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북경(海外北經) 번역

산해경/해외북경 2018. 2. 28. 00:00

海外自東北陬至西北陬者1。

해외 동북쪽 구석에서 서북쪽 구석까지 기재하다


1 필원(畢沅)云:「회남자(淮南子)지형훈(墬形訓)云『동북쪽에서 서북쪽까지(自東北至西北陬)』같고(同),기종민으로 시작해(而起跂踵民),무계민으로 끝난다(終無繼民),이 글이 쓰여 있다(與此文正倒)。의심(疑)회남자(淮南子)當作서북쪽에서 동남쪽까지(自西北方至東南方),잘못 베껴 씀(或傳寫之誤也)。」원가기록(珂案):필원(畢)설명(說)틀렸다(非也);회남자(淮南子)글(文)잘못되지 않음(不誤),이 글은 스스로 잘못됨(此文自誤)。차(此)云:「동북쪽 구석에서 서북쪽 구석까지(自東北陬至西北陬)」,글 속의 모든 나라는 서쪽에 모두 나온다(則文中諸國均應西向)。지금은(今既)云「어디어디 나라는 그 동쪽에 있다(〤〤國在其東)」,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可見應是)「서북쪽 구석에서 동북쪽 구석까지(自西北陬至東北陬)」,「동(東)」「서(西)」두 글자는 서로 바꾸다(二字適倒)。또(且)해외서경(海外西經)「서남쪽 구석에서 서북쪽 구석까지(自西南陬至西北陬)」멸몽조로 시작해(起滅蒙鳥),장고국으로 끝난다(終長股國),장고국이 나오는 곳은 서북쪽 구석에 있다(長股國自應在西北陬);지금은(今既)云「무계국은 장고 동쪽에 있다(無綮之國在長股東)」,무계국은 어찌 서북쪽 구석의 나라가 아닐 수 있겠는가(則無綮之國豈非西北陬之國而何)?회남자(淮南子)동북쪽에서 서북쪽까지(自東北至西北方),그러므로 기종민으로 시작해(故起跂踵民),무계민으로 끝난다(終無繼民);이와 반대로(此與相反),무계국으로 시작해(故起無綮之國(무계민(無繼民))),기종국으로 끝난다(終跂踵國)。


之國1在長股東,為人無綮2。

무계국은 장고국 동쪽에 있다, 그곳 사람들은 장딴지가 없다.


1 곽박(郭璞)云:「音계(啟),혹은 계로 쓴다(或作綮)。」필원(畢沅)云:「설문해자(說文)계는 없는 글자(無䏿字),계로 바꾸어야 한다(當為綮),혹은 계나 계로 모두 쓰여 있다(或作啟、繼皆是)。광아(廣雅)무계로 쓰여 있다(作無啟),회남자(淮南子)무계민이라 쓰여 있다(作無繼民),고유(高誘)注云:『그곳 사람은 모두 자손이 없고(其人蓋無嗣也),북방국이다(北方之國也)。』곽박의 뜻과 다르다(與郭義異)。자림(字林)에 처음 계자가 나오며(始有綮字),장딴지라고도 한다(云腨腸),見광운(廣韻)。곽박(郭)모두 이렇게 설명 했는데(蓋以此為說),그것은 옛 글자의 옛 뜻고 맞지 않는다(其實非古字古義也)。」원가기록(珂案):필원(畢)설명(說)맞다(是也),當從광아(廣雅)무계로 썼다(作無啟);무계는(無啟),무계다(無繼也),正고유(高誘)注회남자(淮南子)이른바(所謂)「그곳 사람은 모두 자손이 없다(其人蓋無嗣也)」의 뜻이다(之義)。나라에 후손이 없다는 것은(無嗣而有國),그곳 사람은 곽박의 설명을 예로 들 수 있는데(當因其人能如郭注所)云「죽은지 백 이십 년이 되면 이내 되살아난다(死百廿歲乃復更生)」,즉 죽지 아니한다(實不死也)。대황북경(大荒北經)계무민이 있다(有繼無民),又云「후손이 없고 물고기를 먹는다(無繼子食魚)」,「계무는(繼無)」가 맞다(自是)「무계)無繼)」의 반대이고(之倒),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並校무계로 쓰여 있다(作無繼),이곳은(則此「무계국(無綮之國)」者),오히려 증거를 봤을 때 무계국으로 바꾸어야 한다(尤可證其當作「무계국(無啟之國)」也)。

2 곽박(郭璞)云:「계는(綮),내장이다(肥腸也)。그곳 사람들은 동굴에 살며(其人穴居),흙을 먹고(食土),남녀 구분이 없다(無男女),죽으면 땅에 묻는데(死即薶之),그 심장은 썩지 않는다(其心不朽),죽은지 백 이십 년이 되면 이내 되살아난다(死百廿歲乃復更生)。」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계는(綮),내장이다(肥腸也)」,내장은 장딴지로 바꾸어야 한다(肥腸當為腓腸),정강이 뼈 뒤쪽 근육(即脛骨後之肉),현재는 종아리라 바꿔 부른다(今俗呼為小腿肚者是)。그러므로 계는 계로 쓰여야 하고(然綮應作啟),위에 나온 설명과 같다(已如上說),곽박이 설명한 계는(郭注因綮為說),잘못된 것이다(不免失之)。대황북경(大荒北經)云:「계무민이 있다(有繼無民),계무민은 임씨 성을 쓰고(繼無民任姓),뼈대가 없으며(無骨子),기운과 물고기를 먹는다(食氣魚)。」무계국이다(即無啟之國也)。박물지(博物志)이인(異人)云:「무계민은(無綮民),동굴에 살고 흙을 먹으며(居穴食土),남녀 구분이 없다(無男女),죽으면 땅에 묻는데(死埋之),그 심장은 썩지 않고(其心不朽),백 년이 지나면 다시 사람으로 변한다(百年還化為人)。세민은(細民),그 간이 썩지 않고(其肝不朽),백 년이 지나면 다시 사람으로 변한다(百年而化為人),모두 동굴에서 산다(皆穴居處)。두 나라는 같은 종류(二國同類也)。」곽박이 설명한 무계민은(無綮民自本郭注為說),세민이 더해졌다(又增細民)。而유양잡조(酉陽雜俎)於이 두 설명 말고도(此二說外),녹민이 더해져 있다(復增錄民),云:「녹민은(錄民),무릎이 썩지 않고(膝不朽),묻은지 백 이십 년이 지나면 사람이 된다(埋之百二十年化為人)。」아무래도 반복되어 나온 느낌(則未免有重床疊屋之感矣)。


鍾山之神,名曰燭陰1,視為晝,瞑為夜,吹為冬,呼為夏,不飲,不食,不息,息為風2,身長千3里。

종산의 신은, 이름을 촉음이라 하는데, 눈을 뜨면 낮이 되고, 눈을 감으면 밤이 된다, 바람을 불면 겨울이 되고, 숨을 내쉬면 여름이 된다, 안 마시고, 안 먹으며, 숨 쉬지 않지만, 숨 쉬면 바람이 불다, 몸 길이가 천 리에 이른다.


在無綮之東。

무계국 동쪽에 있다. 


其為物,人面,蛇身,赤色,居鍾山下4。

그 생김새는, 사람 얼굴에, 뱀의 몸이고, 붉은 색이다, 종산 아래 살고 있다.


1 곽박(郭璞)云:「촉룡이다(燭龍也),이것은 촉구음인데(是燭九陰),이름 때문에 그리 불리운다(因名云)。」원가기록(珂案):대황북경(大荒北經)云:「서북쪽 바다 밖(西北海之外),적수의 북쪽에(赤水之北),장미산이 있다(有章尾山)。신이 있는데(有神),사람 얼굴에 붉은 빛 뱀의 몸이며(人面蛇身而赤),눈을 세로로 뜨고 있다(直目正乘)。그 눈을 감으면 어두워지고(其瞑乃晦),그 눈을 뜨면 밝아진다(其視乃明)。먹지 않고(不食),자지 않으며(不寢),쉬지도 않는다(不息),비바람을 알린다(風雨是謁)。이 촉구음은(是燭九陰),촉룡이라 일컫는다(是謂燭龍)。」촉룡을 촉음이라 하는 것은(燭龍之稱燭陰),모두 이래 저래다(蓋以此矣);장과 종은 하나의 소리로 전해진다(章、鍾則一聲之轉也)。초사(楚辭)천문(天問)云:「해는 편안히 도달하지 못했는데(日安不到)?촉룡은 어찌 빛나는가(燭龍何耀)?」대황북경(大荒北經)곽박(郭璞)注引시함신무(詩含神霧)云:「하늘을 서북쪽이 모라자고(天不足西北),음양의 알림이 있고 없으므로(無有陰陽消息),용은 불의 정기를 머금고 있는 동안 천문 속에서 비춘다(故有龍銜火精(화자는 빠짐(火字原脫)),근거(據)이선(李善)注설부(雪賦)引고침(補))以往照天門中也)。」이는 이른바(此所謂「촉음(燭陰)」也)。종산에서 해를 보지 못하는 것은(鍾山以其不見日),항상 춥기 때문이고(故常寒),이는 대초에서 말하는(此大招之所謂「넋아 북쪽으로 가지마라(魂乎無北),북에 있는 한산은(北有寒山),탁룡만이 곱구나(逴龍(촉룡(燭龍))豔只)」之「한산(寒山)」也)。고소설구침(古小說鉤沉)모음(輯)현중기(玄中記)云:「북쪽에 종산이 있는데(北方有鍾山焉),산 위에 사람 머리 같은 석수가 있고(山上有石首如人首),왼쪽 눈은 해가 되었으며(左目為日),오른쪽 눈은 달이 되었다(右目為月),왼쪽 눈을 뜨면 낮이 되고(開左目為晝),오른쪽 눈을 뜨면 밤이 된다(閉右目為夜);입을 열면 봄과 여름이 되고(開口為春夏),입을 닫으면 가을과 겨울이 된다(閉口為秋冬)。」이 사람 얼굴에 뱀의 몸의 종산의 산신은 이미 석수가 되었고(此「사람 얼굴에 뱀의 몸(人面蛇身)」之鍾山山神雖已化為「석수(石首)」),그러므로 그 신의 힘은 이미 사라졌다(然其神力固猶昨也)。설명하는 이는(說者)이 신은 원시적 개벽신이라 했으며(謂此神當即是原始的開闢神),증명하다(徵於)임방(任昉)술이기(述異記):「선유설(先儒說):반고씨의 눈물은 강과 하천이 되었고(盤古氏泣為江河),숨은 바람이 되었고(氣為風),소리는 우레가 되었으며(聲為雷),눈동자는 번개가 되었다(目瞳為電)。옛 이야기(古說):반고씨의 기쁨은 맑은 날씨가 되었고(盤古氏喜為晴),성냄는 흐린 날씨가 되었다(怒為陰)。」광박물지(廣博物志)卷九引오운력년기(五運歷年記)(삼국시대(三國)오나라(吳)서정(徐整)지음(著)):「반고의 임금은(盤古之君),용의 머리에 뱀의 몸이고(龍首蛇身),숨을 바깥으로 내보내면 비바람이 되었으며(噓為風雨),바람을 불면 천둥 번개가 되었다(吹為雷電),눈을 뜨면 낮이 되고(開目為晝),눈을 감으면 밤이 된다(閉目為夜)。」정말이다(信然)。반고는 나중에 나오는 전설의 개벽신이다(盤古蓋後來傳說之開闢神也)。

2 곽박(郭璞)云:「식은(息),내고 들이쉬는 숨기운이다(氣息也)。」왕념손(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시서(時序)십이(十二)(卷二七)作숨을 쉬면 바람이 된다(息則為風)。」

3 왕념손(王念孫)云:「예문유취(類聚)린개부(鱗介部)(卷九六)천 앞에 삼자가 있다(千上有三字)。」

4 곽박(郭璞)云:「회남자(淮南子)曰:『용의 몸에 한 개의 발(龍身一足)。』」원가기록(珂案):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云:「촉룡은 안문 북쪽에 있어(燭龍在雁門北),위우산을 덮고 있으니(蔽於委羽之山),해를 보지 못한다(不見日);그 신은 사람 얼굴에 용의 몸이며 발이 없다(其神人面龍身而無足)。」이는 곽박도 인용하였다(是郭所引也);일은 잘못된 글자(一字訛)。


一目國1在其東,一目中其面而居。

일목국은  동쪽에 있다, 한 개의 눈은 그 얼굴 가운데를 차지하고 있다.


一曰有手足2。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손과 발이 있다.


1 원가기록(珂案):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일목민이 있다(有一目民)。대황북경(大荒北經)云:「눈이 한 개인 사람이 있는데(有人一目),얼굴 가운데 있다(當面中生)。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一曰)이들은 위씨 성을 쓰고(是威姓),소호의 자식이며(少昊之子),기장을 먹는다(食黍)。」即此。해내북경(海內北經)云:「귀국은 이부의 주검 북쪽에 있다(鬼國在貳負之尸北),사람 얼굴에 눈이 한 개 달려 있는 모습이다(為物人面而一目)。」귀와 위는 가까운 소리이고(鬼、威音近), 또한 이곳은 일목국이다(當亦是一目國也)。논형(論衡)정귀편(訂鬼篇)引산해경(山海經)(현재 없는 책(今本無))云:「북쪽에 귀국이 있고(北方有鬼國),리는 용의 종류라 한다(說螭者謂之龍物也)。」이른바 용물이라 함은(何所謂「용물(龍物)」),말은 끄집어 내었으나 상세하게 말하지 않다.(則語焉而不詳也)。

2 학의행(郝懿行)云:「손발이 있다는 세 글자에서 있다는 잘못된 글자로 의심(有手足三字疑有訛)。」원가기록(珂案):「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손과 발이 있다(一曰有手足)」다섯 자는(五字),덧붙인 다음 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或涉下文「유리국은 일목 동쪽에 있다(柔利國在一目東),손과 발이 하나인 사람들이다(為人一手一足)」而衍)。


柔利國1在一目東,為人一手一足,反2,曲足居上3。

유리국은 일목 동쪽에 있다,손과 발이 하나인 사람들이고, 무릎이 반대로 돌아가 있으며, 발이 굽어 위로 되있다.


一云留利之國4,人足反折5。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류리국이라고도 하고, 사람들의 발이 반대로 꺽여 있다고 한다.


1 원가기록(珂案):대황북경(大荒北經)云:「우려국이 있다(有牛黎之國)。무골이라는 사람이 있는데(有人無骨),담이의 자식이다(儋耳之子)。」유리국이다(即柔利國也),우려와 유리는 발음이 모두 비슷하다(牛黎、柔利音皆相近);담이(儋耳)即섭이(聶耳)也。박물지(博物志)이인(異人)云:「자리국 사람들은(子利國人),손이 한 개 발이 두 개이고(一手二足),주먹이 반대로 굽어 있다(拳反曲)。」자는 유로 바꾸어야 하며(子當為柔),이는 일로 바꾸어야 한다(二當為一),모두 글자의 모양이 잘못되어 있다(並字形之訛也)。

2 원가기록(珂案):슬은(厀),옛 슬자다(古膝字),송본(宋本)、장경(藏經)本모두 슬로 쓰여 있다(並作膝)。

3 곽박(郭璞)云:「한 개의 다리와 한 개의 손이 반대로 말려서 고부라져 있다(一腳一手反卷曲也)。」

4 원가기록(珂案):류와 유의 성조 역시 비슷하다(留、柔之聲亦相近)。

5 학의행(郝懿行)云:「발이 반대로 말려서 고부라져 있고(足反卷曲),꺽인 것 같다(有似折也)。」


共工1之臣曰相柳氏2,九首,以食于九山3。

공공의 신하를 상류씨라 하는데, 머리가 아홉 개이고, 모든 산에서 나는 것을 먹었다.


