。」원가기록(珂案):흉은*匈),옛 흉자와 흉자다(古、胸字),해외남경(海外南經) 결흉국은 흉으로 쓰여야 한다(結匈國正作「흉(匈)」)。

3 원가기록(珂案):강소원(江紹原) 은나라 왕해가 참혹하게 죽고 뒤이어 임금이 된 왕금과 상갑미가 원수를 갚는 전설(殷王亥慘死及後君王恆上甲微復仇之傳說)(1936년 11월 28일 북경 화북일보 부간(見一九三六年十一月二十八日北平華北日報副刊)「중국 옛 점복술 연구(中國古占卜術研究)」)치자와 수자의 모양이 비슷해 덧붙였다 일컫고(謂齒字與首字形近而衍),역시 참고할만하다(亦足供參考)。이와 같이(如此),왕해가 참혹하게 죽음을 당해(則王亥慘遭殺戮),주검이 여덟 개로 나누어 지게되고(係尸分為八),合於「해는 머리가 두 개 몸이 여섯 개다(亥有二首六身)」(머리 두 개와 가슴 두 개와 두 팔과 두 다리(首二、胸二、兩手、兩股))(춘추좌씨전(左傳) 양공(襄公) 삼십 년(三十年))의 옛날 민간 전설이다(之古代民間傳說)。곽박(郭璞) 도찬(圖讚)云:「자야시는(子夜之尸),몸이 나누어져 일곱 개로 이루어지다(體分成七)。」생각컨데 이자는 덧붙여진 글자다(則所見本已衍齒字也)。

4 곽박(郭璞)云:「이는 깨달음으로 신에게 이어지다(此蓋形解而神連),내지른 호흡으로 모양이 어그러지다(貌乖而氣合);빈틈이 없어 맞지 않고(合不為密),멀어지게 되어 떠나지 못하다(離不為疏)。」원가기록(珂案):곽박(郭) 풀이한 설명은(釋已近玄說),달라지고 어그러진 신화의 뜻(殊乖神話之旨)。


舜妻登比氏1生宵明、燭光2,處河大澤3,二女之靈能照此所方百里4。

순임금 아내 등비씨는 소명과 촉광을 낳았고, 황하 대택에 살았다, 두 여인의 신통한 능력은 이곳의 백 리를 밝게 할 수 있었다.


一曰登北氏。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등북씨라고도 한다.


1 원가기록(珂案):시자(尸子)(손성연(孫星衍) 모음(輯本))卷下云:「요는 순에게 황을 아내로 주고((요임금(堯))妻之(순임금(舜))以媓),아를 잉첩으로 보냈다(媵之以娥)。」이 두 왕비는 모두 요임금의 딸로(此二妃皆堯女),아황과 여영을 말한다(所謂娥皇、女英(見열녀전(列女傳) 우중화의 두 왕비가 있다(有虞二妃))者是也)。예기(禮記) 단궁(檀弓) 상(上)云:「순임금은 창오에 묻혔고(舜葬蒼梧),세 왕비는 아직 함께하지 않았다(蓋三妃未之從也)。」정현(鄭玄)注:「순임금은 왕비기 세 명이다(舜有三妃)。」앞서 설명한 두 왕비 말고도(則除上所說二妃而外),다른 한 명이 이 등비씨다(另一蓋即此登比氏也)。나필(羅泌) 노사(路史)(후기(後紀)十一)역시도 세 왕비가 아맹과 여형과 계비이며(亦以三妃為娥肓(아황(娥皇))、女瑩(여영(女英))、癸比(등비(登比))),맞다(是也)。

2 곽박(郭璞)云:「두 여자란 글자다(即二女字也),빛을 내 비출 수 있어(以能光照),이름된 이유다(因名云)。」

3 곽박(郭璞)云:「택은(澤),황하의 강기슭에 물이 넘쳐 가득찬 곳(河邊溢漫處)。」

4 곽박(郭璞)云:「두 여자에게서 나오는 빛이 백 리를 비춘다(言二女神光所燭及者方百里)。」원가기록(珂案):해내서경(海內西經):「대택의 넓이는 백 리에 이르며(大澤方百里),새떼가 알을 까고 털갈이를 하는 곳이다(群鳥所生及所解)。」이 대택이다(即此大澤)。이 구절과 이 다음 두 구절 역시 이 구절의 앞으로 옮겨야 한다(該節及已下二節亦應移於此節之前),처음과 대략 서로 들어맞는 위치는(始與方位大致相符),설명이 이미 앞에 나왔다(說已見前)。회남자(淮南子) 지형편(墬形篇)云:「소명과 촉광은 하주에 있고(宵明燭光在河洲),하주 사방 천 리를 밝게 비춘다(所照方千里)。」說本此。백자는 천자로 쓰여 있고(而百字作千),책과 다르다(或所見本異也)。중차십이경(中次十二經)云:「동정산에는(洞庭之山),천제의 두 딸이 살고(帝之二女居之),이들은 항상 강과 못에서 노닌다(是常遊於江淵)。예수와 원수의 바람이(澧沅之風),소수와 상수의 웅덩이에서 만나는데(交瀟湘之淵),이곳은 구강의 사이에 있으며(是在九江之間),드나들 때 반드시 회오리바람과 폭우를 동반한다(出入必以飄風暴雨)。」此「천제의 두 딸(帝之二女)」,요임금의 두 딸인 아황과 여영이다(乃堯之二女即娥皇、女英也)。초사(楚辭) 구가(九歌) 상부인(湘夫人)云:「천제의 딸이 북쪽 물가에 내려와(帝子降兮北渚),아득하기만 하여 내 마음 서럽고(目眇眇兮愁予);산들산들한 가을 바람에(嫋嫋兮秋風),동정호는 물결치고 나뭇잎은 떨어지네(洞庭波兮木葉下)。」그 일을 읊다(即詠其事也)。그 정경과 황하 대택에 사는 순임금의 두 딸인 소명과 촉광은 같은 것이고(然其情景乃與「황하 대택에 산다(處河大澤)」之舜二女宵明、燭光相類),하나의 전설이 나누어 갈라진 것인듯하다(或均同一傳說之分化與)?나필(羅泌) 노사(路史)(후기(後紀十一)因云:「소명과 촉광은(宵明燭光),황하 대택에 살며(處河大澤),신령한 빛이 백 리를 비추는데(靈照百里),이것이 상수의 신이 되었다(是為湘之神)。」요임금의 두 딸 신화 속 상수가 서로 뒤섞여 하나가 되어(以之混同於湘水堯二女神話中),올바른 것이 없어 부족하고 다르다(正無足異)。


蓋國1在鉅燕南,倭北。

개국은 거연 남쪽에 있고, 왜의 북쪽에 있다.


倭屬燕2。

왜는 연나라에 속국이다.


