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내남경(海內南經) 번역

산해경/해내남경 2018. 2. 28. 00:00

海內東南陬以西者1。

해내 동남쪽 구석 서쪽을 기재하다


1 곽박(郭璞)云:「남쪽 근처부터 시작했다(從南頭起之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남쪽 근처부터 시작했다(從南頭起之也)」을 이렇게 썼다(應作)「동남쪽 근처부터 시작했다(從東南頭起之也)」。이 경문의 위치와(此經方位與)해외남경(海外南經)기록된 위치가 비슷하면서도 서로 어긋난다(所記方位恰相反)。


甌居海中1。

구라는 곳은 바다 안에 있다.


閩在海中2,其西北有山。

민은 바다 안에 있고, 그 서북쪽에 산이 있다.


一曰閩中山在海中3。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민중산은 바다 가운데 있다.


1 곽박(郭璞)云:「현재 임해 영녕현은(今臨海永寧縣),동구이고(即東甌),울퉁불퉁한 것이 바다 가운데 있다(在岐海中也);音구(嘔)。」왕념손(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주군 십칠(州郡十七)(卷一七一)引거는 재로 쓰여 있다(居作在)。」양신(楊慎)云:「곽박(郭)注바다의 울퉁불퉁한 것은(岐海),바다의 높은 물결이다(海之岐流也),패해라고도 함(猶云稗海)。」학의행(郝懿行)云:「주서(周書) 왕회편(王會篇)云:『구인은 애처롭게 구불구불하다(歐人蟬蛇)。』공조(孔晁)注云:『동월이 구인이다(東越歐人也)。』又云:『차구는 큰 조개를 몸에 새겼다(且甌文蜃)。』注云:『차구는 월에 있다(且甌在越)。』이윤(伊尹) 사방령(四方令)云:『정동쪽에 월구(正東越漚),정남쪽에 구등(正南甌鄧)。』구와 구는 모두 옛 글자 구로 뜻이 통했다(疑甌與漚、歐並古字通也)。」원가기록(珂案):구는 동구이고(甌即東甌),현재는 절강성 옛날에 온주부의 땅이다(即今浙江省舊溫州府地)。서구가 있는데(又有西甌),현재 광서성 장족자치구 귀현의 땅이다(即今廣西壯族自治區貴縣地)。

2 곽박(郭璞)云:「민월은 서구이고(閩越即西甌),현재 건안군이 맞다(今建安郡是也),또한 울퉁불퉁한 것이 바다 가운데 있다(亦在岐海中);音민(旻)。」오임신(吳任臣)云:「곽박(郭璞)건안이 서구가 되었다는 것은(以建安為西甌),맞지 않다(非是)。환우기(寰宇記):나무가 빽빽하게 우거진 숲 못 쓰게 하여 당주가 다스리게 하였고 선로현에는 옛 서구들이 살았으니(鬱林廢黨州經善勞縣乃古西甌居),민이 아니다(非閩也)。」학의행(郝懿行)云:「건안군은 진나라 민중군이었기 때문에(建安郡故秦閩中郡),진서 지리지에 나온다(見晉書地理志)。한서(漢書) 혜제기(惠帝紀):『이 년(二年),민월이 세워지며 임금 요가 동해왕이 되었다(立閩越君搖為東海王)。』안사고(顏師古)注云:『그 땅은 현재 천주다(即今泉州是其地)。』」원가기록(珂案):이 천주는 현재 복건성 복주다(此泉州即今福建省福州)。

3 오임신(吳任臣)云:「하교원(何喬遠) 민서(閩書)曰:『바다 가운데라고 주장하는데(按謂之海中者),현재 민중의 땅은 우물을 파고 땅을 일군 곳이라(今閩中地有穿井闢地),소라나 조개의 껍질과 마른 나무들이 많이 나오고(多得螺蚌殼、敗槎),오랜 옛날의 시대에 알려졌고(知洪荒之世),그 산은 모두 바다 가운데 있으며(其山盡在海中),후세 사람들은 먼저 이곳을 메우고 나중에 건물을 쌓았다(後人乃先後填築之也)。』」


三天子鄣山1在閩西海北2。

삼천자장산은 민의 서쪽 바다 북쪽에 있다.


一曰在海中。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바다 안에 있다.


1 곽박(郭璞)云:「音장(章)。」

2 곽박(郭璞)云:「현재 신안 서현 동쪽에 있고(今在新安歙縣東),현재는 삼왕산이라 일컬으며(今謂之三王山),절강에서 그 가장자리가 나온다(浙江出其邊也)。장씨(張氏) 토지기(土地記)曰:동양 영강현에서 남쪽으로 사 리에 석성산이 있고(東陽永康縣南四里有石城山),산 위에 소석성은(上有小石城),황제가 옛날 찾아간 일이 있어서(云黃帝曾遊此),삼천자도라 한다(即三天子都也)。」학의행(郝懿行)云:「해내동경(海內東經)云:『삼천자도는 민의 서북쪽에 있다(三天子都在閩西北)。』해자는 없고(無海字),이 경문의 해는 덧붙여진 것으로 의심(此經海字疑衍)。」

   원가기록(珂案):해내동경(海內東經)云:「절강에 나타난 삼천자도는(浙江出三天子都),만의 동쪽에 있고(在蠻(글자은 원래 기로 쓰여 있다(字原作其),근거(據)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校고침(改))東),민의 북서쪽에 있으며(在閩西北),바다가 들어와 있으며(入海),남쪽으로 이어져 있다(餘暨南)。」又云:「여강에 나타난 삼천자도는(廬江出三天子都),팽택의 서쪽으로 들어간다(入彭澤西)。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一曰) 천자장이라 한다(天子鄣)。」해내경(海內經)云:「남쪽 바다의 안에(南海之內),삼천자도라는 이름의 산이 있다(有山名三天子之都)。」即此。그 땅은 대략 현재 안휘성 지역의 이산 산맥의 솔산에 있다(其地大約在今安徽省境內黟山脈之率山)。


桂林八樹1在番隅東2。

계림팔수는 번우 동쪽에 있다.


1 학의행(郝懿行)云:「이윤(伊尹) 사방령(四方令)(見주서(周書) 왕회편(王會篇)——珂)云:『정남쪽으로 구등과 계국(正南甌鄧桂國)。』이곳으로 의심(疑即此)。」

2 곽박(郭璞)云:「반면 성림의 팔수는(八樹而成林),크다고 기록되어 있다(信(송본(宋本)、모의(毛扆)本作言——珂)其大也)。」학의행(郝懿行)云:「유소(劉昭)注 군국지(郡國志) 남해군(南海郡) 번우(番禺)引이 경문에(此經)云:『계림팔수는 번우 동쪽에 있다((桂林八樹在賁禺東)。』수경(水經) 은수(泿水)注及문선(文選) 유천태산부(游天台山賦)注引이 경문 모두(此經並)作번우(賁禺)。又引곽박(郭)注云:『팔수성림은(八樹成林),나무가 크다고 말한다(言其大也)。분우(賁禺)音번우(番隅)。』현재 책에는 곽박이 다섯 글자를 빠트렸고(今本脫郭音五字),언이 잘못하여 신으로 되었다(又言訛為信也)。然상림부(上林賦)注及장형(張衡) 사수시(四愁詩)注及초학기(初學記)八卷引이 경문의 번우를 그대로 썼으며(此經仍作番禺),옛날에 두 가지 책이 있었다(蓋古有二本也)。초학기(初學記)引남월지(南越志)云:『번우현에 번우이산이 있어서(番禺縣有番禺二山),그런 이름이 되었다(因以為名)。』수경(水經) 은수(泿水)注又云:『현에 번산이 있는데(縣有番山),이름을 번우나(名番禺),번산우라 한다(謂番山之禺也)。』」


伯慮國1、離耳國2、雕題國3、北朐國4皆在鬱水南。

백려국과 이이국과 조제국과 북구국은 모두 울수 남쪽에 있다.


鬱水出湘陵南海5。

울수는 상릉의 남해에서 나온다.


一曰相慮6。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상려라고도 한다.


1 곽박(郭璞)云:「자세하지 않다(未詳)。」학의행(郝懿行)云:「이윤(伊尹) 사방령(四方令)云:『정동쪽에 이려(正東伊慮)。』이곳으로 의심(疑即此)。」

2 곽박(郭璞)云:「그 귀에 쇠붙이 장식을 늘어놓다는(鎪離其耳),무게가 있는 것을 아래로 늘어뜨려 꾸미는 것으로(分令下垂以為飾),담이다(即儋耳也) 담이는 귀고리다。주애는 바다 모래섬 가운데 있다(在朱崖海渚中)。온갖 곡식을 먹지 않고(不食五穀),오직 조개와 서서를 먹는다(但噉蚌及藷藇也)。」학의행(郝懿行)云:「이윤(伊尹) 사바령(四方令)云:『서쪽에 이이(正西離耳)。』곽박(郭)云即담이는(儋耳者),이곳은 남담이다(此南儋耳也)。또 북담이가 있는데(又有北儋耳),見대황북경(大荒北經)(원가기록(珂案):대황북경(大荒北經)云:『담이국이 있는데(有儋耳之國),임씨 성을 쓰고(任姓),우호의 자손이며(禺號子),곡식을 먹는다(食穀)』)。담은 담으로 바꾸어야 한다(儋當為聸)。설문해자(說文)(十二)云:『담은(聸),귓불이 늘어진 귀다(垂耳也);이가 담에 붙은 소리다(從耳,詹聲)。남쪽의 담이국이다(南方聸耳之國)。』」

3 곽박(郭璞)云:「그 얼굴은 검게 물들어 있고(點(장경(藏經)本作검(黔),손성연(孫星衍)亦校검(黔),맞다(是也)——珂)涅其面),몸에 비늘 무늬가 그려져 있어서(畫體為鱗采),교인이라 한다(即鮫人也)。」학의행(郝懿行)云:「이윤(伊尹) 사방령(四方令)云:『정서쪽에 조제(正西雕題)。』초사(楚詞) 초혼(招魂) 왕일(王逸)注云:『이마에 문신을 새겼다는(雕畫題頟),남쪽 끝의 사람들은(言南極之人),그 이마에 문신을 새기고(雕畫其頟),주로 소라와 조개를 먹었다(常食蠃也)。』계해우형지(桂海虞衡志)云:『려인의 여자는 성인이 되면(黎人女及笄),뺨에 작은 꽃 무늬를 세기는데(即黥頰為細花紋),수면녀라 일컫는다(謂之繡面女)。』역시 그런 종류다(亦其類也)。곽박(郭)云即교인는(鮫人),아마도 틀린 것이고(恐非),잘못된 글자가 있다(或有訛字)。교인(鮫人)見유규(劉逵) 오도부(吳都賦)注。」원가기록(珂案):교인은 인어이며(鮫人乃人魚),見해내북경(海內北經)「능어(陵魚)」節注,이 조제국 사람들은 이러한 이유로 교인이 아니다(此雕題國人固非鮫人也)。

4 곽박(郭璞)云:「音구(劬);자세하지 않다(未詳)。」학의행(郝懿行)云:「북호로 의심(疑即北戶也)。이아(爾雅)기록(疏)引이 경문의 북후는(此經作北煦),호와 후의 성조가 비슷하게 전해진다(戶、煦聲之轉)。이아(爾雅) 석지(釋地) 사황은 북호에 있다(四荒有北戶),곽박(郭)注云:북호는 남쪽에 있다(北戶在南)。」

5 원가기록(珂案):經文울수는(鬱水),문선(文選) 사자강덕론(四子講德論) 이선(李善)注引作울림(鬱林);남해는(南海),송본(宋本)、오관(吳寬)초본(抄本)、모의(毛扆)本、명나라(明) 장본(藏本) 모두 남산이라 쓰여 있다(均作南山)。

6 필원(畢沅)云:「상자는 백자로 바꾸어야 하며(相字當為柏字),백려는 상려라고도 쓴다(伯慮一作柏慮也)。」


梟陽國1在北朐之西,其為人2人面長脣,黑身有毛,反踵,見人笑亦笑3;

효양국은 북구 서쪽에 있고, 그곳 사람들은 사람 얼굴에 입술이 긴데, 몸이 검고 털이 나있으며, 발꿈치가 뒤집어졌다, 사람을 보면 웃고 또 웃으었다;


左手操管4。

왼손에 대롱을 잡고 있다.