相柳之所抵,厥為澤谿4。

상류가 머무는 곳은, 못이나 시냇물이 생겼다.


禹殺相柳,其血腥,不可以樹五穀種5。

우임금이 상류를 죽였는데, 그 피가 비려, 온갖 곡식의 씨를 심을 수 없었다.


禹厥之,三仞三沮6,乃以為眾帝7之臺8。

우임금은 모여 있는 피를, 세 번을 묻었으나 세 번 모두 새어 나왔고, 이에 많은 임금들이 대를 세우게 되었다.


在昆侖之北9,柔利之東。

곤륜 북쪽에 있고 , 유리의 동쪽이다.


相柳者,九首人面,蛇身而青。

상류는, 머리는 아홉 개에 얼굴은 사람이고, 푸른 빛에 뱀의 몸을 했다.


不敢北射,畏共工之臺10。

감히 북쪽을 향하여 활을 쏘지 못하는 것은, 공공의 대를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臺在其東。

대는 그 동쪽에 있다.


臺四方,隅有一蛇,虎色11,首衝南方12。

대는 네모난데, 모퉁이마다 한 마리의 뱀이 있고, 호랑이 무늬며, 머리는 남쪽을 향해 있다.


1 곽박(郭璞)云:「공공은(共工),구주를 장악하였다(霸九州者)。」원가기록(珂案):곽박(郭)설명(注)乃본(本)국어(國語)노어(魯語)「공공씨는 많은 영토의 우리머리다(共工氏之伯九有也)」설명하였고(為說),그러므로 역사를 신화로 푸는 것은(然乃以歷史釋神話),아니다(非是)。공공은 옛 하늘 신의 이름이고(共工乃古天神名),전욱과 임금이 되기위해 다투었다(與顓頊爭為帝者)。회남자(淮南子)천문편(天文篇)云:「옛날에 공공과 전욱은 임금이 되기위해 다투었는데(昔共工與顓頊爭為帝),공공이 화를 내며 부주산을 들이받아(怒而觸不周之山),천추가 부러지고(天柱折),지유가 끊어졌다(地維絕)。하늘이 서북쪽으로 기울었기 때문에(天傾西北),해와 달과 별들이 여기로 이동하였다(故日月星辰移焉);땅이 동남쪽으로 푹 꺼져있기 때문에(地不滿東南),물과 비와 티끌이 여기로 돌아온다(故水潦塵埃歸焉)。」이 공공이다(即此共工)。병략편(兵略篇)又云:「공공이 물난리를 일으켜기 때문에(共工為水害),전욱이 처벌하였다(故顓頊誅之)。」사기(史記)율서(律書)亦云:「전욱은 공공의 진영에 있는 물난리를 정리하였다(顓頊有共工之陣以平水害)。」則이 하늘 신 공공은 물의 신이다(此天神共工乃水神也)。그와 더불어 임금이 되기위해 다툰 인물이며(其與「 임금이 되기위해 다투다(爭為帝)」之對象),모든 책의 기록들이 일정하지 않다(諸書所記不一),혹은 고신이라고도 한다(或曰高辛),見於회남자(淮南子)원도편(原道篇);혹은 신농이라고도 한다(或曰神農),見於조옥집(琱玉集)卷十二장력편(壯力篇)引회남자(淮南子);혹은 축융이라고도 한다(或曰祝融),見於사기(史記)사마정(司馬貞)보삼황본기(補三皇本紀);혹은 여와라고도 한다(或曰女媧),見於노사(路史)태호기(太昊紀):그러므로 전욱과 임금이 되기위해 다투었다의 설명을 요약하면 멀지않은 가까게 된다(然要以「전욱과 임금이 되기위해 다투었다(與顓頊爭為帝)」之說為近古)。전욱은(顓頊),황제의 대수가 먼 후손이다(黃帝之裔孫也)(산해경(山海經)해내경(海內經));而국어(國語)주어(周語)위소(韋昭)注:「가시중(賈侍中)云:공공 제후는(共工諸侯),염제의 후손이고(炎帝之後),강씨 성을 쓴다(姜姓也)。」(亦本산해경(山海經)해내경(海內經)):공공과 전욱의 다툼(則共工與顓頊之爭),역시 황제와 염제의 다툼의 잔여물이다(亦黃炎鬥爭之餘緒也)。공공이 산과 부딪쳐(共工觸山),「천추가 부러지고(折天柱),지유가 끊어졌다(絕地維)」,전욱은 다스리던 옛 세계를 부정적인 규정이나 관습을 깨뜨려 버렸고(打破為顓頊所統治之舊世界),세계 양상을 변모하게 만들었다(使世界局面為之改觀),비록 어떤 느낌을 스스로 억눌러 견뎌내지 못함(雖曰「불승(不勝)」)(회남자(淮南子)병략편(兵略篇)、논형(과論衡)담천편(談天篇)、초사(楚辭)천문(天問)왕일(王逸)설명(注)등(等))역시 그 굳센 뜻은 항상 변치 않고 있다의 다툼의 의미로 보이니(亦足見其「굳센 뜻은 항상 변치 않고 있다(猛志固常在)」(도잠(陶潛)독산해경(讀山海經))之鬥爭精神矣),공공을 일컬어(謂共工為「죽지 않니함(不死)」,為「겨루어 이긴 영웅(勝利的英雄)」(모택동(毛澤東)동지(同志)어가보(漁家傲)반대(反)제 일차대(第一次大)「위초(圍剿)」설명(注釋)부연설명(按語)),누가 마땅지 않다고 말하겠는가(誰曰不宜)?혹은 공공은 우임금과의 다툼 또한 있다고 전해진다(然或又傳共工有與禹之鬥爭)。순자(荀子)성상편(成相篇)云:「우임금의 업적은(禹有功),지상의 홍수를 막고(抑下鴻),공공을 쫓아내 백성의 피해를 없앴다(辟除民害逐共工)。」우임금 역시 황제와 관계가 있는 사람이다(禹亦黃帝系之人物也)(산해경(山海經)해내경(海內經):「황제는 낙명을 낳았고(黃帝生駱明),낙명은 백마를 낳았고(駱明生白馬),백마는 곤이 되었다(白馬是為鯀)。」곤은(鯀),우임금의 아버지다(禹父也)),공공과 우임금의 다툼(共工與禹之鬥爭),역시 황제와 염제의 다툼의 잔여물이다(亦應是黃炎鬥爭之餘緒)。그렇게 신화가 널리 퍼지기에 이르러(然神話演而至此),우임금은 성과를 내어 많은 무리들에게 인정 받는 치수 영웅이 되었고(禹已成為眾所公認之治水英雄),사람들 사이에서 내려오는 이야기와 옛 책에 기록된 것이 조금도 다리지 않으므로(民間傳說與古籍記載咸無異辭),이에 우임금이 공공과 다투기도 하고 치수도 하고 있는 두 측면이고(於是站在治水對立面而與禹作鬥爭之共工),이는 반동적이고 부정적인 인물의 위치로 할 수 없어 연연하지 않는다(乃不能不居於反面人物之地位)。故산해경(山海經)乃우공공공국산이 있다(有禹攻共工國山)(대황서경(大荒西經)),이는 우임금이 공공의 신하 상류를 죽였다(此則云禹殺共工之臣相柳),均성상편(成相篇)이른바(所謂)「백성의 피해를 없앴다(辟除民害)」의 의미다(之意也)。공공은(則共工者),주선의 인물이 긍정과 부정에 따라 결정되므로(應視其所與周旋之人物而定其正反),예외없이 논의하면 안되고(非可一概而論),처음 증거(始符)모택동(毛澤東)동지(同志)부연설명(按語)「모든 말이 같지 않다(諸說不同)。내가 가진다(我取……)」주요 의미(精神),역시 이미 명확하다(亦已明矣)。

2 원가기록(珂案):대황북경(大荒北經)云:「공공의 신하 이름을 상요라 하는데(共工臣名曰相繇),아홉 개의 머리에 뱀의 몸이고(九首蛇身),몸은 똬리를 틀고 있으며(自環),구토에서 나는 것을 먹는다(食於九土)。상류가 토하고 마른 곳은(其所歍所尼),물이 나와 연못이 되었다(即為源澤)。물이 맵지는 않으나 써서(不辛乃苦),온갖 짐승이 살 수 없다(百獸莫能處)。우임금이 넘치는 물을 막아(禹湮洪水),상요를 죽였다(殺相繇)。그 피에서 비린내가 나(其血腥臭),곡식이 나지 않고(不可生穀),그 땅에는 물이 많아(其地多水),살지 못한다(不可居也)。우임금은 흙으로 매웠는데(禹湮之),세 길 깊이로 세 번 묻었다(三仞三沮)。곧 연못이 되었고(乃以為池),많은 임금들이 이것 때문에 대를 세우는 계기가 되었다(群帝因是以為臺)。곤륜의 북쪽에 있다(在昆侖之北)。」상류다(即此相柳也)。초사(楚辭)천문(天問)云:「머리가 아홉 개인 웅훼는(雄虺九首),재빨리 어디로 가는가(儵忽焉在)?」왕일(王逸)설명(注)云:「훼는(虺),사의 다른 이름이고(蛇別名也),웅훼가 있다는(言有雄虺),한 개의 몸에 아홉 개의 머리다(一身九頭)。」역시 이것으로 의심(疑亦此也)。

3 곽박(郭璞)云:「머리가 각각 한 개의 산에서 나는 물건을 먹는다(頭各自食一山之物),탐욕스럽고 사나우며 쉽게 배불러하지 않는다(言貪暴難饜)。」

4 곽박(郭璞)云:「저는(抵),촉이다(觸);궐은(厥),굴이다(掘(송본(宋本)作저(抵)--珂)也),音게(撅)。」원가기록(珂案):經文택계는(澤谿),왕념손(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作계담(谿潭)。」현재 복사된(今影)송본(宋本)태평어람(御覽)卷六四七作계택(溪澤)。又經文궐(厥),왕념손(王念孫)注云:「궐 역시 촉이다(厥亦觸也)。」

5 왕념손(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오는 없는 글자(無五字)。」원가기록(珂案):현재 복사된(今影)송본(宋本)태평어람(御覽)卷六四七作「나무과 곡식이 살지 못한다(不可以樹㯏)」;곡은(㯏),자서에는 나오지 않으며(字書不載),곡자가 잘못된 것으로 의심(疑即穀字之訛),오는 없는 글자(無「오(五)」字)。

6 곽박(郭璞)云:「땅을 파서 흙으로 세 번을 막았지만 세 번 다 물이 넘쳤고(掘塞之而土三沮滔),그 피가 기름져 점점 배어 들어 무너졌다*言其血膏浸潤壞也)。」학의행(郝懿行)云:「설명(注)도(滔)蓋함의 잘못된 글자(陷字之訛)。」원가기록(珂案):모의(毛扆)本도자는 함자로 고쳐야 한다(滔正改作陷字)。

7 원가기록(珂案):중제는(眾帝),제요와 제곡 등 옛 임금들을 가리킨다(指帝堯、帝嚳等古帝)。

8 곽박(郭璞)云:「땅이 젖어 축축하다는(言地潤溼),흙을 쌓아 대관을 만들다(唯可積土以為臺觀)。」학의행(郝懿行)云:「해내북경(海內北經)云:『제요의 대와 제곡의 대와 제단주의 대와 제순의 대는(帝堯臺、帝嚳臺、帝丹朱臺、帝舜臺),곤륜 동북쪽에 있다(在昆侖東北)。』곽박(郭)설명(注)亦引이 경문의 설명(此經為說)。」

9 곽박(郭璞)云:「이 곤륜산은 바다 밖에 있다(此昆侖山在海外者)。」학의행(郝懿行)云:「해내북경(海內北經)云:『대는 네모나고(臺四方),곤륜 동북쪽에 있다(在昆侖東北)。』이 곤륜 역시 바다 안에 있다(是此昆侖亦在海內者),곽박(郭)설명(注)아마도(恐)틀리다(非)。」

10학의행(郝懿行)云:「신하는 임금을 피한다(臣避君也)。」원가기록(珂案):활을 쏘는 자는 공곡의 대와 공공의 명령을 어기는 것을 두려워하므로(射者畏共工之臺共工威靈),감히 북쪽으로 활을 쏘지 못한다(故不敢北射),이는 마치(猶)해외서경(海外西經)云:「궁산은 그 북쪽에 있고(窮山在其北),감히 서쪽으로 활을 쏘지 못하는 것은(不敢西射),헌원구가 두려워서이다(畏軒轅之丘)。」학의행(郝懿行)謂신하는 임금을 피한다(臣避君),틀렸다(非也)。

11학의행(郝懿行)云:「범 무늬다(虎文也)。」

12곽박(郭璞)云:「충은(衝),향과 같다(猶也)。」


深目國1在其東,為人舉一手一目2,在共工臺東。

심목국은 그 동쪽에 있다, 그곳 사람들은 한 쪽 손을 들고 있다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공공의 대 동쪽에 있다.


1 원가기록(珂案):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심목민이 있다(有深目民);대황북경(大荒北經)云:「사람들이 물고기를 먹고 살며(有人方食魚),이름을 심목국이라 한다(名曰深目之國),분씨 성을 쓰고(姓),물고기를 먹는다(食魚)。」即此。곽박(郭)설명(注)「관흉국(貫匈國)」(見해외남경(海外南經))引시자(尸子)曰:「도처의 백성은(四方之民),관융자가 있고(有貫匈者),심목자가 있고(有深目者),장굉자가 있다(有長肱(노사(路史)후기오(後紀五)설명(注)引作장고(長股)——珂)者),황제의 덕이 일찍 이르렀다(黃帝之德嘗致之)。」내려오는 전설과 어긋난다(則傳說由來遠矣)。

2 곽박(郭璞)云:「왈이라고도 쓴다(一作曰)。」학의행(郝懿行)云:「다른 문장을 이해하면 일목은 일왈로 쓰는 것이 맞다(一目作一曰連下讀是也)。」원가기록(珂案):「사람들은 한 쪽 손을 들고 있다(為人舉一手)」,이는 그림에 보는 것과 같다(是圖畫所見之象如此),「심목(深目)」아니다(非)「일목(一目)」,「일목(一目)」고쳐 써야(正當作)「일왈(一曰)」다른 문장을 이해하면 맞다(連下讀為是)。然「사람들은 한 쪽 손을 들고 있다(為人舉一手)」,설명이 맞게 된다(猶有說者)。산해경(山海經)기록된(所記)해외각국은(海外各國),이상한 모양이 아니고 남달리 뛰어난 몸가짐이며(非異形即異稟),한 나라의 특징으로 분리해야 마땅하다(無由「한 손을 들다(舉一手)」即列為一國之特徵者)。위인 다음 의심되며(疑「위인(為人)」下),심목 두 글자가 빠져 있고(尚脫「심목(深目)」二字),「그곳 사람들은 눈이 우묵하고 한 손을 들고 있다(為人深目、舉一手)」,경문에 기록은 모든 나라의 관리(官吏) 사이에 지키는 예절이 서로 들어 맞는다(即與經記諸國之體例相符矣)。


無腸之國1在深目東2,其為人長而無腸3。

무장국은 심목국 동쪽에 있다, 그곳 사람들은 키가 크고 창자가 없다.