1 학의행(郝懿行)云:「(삼국지(三國志))위지동이전(魏志東夷傳)云:『동옥저는 고구려 개마대산 동쪽에 있다(東沃沮在高句麗蓋馬大山之東)。』후한서(後漢書) 동이전(東夷傳)同。李賢注云:『개마는(蓋馬),마을 이름이고(縣名),현도군에 들어간다(屬玄菟郡)。』현재 쓰여 있는 개마는 개국의 땅으로 읫미(今案蓋馬疑本蓋國地)。」원가기록(珂案):이 구절과 다음 아홉 구절은 모두 해내동경에 거연은 동북쪽 구석에 있다의 뒤로 옮겨야 하며(此節及以下九節均應移해내동경(海內東經)「거연은 동북쪽 구석에 있다(鉅燕在東北陬)」之後),설명(說)已見해내남경(海內南經)「흉노(匈奴)」節注。

2 곽박(郭璞)云:「왜국은 대방 동쪽 큰 바다 안에 있는데(倭國在帶方東大海內),여자가 임금이고(以女為主(송본(宋本)、장경(藏經)本作왕(王)——珂)),그곳의 관습은 갓이나 두건 따위를 전혀 쓰지 않은 상투 머리를 하고 있고(其俗露紒),옷에는 바느질을 하지 않았으며(衣服無針功),몸에 붉은 칠을 하고(以丹朱塗身),샘을 내지 않아(不妒忌),한 남자여 열 명의 아내를 두었다(一男子數十婦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說本삼국지(三國志) 위지동이전(魏志東夷傳)。


朝鮮在列陽東,海北山南。

조선은 열양 동쪽에 있고, 해북산 남쪽에 있다.


列陽屬燕1。

열양은 연나라 속국이다.


1 곽박(郭璞)云:「조선은 현재 낙랑현이고(朝鮮今樂浪縣),기자가 하사 받은 곳이다(箕子所封也)。열은 물 이름이고(列亦水名也),현재 대방에 있으며(今在帶方),대방은 열구현에 있다(帶方有列口縣)。」학의행(郝懿行)云:「(한서(漢書))지리지(地理志)云:『낙랑군 조선 또는 탄열 분려산은(樂浪郡朝鮮又吞列分黎山),열수가 나오는 곳이고(列水所出),서쪽 점제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西至黏蟬入海)。』又云:『함자의 대수는(含資帶水),서쪽 대방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西至帶方入海)。』대방과 열구 모두 낙랑군에 들어간다(又帶方列口並屬樂浪郡)。진서(晉書) 지리지(地理志) 열구는 대방군에 들어간다(列口屬帶方郡)。」


列姑射在海河州中1。

열고야는 해하주 안에 있다


1 곽박(郭璞)云:「산 이름이다(山名也)。산에 신인이 있다(山有神人)。하주는 바다 안에 있고(河州在海中),황하를 지난다(河水所經者)。장자(莊子)所謂막고야산(藐姑射之山)也。」원가기록(珂案):동차이경(東次二經)云:「고야산은(姑射之山),풀과 나무가 없고(無草木),물이 많다(多水)。또 남쪽으로 물을 따라 삼백 리(又南水行三百里),사막을 따라 백 리를 가면(流沙百里),북고야산이라 하는데(曰北姑射之山),풀과 나무가 없고(無草木),돌이 많다(多石)。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又南三百里),남고야산이라 하는데(曰南姑射之山),풀과 나무가 없고(無草木),물이 많다(多水)。」이는(即此),이른바(所謂)열고야다(「열(列)」姑射也)。이 구절과(此節與)동차이경(東次二經)에 서로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데(所寫情景相合),확실히 해내동경 처음으로 옮겨야 타당하다(確當移해내동경(海內東經)始妥)。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云:「막고야산에는(藐姑射之山),신인이 살고 있는데(有神人居焉),살가죽은 얼음과 눈 같아서(肌膚若冰雪),처녀 같이 아름답다(淖約若處子),온갖 곡식을 먹지 않고(不食五穀),바람과 이슬을 마시며(吸風飲露),구름의 기운을 타고(乘雲氣),하늘을 나는 용을 거느리며(御飛龍),사해 밖으로 노닌다(而遊乎四海之外),그가 정신을 집중하면(其神凝),생물들은 병이 없고 곡식은 잘 익는다(使物不疵癘而年穀熟)。」석문(釋文)引간문(簡文)(양나라(梁) 간문제(簡文帝))云:「막은(藐),원이다(遠也)。」막고야산은 고야산이며 열고야산이다(則藐姑射之山即姑射之山亦即列姑射(산(山))也)。열자(列子) 황제편(黃帝篇)云:「열고야산은(列姑射山),해하주 안에 있고(在海河洲中),산 위에 신인이 있다(山上有神人焉)」云云,바로 그 땅이다(正是其地也)。至於장자(莊子)又云:「막고야산은(藐姑射之山),분수의 북쪽(汾水之陽)」者,석문(釋文)云:「분수는 태원에서 나오며(汾水出太原),현재 장생의 우언이다)今莊生寓言也)。」필요 없는 믿음이 본질이 되다(謂不必信以為真也)。학의행(郝)疏乃以열자(列子) 열고야산(列姑射山) 이곳에 들어가고(屬此),以장자(莊子) 막고야산은(藐姑射山)屬동차이경(東次二經) 고야산에(姑射山) 들어간다,이 두 글은(謂二者「하나의 땅이 아니다(非一地也)」),아직 차이점을 메우지 못하여(未免泥求),연결되었다 할 수 없다(未能貫通)。


射姑國1在海中,屬列姑射,西南,山環之2。

야고국은 바다 안에 있고, 열고야산에 속하며, 서남쪽에 있다,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1 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장경(藏經)本、오관(吳寬)초본(抄本)、오임신(吳任臣)本、필원(畢沅)校本並作「고야국(姑射國)」,作「고야국(姑射國)」맞다(是也)。

2 학의행(郝懿行)云:「산이 서남쪽을 둘러싸고 있고(山環西南),바다가 동북쪽에 붙어 있다(海據東北也)。」


大蟹在海中1。

대해는 바다 안에 있다.


1 곽박(郭璞)云:「천 리에 달하는 게다(蓋千里之蟹也)。」원가기록(珂案):대황동경(大荒東經)云:「여축에 대해가 있다(女丑有大蟹)。」곽박(郭)注云:「넓이가 천 리에 이른다(廣千里也)。」이 대해다(即此大蟹也)。주서(周書) 왕회편(王會篇)云:「해양의 대해(海陽大蟹)。」공조(孔晁)注云:「바닷물의 북쪽에(海水之陽),한 마리 게가 수레를 가득 채운다(一蟹盈車)。」이 대해는 선진고적에서 보인다(此大蟹之見於先秦古籍者也)。현중기(玄中記)(고소설구침(古小說鉤沉) 모음(輯))云:「세상의 큰 물건 중(天下之大物),북해의 게가 있는데(北海之蟹),한쪽 집게발로 능히 산을 들 수 있으며(舉一螯能加於山),죽은 몸이 물 속에 있다(身故在水中)。」태평어람(御覽)卷九四二引영남이물지(嶺南異物志)云:「일찍이 바다에 나가려고 바닷가에 도달했는데(嘗有行海得洲渚),수풀의 나무가 아주 무성하였다(林木甚茂)。이에 배를 정박하고(乃維舟登岸),물가에서 밥을 지었다(爨於水傍)。불을 반쯤 피웠는데 숲이 물에 잠겼다(半炊而林沒於水)。급히 배의 닻줄을 끊고(遽斬其纜),이곳을 떠났다(乃得去)。자세히 보니(詳視之),대해였다(大蟹也)。」전설이 변화 발전하여(則傳說演變),점점 더 기이해짐(愈出而愈奇也)。


陵魚人面,手足,魚身,在海中1。

능어는 얼굴이 사람이고, 손과 발이 있으며, 몸은 물고기다, 바다 안에 있다.