1 학의행(郝懿行)云:「양웅(揚雄) 우렵부(羽獵賦)、회남자(淮南) 범론훈(氾論訓)並作교양(嘄陽),좌사(左思) 오도부(吳都賦)作효양(梟羊),설문해자(說文)(十四)作효양(梟陽)。」

2 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注이아(爾雅)(석수(釋獸))비비(狒狒)引이 경문에는 그 모양이 사람과 같다(此經作其狀如人)。」

3 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注이아(爾雅) 비비(狒狒)引 이 경문에는 사람을 보면 웃는다(此經云見人則笑)。유규(劉逵)注 오도부(吳都賦)引이 경문과(此經與) 이아(爾雅)注同。고유(高誘)注회남자(淮南) 범론훈(氾論訓)亦云:『교양산의 기운은(嘄陽山精),사람을 보면 웃게 한다(見人而笑)。』이것은 옛 책들 모두 같다(是古本並如此)。또한 이들은 오로지 기쁠 때만 웃고(且此物唯喜自笑),사람을 보지 않아도 웃고 서로를 보고 웃는다(非見人笑方亦笑也)。故오도부(吳都賦)云:『비비는 껄껄하며 웃는다(𥜿𥜿笑而被格)。』유규(劉逵)注引이물지(異物志)云:『효양은 사람 먹는 것을 좋아하고(梟羊善食人),입이 크다(大口)。그들은 사람을 잡으면 처음에(其初得人),기뻐서 웃는데(喜笑),위로 올라간 입술이 이마를 덮고(則脣上覆頟),다 웃고 나면 먹는다(移時而後食之)。사람 팔 위를 대통으로 뚫어(人因為筒貫於臂上),들고온 다음(待執人),사람을 꽂은 대통을 손으로 뽑는다(人即抽手從筒中出),확실히 그들은 사람을 사로잡으면 입술이 이마로 간다(鑿其脣於而得擒之)。』이들이 웃는 것은 오직 스스로 웃는 것이고(是其笑惟自笑),사람이 웃는 소리는 아니다(不因人笑之證)。이것을 봤을 때(以此參校),현재 책이 틀렷음을 알 수 있다(可知今本為非矣)。앞서 말한 팔을 대통으로 꿰뚫는다는(其云為筒貫臂),왼손에 대롱을 쥐고 있다가 이 경문의 올바른 표현이다(正與此經左手操管合)。」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설명(說)맞다(是也)。왕념손(王念孫)校同학의행(郝)注。태평어람(御覽)卷九0八引산해경(山海經)云:「비비는(𥜿𥜿)……사람을 보면 웃는다(見人則笑)。」引도찬(圖讚)亦云:「비비는 괴상한 짐승인데(𥜿𥜿怪獸),머리를 풀어헤치고 대나무를 쥐고 있다(被髮操竹);사람을 붙자으면 웃는데(獲人則笑),입술이 그 눈을 덥는다(脣蓋其目);사람을 죽이면 소리치며 울고(終亦號咷),자신이 죽이게 되어도 반복한다(反為我戮)。」증거는 충분하고 옛 책과 경문에 내용에 사람을 보면 웃는다가 쓰여 있다(足證古本此經實作見人則笑)。

4 곽박(郭璞)云:「주서(周書)曰:『주미는 비비인데(州靡髴髴者),사람 몸에 발꿈치가 뒤집어져 있고(人身反踵),스스로 웃으며(自笑),웃으면 입술이 위로 올라가 그 얼굴을 덮는다(笑則上脣掩其面)。』이아(爾雅)(하작(何焯)校역자를 덧붙였다(增「역(亦)」字)——珂)云비비(髴髴)。예기 대전(大傳)曰:『주서 성왕 시절 주미국을 바쳤다(周書成王時州靡國獻之)。』해내경(海內經) 감거인이라 일컫는다(謂之贛巨人)。현재 교주 남강군 깊은 산 속에 이들이 가득하다 하였다(今交州(손성연(孫星衍)校주를 지로 고침(改州作阯)——珂)南康郡深山中皆有此物也)。키는 한 길이고(長丈許),발꿈치는 반대로 되어있으며(腳跟反向),뜀박질을 잘한다(健走),머리를 풀어헤치고(被髮),웃는 것을 좋아한다(好笑);암컷은 즙을 만들어 낼 수 있고(雌者能作汁),바람을 쐬면 병이 난다(灑中人即病):그 지역의 생활이 산골짜기에서 숨쉬며 살아서다(土俗呼為山都)。지금 남강에 있는 감수는(南康今有贛水),이 사람들이 있어서(以有此人),물의 이름이 되었다(因以名水)。아직도 대황경 설명에는 땅에 역인이 있어(猶大荒(대황남경(大荒南經))說地有蜮人),사람들이 그 산을 그렇게 불러 역산이 되었다(人因號其山為蜮山),이러한 종류(亦此類也)。」학의행(郝懿行)云:「주서(周書) 왕회편(王會篇)作주미는 비비인데(州靡費費),곽박(郭)引作비비(髴髴),설문해자(說文)(十四)引作비비(𥝈𥝈),모두 다르게 쓰여 있다(蓋所見本異也)。又所引이아(爾雅)(석수(釋獸))當為비비(狒狒)。」

   원가기록(珂案):해내경(海內經)云:「남쪽에 있는 감거인은(南方有贛巨人),사람 얼굴에 입술이 길고(人面長脣),검은 몸에 털이 있으며(黑身有毛),발꿈치가 뒤집어졌다(反踵),사람을 보면 웃는데(見人則笑),입술이 그 눈까지 덮기 때문에(脣蔽其目),도망치는 것이 가능하다(因可逃也)(입술이 길다는 팔이 길다로 쓰여 있고(長脣原作長臂),칙은 웃고 또라 쓰여 있고(則原作笑亦),눈은 얼굴로 쓰여 있으며(目原作面),가는 칙으로 쓰여 있다(可原作即),학의행은 왕회를 따라 여러 부분을 고쳤다(從王郝諸家校改)。」即此。주서(周書) 왕회편(王會篇)云:「주미는 비비인데(州靡費費),그 모양이 사람 몸에 발꿈치는 뒤집어졌고(其形人身反踵),스스로 웃는다(自笑),웃으면 입술이 위로 접혀 그 눈을 덮고(笑則上脣翕其目),사람을 먹는다(食人);북쪽에서는 토루라 일컫는다(北方謂之吐嘍)。」이것은 곽박의 설명을 따른다(是郭注所引也)。공조(孔晁)注:「주미는(州靡),북적이다(北狄也);비비는 효양이라고 하는데(費費曰梟羊),똑바로 서는 것을 좋아하고(好立),걷는 것은 사람 같다(行如人),앞발과 손가락이 길다(前足指長)。」비비는 비비와 비비이고(費費即髴髴、狒狒),원숭이의 종류(猿猴之類也)。다른 이름은 산휘다(又名山𤟤)。산해경(山海經) 북산경(北山經)云:「옥법산에(獄法之山),있는 짐승은(有獸焉),그 모양이 사람 얼굴을 한 개 같고(其狀如犬而人面),던지는 것을 좋아하며(善投),사람을 보면 웃는다(見人則笑),그 이름을 산휘라 하는데(其名山𤟤),그것은 바람 같이 움직이고(其行如風),만나면 온 세상에 큰 바람이 분다(見則天下大風)。」또 다른 이름은 산소다(亦名𤢖)。신이경(神異經) 서황경(西荒經)云:「서쪽 깊은 산 속에 있는 사람은(西方深山中有人焉),키가 한 자가 넘고(身長尺餘),웃통을 벗고 새우와 게를 잡고(袒身捕蝦蟹),사람을 두려워하지 않는 성격이다(性不畏人)。사람을 보면 멈춰서 노숙을 하고(見人止宿),해가 저물면 그 불로 새우나 게를 구워먹는다(暮依其火以炙蝦蟹)。사람이 자리에 없는 것을 살피다 사람의 소금을 훔치고(伺人不在而盜人鹽),새우나 게를 먹으며(以食蝦蟹),이름을 산조라 한다(名曰山臊(소(𤢖))),울음소리에 따라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其音自叫)。사람이 시험삼아 대나무에 불을 붙여(人嘗以竹著火中),폭발시키면(爆烞而出),산조는 모두 놀라며 두려워한다(臊皆驚憚)。죄를 지은 사람들은 오한과 발열이 생긴다(犯之令人寒熱)。이는 사람의 모양이 바뀌었지만(此雖人形而變化),도깨비의 종류이고(然亦鬼魅之類),현재 산 속에 함께 살고 있다(今所在山中皆有之)。」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亦云:「정월 초하룻날(正月一日),새벽에 닭이 울면 일어나서(鳴而起),먼저 뜰 앞에 폭죽을 터트려(先於庭前爆竹),산조 악귀를 물러나게 한다(以辟山臊惡鬼)。」이를 일컫는다(謂此也)。다른 이름은 산도다(亦名山都)。조충지(祖沖之) 술이기(述異記)云:「남강에 있는 신은(南康有神),이름을 산도라 하며(名曰山都),모양이 사람 같고(形如人),키는 이 척이 넘으며(長二尺餘),검은 빛에(黑色),붉은 눈(赤目),누런 머리털이 몸을 덮고 있다(髮黃被身)。깊은 산 나무 속에 보금자리를 만들는데(於深山樹中作窠),보금자리 모양은 견조의 알같고(窠形如堅鳥卵),높이가 삼 척 정도다(高三尺許)。이 신은 변화하여 몸을 숨길 수 있고(此神能變化隱身),그 모양을 보는 것은 드물다(罕睹其狀),목객이나 산소의 종류다(蓋木客、山之類也)。」(고소설구침(古小說鉤沉)모음(輯))보통 원숭이 종류의 동물들이 널리퍼져 변해 신기하고 이상하게 되었다(均已從普通猿猴類動物演變而為神異之物)。아주 심함 것은(其尤甚者),더 나아가 요사스럽고 괴상한 새로 바뀌고 달라지게 되었다(乃至轉化而為一種能為妖異之鳥)。수신기(搜神記)卷十二云:「월나라 땅의 깊은 산 속에 있는 새는(越地深山中有鳥),크기가 비둘기 같고(大如鳩),푸른 빛에(青色),이름을 야조라 하며(名曰『야조(冶鳥)』),큰 나무에 구멍을 뚫어 둥지를 짓는데(穿大樹作窠),다섯 여섯 되 크기의 그릇 같다(如五六升器)。만약 그것이 머물며 욕되게 하면(若有穢惡及其所止者),밤을 새며 집을 지키는 범에게(則有虎通夕來守),가지 않는 사람을(人不去),바로 사람을 다치게 한다(便傷害人)。때때로 보고 즐기기 위해(時有觀樂者),사람 모양으로 변하는데(便作人形),키는 삼 척이다(長三尺),산골짜기에서 가재를 잡아(至澗中取石蟹),사람이 먹으라 구워 놓는데(就人炙之),죄를 짓지 않는 사람이 된다(人不可犯也)。」然위소(韋昭)注국어(國語)(노어(魯語)),이 산소라는 것은(乃以為山𤢖者),옛부터 하나의 다리를 가진 기는(古一足之夔),云:「기는 다리가 하나이며(夔一足),월나라 사람은 산조라 일컬었는데(越人謂之山繰(소(𤢖))),사람 얼굴에 원숭이 몸이고(人面猴身),말을 할 수 있다(能言)。」포박자(抱朴子) 등섭편(登涉篇)亦云:「산 속의 산도깨비의 모양은 어린아이 같고(山中山精之形如小兒),하나의 다리에(而獨足),발이 뒤로 향해 있어(足向後),죄를 지은 사람이 기뻐하며 오게 한다(喜來犯人)。사람이 산골짜기로 들어가면(人入山谷),밤에 우스운 소리를 하는 목소리가 들리고(夜聞其音聲笑語),그 이름을 기라 한다(其名曰蚑),부르면 안다(知而呼之),죄를 지은 사람은 부지 못한다(即不敢犯人也)。북 같은 산도깨비도 있는데(又有山精如鼓),붉은 빛에(赤色),역시 하나의 다리이고(亦一足),그 이름을 휘라한다(其名曰暉)(발이 뒤로 향해 있다는 원래 뒤로 달린다이고(足向後原作走向後),사람이 산골짜기로 들어간다는 원래 사람이 산으로 들어간다(人入山谷原作人入山若),근거는(據)태평어람(御覽)卷八八六引고쳐짐(改))。」이른바 기나 휘는 산도깨비이고 하나의 다리를 가진 기다(所謂)蚑或暉之山精亦一足之夔也)。기는 옛날부터 소의 모양을 하고 있다 전해지며(然夔古傳乃為牛形(대황동경(大荒東經))),용의 몸으로 되어있다고도 한다(或為龍軀(설문해자(說文)五)),지금에 이르로 새의 몸이 되거나(至此而又或為鳥體),원숭이의 몸이 되거나(或為猴軀),사람의 모양이 되었다(或作人形):또신화전설이 마구 뒤얽혀 복잡하게 알려졌고(亦知神話傳說之錯綜複雜),변화하며 발전해 정해진 것이 없다(演變無定也)。당나라(唐) 당성식(段成式) 유양잡조(酉陽雜俎) 낙고기(諾皋記) 하편(下)云:「산소는 산조라고도 하는데(山蕭一名山臊),신이경에는 소라 쓰여 있고(神異經作㺑),영가군기에는 산매라 쓰여 있다(永嘉郡記作山魅),산락이나(一名山駱),교나(一名蛟),탁육이나(一名濯肉),열육이나(一名熱肉),휘나(一名暉),비룡아라고도 한다(一名飛龍)。비둘기 같은데(如鳩),푸른 빛에(青色),야조라고도 한다(一名冶鳥)。보금자리의 크기는 다섯 말 크기의 그릇 같고(巢大如五斗器),흙으로 하얗게 칠해 꾸몄으며(飾以土堊),붉고 흰 모야으로 보인다(赤白相見(간(閒))),모양은 네모난 과녁 같고(狀如射侯),범을 부려 죄를 지은 사람을 다치게 할 수 있으며(犯者能役虎害人),죄 지은 사람의 집을 불사른다(燒人廬舍)。산소라 한다(俗言山魈)。」그것은 이름은 휘는(其名暉者),휘다(𤟤也),산휘이고(山𤟤也),기의 발음으로 전해진다(夔之音轉也);교라는 이름은(名蛟者),소의 발음이나 기의 글이 잘못된 것이다(𤢖之音轉或蚑之訛文也):산소의 이름은 눈의 크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山𤢖名目之大凡見於此矣)。


兕在舜葬東,湘水南1,其狀如牛,蒼黑,一角2。

외뿔소는 순임금 무덤 동쪽에 있고, 상수 남쪽에 있다, 그 모양이 소 같고, 푸르고 검은빛이며, 뿔이 한 개이다.