1 원가기록(珂案):대황북경(大荒北經)云:「또 무장국이 있는데(有無腸之國),이곳은 임씨 성을 쓰고(是任姓),자식이 없으며(無繼子),물고기를 먹는다(食魚)。」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무장민이 있다(有無腸民)。

2 곽박(郭璞)云:「남으로도 쓰여 있다(一作南)。」

3 곽박(郭璞)云:「사람들 키가 크고(為人長大),배 안쪽에 내장이 없으며(腹內無腸),먹은 물건은 바로 빠져 나온다(所食之物直通過)。」학의행(郝懿行)云:「신이경(神異經)云:『지왕이라는 사람이 있는데(有人知往),내장이 없는 배가 있고(有腹無五藏),굴곡이 없고 곧게 뻗어 있어(直而不旋),먹은 물건이 바로 나온다(食物徑過)。』이것은 사람으로 의심된다(疑即斯人也)。」


聶耳之國1在無腸國東,使兩文虎2,為人兩手聶其耳3。

섭이국은 무장국 동쪽에 있다, 두 마리의 무늬있는 범을 부리며, 그곳 사람들은 두 손으로 그 귀를 잡고 있다.


縣居海水中4,及水所出入奇物5。

바다 안 마을에 살고, 이 지역은 기이한 물체들이 드나든다.


兩虎在其東6。

두 마리 범은 그 동쪽에 있다.


1 원가기록(珂案):대황북경(大荒北經)云:「담이국이 있는데(有儋耳之國),임씨 성을 쓰고(任姓),우호의 자식이며(禺號子),곡식을 먹는다(食穀)。」即此。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섭이국이 없다(無聶耳國),而云:「과보와 탐이는 그 북쪽에 있다(夸父耽耳在其北方)。」이 탐이는 담이고(是耽耳即儋耳),이 경문의 섭이다(亦即此經聶耳也)。대황북경(大荒北經)云「우호자(禺號子)」者,우호는 옹호이고(禺號即禺䝞),동해의 바다 신이다(乃東海海神)。대황동경(大荒東經)云:「황제는 우호를 낳고(黃帝生禺䝞),우호는 우경을 낳았다(禺䝞生禺京),우경은 북해에 살고(禺京處北海),우호는 동해에 살며(禺䝞處東海),이들은 바다 신이 되었다(是為海神)。」곽박(郭璞)云:「어느 책에는 호로 쓰여 있다(一本作號)。」이 우호다(即此禺號也)。

2 원가기록(珂案):문호는(文虎),조호다(雕虎) 사나운 범;已見해외남경(海外南經)곽박(郭璞)注。

3 곽박(郭璞)云:「귀가 길다(言耳長),손으로 감싸고 다닌다는 뜻이다(行則以手攝持之也);音낙과 협의 반절(諾頰反)。」원가기록(珂案):당나라(唐)이용(李冗)독이지(獨異志)云:「산해경에 대이국이 있는데(山海經有大耳國),그곳 사람들은 잠을 잘때(其人寢),항상 한 귀는 바닦에 깔고(常以一耳為席),한 귀는 이불로 썼다(一耳為衾)。」전설이 덧붙고 변해(則傳說演變),지나치게 부풀려졌다(夸張又甚矣)。

4 곽박(郭璞)云:「현은(縣),읍이다(猶邑也)。」원가기록(珂案):초학기(初學記)卷六引此經作「적수 안 마을에 산다(懸居赤水中)」。현은(縣),현의 원래 글자(懸本字);「바다 안 마을에 산다(縣居海水中)」者,섭이국이 사는 곳은 둥둥 떠다니는 바다의 섬이다(言聶耳國所居乃孤懸於海中之島也);곽박이 읍을 현으로 풀이한 것을(郭以邑釋縣),자세히 하지 않고 끝났다(殊未諦)。

5 곽박(郭璞)云:「모두 법칙이 있다(言盡規有之)。」원가기록(珂案):장경(藏經)本「기물(奇物)」作「기괴물(奇怪物)」。

6 원가기록(珂案):두 마리 범은(兩虎),위에 나온 섭이국에 사는 두 마리 무늬 있는 범이다(即上文聶耳國所使兩文虎);그 동쪽에 있다는(在其東),섭이국 동쪽에 있다고(在聶耳國之東),그림이 이와 같다(蓋圖象如此)。


夸父1與日逐走,入日2。

과보는 해와 달음질을 다투었는데, 해가 저물었다.


渴欲得飲,飲于河渭;

목이 말라 마실 것이 필요했고, 황하와 위수에서 마셨지만.


河渭不足,北飲大澤3。

황하와 위수로는 부족하여, 북쪽 대택을 마시려했다.


未至,道渴而死。

가는 도중에, 목이 말라 죽었다.


4其杖5,化為鄧林6。

짚고 있던 지팡이를 버렸는데, 그것이 등림이 되었다.


1 원가기록(珂案):대황북경(大荒北經)云:「대황의 안에(大荒之中),산이 있는데(有山),이름을 성도재천이라 한다(名曰成都載天)。두 마리 누런 뱀을 귀에 건 사람이 있는데(有人珥兩黃蛇),두 마리 누런 뱀을 손에 쥐었고(把兩黃蛇),이름을 과보라 한다(名曰夸父)。후토는 신을 낳았고(后土生信),신은 과보를 낳았고(信生夸父),과보는 자신의 힘을 헤아리지 못하고(夸父不量力),해를 쫓았고(欲追日景),우곡에 이르렀다(逮之於禺谷)。황하를 거의 마셨으나 모자라(將飲河而不足也),대택으로 걸어갔지만(將走大澤),다다르지 못하고(未至),이곳에서 죽었다(死於此)。」이는 한 신화의 다른 글이다(即此一神話之異文)。其言「후토는 신을 낳았고(后土生信),신은 과보를 낳았다(信生夸父)」,而해내경(海內經)기록(記)「염제는 염거를 낳았고(炎帝生炎居),염거는 절병을 낳았고(炎居生節並),절병은 희기를 낳았고(節並生戲器),희기는 축융을 낳았고(戲器生祝融),축융은 공공을 낳았고(祝融生共工),공공은 후토를 낳았다(共工生后土)」,과보는(則夸父者),염제의 후손이다(炎帝之裔也)。뜻을 구한다면(以義求之),모두 옛날의 어르신이다(蓋古之大人(과는(夸),대이고(大);보는(父),남자를 좋게 일컫는 것(男子美稱))也)。공공의 힘은(共工之力),산을 무너트릴 수 있는 정도다(能以摧山);「토백은 아홉 번 구부러져 있고(土伯九約),그 뿔은 날카롭게 뾰족하다(其角觺觺)」(見초사(楚辭)초혼(招魂),왕일(王逸)注:「토백은(土伯),후토의 후백이다(后土之侯伯)」);강씨 성을 쓰는 치우는(而姜姓之蚩尤),또한(亦)「짐승의 몸에 사람 말을 하며(獸身人語),구리 머리에 쇠 이마다(銅頭鐵額)」(태평어람(御覽)卷七八引용어하도(龍魚河圖))、「이의 길이가 이 촌(齒長二寸)」(술이기(述異記)):이 염제의 후손들 중(是炎帝裔屬中),매우 드물지 않게 우람하고 특이한 몸집이 큰 사람이다(頗不乏魁梧奇偉之巨人也)。

2 곽박(郭璞)云:「해가 저문 것은 말한다(言及於日將入也);축(逐)音주(冑)。」학의행(郝懿行)云「북당서초(北堂書鈔)一百三十三卷,이선(李善)注(문선(文選))서경부(西京賦)、앵무부(鸚鵡賦)及장협(張協)칠명(七命)引이 경문 모두(此經並)作『해와 경주를 했다(與日競走)』,초학기(初學記)一卷引이 경문에는(此經)作『해를 쫓았다(逐日)』,사기(史記)예서(禮書)배인(裴駰)해설서(集解)引이 경문(此經)作『해와 달리기를 했는데(與日逐走),해가 저물었다(日入)』,모두 현재 책과 다르다(並與今本異)。」왕념손(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천부삼(天部三)(卷三,影송본(宋本)作해를 쫓다(逐日)——珂)、복용십이(服用十二)(卷七一0)作경주(競走),요이삼(妖異三)(卷八八七)作경주(競走),(문선(文選))완적(阮籍)고회시(孤懷詩)注引作과보는 해와 달음질을 다투다 목이 말라 죽었고(夸父與日競逐而渴死),그의 지팡이가 변해 등림이 되었다(其杖化為鄧林),칠명(七命)注引作경주(競走),북당서초(書鈔)복식부이(服飾二)(卷一三三)作경주(競走),주식삼(酒食三)(卷一四四)同。」원가기록(珂案):경과 축은 서로 보완 관계로(競、逐互見),이것은 다른 책에는 경이로 쓰여 있다(是一本作競也)。또 경문의 입일은(又經文入日),하작(何焯)校本作일입(日入),황비렬(黃丕烈)、주숙도(周叔弢)校同。

3 원가기록(珂案):해내서경(海內西經)云:「대택은 넓이가 백 리에 이르며(大澤方百里),새떼가 알을 까고 털갈이를 하는 곳이다(群鳥所生及所解),안문 북쪽에 있다(在鴈門北)。」대황북경(大荒北經)云:「대택의 넓이가 천리이 걸쳐 있고(有大澤方千里),새떼가 털갈이를 하는 곳이다(群鳥所解)。」即이 대택(此大澤)。필원(畢沅)생각컨데(以為)即옛 한해이며(古之翰海),맞는 것으로 의심(疑是)。

4 원가기록(珂案):기는(弃),옛 기자다(古棄字)。

5 학의행(郝懿行)云:「열자(列子)탕문편(湯問篇)『짚고 있던 지팡이를 버렸는데(棄其杖)』다음(下),다섯 글자가 있다(有『주검의 기름과 육신이 스며듯 곳(尸膏肉所浸)』五字)。」

6 곽박(郭璞)云:「과보는(夸父者),선선의 이름이다(蓋神人之名也);그는 해를 따라잡으려고 하다 황하와 위수에 이르렀고(其能及日景而傾河渭),달렸는데 어찌 마실 것이 필요하지 않겠는가(豈以走飲哉),달리다 마실 것이 있는 곳에 이르렀다(寄用於走飲耳)。위태롭게도 빠르지 않고 느렸으니(幾乎不疾而速),이르지 못하게 되었다(不行而至者矣)。이는 한 몸이 여러 가지로 다 다르게 되어(此以一體為萬殊),삶과 죽음을 대신하니(存亡代謝),등림으로 도망가는 형태에 이르고(寄鄧林而遯形),악을 얻어 연구해보니 그 영혼이 변한 것이더라(惡得尋其靈化哉)!」필원(畢沅)云:「등림은 도림이다(鄧林即桃林也),등과 도는 발음이 비슷하다(鄧、桃音相近)。고유(高誘)注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云:『등은(鄧),나무다(猶木)。』맞다(是也)。열자(列子)(탕문편(湯問篇))云:『鄧林彌廣數千里。』蓋即중산경(中山經)(중차육경(中次六經))所云『과보산(夸父之山),북쪽에 도림이 있다(北有桃林)』矣。그 땅은 초나라의 북쪽 경계다(其地則楚之北境也)。」


博父國1在聶耳東,其為人大,右手操青蛇,左手操黃蛇。

박보국은 섭이국 동쪽에 있다, 그곳의 사람은 덩치가 크고, 오른손에는 푸른 뱀을 쥐고 있으며, 왼손에 누런 뱀을 쥐고있다.


鄧林在其東,二樹木2。

등림은 그 동쪽에 있다, 두 그루의 나무만 있다.


一曰博父。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박보라고도 한다.


1 원가기록(珂案):박보국은 과보국이다(博父國當即夸父國),이 박보라 는 곳 역시 과보고 바꾸어야 한다(此處博父亦當作夸父),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云:「과보와 탐이는 그 북쪽에 있다(夸父耽耳在其北)。」이렇게 일컫는게 맞다(即謂是也)。다음 문장에 나와 있는데(下文既有「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박보라고도 한다(一曰博父)」),이곳은 박보로 바꾸는 것이 마땅하지 않다는 것이 이미 명확하다(則此處不當復作博父亦已明矣);다음 문장을 이렇게 쓰면 안된다(否則下文當作「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과보라고도 한다(一曰夸父)」),두 글자는 반드시 하나의 글자일 것이다(二者必居其一也)。

2 학의행(郝懿行)云:「두 그루의 나무만 있다는(二樹木),등림은 두 그루의 나무로만 숲이 이루어져 있다는 뜻으로(蓋謂鄧林二樹而成林),나무가 크다는 말이다(言其大也)。」


禹所積石之山1在其東,河水所入2。

우소적석산은 그 동쪽에 있고, 황하가 들어가는 곳이다.


1 필원(畢沅)曰:「(當云우소도적석산(禹所導積石之山),도자가 빠짐(此脫導字)。」왕념손(王念孫)校同。원가기록(珂案):필원과 왕념손의 설명은 틀린 것으로 의심(畢王之說疑非)。찾아보다(尋檢)經文,적석산이 두 개가 있다(積石之山有二):하나는 적석이고(一曰積石),다른 하나는 우소적석이다(一曰禹所積石)。대황북경(大荒北經)云:「대황의 안에(大荒之中),산이 있는데 이름을 선함대봉산이라 한하고(有山名曰先檻大逢之山),황하와 제수가 들어가는 곳이며(河濟所入),바다 북쪽으로 들어간다(海北注焉),그 서쪽에 있는 산은(其西有山),이름을 우소적석이라 한다(名曰禹所積石)。」이 우소적석산이다(即此禹所積石山也),그 위치는 북쪽에 있다(其方位在北)。서차삼경(西次三經)云:「적석산은(積石之山),산 아래에 석문이 있고(其下有石門),황하가 좁은 협곡을 지나 서쪽으로 흘러간다(河水冒以西流)。」해내서경(海內西經)云:「동북쪽 구석에서 나오는 황하는(河水出東北隅),그 북쪽으로 흐르다(以行其北),서남쪽 흘러 또 발해로 들어가고(西南又入勃海),바다 밖으로도 나가는데(又出海外),서쪽에서 북쪽으로 흘러(即西而北),우소도적석산으로 들어간다(入禹所導積石山)。」적석산이다(即積石之山也),그 위치는 서쪽에 있다(其方位在西)。학의행(郝懿行)注이 경문(此經)以대황북경(大荒北經)우소적선은(禹所積石)即이 우소적석과(此禹所積石)、以서차삼경(西次三經)적석산은(積石之山)다른 곳이 확실하다(為非固是矣),而以해내서경(海內西經)우소도적석은 이 우소적석이 되었고(禹所導積石為此禹所積石),근거가 무엇인지 알 수 없다(則不知何所據也)。

2 곽박(郭璞)云:「황하는 곤륜의 땅 아래에서 숨어 흐르다 나와(河出昆侖而潛行地下),총령에 이르러(至嶺),염택으로 반복되어 들어갔다 나오며(復出注鹽澤),염택 남쪽에서 머물다(從鹽澤復行南),이 산에서 나온다(出於此山),중국의 황하가 되었고(而為中國河),마침내 바다로 들어간다(遂注海也)。상서(書)(우공(禹貢))曰:『황하를 적석으로 이끌다(導河積石)。』시에 막혀있다가 있는데(言時有壅塞),그러므로 좋게 이끌어 지나간다(故導利以通之)。」


拘纓之國1在其東,一手把纓2。

구영국은 그 동쪽에 있다, 한 손에 갓끈을 잡고 있다.