1 원가기록(珂案):해외서경(海外西經)云:「언덕에 사는 용어는 그 북쪽에 있다(龍魚陵居在其(기름진 들판(沃野))北)。」이 물고기다(即此魚也)。자세한 설명은 끝부분 주석(說詳該節注)。초사(楚辭) 천문(天問)云:「능어는 어디 있는가(鯪魚何所)?」유규(劉逵)注오도부(吳都賦)引作「능어를 어떻게 잡았나(陵魚曷止)」인어다(即人魚也)。용과 능은 같은 성조로 전해지고(龍、陵聲轉),능과 인은 발음이 비슷하다(陵、人音近)。산해경(山海經) 인어가 사는 곳이 많이 기록되어 있는데(記有產人魚之處多所):서산경(西山經)之죽산(竹山)、북차삼경(北次三經)之용후산(龍侯山)、중차삼경(中次三經)之웅이산(熊耳山)、중차육경(中次六經)之부산(傅山)、양화산(陽華山)、중차십일경(中次十一經)之조가산(朝歌山)、함산(葴山),모두 인어가 많다고 한다(均云「인어가 많다(多人魚)」)。即남산경(南山經) 청구산의 붉은 인어(青邱山之赤鱬),중차칠경(中次七經) 소실산의 큰 잉어(少室山之魚),모두 인어의 종류다(亦均人魚之屬也)。이 인어는(然此人魚),인어라는 동물이고(乃動物之人魚),신화의 인어가 아니다(非神話之人魚也)。수경(水經)注이수(伊水)云:「광지(廣志)曰:『예어의 울음 소리는 어린 아이가 우는 소리 같고(鯢魚聲如小兒啼),네 개의 발이 있으며(有四足),모양이 가물치 같다(形如鯪鱧),소를 치료할 수 있고(可以治牛),이수에서 나온다(出伊水也)。』사마천의 인어(司馬遷謂之人魚)。故其著사기(史記)曰:『진시황의 무덤은(始皇之葬也),인어의 기름으로 초를 태웠다(以人魚膏為燭)。』서광(徐廣)曰:『인어는 발이 네 개 달린 인어와 비슷하다(人魚似而四足),예어다(即鯢魚也)。』」이를 일컫는다(謂此)。신화의 인어는(神話之人魚),이 경문의 기록과 거의 비슷하다(此經所記近似矣),수신기 기록의 교인 같지 않다(而未若수신기(搜神記)所記之鮫人)。수신기(搜神記)卷十二云:「남해의 밖에 교인이 있는데(南海之外有鮫人),물고기 같이 물에 살고(水居如魚),실은 내어 옷감을 짜는 일을 멈추지 않고(不廢織績),교인이 눈에서 눈물을 흘리면(其眼泣),진주가 나온다(則能出珠)。」박물지(博物志)、술이기(述異記) 모두 약간 다른 글로 기록(並記之而文小異)。而태평어람(御覽)卷八0三引박물지(博物志)(현재 책이 없음(今本無))云:「교인이 물에서 나와(鮫人從水出),사람의 집에 머물며(寓人家),여러 날동안 비단을 판다(積日賣絹)。물로 떠나게 되면(將去),집주인으로부터 하나의  그릇을 찾아(從主人索一器),눈물을 흘려 진주를 가득 채우고(泣而成珠滿盤),집주인에게 준다(以與主人)。」더욱 기이하게 달리짐(為尤奇異)。후세 인어의 전설은(後世人魚之傳說),則見於태평광기(太平廣記)卷四六四引흡문기(洽聞記):「바다 인어의 모양은 사람 같고(海人魚狀如人),눈썹과 눈과 입과 코와 손과 손톱이(眉目口鼻手爪),모두 아름답고 고운 여자 같고(皆為美麗女子),피부와 살이 옥 같이 희며(皮肉白如玉),머리털은 말 꼬리 같다(髮如馬尾),키는 오육 척이다(長五六尺)。」천중기(天中記)卷十二引조이기(徂異記)亦云:「송나라 사도가 사신이 되어 고려로 가는 길에(侍制查道奉使高麗),늦은 밤 한 산에서 머물렀는데(晚泊一山),멀리 모랫속을 바라보니 한 명의 부인이 있었다(望見沙中有一婦人),붉은 치마를 두르고 양어깨를 드러냈으며(紅裳雙𥘵[示旦])둥그랗게 틀어올린 머리 마구 흐트러졌다(髻鬟微亂),팔꿈치에 붉은 갈기가 있었다(肘有紅鬣)。뱃사람(水工)曰:『제가 바다 위에 있지만(某在海上),아직 보지 못한 것인데 이것이 무슨 물건 입니까(未省此何物)?』사도(查)曰:『이는 인어다(此人魚也)。』」그것의 생김새와 북구 동화책에 쓰인 인어가 비슷하다(其形貌姿態已與近世北歐童話家筆下人魚相近矣)。학의행(郝懿行)云:「초학기(初學記)三十卷引此經云:『능어의 배와 등에 모두 가시가 있고(鯪魚背腹皆有刺),세 개의 뿔이 난 마름 같다(如三角菱)。』북당서초(北堂書鈔)一百三十七卷亦引此經,而云『능리는 배를 삼킨다(鯪鯉吞舟)』。곽박의 설명이 이 경문을 인용해 잘못된 것으로 의심(疑此皆곽박(郭)注誤引作經文),현재 책에는 모두 빠짐(今本並脫去之也)。」맞다(是矣);모질고 사나운 모습이이라서 다르다(而獰猛之狀則異也)。


居海中1。

바다 안에 큰 방어가 산다(大鯾居海中).


1 곽박(郭璞)云:「편은 방이다(即魴也);音편(鞭)。」원가기록(珂案):이아(爾雅) 석어(釋魚)云:「방은(魴),비다(魾)。」곽박(郭璞)注云:「강동에서는 방어를 편이라 부른다(江東呼魴魚為鯿)。」설문해자(說文)十一云:「편은(鯿),편이다(鯾)。」故곽박(郭)此注云「편은 방이다(即魴)」也。


明組邑居海中1。

명조읍은 바다 안에 산다.


1 곽박(郭璞)云:「音조(祖)。」학의행(郝懿行)云:「명조읍은 바다 속 마을의 미름이고(明組邑蓋海中聚落之名),현재는 자세하지 않다(今未詳)。或說(오임신(吳任臣)說——珂)以이아(爾雅)(석초(釋草))云『윤사윤(綸),조사조(組似組),동해에 있다(東海有之)。』아마도 그렇지 않다(恐非)。」


蓬萊山在海中1。

봉래산은 바다 안에 있다.


1 곽박(郭璞)云:「산 위에 선인이 사는 집들이 있는데(上有仙人宮室),모두 금과 옥으로 만들어졌고(皆以金玉為之),새와 짐승이 모두 희며(鳥獸盡白),구름 같이 보인다(望之如雲),발해 속에 있다(在渤海中也)。」원가기록(珂案):사기(史記) 봉선서(封禪書)云:「봉래와 방장과 영주(蓬萊、方丈、瀛洲),이 삼신산은(此三神山者),산들이 발해 안에 있다고 전해지며(其傳在渤海中),여러 선인과 불사약이 모두 여기에 있다(諸仙人及不死之藥皆在焉)。산들의 사물과 새와 짐승은 모두 희고(其物禽獸盡白),궁궐은 황금과 은으로 만들었으며(而黃金銀為宮闕),다다르기 전(未至),구름 같이 보인다(望之如雲)。」云云,是곽박(郭)所本也。열자(列子) 탕문편(湯問篇) 오신산(五神山) 신화(神話)亦봉래가 있다(有蓬萊),已見해외동경(海外東經)「대인국(大人國)」節注。태평어람(御覽)卷三八引此經作「봉래산은(蓬萊山),바다 속의 신이 사는 산이고(海中之神山),도를 깨우치지 못하면 이르지 못한다(非有道者不至)。」경문과 곽박의 설명 모두 교정 되었고(當是檃括經文並郭注而言),경문이 틀림(非經文也)。


大人之市在海中1。

대인시는 바다 안에 있다.