1 학의행(郝懿行)云:「모든 설명은 그림과 같다(皆說圖畫如此)。」

2 원가기록(珂案):남차삼경(南次三經)云:「도과산은(禱過之山),산 아래에 무소와 외뿔소가 많다(其下多犀、兕)。」곽박(郭璞)注:「무소는 물소와 비슷하다(犀似水牛)。외뿔소 역시 물소와 비슷하며(兕亦似水牛),푸른 빛에(青色),하나의 뿔이 달렸고(一角),무게는 삼천 근이다(重三千斤)。」謂此也。「삼(三)」덧붙인 글자(字衍)(이아(爾雅)석수(釋獸)곽박(郭)注同此注,삼은 없는 글자(無「삼(三)」字))。초학기(初學記)卷七引죽서기년(竹書紀年)云:「주나라(周) 소왕(昭王) 십육 년에(十六年),초나라와 형나라를 정벌하려고(伐楚荊),한수를 건너다(涉漢),큰 외뿔소를 만났다(遇大兕)。」옛 시절 중국 남쪽에는(古代中國南方),확실히 모질고 사나운 동물이 있었다(固有此兇猛之動物也)。


蒼梧之山,帝舜葬于陽1,帝丹朱葬于陰2。

창오산, 산 남쪽에 순임금이 묻혔고, 산 북쪽에 제단주가 묻혔다.


1 곽박(郭璞)云:「구의산이다(即九疑山也)。예기(禮記)(단궁(檀弓) 상(上))亦曰:『순임금은 창오의 들판에 묻혔다(舜葬蒼梧之野)。』」원가기록(珂案):해내경(海內經)云:「남쪽 창오구의(南方蒼梧之丘),창오연(蒼梧之淵),그 안에 구의산이 있는데(其中有九嶷山),순임금이 묻힌 곳이며(舜之所葬),장사와 영릉 지역 사이에 있다(在長沙零陵界中)。」即곽박(郭)注所本也。此云「산 북쪽에 제단주가 묻혔다(帝丹朱葬於陰)」,대황남경(大荒南經)則云:「적수의 동쪽에(赤水之東),창오의 들판이 있는데(有蒼梧之野),순임금과 숙균이 묻힌 곳이다(舜與叔均之所葬也)。」곽박(郭璞)注:「숙균은(叔均),상균이다(商均也),순임금은 나라 안을 두루 보살피며 돌아다녔고(舜巡狩),죽어서는 창오에 묻혔으며(死於蒼梧而葬之),상균도 머물다가(商均因留),죽어서 여기에 묻혔다(死亦葬焉),무덤은 현재 구의 안에 있다(墓在今九疑之中)。」요임금 아들 단주나(或為堯子丹朱),순임금 아들 상균이나(或為舜子商均),전해지는 모든 말이 같지 않고 다르다(要皆傳聞不同而異其辭耳)。순임금 신화 관련(關於舜之神話),見해내경(海內經)「창오구(蒼梧丘)」節注2。

2 곽박(郭璞)云:「현재 단양에는 단주의 무덤이 있다(今丹陽(송본(宋本) 단양 다음에 현자가 있다(丹陽下有縣字)——珂)復有丹朱冢也)。죽서(竹書)亦曰:『후직은 제단주를 단수로 쫓아냈다(后稷放帝朱于丹水)。』더불이 구분(與此義符)。단주를 임금이라 불렀는데(丹朱稱帝者),한나라 산양공이 죽어 헌제의 시호로 더해짐(猶漢山陽公死加獻帝之謚(모의(毛扆)本作시(諡)——珂)也)。」원가기록(珂案):단주의 신화전설과 관계가 있는데(有關丹朱之神話傳說),이미 많은 부분이 사라져서(已多佚亡),여러저기 돌아다니며 모든 글을 찾아 기록한 것이(蒐尋諸書所記),이와 같은 대강의 줄거리를 얻었다(略得梗概如次)。세본(世本)(장수졸집보(張澍集補)注本)云:「요임금이 산의씨의 자식에게 장가를 갔는데(堯取散宜氏之子),여황이라 일컫는다(謂之女皇)。여황은 단주를 낳았다(女皇生丹朱)。」상서(書) 익직(益稷)云:「만약 단주에게 거만함이 없었더라면(無若丹朱傲),오로지 나태하고 노는 것을 좋아하고(惟慢遊是好),뽐내고 잔인한 짓을 하며(傲虐是作),밤낮없이 고개를 숙이게 하더라(罔晝夜頟頟),물 없는 곳에 배를 끌고 다녔고(罔水行舟),집에서 무리를 지어 음란하게 노니(朋淫于家),그 대가 끊겼다(用殄厥世)。」세본(世本)(장수졸집보(張澍集補)注本)云:「요임금이 바둑을 만들었고(堯造圍棋),단주는 바둑을 잘 했다(丹朱善之)。」금루자(金樓子) 흥왕편(興王篇)亦云:「요임금이 단주에게 바둑을 가르쳤는데(堯教丹朱棊),무늬 있는 뽕나무로 바둑판을 만들고(以文桑為局),무소 뿔과 코끼리 어금니로 돌을 만들었다(犀象為子)。」태평어람(太平御覽)卷六三引상서(尚書) 일편(逸篇)云:「요임금의 자식은 못나고 어리석어서(堯子不肖),순임금에게 시켜 단연에서 살게하였고 제후가 되었다(舜使居丹淵為諸侯),그래서 단주라 한다(故號丹朱)。」산해경(山海經) 해외남경(海外南經) 곽박(郭璞)注云:「옛 날에 요임금이 순임금에게 나라를 넘겨주려 하자(昔堯以天下讓舜),삼묘의 군주가 반대했고(三苗之君非之),유묘민들은(有苗之民),남해로 달아았다(叛入南海),삼묘국이 되었다(為三苗國)。」한학당총서(漢學堂叢書) 모음(輯) 육도(六韜)云:「요임금와 유묘가 단수의 어귀에서 전쟁을 했다(堯與有苗戰於丹水之浦)。」여씨춘추(呂氏春秋) 소류편(召類篇)云:「요임금은 단수의 어귀에서 전쟁을 하여 남만을 굴복시켰다(堯戰於丹水之浦以服南蠻)。」묘와 만은 하나의 소리로 전해지고(苗、蠻一聲之轉),남만을 굴복시켰다는 유묘와 전쟁을 했다는 것(服南蠻即戰有苗也)。단수의 어귀는(而丹水之浦),단주가 쫓겨난 땅이고(又丹朱放逐之地),단수에서 요임금이 단주와 유묘의 무리와 전쟁을 하였다(堯與黨丹朱之有苗戰於丹水),단주와 유민의 관계는 짐작 할 수 있다(則丹朱與有苗之關係可想而見矣)。故장자(莊子) 도척(盜跖)에서(稱「요임금은 인정이 없었다(堯不慈)」)하였고,또 한(又稱「요임금이 맏아들을 죽였다(堯殺長子)」)하였다,맏아들은(長子者),단주다(丹朱也)(見여씨춘추(呂氏春秋) 거사편(去私篇) 고유(高誘)注及사기(史記) 오제본기(五帝本紀) 정의하고 있다(正義)),요임금은 단주를 죽였고(堯殺丹朱),이는 단수에서의 전쟁과 남만을 굴복시킨 결과라고 생각한다(當是戰丹水、服南蠻之結果也)。산해경(山海經) 해외남경(海外南經)云:「환두국은 그 남쪽에 있고(讙頭國在其南),그곳 사람들은 사람 얼굴에(其為人人面),날개가 있고(有翼),새의 부리가 달렸으며(鳥喙),물고기를 잡아 먹는다(方捕魚)。혹은 환주국이라 한다(……或曰讙朱國)。」곽박(郭璞)注云:「환두는 요임금의 신하이고(讙兜堯臣),죄를 지어(有罪),스스로 남해로 뛰어들어 죽음을 맞이했다(自投南海而死),요임금은 불쌍히 여겨(帝憐之),그 자식들로 하여금 남해에 사당을지어 살도록 하였다(使其子居南海而祠之)。선인으로 분류된다(畫亦似仙人也)。」근대 연구에 따르면(據近人研究),환두와 환두와 환주는(讙頭、讙兜及讙朱),모두 단주의 이름을 다르게 부르는 것이다(皆丹朱一名之異稱)。곽박(郭)注이른바(所謂「환두는 요임금의 신하다(讙兜堯臣)」者)는,확실히 단주는 요임금의 자식이다(實丹朱堯子也),이른바(所謂「죄를 지어(有罪),스스로 남해로 뛰어들어 죽음을 맞이했다(自投南海而死)」者),단주는 전쟁에서 졌기에(丹朱兵敗ㅒ),스스로(自以為「죄를 지었다(有罪)」)고 여겨,(因「스스로 남해로 뛰어들어 죽음을 맞이했다(自投南海而死)」)되었다,단주의 결말이 다른 전설이다(蓋丹朱結局之另一傳說也)。「요임금은 불쌍히 여겨(帝憐之),그 자식들로 하여금 남해에 사당을지어 살도록 하였다(使其子居南海而祠之」者,丹朱妻子本隨丹朱敗逃南海),단주가 죽은 뒤에(丹朱死後),남해에 살며 움직이지 않아서(亦居南海勿去),그 뒤 자손들이 늘어나 나라를 이뤄(其後子孫繁衍成國),마침내 이들이 환두국이나 환주국이 되었다(遂為此讙頭國或讙朱國),연구의 뜻이 없어져 사라졌다(蓋赦而勿究之意也)。남차이경(南次二經)云:「구산에 있는 새는(柜山有鳥焉),그 모양이 사람 손이 달린 새매 같고(其狀如鴟而人手),그 울음소리는 비 같다(其音如痺),그 이름을 주라 하는데(其名曰鴸),울음소리 때문에 그 이름이 되었다(其名自號也),만나면 그 고을에 방사가 많아진다(見則其縣多放士)。」이 기이한 새매 같은 주는(此如鴟之異鳥鴸),혹은 전쟁에 져서 죽은 단주가 변한 것이다(或即敗死丹朱之所化)。도잠(陶潛) 독산해경시(讀山海經詩) 주아가 되었다고 일컫는다(謂為「주아(鵃鵝)」)。오임신(吳任臣)云:「혹은 환주가 되었야한다고 한다(或云當為鴅鴸)。」(見해외남경(海外南經)「환두국(讙頭國)」節注)환주가 되었다가 맞다(為鴅鴸正是也)。신화에 단주가 새로 변했다는 다른 이야기가 있는데(神話有丹朱化鳥之異聞),단주의 자손들은 환주국을 이뤘는데 사람 얼굴에 날개가 있고 새의 부리가 달렸으며 물고기를 잡아 먹는다는 것이 변하고 늘어나 전설이 되었다(故傳說亦稱繁衍而成讙頭國之丹朱子孫「사람 얼굴에(人面)、날개가 있고(有翼)、새의 부리가 달렸으며(鳥喙),물고기를 잡아 먹는다(方捕魚)」也)。이 산의 북쪽에 제단주가 묻혔다는(此云「산의 북쪽에 제단주가 묻혔다(帝丹朱葬于陰)」者),단주를 임금이라 일컬었고(丹朱而稱「제(帝)」),더불어 순임금과 함께 창오에 묻혔으며(且與舜同葬蒼梧),모두 시골 늙은이가 햇볕을 쬐며 하는 말들이고(蓋亦野老負暄之言),전쟁에 진 단주가 딱하고 가엾운 뜻이 있게 되었다(於失敗之丹朱猶寄有同情之意也)。


氾林1方三百里,在狌狌東2。

범림은 넓이가 삼 백 리에 이르고, 성성이 동쪽에 있다.


1 원가기록(珂案):見해외남경(海外南經)「적산(狄山)」節注13。

2 곽박(郭璞)云:「혹은 성성으로 쓴다(或作猩猩),같은 글자(字同耳)。」원가기록(珂案):해내경(海內經)云:「푸른 짐승이 있는데(有青獸),사람 얼굴에(人面),이름을 성성이라 한다(名曰猩猩)。」即此。


狌狌1知人名2,其為獸如豕而人面3,在舜葬西。

성성은 사람의 이름을 이해하고, 그것은 사람 얼굴에 돼지 같은 짐승이며, 순임금 무덤 서쪽에 있다.