一曰利纓之國3。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이영국이라고도 한다.


1 원가기록(珂案):회남자(淮南子) 지형편(墬形篇) 구영민이 있다(有句嬰民),이곳이다(即此)。고유(高誘)注云:「구영은 구영이라 발음하며(句嬰讀為九嬰),북쪽에 있던 나라다(北方之國)。」자세하지 않다(則所未詳也)。

2 곽박(郭璞)云:「그곳 사람들은 항상 한 손에 관의 끈을 쥐고 있다(言其人常以一手持冠纓也)。혹은 영은 영이라 쓰여 있다(或曰纓宜作癭)。」원가기록(珂案):영은 마땅히 영으로 바꾸어야 한다(纓正宜作癭)。영은(癭),류다(瘤也),목에 많이 나며(多生於頸),그것의 크기는 조롱박 같고(其大者如懸瓠),움직이면 거치적거리기 때문에(有礙行動),반드시 손으로 잡고 있는 것이고(故須以手拘之),구영국이라 알려졌다(此「구영국(拘癭之國)」之得名也)。구영은(作拘纓者),같은 음이라 임시로 빌려쓴 것이고(同音通假),구영이 되었다(實亦拘癭),곽박의 설명과 같지 않다(非如郭注所)云「항상 한 손에 관의 끈을 쥐고 있다(常以一手持冠纓)」也。산해경(山海經)기록된(所記)다른 지방의 사람이고(殊方異域之人),이상한 모양이 아니고 남달리 뛰어난 몸가짐이며(非異形即異稟),하나의 나라를 다스리는 것에 속하게 되며 한 손에 관의 끈을 쥐고 있는 것은 하는 일이 없다(無為以「한 손에 관의 끈을 쥐고 있다(一手持冠纓)」而亦列為一國之理),이것은 모자라고 아주 깍아내리는 것이 확실하다(是不足深辨亦已明矣)。

3 강소원(江紹原) 중국 고대여행의 연구(中國古代旅行之研究)云:「리는 랄의 잘못된 글자일 수도 있다(利或是捋之訛)。」설명(說)亦참고 가능(可供參考)。


尋木長千里,在拘纓南,生河上西北1。

심목은 길이가 천 리에 이르고, 구영 남쪽에 있으며, 황하의 상류 서북쪽에서 자란다.


1 원가기록(珂案):목천자전(穆天子傳)卷六云:「천자가 황하에서 낚시를 했는데(天子乃釣于河),고요목을 보았다(以觀姑繇之木)。」곽박(郭璞)注:「고요는(姑繇),큰 나무다(大木也)。산해경(山海經)云:『심목은 길이가 천 리에 이르고(尋木長千里),황하의 주변에서 자란다(生河(하는 바다를 잘못쓴 것이고(河原訛作海),따르면(從)태평어람(御覽)卷八百三十四引고치다(改))邊)。』이 나무의 종류를 일컫느다(謂此木之類)。」같다(當如)곽박(郭)설명(說)也。고요목은(姑繇之木),요목이곡(即榣木),見서차삼경(西次三經)괴강산(槐江之山)。설문해자(說文)六云:「유는(櫾),곤륜의 황하 변두리의 큰 나무다(昆侖河隅之長木也)。」글자를 살펴보면 요자가 쓰여 있다(字省作榣耳)。심목은 이 나무의 종류다(尋木亦此木之類也)。


跂踵國1在拘纓東,其為人大,兩足亦大2。

기종국은 구영국 동쪽에 있다, 그곳 사람은 덩치가 크고, 두 발 역시 크다.


一曰大踵3。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대종이라고도 한다.


1 곽박(郭璞)云:「跂音기(企)。」

2 곽박(郭璞)云:「그곳 사람들은 걸어 다닐 때(其人行),발 뒤꿈치를 땅에 닿지 않고 다닌다(腳跟不著地也)。효경(孝經)구명결(鉤命訣曰)『초요는 발꿈치를 들다는(焦僥跂踵),변경 지방 언어가 다른 글로 번역됨(重譯塞)』也。」원가기록(珂案):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기종민이 있다(有跂踵民),고유(高誘)注云:「기종민은(跂踵民),발꿈치가 땅에 닿지 않고(踵不至地),다섯 발가락으로 다닌다(以五指行也)。」即곽박(郭)설명(注)근거(所本)。然문선(文選)왕원장은 왕융이고(王元長)곡수시서(曲水詩序)注引고유(高)注則作「반종은(反踵),나라 이름이고(國名)0,그곳 사람들은 남쪽으로 걸어가면(其人南行),발자취가 북쪽으로 되어있다(跡北向也)。」이것과 다른 뜻(與此異義)。대략 기종은 지종으로 써야 하고(大約跂踵本作支踵),지는 반과 비슷하여 잘못 바뀐 모양이며(支、反形近易訛),두 가지의 설명이 되버린 것이다(故兼二說)。기는 기로도 쓰는데(跂又作歧):여씨춘추(呂氏春秋)당염편(當染篇)云:「하나라 걸왕은 기종융 즉 간신들에게 물이 들었다(夏桀染於歧踵戎)。」이것이다(即此也)。경문에(經文)「그곳 사람들은 덩치가 크고(其為人大),두 발 역시 크다(兩足亦大)」,기종의 풀이가 충분하지 않고(不足以釋「기종(跂踵)」),착오가 있는 것으로 의심(疑有訛誤)。왕념손(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인사십삼(人事十三)作『그곳 사람들은 두 발이 모두 크다(其為人兩足皆大)』,남만 육도 같다(南蠻六同)。」조사(查)복사본(影)송본(宋本)태평어람(御覽)卷三七二(即인사십삼(人事十三))作「그곳 사람들은 두 발이 모두 크다(其為兩足皆大)」,卷七九0(即남만(南蠻)육(六))作「그곳 사람들은 두 발이 크다(其人兩足皆大)」,「기위(其為)」「기인(其人)」,각기 한 글자가 빠짐(各脫一字),蓋「기위인(其為人)」也。「그곳 사람들은 두 발이 모두 크다(其為人兩足皆大)」,근거로 확실이 인용된 것과 같이(如所引近確),則경문에(經文)「그곳 사람들은 덩치가 크고(其為人大)」의 대자는 덧붙인 글자(之大字蓋衍文也)。그러므로(然)「두 발 모두 크다(兩足皆大)」,기종을 풀이한 뜻이 모순된다(於釋「기종(跂踵)」義猶扞格)。대는 지로 바꾸어야 하는 것으로 의심되고(疑大當作支),대와 지는 모양이 비슷해 잘못됨(大、支形近而訛)。「두 발이 모두 갈라졌다(兩足皆支),기종의 정확한 풀이다(正所以釋「기종(跂踵)」也);여기 경문은 확실이 바꾸어야 한다(則此處經文實當作「그곳 사람들은 두 발이 모두 갈라졌다(其為人兩足皆支)」)。

3 학의행(郝懿行)云:「대종은 지종 혹은 반종이 되어야 하는 것으로 의심되고(大踵疑當為支踵或反踵),모두 글자 모양이 잘못되어 있다(並字形之訛)。」원가기록(珂案):作「반종(反踵)」맞다(是也)。나라 이름이 이미 기종이 되었고(國名既為「기종(跂踵)」),지종로 바꾸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則不當復作「지종(支踵)」),대종은 말이 되지 않으므로(而作「대종(大踵)」乃未聞成說),확실히 반종으로 쓰여야 한다(故實祗宜作「반종(反踵)」)。기종은 반종이 되어야하고(跂踵之為反踵),지설이 반설이 된 것과 같다(猶支舌之為反舌也)。


歐絲之野在大踵東,一女子跪據樹歐絲1。

구사의 들판은 대종 동쪽에 있고, 한 여자가 꿇어앉아 나무를 붙잡고 실을 토해낸다.


1 곽박(郭璞)云:「뽕나무를 먹고 실은 게운다는(言噉桑而吐絲),모두 누에의 종류다(蓋蠶類也)。」원가기록(珂案):박물지(博物志)이인(異人)云:「구사의 들판에(嘔絲之野),있는 여자는 나무에 기대어 꿇고앉아 실을 게우며(有女子方跪據樹而嘔絲),북쪽 바다 밖이다(北海外也)。」구사는 구사다(嘔絲即歐絲);구는(嘔),구의 속자(歐俗字)。설문해자(說文)八云:「구는(歐),토다(吐也)。」故곽박(郭)설명(注)뽕나무를 먹고 실을 게우다는 말(以噉桑吐絲為言)。필원(畢沅)云구는 구로 바꾸어야 한다는(歐當作漚),틀리다(非也)。이 간단한 신화는(此一簡單神話),蓋「잠마(蠶馬)」신화의 최초 유형이다(神話之雛型也)。삼국시대 오나라 장엄은 아마도 육조인 수필의 태고잠마기에 나오는 이 신화가 되어 전해진다(傳為三國張儼所作恐亦仍出六朝人手筆之太古蠶馬記(見수신기(搜神記)卷十四)敘此神話)云:「아주 먼 옛날 옛적에(舊說太古之時),대인이 토벌을 위해 출병을 하였는데(有大人遠征),집에 다른 사람이 없고(家無餘人),오로지 딸 한 명만 있었다(唯有一女)。수말 한 필을(牡馬一匹),딸이 몸소 키웠다(女親養之)。빈 집에 혼자 사니 쓸쓸하고 외로워(窮居幽處),그 아버지가 생각이 났다(思念其父)。이에 말을 희롱하려고(乃戲馬)曰:『네가 아버지를 돌아오게 하여 뵙게 해준다면(爾能為我迎得父還),나는 너에게 시집을 가겠다(我將嫁汝)。』말은 이 말을 듣자(馬既承此言),고삐를 끊고 집을 나가(乃絕而去),곧바로 아버지가 있는 곳에 이르렀다(徑至父所)。아버지는 말을 보고 매우 기뻐하며(父見馬驚喜),말을 데려와 올라탔다(因取而乘之)。말은 자기가 온 곳을 바라보며(馬望所自來),슬피 우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悲鳴不已)。아버지는(父)曰:『이 말이 아무 일도 없이 이곳에 온 것은(此馬無事如此),아무래도 나의 집에 무슨 일이 생긴 듯하구나(我家得無有故乎)?』다급하게 집으로 돌아갔다(亟乘以歸)。예사롭지 않은 뜻이 있는 짐승인 줄 알고(為畜生有非常之情),맛있는 것을 더해 꼴을 주었더니(故厚加芻養),말이 먹으려 하지 않았다(馬不肯食)。늘 딸이 드나드는 것을 보면(每見女出入),번번히 기뻐하기도 하고 성을 내기도 하고 몹시 원통해 하며 공격하는 것이(輒喜怒奮擊),한두 번이 아니었다(如此非一)。아버지는 이상하여(父怪之),딸에게 조용히 물었고(密以問女),딸은 아버지에게 자세히 대답하였다(女具以告父):『틀림없이 이런 이유 때문입니(必為是故)。』아버지는(父)曰:『해서는 안되는 말을 해서(勿言),집안을 욕되게할까 두렵구나(恐辱家門)。다시는 드나들지 말거라(且莫出入)。』그래서 쇠뇌를 쏴서 말을 죽이고(於是伏弩射殺之),뜰에서 가죽을 말렸다(暴皮於庭)。아버지는 돌아가자(父行),딸과 이웃집 딸이 가죽을 가지고 놀고(女與鄰女於皮所戲),발로 차며(以足蹙之),曰:『너 같은 짐승이(汝是畜生),사람을 얻어 아내를 삼으려고 했느냐(而欲取人為婦耶)?이렇게 죽어서 껍질이 벗겨지게 되었으니(招此屠剝),어찌 스스로 고통을(如何自苦)……』이 말이 끝나기도 전에(言未及竟),말가죽이 벌떡 일어나 달려와(馬皮蹶然而起),딸을 둘둘 말고 가버렸다(卷女以行)。이웃집 딸은 어수선하고 두려워(鄰女忙怕),감히 구할 수 없었다(不敢救之)。그 아버지에게 달려가 알려주었다(走告其父)。아버지는 돌아와 애를 쓰며 찾았지만(父還求索),이미 떠나서 찾지 못하였다(已出失之)。며칠이 지나고(後經數日),큰 나뭇가지 사이에서 찾았는데(得於大樹枝間),딸과 말가죽은(女及馬皮),모두 변하여 누에가 되었고(盡化為蠶),나무의 위에서 실을 뿜어냈다(而績於樹上)。그 고치에서 벼리가 두껍고 크게 나왔다(其綸理厚大),보통의 누에와 달랐다(異於常蠶)。이웃집 아내가 가져와 키웠는데(鄰婦取而養之),그것이 점점 늘어났다(其收數倍)。그런 이유로 그 나무의 이름을 뽕나무라 하였다(因名其樹曰桑)。뽕나무는(桑者),상실이다(喪也)。백성들이 앞다투어 씨를 뿌렸는데(由斯百姓競種之),현대 시대에서 기르게 되었다(今世所養是也)。」이는 이 신화가 덧붙고 변한 결과다(此蓋是神話演變之結果也)。앞서 나온 뽕나무는(前乎此(구사의 들판 신화(歐絲之野神話))者),有중차십일경(中次一十一山經)기록(所記)「선산은(宣山),산 위에 있는 뽕나무는(其上有桑焉),크기가 오십 척이고(大五十尺),나뭇가지는 사방으로 뻗어 있으며(其枝四衢),나뭇잎의 크기는 한 척이 넘는다(其葉大尺餘),붉은 나무결에(赤理)、누런 꽃이피고(黃華)、푸른 잎이다(青葉),이름을 제녀사이라 한다(名曰帝女之桑)」의 제녀상은(之帝女桑),오히려 다른 뽕나무와 가깝기 때문에(惟僅著異桑),이미 문장에서 이어지게 되었다(然已「녀(女)」「상(桑)」相連為文)。나중에 나온 뽕나무는(後乎此者),有순자(荀子)잠부(蠶賦):「머리는 말 머리에 몸은 여자 같다(身女好而頭馬首)」,모양은 누에 모양이고(狀蠶之態),잠마와 가깝다(已近「잠마(蠶馬)」)。덧붙고 변한 흔적이(則知演變之跡象),확실히 숨겨져 있는 것이 이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實隱有脈絡可尋也)。나의 나라가 누에고치에서 켜낸 실을 제일 먼저 찾아낸 것이 확실하고(吾國蠶絲發明甚早),부녀자들에게 전해지는 직무상의 임무는(婦女又專其職任),군중에 상상 속에 있는 것이 적합하고(宜在人群想象中),누에의 모양과 누에를 기르는 부녀자들의 모양이 서로 결합하였다(以蠶之性態與養蠶婦女之形象相結合)。따르면(至)於옥함산방집일서(玉函山房輯佚書)모음(輯)하도괄지상(河圖括地象)云:「백성이 변해 뽕나무를 먹고(化民食桑),이십 칠 년 동안 몸을 감싸고 있다(二十七年而身裹),구 년이 지나 날개가 나고(九年生翼),십 년이 지나자 죽었다(十年而死之焉)。」이것이 누에와 뽕나무 신화의 다른 이야기다(則是蠶桑神話之異聞),이것과 상관 없다(非關此也)。


三桑無枝,在歐絲東,其木長百仞,無枝1。

삼상무지는, 구사 동쪽에 있고, 그 나무는 길이가 백 길이며, 나뭇가지가 없다.


