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황남경(大荒南經) 번역

산해경/대황남경 2018. 2. 28. 00:00

南海之外,赤水之西,流沙之東1,有獸,左右有首2,名曰踢3。

남해의 밖, 적수의 서쪽, 사막의 동쪽에, 짐승이 있는데, 왼쪽과 오른쪽에 머리가 있고, 이름을 출척이라 한다.


有三青獸相并,名曰雙雙4。

세 마리 푸른 짐승이 함께 돌아다니는데, 이름을 쌍쌍이라 한다.


1 곽박(郭璞)云:「적수는 곤륜산에서 나오고(赤水出昆侖山),유사는 종산에서 나온다(流沙出鍾山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적수는 곤륜산에서 나오고(赤水出昆侖山),유사는 종산에서 나온다(流沙出鍾山)」,모두(俱)見해내서경(海內西經)。

2 학의행(郝懿行)云:「병봉은 앞 뒤로 모두 머리가 있는데(并封前後有首),이 왼쪽과 오른쪽에 머리가 있다는(此左右有首),병봉과 같지 않다(所以不同并封),見해외서경(海外西經)。然대황서경(大荒西經)之병봉(屏蓬)即병봉(并逢)也,왼쪽과 오른쪽에 머리가 있다(亦云左右有首)。」원가기록(珂案):此「왼쪽과 오른쪽에 머리가 있다(左右有首)」之출척(踢),병봉의 종류다(亦并封之類也),암컷과 수컷이 서로 결합한 모양의 짐승이고(蓋獸牝牡相合之象),說已見해외서경(海外西經)「병봉(并封)」節注。

3 곽박(郭璞)云:「염명국에서 나타난다(出𤟇名國);출척(黜惕)兩音。」학의행(郝懿行)云:「염명국은 있는 곳이 자세하지 않음(𤟇名國未詳所在),경문 안에 있은 것으로 의심(疑本在經內),현재 사라짐(今逸也)。」필원(畢沅)云:「여씨춘추(呂氏春秋) 본미편(本味篇)云:『이윤(伊尹)曰:「맛있는 고기는(肉之美者),성성의 입술(猩猩之唇),환환의 발바닥(獾獾之炙),준연의 꽁지살(雋觾之翠),술탕의 팔뚝(述蕩之掔),긴 털을 가진 코끼리의 코(旄象之约)。」』고유(高誘)注曰:『짐승 이름이고(獸名),모양은 아직 듣지 못함(形則未聞)。』案即是此也。술탕이 잘못되어 출척으로 쓰여 있고(又案踢當為述蕩之誤),전문의 착과 족이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篆文、足相似),엉망이다(故亂之)。」원가기록(珂案):과는 필원의 설명과 같고(果如畢說),술탕은 출척이 잘못된 것이다(或述蕩是踢之訛),아직 알 수 없다(亦未可知)。

4 곽박(郭璞)云:「몸이 합처져 하나로 되었다(言體合為一也)。공양전(公羊傳)所云:쌍쌍은 함께 하는 것이고(雙雙而俱至者),이를 일컫는다(蓋謂此也)。」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引 선제 오년 전문(宣五年傳文)也。양사훈소(楊士勛疏)引옛 설명(舊說)云:『쌍쌍조는(雙雙之鳥),하나의 몸에 머리가 두 개이고(一身二首),교미하는 암컷과 수컷은(尾有雌雄),짝을 지으땐 편한 것을 따른다(隨便而偶);늘 떨어지는 것은 아니라(常不離散),설명한다(故以喻焉)。』이 쌍쌍은 새의 이름이 되었고(是以雙雙為鳥名),곽박의 설명과 다르다(與郭異也)。」원가기록(珂案):쌍쌍수는(雙雙之獸(또는 조(或鳥))),병봉의 종류다(亦并封之類也)。쌍쌍을 일컬어(然雙雙而謂)「세 마리 푸른 짐승이 함께 돌아다닌다(三青獸相并)」자세하지 않다(則所未詳)。대황동경(大荒東經)所謂「삼청마(三青馬)」、「삼청조(三青鳥)」、「삼추(三騅)」,역시 쌍쌍의 종류로 의심(疑亦雙雙之類也)。


有阿山者。

아산이 있다.


南海之中,有氾天之山,赤水窮焉1。

남해 안에, 범천산이 있는데, 여기서 적수가 끝난다.


赤水之東,有2蒼梧之野,舜與叔均之所葬也3。

적수의 동쪽에, 창오의 들이 있는데, 순 임금과 숙균이 묻힌 곳이다.


爰有文貝4、離俞5、𩿨久6、鷹、賈7、委維8、熊、羆、象、虎、豹、狼、視肉。

여기에는 문패와 이유와 시구와 매와 메까마귀와 위유와 곰과 말곰과 코끼리와 범과 표범과 이리와 시육이 있다.


1 곽박(郭璞)云:「이 산에서 흐름에 끝이 이른다(流極於此山也)。」원가기록(珂案):서차삼경(西次三經)云:「곤륜구에서(昆侖之丘),적수가 나오고(赤水出焉),동남쪽으로 흘러 범천수로 들어간다(而東南流注於氾天之水)。」即此。

2 학의행(郝懿行)云:「예무유취(藝文類聚)八十四卷及태평어람(太平御覽)五百五十五卷並引이 경무에는 유자가 없다(此經無有字)。」

3 곽박(郭璞)云:「숙균은(叔均),상균이다(商均也)。순임금은 나라 안을 두루 보살피며 돌아다녔고(舜巡狩),죽어서는 창오에 묻혔으며(死於蒼梧而葬之),상균도 머물다가(商均因留),죽어서 여기에 묻혔다(死亦葬焉)。무덤은 현재 구의 안에 있다(基在今九疑之中)。」학의행(郝懿行)云:「해내남경(海內南經)既云『창오산(蒼梧之山),산 남쪽에 순임금이 묻혔고(帝舜葬於陽),산 북쪽에 제단주가 묻혔다(帝丹朱葬於陰)』,此又云『순임금과 숙균이 묻힌 곳이다(舜與叔均之所葬)』,주와 균 두 사람은 모두 여기에 묻혔는가(將朱、均二人皆於此焉堋邪)?又곽박(郭)云숙균이(叔均),상균(商均);순임금의 자식이 되었다(蓋以為舜之子也)。순임금의 자식 이름은 의균이고(然舜子名義鈞),상에 봉해졌으며(封於商),見죽서기년(竹書紀年)(현재 책(今本)——珂),이름이 숙균이 아니다(不名叔均)。而대황서경(大荒西經) 숙균이 있는데(有叔均),직의 동생 태새의 자식으로 되어있고(為稷弟台璽之子),해내경(海內經)又숙균이 있는데(有叔均),직의 손자로 되어있다(為稷之孫),이 말을 미루어 보면(準斯以言),이 경문의 숙균은(此經叔均),어떤 사람인지 알 수 없다(蓋未審為何人也)。곽박(郭_)云:『무덤은 현재 구의 안에 있다(基在今九疑之中)。』기는 묘자가 잘못된 것이다(基當為墓字之訛)。태평어람(御覽)五百五十五卷引此注作『현재 무덤은 구의 안에 있다(墓今在九疑山中)』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무덤은 현재 구의 안에 있다(基在今九疑之中)」,왕념손(王念孫)亦校기를 터로 썼다(基作墓)。又云:「서경(西經)(대황서경(大荒西經))云:『직의 동생 태새는 숙균을 낳았다(稷之弟台璽生叔均)。』이 숙균은 상균이 아니다(是叔均非商均也)。해내경(海內經)云:『직의 손자는 숙균이라 한다(稷之孫曰叔均)。』」이 왕염손과 학의행 모두 곽박이 설명한 숙균은 상균이 아니다라 하였다(是王、郝俱不以郭注叔均即商均為然)。그러나 이 숙균은(然此叔均),확실히 상균이 맞다고 보이며(實是商均),숙과 상은 하나의 소리로 전해진다(叔、商一聲之轉)。순임금과 함께 묻혔다고 할 수 있는데(能與舜同葬),순임금의 자식이 상균이 아니라 할 수 없다(非舜子商均不足當之)。순임금과 상균은 함께 창오에 묻혔고(舜與商均同葬蒼梧),모두 다른 전설이 널리 알려졌다해도 무방하다(並無礙於해내남경(海內南經)所云「창오산(蒼梧之山),산 남쪽에 순임금이 묻혔고(帝舜葬於陽),산 북쪽에 제단주가 묻혔다(帝丹朱葬於陰)」之不同傳說之流播)。학의행(郝)云「주와 균 두 사람은 모두 여기에 묻혔는가(將朱、均二人皆於此焉堋)」,어긋난 것을 바로잡은 것이라 할 수 있다(未免失之拘矣)。숙균 또는 직의 동생 태새의 자식 혹은 직의 손자라 일컫는데(至叔均又謂是稷弟台璽之子或謂是稷之孫者),더욱이 신화전설이 여러 가지가 뒤섞여 모여 혼란하고 일치하지 않아 정해지지 않았고(尤見神話傳說之錯綜紛歧無定),이것이 한 가지로부터 나오는 것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是書非出自一手),전해들은 것을 각각 기록하였기에(蓋各記其所傳聞),다르다 할 수 있다(不足異也)。

4 곽박(郭璞)云:「即자패(紫貝)也。」원가기록(珂案):이아(爾雅) 석어(釋魚) 곽박(郭璞)注云:「현재 자패는(今之紫貝),자주빛 바탕에(以紫為質),검은 점 무늬가 있다(黑為文點)。」即此。

5 곽박(郭璞)云:「即이주(離朱)。」원가기록(珂案):이주(離朱)已見해외남경(海外南經)「적산(狄山)」節。

6 곽박(郭璞)云:「即부엉이(鵂鶹)也。」원가기록(珂案):經文구구(𩿨久)已見해외남경(海外南經)「적산(狄山)」節。

7 곽박(郭璞)云:「가 역시 매의 종류(賈亦鷹屬)。」학의행(郝懿行)云:「수경(水經) 루수(水)注引장자(莊子)曰:『아는(雅),가다(賈)。』마융(馬融)亦曰:『가는(賈),까마귀다(烏)。』(亦루수(水)注引——珂)모두 까마귀의 종류(皆烏類),곽박의 뜻이 틀렸다(非郭義也)。」

8 곽박(郭璞)云:「即위사(委蛇)也。」원가기록(珂案):해내경(海內經)云:「남쪽에 있는 사람을 묘민이라 한다(南方有人曰苗民)。여기에 신이 있는데(有神焉),사람 얼굴에 뱀의 몸이고(人面蛇身),키는 관청의 바깥문 같고(長如轅),왼쪽과 오른쪽에 머리가 있으며(左右有首),자줏빛 옷을 입고(衣紫衣),깃 달린 갓을 쓰고 있다(冠旃冠),이름을 연유라 한다(名曰延維)。임금에게 잔치를 대접하면(人主得而饗食之,온 세상의 주인이 된다(伯天下)。」곽박(郭)於「연유(延維)」下注云「위사(委蛇)」,이 연유가 위유다(是延維亦即此委維也)。위사신화는 위유과 관계가 있고(有關委維即委蛇之神話),詳해내경(海內經)「묘민 신 연유(苗民神延維)」節注。


有榮山,榮水1出焉。

영산이 있는데, 여기서 영수가 나온다.


黑水之南,有玄蛇,食麈2。

흑수의 남쪽에, 있는 현사는, 큰 사슴을 먹는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영산(榮山)、영수(榮水),오임신(吳任臣)廣注本、필원(畢沅)校本、백자전서(百子全書)本並作형산(滎山)、형수(滎水)。

2 곽박(郭璞)云:「현재 남산에 염사는 사슴을 삼킨다(今南山蛇吞鹿),이 종류다(亦此類)。」학의행(郝懿行)云:「남산은 남쪽이 되어야하며(南山當為南方),잘못된 글자(字之訛也)。남쪽에 염사는 사슴을 삼킨다(南方蛇吞鹿),已見해내남경(海內南經)(「파사는 코끼리를 먹는다(巴蛇食象)」節——珂)注。」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남산(南山)」,왕념손(王念孫)校亦作「남쪽(南方)」,송본(宋本)正作「남쪽(南方)」。


有巫山者,西有黃鳥。

무산이 있고, 서쪽에 황조가 있다.


帝藥,八齋1。

천제의 약을 넣어둔 곳간이, 여덟 채이다.


黃鳥于巫山,司此玄蛇2。

황조는 무산에서, 이 현사를 관리한다.


1 곽박(郭璞)云:「천제의 신선약은 여기에 있다(天帝神仙藥在此也)。」원가기록(珂案):此經下文云:「대황 안에(大荒之中),운우산이 있는데(有雲雨之山),이름이 란이라는 나무가 있다(有木名曰欒)。우임금이 운우산의 나무를 벨 때(禹攻雲雨),여기 붉은 돌에서 란이 태어났다(有赤石焉生欒), 뿌리는 누렇고 가지는 붉으며 잎은 푸르다(黃本、赤枝、青葉),많은 임금들이 여기서 약을 얻었다(群帝焉取藥)。」대황서경(大荒西經)云:「대황 안에(大荒之中),영산이 있는데(有靈山),무함과 무즉과 무분과 무팽과 무고와 무진과 무례와 무저와 무사와 무라라는 열 명의 무녀는(巫咸、巫即、巫、巫彭、巫姑、巫真、巫禮、巫抵、巫謝、巫羅十巫),무리지어 산을 오르내렸으며(從此升降),여기에 온갖 약들이 있다(百藥爰在)。」설문해자(說文)一云:「령은(靈),무당이고(巫也),옥으로 신을 섬긴다(以玉事神)。」이 령과 무는 옛 책에서 하나의 글자(是靈、巫古本一字)。또 초나라 왕의 꿈에 무산의 여인이 나타나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된다고 한 신화전설(又巫山有朝雲暮雨神話傳說)。운우산과 영산은 모두 무산의 다른 이름으로 의심(疑雲雨山與靈山均即巫山之異名(각각 자세한 설명은 구절 설명(各詳該節注)))。이 두 산에는 모두 신약이 있는데(而二地均有神藥),이 무산에 천제의 약을 넣어둔 곳간이 여덟 채이다라는 설명이 생긴 이유다(此巫山「천제의 약을 넣어둔 곳간이(帝藥),여덟 채이다(八齋)」之說所由起也)。곽박(郭)注「신선약(神仙藥)」者,신선불사약이다(當即是神仙不死藥也)。

2 곽박(郭璞)云:「주인이다(言主之也)。」원가기록(珂案):황조는 이 큰 사슴을 먹는 탐욕스런 현사를 보살피고 관리하며( 或謂黃鳥司察此「食麈」之貪婪玄蛇),그것이 천제의 신약을 훔쳐먹는 것을  방지한다(防其竊食天帝神藥也)。옛 황과 황은 구별되지 않고 보편적으로 사용하였고(古黃、皇通用無別),황조는 황조다(黃鳥即皇鳥),蓋봉황 종류의 새다(鳳皇屬之鳥也)。주서(周書) 왕회편(王會篇)云:「황조로 칭찬하다(方揚以皇鳥)。」이아(爾雅) 석조(釋鳥)云:「황은(皇),황조다(黃鳥)。」即此맞다(是也)。북차이경(北次二經) 태두산에 있는 황조는(泰頭之山有黃鳥),이 새와 다른 종류의 새다(則是別一種鳥),이 새가 아니다(非此)。


大荒之中,有不庭之山1,榮水窮焉2。

대황의 안에는, 부정산이 있는데, 여기서 영수가 끝난다.


有人三身,帝俊妻娥皇,生此三身之國3,姚姓,黍食,使四鳥4。

몸이 세 개인 사람이 있다, 제준의 아내 아황은, 삼신국을 낳았다, 요씨 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장을 먹고, 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


有淵四5方,四隅皆達6,北屬黑水,南屬大荒7,北旁名曰少和之淵,南旁名曰從淵8,舜之所浴也9。

네모난 못이 있는데, 네 구석이 모두 막힘이 없이 트여있고, 북쪽은 흑수로 이어지고, 남쪽은 대황과 잇닿았다, 북쪽 지역의 이름을 소화연이라하고, 남쪽 지역의 이름을 총연이라 한다, 순임금이 몸을 씻던 곳이다.