1 원가기록(珂案):대황동경(大荒東經)云:「동해의 밖(東海之外),대황의 안에(大荒之中),이름이 대언이라는 산이 있는데(有山名曰大言),해와 달이 나오는 곳이다(日月所出)。파곡산이 있는데(有波谷山者),대인국이 있다(有大人之國)。대인시가 있는데(有大人之市),이름을 대인당이라 한다(名曰大人之堂)。有一大人踆其上,張其兩臂(팔은 귀로 쓰여 있었고(臂原作耳),근거(據) 왕념손(王念孫)、필원(畢沅)、학의행(郝懿行) 여러 사람이 고침(諸家校改))。」即此。양신과 학의행 등은 전 등주의 해시신루의 환상이라 풀이함(楊慎、郝懿行等咸釋以登州海市蜃樓之幻象),云:「현재 등주 해중주의 섬 위는(今登州海中州島上),봄과 여름 환전기에(春夏之交),항상 성곽 상점에서 보이며(恆見城郭市𠪨),사람들이 오가다(人物往來),날아 다니는 신선을 마주치면(有飛仙邀遊),순신간에 사라진다(俄頃變幻),토박이들은 신기루라 일컫는다(土人謂之海市)。이것으로 의심(疑即此)。」云云,틀림(非也)。

해내북경(海內北經) 원문

산해경/해내북경 2018. 2. 28. 00:00

海內西北陬以東者1。

1 珂案:此經方位與海外北經方位似相反實相同,見海外北經卷首注。


蛇巫之山,上有人操柸1而東向立2。一曰龜山。

1 郭璞云:「柸或作棓,字同。」郝懿行云:「柸即棓字之異文。說文(六)云:『棓,梲也。』玉篇云:『棓與棒同,步項切。』太平御覽三百五十七卷引服虔風俗通文曰:『大杖曰棓。』」珂案:柸,宋本、毛扆本、藏經本、項絪本均作杯,字之訛也。

2 珂案:此節及下節當移在海內西經「開明南有樹鳥」節之次,海內南經「匈奴」節與海內西經「貳負之臣曰危」節當移於此,說已見前。昆侖山為羿向西王母請不死藥之地,而有關羿之神話中,又有逢蒙殺羿,及羿死於桃棓等神話。孟子離婁下篇云:「逢蒙學射於羿,盡羿之道,思天下惟羿愈已,於是殺羿。」淮南子詮言篇云:「羿死於桃棓。」許慎注:「棓,大杖,以桃木為之,以擊殺羿,由是以來鬼畏桃也。」則此「操柸(棓)而東向立」於昆侖附近蛇巫山上之人,其伺羿而欲殺之之逢蒙乎?不可知矣。


西王母1梯几而戴勝杖2,其南有三青鳥3,為西王母取食4。在昆侖虛北。

1 珂案:有關西王母神話之記敘,見於此經者凡三,最先為西次三經:「玉山,是西王母所居也。西王母其狀如人,豹尾虎齒而善嘯,蓬髮戴勝,是司天之厲及五殘。」稍後為此經。再後為大荒西經:「西海之南,流沙之濱,赤水之後,黑水之前,有大山,名曰昆侖之丘。有神——人面,虎身,文尾,皆白——處之。其下有弱水之淵環之,其外有炎火之山,投物輒然。有人戴勝,虎齒,豹尾,穴處,名曰西王母。此山萬物盡有。」三處所記,以此經為最簡,然既著「戴勝」(下「杖」字衍,說見後),則其形貌固未易也。

2 郭璞云:「梯謂馮也。」郝懿行云:「如淳注漢書司馬相如大人賦引此經無杖字。」珂案:無杖字是也,御覽卷七一0引此經亦無杖字,西次三經與大荒西經亦俱止作「戴勝」,杖字實衍。

3 珂案:西次三經云:「三危之山,三青鳥居之。是山也,廣員百里。」大荒西經云:「有西王母之山(原作西有王母之山,從王念孫、郝懿行校改),有三青鳥,赤首黑目,一名曰大鵹,一名少鵹,一名曰青鳥。」從其居地及其形貌可以想見:此三青鳥者,非宛轉依人之小鳥,乃多力善飛之猛禽也。

4 郭璞云:「又有三足鳥主給使。」珂案:郭注三足鳥,宋本、藏經本作三足烏。史記司馬相如大人賦云:「亦幸有三足烏為之(西王母)使。」玉函山房輯佚書輯河圖括地象亦云:「有三足神烏,為西王母取食。」則作三足烏是也。


有人曰大行伯,把戈1。其東有犬封國2。貳負之尸3在大行伯東。

1 珂案:今本風俗通義卷八引禮傳云:「共工之子曰脩,好遠遊,舟車所至,足跡所達,靡不窮覽,故祀以為祖神。」此把戈而位居西北之大行伯,其共工好遠遊之子脩乎?