1 곽박(郭璞)云:「모두 길이가 매우 높다(言皆長百仞也)。」원가기록(珂案):대황북경(大荒北經)云:「삼상무지가 있다(有三桑無枝)。」북차이경(北次二經)云:「원산에(洹山),세 그루의 뽕나무가 자라는데(三桑生之),그 나무들은 모두 가지가 없고(其樹皆無枝),그 높이가 백 길에 이른다(其高百仞)。」이것이다(即此)。이 가지가 없는 세 그루의 뽕나무는(此無枝之三桑),이는 나무에 기대어 꿇고앉아 실을 게우는 여자가 밥을 먹는 곳이다(當即跪據樹歐絲女子之所食也)。


范林方三百里1,在三桑東,洲環其下2。

범림의 넓이는 삼백 리에 이르고, 삼상 동쪽에 있다, 그 아래는 모래톱이 둘러싸고 있다.


1 학의행(郝懿行)云:「범과 범은 통한다(范、汎通)。태평어람(太平御覽)五十七卷引고개지(顧愷之)계몽기(啟蒙記)曰:『낭령까지 범림 소리가 난다(汎林鼓于浪嶺)。』설명(注)云:『서북쪽 바다에 있는 범림은(西北海有汎林),넓이가 삼백 리에서(或方三百里),백 리에 이르며(或百里),모두 바다 속 부토 위에서 자란다(皆生海中浮土上),나무의 뿌리는 물결을 따라 움직이며 소리 낸다(樹根隨浪鼓動)。』이것이다(即此也)。」

2 곽박(郭璞)云:「주는(洲),물 속에 머물러 있는다(水中可居者)모래톱;환은(環),요다(繞也)。」


務隅之山1,帝顓頊葬于陽2,九嬪葬于陰3。

무우산에는, 제전욱이 산의 남쪽에 묻혔고, 아홉 명의 아내들이 산의 북쪽에 묻혔다.


一曰爰有熊、羆、文虎、離朱、𩿨久、視肉4。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여기 있는 곰과 말곰과 무늬있는 범과 이주와 부엉이와 시육이 있다.


1 원가기록(珂案):해내동경(海內東經)云:「한수는 부어산에서 나오고(漢水出鮒魚之山),제전욱이 산의 남쪽에 묻혔고(帝顓頊葬于陽),아홉 명의 아내들이 산의 북쪽에 묻혔으며(九嬪葬于陰),뱀 네 마리가 지키고 있다(四蛇衛之)。」대황북경(大荒北經)云:「부우산은(附禺之山),제전욱과 아홉 명의 아내들이 묻혀 있다(帝顓頊與九嬪葬焉)。」이 무우는(即此務隅),모두 성조가 가까운 글자로 통한다(皆聲近字通也)。

2 곽박(郭璞)云:「전욱은(顓頊),고양이라 일컬으며(號為高陽),무덤은 현재 복양에 있기 때문에(冢今在濮陽),제구라한다(故帝丘也)。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一曰)돈구현(頓丘縣)성문 밖(城門外)광양리 안이라 한다(廣陽里中)。」원가기록(珂案):사기(史記)오제본기(五帝本紀)집해(集解)引황람(皇覽)云:「전욱의 무덤은(顓頊冢),동군 복양 돈구 성문 밖 광야리 안에 있다(在東郡濮陽頓丘城門外廣陽里中)。」곽박(郭)注蓋本此。

3 곽박(郭璞)云:「빈은(嬪),부다(婦)。」

4 필원(畢沅)云:「다른 책에 열네 글자가 많다(一本多此十四字也)。」원가기록(珂案):위에 나온 각각의 물건은(上述各物)已見해외남경(海外南經)「적산(狄山)」節。구구는(𩿨久),장경(藏經)本作치구(鴟久),학의행(郝懿行)於해외남경(海外南經)설명 역시 구를 치로 바꾸어야한다 일컫는다(注亦謂𩿨當作鴟)。손성연(孫星衍)校同학의행(郝)설명(注)。


平丘1在三桑東,爰有遺玉2、青鳥3、視肉、楊柳、甘柤4、甘華5,百果所生6,有7兩山夾上谷,二大丘居中,名曰平丘。

평구는 삼상 동쪽에 있다, 여기에는 유옥과 청조와 시육과 양류와 감사와 감화가 있고, 온갖 과일이 자라며, 두 산 사이에 위쪽 골짜기가 있는데, 두 개의 큰 언덕이 중간에 있고, 이름을 평구라 한다.


1 필원(畢沅)云:「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云:화구(華邱)。」학의행(郝)따르다(從)필원(畢)설명(說)。원가기록(珂案):필원과 학의행의 설명(畢、郝之說)틀리다(非也)。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확실(明)云:「곤륜화구는 그 동남쪽에 있다(昆侖華邱在其東南方)。」화구는(則華邱者),應是해외동경(海外東經)「동남쪽 구석부터 동북쪽 구석까지(自東南陬至東北陬者)」첫 부분의 차구(篇首之嗟丘)。곽박(郭)설명(注)云:「音차(嗟),혹은 발이라 쓴다(或作髮)。」차와 발과 화는(嗟、髮、華),모두 하나의 음으로 전해진다(蓋一音之轉也)。이 평구는(此云平丘),장소는 동북쪽에 있고(地在東北),방향과 위치는 기이하나(方位既異),음이 부와 같지 않고(音復不同),어찌하여 회남자가 구라 하는 것은 물건들이 비슷하여 간다하고 한결같이 따르게 되는가(何得以品物相類便遂斷為회남자(淮南子)구인가(邱乎))?

2 곽박(郭璞)云:「유옥은(遺玉),옥석이다(玉石)。」학의행(郝懿行)云:「오씨(吳氏)(임신(任臣)——珂)云:『유옥은 예옥이다(遺玉即瑿玉);호박이 천 년이 지나면 예가 된다(琥珀千年為瑿)。자서(字書)云:예는(瑿),유옥이다(遺玉也)。』오씨의 설명(吳氏之說),근거(據)본초(本草)옛 설명(舊注),아직 확실하지 않다(未審是否)。예는(瑿),검은 옥이다(黑玉也)。설문해자(說文)차자가 없다(無此字),이자가 있다(而有𤪰)。云:『유옥이다(遺玉也),옥에 버금가고(從玉),𣤓聲。』이 유옥의 이름을 이것이라 한다(是遺玉名𤪰),예와 글자 모양이 모두 비슷하고(與瑿形聲皆近),當從설문해자(說文)也。」

3 원가기록(珂案):청조는(青鳥),장경(藏經)本作청마(青馬);해외동경(海外東經)차구(嗟丘)、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화구(華丘)역시 모두 청마로 쓰여 있다(亦俱作青馬):청마가 맞다(則作青馬是也)。

4 곽박(郭璞)云:「그 나무의 가지와 줄기는 모두 붉고(其樹枝幹皆赤),누런 꽃이 피며(黃華),흰 잎에(白葉),검은 열매가 열린다(黑實)。여씨춘추(呂氏春秋)曰:『그 산의 동쪽에(其山之東),감사가 있다(有甘柤焉)。』音如사리의 사(柤梨之柤)。」원가기록(珂案):사리의 사(柤梨之柤),音사(渣)。감사의 모양은(甘柤形狀),見대황남경(大荒南經):「개유산이 있는데(有蓋猶之山者),산 위에 있는 감사는(其上有甘柤),가지와 줄기가 모두 붉고(枝榦皆赤),누런 잎에(黃葉),흰 꽃이 피며(白華),검은 열매가 열린다(黑實)。」이는 곽박의 설명의 근거(是郭注所本)。그러므로 누런 꽃에 흰 잎은(然黃華白葉),누런 잎에 흰 꽃으로 바꾸어야 한다(當為黃葉白華),잘못된 글자(字之訛也)。기산은 기산이며(其山即箕山),주문체의 기는 기로 쓴다(籀文箕作其也)。현재(今本)여씨춘추(呂氏春秋)본미편(本味篇)云:「기산의 동쪽에(箕山之東),청조가 살고(青鳥之所),감로가 있다(有甘櫨焉)。」이것을 곽박이 따르다(是郭所引者),감로를 감사로 쓰는 것은 다르다고 들었다(惟甘櫨作甘柤是其異耳)。옛 책에 이와 같고(或古本如此),아직 알려지지 않았다(未可知也)。감사는 무엇인가(甘柤維何)?모두 배나무의 신령이라 한다(曰蓋是梨木之神異者)。예기(禮)내칙(內則)云:「사는(柤),배나무를 파고든 것을 말한다(梨曰鑽之)。」注:「사는(柤),배나무의 좋지 않은 것이다(梨之不臧者)。」통하다(疏):「벌레 두려움이 있기 때문에(恐有蟲),하나 하나 뚫린 것을 보면 그것은 벌레구멍이다(故一一鑽看其蟲孔也)。」사는(柤),이아(爾雅)석목(釋木)作사(樝),곽박(郭璞)注云:「사는 시고 떫은 배나무와 비슷하다(樝似梨而酢澀)。」이 감사는(此云甘柤),확실히 상사에 같지 않다(明其不同於常柤矣)。신이경(神異經)남황경(南荒經)云:「대황의 안에 있는 나무는(大荒之中有樹焉),이름을 사가닐이라 한다(名曰柤稼𣘗)。사는(柤者),사리다(柤梨也);가는(稼者),주가다(株稼也);닐은(𣘗者),친닐이다(親也)。삼천 년이 되면 꽃이 피고(三千歲作華),구천 년이 되면 열매가 열리며(九千歲作實),열매의 길이가 구척이다(實長九尺),둘레는 그 길이와 같고(圍如其長),속에 씨가 없으며(而無瓤核),죽도부의 엉긴 꿀 같고(以竹刀剖之如凝蜜),먹은 사람은 목숨을 일만 이천 살 늘어난다(得食者壽一萬二千歲)。」이 감사의 종류(當即此甘柤之屬)。술이기(述異記)상(上)云:「북쪽에 있는 칠척의 대추나무(北方有七尺之棗),남쪽에 있는 삼척의 배나무(南方有三尺之梨),평범한 사람은 보기가 힘들고(凡人不得見),보게되어 먹게 되면(或見而食之),곧바로 지선이 된다(即為地仙)。」이것을 일컫는다(謂是也)。

5 곽박(郭璞)云:「붉은 가지와 줄기이며(亦赤枝榦),누런 꽃이 핀다(黃華)。」원가기록(珂案):대황남경(大荒南經)云:「(개유산(蓋猶之山))동쪽에 있는 감화는(東又有甘華),가지와 줄기가 모두 붉고(枝榦皆赤),누런 잎이다(黃葉)。」누런 꽃은 누런 잎으로 바꾸어야 한다(則黃華當作黃葉)。

6 원가기록(珂案):제민요술(齊民要術)十引이 경문에 생은 재로 쓰여 있다(此經生作在)。

7 원가기록(珂案):경문의 유는(經文有),송본(宋本)、오관(吳寬)초본(抄本)、모의(毛扆)本、장경(藏經)本모두 재로 쓰여 있다(均作在)。


北海內有獸,其狀如馬,名曰騊駼1。

북해 안에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말 같고, 이름을 도도라 한다.


有獸焉,其名曰駮,狀如白馬,鋸牙,食虎豹2。

여기 있는 짐승은, 그 이름을 박이라 하는데, 모양이 흰 말 같고, 어금니가 톱 같으며, 범과 표범을 먹는다.


有素獸焉,狀如馬,名曰蛩蛩3。

여기 있는 흰 짐승은, 모양이 말 같고, 이름을 공공이라 한다.


有青獸焉,狀如虎,名曰羅羅4。

여기 있는 푸른 짐승은, 모양이 범 같고, 이름을 라라라 한다.


