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동경(海外東經) 번역

산해경/해외동경 2018. 2. 28. 00:00

海外自東南陬至東北陬者。

해외 동남쪽 구석에서 동북쪽 구석까지 기재하다.


𨲠丘1,爰有遺玉、青馬、視肉、楊柳2、甘柤3、甘華,百果所生。

차구는, 여기에는 유옥과 청마와 시육과 양류와 감사와 감화가 있고, 온갖 과일이 자란다.


在東海,兩山夾丘,上有樹木。

동해에 있고, 두 산 사이에 언덕이 있고, 언덕 위에 나무들이 있다.


一曰嗟丘,一曰百果所在,在堯葬東4。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차구라고도 하고,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온갖 과일이 있는데, 요임금 무덤 동쪽에 있다.


1 곽박(郭璞)云:「音차(嗟),或作발(髮)。」학의행(郝懿行)云:「북당서초(北堂書鈔)九十二卷引차는 발로 바꾸어져 있다(嗟正作髮),即곽박(郭)의견(所見)本也。차(嗟),옛 차로 쓰였다(古或作𨲠),이아(爾雅)석고(釋詁)云:『차는(嗟),자다(咨也)。』광운(廣韻)作차구(嗟丘)。옥편(玉篇)云:『이것은(),좋다(好也)。』뜻은 이것과 다르다(義與此異)。회남자(淮南)지형훈(墬形訓)作화구(華丘)。」

2 원가기록(珂案):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作양도(楊桃) 키위。

3 원가기록(珂案):감사는(甘柤),已見해외북경(海外北經)「평구(平丘)감사(甘柤)」節注4;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作감사(甘樝)。

4 원가기록(珂案):요임금은 적산에 묻혔고(堯葬狄山),已見해외남경(海外南經)。


大人國1在其北,為人大,坐而削2。

대인국은 그 북쪽에 있고, 그곳 사람들은 덩치가 크며, 앉아서 배를 조종한다.


一曰在𨲠丘北。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차구 북쪽에 있다.