1 학의행(郝懿行)云:「여씨춘추(呂氏春秋) 유대편(諭大篇)云:『지대는 상상과 부정과 기모와 군저와 천적과 부주가 있다(地大則有常祥、不庭、歧母、群抵、天翟、不周)。』고유(高誘)注以『부주(不周)』산이 되었고(為山),則『부정(不庭)』 역시 산의 이름이다(亦山名矣),即此。」

2 원가기록(珂案):영수는 영산에서 나오고(榮水出榮山),이곳에서 흐름에 끝이 이른다(流極於此也)。

3 곽박(郭璞)云:「후손들이 나온 곳(蓋後裔所出也)。」원가기록(珂案):해외서경(海外西經) 삼신국이 있다(有三身國),해내경(海內經)言제준이 삼신을 낳았다(帝俊生三身),即此。

4 곽박(郭璞)云:「요는(姚),순임금의 성이다(舜姓也)。」원가기록(珂案):설문해자(說文)十二云:「우순은 요허에 살았기 때문에(虞舜居姚虛),성이 되었다(因以為姓)。」이 경문에 아내 아왕이 몸이 세 개인 제준을 낳았고(則此經妻娥皇而生三身之帝俊),그것은 순임금이 확실하다(其為舜也明矣)。

5 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御覽)卷三九五引이 경문에는 사가 정으로 쓰여 있다(此經四作正)。

6 곽박(郭璞)云:「못의 네 구석을 모두 자세하고 분명하게 앎(言淵四角皆旁通也)。」원가기록(珂案):經文「네 구석이 모두 막힘이 없이 트여있다(四隅皆達)」태평어람(御覽)卷三九五引달이 통으로 쓰여 있다(達作通)。

7 곽박(郭璞)云:「속하다는 잇닿다이다(屬猶連也)。」

8 곽박(郭璞)云:「音총마의 총(驄馬之驄)。」원가기록(珂案):經文「총연(從淵)」,송본(宋本)作「종연(𤡆淵)」,태평어람(御覽)卷三九五引作「총연(縱淵)」,引곽박(郭)注「音총마의 총(驄馬之驄)」作「音오와 현의 반절(烏懸反)」;글이 본래 종으로 의심(疑注文本當作「종(從(或종(𤡆)、총(縱)))),音총마의 총(驄馬之驄);연은(淵),오와 현의 반절(音烏懸反)」:각각 반자가 빠짐(各脫其半也)。

9 곽박(郭璞)云:「순임금이 시험삼아 목욕을 하였다(言舜嘗在此澡浴也)。」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御覽)卷三九五引곽박(郭)注作「항상 목욕을 하고 있다(言常在中澡洗)」,제준이 삼신을 낳았다 다음에(經於帝俊生三身下又)云「순임금이 목욕하는 곳(舜之所浴)」,제준이 제익이 명확하다(帝俊之即舜益已明矣)。


又有成山,甘水窮焉1。

또 성산이 있는데, 여기서 감수가 끝난다.


有季禺之國,顓頊之子,食黍2。

계우국이 있는데, 전욱의 자식이고, 기장을 먹는다.


有羽民之國,其民皆生毛羽3。

우민국이 있는데, 그 백성은 모두 깃털을 가진 채 태어난다.


有卵民之國,其民皆生卵4。

난민국이 있는데, 그 백성은 모두 알에서 태어난다.


1 곽박(郭璞)云:「감수는 감산에서 나오며(甘水出甘山),이 안에서 끝난다(極此中也)。」원가기록(珂案):감수(甘水)已見대황동경(大荒東經)。

2 곽박(郭璞)云:「이 나라 사람들은 전욱의 후손이다(言此國人顓頊之裔子也)。」

3 원가기록(珂案):우익민(羽民國)已見해외남경(海外南經)。

4 곽박(郭璞)云:「알에서 태어난다(即卵生也)。」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注우익민(羽民國)云『알에서 태어난다(卵生)』,이 우민이 알에서 태어난다(是羽民即卵生也)。이 난민국도(此又有卵民國),백성이 모두 알에서 태어나고(民皆卵生),하나의 나라로 나누어진다(蓋別一國)。곽박(郭)云即알에서 태어난다는(卵生也),글이 비슷하게 이루어져 있어(似有成文),이 나라는 본래 경문 속에 있는 것으로 의심되나(疑此國本在經中),현재 사라짐(今逸)。」


大荒之中,有不姜之山,黑水窮焉1。

대황의 안에는, 불강산이 있는데, 여기서 흑수가 끝난다.


又有賈山,汔水出焉。

또 가산이 있는데, 여기서 흘수가 나온다.


又有言山。

또 언산이 있다.


又有登備之山2。

또 등비산이 있다.


有恝恝之山3。

계계산이 있다.


又有蒲山,澧4水出焉。

또 포산이 있는데, 여기서 례수가 나온다.


又有隗山5,其西有丹6,其東有玉。

또 외산이 있는데, 그 서쪽에 단사가 있고, 그 동쪽에 옥이 있다.


又南有山,漂水出焉7。

또 남쪽에 산이 있는데, 여기서 표수가 나온다.


有尾山。

미산이 있다.


有翠山8。

취산이 있다.


1 곽박(郭璞)云:「흑수는 곤륜산에서 나온다(黑水出昆侖山)。」원가기록(珂案):흑수는 곤륜 서북쪽 구석에서 나온다(黑水出昆侖西北隅),已見해내서경(海內西經)。

2 곽박(郭璞)云:「即등보산(登葆山),무당들이 무리지어 산을 오르내렸다(群巫所從上下者也)。」원가기록(珂案):등보산(登葆山)見해외서경(海外西經)「무함국(巫咸國)」節。

3 곽박(郭璞)云:「音如권계의 계(券契之契)。」

4 곽박(郭璞)云:「音례(禮)。」

5 곽박(郭璞)云:「音如외효의 외(隗囂之隗)。」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作「音괴효(槐囂)」,현재 책이 맞다(今本是也)。

6 학의행(郝懿行)云:「내단의 종류로 하나가 아니며(經內丹類非一),이는 다만 이름을 단이라 한다(此但名之曰丹),단성이라는 글자로 의심(疑即丹雘之省文也)。」

7 곽박(郭璞)云:「音票。」원가기록(珂案):오관(吳寬) 초본(抄本) 경문(經文) 作률(溧),注作률(栗)。송본(宋本) 경문(經文)作표(漂),注作률(栗)。모의(毛扆)云:「경문의 표는(經漂)音률(栗),두 글자 중 하나는 잘못되어 있다(二者必有一誤),當따르다(從) 오관(吳寬) 초본(抄本)。」하작(何焯)校同。따르다(從) 오관(吳寬) 초본(抄本) 맞다(是也)。이 경문 표는(此經漂)音률(票),與오관(吳寬)本다르다(異)。

8 곽박(郭璞)云:「이 산에 물총새가 있다(言此山有翠鳥也)。」학의행(郝懿行)云:「취 역시 미다(翠亦尾也)。(예기(禮記))내칙(內則)云:『거위의 꼬리(舒雁翠),집오리 꼬리(舒鳧翠)。』」원가기록(珂案):곽박(郭)、학의행(郝)二氏之說,아마 모두 산의 이름과 관계가 없다(恐均與山名無關)。


有盈民之國,於姓,黍食。

영민국이 있는데, 어씨 성을 쓰고, 기장을 먹는다.


又有人方食木葉1。

또 나무와 잎을 먹을 줄 아는 사람이 있다.


1 학의행(郝懿行)云:「여씨춘추(呂氏春秋) 본미편(本味篇) 고유(高誘)注云:『적목과 현목은(赤木玄木),그 잎을 모두 먹을 수 있는데(其葉皆可食),신선이 먹는 것이다(食之而仙也)。』又목천자전(穆天子傳)(卷四)云:『모근이 있는데(有模堇),그 잎은 현명한 임금이 먹는 것이다(其葉是食明后)。』亦此類。」


有不死之國,阿姓,甘木是食1。

불사국이 있는데, 아씨 성을 가지고 있으며, 감목을 먹고 산다.


1 곽박(郭璞)云:「감목은 불사수다(甘木即不死樹),먹으면 늙지 않느다(食之不老)。」원가기록(珂案):불사국은(不死之國),불사민이고(即不死民_,見해외남경(海外南經);불사수는 곤륜산 꼭대기에 있다(不死樹在昆侖山上),見해내서경(海內西經)。


大荒之中,有山名曰去

대황의 안에는, 거치라는 산이 있다.


南極果,北不成,去果1。

남쪽에서 열매가 열리고, 북쪽에서 열리지 않는다, 거측과.


1 곽박(郭璞)云:「音如풍치의 치(風痓)。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학의행(郝懿行)云:「집운(集韻)云:『치는(痓),충과 지의 반절(充至切),音측(廁),풍병이다(風病也)。』이 치는 풍치의 치다(是即風痓)。곽박도 발음이 같다고 했고(郭氏又音如之),잘못된 글자 있는 것으로 의심(疑有訛字)。」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자세하지 않음(未詳)」,뜻이 자세하지 않다(蓋義未詳也)。이것은 무사에서 저주의 말이 글 속에 스며든 것으로 의심(此疑當是巫師詛咒語滲入文中者),대황서경(大荒西經)「강과 산의 남쪽에 살면 좋다(江山之南棲為吉)」역시 마찬가지이고(亦同然),노신(魯迅) 중국소설사략(中國小說史略)謂산해경(山海經)「옛 무당 책(蓋古之巫書)」,역시 간략하게 볼 수 있다(亦略可見矣)。


南海渚中,有神,人面,珥兩青蛇,踐兩赤蛇,曰不廷胡余1。

남해 모래섬 안에, 신이 있는데, 사람 얼굴에, 두 마리 푸른 뱀을 귀에 걸고, 두 마리 붉을 뱀을 밟고 있다, 부정호여라 한다.


1 곽박(郭璞)云:「신의 이름이다(神名耳)。」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신의 이름(神名耳)」송본(宋本)、오임신(吳任臣)本作「한 신의 이름(一神名耳)」,맞다(是也);모의(毛扆)、손성연(孫星衍)校모두 일 자가 더해짐(均增「일(一)」字)。


有神名曰因因乎,南方曰因乎,夸風曰乎民1,處南極以出入風2。

인인호라는 신이 있는데, 남쪽에서는 인호라 부르고, 과풍에서는 호민이라 부른다, 남쪽 끝에 살며 바람을 드나들게 한다.


1 곽박(郭璞)云:「두 개의 이름이 있다(亦有二名)。」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두 개의 이름(二名)」송본(宋本)、모의(毛扆)本作「세 개의 이름(三名)」,잘못된 글자(字之訛也)。경문에(經文「인인호라는 신이 있는데(有神名曰因因乎),남쪽에서는 인호라 부르고(南方曰因乎),과풍에서는 호민이라 부른다(夸風曰乎民)」),揆以대황동경(大荒東經)「(신이 있고(有神))이름을 절단이라 하는데(名曰折丹),동쪽에서는 절이라 부르고(東方曰折),내풍에서는 준이라 부른다(來風曰俊)」글귀를 예를 들면(文例),疑當作「인호라는 신이 있는데(有神名曰因乎),남쪽에서는 인이라 부르고(南方曰因),내풍에서는 민이라 부른다(來風曰民)」,앞쪽의 인자와 뒤쪽의 호 두 글자는 모두 덧붙인 글자고(上因字與下二乎字俱衍文),과풍은 내풍이 잘못된 것이다(夸風則來風之訛也)。

2 학의행(郝懿行)云:「대황동경(大荒東經) 이름이 절단이라는 신이 있는데(有神名曰折丹),바람을 드나드는 동쪽 끝에 살고(處東極以出入風),이 신은 바람이 드나드는 남쪽 끝에 산다(此神處南極以出入風),두 신의 손 괘가  팔풍의 기운을 조절한다(二神處巽位以調八風之氣也)。」


有襄山。

양산이 있다.


又有重陰之山。

또 중음산이 있다.


有人食獸,曰季釐。

사람을 먹는 짐승이 있는데, 계리라 한다.


帝俊生季釐1,故曰季釐之國。

제준이 계리를 낳았고, 그런 이유로 계리국이라 한다.


有緡淵2。

민연이 있다.


少昊生倍伐,倍伐降處緡淵。

소호가 배벌을 낳았고, 배벌은 민연으로 내려와 살았다.


有水四方,名曰俊壇3。

네모진 물이 있는데, 이름을 준단이라 한다.


1 학의행(郝懿行)云:「문공(文) 십팔 년(十八年) 춘추좌씨전(左傳)云:고신씨의 재자 여덟 사람 중(高辛氏才子八人),계리가 있다(有季貍);리와 리를 성조가 같다(貍、釐聲同),맞는 것으로 의심(疑是也)。이 제준이 제곡이 되었다(是此帝俊又為帝嚳矣)。」원가기록(珂案):제준은 원래 제곡이다(帝俊本即帝嚳)。초학기(初學記)卷九引제왕세기(帝王世紀)云:「제곡은 스스로 그 이름을 준이라 했다(帝嚳自言其名曰夋)。」가장 직접적인 유력한 증거다(即為最直接而有力之證據)。대황서경(大荒西經)云:「제준은 후직을 낳았다(帝俊生后稷)。」대대례(大戴禮) 제계편(帝繫篇)則云:「제곡의 첫째 왕비 강원씨가 후직을 낳았다(帝嚳上妃姜嫄氏產后稷)。」대황서경(大荒西經)有「제준의 아내 상희(帝俊妻常羲)」,세본(世本) 왕후대부보(王侯大夫譜)亦有「제곡의 둘째 왕비(帝嚳次妃),추자씨의 딸을 상의라 한다(娵訾氏之女曰常儀)」,상의는 상희다(常儀即常羲也)。이 경문에 제곡의 재자 여덟 사람 중 계리에서 제준은 계리를 낳았다는 같다(此經帝俊生季釐同於帝嚳才子八人之季貍),특히 서로 같은 부분이 하나다(特相同點之一也)。

2 곽박(郭璞)云:「音민(昏)。」

3 곽박(郭璞)云:「물의 모양이 흙으로 쌓은 단과 비슷하기 때문에(水狀似土壇),이름이 순단이다(因名舜壇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준단(俊壇)」作「순단(舜壇)」,이는 곽박이 제준이 순임금이라는 알린것(是郭復以帝俊即舜矣)。


有臷民之國1。

질민국이 있다.


帝舜生無淫,降臷處2,是謂巫臷民。

제순이 무음을 낳았고, 질로 내려와 살아서, 무질민이라 일컬었다.


巫臷民3姓,食穀,不績不經,服也4;

무질민은 반씨 성을 쓰고, 곡식을 먹으며, 길쌈도 않고 옷감을 짜는 날실도 없지만 옷이 있다.


不稼不穡,食也5。

곡식을 심고 거두지 않아도, 먹을 것이 있다.


爰有歌舞之鳥,鸞鳥自歌,鳳鳥自舞。

여기에는 노래하고 춤추는 새가 있는데, 난조는 스스로 노래하고, 봉조는 스스로 춤을 춘다.


爰有百獸,相群爰處。

여기에는 온갖 짐승이 있는데, 서로 무리를 지어 산다.


百穀所聚6。

온갖 곡식이 모이는 곳이다.


1 곽박(郭璞)云:「누런 빛의 사람이 되었다(為人黃色)。」원가기록(珂案):질국(臷國)已見해외남경(海外南經)。

2 원가기록(珂案):경문(經文)「질로 내려와 산다(降臷處)」앞쪽에(上),무음 두 글자가 있어야 한다(當尚有「무음(無淫)」二字)。

3 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모의(毛扆)本作반(盼)。

4 곽박(郭璞)云:「면직물과 견직물이 스스로 생겨났다(言自然有布帛也)。」

5 곽박(郭璞)云:「온갖 곡식이 저절로 생기고(言五穀自生也);씨를 심어(種之為稼),이삭을 거두다(收之為穡)。」

6 원가기록(珂案):질민국(臷民國)蓋即대황서경(大荒西經) 옥민국의 종류(沃民國之類也),땅이 기름지기 때문에(言其饒沃),길쌈하지 않고 날실도 없으며(故曰不績不經),심지 않고 거두지 않는다(不稼不穡):신의 후손이고(蓋神之裔),우월한 자연 조건을 갖고 있다(得天獨厚也)。


大荒之中,有山名曰融天,海水南入焉1。

대황의 안에는, 융천이라는 산이 있는데, 바닷물이 산 남쪽으로 들어온다.