1 곽박(郭璞)云:「도도(陶塗)兩音,見이아(爾雅)(석축(釋畜))。」학의행(郝懿行)云:「이아(爾雅)注引이 경문에는 도도 다음에 빛이 푸르다 두 글자가 있다(此經騊駼下有『색청(色青)』二字),사기(史記)흉노전(匈奴傳)서광(徐廣)注亦云:『푸른 말과 비슷하다(似馬而青)。』이 경문에 현재 빠진 글자가 있는 것으로 의심(疑此經今本有脫文矣)。」원가기록(珂案):주서(周書)왕회편(王會篇):「우씨는 도도와 결제를 바쳤다(禺氏騊駼、駃騠為獻)。」도도는(則騊駼者),야마의 종류(野馬之屬也)。결제는 노새

2 곽박(郭璞)云:「주서(周書)(왕회편(王會篇))曰:『의거의 자백은(義渠茲白),자백은 흰 말 같고(茲白若白馬),톱 같은 어금니에(鋸牙),범과 표범을 먹는다(食虎豹)。』이 두 설명과(此二說與)이아(爾雅)(석축(釋畜))같다(同)。」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이설(二說)」云者,경문과 주서 왕회편의 설명을 가리킨다(指經文與周書王會篇之說也)。서차사경(西次四經)云:「중곡산에 있는 짐승은(中曲之山有獸焉),그 모양이 말 같고(其狀如馬),흰 몸에 검은 꼬리이고(而白身黑尾),한 개의 뿔이 있으며(一角),범의 이빨과 발톱을 했다(虎牙爪),울음 소리는 북소리 같고(音如鼓音),그 이름을 박이라 하며(其名曰駮),이것은 범과 표범을 먹는다(是食虎豹),이것을 기르면 날이 선 병기를 막을 수 있다(可以禦兵)。」비교한 기록이 더해져 자세하다(較茲所記又加詳焉)。而관자(管子)소문편(小問篇)云:「환공이 말을 타고 가자(桓公乘馬),범이 멀리서 바라보고 업드렸다(虎望見之而伏)。환공은 관중에게 물었다(桓公問管仲)曰:『오늘 과인이 말을 타고 가는데(今者寡人乘馬),범이 과인을 멀리서 바라보고 자신 있게 행동하지 않았네(虎望見寡人而不敢行),그 이유가 무엇인가(其故何也)?』관중이 대답하길(管仲對)曰:『추측해 보건데 임금께서 준마 주환을 타시고(意者君乘駿馬而洀(옛 반자(古盤字))桓),해를 향하여 달리셨습니까(迎日而馳乎)?』공(公)曰:『그렇네(然)。』관중이 대답하길(管仲對)曰:『이는 박의 모양이고(此駮象也),박은 범과 표범을 먹으므로(駮食虎豹),범이 두려워했기 때문입니다(故虎疑焉)。』」이는 필시 고사가 적힌 간책이 되었다(則已演為故事而著之簡冊矣)。

3 곽박(郭璞)云:「공공거허다(即蛩蛩鉅虛也),한 번 걸으면 백리를 가고(一走百里),見목천자전(穆天子傳)(卷一);音공(邛)。」원가기록(珂案):주서(周書)왕회편(王會篇)云:「독록과 공공은(獨鹿邛邛),잘 달린다(善走也)。」공조(孔晁)注:「독록은(獨鹿),서쪽의 융이다(西方之戎也);공공은(邛邛),짐승이고(獸),거허와 비슷하며(似距虛),궐을 업고 달린다(負而走也)。」확실히 공공과 거허는 하나의 물건(實則邛邛、距虛乃是一物),即이아(爾雅)석지(釋地)기록(所記)「공공거허(邛邛岠虛)」也。여씨춘추(呂氏春秋)불광편(不廣篇)云:「북쪽에 있는 짐승은(北方有獸),이름을 궐이라 하는데(名曰蹶),앞은 쥐이고 뒤는 토끼이다(鼠前而兔後),달리면 넘어졌는데(趨則跲),달리다 넘어지면(走則顛),항상 공공거허에게 감초를 주며 함께 다녔다(常為蛩蛩距虛取甘草以與之)。궐이 재난으로 생기는 피해가 있으면(蹶有患害也),공공거허가 반드시 업고 달아났다(蛩蛩距虛必負而走)。」이들은 비견의 짐승이다(是猶比肩之獸也)。

4 오임신(吳任臣)云:「변아(駢雅)曰:『푸른 범을 라라라 일컫는다(青虎謂之羅羅)。』현재 운남 만인들이 부르는 범 역시 라라가 되었고(今雲南蠻人呼虎亦為羅羅),見천중기(天中記)。」


北方禺彊,人面鳥身,珥兩青蛇,踐兩青蛇1。

북방 우강은, 얼굴은 사람이고 몸은 새이며, 두 마리 푸른 뱀을 귀에 걸고 있고, 두 마리 푸른 뱀을 발로 밟고 있다.


1 곽박(郭璞)云:「자는 현명이고(字玄冥),물의 신이다(水神也)。장주(莊周)(장자(莊子)대종사(大宗師))曰:『우강은 북극에 위치한다(禺彊立于北極)。』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一曰)우경(禺京)。다른 책(一本)云:북방 우강은(北方禺彊),검은 몸과 손과 발이고(黑身手足),두 마리 용을 타고 있다(乘兩龍)。」

   원가기록(珂案):대황북경(大荒北經)云:「신이 있는데(有神),사람 얼굴에 새의 몸이고(人面鳥身),두 마리 푸른 뱀을 귀에 걸고(珥兩青蛇),두 마리 붉을 뱀을 밟고 있다(踐兩赤蛇),이름을 우강이라 한다(名曰禺彊)。」이 경문과 조금 다르다(與此經文略異)。又대황동경(大荒東經)云:「동해의 모래섬 안에(東海之渚中),있는 심은(有神),사람 얼굴에 새의 몸이고(人面鳥身),두 마리 누런 뱀을 귀에 걸고(珥兩黃蛇),두 마리 누런 뱀을 밟고 있다(踐兩黃蛇),이름을 우호라 한다(名曰禺䝞)。황제는 우호를 낳고(黃帝生禺䝞),우호는 우경을 낳고(禺䝞生禺京),우경은 북해에 살며(禺京處北海),우호는 동해에 산다(禺䝞處東海),이들은 바다의 신이 되었다(是為海神)。」곽박(郭璞)於「우경(禺京)」다음(下)注云:「우강이다(即禺彊也)。」강과 경은 하나의 성조로 전해진다(彊、京一聲之轉)。북해의 바다신은 우경이 되었고(則作為北海海神之禺京),동해의 바다신은 우경의 아버지 우호가 되었다(與其作為東海海神之父禺䝞),사람 얼굴에 새의 몸으로 되어있다(同為人面鳥身)。베낀 것으로 의심(然竊有疑焉)。장자(莊子)소요유(逍遙遊)云:「북명에 있는 물고기는(北冥有魚),그 이름을 곤이라 하는데(其名為鯤),곤의 크기는(鯤之大),크기가 천 리가 넘어 알 수 없고(不知其幾千里也),변하여 새가 되었고(化而為鳥),그 이름을 붕이라 한다(其名為鵬),붕의 등은(鵬之背),등이 천 리가 넘어 알 수 없다(不知其幾千里也)。세차게 날면(怒而飛),그 날개가 하늘에 드리운 구름 같았다(其翼若垂天之雲)。이 새는(是鳥也),바다를 움직여 남명으로 옮긴다(海運則將徙於南冥);남명은(南冥者),천지다(天池也)。제해는(齊諧者),지괴다(志怪者也);해의 말에 따르면(諧之言)曰:붕이 남명으로 움직이면(鵬之徙於南冥也),물이 삼천 리나 튕기고(水擊三千里),빙빙 돌며 힘차가 움직여 하늘로 구만 리까지 오른다(摶扶搖而上者九萬里),여섯 달이 지나야 쉰다(去以六月息者也)。」마치 우언에 가깝지 않으며(似乎非僅寓言),사실 신화의 배경을 유지함에 있다(實有神話之背景存焉)。이 배경은 무엇인가(此背景維何)?육덕명(陸德明)음의(音義)引최선(崔譔)云:「곤은 경으로 바꾸어야 한다(鯤當為鯨)。」맞다(是也)。이아(爾雅)석어(釋魚):「곤은(鯤),물고기 새끼(魚子)。」크기가 천 리를 넘기에 이른다(大無以致千里)。장생의 회궤에(莊生詼詭),어릴 적 이름을 높이게 되니(以小名大),제물의 뜻이다(齊物之意也),곤은 확실히 경으로 바꾸어야 한다(鯤實當為鯨)。북해의 바다 신 이름은 우경이 적합하고(而北海海神適名禺京),자 현명은(又字玄冥),이와 장주의 우언 속 북명의 곤이 어찌 어느 정도 관계가 없지 않겠는가(此與莊周寓言中北冥之鯤(경(鯨))豈非有一定之關聯乎)?경은(而鯨),자본에 경이라 쓰여 있고(字本作䲔),설문해자(說文)十一云:「경은(䲔),바다의 큰 물고기다(海大魚也),물고기 종이며(從魚),강성이다(聲)。」우강의 강과 맞다(又與禺彊(우경(禺京))之「강(彊)」合)。곽박(郭)설명(注)引다른 책(一本)云:「북방 우강은(北方禺彊),검은 몸에 손과 발이 있고(黑身手足),두 마리 용을 타고 있다(乘兩龍)。」의심(疑)「검은 몸(黑身)」乃「물고기 몸(魚身)」잘못된 것으로(之誤),「흑(黑)」과(與)「어(魚)」모양이 비슷하여 잘못된 듯하다(形近而致訛也)。해외동경(海外東經)云:「우사첩은 그 북쪽에 있고(雨師妾在其北),검은 몸에 사람 얼굴인 사람이다(為人黑身人面)。」손과 발은 언급되지 않았다(未言手足)。몸은 이미 사람 몸이고(以身既人身),손과 발은 스스로 갖추니(手足自具),어지러워 다시 들수 없다(無煩更舉)。해내북경(海內北經)云:「능어는 사람 얼굴과 손과 발과 물고기 몸이고(陵魚人面、手足、魚身),바다 속에 있다(在海中)。」이 사람 모양은 물고기이고(此人形之魚),몸이 물고기로 되어 있으며(身仍為魚),손과 발을 갖고 있기 때문에(而有手有足),일부러 손과 발을 붙인 것이고(故特著手足),확실히 그것과는 다르다(以彰其異)。이유가 무엇이냐면(由是言之),「검은 몸에 손과 발(黑身手足)」의 우강은(之禺彊),오히려(猶)「손과 발이 있는 물고기 몸(手足魚身)」의 능어이고(之陵魚),모두 인어의 종류다(均人魚之類),「검은 몸(黑身)」蓋「물고기 몸(魚身)」이 잘못된 것(之訛也)。그가 바다의 신이 되었을 때는(其為海神之時),모양이 이렇다(形貌當即是「물고기 몸에 손과 발이 있다(魚身手足)」。그러나 우강은 바다 신이 이미 아닌 것에 가깝고(然而禺彊不僅海神而已),사실 동시에 바람 신을 맡고 있다(實又兼風神職司)。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云:「우강은(隅強)(우강(禺彊)),부주풍이 낳았다(不周風之所生也)。」사기(史記)율서(律書)曰:「부주풍은 서북쪽에 살며(不周風居西北),죽음과 삶은 결정한다(主殺生)。」이는 부주풍이 우강을 낳았는데(此生於不周風之禺彊),사실 우강이 부주풍의 주인이다(實當即是主不周風者)。회남자(淮南)본경편(本經篇)요임금 시대에 백성을 해롭게 하는 물건은(載堯時害民之物),이른바 대풍은(有所謂)「대풍(大風)」者),대붕이고(實即大鳳),亦即장자(莊子)소요유의 대붕이며(逍遙遊之大鵬),고유(高誘)注풍백이 되었다(以為風伯),또한 지조가 되기도 한다(又以為鷙鳥)。이 풍백은 지조와 같고(此風伯若鷙鳥者),만약 산해경에 기록된 사람 얼굴에 새의 몸이 우강이 아닐 수도 있다(自非山海經所記人面鳥身之禺彊莫屬)。우강이 바다 신에 가깝지 않다고 일컫는 이유는(故謂其不僅海神),동시에 바람 신을 맡아서다(實又職兼風神)。우강이 바다 신이 되었을 때는(當其為海神之時),확실히(固「물고기 몽에 손과 발이 있다(魚身手足)」之「곤(鯤)(경(鯨))」也),확실히(固「크기가 천 리가 넘어 알 수 없다(大不知其幾千里)」也),그러나 만약(然而一旦「변하여 새가 되었다(化而為鳥)」),이렇게 된다(則又「사람 얼굴에 새의 몸(人面鳥身)」之「붕(鵬)」也),則又「등이 천 리가 넘어 알 수 없다(背不知其幾千里)」、「세차게 날면(怒而飛)、그 날개가 하늘에 드리운 구름 같았다(其翼若垂天之雲)」也:장주 회궤의 우언은(莊周詼詭之寓言),이 경문에 기록된 우강의 모양이 증거다(證以此經所記禺彊之形貌),어찌 확실히 신화의 배경을 유지함에 있지 않겠는가(豈非實有神話之背景存於其間乎)?미루어 논하건대(推而論之),동해의 바다신은 우호의 모양이고(東海海神禺䝞之貌),새의 몸에 가깝지 않으며(或亦非僅具「새의 몸(鳥身)」),확실히 동시에 물고기의 모양이 있고(實且兼有魚形),바다 신인 동시에 바람 신이 되었다(亦當為海神而兼風神也)。안타깝게도 문헌에는 빠지고 생략되었으니(惜乎文獻缺略),증거가 될 수 없다(無由引證矣)。

해외북경(海外北經) 원문

산해경/해외북경 2018. 2. 28. 00:00

海外自東北陬至西北陬者1。

1 畢沅云:「淮南子墬形訓云『自東北至西北陬』同,而起跂踵民,終無繼民,與此文正倒。疑淮南子當作自西北方至東南方,或傳寫之誤也。」珂案:畢說非也;淮南子文不誤,此文自誤。此云:「自東北陬至西北陬」,則文中諸國均應西向。今既云「〤〤國在其東」,可見應是「自西北陬至東北陬」,「東」「西」二字適倒。且海外西經「自西南陬至西北陬」起滅蒙鳥,終長股國,長股國自應在西北陬;今既云「無綮之國在長股東」,則無綮之國豈非西北陬之國而何?淮南子自東北至西北方,故起跂踵民,終無繼民;此與相反,故起無綮之國(無繼民),終跂踵國。


無綮之國1在長股東,為人無綮2。

1 郭璞云:「音啟,或作綮。」畢沅云:「說文無綮[糸改月]字,當為綮,或作啟、繼皆是。廣雅作無啟,淮南子作無繼民,高誘注云:『其人蓋無嗣也,北方之國也。』與郭義異。字林始有綮字,云[月耑]腸,見廣韻。郭蓋以此為說,其實非古字古義也。」珂案:畢說是也,當從廣雅作無啟;無啟,無繼也,正高誘注淮南子所謂「其人蓋無嗣也」之義。無嗣而有國,當因其人能如郭注所云「死百廿歲乃復更生」,實不死也。大荒北經有繼無民,又云「無繼子食魚」,「繼無」自是「無繼」之倒,王念孫、郝懿行並校作無繼,則此「無綮之國」者,尤可證其當作「無啟之國」也。

2 郭璞云:「綮,肥腸也。其人穴居,食土,無男女,死即薶之,其心不朽,死百廿歲乃復更生。」珂案:郭注「綮,肥腸也」,肥腸當為腓腸,即脛骨後之肉,今俗呼為小腿肚者是。然綮應作啟,已如上說,郭注因綮為說,不免失之。大荒北經云:「有繼無民,繼無民任姓,無骨子,食氣魚。」即無啟之國也。博物志異人云:「無綮民,居穴食土,無男女,死埋之,其心不朽,百年還化為人。細民,其肝不朽,百年而化為人,皆穴居處。二國同類也。」無綮民自本郭注為說,又增細民。而酉陽雜俎於此二說外,復增錄民,云:「錄民,膝不朽,埋之百二十年化為人。」則未免有重床疊屋之感矣。


鍾山之神,名曰燭陰1,視為晝,瞑為夜,吹為冬,呼為夏,不飲,不食,不息,息為風2,身長千3里。在無綮之東。其為物,人面,蛇身,赤色,居鍾山下4。

1 郭璞云:「燭龍也,是燭九陰,因名云。」珂案:大荒北經云:「西北海之外,赤水之北,有章尾山。有神,人面蛇身而赤,直目正乘。其瞑乃晦,其視乃明。不食,不寢,不息,風雨是謁。是燭九陰,是謂燭龍。」燭龍之稱燭陰,蓋以此矣;章、鍾則一聲之轉也。楚辭天問云:「日安不到?燭龍何耀?」大荒北經郭璞注引詩含神霧云:「天不足西北,無有陰陽消息,故有龍銜火精(火字原脫,據李善注雪賦引補)以往照天門中也。」此所謂「燭陰」也。鍾山以其不見日,故常寒,此大招之所謂「魂乎無北,北有寒山,逴龍(燭龍)豔只」之「寒山」也。古小說鉤沉輯玄中記云:「北方有鍾山焉,山上有石首如人首,左目為日,右目為月,開左目為晝,閉右目為夜;開口為春夏,閉口為秋冬。」此「人面蛇身」之鍾山山神雖已化為「石首」,然其神力固猶昨也。說者謂此神當即是原始的開闢神,徵於任昉述異記:「先儒說:盤古氏泣為江河,氣為風,聲為雷,目瞳為電。古說:盤古氏喜為晴,怒為陰。」廣博物志卷九引五運歷年記(三國吳徐整著):「盤古之君,龍首蛇身,噓為風雨,吹為雷電,開目為晝,閉目為夜。」信然。盤古蓋後來傳說之開闢神也。