1 원가기록(珂案):대황동경(大荒東經)云:「동해의 밖(東海之外),대황의 안에(大荒之中),있는 산의 이름은 대언이라 하며(有山名曰大言),해와 달이 드나드는 곳이다(日月所出)。파곡산이 있고(有波谷山者),대인국이 있다(有大人之國)。대인시가 있는데(有大人之市),이름을 대인당이라 한다(名曰大人之堂)。준이라는 대인이 한 명 있는데 그곳의 우두머리이고(有一大人踆其上),그 두 팔로 도움을 준다(張其兩臂)(원문에 비는 이로 쓰여 있고(臂原作耳),나중에(從)왕념손(王念孫)、필원(畢沅)、학의행(郝懿行)여러 사람도(諸家)고침(校改))。」이 대인국이다(即此大人國也)。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亦대인국이 있고(有大人國),고유(高誘)注云:「동남쪽 허토는(東南墟土),사람들이 크다(故人大)。」蓋本대대례기(大戴禮)역본명편(易本命篇)「허토의 사람은 크다(虛土之人大)」설명되어 있다(為說也)。북쪽 역시도 대인이 있다(然北方亦有大人),해내북경(海內北經)云:「대인시는 바다 안에 있다(大人之市在海中)。」대황북경(大荒北經)云:「이름이 대인이라 불리는 사람이 있다(有人名曰大人)。대인국이 있는데(有大人之國),이씨 성을 쓰며(釐姓),기장을 먹는다(黍食)。」동남쪽에 한정되어 있지 않다(則不限於東南矣)。대인전설은 사기에 나오고(大人傳說之見於史籍者),시작(始)국어(國語)노어(魯語)。노어(魯語)云:「오나라가 월나라를 정벌하고(吳伐越),회계를 훼손하다(墮會稽),뼈를 얻었는데(獲骨焉),뼈마디 하나가 수레만 하더라(節專車)。오왕 부차는 노나라에 사신을 보내 우호관계를 맺었고(吳子使來好聘),공자에게 물어보았다(且問之仲尼),공자가 말하길(仲尼)曰:『옛날에 우임금이 회계산에서 귀신 무리들을 모이게 하였다(昔禹會群神於會稽之山),방풍씨가 늦게 도착하여(防風氏後至),우임금은 방풍씨를 죽여 육시를 하였는데(禹殺而戮之),그 뼈마디가 수레만 하였다(其骨節專車)。』」그 후에 춘추시대 문공 십일 년 공량전 기록에도(其後春秋文公十一年穀梁傳亦記之):「장적 삼형제는(長狄也兄弟三人),나라에서 난동을 부렸는데(佚宕中國),와석은 해치지 못하였다(瓦石不能害)。숙손득신은 활을 잘 쏘는 사람인데(叔孫得臣最善射者也),그 눈을 활로 맞추었다(射其目),쓰러진 몸이 구백 평에(身橫九畝),자른 그 머리를 떠받드니(斷其首而載之),눈썹이 수레 앞턱에 있더라(眉見於軾)。」신화 중 천당 역시 대인이 있다(神話中天堂亦有大人):초사(楚辭)초혼(招魂):「머리가 아홉 개인 한 사내가(一夫九首),나무 구천 그루를 뽑았다(拔木九千些)。」지부에도 대인이 있다(地府亦有大人):「토백은 몸이 아홉 번 굽어 있고(土伯九約),그 뿔은 날카롭다(其角觺觺些);도타운 등심에 붉은 엄지네(敦血拇),사람을 빠르게 쫓는다(逐人駓駓些);세 개의 눈에 범의 머리이고(參目虎首),그 몸은 소 같다(其身若牛些)。」대인의 시초(而大人之鼻祖),있다(則在)열자(列子)탕문편(湯問篇)기록(所記)용백국(龍伯國)대인(大人):「발해의 동쪽에 있는 대학은(渤海之東有大壑焉),이름을 귀허라 한다(名曰歸墟)。그 안에 다섯 개의 산이 있다(其中有五山焉):첫 번째 대여(一曰岱輿),두 번째 원교(二曰員嶠),세 번째 방호(三曰方壺),네 번째 영주(四曰瀛洲),다섯 번째 봉래(五曰蓬萊)。그 산의 높이와 둘레는 삼만 리에 이르고(其山高下周旋三萬里),그 산꼭대기의 평평한 곳은 구천 리에 이르며(其頂平處九千里),산 중간의 거리는 칠만 리에 이른데(山之中間相去七萬里),산이 서로 이웃하여 거주한다(以為鄰居焉)。산에 거주하는 것은 모두 신선과 성인의 종류이고(所居皆仙聖之種),빠르게 날아 서로 왕래하는 자는 수를 헤아릴 수 없다(一日一夕飛相往還者不可數焉)。언제나 조수의 물결이 위아래로 왕복하여(常隨潮波上下往還),잠시도 우뚝 솟지 못한다(不得蹔峙焉)。신선과 성인은 한탄하며(仙聖毒之),천제에게 호소하였다(訴之於帝)。천제는 서쪽으로 밀려나는 것을 두려워하고(帝恐流於西極),신선과 성인들의 무리들이 사는 곳을 잃어버릴까봐(失群仙聖(선자는 원래 없는 글자(仙字原無),나중에(從)양백준(楊伯峻)열자집석(列子集釋)수정(補)之居),우강에게 명하여 커다란 자라 열다섯 마리에게(乃命禺彊使巨鼇十五),머리를 들어 받치게 하였고( 舉首而戴之),세 차례 번갈아 가며(迭為三番),육만 년에 한 번 교차하더라(六萬歲一交焉),다섯 개의 산이 처음에는 움직이지 않는 언덕이었다(五山始峙而不動(이부동 세글자는 없는 원래 글자(而不動三字原無,나중에(從)양백준(楊伯峻)열자집석(列子集釋)수정(補)))。용백국에 있는 대인은(而龍伯國有大人),발을 들어 얼마 가지 않았어도 이미 다섯 개의 산이 있는 곳에 이르렀으며(舉足不盈數步而暨五山之所),한 번에 여섯 마리의 자라를 낚아(一釣而連六鼇),모두 등에지고 빠르게 달려(合負而趣),그 나라로 돌아가(歸其國),불사질러 그 뼈로 운수를 보았다(灼其骨以數焉)。그리하여 대여와 원교 두 산은 북쪽으로 흘러가(於是岱輿、員嶠二山流於北極),대해에 잠겼고(沈於大海),신선과 성인의 집을 떠나 피난간 자들이 수가 많았다(仙聖之播遷者巨億計)。천제는 크게 노하여(帝憑怒),용백국을 조금씩 줄어들게 하여 좁게 만들었고(侵減龍伯之國使阨),용백민을 조금씩 작게 하여 키를 작게 만들었다(侵小龍伯之民使短),복희와 신농 시대에 이르렀는데(至伏羲神農時),그 나라 사람들은 오히려 키가 십 장이었다(其國人猶數十丈)。」而박물지(博物志)외국(外國)云:「대인국은(大人國),그곳 사람들은 삼십 육 년 동안 임신을 하고(其人孕三十六年),흰 머리로 태어나며(生白頭),태어난 아이는 키가 크다(其兒則長大),걷지 못하지만 비와 구름은 탈 수 있다(能乘雲雨而不能走),모두 용의 종류다(蓋龍類);회계에게 사만 육천 리 떨어져 있다(去會稽四萬六千里)。」「용의 종류(龍類)」의 설명(之說),이것이 근거(或本此也)。