1 원가기록(珂案):남산경(南山經)云:「초요산에(招搖之山),있는 짐승은(有獸焉),그 모양이 흰 귀를 한 원숭이 같고(其狀如禺而白耳),기어 다니다가도 사람처럼 뛴다(伏行人走),그 이름을 성성이라 하며(其名曰狌狌),먹으면 잘 달린다(食之善走)。」이 역시 성성 전설의 다른 이야기(亦此狌狌傳說之異聞也)。

2 원가기록(珂案):회남자(淮南子) 범론편(氾論篇)云:「성성은 가는 것은 알지만 오는 것은 모른다(猩猩知而不知來)。」고유(高誘)注云:「성성은(猩猩),북쪽 짐승의 이름이고(北方獸名),사람 얼굴에(人面),짐승 몸이며(獸身),누런 빛이다(黃色)。예기(禮記)(곡례(曲禮) 상(上))曰:『성성은 말을 할 수 있으나(猩猩能言),짐승에서 벗어나지 못한다(不離走(현재 책에는(今本)作금(禽)——珂)獸)。』사람을 만나면 미친듯이 내달리고(見人狂走),사람의 성을 나태내는 글자를 안다(則知人姓字):이는 가는 것을 안다(此知往也)。또 술 마시기를 좋아하고(又嗜酒),사람에게서 술을 숨기고(人以酒搏之),숨을 쉬지 않고 마시며(飲而不耐息),술 취하는 것을 모른다(不知當醉),그 몸은 짐승이기 때문에(以禽其身),오는 것을 모른다고 한다(故曰不知來也)。」후한서(後漢書) 서남이전(西南夷傳)云:「애뢰에서 성성이 나타났다(哀牢出猩猩)。」이현(李賢)注引남중지(南中志)云:「성성은 이 골짜기 안에 있고(猩猩在此谷中),보통 길로 다니지 않으며(行無常路),여러 마리가 무리지어 산다(百數為群)。토박이는 만약 술이 나쁘면(土人以酒若糟),길에 뿌린다(設於路)。자식이 짚신 신는 것이 기뻐서(又喜屩子),토박이들은 풀을 짜서 짚신을 만드는데(土人織草為屩),수십 개의 양을 서로 이어 맺는다(數十量相連結)。성성은 산골짜기에 있는데(猩猩在山谷),술과 짚신을 보면(見酒及屩),그것을 배푼 사람을 안다(知其設張者),베푼 사람은 안다는 선조의 널리 알려진 이름이다(即知張者先祖名字)。그 이름을 불러대며 꾸짖다(乃呼其名而罵)云:『아 슬프도다(奴欲張我)!』버리고 가버리다(捨之而去)。가버리다는 돌아온다이고(去而又還),서로 불러 함께 시험삼아 술을 맛보다(相呼試共嘗酒)。처음 적은 양을 맛보고(初嘗少許),짚신을 골라 자식에게 신기다(又取屩子著之)。두세 되 정도면(若進兩三升),크게 취한다(便大醉)。사람이 태어나고 거두면(人出收之),짚신을 신은 자식은 서로 이어져 가지 못하며(屩子相連不得去),감옥 안으로 돌아오는 것을 고집한다(執還內牢中)。사람의 욕망을 가진 자는(欲取者),감옥으로 들어가게 된다(到牢邊語)云:『성성이 너는 너희들끼리 뚱뚱한 놈을 뽑아 내쫓는다(猩猩汝可自相推肥者出之)。』결국 서로 마주보고 슬피 운다(竟相對而泣)。」이것이 이른바(此所謂「성성은 사람의 이름을 이해한다(狌狌知人名)」也)。

3 곽박(郭璞)云:「주서(周書)(왕회편(王會篇))曰:『정나라 밖 성성이는(鄭郭狌狌(현재 책에는 도심 밖에서 번식한다고 쓰여 있다(今本作都郭生生)——珂)者),모양이 사람 얼굴에 누런 개 같다(狀如黃狗而人面)(현재 책에는 사람 얼굴에 말을 할 수 있고 누런 개 같다고 쓰여 있다)(今本作若黃狗人面能言——珂)。』머리는 수탉 같고(頭如雄雞),먹으면 가위눌리지 않는다(食之不眯)(앞에 나온 두 말은 곽박이 설명한 왕회편 설명에서 빼어난 말씀이 잘못 들어갔다(上二語係王會篇說奇幹善芳詞而誤入郭注者),계는 덧붙은 글자(係衍文)——珂)。현재 교주 봉계에서 성성이가 나타나고(今交州(州,송본(宋本)、모의(毛扆)本作지(趾),장경(藏經)本作지(阯),손성연(孫星衍)、학의행(郝懿行)均校지(阯)——珂)封谿出狌狌),토박이와 일반인의 설명에 따르면(土俗人說云),모양이 배가 개와 비슷한 새끼돼지 같고(狀如豚而腹(송본(宋本)、장경(藏經)本作복(復),학의행(郝懿行)云:다른 책에는 뒤라고 쓰여 있다(一本作後)——珂)似狗),울음소리는 젖먹이가 우는 소리 같다(聲如小兒啼也)。」원가기록(珂案):수경(水經)注엽유하(葉榆河)云:「(봉계(封溪))현에 성성이라는 짐승이 있는데(縣有猩猩獸),모양이 누런 개 같고(形若黃狗),담비 새끼 모양이다(又狀貆[豸屯])。사람 얼굴에(人面),머리와 얼굴이 바르고 네모나며(頭顏端正),사람의 말을 잘 한다(善與人言),목소리는 곱고 아름다우며(音聲麗妙),정숙한 여자를 좋아한다(如婦人好女)。서로 뜻이 맞아 사귀며(對語交言),들으면 슬프고 괴롭지 않은 자가 없다(聞之無不酸楚)。그 고기는 달고 맛있어서(其肉甘美),곡식을 끊을 수 있으며(可以斷穀),한 평생 가위눌리는 악몽을 안 꾼다(窮年不厭)。」이를 일컫는다(謂此也)。


狌狌西北有犀牛,其狀如牛而黑1。

성성이 서북쪽에 있는 서우는, 그 모양이 검은 소 같다.


1 곽박(郭璞)云:「서우는 물소와 비슷하고(犀牛似水牛),돼지 머리에(豬頭),사람의 이름을 이해하는 성성이 서북쪽에 있으며(在狌狌知人名之西北),짧은 다리에(庳腳),뿔이 세 개다(三角)。」원가기록(珂案):사람의 이름을 이해하는 성성이 서북쪽에 있다 아홉 글자는(在狌狌知人名之西北九字),왕념손(王念孫)校덧붙였고(衍),맞다(是也)。남차삼경(南次三經)云:「도과산은(禱過之山),산 아래에 무소가 많다(其下多犀)。」곽박(郭璞)注云:「무소는 물소와 비슷하고(犀似水牛),돼지 머리에(豬頭),다리는 짧으며(庳腳),다리는 코끼리와 비슷하다(腳似象),세 개의 굽이 있고(有三蹏),배가 크며(大腹),검은 빛이다(黑色)。뿔이 세 개는(三角_:한 개는 정수리 위에 있고(一在頂上),하나는 이마 위에 있으며(一在額上),하나는 코 위에 있다(一在鼻上);코 위에 있는 것은(在鼻上者),작고 안 빠지며(小而不墮),먹는 뿔이다(食角也)。가시나무 먹는 것을 좋아하고(好噉棘),입 속은 피거품이 항시 나온다(口中常灑血沫)。」이 설명으로 모라람을 보탤 수 있다(可以為此注補充)。


夏后啟之臣曰孟涂1,是司神于巴2,人請訟于孟涂之所3,其衣有血者乃執之4,是請生5。

하후계의 신하 맹도라 하는데, 이곳 파에서 신께 제사를 지냈고, 맹도의 장소에 사람들을 불러모아 시시비비를 가렸으며, 정직하지 않은 사람은 옷에 피가 묻었다, 이것은 생명을 아낀다.


居山上;

산 위에 살다.


在丹山西。

단산 서쪽에 있다.


丹山在丹陽南,丹陽居屬也6。

단산은 단양 남쪽에 있고, 단양에 모여 산다.


1 학의행(郝懿行)云:「수경(水經) 강수(江水)注引이 경문에는 혈도라 쓰여 있다(此經作血涂),태평어람(太平御覽)六百三十九卷 맹여나 맹서로 쓰여 있다(作孟余或孟徐)。」원가기록(珂案):현재 책(今本) 수경(水經)注仍作맹도(孟涂)。인쇄(影) 송본(宋本) ㅌ평어람(御覽)作맹서(孟徐),서는 도의 잘못(徐蓋涂之訛也)。

2 곽박(郭璞)云:「청은 형사 상의 송사이고(聽其獄訟),위패가 된다(為之神主)。」

3 곽박(郭璞)云:「명을 자르다(令斷之也)。」원가기록(珂案):「수경(水經)注강수(江水)引이 경문에 쓰여 있는(此經作「이곳 파에서 신께 제사를 지냈고(是司神于巴),파인들은 맹도의 장소에서 송사를 했다(巴人訟于孟涂之所)」),파자가 있고(多巴字),청자는 없다(無請字)。인쇄(影) 송본(宋本) 태평어람(御覽)六三九亦청자는 없는 글자(無請字)。현재 책에 청자는 덧붙여짐(今本請字衍),파자는 빠짐(巴字脫)。

4 곽박(郭璞)云:「정직하지 못한 자는 옷에서 피를 발견(不直者則血見於衣)。」

5 곽박(郭璞)云:「생명을 아끼는 것을 말한다(言好生也)。」

6 곽박(郭璞)云:「현재 건평군 단양성 자귀현 동쪽으로 칠 리를 가야한다(今建平郡丹陽城秭歸縣東七里),맹도가 사는 곳(即孟涂所居也)。」학의행(郝懿行)云:「진서(晉書) 지리지(地理志) 건평군에 있는 자귀는(建平郡有秭歸),단양이 없다(無丹陽),그 단양에 모여 있다는 단양군이다(其丹陽屬丹陽郡也)。수경(水經)注(강수(江水))引곽경순(郭景純)云:『단산은 단양에 있고(丹山在丹陽),파에 속한다(屬巴)。』이 경문의 열한 글자는(是此經十一字(謂『단산은 단양 남쪼에 있고(丹山在丹陽南),단양에 모여 산다(丹陽居屬也)』열한 글자(十一字)——珂)乃곽경순 설명의 글은(郭注之文),역씨 단락에 보면(酈氏節引之),글을 베끼는 자가 잘못 베낀 것이다(寫書者誤作經文耳)。거속은 파속이 잘못된 것이다(居屬又巴屬字之訛)。」원가기록(珂案):노라(路史) 후기(後紀)十三注:「단산의 서쪽은 맹도가 묻힌 곳이다(丹山之西即孟涂之所埋也)。단산은 현재 무산이다(丹山乃今巫山)。」무산현지(巫山縣志)卷十七云:「맹도의 사당은 마을 남쪽 무산 아래 있다(孟涂祠在縣南巫山下)。」


窫窳1龍首2,居弱水中,在狌狌知人名3之西,其狀如龍首,食人4。

알유는 용의 머리인데, 약수 안에 살며, 사람의 이름을 이해하는 성성이의 서쪽에 있다, 그 모양이 용 머리 같고, 사람을 먹는다.


1 곽박(郭璞)云:「알유는(窫窳),원래 뱀의 몸에 사람 얼굴이고(本蛇身人面),이부의 신하에게 죽음을 당했으며(為貳負臣所殺),다시 변해 이러한 괴물이 되었다(復化而成此物也)。」원가기록(珂案):해내서경(海內西經)云:「이부의 신하 위라 하는데(貳負之臣曰危),위와 이부가 알유를 죽여서(危與貳負殺窫窳),황제는 소속산에 가두웠으며(帝乃梏之疏屬之山),그 오른발에 차꼬를 채우고(桎其右足),두 손은 뒤로 젖히고 묶어(反縛兩手)(원문에는 두 손을 뒤로 젖히고 머리털과 함께 묶었다(原作反縛兩手與髮),머리털과 두 글자는 덧붙여짐(與髮二字衍),從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校삭제(刪)),산 위 나무에 매달았다(繫之山上木)。개제 서북쪽에 있다(在開題西北)。」又云:「개명 동쪽에 무팽과 무저와 무양과 무이와 무범과 무상이 있고(開明東有巫彭、巫抵、巫陽、巫履、巫凡、巫相),알유시와 가까이 있으며(夾窫窳之尸),모두 서로 떨어져 있으면서 불사약을 쥐고 있다(皆操不死之藥以距之)。알유는(窫窳者),뱀의 몸에 사람 얼굴인데(蛇身人面),이부의 신하에게 죽임을 당했다(貳負臣所殺也)。」곽박은(郭)云「다시 변해 이러한 괴물이 되었다(復化而成此物)」者,원래 책에 뱀의 몸에 사람 얼굴을 한 천신 알유는(原本蛇身人面之天神(옛부터 천신은 뱀의 몸에 사람 얼굴을 많이 했다(古天神多蛇身人面))窫窳),죽임을 당한 뒤에 치료하여 되살아 났는데(被殺而治活後),회복해서 변해 이런 괴물이 되었다(復化而成此怪物也)。