2 郭璞云:「息,氣息也。」王念孫云:「御覽時序十二(卷二七)作息則為風。」

3 王念孫云:「類聚鱗介部(卷九六)千上有三字。」

4 郭璞云:「淮南子曰:『龍身一足。』」珂案:淮南子墬形篇云:「燭龍在雁門北,蔽於委羽之山,不見日;其神人面龍身而無足。」是郭所引也;一字訛。


一目國1在其東,一目中其面而居。一曰有手足2。

1 珂案:淮南子墬形篇有一目民。大荒北經云:「有人一目,當面中生。一曰是威姓,少昊之子,食黍。」即此。海內北經云:「鬼國在貳負之尸北,為物人面而一目。」鬼、威音近,當亦是一目國也。論衡訂鬼篇引山海經(今本無)云:「北方有鬼國,說螭者謂之龍物也。」何所謂「龍物」,則語焉而不詳也。

2 郝懿行云:「有手足三字疑有訛。」珂案:「一曰有手足」五字,或涉下文「柔利國在一目東,為人一手一足」而衍。


柔利國1在一目東,為人一手一足,反2,曲足居上3。一云留利之國4,人足反折5。

1 珂案:大荒北經云:「有牛黎之國。有人無骨,儋耳之子。」即柔利國也,牛黎、柔利音皆相近;儋耳即聶耳也。博物志異人云:「子利國人,一手二足,拳反曲。」子當為柔,二當為一,並字形之訛也。

2 珂案:,古膝字,宋本、藏經本並作膝。

3 郭璞云:「一腳一手反卷曲也。」

4 珂案:留、柔之聲亦相近。

5 郝懿行云:「足反卷曲,有似折也。」


共工1之臣曰相柳氏2,九首,以食于九山3。相柳之所抵,厥為澤谿4。禹殺相柳,其血腥,不可以樹五穀種5。禹厥之,三仞三沮6,乃以為眾帝7之臺8。在昆侖之北9,柔利之東。相柳者,九首人面,蛇身而青。不敢北射,畏共工之臺10。臺在其東。臺四方,隅有一蛇,虎色11,首衝南方12。

1 郭璞云:「共工,霸九州者。」珂案:郭注乃本國語魯語「共工氏之伯九有也」為說,然乃以歷史釋神話,非是。共工乃古天神名,與顓頊爭為帝者。淮南子天文篇云:「昔共工與顓頊爭為帝,怒而觸不周之山,天柱折,地維絕。天傾西北,故日月星辰移焉;地不滿東南,故水潦塵埃歸焉。」即此共工。兵略篇又云:「共工為水害,故顓頊誅之。」史記律書亦云:「顓頊有共工之陣以平水害。」則此天神共工乃水神也。其與「爭為帝」之對象,諸書所記不一,或曰高辛,見於淮南子原道篇;或曰神農,見於琱玉集卷十二壯力篇引淮南子;或曰祝融,見於史記司馬貞補三皇本紀;或曰女媧,見於路史太昊紀:然要以「與顓頊爭為帝」之說為近古。顓頊,黃帝之裔孫也(山海經海內經);而國語周語韋昭注:「賈侍中云:共工諸侯,炎帝之後,姜姓也。」(亦本山海經海內經):則共工與顓頊之爭,亦黃炎鬥爭之餘緒也。共工觸山,「折天柱,絕地維」,打破為顓頊所統治之舊世界,使世界局面為之改觀,雖曰「不勝」(淮南子兵略篇、論衡談天篇、楚辭天問王逸注等)亦足見其「猛志固常在」(陶潛讀山海經)之鬥爭精神矣,謂共工為「不死」,為「勝利的英雄」(毛澤東同志漁家傲反第一次大「圍剿」注釋按語),誰曰不宜?然或又傳共工有與禹之鬥爭。荀子成相篇云:「禹有功,抑下鴻,辟除民害逐共工。」禹亦黃帝系之人物也(山海經海內經:「黃帝生駱明,駱明生白馬,白馬是為鯀。」鯀,禹父也),共工與禹之鬥爭,亦應是黃炎鬥爭之餘緒。然神話演而至此,禹已成為眾所公認之治水英雄,民間傳說與古籍記載咸無異辭,於是站在治水對立面而與禹作鬥爭之共工,乃不能不居於反面人物之地位。故山海經乃有禹攻共工國山(大荒西經),此則云禹殺共工之臣相柳,均成相篇所謂「辟除民害」之意也。則共工者,應視其所與周旋之人物而定其正反,非可一概而論,始符毛澤東同志按語「諸說不同。我取……」精神,亦已明矣。

2 珂案:大荒北經云:「共工臣名曰相繇,九首蛇身,自環,食於九土。其所歍所尼,即為源澤。不辛乃苦,百獸莫能處。禹湮洪水,殺相繇。其血腥臭,不可生穀,其地多水,不可居也。禹湮之,三仞三沮。乃以為池,群帝因是以為臺。在昆侖之北。」即此相柳也。楚辭天問云:「雄虺九首,儵忽焉在?」王逸注云:「虺,蛇別名也,言有雄虺,一身九頭。」疑亦此也。

3 郭璞云:「頭各自食一山之物,言貪暴難饜。」

4 郭璞云:「抵,觸;厥,掘(宋本作抵--珂)也,音撅。」珂案:經文澤谿,王念孫云:「御覽作谿潭。」今影宋本御覽卷六四七作溪澤。又經文厥,王念孫注云:「厥亦觸也。」

5 王念孫云:「御覽無五字。」珂案:今影宋本御覽卷六四七作「不可以樹聲[耳改木]」;聲[耳改木],字書不載,疑即穀字之訛,無「五」字。

6 郭璞云:「掘塞之而土三沮滔,言其血膏浸潤壞也。」郝懿行云:「注滔蓋陷字之訛。」珂案:毛扆本滔正改作陷字。

7 珂案:眾帝,指帝堯、帝嚳等古帝。

8 郭璞云:「言地潤溼,唯可積土以為臺觀。」郝懿行云:「海內北經云:『帝堯臺、帝嚳臺、帝丹朱臺、帝舜臺,在昆侖東北。』郭注亦引此經為說。」

9 郭璞云:「此昆侖山在海外者。」郝懿行云:「海內北經云:『臺四方,在昆侖東北。』是此昆侖亦在海內者,郭注恐非。」

10郝懿行云:「臣避君也。」珂案:射者畏共工之臺共工威靈,故不敢北射,猶海外西經云:「窮山在其北,不敢西射,畏軒轅之丘。」郝懿行謂臣避君,非也。

11郝懿行云:「虎文也。」

12郭璞云:「衝,猶向也。」


深目國1在其東,為人舉一手一目2,在共工臺東。

1 珂案:淮南子墬形篇有深目民;大荒北經云:「有人方食魚,名曰深目之國,姓,食魚。」即此。郭注「貫匈國」(見海外南經)引尸子曰:「四方之民,有貫匈者,有深目者,有長肱(路史後紀五注引作長股——珂)者,黃帝之德嘗致之。」則傳說由來遠矣。

2 郭璞云:「一作曰。」郝懿行云:「一目作一曰連下讀是也。」珂案:「為人舉一手」,是圖畫所見之象如此,「深目」非「一目」,「一目」正當作「一曰」連下讀為是。然「為人舉一手」,猶有說者。山海經所記海外各國,非異形即異稟,無由「舉一手」即列為一國之特徵者。疑「為人」下,尚脫「深目」二字,「為人深目、舉一手」,即與經記諸國之體例相符矣。


無腸之國1在深目東2,其為人長而無腸3。

1 珂案:大荒北經云:「又有無腸之國,是任姓,無繼子,食魚。」淮南子墬形篇有無腸民。

2 郭璞云:「一作南。」

3 郭璞云:「為人長大,腹內無腸,所食之物直通過。」郝懿行云:「神異經云:『有人知往,有腹無五藏,直而不旋,食物徑過。』疑即斯人也。」


聶耳之國1在無腸國東,使兩文虎2,為人兩手聶其耳3。縣居海水中4,及水所出入奇物5。兩虎在其東6。

1 珂案:大荒北經云:「有儋耳之國,任姓,禺號子,食穀。」即此。淮南子墬形篇無聶耳國,而云:「夸父耽耳在其北方。」是耽耳即儋耳,亦即此經聶耳也。大荒北經云「禺號子」者,禺號即禺[豸虎],乃東海海神。大荒東經云:「黃帝生禺[豸虎],禺[豸虎]生禺京,禺京處北海,禺[豸虎]處東海,是為海神。」郭璞云:「一本作號。」即此禺號也。

2 珂案:文虎,雕虎;已見海外南經郭璞注。

3 郭璞云:「言耳長,行則以手攝持之也;音諾頰反。」珂案:唐李冗獨異志云:「山海經有大耳國,其人寢,常以一耳為席,一耳為衾。」則傳說演變,夸張又甚矣。

4 郭璞云:「縣,猶邑也。」珂案:初學記卷六引此經作「懸居赤水中」。縣,懸本字;「縣居海水中」者,言聶耳國所居乃孤懸於海中之島也;郭以邑釋縣,殊未諦。

5 郭璞云:「言盡規有之。」珂案:藏經本「奇物」作「奇怪物」。

6 珂案:兩虎,即上文聶耳國所使兩文虎;在其東,在聶耳國之東,蓋圖象如此。


夸父1與日逐走,入日2。渴欲得飲,飲于河渭;河渭不足,北飲大澤3。未至,道渴而死。4其杖5,化為鄧林6。

1 珂案:大荒北經云:「大荒之中,有山,名曰成都載天。有人珥兩黃蛇,把兩黃蛇,名曰夸父。后土生信,信生夸父,夸父不量力,欲追日景,逮之於禺谷。將飲河而不足也,將走大澤,未至,死於此。」即此一神話之異文。其言「后土生信,信生夸父」,而海內經記「炎帝生炎居,炎居生節並,節並生戲器,戲器生祝融,祝融生共工,共工生后土」,則夸父者,炎帝之裔也。以義求之,蓋古之大人(夸,大;父,男子美稱)也。共工之力,能以摧山;「土伯九約,其角觺觺」(見楚辭招魂,王逸注:「土伯,后土之侯伯」);而姜姓之蚩尤,亦「獸身人語,銅頭鐵額」(御覽卷七八引龍魚河圖)、「齒長二寸」(述異記):是炎帝裔屬中,頗不乏魁梧奇偉之巨人也。

2 郭璞云:「言及於日將入也;逐音冑。」郝懿行云「北堂書鈔一百三十三卷,李善注(文選)西京賦、鸚鵡賦及張協七命引此經並作『與日競走』,初學記一卷引此經作『逐日』,史記禮書裴駰集解引此經作『與日逐走,日入』,並與今本異。」王念孫云:「御覽天部三(卷三,影宋本作逐日——珂)、服用十二(卷七一0)作競走,妖異三(卷八八七)作競走,(文選)阮籍孤懷詩注引作夸父與日競逐而渴死,其杖化為鄧林,七命注引作競走,書鈔服飾二(卷一三三)作競走,酒食三(卷一四四)同。」珂案:競、逐互見,是一本作競也。又經文入日,何焯校本作日入,黃丕烈、周叔弢校同。

3 珂案:海內西經云:「大澤方百里,群鳥所生及所解,在鴈門北。」大荒北經云:「有大澤方千里,群鳥所解。」即此大澤。畢沅以為即古之翰海,疑是。

4 珂案:,古棄字。

5 郝懿行云:「列子湯問篇『棄其杖』下,有『尸膏肉所浸』五字。」

6 郭璞云:「夸父者,蓋神人之名也;其能及日景而傾河渭,豈以走飲哉,寄用於走飲耳。幾乎不疾而速,不行而至者矣。此以一體為萬殊,存亡代謝,寄鄧林而遯形,惡得尋其靈化哉!」畢沅云:「鄧林即桃林也,鄧、桃音相近。高誘注淮南子(墬形篇)云:『鄧,猶木。』是也。列子(湯問篇)云:『鄧林彌廣數千里。』蓋即中山經(中次六經)所云『夸父之山,北有桃林』矣。其地則楚之北境也。」


博父國1在聶耳東,其為人大,右手操青蛇,左手操黃蛇。鄧林在其東,二樹木2。一曰博父。

1 珂案:博父國當即夸父國,此處博父亦當作夸父,淮南子墬形篇云:「夸父耽耳在其北。」即謂是也。下文既有「一曰博父」,則此處不當復作博父亦已明矣;否則下文當作「一曰夸父」,二者必居其一也。

2 郝懿行云:「二樹木,蓋謂鄧林二樹而成林,言其大也。」


禹所積石之山1在其東,河水所入2。

1 畢沅曰:「當云禹所導積石之山,此脫導字。」王念孫校同。珂案:畢王之說疑非。尋檢經文,積石之山有二:一曰積石,一曰禹所積石。大荒北經云:「大荒之中,有山名曰先檻大逢之山,河濟所入,海北注焉,其西有山,名曰禹所積石。」即此禹所積石山也,其方位在北。西次三經云:「積石之山,其下有石門,河水冒以西流。」海內西經云:「河水出東北隅,以行其北,西南又入勃海,又出海外,即西而北,入禹所導積石山。」即積石之山也,其方位在西。郝懿行注此經以大荒北經禹所積石即此禹所積石、以西次三經積石之山為非固是矣,而以海內西經禹所導積石為此禹所積石,則不知何所據也。

2 郭璞云:「河出昆侖而潛行地下,至嶺,復出注鹽澤,從鹽澤復行南,出於此山,而為中國河,遂注海也。書(禹貢)曰:『導河積石。』言時有壅塞,故導利以通之。」


拘纓之國1在其東,一手把纓2。一曰利纓之國3。

1 珂案:淮南子墬形篇有句嬰民,即此。高誘注云:「句嬰讀為九嬰,北方之國。」則所未詳也。

2 郭璞云:「言其人常以一手持冠纓也。或曰纓宜作癭。」珂案:纓正宜作癭。癭,瘤也,多生於頸,其大者如懸瓠,有礙行動,故須以手拘之,此「拘癭之國」之得名也。作拘纓者,同音通假,實亦拘癭,非如郭注所云「常以一手持冠纓」也。山海經所記殊方異域之人,非異形即異稟,無為以「一手持冠纓」而亦列為一國之理,是不足深辨亦已明矣。