1 학의행(郝懿行)云:「대황북경(大荒北經)云:『불구산이 있는데(不句之山),바닷물이 산 북쪽으로 들어온다(海水入焉)。』바닷물이 쏟아져 머무르는 곳이고(蓋海水所瀉處),분명 강의 하류의 구멍으로 모이게 되고(必有歸虛尾閭為之孔穴),땅 속으로 잠기기 때문에(地脈潛通),들어간다고 한다(故曰入也)。다음에 또 천대고산이라는 산이 있는데(下又有天臺高山),바닷물이 산 남쪽으로 들어온다(為海水所入)。대황북경(大荒北經)亦북극천궤라는 산이 있는데(有北極天櫃),바닷물이 산 북쪽으로 들어간다(海水北注焉)。모두 바다가 쏟아지는 곳(皆海之所瀉也)。」원가기록(珂案):바닷물이 산에 들어간다는(海水入山),옛 사람들의 주관적 견해이며(蓋古人臆想),신화에 가깝다(近神話矣)。


有人曰鑿齒,羿殺之1。

착치라는 사람이 있는데, 예가 죽였다.


1 곽박(郭璞)云:「예가 활로 죽였다(射殺之也)。」원가기록(珂案):예가 착치를 죽였다(羿殺鑿齒),已見해외남경(海外南經)。


有蜮山者,有蜮民之國1,桑姓,食黍2,射蜮是食3。

혹산이 있고, 혹민국이 있다, 상씨 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장을 먹고, 물여우를 화살로 잡아 먹고 산다.


有人方扜弓射黃蛇4,名曰蜮人。

활을 당겨 황사를 잡은 사람이 있는데, 이름을 혹인이라 한다.


1 곽박(郭璞)云:「音혹(惑)。」

2 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 남만(南蠻)六(卷七九0)作뽕잎을 따서 먹는다(食桑)。」

3 곽박(郭璞)云:「역은(蜮),물여우다(短狐也);자라와 비슷하고(似鱉),모래를 머금어 사람에게 쏘며(含沙射人),맞으면 병이나 죽었다(中之則病死)。이 산에서 나타나며(此山出之),이름이다(亦以名云)。」원가기록(珂案):시경(詩) 하인사(何人斯)云:「귀신이 되거나 물여우가 되면(為鬼為蜮),배불리 먹을 수 없다(則不可得)。」초사(楚辭) 대초(大招)亦云:「혼이여 남쪽으로 가지마라(魂乎無南),물여우가 몸을 삼킬 것이다(蜮傷躬只)。」물여우의 해코지를 당한고(蜮之為害),볼 수 있다(可以見矣)。설문해자(說文)十三云:「역은(蜮),물여우다(短狐也),자라와 비슷하고(似鱉),발이 세 개에(三足),기를 쏴 사람을 다치게 한다(以氣射害人)。」물여우는(短狐),한서(漢書)作단호(短弧)。오행지(五行志)云:「물여우는 물가에 살며(蜮在水旁),사람을 쏠 수 있고(能射人),쏘인 사름은 병을 앓는데(射人有處),심한 경우 죽음에 이른다(甚者至死),남쪽에서는 단호라 일컫는다(南方謂之短弧)。」안사고(顏師古)注云:「사공이다(即射工也),수노라고도 한다(亦呼水弩)。」박물지(博物志) 이충(異蟲)云:「강 남쪽 산과 시내 안에(江南山谿中),물을 쏘는 기술을 가진 벌레가 있는데(水射工蟲),갑각류다(甲類也),길이는 일이 촌이고(長一二寸),입 속에 쇠뇌 모양이 있는데(口中有弩形),사람의 그림자를 쏘면(氣射人影),곳곳에 종기가 난다(隨所著處發瘡),치료를 못해 사람을 죽인다(不治則殺人)。」물여우의 다른 설명도 엇비슷하며(餘說蜮者大同小異),자세한 기록이 많아(多難悉記),확실히 두렵다(實可畏也)。惟고소설구침(古小說鉤沉) 모음(輯) 현중기(玄中記)云:「물여우의 크기는 삼사 촌이고(蜮長三四寸),두꺼비와 악작과 원앙이 모두 먹는다(蟾蜍、鸑鷟、鴛鴦悉食之)。」다행히도 물건을 만든다(幸亦見制於物矣)。이 경문의 혹민은(而此經蜮民),乃「물여우를 화살로 잡아 먹고 산다(射蜮是食)」,해로운 것을 제거하는 뛰어난 사람이다(則亦除害之異人也)。

4 곽박(郭璞)云:「우는(扜),만이다(挽也),音우(紆)。」학의행(郝懿行)云:「우(扜)亦音오(烏),우는 만이라 해석하고(扜訓挽者),여씨춘추(呂氏春秋) 옹색편(壅塞篇)云:『활을 잡아 당겨 쏘다(扜弓而射之)。』고유(高誘)注云:『우는(扜),인이다(引也)。』곽박의 뜻과 같다(義同郭)。옥편(玉篇)云:『우는(扜),지다(持也)。』」


有宋山者,有赤蛇,名曰育蛇。

송산이 있다, 적사가 있는데, 이름을 육사라 한다.


有木生山上,名曰楓木。

산 위에 있는 나무는, 이름을 풍목이라 한다.


楓木,蚩尤所棄其桎梏1,是為楓木2。

풍목은, 치우가 그 차꼬와 수갑을 버린 곳이며, 이것이 풍목이 되었다.


1 곽박(郭璞)云:「치우가 황제에게 사로잡혀(蚩尤為黃帝所得),형틀에 묶여 죽었고(械而殺之),그 버려진 형틀이(已摘棄其械),변하여 나무가 되었다(化而為樹也)。」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注적기의 적은 척이 되어야하고(摘棄之摘當為擿),잘못된 글자(字之訛也)。」

2 곽박(郭璞)云:「현재 단풍나무다(即今楓香樹)。」

   원가기록(珂案):치우가 죽임을 당하 신화 관려(關於蚩尤被殺神話),已見대황동경(大荒東經)「응룡(應龍)」節注:전설이 하나가 아니고(蓋傳說非一),이것은 그 중 하나 이다(此其一也)。노사(路史) 후기(後紀) 四 치우전에 치우가 죽임을 당한 후의 기록이 있다((蚩尤傳于記蚩尤被殺之後),술그릇 설명(復說)云:「후대 성인이 그것을 술그릇으로 새겨(後代聖人著其像于尊彝),탐계로 삼았다(以為貪戒)。」그것의 설명은 근거가 있다(其說當有所本)。나평(羅苹)注云:「치우는 천부의 신인데(蚩尤天符之神),모양은 끊임없이 변하여 달라졌으며(狀類不常),하나라 은나라 주나라에서 제사에 쓰이는 제구로 쓰였다(三代彝器),치우의 모양으로 많이 새겨(多著蚩尤之像),탐욕과 포학한 사람을 일깨우기 위함이다(為貪虐者之戒)。그 모양은 짐승의 모양을 따르는데(其狀率為獸形),박쥐 날개 같은 것이 붙어 있다(傅以肉翅)。」(오임신(吳任臣) 산해경(山海經) 廣注(대황북경(大荒北經))引박고도(博古圖) 이 설명과 거의 같다(略同此說)。)그 설명을 추측하면(揆其所說),아마 도철이다(殆饕餮也)。춘추좌씨전(左傳) 문공(文公) 십팔 년(十八年)云:「진운씨는 재주가 모자란 자식이 있는데(縉雲氏有不才子),음식을 탐내고(貪于飲食),뇌물을 탐냈으며(冒于貨賄),욕심이 많아 사치를 좋아해(侵欲崇侈),만족을 할 줄 몰랐다(不可盈厭);재물을 쌓아 모았는데(聚斂積實),끝을 알 수 없었다(不知紀極);고아나 과부에게 베풀지 않고(不分孤寡),빈곤한 사람들을 구제하지 않았다(不恤窮匱);세상 사람들은(天下之民),삼흉과 비교하며(以比三凶),도철이라 일컬었다(謂之饕餮)。」사기(史記) 오제본기(五帝本紀) 여러 가지 풀이를 모은 책(集解)引가규(賈逵)曰:「진운씨는(縉雲氏),강씨 성을 쓰고(姜姓也),염제의 후손이며(炎帝之苗裔),황제 시절 진운의 벼슬을 맡았다(當黃帝時任縉雲之官也)。」치우는 강씨 성을 쓰고(而蚩尤姜姓),염제의 후손이며(亦炎帝之苗裔),치우가 이 재주가 모자란 자식 도철이라는 설명이고(故說蚩尤即是此縉雲氏之「 재주가 모자란 자식(不才子)」饕餮),그럴 가능 성이 많다(乃大有可能也)。여씨춘추(呂氏春秋) 선식편(先識篇)云:「주나라 솥에 새겨진 도철은(周鼎著饕餮),머리는 있으나 몸은 없고(有首無身),사람을 먹으나 삼키지 않으며(食人未咽),제 몸에 피해를 입힌다(害及己身),보경편에서 말한다(以言報更也)。」은나라와 주나라의 솥과 술그릇에 도철의 그림 모양을 새겼는데(然殷周鼎彝所著饕餮圖形),확실히 몸이 없다는 틀렸고(實非「몸이 없다(無身)」也),솥과 술그릇 전체의 몸이 이미 표현한 그림이 변해 머리가 되었다(其全部之身已圖案化而為首矣),자세히 보면 꼬리와 발이 모두 있고(細視之則尾足俱在),그 등에도 박쥐 날개 같은 것이 붙어 있다(其背且傅有肉翅),증거(正) 노사(路史)注치우의 모양이 설명되어 있다(所說蚩尤形像也)。여씨춘추(呂覽)所云,끝내 물이나 저지른 일들을 되돌아보며 살피지 않아(殊未省察),믿을 수 없다(不足信也)。이 도찰이라 일컫는 것을 의심할 것이 없다(然謂是「도찰(饕餮)」則無可疑)。북차이경(北次二經)云:「구오산(鉤吾之山),여기 짐승은(有獸焉),그 모양이 몸은 양이고 얼굴은 사람 같은데(其狀羊身而人面),그 눈은 겨드랑이 아래에 달렸고(其目在腋下),범 이빨에 사람 손톱이며(虎齒人爪),그 울음소리는 젖먹이 같다(其音如嬰兒),이름을 포효라 하는데(名曰鴞),이것은 사람을 먹는다(是食人)。」곽박(郭璞)注云:「재물이나 음식에 욕심을 내며(為物貪惏),사람을 먹다 충분하지 못하면(食人未盡),자신의 몸을 해친다(還害其身),하나라 시대 솥에 모양이 있으며(像在夏鼎),춘추좌씨전에서는 도철이 맞다고 일컫는다(左傳所謂饕餮也)。」도찬의 줄거리와 설명이 서로 같고(圖讚大體與注相同),오히려(惟於)「사람을 먹다 충분하지 못하면(食人未盡)」 뒤에 쓰인(下作)「자신을 물어뜯는다(還自齦割)」,모양을 더 생동감있게 설명하였다(則尤形象生動而達意)。곽박(郭)注포효(鴞)即도철(饕餮),옛날 이야기에 신들림이 있는데(當有古說憑依),억지소리가 아니다(非臆說也)。포효로 물건으로 만들었고(而鴞為物),확실히(固)「양의 몸과 범의 이빨과 사람의 손톱(羊身、虎齒、人爪)」,여씨춘추의 머리는 있으나 몸은 없다의 설명과 같이 않다(非如呂覽所說「머리는 있으나 몸은 없다(有首無身)」者)。곽박(郭)注여씨춘추의 설명을 많아 가져왔는데(多取呂覽之說),다만 머리는 있으나 몸은 없다 한 마리만 잊었다(獨棄「머리는 있으나 몸은 없다(有首無身)」一語),또한 현재 은나라와 주나라의 솥과 술그릇에 도철의 그림 모양이 증거이고(更證以今殷周鼎彝饕餮圖形),여씨추춘로 이 설명이 터무니없게 알려졌다(以知呂覽此說蓋妄也)。대대례(大戴禮) 용병편(用兵篇)云:「치우는(蚩尤),평민이고 탐욕스러운 자다(庶人之貪者也)。」더불어 포효와 도철의 탐욕이(與鴞、饕餮之貪惏),확실히 서로 맞아 어울리고(義固相應),옛부터 치우를 포효와 도철이란 짐승과 비교하여 솥과 술그릇에 새겼으니(故古以蚩尤比於鴞、饕餮之獸而著於鼎彝),원인이 없지 않다(非無因也)。신이경(神異經) 서남황경(西南荒經)云:「서남쪽에 있는 사람은(西南方有人焉),몸에 털이 많고(身多毛),머리 위에 돼지를 이고 있다(頭上戴豕)。이리 같이 탐욕스럽고(貪如狠惡),재물을 쌓아 모으는 것을 좋아하며(好自積財),사람과 곡식을 먹지 않는다(而不食人穀(사기(史記) 오제본기(五帝本紀) 정의(正義)引此經作『재물을 쌓아 모으고 쓰지 않으며(積財而不用),사람들에게서 곡물을 빼앗는 것을 좋아한다(善奪人穀物)』,올바른 뜻(於義為長)))。힘 있는 사람이 늙은 사람과 약한 사람에게서 빼앗고(強者奪老弱者),무리를 두려워하여 혼자인 사람만 공격한다(畏群而擊單),이름을 도철이라 한다(名曰饕餮)。춘추좌씨전에서 도철은(春秋言饕餮者),진운씨의  재주가 모자란 자식이다(縉雲氏之不才子也)。」이것이 또 후세의 책 여러 춘추좌씨전에 도철이 더해져 신화가 변하여 모양이 그려짐(是又後世本諸左氏春秋而於饕餮加以神話化之狀寫者也)。만약 치우가 도철로 이루어 졌다고 한다면(果蚩尤即饕餮之說可以成立),지난 시절의 임금들이 치우를 미워하며 헐뜯는 것이고(則前代統治者於蚩尤之嫉惡詆毀),역시 과장되었다(亦已甚矣)。백성들 사이에서 전해지는(而民間相傳),상당히 딱하고 가엾게 여기는 뜻을 볼 수 있다(則頗見同情之意)。황람총묘기(皇覽冢墓記)云:「치우의 무덤은(蚩尤冢),동평군 수장현 감향성 안에 있다(在東平郡壽張縣闞鄉城中),높이는 칠장에(高七丈),백성들은 항상 칠 월에 제사를 지냈다(民常七月祀之)。」술이기(述異記)亦云:「태원의 마을에서 소머리를 쓰지 않고 치우신에게 제사를 지냈다(太原村落間祭蚩尤神不用牛頭)。」又云:「현재 기주에 치우희라는 노래 이름이 있는데(今冀州有樂名『치우희(蚩尤戲)』),그곳 사람들은 삼삼오오 모여(其民兩兩三三),머리에 소뿔을 이고 서로 부딪쳤다(頭戴牛角而相觝)。」태평어람(太平御覽)卷七八引용어하도(龍魚河圖)云:「(황제(黃帝))치우를 정복하고(制伏蚩尤),여러 나라를 복종하게 하였다(以制八方)。치우가 죽은 뒤에도(蚩尤沒後),세상이 다시 혼란하고 평안하지 않자(天下復擾亂不寧),황제는 치우의 모양을 그림으로 그려(黃帝遂畫蚩尤形像),세상에 위엄을 떨쳤고(以威天下),세상은 치우가 죽지 않았다 일컬으며(天下咸謂蚩尤不死),팔방의 여러 나라가 복종하게 되었다(八方萬邦皆為殄服)。」마치 이것과 비슷하다(類乎此者),제사에 진열하면 그런대로 괜찮다(尚可臚舉)。이 경문에 치우가 버린 그 차꼬와 수갑이(此經蚩尤棄其桎梏),변하여 풍목이 되었고(化為楓木),특별한 일이다(特其一端耳)。


有人方齒虎尾,名曰祖狀之尸1。

네모난 이와 범 꼬리를 가진 사람이 있는데, 이름을 사상시라 한다.