2 원가기록(珂案):이 용 머리 두 글자는 뒤에 나온 용 머리 두 글자가 넘어와서 덧붙은 것으로 의심된다(此龍首二字疑涉下龍首二字而衍)。

3 왕념손(王念孫)云:「사람 이름을 이해하다 세 글자는 덧붙은 것으로 의심(知人名三字疑衍)。」

4 학의행(郝懿行)云:「유규(劉逵)注오도부(吳都賦)引此經云:『남해의 밖에(南海之外),있는 알유는(有猰貐),모양이 이리 같고(狀如貙),머리가 용이며(龍首),사람을 먹는다(食人)。』이아의 문장을 참고(蓋參引이아(爾雅)之文)。이아(爾雅)(석수(釋獸))云:『알유는 이리 같다(猰貐類貙)。』이 경문을 인용했는데(以引此經),잘못됨(則誤矣)。알유의 생김새는(窫窳形狀),又見해내서경(海內西經)。又북산경(北山經) 소함산(少咸之山)설명(說)알유의 생김새(窫窳形狀),이것과 다르다(復與此異)。」원가기록(珂案):근거(據) 오도부(吳都賦) 유규(劉逵)注引此經,「그 모양이 같다(其狀如)」다음에(下),추자가 있어야 하고(當有「추(貙)」字),「모양이 용 머리 같다(狀如龍首)」,없어야한다(則不詞矣)。학의행(郝懿行)謂「이아의 문장을 참고(參引이아(爾雅)之文)」,틀렸다(非是);차라리 이아의 근거가 된 문장이 더 낫아 보인다(毋寧謂이아(爾雅)據經文之為愈也)。나중에(至於) 북산경(北山經)云:「소함산에 있는 짐승은(少咸之山有獸焉),그 모양이 붉은 몸을 한 소 같고(其狀如牛而赤身),사람 얼굴에 말의 발이며(人面馬足),이름을 알유라 한다(名曰窫窳),그 울음소리는 젖먹이 같고(其音如嬰兒),이것은 사람을 먹는다(是食人)。」「생김새가 이것과 다르다(形狀復與此異)」者,소문이 돌고돌아 다른 이야기가 되었다(亦傳聞不同而異辭耳)。


有木,其狀如牛1,引之有皮,若纓、黃蛇2。

나무가 있는데, 그 모양이 소 같고, 껍질을 잡아 당기면, 갓끈이나 누런 뱀 같다.


其葉如羅3,其實如欒4,其木若蓲5,其名曰建木6。

그 잎은 그물 같고, 그 열매는 모감주나무 같으며, 그 나무는 스무나무 같다, 그 이름을 건목이라 한다.


在窫窳西弱水7上。

알유 서쪽 약수 위에 있다.


1 곽박(郭璞)云:「하도옥판(河圖玉版)說,지초는 나무에서 자라고(芝草樹生),수레에 맨 말 같거나(或如車馬),용과 뱀의 모양 같다(或如龍蛇之狀),이런 종류다(亦此類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芝草樹生」,장경(藏經)本나무가 아니라 뒤엉키다로 쓰여 있다(樹作橫)。

2 곽박(郭璞)云:「벗겨진 껍질을 당기면 관의 끈이나 누런 뱀 같다(言牽之皮剝如人冠纓及黃蛇狀也)。」

3 곽박(郭璞)云:「무늬가 있는 두꺼운 비단과 얇은 비단 같다(如綾羅也)。」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설명(說)틀리다(非也)。예전에는 소박하고 순진해서(上世淳朴),무늬 있는 비단의 이름이 없었다(無綾羅之名),그물로 바꾸어야 한다고 의심(疑當為網羅也)。회남자(淮南) 범론훈(氾論訓)云:『백여가 처음 옷을 만들었다(伯余之初作衣也),삼을 비끄러매어 줄기를 꼬아(緂麻索縷),손가락에 걸어 손으로 실을 만들었는데(手經指挂),그것이 마치 그물로 되어 있더라(其成猶網羅)。』이 무늬 있는 비단의 이름은(是綾羅之名),오랜 전에도 있었는지(非上古所有),살펴보아야 한다(審矣)。양수의 다른 이름은 라다(又楊檖一名羅),見이아(爾雅)(석목(釋木)),오씨(吳氏)(임신(任臣))云。」

4 곽박(郭璞)云:「란은(欒),나무의 이름이고(木名),누런 뿌리에(黃本),붉은 가지이며(赤枝),잎이 푸르다(青葉),운우산에 나타난다(生雲雨山);或作란(卵),或作마(麻),音란(鑾)。」원가기록(珂案):대황남경(大荒南經)云:「대황의 안에(大荒之中),있는 운우산에(有雲雨之山),이름이 란이라는 나무가 있다(有木名曰欒)。우임금이 운우산의 나무를 벨 때(禹攻雲雨),여기 붉은 돌에서 란이 태어났다(有赤石焉生欒)。누런 뿌리에(黃本),붉은 가지이며(赤枝),잎이 푸르다(青葉),많은 임금들이 여기서 약을 얻었다(群帝焉取藥)。」即곽박(郭)注설명하였다(所說)也。양신(楊慎)云:「란은 알을 만들고 빌려주는데(欒借作丸),둥근 것이 새의 탄알 같다(謂圓如鳥彈也)。」亦참고 가능(可供參考)。

5 곽박(郭璞)云:「구 역시 나무 이름이고(蓲亦木名),자세하지 않음(未詳)。」학의행(郝懿行)云:「구는(蓲),자유다(刺榆也) 스무나무다。이아(爾雅)(석목(釋木))云:『시무나무는(櫙),오미자 나무다(荎)。』곽박(郭)注引시경(詩)云:산에 있는 구는(山有蓲),현재 자유다(今之刺榆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僅云:「현재 자유다(今之刺榆也)。」시경(詩)「산에 있는 구(山有蓲)」是석문(釋文)所引。

6 곽박(郭璞)云:「건목은 푸른 잎에(建木青葉),자주빛 줄기이고(紫莖),검은 꽃이 피며(黑華),누런 열매가 열린다(黃實),나무 아래에서 내는 소리는 메아리가 없고(其下聲無響),그림자 없이 서있다(立無影也)。」원가기록(珂案):해내경(海內經)云:「남해의 안에(南海之內)(안은 원래 밖으로 쓰여 있다(內原作外),근거(據)송본(宋本)고침(改)),흑수와 청수 사이에(黑水青水之閒),있는 구구는(有九丘),물에 둘러싸여 있으며(以水絡之),이름을 도당구와 숙득구와 맹영구와 곤오구와 흑백구와 적망구와 참위구와 무부구와 신민구라 한다(名曰陶唐之丘、有(유자는 덧붙은 글자로 의심(有字疑衍))叔得之丘、孟盈之丘、昆吾之丘、黑白之丘、赤望之丘、參衛之丘、武夫之丘、神民之丘)。나무가 있는데(有木),푸른 잎에(青葉),자주빛 줄기이고(紫莖),검은 꽃이 피며(玄華),누런 열매가 열린다(黃實),이름을 건목이라 하고(名曰建木),높이는 백 길에 가지가 없다(百仞無枝)。위로 뻗은 줄기는 아홉 갈래로 꼬불꼬불 구부러져 있고(上(상자는 원래 없다(上字原無),근거(據)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校더해짐(增))有九欘), 아래로 뻗은 줄기는 아홉 번 뒤얽혀 있다(下有九枸)。그 열매는 삼 같고(其實如麻),그 잎은 까끄라기 같다(其葉如芒)。태호는 여기에서 하늘을 오르내렸고(大爰過),황제가 가꾸고 지켰다(黃帝所為)。」회남자(淮南子) 지형편(墬形篇)云:「건목은 도광에 있고(建木在都廣),옛 임금들이 이곳에서 오르내리기 시작했고(眾帝所自上下),한낮에도 그림자가 없으며(日中無景),큰 소리를 내도 메아리가 없다(呼而無響),여기가 하늘과 땅의 가운데이다(蓋天地之中也)。」이것이 곽박이 설명한 근거다(是郭注之所本)。건목은(建木既「태호는 여기에서 하늘을 오르내렸고(爰過),황제가 가꾸고 지켰다(黃帝所為)」)뿐만 아니라,또한(又為「옛 임금들이 이곳에서 오르내리기 시작했다(眾帝所自上下)」)되었다,이는 하늘을 오르는 사다리다(蓋天梯也)(자세한 설명(說詳) 해내경(海內經)「구구(九丘) 건목(建木)」節注)。

7 원가기록(珂案):고소설구침(古小說鉤沈) 모음(輯) 현중기(玄中記)云:「온 세상 약자는(天下之弱者),곤륜에 있는 약수는(有崑崙之弱水焉),기러기의 털이 뜨지 못 한다(鴻毛不能起也)。」이 약수의 이름이 약자다(弱水之名「약(弱)」者以此)。


氐人國1在建木西,其為人人面而魚身,無足2。

저인국은 건목 서쪽에 있고, 그곳 사람은 물고기 몸에 사람 얼굴을 하고 있으며, 발이 없다.


1 곽박(郭璞)云:「音촉저의 저(觸抵之抵)。」원가기록(珂案):대황서경(大荒西經)云:「호인국이 있다(有互人之國)。염제의 자손이며(炎帝之孫),이름을 영개라 하는데(名曰靈恝),영개는 호인을 낳았고(靈恝生互人),이들은 하늘을 오르내릴 수 있다(是能上下于天)。」곽박(郭)注:「사람 얼굴에 물고기 몸이다(人面魚身)。」학의행(郝懿行)云:「호인국(互人國)即해내남경(海內南經) 저인국(氐人國),저와 호 두 글자는(氐、互二字),모양이 비슷하여 잘못되었고(蓋以形近而訛),관습적으로 저라 쓰지만 호자로 쓰는 것이 표준이다(以俗氐正作互字也)。」왕념손(王念孫)、손성연(孫星衍)均校호를 저로 고쳤다(改互為氐),이것은(是) 대황서경(大荒西經) 호인국(互人國)即이 경문의 저인국이다(此經氐人國),이는 염제의 후손이다(乃炎帝之後裔也)。

2 곽박(郭璞)云:「가슴 위로는 사람이고(盡以上人),가슴 아래로는 물고기다(以下魚也)。」원가기록(珂案):저인국 백성은 모두 신화 속 인어의 종류다(氐人國民蓋神話中人魚之類也)。해내북경(海內北經)云:「능어는 사람 얼굴에(陵魚人面),손과 발이 달렸고(手足),물고기 몸이며(魚身),바다 안에 있다(在海中)。」이런 종류(即此之屬)。손과 발을 전부 갖추었는데(唯彼手足俱具),다만 여기에 발만 없다(此獨「발이 없다(無足)」耳)。자세한 설명(說詳) 해내북경(海內北經)「능어(陵魚)」節注。


巴蛇食象,三歲而出其骨,君子服之,無心腹之疾1。

파사가 코끼리를 먹으면, 삼 년 후 그 뼈가 나오고, 학식과 덕망이 높은 사람이 먹으면, 심장병과 뱃병이 없다.


其為蛇青黃赤黑2。

그 뱀은 푸르거나 누렇거나 붉거나 검다.


一曰黑蛇青首3,在犀牛西。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머리가 푸른 검은 뱀이고, 서우 서쪽에 있다.


1 곽박(郭璞)云:「현재 남쪽의 붉은 뱀은 사슴을 삼킨다(今南方蚒蛇(장경(藏經)本作비단구렁이(蟒蛇)——珂)吞鹿),사슴은 이미 부스러졌는데(鹿已爛),자신의 몸 사이로 넣고 배배 꼬아(自絞於樹腹中),뼈를 모두 뚫어 비늘과 껍데기 사이로 나오게 한다(骨皆穿鱗甲間出),이것은 그 종류다(此其類也)。조사(楚詞)曰:『코끼리를 삼킨 뱀이 있는데(有蛇吞象),그것의 크기가 엄청나구나(厥大何如)?』설명한 사람에 따르면 크기가 천 길에 이른다(說者云長千尋)。」학의행(郝懿行)云:「현재(今) 초사(楚詞) 천문(天問)作『한 마리 뱀이 코끼리를 삼켰다(一蛇吞象)』,더불어 곽박의 설명이 다르다(與郭所引異)。왕일(王逸)注引此經作『신령한 뱀이 코끼리를 삼켰다(靈蛇吞象)』,모두 현재 책과 다르다(並與今本異也)。」원가기록(珂案):회남자(淮南子) 본경편(本經篇)云:「예는 동정호에서 수사를 절단 냈다(羿斷修蛇於洞庭)。」노사(路史) 후기(後紀) 십(十)以「수사(修蛇)」作「장사(長它)」,나평(羅苹)注云:「장사는 이른바 파사이고(長它即所謂巴蛇),강악 사이에 있다(在江岳間)。그 무덤은 현재 파릉의 파구이고(其墓今巴陵之巴丘),주치의 옆에 있다(在州治側)。강원기(江源記)(即강기(江記),육조(六朝) 송나라(宋) 유중옹(庾仲雍) 지음(撰)——珂)云:『예는 동정에서 파사를 죽였는데(羿屠巴蛇於洞庭),그 뼈가 언덕 같아서(其骨若陵),파릉이라 한다(曰巴陵也)。』」악양(岳陽) 풍토기(風土記)(송나라(宋) 범치명(范致明) 지음(撰))亦云:「현재 파사의 무덤은 마을 원청 옆에 있고(今巴蛇在州院廳側),우뚝한 모양이 높아서(巍然而高),풀과 나무가 말라 죽는다(草木叢翳)。함께 있는 파사의 사당은(兼有巴蛇廟),악양문 안에 있다(在岳陽門內)。」又云:「상골산(象骨山)。산해경(山海經)云:『파사가 코끼리를 삼켰다(巴蛇吞象)。』이것은 그 뼈까지 가리지 않고 먹는다(暴其骨於此)。산방호를 상골항이라 일컫는다(山旁湖謂之象骨港)。」이것은 모두 이 경문과(是均從此經及)회남자(淮南子) 생겨난 신화에서 억지로 끌어다 붙였다(附會而生出之神話)。무덤이나 사당이 있는 것이나(然而既有冢有廟),산이 있거나 뱃길이 있는 것은(有山有港),확실한 말이며(言之確鑿),이미 오래 전에 백성들 사이에서 널리 퍼져 전해지게 되었다(則知傳播於民間亦已久矣)。