3 江紹原中國古代旅行之研究云:「利或是捋之訛。」說亦可供參考。


尋木長千里,在拘纓南,生河上西北1。

1 珂案:穆天子傳卷六云:「天子乃釣于河,以觀姑繇之木。」郭璞注:「姑繇,大木也。山海經云:『尋木長千里,生河(河原訛作海,從御覽卷八百三十四引改)邊。』謂此木之類。」當如郭說也。姑繇之木,即榣木,見西次三經槐江之山。說文六云:「,昆侖河隅之長木也。」字省作榣耳。尋木亦此木之類也。


跂踵國1在拘纓東,其為人大,兩足亦大2。一曰大踵3。

1 郭璞云:「跂音企。」

2 郭璞云:「其人行,腳跟不著地也。孝經鉤命訣曰『焦僥跂踵,重譯塞』也。」珂案:淮南子墬形篇有跂踵民,高誘注云:「跂踵民,踵不至地,以五指行也。」即郭注所本。然文選王元長曲水詩序注引高注則作「反踵,國名,其人南行,跡北向也。」與此異義。大約跂踵本作支踵,支、反形近易訛,故兼二說。跂又作歧:呂氏春秋當染篇云:「夏桀染於歧踵戎。」即此也。經文「其為人大,兩足亦大」,不足以釋「跂踵」,疑有訛誤。王念孫云:「御覽人事十三作『其為人兩足皆大』,南蠻六同。」查影宋本御覽卷三七二(即人事十三)作「其為兩足皆大」,卷七九0(即南蠻六)作「其人兩足皆大」,「其為」「其人」,各脫一字,蓋「其為人」也。「其為人兩足皆大」,如所引近確,則經文「其為人大」之大字蓋衍文也。然「兩足皆大」,於釋「跂踵」義猶扞格。疑大當作支,大、支形近而訛。「兩足皆支,正所以釋「跂踵」也;則此處經文實當作「其為人兩足皆支」。

3 郝懿行云:「大踵疑當為支踵或反踵,並字形之訛。」珂案:作「反踵」是也。國名既為「跂踵」,則不當復作「支踵」,而作「大踵」乃未聞成說,故實祗宜作「反踵」。跂踵之為反踵,猶支舌之為反舌也。


歐絲之野在大踵東,一女子跪據樹歐絲1。

1 郭璞云:「言噉桑而吐絲,蓋蠶類也。」珂案:博物志異人云:「嘔絲之野,有女子方跪據樹而嘔絲,北海外也。」嘔絲即歐絲;嘔,歐俗字。說文八云:「歐,吐也。」故郭注以噉桑吐絲為言。畢沅云歐當作漚,非也。此一簡單神話,蓋「蠶馬」神話之雛型也。傳為三國吳張儼所作恐亦仍出六朝人手筆之太古蠶馬記(見搜神記卷十四)敘此神話云:「舊說太古之時,有大人遠征,家無餘人,唯有一女。牡馬一匹,女親養之。窮居幽處,思念其父。乃戲馬曰:『爾能為我迎得父還,我將嫁汝。』馬既承此言,乃絕而去,徑至父所。父見馬驚喜,因取而乘之。馬望所自來,悲鳴不已。父曰:『此馬無事如此,我家得無有故乎?』亟乘以歸。為畜生有非常之情,故厚加芻養,馬不肯食。每見女出入,輒喜怒奮擊,如此非一。父怪之,密以問女,女具以告父:『必為是故。』父曰:『勿言,恐辱家門。且莫出入。』於是伏弩射殺之,暴皮於庭。父行,女與鄰女於皮所戲,以足蹙之,曰:『汝是畜生,而欲取人為婦耶?招此屠剝,如何自苦……』言未及竟,馬皮蹶然而起,卷女以行。鄰女忙怕,不敢救之。走告其父。父還求索,已出失之。後經數日,得於大樹枝間,女及馬皮,盡化為蠶,而績於樹上。其綸理厚大,異於常蠶。鄰婦取而養之,其收數倍。因名其樹曰桑。桑者,喪也。由斯百姓競種之,今世所養是也。」此蓋是神話演變之結果也。前乎此(歐絲之野神話)者,有中次一十一山經所記「宣山,其上有桑焉,大五十尺,其枝四衢,其葉大尺餘,赤理、黃華、青葉,名曰帝女之桑」之帝女桑,惟僅著異桑,然已「女」「桑」相連為文。後乎此者,有荀子蠶賦:「身女好而頭馬首」,狀蠶之態,已近「蠶馬」。則知演變之跡象,實隱有脈絡可尋也。吾國蠶絲發明甚早,婦女又專其職任,宜在人群想象中,以蠶之性態與養蠶婦女之形象相結合。至於玉函山房輯佚書輯河圖括地象云:「化民食桑,二十七年而身裹,九年生翼,十年而死之焉。」則是蠶桑神話之異聞,非關此也。


三桑無枝,在歐絲東,其木長百仞,無枝1。

1 郭璞云:「言皆長百仞也。」珂案:大荒北經云:「有三桑無枝。」北次二經云:「洹山,三桑生之,其樹皆無枝,其高百仞。」即此。此無枝之三桑,當即跪據樹歐絲女子之所食也。


范林方三百里1,在三桑東,洲環其下2。

1 郝懿行云:「范、汎通。太平御覽五十七卷引顧愷之啟蒙記曰:『汎林鼓于浪嶺。』注云:『西北海有汎林,或方三百里,或百里,皆生海中浮土上,樹根隨浪鼓動。』即此也。」

2 郭璞云:「洲,水中可居者;環,繞也。」


務隅之山1,帝顓頊葬于陽2,九嬪葬于陰3。一曰爰有熊、羆、文虎、離朱、[丘鳥]久、視肉4。

1 珂案:海內東經云:「漢水出鮒魚之山,帝顓頊葬于陽,九嬪葬于陰,四蛇衛之。」大荒北經云:「附禺之山,帝顓頊與九嬪葬焉。」即此務隅,皆聲近字通也。

2 郭璞云:「顓頊,號為高陽,冢今在濮陽,故帝丘也。一曰頓丘縣城門外廣陽里中。」珂案:史記五帝本紀集解引皇覽云:「顓頊冢,在東郡濮陽頓丘城門外廣陽里中。」郭注蓋本此。

3 郭璞云:「嬪,婦。」

4 畢沅云:「一本多此十四字也。」珂案:上述各物已見海外南經「狄山」節。[丘鳥]久,藏經本作鴟久,郝懿行於海外南經注亦謂[丘鳥]當作鴟。孫星衍校同郝注。


平丘1在三桑東,爰有遺玉2、青鳥3、視肉、楊柳、甘柤4、甘華5,百果所生6,有7兩山夾上谷,二大丘居中,名曰平丘。

1 畢沅云:「淮南子(墬形篇)云:華邱。」郝從畢說。珂案:畢、郝之說非也。淮南子墬形篇明云:「昆侖華邱在其東南方。」則華邱者,應是海外東經「自東南陬至東北陬者」篇首之嗟丘。郭注云:「音嗟,或作髮。」嗟、髮、華,蓋一音之轉也。此云平丘,地在東北,方位既異,音復不同,何得以品物相類便遂斷為淮南子邱乎?

2 郭璞云:「遺玉,玉石。」郝懿行云:「吳氏(任臣——珂)云:『遺玉即瑿玉;琥珀千年為瑿。字書云:瑿,遺玉也。』吳氏之說,據本草舊注,未審是否。瑿,黑玉也。說文無此字,而有●。云:『遺玉也,從玉,●聲。』是遺玉名●,與瑿形聲皆近,當從說文也。」

3 珂案:青鳥,藏經本作青馬;海外東經嗟丘、淮南子墬形篇華丘亦俱作青馬:則作青馬是也。

4 郭璞云:「其樹枝幹皆赤,黃華,白葉,黑實。呂氏春秋曰:『其山之東,有甘柤焉。』音如柤梨之柤。」珂案:柤梨之柤,音渣。甘柤形狀,見大荒南經:「有蓋猶之山者,其上有甘柤,枝榦皆赤,黃葉,白華,黑實。」是郭注所本。然黃華白葉,當為黃葉白華,字之訛也。其山即箕山,籀文箕作其也。今本呂氏春秋本味篇云:「箕山之東,青鳥之所,有甘櫨焉。」是郭所引者,惟甘櫨作甘柤是其異耳。或古本如此,未可知也。甘柤維何?曰蓋是梨木之神異者。禮內則云:「柤,梨曰鑽之。」注:「柤,梨之不臧者。」疏:「恐有蟲,故一一鑽看其蟲孔也。」柤,爾雅釋木作樝,郭璞注云:「樝似梨而酢澀。」此云甘柤,明其不同於常柤矣。神異經南荒經云:「大荒之中有樹焉,名曰柤稼●。柤者,柤梨也;稼者,株稼也;●者,親●也。三千歲作華,九千歲作實,實長九尺,圍如其長,而無瓤核,以竹刀剖之如凝蜜,得食者壽一萬二千歲。」當即此甘柤之屬。述異記上云:「北方有七尺之棗,南方有三尺之梨,凡人不得見,或見而食之,即為地仙。」謂是也。

5 郭璞云:「亦赤枝榦,黃華。」珂案:大荒南經云:「(蓋猶之山)東又有甘華,枝榦皆赤,黃葉。」則黃華當作黃葉。

6 珂案:齊民要術十引此經生作在。

7 珂案:經文有,宋本、吳寬抄本、毛扆本、藏經本均作在。


北海內有獸,其狀如馬,名曰騊駼1。有獸焉,其名曰駮,狀如白馬,鋸牙,食虎豹2。有素獸焉,狀如馬,名曰蛩蛩3。有青獸焉,狀如虎,名曰羅羅4。

1 郭璞云:「陶塗兩音,見爾雅(釋畜)。」郝懿行云:「爾雅注引此經騊駼下有『色青』二字,史記匈奴傳徐廣注亦云:『似馬而青。』疑此經今本有脫文矣。」珂案:周書王會篇:「禺氏騊駼、駃騠為獻。」則騊駼者,野馬之屬也。

2 郭璞云:「周書(王會篇)曰:『義渠茲白,茲白若白馬,鋸牙,食虎豹。』按此二說與爾雅(釋畜)同。」珂案:郭注「二說」云者,指經文與周書王會篇之說也。西次四經云:「中曲之山有獸焉,其狀如馬,而白身黑尾,一角,虎牙爪,音如鼓音,其名曰駮,是食虎豹,可以禦兵。」較茲所記又加詳焉。而管子小問篇云:「桓公乘馬,虎望見之而伏。桓公問管仲曰:『今者寡人乘馬,虎望見寡人而不敢行,其故何也?』管仲對曰:『意者君乘駿馬而洀(古盤字)桓,迎日而馳乎?』公曰:『然。』管仲對曰:『此駮象也,駮食虎豹,故虎疑焉。』」則已演為故事而著之簡冊矣。

3 郭璞云:「即蛩蛩鉅虛也,一走百里,見穆天子傳(卷一);音邛。」珂案:周書王會篇云:「獨鹿邛邛,善走也。」孔晁注:「獨鹿,西方之戎也;邛邛,獸,似距虛,負●而走也。」實則邛邛、距虛乃是一物,即爾雅釋地所記「邛邛岠虛」也。呂氏春秋不廣篇云:「北方有獸,名曰蹶,鼠前而兔後,趨則跲,走則顛,常為蛩蛩距虛取甘草以與之。蹶有患害也,蛩蛩距虛必負而走。」是猶比肩之獸也。

4 吳任臣云:「駢雅曰:『青虎謂之羅羅。』今雲南蠻人呼虎亦為羅羅,見天中記。」


北方禺彊,人面鳥身,珥兩青蛇,踐兩青蛇1。

1 郭璞云:「字玄冥,水神也。莊周(莊子大宗師)曰:『禺彊立于北極。』一曰禺京。一本云:北方禺彊,黑身手足,乘兩龍。」

   珂案:大荒北經云:「有神,人面鳥身,珥兩青蛇,踐兩赤蛇,名曰禺彊。」與此經文略異。又大荒東經云:「東海之渚中,有神,人面鳥身,珥兩黃蛇,踐兩黃蛇,名曰禺[豸虎]。黃帝生禺[豸虎],禺[豸虎]生禺京,禺京處北海,禺[豸虎]處東海,是為海神。」郭璞於「禺京」下注云:「即禺彊也。」彊、京一聲之轉。則作為北海海神之禺京,與其作為東海海神之父禺[豸虎],同為人面鳥身。然竊有疑焉。莊子逍遙遊云:「北冥有魚,其名為鯤,鯤之大,不知其幾千里也,化而為鳥,其名為鵬,鵬之背,不知其幾千里也。怒而飛,其翼若垂天之雲。是鳥也,海運則將徙於南冥;南冥者,天池也。齊諧者,志怪者也;諧之言曰:鵬之徙於南冥也,水擊三千里,摶扶搖而上者九萬里,去以六月息者也。」似乎非僅寓言,實有神話之背景存焉。此背景維何?陸德明音義引崔譔云:「鯤當為鯨。」是也。爾雅釋魚:「鯤,魚子。」大無以致千里。莊生詼詭,以小名大,齊物之意也,鯤實當為鯨。而北海海神適名禺京,又字玄冥,此與莊周寓言中北冥之鯤(鯨)豈非有一定之關聯乎?而鯨,字本作●,說文十一云:「●,海大魚也,從魚,聲。」又與禺彊(禺京)之「彊」合。郭注引一本云:「北方禺彊,黑身手足,乘兩龍。」疑「黑身」乃「魚身」之誤,「黑」與「魚」形近而致訛也。海外東經云:「雨師妾在其北,為人黑身人面。」未言手足。以身既人身,手足自具,無煩更舉。海內北經云:「陵魚人面、手足、魚身,在海中。」此人形之魚,身仍為魚,而有手有足,故特著手足,以彰其異。由是言之,「黑身手足」之禺彊,猶「手足魚身」之陵魚,均人魚之類,「黑身」蓋「魚身」之訛也。其為海神之時,形貌當即是「魚身手足」。然而禺彊不僅海神而已,實又兼風神職司。淮南子墬形篇云:「隅強(禺彊),不周風之所生也。」史記律書曰:「不周風居西北,主殺生。」此生於不周風之禺彊,實當即是主不周風者。淮南本經篇載堯時害民之物,有所謂「大風」者,實即大鳳,亦即莊子逍遙遊之大鵬,高誘注以為風伯,又以為鷙鳥。此風伯若鷙鳥者,自非山海經所記人面鳥身之禺彊莫屬。故謂其不僅海神,實又職兼風神。當其為海神之時,固「魚身手足」之「鯤(鯨)」也,固「大不知其幾千里」也,然而一旦「化而為鳥」,則又「人面鳥身」之「鵬」也,則又「背不知其幾千里」、「怒而飛、其翼若垂天之雲」也:莊周詼詭之寓言,證以此經所記禺彊之形貌,豈非實有神話之背景存於其間乎?推而論之,東海海神禺[豸虎]之貌,或亦非僅具「鳥身」,實且兼有魚形,亦當為海神而兼風神也。惜乎文獻缺略,無由引證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