2 郭璞云:「昔盤瓠殺戎王,高辛以美女妻之,不可以訓,乃浮之會稽東海(宋本、毛扆本作東南海——珂)中,得三百里地封之,生男為狗,女為美人,是為狗封之國(宋本、藏經本國作民——珂)也。」珂案:傳亦為郭璞所作之玄中記(已佚,古小說鉤沉有輯錄)亦述此故事,文字大體相同,惟「戎王」作「犬戎」,三百里作三千里。此一神話之詳細記錄,乃見於稍後於郭璞之干寶搜神記。其後後漢書南蠻傳亦載之,文字與搜神記無大差異。有注云:「已上並見風俗通。」風俗通漢末應劭撰,知此一神話漢代已有流傳矣。三國魚豢魏略(已佚,從後漢書李賢注引)云:「高辛氏有老婦,居王室,得耳疾,挑之,得物大如繭。婦人盛瓠中,覆之以槃,俄頃化為犬,其文五色,因名槃瓠。」此盤(槃)瓠一名之來源也。搜神記所敘盤瓠故事首段即本此。又有漢魏叢書八卷本搜神記,文體與近年敦煌所發現句道興搜神記頗相近,其中多條竟至文字與故事大體相同,可見二書原出民間。清王謨跋此,云「有唐時州名」,則為唐人撰造更無可疑。其敘盤瓠神話,則云:「昔高辛氏時,有房王作亂,憂國危亡,帝乃召募天下有得房氏首者,賜金千斤,分賞美女。群臣見房氏兵強馬壯,難以獲之。辛帝有犬字曰盤瓠,其毛五色,常隨帝出入。其日忽失此犬,經三日以上,不知所在,帝甚怪之。其犬走投房王。房王見之大悅,謂左右曰:『辛氏其喪乎!犬猶棄主投吾,吾必興也。』房氏乃大張宴會,為犬作樂。其夜房氏飲酒而臥,盤瓠咬王首而還。辛見犬銜房首,大悅,厚與肉糜飼之,竟不食。經一日,帝呼,犬亦不起。帝曰:『如何不食,呼又不來,莫是恨朕不賞乎?今當依召募賞汝物,得否?』盤瓠聞帝此言,即起跳躍,帝乃封盤瓠為會稽侯(原注:一作桂林侯),美女五人,會稽郡(原注:一作桂林郡)一千戶。後生三男六女。其男當生之時,雖似人形,猶有犬尾。其後子孫昌盛,號為犬戎之國。」此雖較後之記敘,然因傳自民間,實更接近此一神話本貌。文中所敘封盤瓠為會稽侯、生男而有「犬尾」、「其後子孫昌盛,號為犬戎之國」等,與郭注均甚相合。以較二十卷本搜神記及後漢書南蠻傳所敘,樸質與塗飾殆一目暸然矣。盤瓠神話至今猶傳於我國西南苗、瑤、侗、畬等少數民族中,本為某一民族起源之推原神話,迨神話演進,乃成為天地開闢之推原神話。三國吳徐整三五曆紀(已佚,從藝文類聚卷一引)云:「天地渾沌如雞子,盤古生其中。萬八千歲,天地開闢,陽清為天,陰濁為地。盤古在其中,一日九變。神於天,聖於地。天日高一丈,地日厚一丈,盤古日長一丈。如此萬八千歲,天數極高,地數極深,盤古極長。後乃有三皇。數起於一,立於三,成於五,盛於七,處於九,故天去地九萬里。」繹史(清馬驌撰)卷一引同一作者之五運歷年記云:「首生盤古,垂死化身:氣成風雲,聲為雷霆,左眼為日,右眼為月,四肢五體,為四極五嶽,血液為江河,筋脈為地里,肌膚為田土,髮髭為星辰,皮毛為草木,齒骨為金石,精髓為珠玉,汗流為雨澤,身之諸蟲,因風所感,化為黎甿。」盤古,即盤瓠之音轉。盤瓠為某一民族之始祖神,盤古則宇宙之開創者矣。而此盤古,不久以前猶為苗瑤等族所崇奉,謂之「盤王」。劉錫蕃嶺表紀蠻謂「盤古為一般瑤族所虔祀,稱之為盤王。瑤人以為人之生死壽夭貧賤,皆盤王主之,天旱禱盤王,舁王遊田間。」苗族亦有「盤王書」,類乎舊約創世紀,傳唱於民間,云:「記起盤王先記起,盤王記起造犁耙,造得犁耙也未使,屋背大塘谷曬芽。記起盤王先記起,盤王記起種苧,種得苧兒孫績,兒孫世代績羅花。記起盤王先記起,盤王記起造高機,造得高機織細布,布面有條楊柳絲。……」(見說文月刊第一卷第十、十一期合刊常任俠沙坪壩出土之石棺畫象研究)可見彼在苗瑤人民中之信仰。犬封國之始祖盤瓠,竟逐漸演變而為開天闢地及種種文物創造發明者之人類共同始祖盤古,則殆非神話傳述者之始料所及矣。

3 珂案:海內西經云:「貳負之臣曰危,危與貳負殺窫窳,帝乃梏之疏屬之山,桎其右足,反縛兩手,繫之山上木。」帝之處罰似僅及危,未及貳負。此言「貳負之尸」,山海經所謂「尸」者,大都遭殺戮以後之景象,則并貳負亦受刑矣。


犬封國曰犬戎國1,狀如犬2。有一女子,方跪進柸食3。有文馬4,縞身5朱鬣,目若黃金,名曰吉量6,乘之壽千歲7。

1 珂案:封、戎音近,故犬封國得稱犬戎國。又「犬封國」者,蓋以犬立功受封而得國,即郭注所謂「狗封國」也。伊尹四方令云:「正西昆侖狗國。」淮南子墬形篇云:「狗國在其(建木)東。」則狗國之傳說實起源於西北然後始漸於東南也。

2 郭璞云:「黃帝之後卞明生白犬二頭,自相牝牡,遂為此國,言狗國也。」珂案:郭注本大荒北經。大荒北經云:「有人名曰犬戎。黃帝生苗龍,苗龍生融吾,融吾生弄(郭璞注。一作卞)明,弄明生白犬,白犬有牝牡,是為犬戎。」白犬自相牝牡而傳國,是又此一神話之異聞也,故郭注乃附及之。大荒北經又云:「有犬戎國。有神(史記周本紀集解引此作人),人面獸身,名曰犬戎。」此「人面獸身、名曰犬戎」之「神(人)」,其最初傳說之盤瓠乎?

3 郭璞云:「與酒食也。」郝懿行云:「藝文類聚七十三卷引此經柸上有玉字,明藏本柸作杯,注酒字作狗。」珂案:宋本柸亦作杯,作杯是也。古杯字作桮,柸或桮之訛也。

4 珂案:說文十云:「馬赤鬣縞身,目若黃金,名曰[文鳥],吉皇之乘,周文王時犬戎獻之。」

5 郭璞云:「色白如縞。」

6 郭璞云:「一作良。」珂案:文選東京賦李善注引此經正作吉良。

7 郭璞云:「周書曰:『犬戎文馬,赤鬣白身,目若黃金,名曰吉黃之乘。』(案今周書王會篇作古黃之乘,字之訛也——珂)六韜曰:『文身朱鬣,眼若黃金,項若雞尾,名曰雞斯之乘。』大傳(尚書大傳)曰:『駮身朱鬣雞目。』山海經亦有吉黃之乘,壽千歲者(按今山海經無此名,疑本在經中,今逸——珂)。惟名有不同,說有小錯,其實一物耳,今博舉之以廣異聞也。」珂案:犬戎文馬,奇肱國亦有之,已見海外西經。繹史卷十九引六韜云:「商王拘周伯昌於羑里,太公與散宜生以金千鎰求天下珍物以免君之罪。於是得犬戎氏文馬,駮身朱鬣,目若黃金,名雞斯之乘,以獻商王。」即有關文馬神話之最早而又最完整之記錄也。前乎此者,淮南子道應篇與史記周本紀亦記有之。道應篇云:「散宜生以千金求雞斯之乘以獻紂。」周本紀云:「閎夭之徒求驪戎之文馬獻之紂。」均此一神話之概略也。犬戎文馬,能解文王羑里之囚,其在秦漢之際,為眾所艷稱可知矣。吉量、吉良、吉黃、吉皇、雞斯之乘、騰黃、吉光(文選東京賦李善注引瑞應圖云:「騰黃神馬,一名吉光」),均此文馬之異名,其實一也。


鬼國1在貳負之尸北,為物人面而一目。一曰貳負神在其東,為物人面蛇身2。

1 珂案:即一目國,已見海外北經。大荒北經亦云:「有人一目,當面中生。一曰是威姓,少昊之子,食黍。」即此國也。伊尹四方令云:「正西鬼親。」魏志東夷傳云:「女王國北有鬼國。」則傳說中此國之所在非一也。