2 원가기록(珂案):그 무늬가 여러 빛깔이 섞여서 아름다운 무늬를 이루어 빛난다는 말이다(言其文采斑爛也)。

3 원가기록(珂案):해내경(海內經)云:「파수산이 있는데(有巴遂山),여기서 승수가 나온다(澠水出焉)。주권국이 있다(又有朱卷之國)。검은 뱀이 있는데(有黑蛇),푸른 머리에(青首),코끼리를 먹는다(食象)。」이것이다(即此)。파는(巴),소전에서 갑골 그림체로 쓰이고(小篆作●),설문해자(說文)十四云:「충이다(蟲也);或曰:코끼리와 뱀을 먹는다(食象蛇)。상형으로 글자를 실물의 형상을 본떠서 만든 방법(象形)。」코끼리의 상태는(則所象者),뱀의 배속으로 들어가 불룩하게 된 모양이다(物在蛇腹彭亨之形)。산해경(山海經) 큰 뱀이 많이 나오는데(多稱大蛇),如북산경(北山經)云:「대함산에(大咸之山),이름이 장사라는 뱀이 있는데(有蛇名曰長蛇),그 털은 멧돼지 털 같고(其毛如彘毫),그 울음소리는 딱따기를 두드리는 소리 같다(其音如鼓柝)。」북차삼경(北次三經)云:「순우봉무산에(錞於毋逢之山),큰 뱀이 있는데(是有大蛇),붉은 머리에 몸은 희며(赤首白身),그 울음소리는 소 같다(其音如牛),만나면 그 마을에 큰 가뭄이 든다(見則其邑大旱)。」이것들은 코끼리를 삼킬 수 있다(是可以「코끼리를 삼킨다(吞象)」矣)。수경(水經)注엽유하(葉榆河)云:「산에 큰 뱀이 많은데(山多大蛇),이름을 염사라 하고(名曰髯蛇),길이는 십 장에(長十丈),둘레는 칠팔 척이고(圍七八尺),항상 나무 위에서 사슴이나 짐승을 노리고 있다(常在樹上伺鹿獸),사슴이나 짐승이 지나가면(鹿獸過),머리를 숙여 휘감는다(便低頭繞之)。금새 사슴이 죽고(有頃鹿死),먼저 적셔서 축축하게 한 다음에(先濡令濕訖),바로 삼킨다(便吞),머리와 뿔과 뻐가 모두 가죽을 뚫고 나온다(頭角骨皆鑽皮出)。산이는 움직이지 않는 때를 처음 보면(山夷始見蛇不動時),바로 큰 대나무로 뱀의 머리에서 꼬리까지 대꼬챙이로 만들어(便以大竹籤籤蛇頭至尾),죽여서 먹었다(殺而食之),유별나서 희귀하다(以為珍異)。」即곽박(郭)注이른바(所謂) 동사(蚒蛇也)。


旄馬,其狀如馬,四節有毛1。

모마는, 그 모양이 말 같고, 다리 관절마다 털이 있다.


在巴蛇西北,高山南。

파사 서북쪽, 고산 남쪽에 있다.


1 곽박(郭璞)云:「목천자전(穆天子傳)이른바(所謂) 호마다(豪馬者)。모우가 있다(亦有旄牛)。」원가기록(珂案):목천자전(穆天子傳)卷四云:「천자의 호마와 호우와 방구와 호양(天子之豪馬、豪牛尨狗豪羊)。」곽박(郭璞)注云:「호는 갈기다(豪猶髦也)。산해경(山海經)云:『모마는 말 같고(髦馬如馬),발의 네 관절(足四節),모두 털이 있다(皆有毛)。』」又注호양(豪羊)云:「모우와 비슷하다(似髦牛)。」모와 모는 옛날에 일반적으로 쓰여 있므(可知旄、髦古通用),모마는 모마다(旄馬即髦馬也)。又모우(旄牛)已見북산경(北山經) 번후산(潘侯之山)。북산경(北山經)云:「번후산에 있는 짐승은(潘侯之山有獸焉),그 모양이 소 같고(其狀如牛),다리 관절마다 털이 나있어(而四節生毛),이름을 모우라 한다(名曰旄牛)。」돈훙산 역시 모우가 있다(敦薨之山亦有旄牛)。



匈奴1、開題之國2、列人之國並在西北3。

흉노와 개제국과 열인국은 모두 서북쪽에 있다.


1 곽박(郭璞)云:「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一曰) 험윤이다(獫狁)。」학의행(郝懿行)云:「(주서(周書) 왕회편(王會篇))이윤(伊尹) 사방령(四方令)云:『북쪽에 흉노(正北匈奴)。』사기(史記) 흉노전(匈奴傳) 색은(索隱)引응소(應劭) 풍속통의(風俗通)云:『은나라 시대에는 훈육이라 하였고(殷時曰獯粥),흉노고 바뀜(改曰匈奴)。』又진작(晉灼)云:『요임금 시대에 훈육(堯時曰葷粥),주나라에서는 험윤(周曰獫狁),진나라에서는 흉노라 했다(秦曰匈奴)。』이미 앞에 세 이름은 모두 하나의 소리로 전해진다(案已上三名並一聲之轉)。」

2 곽박(郭璞)云:「音제(提)。」

3 곽박(郭璞)云:「세 나라 모두 모마 서북쪽에 있다(三國並在旄馬西北)。」

   오승지(吳承志) 산해경(山海經) 지리금석(地理今釋)卷六云:「이 경문의 흉노와 하편의 머릿말 모두 해내북경에 대형이라는 사람이 있다의 앞에 있다(此經(『흉노(匈奴)』節——珂)當與下篇首條並在해내북경(海內北經)『대행백이라는 사람이 있는데(有人曰大行伯)』之上)。흉노와 개제국과 열인국은 모두 서북쪽에 있다는(匈奴、開題之國、列人之國並在西北),서북쪽 구석의 나라들이다(敘西北陬之國),猶해내동경(海內東經)云『거연은 동북쪽 구석에 있다(鉅燕在東北陬)』也。구석이라 말하지 않았는데(不言陬),글을 자세히 살펴야 한다(文有詳省)。이부의 신하는 개제의 서북쪽에 있고(貳負之臣在開題西北),개제는 몽차다(開題即蒙此)。대행백 뒤에 이부시체와 이부의 신하는 서로 오고가다 함께 했다(大行伯下貳負之尸與貳負之臣亦連絡為次)。현재 대행백 앞에 있는 사무산과 서왕모 두 항목은(今大行伯上有『사무산(蛇巫之山)』、『서왕모(西王母)』二條),이에 앞편의 후직의 무덤 다음에 나온 곤륜의 구석 밖 산의 모양이 신의 모양이다라는 글은(乃下(상자의 잘못(上字之訛)——珂)篇『후직의 무덤(后稷之葬)』下敘昆侖隅外山形神狀之文),저것은 잘못 뺀 것(誤脫於彼)。무릉산인(武陵山人) 모음집(雜著)云:『해내서경(海內西經)「동호(東胡)」다음 네 구절에 있는(下四節當在)해내북경(海內北經)「순임금의 아내 등비씨(舜妻登比氏)」구달 뒤이다(節後)。앞 문장은 뒤 문장에서 찾을 수 있고(「동호는 대택 동쪽에 있다(東胡在大澤東)」即蒙上「소명과 촉광은 황하와 대택에 살았다(宵明燭光處河大澤)」之文也)。해내북경(海內北經)「개국(蓋國)」다음 아홉 구절에 있는(下九節當在) 해내동경(海內東經)「거연은 동북쪽 구석에 있다(鉅燕在東北陬)」의 뒤쪽은(之後),앞 문장에서 뒤 문장을 찾을 수 있다(「개국은 거연 남쪽에 있다(蓋國在鉅燕南)」即蒙上「거연(鉅燕)」之文),조선과 봉래 모두 동해에 있고(而朝鮮蓬萊並在東海),진작의 말에 따르면 믿을 수 있다(亦灼然可信也)。해내동경(海內東經)「나라에 유사가 있다(國在流沙)」뒤에 세 구절에 있는(下三節當在)해내서경(海內西經)「유사는 종산에서 나온다(流沙出鍾山)」의 다음이고(節之後),앞에 나온 유사는(上言流沙),여러 나라들에 차례로 나온다(故接敘中外諸國);뒤에 곤륜허와 곤륜산은(下言昆侖墟昆侖山),이어져있다(故繼以「해내곤륜허는 서북쪽에 있다(海內昆侖之墟在西北)」)。맥락이 연관되어 있어(脈絡連貫),의심할 여지가 없다(更無可疑)。세 다락이 서로 잘못되어 모르게 되었는데(不知何時三簡互誤),글의 이치가 끊어졌다 이어졌다 하게 되으로(遂致文理斷續),땅을 어그러지고 어긋나게 보게 되었다(地望乖違)。현재 옮긴 것이 바르면(今移而正之),글의 문장이 조금도 꾸민 데가 없어 자연스럽다(竟似天衣無縫)。』경문을 자세히 살피면(詳審經文),고관광 설명이 가깝다(顧(무릉산인(武陵山人)——珂)說自近)。」원가기록(珂案):경문의 간책은(經文簡策),확실히 많이 문란하고(確多紊亂),오고의 설명이 매우 우수해( 吳顧之說甚精),참고할만하다(足供參考),각각 권의 구절을 자세하게 봐야한다(並詳各卷本節)。

해내남경(海內南經) 원문

산해경/해내남경 2018. 2. 28. 00:00

海內東南陬以西者1。

1 郭璞云:「從南頭起之也。」珂案:郭注「從南頭起之也」應作「從東南頭起之也」。此經方位與海外南經所記方位恰相反。


甌居海中1。閩在海中2,其西北有山。一曰閩中山在海中3。

1 郭璞云:「今臨海永寧縣,即東甌,在岐海中也;音嘔。」王念孫云:「御覽州郡十七(卷一七一)引居作在。」楊慎云:「郭注岐海,海之岐流也,猶云稗海。」郝懿行云:「周書王會篇云:『歐人蟬蛇。』孔晁注云:『東越歐人也。』又云:『且甌文蜃。』注云:『且甌在越。』伊尹四方令云:『正東越漚,正南甌鄧。』疑甌與漚、歐並古字通也。」珂案:甌即東甌,即今浙江省舊溫州府地。又有西甌,即今廣西壯族自治區貴縣地。

2 郭璞云:「閩越即西甌,今建安郡是也,亦在岐海中;音旻。」吳任臣云:「郭璞以建安為西甌,非是。寰宇記:鬱林廢黨州經善勞縣乃古西甌居,非閩也。」郝懿行云:「建安郡故秦閩中郡,見晉書地理志。漢書惠帝紀:『二年,立閩越君搖為東海王。』顏師古注云:『即今泉州是其地。』」珂案:此泉州即今福建省福州。

3 吳任臣云:「何喬遠閩書曰:『按謂之海中者,今閩中地有穿井闢地,多得螺蚌殼、敗槎,知洪荒之世,其山盡在海中,後人乃先後填築之也。』」


三天子鄣山1在閩西海北2。一曰在海中。

1 郭璞云:「音章。」

2 郭璞云:「今在新安歙縣東,今謂之三王山,浙江出其邊也。張氏土地記曰:東陽永康縣南四里有石城山,上有小石城,云黃帝曾遊此,即三天子都也。」郝懿行云:「海內東經云:『三天子都在閩西北。』無海字,此經海字疑衍。」

   珂案:海內東經云:「浙江出三天子都,在蠻(字原作其,據王念孫、郝懿行校改)東,在閩西北,入海,餘暨南。」又云:「廬江出三天子都,入彭澤西。一曰天子鄣。」海內經云:「南海之內,有山名三天子之都。」即此。其地大約在今安徽省境內黟山脈之率山。


桂林八樹1在番隅東2。

1 郝懿行云:「伊尹四方令(見周書王會篇——珂)云:『正南甌鄧桂國。』疑即此。」

2 郭璞云:「八樹而成林,信(宋本、毛扆本作言——珂)其大也。」郝懿行云:「劉昭注郡國志南海郡番禺引此經云:『桂林八樹在賁禺東。』水經水注及文選游天台山賦注引此經並作賁禺。又引郭注云:『八樹成林,言其大也。賁禺音番隅。』今本脫郭音五字,又言訛為信也。然上林賦注及張衡四愁詩注及初學記八卷引此經仍作番禺,蓋古有二本也。初學記引南越志云:『番禺縣有番禺二山,因以為名。』水經水注又云:『縣有番山,名番禺,謂番山之禺也。』」