1 곽박(郭璞)云:「音如사리의 사(柤梨之柤)。」원가기록(珂案):經文「사상시(祖狀之尸)」,송본(宋本)、모의(毛扆)本均作「사상시(柤狀之尸)」,與곽박(郭)注「音如사리의 사)柤梨之柤)」같은 글자(字同),잘못되다(蓋訛也)


有小人,名曰焦僥之國1,幾姓,嘉穀是食。

소인이 있는데, 이름을 초요국이라 하고, 기씨 성을 쓰며, 좋은 곡식을 먹고 산다.


1 곽박(郭璞)云:「모두 키가 삼 척이다(皆長三尺)。」원가기록(珂案):초요국(焦僥國)已見해외남경(海外南經)。


大荒之中,有山名塗之山1,青水窮焉2。

대황의 안에는, 이름이 후도산이라는 산이 있는데 여기서 청수가 끝난다.


有雲雨之山3,有木名曰欒4。

운우산이 있는데, 이름이 란이라는 나무가 있다.


禹攻雲雨5,有赤石焉生欒6,黃本,赤枝,青葉,群帝焉取藥7。

우임금이 운우산의 나무를 벨 때, 여기 붉은 돌에서 란이 태어났다, 뿌리는 누렇고), 가지는 붉으며, 잎은 푸르다, 많은 임금들이 여기서 약을 얻었다.


1 곽박(郭璞)云:「音후(朽)。」학의행(郝懿行)云:「옥편(玉篇)云『사는 후로도 쓴다(死或作朽)。』이 후와 후는 옛 글자로 같다(是、朽古字同),후와 추의 성조는 서로 비슷하고(、醜聲相近),후도는 추도다(塗即醜塗也)。已見서차삼경(西次三經) 곤륜구(昆侖之丘)。」원가기록(珂案):서차삼경(西次三經)云:「곤륜구(昆侖之丘),여기서 나오는 양수는(洋水出焉),서남쪽으로 흘러 추도수로 들어간다(而西南流注於醜塗之水)。」곽박(郭璞)注:「추도는(醜塗),산의 이름이다(亦山名也)。」

2 곽박(郭璞)云:「청수는 곤륜에서 나온다(青水出昆侖)。」학의행(郝懿行)云:「청과 청의 성조는 같다(青、清聲同),서차삼경(西次三經)云:『곤륜(昆侖),여기서 양수가 나온다(洋水出焉)。』곽박(郭)云『양은 청으로도 쓴다(洋或作清)』,即此也。」

3 원가기록(珂案):후도산은 곤륜 서남쪽에 있고(塗(추도(醜塗))山在昆侖西南),운우산은 후도산 가까이 겹쳐 있다(雲雨山復在塗山附近),땅을 가로질러 바라보면(以地望衡之),이 경문 앞쪽 글에 기록된 무산과(當即此經前文所記之巫山),亦대황서경(大荒西經)所記之영산(靈山)也(설명이 이미 앞쪽에 나왔다(說已見前))。

4 원가기록(珂案):經文「이름이 란이라는 나무가 있다(有木名曰欒)」뒤쪽에(下),송본(宋本)、모의(毛扆)本均有곽박(郭)注「音란(鸞)」두 글자(二字),현재 책에는 빠짐(今本脫去之也)。

5 곽박(郭璞)云:「공은 그 수풀의 나무를 벤다는 것을 일컫는다(攻謂槎伐其林木)。」

6 곽박(郭璞)云:「산에 정기가 있는데(言山有精靈),다시 변하여 붉은 돌 위에서 이 나무를 낳았다(復變生此木於赤石之上)。」학의행(郝懿行)云:「초학기(初學記)三十卷引습유기(拾遺記)云:『검은 곤어는 크기가 천 척이고(黑鯤魚千尺),고래 같으며(如鯨),항상 남쪽 바다로 날아간다(常飛往南海)。죽으면(或死),뼈와 살이 모두 사라지며(骨肉皆消),오직 쓸개만이 돌 위의 선란 같다(唯膽如石上仙欒也)。』뜻이 정확히 이것과 합쳐짐(義正與此合)。」

7 곽박(郭璞)云:「나무의 꽃과 열매가 모두 신약이 되었다(言樹花實皆為神藥)。」원가기록(珂案):란의 열매는 건목의 열매 같다(欒實如建木實),見해내남경(海內南經),곽박(郭)注이 경문에 설명 되어있다(本此經為說)。

   우임금이 운우에서 나무를 베는 신화(禹攻雲雨神話),우임금이 무산에서 물을 다스리는 신화(當即禹巫山治水之神話也)。경문(經文)「붉은 돌이 란은 낳았다(赤石生欒)」,곽박(郭)注以為「정기가 란을 낳았다(精靈變生)」,옛날에 조리가 있던 말이고(或舊有成說),아쉽게도 그것의 자세한 이야기를 찾을 수 없다(惜其詳已不可得而聞矣)。무산에는 옛부터 고당신녀의 신화가 있는데(巫山舊有高唐神女神話(見송옥(宋玉) 고당부서(高唐賦序))),신녀 요희가 초회왕 꿈에 들어갔다고 일컬으며(謂神女瑤姬入楚懷王夢),自云是「무산의 여인은(巫山之女),해 돋을 무렵이면 아침의 구름이 되고(旦為朝雲),해질 무렵이면 비가 되어 내린다(暮為行雨)」,잠자리 시중 을 들다(因薦枕席)。이 무산을 운우산이라 일컫는 것이라 의심(疑此巫山之或稱「운우산(雲雨山)」也)。당나라 말기(而唐末) 두정광(杜光庭) 용선집선록(鏞城集仙錄)乃우가 무산 아래 머물며 물을 다스렸다고 일컫는다(謂禹理水駐巫山下),우연히 큰 바람이 불어 벼랑이 무너져(遇大風振崖),일을 제대로 할 수 업었는데(功不能興),운화부인을 얻었고 요희의 도움으로(得雲華夫人即瑤姬之助),비로소 물을 다스리다(始能「내를 틔워 물결을 인도하였고(導波決川),물을 다르리게 되었다(以成其功)」):이는 비록 나중의 설명이지만(此雖後起之說),백성들 사이에서는 두드러지게 알려진 우가 무산에서 물을 다스린 신화다(然知民間古固亦有禹巫山治水之神話也)。그것의 처음 모양은 어땠을까(其原始狀態維何)?則曰:이 경문의(此經之)「우임금이 운우에서 나무를 베다(禹攻雲雨)」일 것이다(是矣)。


有國曰顓頊,生伯服1,食黍。

전욱이라는 나라가 있는데, 백복을 낳았고, 기장을 먹는다.


有鼬姓之國2。

유성국이 있다.


有苕山。

초산이 있다.


又有宗山。

또 종산이 있다.


又有姓山。

또 성산이 있다.


又有壑山。

또 학산이 있다.


又有陳州山。

또 진주산이 있다.


又有東州山。

또 동주산이 있다.


又有白水山,白水出焉,而生白淵,昆吾之師所浴也3。

또 백수산이 있는데, 여기서 백수가 나오고, 백수에 의해 백연도 생겼다, 곤오의 스승이 몸을 씻던 곳이다.


1 吳任臣云:「세본(世本)云:『전욱은 칭을 낳았고(顓頊生偁),칭은 백복의 자이다(偁字伯服)。』」원가기록(珂案):경문이 의심된다(疑經文當作「백복이라는 나라가 있는데(有國曰伯服),전욱이 백복을 낳았다(顓頊生伯服)」),백복 두 글자가 빠짐(脫「백복(伯服)」二字)。

2 곽박(郭璞)云:「音如귤유의 유(橘柚之柚)。」

3 곽박(郭璞)云:「곤오는(昆吾),옛날에 왕을 부르던 뜻(古王者號)。음의(音義)曰:『곤오는(昆吾),산의 이름이고(山名),시냇물 안에서 좋은 금이 나왔다(谿水內出善金)。』두 문장에 기이한 것이 있는데(二文有異),어떻게 나누는지 알지 못한다(莫知所辨測)。」학의행(郝懿行)云:「곤오는(昆吾),옛 제후의 이름이고(古諸侯名),見죽서(竹書)。又대대례(大戴禮) 제계편(帝繫篇)云:『육종씨는 여섯 명의 자식을 낳았는데(陸終氏產六子),그 첫째를 번이라 했는데(其一曰樊),번이 곤오가 되었다(是為昆吾)』也。곽박(郭)又引음의에서 산의 이름이 되었고(音義以為山名者),중차이경(中次二經)云곤오산이 있다(昆吾之山是也)。所引음의(音義)누구의 이름으로 쓰였는지 확실하지 않다(未審何人書名),이 경문은 학자의 옛 설명이다(蓋此經家舊說也)。」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說「곤오는(昆吾),옛 제후의 이름이고(古諸侯名),見죽서(竹書)」者,현재 책(今本) 죽서기년(竹書紀年) 하나라 중강 육 년(夏仲康六年)「주석을 곤오로 하여금 백으로 만들다(錫昆吾作伯)」있다(是也),이는 거짓된 문서를 기록하였기에(然是書偽撰),믿을 수 없다(不足信)。又引대대례(大戴禮) 제계편(帝繫篇)云者,세본에서 나온다(蓋出於世本);세본(世本)(장주졸집보주본(張澍集補注本))제계편(帝繫篇)云:「육종이 귀방씨의 누이에게 장가를 갔고(陸終娶於鬼方氏之妹),여궤라 일컫는다(謂之女嬇),여쉐는 여섯 명의 자식을 낳았는데(是生六子),아이를 뱄으나 삼 년간 낳지 못했다(孕三年而不育)。그 왼쪽 옆구리를 갈라(剖其左脅),세 명의 아이를 얻었다(獲三人焉);오른쪽 옆구리를 갈라(剖其右脅),세 명의 아이를 얻었다(獲三人焉)。그 첫째를 번이라 했는데(其一曰樊),번이 곤오가 되었다(是為昆吾);그 둘째를 혜련이라 했는데(其二曰惠連),혜련이 참호가 되었으며(是為參胡),그 셋째를 전갱이라 했는데(其三曰籛鏗),전갱이 팽조가 되었다(是為彭祖);그 넷째를 구언이라 했는데(其四曰求言),구언이 회인이 되었다(是為鄶人);그 다섯째를 안이라 했는데(其五曰安),안이 조성이 되었다(是為曹姓);그 여섯째를 계련이라 했는데(其六曰季連),계련이 미성이 되었다(是為羋姓)。」대대례(大戴禮) 글자는 조금 서로 다르고(文字小有異同),세본의 기준이 되다(然當以世本為準)。근거(據)이 곤오 역시 옛 신성의 영웅이다(此則昆吾亦古神性之英雄也)。


有人曰張弘,在海上捕魚。

장홍이라는 사람이 있는데,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았다.


海中有張弘之國1,食魚,使四鳥。

바다 안에 장홍국이 있고, 물고기를 먹고 살며, 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


1 곽박(郭璞)云:「기굉인이라고도 하는데(或曰即奇肱人),틀렸다고 의심(疑非)。」원가기록(珂案):곽박(郭)說「即기굉인(奇肱人)」,又云「틀렸다고 의심(疑非)」者,해외서경(海外西經)「기굉국(奇肱之國)」곽박(郭)注云:「굉은 홍으로도 쓴다(肱或作弘)」,굉과 홍의 성조는 같고(肱、弘聲同),옛 글자로 두루 쓰임(古字通用),이 장홍은 기굉과 비슷하다(似此張弘即奇肱矣)。장은 기가 아니다(然「장(張)」非「기(奇)」也),故곽박(郭)又云「틀렸다고 의심(疑非)」也。기록(案)此「장홍(張弘)」實即해외남경(海外南經) 기록된(所記之)「장비국(長臂國)」也。목천자전(穆天子傳)卷二云:「임금이 흑수의 서하에서 장굉에 봉했다(天子乃封長肱于黑水之西河)。」곽박(郭)注云:「即장비인(長臂人_也,見산해경(山海經)。」장과 장은 모양과 발음이 모두 비슷하고(張、長形音俱近),이 장홍이 장굉이고 장비이기도 하다(是張弘即長肱亦即長臂矣)。하물며 이 장홍이(此張弘)「바다에서 물고기를 잡았다(在海上捕魚)」,장비국 사람들이  안의 물고기를 잡는다로 하는 일이 서로 같으며(復與長臂國人「물 안의 물고기를 잡는다(捕魚水中)」職業相同),두 나라가 있는 곳이 모두 남쪽이고(二國所處又俱南方),이 장홍국이 해외남경의 장비국이 되었다(則此張弘之國之為海外南經長臂國),단연히 의심의 여지가 없다(斷無可疑也)。


有人焉,鳥喙,有翼,方捕魚于海1。

여기 사람이 있는데 새 부리와, 날개가 있다,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는 방법을 안다.


大荒之中,有人名曰驩頭。

대황의 안에는, 환두라는 사람이 있다.


鯀妻士敬,士敬子曰炎融,生驩頭。

곤의 아내는 사경이고, 사경의 아들은 염융이라하며, 환두를 낳았다.


驩頭人面鳥喙,有翼,食海中魚,杖翼而行2。

환두는 사람얼굴에 새 부리와, 날개가 있\며,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아 먹고, 날개를 지팡이 삼아 돌아다닌다.


維宜芑苣,穋楊是食3。

오직 흰 차조와 옻기장과, 올벼와 버들을 먹는다.


有驩頭之國。

환두국이 있다.