2 珂案:為貳負神所殺之窫窳,亦人面蛇身,蓋均古天神之狀也。


蜪犬1如犬,青2,食人從首始。

1 郭璞云:「音陶。或作蚼,音鉤。」珂案:說文十三云:「北方有蚼犬,食人。」即此。

2 王念孫云:「御覽獸部十六(卷九0四)作如犬而青,類聚獸部四(卷九十四)作如犬青色。」


窮奇狀如虎,有翼1,食人從首始,所食被髮,在蜪犬北。一曰從足2。

1 郭璞云:「毛如蝟。」孫星衍云:「毛如蝟三字亦疑是經文。」珂案:西次四經云:「邽山,其上有獸焉,其狀如牛,蝟毛,名曰窮奇,音如[犬皋]狗,是食人。」即郭注所本,不必如孫所說也。左傳文公十八年云:「少皞氏有不才子,天下之民謂之窮奇。」古神話實當謂少皞生窮奇也。神異經西北荒經云:「西北有獸焉,狀似虎,有翼能飛,便勦食人。知人言語。聞人鬥,輒食直者;聞人忠信,輒食其鼻;聞人惡逆不善,輒殺獸往饋之:名曰窮奇。亦食諸禽獸也。」似即本此經為說。注引別本云:「窮奇似牛而狸尾,尾長曳地,其聲似狗,狗頭人形,鉤爪鋸牙。逢忠信之人,齧而食之;逢姦邪則擒禽獸而伺之。」似又本西次四經為說。而後漢書禮儀志所記大儺逐疫「追惡兇」之十二神中,有「窮奇騰根共食蠱」,則窮奇者,亦或於人有益,不盡為惡也。故郭氏圖讚亦云:「窮奇之獸,厥形甚醜;馳逐妖邪,莫不奔走;是以一名,號曰神狗。」高誘注淮南子墬形篇「窮奇,廣莫風之所生也」,則逕以窮奇為「天神」,當是古有成說也。

2 珂案:「從首」或「從足」者,均圖象不同而異其說也。


帝堯臺、帝嚳臺、帝丹朱臺、帝舜臺,各二臺,臺四方,在昆侖東北1。

1 郭璞云:「此蓋天子巡狩所經過,夷狄慕聖人恩德,輒共為築立臺觀,以標顯其遺跡也。一本云:所殺相柳,地腥臊,不可種五穀,以為眾帝之臺。」珂案:郭注「夷狄慕聖人恩德」云云,乃其以正統歷史眼光釋神話之臆說,實無足取。此「昆侖東北」帝堯、帝嚳、帝丹朱、帝舜之臺,實海外北經(亦見大荒北經)所記「昆侖之北」「眾帝之臺」,乃禹殺相柳(大荒北經作相繇)所築臺以厭妖邪者也,堯、嚳、丹朱、舜等即所謂「眾帝」,注中引「一本云」是也。


大蜂其狀如螽1。朱蛾其狀如蛾2。

1 郝懿行云:「蜂有極桀大者,僅曰如螽,似不足方之。疑螽即為蜂字之訛,與下句詞義相比。古文蜂作,與螽字形近,故訛耳。」珂案:王念孫亦校螽作。

2 郭璞云:「蛾,蚍蜉也。楚詞云:『玄蜂如壺,赤蛾如象。』謂此也。」珂案:郭引楚辭見招魂篇,云:「赤螘若象,玄蜂若壺些。」螘,蟻本字,即蛾。


蟜1,其為人虎文,脛有綮2。在窮奇東。一曰,狀如人。昆侖虛北所有3。

1 郭璞云:「蟜音橋。」郝懿行云:「說文(十三)云:『蟜,蟲也。』非此。廣韻『蟜』字注引此經云:『野人身有獸文。』與今本小異。」

2 郭璞云:「言腳有膊腸也。」郝懿行云:「膊當為[月耑]。說文(四)云:『[月耑],腓腸也;腓,脛[月耑]也。』已見海外北經無綮國。」

3 郭璞云:「此同上物事也。」郝懿行云:「郭意此已上物事皆昆侖虛北所有也。明藏本同作目。」珂案:宋本、毛扆校本同亦作目。目疑原作,古以字,始誤為目,再誤為同。


闒非1,人面而獸身,青色。

1 郭璞云:「闒音榻。」郝懿行云:「伊尹四方令云:『正西闒耳。』疑即此。非、耳形相近。」


據比1之尸,其為人折頸被髮,無一手2。

1 郭璞云:「一云掾比。」郝懿行云:「掾比,一本作掾北。」珂案:淮南子墬形篇云:「諸比,涼風之所生也。」高誘注:「諸比,天神也。」疑即據比、掾比(北)。諸、據、掾一聲之轉。

2 珂案:蓋亦神國起訌,戰鬥不勝,慘遭殺戮之象。


環狗,其為人獸首人身。一曰蝟狀如狗,黃色1。

1 珂案:觀其形狀,蓋亦犬戎,狗封之類。

1,其為物人身黑首從目2。

1 郭璞云:「即魅也。」郝懿行云:「魑魅漢碑作[衣离],(後漢書)禮儀志云:『雄伯食魅。』玉篇云:『即鬼魅也。』本此。」

2 郝懿行云:「楚詞大招云:『豕首從目,被髮鬤只。』疑即此。」


戎1,其為人人首三角2。

1 郝懿行云:「周書史記篇云:『昔有林氏召離戎之君而朝之。』或單呼為戎,又與林氏國相比,疑是也。」珂案:史記篇云:「昔有林氏召離戎之君而朝之;至而不禮,留而弗視,離戎逃而去之,林氏誅之,天下叛林氏。」孔晁注:「林氏,諸侯。天下見其遇戎不以禮,遂叛林氏,林氏孤危也。」

2 郝懿行云:「戎,廣韻作[人戎],云:『[人戎],人身三角也。』首作身,與今本異。」


林氏國1有珍獸,大若虎,五采畢具2,尾長于身,名曰騶吾,乘之日行千里3。

1 郝懿行云:「周書史記篇云:『昔有林氏召離戎之君而朝之。』又云:『林氏與上衡氏爭權,俱身死國亡。』即此國也。」珂案:史記篇「爭權」下尚有「林氏再戰而勝,上衡氏偽義弗克」二語。

2 郝懿行云:「毛詩傳云:『騶虞白虎黑文,不食生物。』與此異。」

3 郭璞云:「六韜云:『紂囚文王,閎夭之徒詣林氏國求得此獸獻之,紂大悅(宋本、藏經本、毛扆本作說——珂),乃釋之。』周書曰:『夾林(今周書王會篇作央林,蓋字形之訛也——珂)酋耳,酋耳若虎,尾參於身,食虎豹。』大傳謂之侄獸(今尚書大傳作怪獸——珂)。吾宜作虞也。」珂案:騶吾(虞)神話,亦文王脫羑里神話之一細節也。尚書大傳云:「散宜生之於陵氏取怪獸,大不辟虎狼閒,尾倍其身,名曰虞。」是此騶虞也。淮南子道應篇云:「散宜生乃以千金求天下之珍怪,得騶虞、雞斯之乘、玄玉百工、大貝百朋、玄豹黃羆、青犴白虎、文皮千合,以獻於紂。」首列騶虞,其貴可知矣。


昆侖虛南所,有氾林方三百里1。

1 畢沅云:「淮南子墬形訓有樊桐,云在昆侖閶闔之中。廣雅云:『昆侖虛有板桐。』水經注(河水)云:『昆侖之山,下曰樊桐,一名板桐。』案氾、樊、板聲相近,林、桐字相似,當即一也。」珂案:畢說近是。則所謂樊桐或板桐之山,蓋亦以「林木氾濫布衍」(海外南經郭璞注)而得名,其義則氾林也。