伯慮國1、離耳國2、雕題國3、北朐國4皆在鬱水南。鬱水出湘陵南海5。一曰相慮6。

1 郭璞云:「未詳。」郝懿行云:「伊尹四方令云:『正東伊慮。』疑即此。」

2 郭璞云:「鎪離其耳,分令下垂以為飾,即儋耳也。在朱崖海渚中。不食五穀,但噉蚌及藷藇也。」郝懿行云:「伊尹四方令云:『正西離耳。』郭云即儋耳者,此南儋耳也。又有北儋耳,見大荒北經(珂案:大荒北經云:『有儋耳之國,任姓,禺號子,食穀』)。儋當為聸。說文(十二)云:『聸,垂耳也;從耳,詹聲。南方聸耳之國。』」

3 郭璞云:「點(藏經本作黔,孫星衍亦校黔,是也——珂)涅其面,畫體為鱗采,即鮫人也。」郝懿行云:「伊尹四方令云:『正西雕題。』楚詞招魂王逸注云:『雕畫題,言南極之人,雕畫其,常食蠃也。』桂海虞衡志云:『黎人女及笄,即黥頰為細花紋,謂之繡面女。』亦其類也。郭云即鮫人,恐非,或有訛字。鮫人見劉逵吳都賦注。」珂案:鮫人乃人魚,見海內北經「陵魚」節注,此雕題國人固非鮫人也。

4 郭璞云:「音劬;未詳。」郝懿行云:「疑即北戶也。爾雅疏引此經作北煦,戶、煦聲之轉。爾雅釋地四荒有北戶,郭注云:北戶在南。」

5 珂案:經文鬱水,文選四子講德論李善注引作鬱林;南海,宋本、吳寬抄本、毛扆本、明藏本均作南山。

6 畢沅云:「相字當為柏字,伯慮一作柏慮也。」


梟陽國1在北朐之西,其為人2人面長脣,黑身有毛,反踵,見人笑亦笑3;左手操管4。

1 郝懿行云:「揚雄羽獵賦、淮南氾論訓並作嘄陽,左思吳都賦作梟羊,說文(十四)作梟陽。」

2 郝懿行云:「郭注爾雅(釋獸)狒狒引此經作其狀如人。」

3 郝懿行云:「郭注爾雅狒狒引此經云見人則笑。劉逵注吳都賦引此經與爾雅注同。高誘注淮南氾論訓亦云:『嘄陽山精,見人而笑。』是古本並如此。且此物唯喜自笑,非見人笑方亦笑也。故吳都賦云:『巢巢[果改禺]笑而被格。』劉逵注引異物志云:『梟羊善食人,大口。其初得人,喜笑,則脣上覆,移時而後食之。人因為筒貫於臂上,待執人,人即抽手從筒中出,鑿其脣於而得擒之。』是其笑惟自笑,不因人笑之證。以此參校,可知今本為非矣。其云為筒貫臂,正與此經左手操管合。」珂案:郝說是也。王念孫校同郝注。御覽卷九0八引山海經云:「巢巢[果改禺]……見人則笑。」引圖讚亦云:「巢巢[果改禺]怪獸,被髮操竹;獲人則笑,脣蓋其目;終亦號咷,反為我戮。」足證古本此經實作見人則笑。

4 郭璞云:「周書曰:『州靡者,人身反踵,自笑,笑則上脣掩其面。』爾雅(何焯校增「亦」字——珂)云。大傳曰:『周書成王時州靡國獻之。』海內經謂之贛巨人。今交州(孫星衍校改州作阯——珂)南康郡深山中皆有此物也。長丈許,腳跟反向,健走,被髮,好笑;雌者能作汁,灑中人即病:土俗呼為山都。南康今有贛水,以有此人,因以名水。猶大荒(大荒南經)說地有蜮人,人因號其山為蜮山,亦此類也。」郝懿行云:「周書王會篇作州靡費費,郭引作,說文(十四)引作●●,蓋所見本異也。又所引爾雅(釋獸)當為狒狒。」

   珂案:海內經云:「南方有贛巨人,人面長脣,黑身有毛,反踵,見人則笑,脣蔽其目,因可逃也(長脣原作長臂,則原作笑亦,目原作面,可原作即,從王郝諸家校改)。」即此。周書王會篇云:「州靡費費,其形人身反踵,自笑,笑則上脣翕其目,食人;北方謂之吐嘍。」是郭注所引也。孔晁注:「州靡,北狄也;費費曰梟羊,好立,行如人,前足指長。」費費即、狒狒,猿猴之類也。又名山。山海經北山經云:「獄法之山,有獸焉,其狀如犬而人面,善投,見人則笑,其名山,其行如風,見則天下大風。」亦名山●。神異經西荒經云:「西方深山中有人焉,身長尺餘,袒身捕蝦蟹,性不畏人。見人止宿,暮依其火以炙蝦蟹。伺人不在而盜人鹽,以食蝦蟹,名曰山臊(●),其音自叫。人嘗以竹著火中,爆烞而出,臊皆驚憚。犯之令人寒熱。此雖人形而變化,然亦鬼魅之類,今所在山中皆有之。」荊楚歲時記亦云:「正月一日,鳴而起,先於庭前爆竹,以辟山臊惡鬼。」謂此也。亦名山都。祖沖之述異記云:「南康有神,名曰山都,形如人,長二尺餘,黑色,赤目,髮黃被身。於深山樹中作窠,窠形如堅鳥卵,高三尺許。此神能變化隱身,罕睹其狀,蓋木客、山●之類也。」(古小說鉤沉輯)均已從普通猿猴類動物演變而為神異之物。其尤甚者,乃至轉化而為一種能為妖異之鳥。搜神記卷十二云:「越地深山中有鳥,大如鳩,青色,名曰『冶鳥』,穿大樹作窠,如五六升器。若有穢惡及其所止者,則有虎通夕來守,人不去,便傷害人。時有觀樂者,便作人形,長三尺,至澗中取石蟹,就人炙之,人不可犯也。」然韋昭注國語(魯語),乃以為山●者,即古一足之夔,云:「夔一足,越人謂之山繰(●),人面猴身,能言。」抱朴子登涉篇亦云:「山中山精之形如小兒,而獨足,足向後,喜來犯人。人入山谷,夜聞其音聲笑語,其名曰蚑,知而呼之,即不敢犯人也。又有山精如鼓,赤色,亦一足,其名曰暉(足向後原作走向後,人入山谷原作人入山若,據御覽卷八八六引改)。」所謂蚑或暉之山精亦一足之夔也。然夔古傳乃為牛形(大荒東經),或為龍軀(說文五),至此而又或為鳥體,或為猴軀,或作人形:亦知神話傳說之錯綜複雜,演變無定也。唐段成式酉陽雜俎諾皋記下云:「山蕭一名山臊,神異經作●,永嘉郡記作山魅,一名山駱,一名蛟,一名濯肉,一名熱肉,一名暉,一名飛龍。如鳩,青色,一名冶鳥。巢大如五斗器,飾以土堊,赤白相見(閒),狀如射侯,犯者能役虎害人,燒人廬舍。俗言山魈。」其名暉者,也,山也,夔之音轉也;名蛟者,●之音轉或蚑之訛文也:山●名目之大凡見於此矣。


兕在舜葬東,湘水南1,其狀如牛,蒼黑,一角2。

1 郝懿行云:「皆說圖畫如此。」

2 珂案:南次三經云:「禱過之山,其下多犀、兕。」郭璞注:「犀似水牛。兕亦似水牛,青色,一角,重三千斤。」謂此也。「三」字衍(爾雅釋獸郭注同此注,無「三」字)。初學記卷七引竹書紀年云:「周昭王十六年,伐楚荊,涉漢,遇大兕。」古代中國南方,固有此兇猛之動物也。


蒼梧之山,帝舜葬于陽1,帝丹朱葬于陰2。

1 郭璞云:「即九疑山也。禮記(檀弓上)亦曰:『舜葬蒼梧之野。』」珂案:海內經云:「南方蒼梧之丘,蒼梧之淵,其中有九嶷山,舜之所葬,在長沙零陵界中。」即郭注所本也。此云「帝丹朱葬於陰」,大荒南經則云:「赤水之東,有蒼梧之野,舜與叔均之所葬也。」郭璞注:「叔均,商均也,舜巡狩,死於蒼梧而葬之,商均因留,死亦葬焉,墓在今九疑之中。」或為堯子丹朱,或為舜子商均,要皆傳聞不同而異其辭耳。關於舜之神話,見海內經「蒼梧丘」節注2。

2 郭璞云:「今丹陽(宋本丹陽下有縣字——珂)復有丹朱冢也。竹書亦曰:『后稷放帝朱于丹水。』與此義符。丹朱稱帝者,猶漢山陽公死加獻帝之謚(毛扆本作諡——珂)也。」珂案:有關丹朱之神話傳說,已多佚亡,蒐尋諸書所記,略得梗概如次。世本(張澍集補注本)云:「堯取散宜氏之子,謂之女皇。女皇生丹朱。」書益稷云:「無若丹朱傲,惟慢遊是好,傲虐是作,罔晝夜,罔水行舟,朋淫于家,用殄厥世。」世本(張澍集補注本)云:「堯造圍棋,丹朱善之。」金樓子興王篇亦云:「堯教丹朱,以文桑為局,犀象為子。」太平御覽卷六三引尚書逸篇云:「堯子不肖,舜使居丹淵為諸侯,故號丹朱。」山海經海外南經郭璞注云:「昔堯以天下讓舜,三苗之君非之,有苗之民,叛入南海,為三苗國。」漢學堂叢書輯六韜云:「堯與有苗戰於丹水之浦。」呂氏春秋召類篇云:「堯戰於丹水之浦以服南蠻。」苗、蠻一聲之轉,服南蠻即戰有苗也。而丹水之浦,又丹朱放逐之地,堯與黨丹朱之有苗戰於丹水,則丹朱與有苗之關係可想而見矣。故莊子盜跖稱「堯不慈」,又稱「堯殺長子」,長子者,丹朱也(見呂氏春秋去私篇高誘注及史記五帝本紀正義),堯殺丹朱,當是戰丹水、服南蠻之結果也。山海經海外南經云:「讙頭國在其南,其為人人面,有翼,鳥喙,方捕魚。……或曰讙朱國。」郭璞注云:「讙兜堯臣,有罪,自投南海而死,帝憐之,使其子居南海而祠之。畫亦似仙人也。」據近人研究,讙頭、讙兜及讙朱,皆丹朱一名之異稱。郭注所謂「讙兜堯臣」者,實丹朱堯子也,所謂「有罪,自投南海而死」者,丹朱兵敗,自以為「有罪」,因「自投南海而死」,蓋丹朱結局之另一傳說也。「帝憐之,使其子居南海而祠之」者,丹朱妻子本隨丹朱敗逃南海,丹朱死後,亦居南海勿去,其後子孫繁衍成國,遂為此讙頭國或讙朱國,蓋赦而勿究之意也。南次二經云:「柜山有鳥焉,其狀如鴟而人手,其音如痺,其名曰鴸,其名自號也,見則其縣多放士。」此如鴟之異鳥鴸,或即敗死丹朱之所化。陶潛讀山海經詩謂為「鵃鵝」。吳任臣云:「或云當為鴅鴸。」(見海外南經「讙頭國」節注)為鴅鴸正是也。神話有丹朱化鳥之異聞,故傳說亦稱繁衍而成讙頭國之丹朱子孫「人面、有翼、鳥喙,方捕魚」也。此云「帝丹朱葬于陰」者,丹朱而稱「帝」,且與舜同葬蒼梧,蓋亦野老負暄之言,於失敗之丹朱猶寄有同情之意也。


氾林1方三百里,在狌狌東2。

1 珂案:見海外南經「狄山」節注13。

2 郭璞云:「或作猩猩,字同耳。」珂案:海內經云:「有青獸,人面,名曰猩猩。」即此。


狌狌1知人名2,其為獸如豕而人面3,在舜葬西。

1 珂案:南山經云:「招搖之山,有獸焉,其狀如禺而白耳,伏行人走,其名曰狌狌,食之善走。」亦此狌狌傳說之異聞也。

2 珂案:淮南子氾論篇云:「猩猩知而不知來。」高誘注云:「猩猩,北方獸名,人面,獸身,黃色。禮記(曲禮上)曰:『猩猩能言,不離走(今本作禽——珂)獸。』見人狂走,則知人姓字:此知往也。又嗜酒,人以酒搏之,飲而不耐息,不知當醉,以禽其身,故曰不知來也。」後漢書西南夷傳云:「哀牢出猩猩。」李賢注引南中志云:「猩猩在此谷中,行無常路,百數為群。土人以酒若糟,設於路。又喜屩子,土人織草為屩,數十量相連結。猩猩在山谷,見酒及屩,知其設張者,即知張者先祖名字。乃呼其名而罵云:『奴欲張我!』捨之而去。去而又還,相呼試共嘗酒。初嘗少許,又取屩子著之。若進兩三升,便大醉。人出收之,屩子相連不得去,執還內牢中。人欲取者,到牢邊語云:『猩猩汝可自相推肥者出之。』竟相對而泣。」此所謂「狌狌知人名」也。