1 원가기록(珂案):이(此)「바다에서 물고기를 잡는 방법을 안다(捕魚于海)」之「새의 부리와 날개가 있다(鳥喙、有翼)」의 사람은(之人),뒤쪽 글에 환두라 설명한다(即下文所說驩頭也)。

2 곽박(郭璞)云:「날개로 날지 못하고(翅不可以飛),지팡이처럼 기대어 몸을 움직인다(倚杖之用行而已)。」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사용해 움직인다(用行)」,오임신(吳任臣)本作「두루 돌아다니다(周行)」。환두국(驩頭國)已見해외남경(海外南經),作「환두국(讙頭國)」,단주국이다(即丹朱國也),자세한(詳)해외남경(海外南經)「환두국(讙頭國)」節注。이는 곤의 아내 사경과 사경의 자식 염융은 환두를 낳았다(此又云鯀妻士敬、士敬子炎融生驩頭者),소문이 돌고 돌아 사실과 다르다(蓋傳聞不同而異辭也)。

3 곽박(郭璞)云:「관자(管子) 설지소의(說地所宜)云:『그 씨는 올벼와 흰 차조와 옻기장이다(其種穋、、黑黍)。』모두 벼의 종류다(皆禾類也)。거는(苣),옻기장이다(黑黍);현재 글자로 화방으로 쓴다(今字作禾旁)。기와 거와 기 세 발음이다(起、秬、芑三音)。」학의행(郝懿行)云:「환두는 바다 속 물고기를 먹는다고 하는데(經蓋言驩頭食海中魚),흰 차조와 옻기장과 올벼와 버들의 종류를 먹는다(又食芑苣穋楊之類也)。올벼 역시 벼의 이름이고(穋亦禾名),현제 자세하지 않음(今未詳)。설문해자(說文)(七)云:『올벼는(稑),일찍 익는 벼(疾孰也)。』육이라고도 쓰며(或作穋),발음과 뜻이 이와 같다(音義與此同)。又案곽박(郭)引관자(管子) 지원편(地員篇) 글에(文),그 올벼와 흰 차조의 글자는(其穋之字),현재 잘못되어 규와 기로 쓴다(今誤作樛杞也)。」원가기록(珂案):관자(管子) 지원편(地員篇)云:「그 큰 검은 기장과 작은 검은 기장을 심으면(其種大秬、細秬),검은 줄기에 푸른 이삭이 난다(黑莖青秀);그 큰 올벼와 큰 흰 차조와 작은 올벼와 작은 흰 차조를 심으면(……其種大樛杞、細樛杞),검은 줄기에 검은 이삭이 난다(黑莖黑秀)。」是곽박(郭)注「올벼와 흰 차조와 옻기장(穋、、黑黍)」當作「올벼와 흰 차조와 검은 이삭(穋、,黑秀)」。왕념손(王念孫)校이 옻기장은 검은 이삭이라고 써야 한다(此黑黍正作黑秀)。초사(楚辭) 천문(天問) 곤의 신화가 쓰여 있는 곳(敘鯀之神話)云:「곤이 궁의 험난한 길을 걸어 서쪽으로 가니(阻窮西征),바위를 어찌 넘었을까(巖何越焉)?죽어서는 누런 곰이 되었으니(化為黃熊),무당이 어찌 되살릴 수 있는가(巫何活焉)?검은 기장을 충분히 뿌리고(咸播秬黍),부들과 물억새를 올바르게 관리하였다(莆雚是營),어찌 사흉으로 몰려 쫓겨나고 곤의 결점만 오래도록 충만할까(何由并投而鯀疾修營)?」곽말약 선생 풀이한(郭沫若先生譯) 몇마디 말(此數語)云:「길이 막혀서 끊어지고(道路阻絕),후손은 동쪽으로 갔다(被流東裔),곤은 어찌 높고 험한 산을 넘었을까(鯀何以又越過了岑巖)?무당은 다은 사람을 되살아나게 할 수 있어(巫師何能使他復活),죽은 뒤에 누런 곰으로 변하게 장난을 쳤을까(死後又化為黃熊作怪)?모두들 논밭에 검은 좁쌀의 씨를 뿌리고 심는 것을 희망하고(要大家播種黑小米),추부에 잡초를 모두 뿌리 뽑아 없앨까(把萑苻雜草都剷除開)?어떻게 물리쳐 다른 사람을 이리저리 달아나게 했으며(何以卻要把他流竄),곤의 한은 이렇게 대단할까(把鯀恨得這樣厲害)?」(굴원부(屈原賦) 현재 풀이(今譯))앞쪽 두 구절을 제외하고 어떤 부분이 조금이 있고(除首二句略有可商之外)(詳해외서경(海外西經)「궁산(窮山)」節注),나머지 부분은 원래 시의 취지를 알 수 있다(餘均甚得原詩旨意)。疑천문(天問)「검은 기장을 충분히 뿌리고(咸播秬黍),부들과 물억새를 올바르게 관리하였다(莆萑是營)」두 단어와 이 경문(二語與此經)「오직 흰 차조와 옻기장과(維宜芑苣),올벼와 버들을 먹는다(穋楊是食)」두 단어는 신화 앞쪽에 서로 연관이 있다(二語於神話上有相當聯繫):곤이 물로 입은 피해가 해결되지 않고 죽은 후 곰으로 변하여 여러 무당을 만나 목숨을 구해진다(或鯀於水厄未解、死後化熊、求活於諸巫之際),「모두들 논밭에 검은 좁쌀의 씨를 뿌리고 심는 것을 희망하고(要大家播種黑小米)」배고플 때 가난한 이들을 구제하는 사람은(以救荒者),모두 그 바야흐로 먼 곳으로 보내진 남쪽의 후손 환두 안에 포함한다(並包括其行將遠竄南海之裔孫讙頭在內也)。此「사람 얼굴(人面)、새의 부리(鳥喙)、날개가 있다(有翼)」의 환두국 사람들은(之讙頭國人之)「오직 흰 차조와 옻기장과(維宜芑苣),올벼와 버들을 먹는다(穋楊是食)」也。그 책의 사이가 이지러져(以書闕有間),책의 자세한 것을 알 수 없다(其詳不可得知矣)。


帝堯、帝嚳、帝舜葬于岳山1。

제요와 제곡과 제순은 악산에 묻혀 있다.


爰有文貝、離俞、𩿨久、鷹2、延維、視肉、熊、羆、虎、豹;

여기에는 문패와 이유와 시구와 매와 연유와 시육과 곰과 말곰과 범과 표범이 있다.,


朱木,赤枝,青華,玄實3。

붉은 나무, 붉은 가지, 푸른 꽃, 검은 열매.


有申山者。

신산이 있다


1 곽박(郭璞)云:「即적산(狄山)也。」원가기록(珂案):적산(狄山)已見해외남경(海外南經)。

2 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모의(毛扆)本、항인(項絪)本、오임신(吳任臣)本、필원(畢沅)校本、백자전서(百子全書)本,응 다음에 모두 가자가 있다(鷹下俱有賈字),이곳은 빠짐(此脫)。

3 원가기록(珂案):대황서경(大荒西經)云:「개산국이 있다(有蓋山之國)。나무가 있는데(有樹),껍질과 가지와 줄기가 붉고(赤皮支榦),잎이 푸르다(青葉),이름을 주목이라 한다(名曰朱木)。」即此。푸른 잎은 푸른 꽃으로 쓰여 있고(唯青葉當作青華),글자의 모양이 잘못됨(蓋字形之訛)。


大荒之中,有山名曰天臺高山1,海水入焉2。

대황의 안에는, 천대고산이라는 산이 있는데, 바닷물이 들어온다.


1 왕념손(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 지부(地部) 십오(十五)(卷五0)引고산 두 글자가 없고(無高山二字),지부(地部) 이십오(廿五)(卷六0)同。예문유취(類聚) 수부상(水部上)(卷八)同。」원가기록(珂案):고산 두 글자가 없는 것이 맞다(無高山二字是也),이는 곽박이 경문에 잘못 넣을 것으로 의심(此疑郭注誤入經文者)。

2 원가기록(珂案):경문(經文)「바닷물이 들어온다(海水入焉)」의심(疑)當作「바닷물이 산 남쪽으로 들어온다(海水南入焉)」,남자가 빠지고 잘못되어 뒤쪽 글귀에 있다(南字誤脫於下文「동남쪽 바다 밖(東南海之外)」句中)。경문에 쓰인 바닷물이 산에 들어간다는 산은 모두 다섯 개다(經記海水入山之山凡五):첫째는 이 경문 앞쪽의 융천산이다(一即此經前文之融天山),云「바닷물이 산 남쪽으로 들어온다(海水南入焉)」;두번째는 천대고산이다(二即此);셋째는(三)即대황북경(大荒北經)之선함대봉산(先檻大逢山),云「바닷물이 산 북쪽으로 들어간다(海北注焉)」;넷째는(四)即同經之북극천궤산(北極天櫃山),云「바닷물이 산 북쪽으로 들어간다(海水北注焉)」;다섯쨰는(五)即同經之불구산(不句山),今本云「바닷물이 들어온다(海水入焉)」,然장경(藏經)本물 다음에 북자가 있고(水下有北字),이글은 이래햐 한다(是仍當作)「바닷물이 산 북쪽으로 들어온다(海水北入焉)」。여러 산에 바닷물이 들어오는 곳이 기록이 있고(諸山記海水所入),전부 위치가 남쪽과 북쪽 글자를 의미하고 있으며(俱有表示方位之南北字樣),이곳도 예외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知此當亦不能例外)。남자가 빠지고 잘못되어 뒤쪽 글귀에 있어(南字誤脫於下文句中),의심할 것이 없다(蓋無可疑也)。


東南海之外1,甘水之閒2,有羲和之國。

동남쪽 바다의 밖, 감수 사이에, 희화국이 있다.


有女子名曰羲和3,方日浴4于甘淵5。

희화라 불리는 여자가 있는데, 감연에서 해를 씻긴다.


羲和者,帝俊之妻6,生十日7。

희화는, 제준의 아내이며, 열 개의 해를 낳았다.


1 원가기록(珂案):북당서초(北堂書鈔)卷一四九、태평어람(御覽)卷三引이 경문 모두 남자가 없고(此經並無南字),남자가 없는 것이 맞다(無南字是也)。남자는 앞쪽 글 바닷물이 산의 남쪽으로 들어온다는 구절에서 빠지고 잘못되어 이곳에 쓰임(南字當是由上文「바닷물이 산의 남쪽으로 들어온다(海水南入焉)」句誤脫於此者),이미 자세한 것은 앞쪽 부분 설명에 있다(已詳上節注中)。이 구절은 의심된다(此節疑亦當)在대황동경(大荒東經)「감산이 있는데(有甘山者),여기서 감수가 나오고(甘水出焉),감연이 만들어졌다(生甘淵)」의 뒤쪽으로(之後),감연은 탕곡이다(甘淵蓋即湯谷也),그 땅은 원래 동쪽에 있고(其地本當在東方),자세한 설명은(說詳) 대황동경(大荒東經)首節注。

2 학의행(郝懿行)云:「초학기(初學記)一卷及태평어람(太平御覽)三卷引이 경문에는 감천의 사이라고 쓰여 있다(此經作甘泉之閒),후한서(後漢書) 왕부전(王符傳)注引이 경문에는 감수의 사이라고 쓰여 있다(此經仍作甘水之閒)。」

3 왕념손(王念孫)云:「(후한서(後漢書))왕부전(王符傳) 명자는 없는 글자(無名字),초학기(初學)(卷一)同,북당서초(書鈔) 천부(天部)一(卷一四九)명만 쓰여 있고(作名),예문유취(類聚) 천부상(天部上)(卷一)명왈이라 쓰여 있다(作名曰)。」

4 원가기록(珂案):해를 씻긴다는(日浴),송본(宋本)、오관(吳寬)抄本、모의(毛扆)本모두 욕일로 쓰여 있고(並作浴日),여러 책들 역시 욕일로 쓰여 있다(諸書所引亦均作浴日),욕일로 쓰는 것이 맞다(作浴日是也)。대황서경(大荒西經)云:「달을 씻기는 여자가 있다(有女子方浴月)。」증거라 할 수 있다(可證)。

5 곽박(郭璞)云:「희화는 세상에서 처음 만들어졌고(羲和蓋天地始生),해와 달을 관리하는 사람이다(主日月者也)。故(귀장(歸藏))계서(啟筮)曰:『공상이 푸르고 드넓으며(空桑之蒼蒼),온 세상이 이미 넓어 졌다(八極之既張),희화라는 아녀자가 있어(乃有夫羲和),해와 달을 관리하여(是主日月),드나들게하는 일을 하니(職出入),밤과 낮이 되었다(以為晦明)。』又曰:『저 위 하늘을 보면(瞻彼上天),한 번 밝으면 한 번 어둡고(一明一晦),희화라는 아녀자가 있어(有夫羲和之子),양곡에서 나오게 하였다(出于暘谷)。』그래서 요임금은 이 희화에게 관직을 내려(故堯因此而立羲和之官),사계절을 관리하게 하였고(以主四時),그 후세가 이루어 이 나라가 되었다(其後世遂為此國)。해와 달의 모양을 만들어 관리하고(作日月之象而掌之),감수 안에서 머리를 감으며 몸을 씻고 이끌어 나가(沐浴運轉之於甘水中),해가 양고에서 우연으로 드나드는 것을 본받으니(以效其出入暘谷虞淵也), 이른바 세상에서 잃지 않는 관직이라 할 수 있다(所謂世不失職耳)。」학의행(郝懿行)云:「예문유취(藝文類聚)(卷一)、초학기(初學記)(卷一)及이현(李賢)注후한서(後漢書) 왕부전(王符傳)引이 경문 모두(此經並)作『감천에서 해를 씻긴다(浴日于甘泉)』,당나라 시절 임금의 이름이라 쓰지 못하게 되어 연을 고쳐 천이 되었다(疑避唐(이연(李淵)——珂)諱改淵為泉耳)。초학기(初學記)及태평어람(御覽)(卷三)引經『감천에서 해를 씻긴다(浴日于甘泉)』在『희화는 열 개의 해를 낳았다(是生十日)』구절의 뒤쪽이(句之下),현재 책과 다르다(與今本異)。又引곽박(郭)注云:『희화는 해를 낳을 수 있어서(羲和能生日也),희화의 자식이 되었다(故曰為羲和之子)』云云,역시 현재 책과 다르다(亦與今本異)。」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두 양곡은 송본에 모두 탕곡으로 쓰여 있다(二暘谷宋本均作湯谷)。

6 오임신(吳任臣)云:「희화는(羲和),상희 추씨가 있다(常羲有陬氏)。」학의행(郝懿行)云:「사기(史記)(오제본기(五帝本紀))정의(正義)引제왕세기(帝王世紀)云:『제곡의 둘째 왕비는 추자씨의 딸 상의라 한다(帝嚳次妃娵訾氏女曰常儀)。』대황서경(大荒西經)又제준의 아내 상희가 있다(有帝俊妻常羲),상의와 이 경문의 희화는 서로 한 인물로 의심(疑與常儀及此經羲和通為一人耳)。」원가기록(珂案):오임신과 학의행(吳、郝)說 모두 희화는 상희가 아니다(羲和即常羲俱非也)。제준은 세 명의 아내를 맞았는데(考帝俊三妻),한 명은 희화이고(一羲和),이 경문에서 열 개의 해를 낳은 사람이다(即此經生十日者);한 명은 상희 이고(一常羲),即대황서경(大荒西經) 열두 개의 달을 낳은 사람이다(生十二月者);한 명은 아황이고(一娥皇),이 경문 앞쪽 글에서 삼신국을 낳은 사람이다(即此經前文生三身之國者):각기 후예가 서로 다르니(各俱有不同裔子),해를 낳은 희화가 달을 낳은 상희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則生日之羲和當非生月之常羲可知矣)。至於학의행(郝)說제준의 아내 상희와 제곡은 둘째 왕비 추자씨의 딸 상의는 한 사람이 맞다(帝俊妻常羲與帝嚳次妃娵訾氏女常儀為一人則是也),已見前「계리국(季釐之國)」節注。

7 곽박(郭璞)云:「각기 열 개의 해를 낳아 이름을 짓다(言生十子各以日名名之),열 개의 해를 낳았다는 말은(故言生十日),열 개라는 뜻(數十也)。」왕념손(王念孫)云:「왕부전(王符傳)注(經文)생 앞쪽에 시자가 있다하고(生上有是字),태평어람(御覽) 천부(天部)三(卷三)同,북당서초(書鈔) 천부(天部)一(卷一四九)同,예문유취(類聚) 천부(天部)上(卷一)同,초학기(初學)(卷一)同。」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注열 개의 해를 낳았다 뒤쪽에(生十日下),일자가 빠진 것으로 의심(疑脫日字(當作「열 개의 해를 낳았고(生十日),해는 열 개다(日數十也)」,왕념손(王念孫)校同——珂))。희화의 열 명의 자식은(羲和十子),그 기록을 아직 보지 못했고(它書未見),예문유취(藝文類聚)五卷引시자(尸子)曰:『희화의 자식이 나열 되었다(造曆數者羲和子也)。』그 이름은 없다(然其名竟無考)。」