從極之淵1深三百仞,維冰夷恆都焉2。冰夷人面3,乘兩龍4。一曰忠極之淵5。

1 珂案:文選江賦李善注引此經作「從極之川」。

2 郭璞云:「冰夷,馮夷也。淮南云:『馮夷得道,以潛大川。』即河伯也。穆天子傳所謂『河伯無夷』者,竹書作馮夷,字或作冰也。」珂案:經文「恆都」,藏經本作「潛都」。郭注引淮南子齊俗篇文,實出莊子大宗師。大宗師云:「馮夷得之,以遊大川。」釋文引司馬彪云:「清泠傳曰:『馮夷華陰潼鄉隄首人也,服八石,得水仙,是為河伯。』」後漢書張衡傳注引龍魚河圖則云:「河伯姓呂,名公子,夫人姓馮,名夷。」楚辭九歌洪興祖補注引抱朴子釋鬼篇(今本無)復云:「馮夷以八月上庚日渡河溺死,天帝署為河伯。」等等,是皆後起之說,未免蕪雜不倫。河伯蓋古黃河水神,穆天子傳卷一所謂「陽紆之山,河伯無夷之所都居」者是也。水經注洛水引竹書紀年云:「洛伯用與河伯馮夷鬥。」馮夷與用蓋即河洛之神也。殷墟卜辭屢有「●于河」(殷墟書契前編:一三二‧五)、「祊于河」(鐵雲藏龜:九六‧四)等記敘,知河伯神話之淵源亦已古矣。莊子人間世云:「牛之白額者,與豚之亢鼻者,與人有痔病者,不可以適河。」適河,釋文引司馬彪云:「謂沈人於河祭也。」則在戰國之世奉祀河伯之風仍有增未已。至楚辭九歌,乃有河伯專章之敘寫,其中「與女遊」、「送美人」等語,要無非表現人神戀愛之情況(見聞一多九歌古劇懸解)。則河伯者,固亦浪蕩風流之神:此史記滑稽列傳西門豹傳「河伯娶婦」傳說之所由起也。楚辭天問云:「帝降夷羿、革孽夏民,胡射夫河伯而妻彼雒嬪?」羿「妻雒嬪」事,古說隱淪,茫昧不可知矣。而「射河伯」,則有王逸注云:「河伯化為白龍,遊于水旁,羿見射之,眇其左目。河伯上訴天帝,曰:『為我殺羿。』天帝曰:『爾何故得見射?』河伯曰:『我時化為白龍出遊。』天帝曰:『使汝深守神靈,羿何從得犯汝?今為蟲獸,當為人所射,固其宜也,羿何罪歟?』」高誘注淮南子(氾論篇)乃逕云:「河伯溺殺人,羿射其左目。」河伯蓋為民害,羿射其不道也。而博物志異聞云:「澹臺子羽渡河,齎千金之璧於河。河伯欲之,至陽侯波起,兩鮫夾船。子羽左摻璧,右操劍,擊鮫皆死。既渡,三投璧於河,河伯躍而歸之,子羽毀而去。」河伯性行之卑劣,於此尤可見一斑。其在古代神話中為反面形象人物,蓋無疑問矣。

3 珂案:關於河伯形狀,尸子輯本卷下云:「禹理水,觀於河,見白面長人魚身出,曰:『吾河精也。』授禹河圖而還於淵中。」繹史卷十一引博物志於述此故事後更為之釋云:「蓋河伯也。」韓非子內儲說上略云:「齊人有謂齊王曰:『河伯,大神也,臣請使王遇之。』乃為壇場大水之上。有閒,大魚動,因曰:『此河伯。』」可見河伯之形,實當是人面魚身。酉陽雜俎諾皋記上云:「河伯人面,乘兩龍。又曰人面魚身。」「人面,乘兩龍」,今所見山海經是也,「又曰人面魚身」,蓋更參古說而為之補充使成全貌也。

4 郭璞云:「畫四面各乘靈車,駕二龍。」郝懿行云:「郭注靈蓋雲,字之訛也。水經注(河水)引括地圖云:『馮夷恆乘雲車,駕二龍。』是靈當為雲。太平御覽六十一卷引此注正作雲,可證。」珂案:郝說是也,王念孫校同。

5 郝懿行云:「水經注(河水)引此經作中極,中、忠古字通。」


陽汙之山,河出其中;凌門之山,河出其中1。

1 郭璞云:「皆河之枝源所出之處也。」郝懿行云:「陽汙即陽紆,聲相近。穆天子傳(卷一)云:『至于陽紆之山,河伯無夷之所都居。』水經注(河水)云:『河水又出于陽紆、陵門之山,而注于馮逸之山。』蓋即引此經之文。陵門即凌門也。或云即龍門,凌、龍亦聲相轉也。藝文類聚八卷引此經正作陽紆、陵門,與水經注合。陽紆、陵門其地皆當在秦,故淮南子云:『昔禹治洪水,具禱陽紆。』高誘注云:『陽紆,秦藪。』是也。水經注反以高誘為非,謬矣。」珂案:郝引水經注「馮逸之山」,當即「馮夷之山」,是以河伯之名而名山矣。


王子夜1之尸,兩手、兩股、2、首、齒3,皆斷異處4。

1 珂案:日本小川琢治穆天子傳地名考謂「夜」即「亥」之形訛,疑是。若果如此,則此節亦王亥故事之片段,即大荒東經郭璞注引古本竹書紀年所謂「殷王子亥賓於有易而淫焉、有易之君綿臣殺而放之」、王亥慘遭殺戮以後之景象也。詳該經「王亥」節。

2 郝懿行云:「當為匈。」珂案:匈,古、胸字,海外南經結匈國正作「匈」。

3 珂案:江紹原殷王亥慘死及後君王恆上甲微復仇之傳說(見一九三六年十一月二十八日北平華北日報副刊「中國古占卜術研究」)謂齒字與首字形近而衍,亦足供參考。如此,則王亥慘遭殺戮,係尸分為八,合於「亥有二首六身」(首二、胸二、兩手、兩股)(左傳襄公三十年)之古代民間傳說。郭璞圖讚云:「子夜之尸,體分成七。」則所見本已衍齒字也。

4 郭璞云:「此蓋形解而神連,貌乖而氣合;合不為密,離不為疏。」珂案:郭釋已近玄說,殊乖神話之旨。


舜妻登比氏1生宵明、燭光2,處河大澤3,二女之靈能照此所方百里4。一曰登北氏。

1 珂案:尸子(孫星衍輯本)卷下云:「(堯)妻之(舜)以媓,媵之以娥。」此二妃皆堯女,所謂娥皇、女英(見列女傳有虞二妃)者是也。禮記檀弓上云:「舜葬蒼梧,蓋三妃未之從也。」鄭玄注:「舜有三妃。」則除上所說二妃而外,另一蓋即此登比氏也。羅泌路史(後紀十一)亦以三妃為娥肓(娥皇)、女瑩(女英)、癸比(登比),是也。

2 郭璞云:「即二女字也,以能光照,因名云。」

3 郭璞云:「澤,河邊溢漫處。」

4 郭璞云:「言二女神光所燭及者方百里。」珂案:海內西經:「大澤方百里,群鳥所生及所解。」即此大澤。該節及已下二節亦應移於此節之前,始與方位大致相符,說已見前。淮南子墬形篇云:「宵明燭光在河洲,所照方千里。」說本此。而百字作千,或所見本異也。中次十二經云:「洞庭之山,帝之二女居之,是常遊於江淵。澧沅之風,交瀟湘之淵,是在九江之間,出入必以飄風暴雨。」此「帝之二女」,乃堯之二女即娥皇、女英也。楚辭九歌湘夫人云:「帝子降兮北渚,目眇眇兮愁予;嫋嫋兮秋風,洞庭波兮木葉下。」即詠其事也。然其情景乃與「處河大澤」之舜二女宵明、燭光相類,或均同一傳說之分化與?羅泌路史(後紀十一)因云:「宵明燭光,處河大澤,靈照百里,是為湘之神。」以之混同於湘水堯二女神話中,正無足異。