3 郭璞云:「周書(王會篇)曰:『鄭郭狌狌(今本作都郭生生——珂)者,狀如黃狗而人面(今本作若黃狗人面能言——珂)。』頭如雄雞,食之不眯(上二語係王會篇說奇幹善芳詞而誤入郭注者,係衍文——珂)。今交州(州,宋本、毛扆本作趾,藏經本作阯,孫星衍、郝懿行均校阯——珂)封谿出狌狌,土俗人說云,狀如豚而腹(宋本、藏經本作復,郝懿行云:一本作後——珂)似狗,聲如小兒啼也。」珂案:水經注葉榆河云:「(封溪)縣有猩猩獸,形若黃狗,又狀貆●。人面,頭顏端正,善與人言,音聲麗妙,如婦人好女。對語交言,聞之無不酸楚。其肉甘美,可以斷穀,窮年不厭。」謂此也。


狌狌西北有犀牛,其狀如牛而黑1。

1 郭璞云:「犀牛似水牛,豬頭,在狌狌知人名之西北,庳腳,三角。」珂案:在狌狌知人名之西北九字,王念孫校衍,是也。南次三經云:「禱過之山,其下多犀。」郭璞注云:「犀似水牛,豬頭,庳腳,腳似象,有三,大腹,黑色。三角:一在頂上,一在額上,一在鼻上;在鼻上者,小而不墮,食角也。好噉棘,口中常灑血沫。」可以為此注補充。


夏后啟之臣曰孟涂1,是司神于巴2,人請訟于孟涂之所3,其衣有血者乃執之4,是請生5。居山上;在丹山西。丹山在丹陽南,丹陽居屬也6。

1 郝懿行云:「水經江水注引此經作血涂,太平御覽六百三十九卷作孟余或孟徐。」珂案:今本水經注仍作孟涂。影宋本御覽作孟徐,徐蓋涂之訛也。

2 郭璞云:「聽其獄訟,為之神主。」

3 郭璞云:「令斷之也。」珂案:「水經注江水引此經作「是司神于巴,巴人訟于孟涂之所」,多巴字,無請字。影宋本御覽六三九亦無請字。今本請字衍,巴字脫。

4 郭璞云:「不直者則血見於衣。」

5 郭璞云:「言好生也。」

6 郭璞云:「今建平郡丹陽城秭歸縣東七里,即孟涂所居也。」郝懿行云:「晉書地理志建平郡有秭歸,無丹陽,其丹陽屬丹陽郡也。水經注(江水)引郭景純云:『丹山在丹陽,屬巴。』是此經十一字(謂『丹山在丹陽南,丹陽居屬也』十一字——珂)乃郭注之文,酈氏節引之,寫書者誤作經文耳。居屬又巴屬字之訛。」珂案:路史後紀十三注:「丹山之西即孟涂之所埋也。丹山乃今巫山。」巫山縣志卷十七云:「孟涂祠在縣南巫山下。」


窫窳1龍首2,居弱水中,在狌狌知人名3之西,其狀如龍首,食人4。

1 郭璞云:「窫窳,本蛇身人面,為貳負臣所殺,復化而成此物也。」珂案:海內西經云:「貳負之臣曰危,危與貳負殺窫窳,帝乃梏之疏屬之山,桎其右足,反縛兩手(原作反縛兩手與髮,與髮二字衍,從王念孫、郝懿行校刪),繫之山上木。在開題西北。」又云:「開明東有巫彭、巫抵、巫陽、巫履、巫凡、巫相,夾窫窳之尸,皆操不死之藥以距之。窫窳者,蛇身人面,貳負臣所殺也。」郭云「復化而成此物」者,原本蛇身人面之天神(古天神多蛇身人面)窫窳,被殺而治活後,復化而成此怪物也。

2 珂案:此龍首二字疑涉下龍首二字而衍。

3 王念孫云:「知人名三字疑衍。」

4 郝懿行云:「劉逵注吳都賦引此經云:『南海之外,有猰貐,狀如貙,龍首,食人。』蓋參引爾雅之文。爾雅(釋獸)云:『猰貐類貙。』以引此經,則誤矣。窫窳形狀,又見海內西經。又北山經少咸之山說窫窳形狀,復與此異。」珂案:據吳都賦劉逵注引此經,「其狀如」下,當有「貙」字,「狀如龍首」,則不詞矣。郝懿行謂「參引爾雅之文」,非是;毋寧謂爾雅據經文之為愈也。至於北山經云:「少咸之山有獸焉,其狀如牛而赤身,人面馬足,名曰窫窳,其音如嬰兒,是食人。」「形狀復與此異」者,亦傳聞不同而異辭耳。


有木,其狀如牛1,引之有皮,若纓、黃蛇2。其葉如羅3,其實如欒4,其木若蓲5,其名曰建木6。在窫窳西弱水7上。

1 郭璞云:「河圖玉版說,芝草樹生,或如車馬,或如龍蛇之狀,亦此類也。」珂案:郭注「芝草樹生」,藏經本樹作橫。

2 郭璞云:「言牽之皮剝如人冠纓及黃蛇狀也。」

3 郭璞云:「如綾羅也。」郝懿行云:「郭說非也。上世淳朴,無綾羅之名,疑當為網羅也。淮南氾論訓云:『伯余之初作衣也,緂麻索縷,手經指挂,其成猶網羅。』是綾羅之名,非上古所有,審矣。又楊檖一名羅,見爾雅(釋木),吳氏(任臣)云。」

4 郭璞云:「欒,木名,黃本,赤枝,青葉,生雲雨山;或作卵,或作麻,音鑾。」珂案:大荒南經云:「大荒之中,有雲雨之山,有木名曰欒。禹攻雲雨,有赤石焉生欒。黃本,赤枝,青葉,群帝焉取藥。」即郭注所說也。楊慎云:「欒借作丸,謂圓如鳥彈也。」亦可供參考。

5 郭璞云:「蓲亦木名,未詳。」郝懿行云:「蓲,刺榆也。爾雅(釋木)云:『櫙,荎。』郭注引詩云:山有蓲,今之刺榆也。」珂案:郭注僅云:「今之刺榆也。」詩「山有蓲」是釋文所引。

6 郭璞云:「建木青葉,紫莖,黑華,黃實,其下聲無響,立無影也。」珂案:海內經云:「南海之內(內原作外,據宋本改),黑水青水之閒,有九丘,以水絡之,名曰陶唐之丘、有(有字疑衍)叔得之丘、孟盈之丘、昆吾之丘、黑白之丘、赤望之丘、參衛之丘、武夫之丘、神民之丘。有木,青葉,紫莖,玄華,黃實,名曰建木,百仞無枝。上(上字原無,據王念孫、郝懿行校增)有九欘,下有九枸。其實如麻,其葉如芒。大爰過,黃帝所為。」淮南子墬形篇云:「建木在都廣,眾帝所自上下,日中無景,呼而無響,蓋天地之中也。」是郭注之所本。建木既「大爰過,黃帝所為」,又為「眾帝所自上下」,蓋天梯也(說詳海內經「九丘建木」節注)。

7 珂案:古小說鉤沈輯玄中記云:「天下之弱者,有崑崙之弱水焉,鴻毛不能起也。」弱水之名「弱」者以此。


氐人國1在建木西,其為人人面而魚身,無足2。

1 郭璞云:「音觸抵之抵。」珂案:大荒西經云:「有互人之國。炎帝之孫,名曰靈恝,靈恝生互人,是能上下于天。」郭注:「人面魚身。」郝懿行云:「互人國即海內南經氐人國,氐、互二字,蓋以形近而訛,以俗氐正作互字也。」王念孫、孫星衍均校改互為氐,是大荒西經互人國即此經氐人國,乃炎帝之後裔也。

2 郭璞云:「盡以上人,以下魚也。」珂案:氐人國民蓋神話中人魚之類也。海內北經云:「陵魚人面,手足,魚身,在海中。」即此之屬。唯彼手足俱具,此獨「無足」耳。說詳海內北經「陵魚」節注。


巴蛇食象,三歲而出其骨,君子服之,無心腹之疾1。其為蛇青黃赤黑2。一曰黑蛇青首3,在犀牛西。

1 郭璞云:「今南方[虫丹]蛇(藏經本作蟒蛇——珂)吞鹿,鹿已爛,自絞於樹腹中,骨皆穿鱗甲間出,此其類也。楚詞曰:『有蛇吞象,厥大何如?』說者云長千尋。」郝懿行云:「今楚詞天問作『一蛇吞象』,與郭所引異。王逸注引此經作『靈蛇吞象』,並與今本異也。」珂案:淮南子本經篇云:「羿斷修蛇於洞庭。」路史後紀十以「修蛇」作「長它」,羅苹注云:「長它即所謂巴蛇,在江岳間。其墓今巴陵之巴丘,在州治側。江源記(即江記,六朝宋庾仲雍撰——珂)云:『羿屠巴蛇於洞庭,其骨若陵,曰巴陵也。』」岳陽風土記(宋范致明撰)亦云:「今巴蛇在州院廳側,巍然而高,草木叢翳。兼有巴蛇廟,在岳陽門內。」又云:「象骨山。山海經云:『巴蛇吞象。』暴其骨於此。山旁湖謂之象骨港。」是均從此經及淮南子附會而生出之神話。然而既有冢有廟,有山有港,言之確鑿,則知傳播於民間亦已久矣。

2 珂案:言其文采斑爛也。

3 珂案:海內經云:「有巴遂山,澠水出焉。又有朱卷之國。有黑蛇,青首,食象。」即此。巴,小篆作●,說文十四云:「蟲也;或曰:食象蛇。象形。」則所象者,物在蛇腹彭亨之形。山海經多稱大蛇,如北山經云:「大咸之山,有蛇名曰長蛇,其毛如彘毫,其音如鼓柝。」北次三經云:「錞於毋逢之山,是有大蛇,赤首白身,其音如牛,見則其邑大旱。」是可以「吞象」矣。水經注葉榆河云:「山多大蛇,名曰髯蛇,長十丈,圍七八尺,常在樹上伺鹿獸,鹿獸過,便低頭繞之。有頃鹿死,先濡令濕訖,便吞,頭角骨皆鑽皮出。山夷始見蛇不動時,便以大竹籤籤蛇頭至尾,殺而食之,以為珍異。」即郭注所謂[虫丹]蛇也。


旄馬,其狀如馬,四節有毛1。在巴蛇西北,高山南。

1 郭璞云:「穆天子傳所謂豪馬者。亦有旄牛。」珂案:穆天子傳卷四云:「天子之豪馬、豪牛……豪羊。」郭璞注云:「豪猶髦也。山海經云:『髦馬如馬,足四節,皆有毛。』」又注豪羊云:「似髦牛。」可知旄、髦古通用,旄馬即髦馬也。又旄牛已見北山經潘侯之山。北山經云:「潘侯之山有獸焉,其狀如牛,而四節生毛,名曰旄牛。」敦薨之山亦有旄牛。


匈奴1、開題之國2、列人之國並在西北3。

1 郭璞云:「一曰獫狁。」郝懿行云:「(周書王會篇)伊尹四方令云:『正北匈奴。』史記匈奴傳索隱引應劭風俗通云:『殷時曰獯粥,改曰匈奴。』又晉灼云:『堯時曰葷粥,周曰獫狁,秦曰匈奴。』案已上三名並一聲之轉。」

2 郭璞云:「音提。」

3 郭璞云:「三國並在旄馬西北。」

   吳承志山海經地理今釋卷六云:「此經(『匈奴』節——珂)當與下篇首條並在海內北經『有人曰大行伯』之上。匈奴、開題之國、列人之國並在西北,敘西北陬之國,猶海內東經云『鉅燕在東北陬』也。不言陬,文有詳省。貳負之臣在開題西北,開題即蒙此。大行伯下貳負之尸與貳負之臣亦連絡為次。今大行伯上有『蛇巫之山』、『西王母』二條,乃下(上字之訛——珂)篇『后稷之葬』下敘昆侖隅外山形神狀之文,誤脫於彼。武陵山人雜著云:『海內西經「東胡」下四節當在海內北經「舜妻登比氏」節後。「東胡在大澤東」即蒙上「宵明燭光處河大澤」之文也。海內北經「蓋國」下九節當在海內東經「鉅燕在東北陬」之後,「蓋國在鉅燕南」即蒙上「鉅燕」之文,而朝鮮蓬萊並在東海,亦灼然可信也。海內東經「國在流沙」下三節當在海內西經「流沙出鍾山」節之後,上言流沙,故接敘中外諸國;下言昆侖墟昆侖山,故繼以「海內昆侖之墟在西北」。脈絡連貫,更無可疑。不知何時三簡互誤,遂致文理斷續,地望乖違。今移而正之,竟似天衣無縫。』詳審經文,顧(武陵山人——珂)說自近。」珂案:經文簡策,確多紊亂,吳顧之說甚精,足供參考,並詳各卷本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