   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희화는 열 개의 해를 낳았다(羲和生十日)」,인간 관계의 현상을 풀이한 신화가 많고(多以人事現象釋神話),뜻은 없다(於義無當),其云「각기 열 개의 해를 낳아 이름을 짓다(生十子各以日名名之)」더욱 두드러지며(尤迂),신화를 이해하는 것이 부족하다(蓋於神話缺少理解也)。희화는 열 개의 해를 낳아(羲和生十日者),하늘 위의 해가 열 개다(天上之日十也);상희는 열두 개의 달을 낳아(猶常羲生月十二),하늘 위의 달이 열두 개다(天上之月十二也)。옛 신화에서 하늘과 땅과 해와 달과 별들 모두 신이 만들었기 때문에(古神話蓋以天、地、日、月、星辰均神所創造),해를 낳았고 달을 낳았다는 말이다(故言生日生月),틀렸다(非「열 개의 해를 낳아 이름을 짓다(生子以日名名之)」也)。열 개의 해와 열두 개의 달은(至於日之數十而月之數十二者),홍고의 재난과 변고 시절에(洪古災變之際),사람들 상상 속에서 과장된 것이다(人民想象中之夸張也)。현재 한 개의 해와 한 개의 달인 것은(今留一日一月者),신성한 영웅이 쏴서 떨어트려서이다(有神性英雄射落之也)。묘족과 이족 모두 해를 쏘거나 달을 쏘는 신화가 있는데(苗族、彝族均有射日射月神話),그것이 증거다(即其證)。현재는 신화 속 예가 아홉 개의 해를 쏜 신화는 있으나 달을 쏜 신화는 없다(今神話中唯有羿射九日神話而無射月神話者),이미 흩어져 없어졌다(蓋已散亡也)。옛부터 전해지는 것을 미루어 짐작하면(推想古傳),既有회남자(淮南子)所記 예의 아내 상아가 약을 훔쳐 달로 달아나는 신화에서(羿妻常娥竊藥奔月神話),그 나머지 열한 개의 달이(則其餘十一月),아마도 예가 쏴 떨어트렸을 수도 있고(或亦由羿射落之),아직 알 수 없다(未可知也)。예가 아홉 개의 해를 쏜 것은(羿射九日),신화 속 설명에 있는데(神話中又有「떨어져 옥초가 되었다(落為沃焦)」之說)(見장자(莊子) 추수편(秋水篇) 현영의 소통을 이루다(成玄瑛疏)引산해경(山海經),현재 책에 없다(今本無)),이는 한 영웅 신기한 힘의 뛰어나고 훌륭함이다(則益見此一英雄神力之偉大也)。옥초는(沃焦者),문선(文選) 혜숙야(嵇叔夜) 양생론(養生論)注引장자(莊子) 사마표(司馬彪)注云:「부상의 동쪽에는(在扶桑之東),한 개의 돌이 있는데(有一石),둘레는 사만 리에(方圓四萬里),두께가 사만 리다(厚四萬里),바닷물이 들어오면(海水注之),끊임없이 불타올라(莫不燋盡),이름이 옥초가 되었다(故名沃燋焉)。」고소설구침(古小說鉤沈)모음(輯) 현중기(玄中記)亦云:「세상의 강한 사람은(天下之強者),동쪽 바다의 옥초이고(東海之沃焦焉),물이 들어가도 상관이 없다(水灌之而不已)。옥초는(沃焦者),산의 이름이고(山名也),동쪽 바다 남쪽에 삼만 리에 걸쳐 있다(在東海南方三萬里),바닷물이 들어가면 순식간에 사라지고(海水灌之而即消),물이 동남쪽으로 흘러 가득차지 않는다(故水東南流而不盈也)。」귀허의 종류다(蓋歸墟之類),이 예사 아홉 개의 해를 쏜 신화가 아직 가시지 않고 남아 있는 소리다(此羿射九日神話之餘音也)。희화는 산해경에서 해의 어머니가 되었고(羲和在山海經為日母),회남자에서는 아주 달라져 해를 몰게 되었다(在淮南子又一變而為日御)。초학기(初學記)卷一引회남자(淮南子)云:「양곡에서 해가 돋고(日出于暘谷),함지에서 목욕하며(浴于咸池),부상에서 털어 낸다(拂于扶桑),이를 신명이라 일컫는다(是謂晨明);부상의 위에 오르고(登于扶桑之上),처음 움직이면(爰始將行),이를 비명이라 일컫는다(是謂朏明);곡아에 이르면(至于曲阿),이를 조명이라 한다(是謂朝明);증천에서 내려다보면(臨于曾泉),이를 조식이라 한다(是謂早食);상야에서 머무를면(次于桑野),이를 안식이라 일컫는다(是謂晏食);형양에 도달하면(臻于衡陽),이를 우중이라 일컫는다(是謂禺中);곤오에서 마주하면(對于昆吾),이를 정중이라 일컫느다(是謂正中);조차에서 흩어지면(靡于鳥次),이를 소천이라 일컫는다(是謂小遷);비곡에 이르면(至于悲谷),이를 포식이라 일컫는다(是謂晡食);여기에 돌아오면(迴于女紀),이를 대천이라 일컫는다(是謂大遷);천우를 지나면(經于泉隅),이를 고용이라 일컫느다(是謂高舂);연석에서 머무르면(頓于連石),이를 하용이라 일컫는다(是謂下舂);이에 희화가 머무르고(爰止羲和),이에 육리가 휴식하면(爰息六螭),이를 현거라 일컫는다(是謂懸車)(고유(高誘)注:『해가 수레에 올르자 여섯 용에게 멍에를 씌워(日乘車駕以六龍),희화가 몰았고(羲和御之),일지가 이에 우천에 가까워지면 (日至此而薄於虞泉),희화는 육리로 돌아오기에 이르렀다(羲和至此而迴六螭)』);우천에 가까워지면(薄於虞泉),이를 황혼이라 일컫는다(是謂黃昏);몽곡에 스며들면(淪于蒙谷),이를 정혼이라 일컫는다(是謂定昏);해가 엄자로 들어가서(日入崦嵫),가지가 가는 버드나무를 지나(經於細柳),우천의 땅으로 들어가(入虞泉之地),몽곡의 물가에 동이 트고(曙于蒙谷之浦),해가 서쪽으로 그림자가 드리워져서 나무 끝에 있으면(日西垂景在樹端),상유라 일컫는다(謂之桑榆)。」현재 회남자 천문편과 서로 조금 다르다(今淮南子天文篇文小有異同),가장 크게 다른 곳(其最大差異)為초학기(初學記)引「이에 희화가 머무르고(爰止羲和),이에 육리가 휴식하면(爰息六螭)」두 문장은(二語),현재 책에(今本作)「이에 그 여자가 머무르고(爰止其女),이에 그 말이 휴식하면(爰息其馬)」,후세 사람들이 확실하지 않은 옛 정의를 터무니 없게 고침(蓋後人不明古誼而妄改之也)。이 글에 희화가 해를 몰고 다닌다 기록되었는데(此文記羲和御日而行),여러 길을 헤아린 경험과歷諸程途,경관이 기이하고 크게 빛나(景象之瑰奇偉麗),해를 낳고 해를 씻는 것이 줄어들지 않고(亦不減於生日浴日),신화가 변화하고 발전하였다(蓋神話之演變也)。至동명기(洞冥記)乃又삼족오는 해가 탄 수레를 몰게 변화하고 발전하였다(演變為三足烏駕日車)。卷四云:「동북쪽에 지일초가 있고(東北有地日之草),서남쪽에 춘생초가 있으며(西南有春生之草),삼족오는 자주 땅으로 내려와 이 풀을 먹는다(……三足烏數下地食此草)。희화는 해를 부리길 원하여(羲和欲馭),손으로 까마귀의 눈을 가려(以手揜烏目),땅으로 내려가는 것을 들어 주지 않았다(不聽下也)。풀을 먹으면 늙지 않을 수 있고(食草能不老),이 풀을 먹으면 새와 짐승을 부릴 수 있다(他鳥獸食此草),맛은 좋으나 혼미해져 움직일 수 못한다(則美悶不能動矣)。」희화는 비록 해를 몰게 되었지만(羲和雖仍為日御),수레를 모는 것은 이미 여섯 용이 아니다(駕車者已非六龍)。至於서요전(書堯典)以희화는 희씨와 화씨 두 사람으로 되었고(羲和為羲氏和氏二人),또한 세상의 사계절을 관리하게 되었다(且為掌天地四時之官),신화의 기록이 변하여(則又神話之歷史化),이야기할 거리가 되지 못한다(不足論矣)。


有蓋猶之山者,其上有甘柤1,枝榦皆赤,黃葉,白華,黑實。

개유산이 있는데, 산 위에 있는 감사는, 가지와 줄기가 모두 붉고, 누런 잎에, 흰 꽃이 피며, 검은 열매가 열린다.


東又有甘華2,枝榦皆赤,黃葉。

동쪽에는 또 감화가 있는데, 가지와 줄기가 모두 붉고, 잎이 누렇다.


有青馬3。

푸른 말이 있다.


有赤馬,名曰三騅4。

붉은 말이 있는데, 이름을 삼추라 한다.


有視肉。

시육이 있다.


1 원가기록(珂案):감사(甘柤)見해외북경(海外北經)「평구(平丘)」節注。

2 원가기록(珂案):감화(甘華)亦見해외북경(海外北經)「평구(平丘)」節。

3 원가기록(珂案):푸른 말(青馬)已見해외동경(海外東經)「차구(嗟丘)」節。

4 원가기록(珂案):삼추(三騅)已見대황동경(大荒東經)「삼청마(三青馬)、삼추(三騅)」節。경문에 이미(經文既)云「붉은 말이 있는데(有赤馬),이름을 삼추라 한다(名曰三騅)」,삼추는 삼추가 아니다(則三騅非三騅也),이는 한 짐승의 이름이다(當是一動物之名),이 경문 첫 구절에 이른바 쌍쌍이란 짐승의 종류로 의심(疑即此經首節所謂「쌍쌍(雙雙)」之獸之類),자세한 설명은 구절 설명(詳該節注)。


有小人名曰菌人1。

균인이라 불리는 작은 사람이 있다


1 곽박(郭璞)云:「音如조균의 균(朝菌之菌)。」학의행(郝懿行)云:「此即조균의 균(朝菌之菌),또 발음이 같다(又音如之),잘못된 글자가 있다고 의심(疑有訛文)。或經當為강구의 강(𡹤狗之𡹤)。균인은 정인의 종류고(菌人蓋靖人類也),已見대황동경(大荒東經)。」원가기록(珂案):태평광기(太平廣記)卷四二八引박물지(博物志) 일문(逸文)云:「서북쪽 황무지 안에 작은 사람이 있는데(西北荒中有小人),키가 일 촌이고(長一寸),그 임금은 붉은 옷을 입고 머리에 갓을 썼다(其君朱衣元冠),낙타가 끄는 수레를 타고 있으며(乘駱車馬),엄숙한 용모와 장중한 태도로 거주한다(引為威儀居處)。그 수레에서 사람을 만나면(人遇其車),음식을 차려주는데(抵(조(抓)?)而食之),그 맛이 맵다(其味辛),일 년 내내 물건은 잠깐 보지 않고(終年不為物所咋),갖가지 수많은 물건의 이름을 모두 기록한다(並識萬物名字)。또 배 속의 삼충을 없애야 하는데(又殺腹中三蟲),삼충이 죽어야(三蟲死),편한게 선약을 먹을 수 있다(便可食仙藥也)。」或即균인의 종류다(菌人之類也)。오임신(吳任臣) 광주(廣註)引남월지(南越志)云:「은산에 여수가 있는데(銀山有女樹),하늘이 밝을 무렵 모든 아이가 태어나는데(天明時皆生嬰兒),해가 솟으면 걸을 수 있고(日出能行),해가 지면 죽는다(日沒死),해가 솟으면 다시 살아난다(日出復然)。」又引사물감주(事物紺珠)云:「해아수가 대식국에서 나오는데(孩兒樹出大食國),붉은 잎이고(赤葉),가지에서 어린아이가 태어나며(枝生小兒),키는 육칠 촌이다(長六七寸),사람을 보면 웃는다(見人則笑)。」역시 이러한 종류 아닐까(亦斯之類與)?


有南類之山,爰有遺玉、青馬、三騅、視肉、甘華,百穀所在1。

남류산이 있는데, 여기에는 유옥과 청마 삼추와 시육와 감화가 있고, 온갖 곡식이 있는 곳이다.


1 원가기록(珂案):即해외북경(海外北經) 평구(平丘)、해외동경(海外東經) 차구(嗟丘)의 종류(之類),옛 신인이 살고 있는 땅이다(蓋古神人所居之地也)。

대황남경(大荒南經) 원문

산해경/대황남경 2018. 2. 28. 00:00

南海之外,赤水之西,流沙之東1,有獸,左右有首2,名曰[足朮]踢3。有三青獸相并,名曰雙雙4。

1 郭璞云:「赤水出昆侖山,流沙出鍾山也。」珂案:郭注「赤水出昆侖山,流沙出鍾山」,俱見海內西經。

2 郝懿行云:「并封前後有首,此左右有首,所以不同并封,見海外西經。然大荒西經之屏蓬即并逢也,亦云左右有首。」珂案:此「左右有首」之[足朮]踢,亦并封之類也,蓋獸牝牡相合之象,說已見海外西經「并封」節注。

3 郭璞云:「出[犬炎]名國;黜惕兩音。」郝懿行云:「[犬炎]名國未詳所在,疑本在經內,今逸也。」畢沅云:「呂氏春秋本味篇云:『伊尹曰:「肉之美者,述蕩之掔。」』高誘注曰:『獸名,形則未聞。』案即是此也。又案[足朮]踢當為述蕩之誤,篆文、足相似,故亂之。」珂案:果如畢說,或述蕩是[足朮]踢之訛,亦未可知。

4 郭璞云:「言體合為一也。公羊傳所云:雙雙而俱至者,蓋謂此也。」郝懿行云:「郭引宣五年傳文也。楊士勛疏引舊說云:『雙雙之鳥,一身二首,尾有雌雄,隨便而偶;常不離散,故以喻焉。』是以雙雙為鳥名,與郭異也。」珂案:雙雙之獸(或鳥),亦并封之類也。然雙雙而謂「三青獸相并」則所未詳。大荒東經所謂「三青馬」、「三青鳥」、「三騅」,疑亦雙雙之類也。


有阿山者。南海之中,有氾天之山,赤水窮焉1。赤水之東,有2蒼梧之野,舜與叔均之所葬也3。爰有文貝4、離俞5、[丘鳥]久6、鷹、賈7、委維8、熊、羆、象、虎、豹、狼、視肉。

1 郭璞云:「流極於此山也。」珂案:西次三經云:「昆侖之丘,赤水出焉,而東南流注於氾天之水。」即此。

2 郝懿行云:「藝文類聚八十四卷及太平御覽五百五十五卷並引此經無有字。」

3 郭璞云:「叔均,商均也。舜巡狩,死於蒼梧而葬之,商均因留,死亦葬焉。基在今九疑之中。」郝懿行云:「海內南經既云『蒼梧之山,帝舜葬於陽,帝丹朱葬於陰』,此又云『舜與叔均之所葬』,將朱、均二人皆於此焉堋邪?又郭云叔均,商均;蓋以為舜之子也。然舜子名義鈞,封於商,見竹書紀年(今本——珂),不名叔均。而大荒西經有叔均,為稷弟台璽之子,海內經又有叔均,為稷之孫,準斯以言,此經叔均,蓋未審為何人也。郭云:『基在今九疑之中。』基當為墓字之訛。御覽五百五十五卷引此注作『墓今在九疑山中』也。」珂案:郭注「基在今九疑之中」,王念孫亦校基作墓。又云:「西經(大荒西經)云:『稷之弟台璽生叔均。』是叔均非商均也。海內經云:『稷之孫曰叔均。』」是王、郝俱不以郭注叔均即商均為然。然此叔均,實是商均,叔、商一聲之轉。能與舜同葬,非舜子商均不足當之。舜與商均同葬蒼梧,並無礙於海內南經所云「蒼梧之山,帝舜葬於陽,帝丹朱葬於陰」之不同傳說之流播。郝云「將朱、均二人皆於此焉堋」,未免失之拘矣。至叔均又謂是稷弟台璽之子或謂是稷之孫者,尤見神話傳說之錯綜紛歧無定,是書非出自一手,蓋各記其所傳聞,不足異也。

4 郭璞云:「即紫貝也。」珂案:爾雅釋魚郭璞注云:「今之紫貝,以紫為質,黑為文點。」即此。

5 郭璞云:「即離朱。」珂案:離朱已見海外南經「狄山」節。

6 郭璞云:「即鵂鶹也。」珂案:經文[丘鳥]久已見海外南經「狄山」節。

7 郭璞云:「賈亦鷹屬。」郝懿行云:「水經水注引莊子曰:『雅,賈。』馬融亦曰:『賈,烏。』(亦水注引——珂)皆烏類,非郭義也。」

8 郭璞云:「即委蛇也。」珂案:海內經云:「南方有人曰苗民。有神焉,人面蛇身,長如轅,左右有首,衣紫衣,冠旃冠,名曰延維。人主得而饗食之,伯天下。」郭於「延維」下注云「委蛇」,是延維亦即此委維也。有關委維即委蛇之神話,詳海內經「苗民神延維」節注。