蓋國1在鉅燕南,倭北。倭屬燕2。

1 郝懿行云:「(三國志)魏志東夷傳云:『東沃沮在高句麗蓋馬大山之東。』後漢書東夷傳同。李賢注云:『蓋馬,縣名,屬玄菟郡。』今案蓋馬疑本蓋國地。」珂案:此節及以下九節均應移海內東經「鉅燕在東北陬」之後,說已見海內南經「匈奴」節注。

2 郭璞云:「倭國在帶方東大海內,以女為主(宋本、藏經本作王——珂),其俗露紒,衣服無針功,以丹朱塗身,不妒忌,一男子數十婦也。」珂案:郭說本三國志魏志東夷傳。


朝鮮在列陽東,海北山南。列陽屬燕1。

1 郭璞云:「朝鮮今樂浪縣,箕子所封也。列亦水名也,今在帶方,帶方有列口縣。」郝懿行云:「(漢書)地理志云:『樂浪郡朝鮮又吞列分黎山,列水所出,西至黏蟬入海。』又云:『含資帶水,西至帶方入海。』又帶方列口並屬樂浪郡。晉書地理志列口屬帶方郡。」


列姑射在海河州中1。

1 郭璞云:「山名也。山有神人。河州在海中,河水所經者。莊子所謂藐姑射之山也。」珂案:東次二經云:「姑射之山,無草木,多水。又南水行三百里,流沙百里,曰北姑射之山,無草木,多石。又南三百里,曰南姑射之山,無草木,多水。」即此,所謂「列」姑射也。此節與東次二經所寫情景相合,確當移海內東經始妥。莊子逍遙遊云:「藐姑射之山,有神人居焉,肌膚若冰雪,淖約若處子,不食五穀,吸風飲露,乘雲氣,御飛龍,而遊乎四海之外,其神凝,使物不疵癘而年穀熟。」釋文引簡文(梁簡文帝)云:「藐,遠也。」則藐姑射之山即姑射之山亦即列姑射(山)也。列子黃帝篇云:「列姑射山,在海河洲中,山上有神人焉」云云,正是其地也。至於莊子又云:「藐姑射之山,汾水之陽」者,釋文云:「汾水出太原,今莊生寓言也。」謂不必信以為真也。郝疏乃以列子列姑射山屬此,以莊子藐姑射山屬東次二經姑射山,謂二者「非一地也」,未免泥求,未能貫通。


射姑國1在海中,屬列姑射,西南,山環之2。

1 珂案:宋本、藏經本、吳寬抄本、吳任臣本、畢沅校本並作「姑射國」,作「姑射國」是也。

2 郝懿行云:「山環西南,海據東北也。」


大蟹在海中1。

1 郭璞云:「蓋千里之蟹也。」珂案:大荒東經云:「女丑有大蟹。」郭注云:「廣千里也。」即此大蟹也。周書王會篇云:「海陽大蟹。」孔晁注云:「海水之陽,一蟹盈車。」此大蟹之見於先秦古籍者也。玄中記(古小說鉤沉輯)云:「天下之大物,北海之蟹,舉一螯能加於山,身故在水中。」御覽卷九四二引嶺南異物志云:「嘗有行海得洲渚,林木甚茂。乃維舟登岸,爨於水傍。半炊而林沒於水。遽斬其纜,乃得去。詳視之,大蟹也。」則傳說演變,愈出而愈奇也。


陵魚人面,手足,魚身,在海中1。

1 珂案:海外西經云:「龍魚陵居在其(沃野)北。」即此魚也。說詳該節注。楚辭天問云:「鯪魚何所?」劉逵注吳都賦引作「陵魚曷止」即人魚也。龍、陵聲轉,陵、人音近。山海經記有產人魚之處多所:西山經之竹山、北次三經之龍侯山、中次三經之熊耳山、中次六經之傅山、陽華山、中次十一經之朝歌山、葴山,均云「多人魚」。即南山經青邱山之赤,中次七經少室山之●魚,亦均人魚之屬也。然此人魚,乃動物之人魚,非神話之人魚也。水經注伊水云:「廣志曰:『鯢魚聲如小兒啼,有四足,形如鯪鱧,可以治牛,出伊水也。』司馬遷謂之人魚。故其著史記曰:『始皇之葬也,以人魚膏為燭。』徐廣曰:『人魚似而四足,即鯢魚也。』」謂此。神話之人魚,此經所記近似矣,而未若搜神記所記之鮫人。搜神記卷十二云:「南海之外有鮫人,水居如魚,不廢織績,其眼泣,則能出珠。」博物志、述異記並記之而文小異。而御覽卷八0三引博物志(今本無)云:「鮫人從水出,寓人家,積日賣絹。將去,從主人索一器,泣而成珠滿盤,以與主人。」為尤奇異。後世人魚之傳說,則見於太平廣記卷四六四引洽聞記:「海人魚狀如人,眉目口鼻手爪,皆為美麗女子,皮肉白如玉,髮如馬尾,長五六尺。」天中記卷十二引徂異記亦云:「侍制查道奉使高麗,晚泊一山,望見沙中有一婦人,紅裳雙●,髻鬟微亂,肘有紅鬣。水工曰:『某在海上,未省此何物?』查曰:『此人魚也。』」其形貌姿態已與近世北歐童話家筆下人魚相近矣。郝懿行云:「初學記三十卷引此經云:『鯪魚背腹皆有刺,如三角菱。』北堂書鈔一百三十七卷亦引此經,而云『鯪鯉吞舟』。疑此皆郭注誤引作經文,今本並脫去之也。」是矣;而獰猛之狀則異也。


大居海中1。

1 郭璞云:「即魴也;音鞭。」珂案:爾雅釋魚云:「魴,魾。」郭璞注云:「江東呼魴魚為。」說文十一云:「,。」故郭此注云「即魴」也。


明組邑居海中1。

1 郭璞云:「音祖。」郝懿行云:「明組邑蓋海中聚落之名,今未詳。或說(吳任臣說——珂)以爾雅(釋草)云『組似組,東海有之。』恐非。」


蓬萊山在海中1。

1 郭璞云:「上有仙人宮室,皆以金玉為之,鳥獸盡白,望之如雲,在渤海中也。」珂案:史記封禪書云:「蓬萊、方丈、瀛洲,此三神山者,其傳在渤海中,諸仙人及不死之藥皆在焉。其物禽獸盡白,而黃金銀為宮闕,未至,望之如雲。」云云,是郭所本也。列子湯問篇五神山神話亦有蓬萊,已見海外東經「大人國」節注。御覽卷三八引此經作「蓬萊山,海中之神山,非有道者不至。」當是檃括經文並郭注而言,非經文也。


大人之市在海中1。

1 珂案:大荒東經云:「東海之外,大荒之中,有山名曰大言,日月所出。有波谷山者,有大人之國。有大人之市,名曰大人之堂。有一大人踆其上,張其兩臂(臂原作耳,據王念孫、畢沅、郝懿行諸家校改)。」即此。楊慎、郝懿行等咸釋以登州海市蜃樓之幻象,云:「今登州海中州島上,春夏之交,恆見城郭市,人物往來,有飛仙邀遊,俄頃變幻,土人謂之海市。疑即此。」云云,非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