有榮山,榮水1出焉。黑水之南,有玄蛇,食麈2。

1 珂案:經文榮山、榮水,吳任臣廣注本、畢沅校本、百子全書本並作滎山、滎水。

2 郭璞云:「今南山[虫丹]蛇吞鹿,亦此類。」郝懿行云:「南山當為南方,字之訛也。南方[虫丹]蛇吞鹿,已見海內南經(「巴蛇食象」節——珂)注。」珂案:郭注「南山」,王念孫校亦作「南方」,宋本正作「南方」。


有巫山者,西有黃鳥。帝藥,八齋1。黃鳥于巫山,司此玄蛇2。

1 郭璞云:「天帝神仙藥在此也。」珂案:此經下文云:「大荒之中,有雲雨之山,有木名曰欒。禹攻雲雨,有赤石焉生欒,黃本、赤枝、青葉,群帝焉取藥。」大荒西經云:「大荒之中,有靈山,巫咸、巫即、巫、巫彭、巫姑、巫真、巫禮、巫抵、巫謝、巫羅十巫,從此升降,百藥爰在。」說文一云:「靈,巫也,以玉事神。」是靈、巫古本一字。又巫山有朝雲暮雨神話傳說。疑雲雨山與靈山均即巫山之異名(各詳該節注)。而二地均有神藥,此巫山「帝藥,八齋」之說所由起也。郭注「神仙藥」者,當即是神仙不死藥也。

2 郭璞云:「言主之也。」珂案:或謂黃鳥司察此「食麈」之貪婪玄蛇,防其竊食天帝神藥也。古黃、皇通用無別,黃鳥即皇鳥,蓋鳳皇屬之鳥也。周書王會篇云:「方揚以皇鳥。」爾雅釋鳥云:「皇,黃鳥。」即此是也。北次二經泰頭之山有黃鳥,則是別一種鳥,非此。


大荒之中,有不庭之山1,榮水窮焉2。有人三身,帝俊妻娥皇,生此三身之國3,姚姓,黍食,使四鳥4。有淵四5方,四隅皆達6,北屬黑水,南屬大荒7,北旁名曰少和之淵,南旁名曰從淵8,舜之所浴也9。

1 郝懿行云:「呂氏春秋諭大篇云:『地大則有常祥、不庭、不周。』高誘注以『不周』為山,則『不庭』亦山名矣,即此。」

2 珂案:榮水出榮山,流極於此也。

3 郭璞云:「蓋後裔所出也。」珂案:海外西經有三身國,海內經言帝俊生三身,即此。

4 郭璞云:「姚,舜姓也。」珂案:說文十二云:「虞舜居姚虛,因以為姓。」則此經妻娥皇而生三身之帝俊,其為舜也明矣。

5 珂案:御覽卷三九五引此經四作正。

6 郭璞云:「言淵四角皆旁通也。」珂案:經文「四隅皆達」御覽卷三九五引達作通。

7 郭璞云:「屬猶連也。」

8 郭璞云:「音驄馬之驄。」珂案:經文「從淵」,宋本作「[犬從]淵」,御覽卷三九五引作「縱淵」,引郭注「音驄馬之驄」作「音烏懸反」;疑注文本當作「從(或[犬從]、縱),音驄馬之驄;淵,音烏懸反」:各脫其半也。

9 郭璞云:「言舜嘗在此澡浴也。」珂案:御覽卷三九五引郭注作「言常在中澡洗」,經於帝俊生三身下又云「舜之所浴」,帝俊之即舜益已明矣。


又有成山,甘水窮焉1。有季禺之國,顓頊之子,食黍2。有羽民之國,其民皆生毛羽3。有卵民之國,其民皆生卵4。

1 郭璞云:「甘水出甘山,極此中也。」珂案:甘水已見大荒東經。

2 郭璞云:「言此國人顓頊之裔子也。」

3 珂案:羽民國已見海外南經。

4 郭璞云:「即卵生也。」郝懿行云:「郭注羽民國云『卵生』,是羽民即卵生也。此又有卵民國,民皆卵生,蓋別一國。郭云即卵生也,似有成文,疑此國本在經中,今逸。」


大荒之中,有不姜之山,黑水窮焉1。又有賈山,汔水出焉。又有言山。又有登備之山2。有恝恝之山3。又有蒲山,澧4水出焉。又有隗山5,其西有丹6,其東有玉。又南有山,漂水出焉7。有尾山。有翠山8。

1 郭璞云:「黑水出昆侖山。」珂案:黑水出昆侖西北隅,已見海內西經。

2 郭璞云:「即登葆山,群巫所從上下者也。」珂案:登葆山見海外西經「巫咸國」節。

3 郭璞云:「音如券契之契。」

4 郭璞云:「音禮。」

5 郭璞云:「音如隗囂之隗。」珂案:宋本作「音槐囂」,今本是也。

6 郝懿行云:「經內丹類非一,此但名之曰丹,疑即丹雘之省文也。」

7 郭璞云:「音票。」珂案:吳寬抄本經文作溧,注作栗。宋本經文作漂,注作栗。毛扆云:「經漂音栗,二者必有一誤,當從吳寬抄本。」何焯校同。從吳寬抄本是也。此經漂音票,與吳寬本異。

8 郭璞云:「言此山有翠鳥也。」郝懿行云:「翠亦尾也。(禮記)內則云:『舒雁翠,舒鳧翠。』」珂案:郭、郝二氏之說,恐均與山名無關。


有盈民之國,於姓,黍食。又有人方食木葉1。

1 郝懿行云:「呂氏春秋本味篇高誘注云:『赤木玄木,其葉皆可食,食之而仙也。』又穆天子傳(卷四)云:『有模堇,其葉是食明后。』亦此類。」


有不死之國,阿姓,甘木是食1。

1 郭璞云:「甘木即不死樹,食之不老。」珂案:不死之國,即不死民,見海外南經;不死樹在昆侖山上,見海內西經。


大荒之中,有山名曰去。南極果,北不成,去果1。

1 郭璞云:「音如風之。未詳。」郝懿行云:「集韻云:『,充至切,音廁,風病也。』是即風之。郭氏又音如之,疑有訛字。」珂案:郭注「未詳」,蓋義未詳也。此疑當是巫師詛咒語滲入文中者,大荒西經「江山之南棲為吉」亦同然,魯迅中國小說史略謂山海經「蓋古之巫書」,亦略可見矣。


南海渚中,有神,人面,珥兩青蛇,踐兩赤蛇,曰不廷胡余1。

1 郭璞云:「神名耳。」珂案:郭注「神名耳」宋本、吳任臣本作「一神名耳」,是也;毛扆、孫星衍校均增「一」字。


有神名曰因因乎,南方曰因乎,夸風曰乎民1,處南極以出入風2。

1 郭璞云:「亦有二名。」珂案:郭注「二名」宋本、毛扆本作「三名」,字之訛也。經文「有神名曰因因乎,南方曰因乎,夸風曰乎民」,揆以大荒東經「(有神)名曰折丹,東方曰折,來風曰俊」文例,疑當作「有神名曰因乎,南方曰因,來風曰民」,上因字與下二乎字俱衍文,夸風則來風之訛也。

2 郝懿行云:「大荒東經有神名曰折丹,處東極以出入風,此神處南極以出入風,二神處巽位以調八風之氣也。」


有襄山。又有重陰之山。有人食獸,曰季釐。帝俊生季釐1,故曰季釐之國。有緡淵2。少昊生倍伐,倍伐降處緡淵。有水四方,名曰俊壇3。

1 郝懿行云:「文十八年左傳云:高辛氏才子八人,有季貍;貍、釐聲同,疑是也。是此帝俊又為帝嚳矣。」珂案:帝俊本即帝嚳。初學記卷九引帝王世紀云:「帝嚳自言其名曰。」即為最直接而有力之證據。大荒西經云:「帝俊生后稷。」大戴禮帝繫篇則云:「帝嚳上妃姜嫄氏產后稷。」大荒西經有「帝俊妻常羲」,世本王侯大夫譜亦有「帝嚳次妃,娵訾氏之女曰常儀」,常儀即常羲也。此經帝俊生季釐同於帝嚳才子八人之季貍,特相同點之一也。

2 郭璞云:「音昏。」

3 郭璞云:「水狀似土壇,因名舜壇也。」珂案:郭注「俊壇」作「舜壇」,是郭復以帝俊即舜矣。


有臷民之國1。帝舜生無淫,降臷處2,是謂巫臷民。巫臷民3姓,食穀,不績不經,服也4;不稼不穡,食也5。爰有歌舞之鳥,鸞鳥自歌,鳳鳥自舞。爰有百獸,相群爰處。百穀所聚6。

1 郭璞云:「為人黃色。」珂案:臷國已見海外南經。

2 珂案:經文「降臷處」上,當尚有「無淫」二字。

3 珂案:宋本、毛扆本作盼。

4 郭璞云:「言自然有布帛也。」

5 郭璞云:「言五穀自生也;種之為稼,收之為穡。」

6 珂案:臷民國蓋即大荒西經沃民國之類也,言其饒沃,故曰不績不經,不稼不穡:蓋神之裔,得天獨厚也。


大荒之中,有山名曰融天,海水南入焉1。

1 郝懿行云:「大荒北經云:『不句之山,海水入焉。』蓋海水所瀉處,必有歸虛尾閭為之孔穴,地脈潛通,故曰入也。下又有天臺高山,為海水所入。大荒北經亦有北極天櫃,海水北注焉。皆海之所瀉也。」珂案:海水入山,蓋古人臆想,近神話矣。


有人曰鑿齒,羿殺之1。

1 郭璞云:「射殺之也。」珂案:羿殺鑿齒,已見海外南經。


有蜮山者,有蜮民之國1,桑姓,食黍2,射蜮是食3。有人方扜弓射黃蛇4,名曰蜮人。

1 郭璞云:「音惑。」

2 王念孫云:「御覽南蠻六(卷七九0)作食桑。」

3 郭璞云:「蜮,短狐也;似鱉,含沙射人,中之則病死。此山出之,亦以名云。」珂案:詩何人斯云:「為鬼為蜮,則不可得。」楚辭大招亦云:「魂乎無南,蜮傷躬只。」蜮之為害,可以見矣。說文十三云:「蜮,短狐也,似鱉,三足,以氣射害人。」短狐,漢書作短弧。五行志云:「蜮在水旁,能射人,射人有處,甚者至死,南方謂之短弧。」顏師古注云:「即射工也,亦呼水弩。」博物志異蟲云:「江南山谿中,水射工蟲,甲類也,長一二寸,口中有弩形,氣射人影,隨所著處發瘡,不治則殺人。」餘說蜮者大同小異,多難悉記,實可畏也。惟古小說鉤沉輯玄中記云:「蜮長三四寸,蟾蜍、鸑鷟、鴛鴦悉食之。」幸亦見制於物矣。而此經蜮民,乃「射蜮是食」,則亦除害之異人也。

4 郭璞云:「扜,挽也,音紆。」郝懿行云:「扜亦音烏,扜訓挽者,呂氏春秋壅塞篇云:『扜弓而射之。』高誘注云:『扜,引也。』義同郭。玉篇云:『扜,持也。』」


有宋山者,有赤蛇,名曰育蛇。有木生山上,名曰楓木。楓木,蚩尤所棄其桎梏1,是為楓木2。

1 郭璞云:「蚩尤為黃帝所得,械而殺之,已摘棄其械,化而為樹也。」郝懿行云:「郭注摘棄之摘當為擿,字之訛也。」

2 郭璞云:「即今楓香樹。」

   珂案:關於蚩尤被殺神話,已見大荒東經「應龍」節注:蓋傳說非一,此其一也。路史後紀四蚩尤傳于記蚩尤被殺之後,復說云:「後代聖人著其像于尊彝,以為貪戒。」其說當有所本。羅苹注云:「蚩尤天符之神,狀類不常,三代彝器,多著蚩尤之像,為貪虐者之戒。其狀率為獸形,傅以肉翅。」(吳任臣山海經廣注(大荒北經)引博古圖略同此說。)揆其所說,殆饕餮也。左傳文公十八年云:「縉雲氏有不才子,貪于飲食,冒于貨賄,侵欲崇侈,不可盈厭;聚斂積實,不知紀極;不分孤寡,不恤窮匱;天下之民,以比三凶,謂之饕餮。」史記五帝本紀集解引賈逵曰:「縉雲氏,姜姓也,炎帝之苗裔,當黃帝時任縉雲之官也。」而蚩尤姜姓,亦炎帝之苗裔,故說蚩尤即是此縉雲氏之「不才子」饕餮,乃大有可能也。呂氏春秋先識篇云:「周鼎著饕餮,有首無身,食人未咽,害及己身,以言報更也。」然殷周鼎彝所著饕餮圖形,實非「無身」也,其全部之身已圖案化而為首矣,細視之則尾足俱在,其背且傅有肉翅,正路史注所說蚩尤形像也。呂覽所云,殊未省察,不足信也。然謂是「饕餮」則無可疑。北次二經云:「鉤吾之山,有獸焉,其狀羊身而人面,其目在腋下,虎齒人爪,其音如嬰兒,名曰鴞,是食人。」郭璞注云:「為物貪惏,食人未盡,還害其身,像在夏鼎,左傳所謂饕餮也。」圖讚大體與注相同,惟於「食人未盡」下作「還自齦割」,則尤形象生動而達意。郭注鴞即饕餮,當有古說憑依,非臆說也。而鴞為物,固「羊身、虎齒、人爪」,非如呂覽所說「有首無身」者。郭注多取呂覽之說,獨棄「有首無身」一語,更證以今殷周鼎彝饕餮圖形,以知呂覽此說蓋妄也。大戴禮用兵篇云:「蚩尤,庶人之貪者也。」與鴞、饕餮之貪惏,義固相應,故古以蚩尤比於鴞、饕餮之獸而著於鼎彝,非無因也。神異經西南荒經云:「西南方有人焉,身多毛,頭上戴豕。貪如狠惡,好自積財,而不食人穀(史記五帝本紀正義引此經作『積財而不用,善奪人穀物』,於義為長)。強者奪老弱者,畏群而擊單,名曰饕餮。春秋言饕餮者,縉雲氏之不才子也。」是又後世本諸左氏春秋而於饕餮加以神話化之狀寫者也。果蚩尤即饕餮之說可以成立,則前代統治者於蚩尤之嫉惡詆毀,亦已甚矣。而民間相傳,則頗見同情之意。皇覽冢墓記云:「蚩尤冢,在東平郡壽張縣闞鄉城中,高七丈,民常七月祀之。」述異記亦云:「太原村落間祭蚩尤神不用牛頭。」又云:「今冀州有樂名『蚩尤戲』,其民兩兩三三,頭戴牛角而相觝。」太平御覽卷七八引龍魚河圖云:「(黃帝)制伏蚩尤,以制八方。蚩尤沒後,天下復擾亂不寧,黃帝遂畫蚩尤形像,以威天下,天下咸謂蚩尤不死,八方萬邦皆為殄服。」類乎此者,尚可臚舉。此經蚩尤棄其桎梏,化為楓木,特其一端耳。


有人方齒虎尾,名曰祖狀之尸1。

1 郭璞云:「音如柤梨之柤。」珂案:經文「祖狀之尸」,宋本、毛扆本均作「柤狀之尸」,與郭注「音如柤梨之柤」字同,蓋訛也。


有小人,名曰焦僥之國1,幾姓,嘉穀是食。

1 郭璞云:「皆長三尺。」珂案:焦僥國已見海外南經。


大荒之中,有山名[歹ㄎ]塗之山1,青水窮焉2。有雲雨之山3,有木名曰欒4。禹攻雲雨5,有赤石焉生欒6,黃本,赤枝,青葉,群帝焉取藥7。

1 郭璞云:「音朽。」郝懿行云:「玉篇云『死或作朽。』是[歹ㄎ]、朽古字同,[歹ㄎ]、醜聲相近,[歹ㄎ]塗即醜塗也。已見西次三經昆侖之丘。」珂案:西次三經云:「昆侖之丘,洋水出焉,而西南流注於醜塗之水。」郭璞注:「醜塗,亦山名也。」

2 郭璞云:「青水出昆侖。」郝懿行云:「青、清聲同,西次三經云:『昆侖,洋水出焉。』郭云『洋或作清』,即此也。」

3 珂案:[歹ㄎ]塗(醜塗)山在昆侖西南,雲雨山復在[歹ㄎ]塗山附近,以地望衡之,當即此經前文所記之巫山,亦大荒西經所記之靈山也(說已見前)。

4 珂案:經文「有木名曰欒」下,宋本、毛扆本均有郭注「音鸞」二字,今本脫去之也。

5 郭璞云:「攻謂槎伐其林木。」

6 郭璞云:「言山有精靈,復變生此木於赤石之上。」郝懿行云:「初學記三十卷引拾遺記云:『黑鯤魚千尺,如鯨,常飛往南海。或死,骨肉皆消,唯膽如石上仙欒也。』義正與此合。」

7 郭璞云:「言樹花實皆為神藥。」珂案:欒實如建木實,見海內南經,郭注本此經為說。

   禹攻雲雨神話,當即禹巫山治水之神話也。經文「赤石生欒」,郭注以為「精靈變生」,或舊有成說,惜其詳已不可得而聞矣。巫山舊有高唐神女神話(見宋玉高唐賦序),謂神女瑤姬入楚懷王夢,自云是「巫山之女,旦為朝雲,暮為行雨」,因薦枕席。疑此巫山之或稱「雲雨山」也。而唐末杜光庭鏞城集仙錄乃謂禹理水駐巫山下,遇大風振崖,功不能興,得雲華夫人即瑤姬之助,始能「導波決川,以成其功」:此雖後起之說,然知民間古固亦有禹巫山治水之神話也。其原始狀態維何?則曰:此經之「禹攻雲雨」是矣。


有國曰顓頊,生伯服1,食黍。有鼬姓之國2。有苕山。又有宗山。又有姓山。又有壑山。又有陳州山。又有東州山。又有白水山,白水出焉,而生白淵,昆吾之師所浴也3。

1 吳任臣云:「世本云:『顓頊生偁,偁字伯服。』」珂案:疑經文當作「有國曰伯服,顓頊生伯服」,脫「伯服」二字。

2 郭璞云:「音如橘柚之柚。」

3 郭璞云:「昆吾,古王者號。音義曰:『昆吾,山名,谿水內出善金。』二文有異,莫知所辨測。」郝懿行云:「昆吾,古諸侯名,見竹書。又大戴禮帝繫篇云:『陸終氏產六子,其一曰樊,是為昆吾』也。郭又引音義以為山名者,中次二經云昆吾之山是也。所引音義未審何人書名,蓋此經家舊說也。」珂案:郝說「昆吾,古諸侯名,見竹書」者,今本竹書紀年夏仲康六年「錫昆吾作伯」是也,然是書偽撰,不足信。又引大戴禮帝繫篇云者,蓋出於世本;世本(張澍集補注本)帝繫篇云:「陸終娶於鬼方氏之妹,謂之女嬇,是生六子,孕三年而不育。剖其左脅,獲三人焉;剖其右脅,獲三人焉。其一曰樊,是為昆吾;其二曰惠連,是為參胡,其三曰籛鏗,是為彭祖;其四曰求言,是為鄶人;其五曰安,是為曹姓;其六曰季連,是為羋姓。」大戴禮文字小有異同,然當以世本為準。據此則昆吾亦古神性之英雄也。


有人曰張弘,在海上捕魚。海中有張弘之國1,食魚,使四鳥。

1 郭璞云:「或曰即奇肱人,疑非。」珂案:郭說「即奇肱人」,又云「疑非」者,海外西經「奇肱之國」郭注云:「肱或作弘」,肱、弘聲同,古字通用,似此張弘即奇肱矣。然「張」非「奇」也,故郭又云「疑非」也。案此「張弘」實即海外南經所記之「長臂國」也。穆天子傳卷二云:「天子乃封長肱于黑水之西河。」郭注云:「即長臂人也,見山海經。」張、長形音俱近,是張弘即長肱亦即長臂矣。此張弘「在海上捕魚」,復與長臂國人「捕魚水中」職業相同,二國所處又俱南方,則此張弘之國之為海外南經長臂國,斷無可疑也。


有人焉,鳥喙,有翼,方捕魚于海1。大荒之中,有人名曰驩頭。鯀妻士敬,士敬子曰炎融,生驩頭。驩頭人面鳥喙,有翼,食海中魚,杖翼而行2。維宜芑苣,穋楊是食3。有驩頭之國。

1 珂案:此「捕魚于海」之「鳥喙、有翼」之人,即下文所說驩頭也。

2 郭璞云:「翅不可以飛,倚杖之用行而已。」珂案:郭注「用行」,吳任臣本作「周行」。驩頭國已見海外南經,作「讙頭國」,即丹朱國也,詳海外南經「讙頭國」節注。此又云鯀妻士敬、士敬子炎融生驩頭者,蓋傳聞不同而異辭也。

3 郭璞云:「管子說地所宜云:『其種穋、[禾己]、黑黍。』皆禾類也。苣,黑黍;今字作禾旁。起、秬、芑三音。」郝懿行云:「經蓋言驩頭食海中魚,又食芑苣穋楊之類也。穋亦禾名,今未詳。說文(七)云:『稑,疾孰也。』或作穋,音義與此同。又案郭引管子地員篇文,其穋[禾己]之字,今誤作樛杞也。」珂案:管子地員篇云:「其種大秬、細秬,黑莖青秀;……其種大樛杞、細樛杞,黑莖黑秀。」是郭注「穋、[禾己]、黑黍」當作「穋、[禾己],黑秀」。王念孫校此黑黍正作黑秀。楚辭天問敘鯀之神話云:「阻窮西征,巖何越焉?化為黃熊,巫何活焉?咸播秬黍,莆雚是營,何由并投而鯀疾修營?」郭沫若先生譯此數語云:「道路阻絕,被流東裔,鯀何以又越過了岑巖?巫師何能使他復活,死後又化為黃熊作怪?要大家播種黑小米,把萑苻雜草都剷除開?何以卻要把他流竄,把鯀恨得這樣厲害?」(屈原賦今譯)除首二句略有可商之外(詳海外西經「窮山」節注),餘均甚得原詩旨意。疑天問「咸播秬黍,莆萑是營」二語與此經「維宜芑苣,穋楊是食」二語於神話上有相當聯繫:或鯀於水厄未解、死後化熊、求活於諸巫之際,「要大家播種黑小米」以救荒者,並包括其行將遠竄南海之裔孫讙頭在內也。此「人面、鳥喙、有翼」之讙頭國人之「維宜芑苣,穋楊是食」也。以書闕有間,其詳不可得知矣。


帝堯、帝嚳、帝舜葬于岳山1。爰有文貝、離俞、[丘鳥]久、鷹2、延維、視肉、熊、羆、虎、豹;朱木,赤枝,青華,玄實3。有申山者。

1 郭璞云:「即狄山也。」珂案:狄山已見海外南經。

2 珂案:宋本、毛扆本、項絪本、吳任臣本、畢沅校本、百子全書本,鷹下俱有賈字,此脫。

3 珂案:大荒西經云:「有蓋山之國。有樹,赤皮支榦,青葉,名曰朱木。」即此。唯青葉當作青華,蓋字形之訛。


大荒之中,有山名曰天臺高山1,海水入焉2。

1 王念孫云:「御覽地部十五(卷五0)引無高山二字,地部廿五(卷六0)同。類聚水部上(卷八)同。」珂案:無高山二字是也,此疑郭注誤入經文者。

2 珂案:經文「海水入焉」疑當作「海水南入焉」,南字誤脫於下文「東南海之外」句中。經記海水入山之山凡五:一即此經前文之融天山,云「海水南入焉」;二即此;三即大荒北經之先檻大逢山,云「海北注焉」;四即同經之北極天櫃山,云「海水北注焉」;五即同經之不句山,今本云「海水入焉」,然藏經本水下有北字,是仍當作「海水北入焉」。諸山記海水所入,俱有表示方位之南北字樣,知此當亦不能例外。南字誤脫於下文句中,蓋無可疑也。


東南海之外1,甘水之閒2,有羲和之國。有女子名曰羲和3,方日浴4于甘淵5。羲和者,帝俊之妻6,生十日7。

1 珂案:北堂書鈔卷一四九、御覽卷三引此經並無南字,無南字是也。南字當是由上文「海水南入焉」句誤脫於此者,已詳上節注中。此節疑亦當在大荒東經「有甘山者,甘水出焉,生甘淵」之後,甘淵蓋即湯谷也,其地本當在東方,說詳大荒東經首節注。

2 郝懿行云:「初學記一卷及太平御覽三卷引此經作甘泉之閒,後漢書王符傳注引此經仍作甘水之閒。」

3 王念孫云:「(後漢書)王符傳無名字,初學(卷一)同,書鈔天部一(卷一四九)作名,類聚天部上(卷一)作名曰。」

4 珂案:日浴,宋本、吳寬抄本、毛扆本並作浴日,諸書所引亦均作浴日,作浴日是也。大荒西經云:「有女子方浴月。」可證。

5 郭璞云:「羲和蓋天地始生,主日月者也。故(歸藏)啟筮曰:『空桑之蒼蒼,八極之既張,乃有夫羲和,是主日月,職出入,以為晦明。』又曰:『瞻彼上天,一明一晦,有夫羲和之子,出于暘谷。』故堯因此而立羲和之官,以主四時,其後世遂為此國。作日月之象而掌之,沐浴運轉之於甘水中,以效其出入暘谷虞淵也,所謂世不失職耳。」郝懿行云:「藝文類聚(卷一)、初學記(卷一)及李賢注後漢書王符傳引此經並作『浴日于甘泉』,疑避唐(李淵——珂)諱改淵為泉耳。初學記及御覽(卷三)引經『浴日于甘泉』在『是生十日』句之下,與今本異。又引郭注云:『羲和能生日也,故曰為羲和之子』云云,亦與今本異。」珂案:郭注二暘谷宋本均作湯谷。

6 吳任臣云:「羲和,常羲有陬氏。」郝懿行云:「史記(五帝本紀)正義引帝王世紀云:『帝嚳次妃娵訾氏女曰常儀。』大荒西經又有帝俊妻常羲,疑與常儀及此經羲和通為一人耳。」珂案:吳、郝說羲和即常羲俱非也。考帝俊三妻,一羲和,即此經生十日者;一常羲,即大荒西經生十二月者;一娥皇,即此經前文生三身之國者:各俱有不同裔子,則生日之羲和當非生月之常羲可知矣。至於郝說帝俊妻常羲與帝嚳次妃娵訾氏女常儀為一人則是也,已見前「季釐之國」節注。

7 郭璞云:「言生十子各以日名名之,故言生十日,數十也。」王念孫云:「王符傳注(經文)生上有是字,御覽天部三(卷三)同,書鈔天部一(卷一四九)同,類聚天部上(卷一)同,初學(卷一)同。」郝懿行云:「郭注生十日下,疑脫日字(當作「生十日,日數十也」,王念孫校同——珂)。羲和十子,它書未見,藝文類聚五卷引尸子曰:『造曆數者羲和子也。』然其名竟無考。」

   珂案:郭注「羲和生十日」,多以人事現象釋神話,於義無當,其云「生十子各以日名名之」尤迂,蓋於神話缺少理解也。羲和生十日者,天上之日十也;猶常羲生月十二,天上之月十二也。古神話蓋以天、地、日、月、星辰均神所創造,故言生日生月,非「生子以日名名之」也。至於日之數十而月之數十二者,洪古災變之際,人民想象中之夸張也。今留一日一月者,有神性英雄射落之也。苗族、彝族均有射日射月神話,即其證。今神話中唯有羿射九日神話而無射月神話者,蓋已散亡也。推想古傳,既有淮南子所記羿妻常娥竊藥奔月神話,則其餘十一月,或亦由羿射落之,未可知也。羿射九日,神話中又有「落為沃焦」之說(見莊子秋水篇成玄瑛疏引山海經,今本無),則益見此一英雄神力之偉大也。沃焦者,文選嵇叔夜養生論注引莊子司馬彪注云:「在扶桑之東,有一石,方圓四萬里,厚四萬里,海水注之,莫不燋盡,故名沃燋焉。」古小說鉤沈輯玄中記亦云:「天下之強者,東海之沃焦焉,水灌之而不已。沃焦者,山名也,在東海南方三萬里,海水灌之而即消,故水東南流而不盈也。」蓋歸墟之類,此羿射九日神話之餘音也。羲和在山海經為日母,在淮南子又一變而為日御。初學記卷一引淮南子云:「日出于暘谷,浴于咸池,拂于扶桑,是謂晨明;登于扶桑之上,爰始將行,是謂朏明;至于曲阿,是謂朝明;臨于曾泉,是謂早食;次于桑野,是謂晏食;臻于衡陽,是謂禺中;對于昆吾,是謂正中;靡于鳥次,是謂小遷;至于悲谷,是謂晡食;迴于女紀,是謂大遷;經于泉隅,是謂高舂;頓于連石,是謂下舂;爰止羲和,爰息六螭,是謂懸車(高誘注:『日乘車駕以六龍,羲和御之,日至此而薄於虞泉,羲和至此而迴六螭』);薄於虞泉,是謂黃昏;淪于蒙谷,是謂定昏;日入崦嵫,經於細柳,入虞泉之地,曙于蒙谷之浦,日西垂景在樹端,謂之桑榆。」今淮南子天文篇文小有異同,其最大差異為初學記引「爰止羲和,爰息六螭」二語,今本作「爰止其女,爰息其馬」,蓋後人不明古誼而妄改之也。此文記羲和御日而行,歷諸程途,景象之瑰奇偉麗,亦不減於生日浴日,蓋神話之演變也。至洞冥記乃又演變為三足烏駕日車。卷四云:「東北有地日之草,西南有春生之草,……三足烏數下地食此草。羲和欲馭,以手揜烏目,不聽下也。食草能不老,他鳥獸食此草,則美悶不能動矣。」羲和雖仍為日御,駕車者已非六龍。至於書堯典以羲和為羲氏和氏二人,且為掌天地四時之官,則又神話之歷史化,不足論矣。


有蓋猶之山者,其上有甘柤1,枝榦皆赤,黃葉,白華,黑實。東又有甘華2,枝榦皆赤,黃葉。有青馬3。有赤馬,名曰三騅4。有視肉。

1 珂案:甘柤見海外北經「平丘」節注。

2 珂案:甘華亦見海外北經「平丘」節。

3 珂案:青馬已見海外東經「嗟丘」節。

4 珂案:三騅已見大荒東經「三青馬、三騅」節。經文既云「有赤馬,名曰三騅」,則三騅非三騅也,當是一動物之名,疑即此經首節所謂「雙雙」之獸之類,詳該節注。


有小人名曰菌人1。

1 郭璞云:「音如朝菌之菌。」郝懿行云:「此即朝菌之菌,又音如之,疑有訛文。或經當為[上山下囷]狗之[上山下囷]。菌人蓋靖人類也,已見大荒東經。」珂案:太平廣記卷四二八引博物志逸文云:「西北荒中有小人,長一寸,其君朱衣元冠,乘駱車馬,引為威儀居處。人遇其車,抵(抓?)而食之,其味辛,終年不為物所咋,並識萬物名字。又殺腹中三蟲,三蟲死,便可食仙藥也。」或即菌人之類也。吳任臣廣註引南越志云:「銀山有女樹,天明時皆生嬰兒,日出能行,日沒死,日出復然。」又引事物紺珠云:「孩兒樹出大食國,赤葉,枝生小兒,長六七寸,見人則笑。」亦斯之類與?


有南類之山,爰有遺玉、青馬、三騅、視肉、甘華,百穀所在1。

1 珂案:即海外北經平丘、海外東經嗟丘之類,蓋古神人所居之地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