2 학의행(郝懿行)云:「삭의 발음을 초와 같다(削當讀若稍),초선은 배를 모는 것을 일컫는다(削船謂操舟也)。」


奢比之尸在其北1,獸身、人面、大耳2,珥兩青蛇3。

사비시는 그 북쪽에 있는데, 짐승 몸에 사람 얼굴이고 귀가 크며, 두 마리 푸른 뱀을 귀에 걸고 있다.


一曰肝榆之尸在大人北。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대인국 북쪽에 간유시가 있다.


1 곽박(郭璞)云:「역시 신의 이름이다(亦神名也)。」학의행(郝懿行)云:「관자(管子)오행편(五行篇)云:『황제는 사룡을 얻어 동방에 두루 미치다(黃帝得奢龍而辯於東方)。』又云:『사룡이 동방에 두루 미쳤기 때문에(奢龍辯乎東方),토사가 되게 하였다(故使為土師)。』이 경문의 사비는 동해의 밖에 있고(此經奢比在東海外),맞는 것으로 의심(疑即是也)。나필(羅泌)노사(路史)(후기오(後紀五))역시 사룡은 사비다(亦以奢龍即奢比)。삼재도회(三才圖會)作사북(奢北)。又회남자(淮南)지형훈(墬形訓)云:『제비는(諸比),양풍이 나오는 곳이다(涼風之所生)。』제비는(諸比),신의 이름(神名),혹은 사비의 다른 문자(或即奢比之異文也)。」

2 원가기록(珂案):대황동경(大荒東經)云:「신이 있는데(有神),사람 얼굴에 개의 귀가 달렸고 짐승의 몸이며(人面、犬(송본(宋本)作대(大))耳、獸身),두 마리 푸른 뱀을 귀에 걸고 있다(珥兩青蛇),이름을 사비시라 한다(名曰奢比尸)。」即此。

3 곽박(郭璞)云:「이는(珥),뱀으로 귀를 뚫은 것이다(以蛇貫耳也),音조이의 이(釣餌之餌)。」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뱀으로 귀를 뚫은 것(以蛇貫耳)」,귀를 뚫어 꾸미는 것이다(蓋貫耳以為飾也)。산해경(山海經)기록(記)뱀으로 귀를 뚫은 신이 많이 나오며(珥蛇之神多處),이것 이 외에도(除此而外),이 경문에 있는 우사첩도(尚有此經之雨師妾「왼쪽 귀에 푸른 뱀이 있고(左耳有青蛇),오른쪽 귀에 붉은 뱀이 있다(右耳有赤蛇)」),해외서경(海外西經)之욕수(蓐收)「왼쪽 귀에 뱀이 있다(左耳有蛇)」,해외북경(海外北經)之우강(禺彊)「두 마리 푸른 뱀을 걸고 있다(珥兩青蛇)」,대황동경(大荒東經)之우호(禺䝞)「두 마리 누런 뱀을 걸고 있다(珥兩黃蛇)」,대황남경(大荒南經)之부정호여(不廷胡余)「두 마리 푸른 뱀을 귀에 걸고 있다(珥兩青蛇)」,대황서경(大荒西經)之엄자(弇茲)「두 마리 푸른 뱀을 귀에 걸고 있다(珥兩青蛇)」、하후개(夏后開)「두 마리 푸른 뱀을 귀에 걸고 있다(珥兩青蛇)」,대황북경(大荒北經)之과보(夸父)「두 마리 푸른 뱀을 귀에 걸고 있다(珥兩青蛇)」。


君子國1在其北,衣冠帶劍,食獸,使二大虎2在旁3,其人好讓不爭4。

군자국은 그 북쪽에 있는데, 옷과 갓을 차려입고 칼을 차고 있으며, 짐승을 먹는다, 두 마리 큰 범을 곁에 두고 부리며, 그곳 사람들은 양보하는 것을 좋아하고 다투지 않는다.


有薰5華草,朝生夕死6。

훈화초가 있는데, 꽃이 아침에 피고 저녁에 진다.


一曰在肝榆之尸北。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간유시 북쪽에 있다.


1 원가기록(珂案):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이 나라가 있다(有此國)。대황동경(大荒東經)云:「동구산이 있고(有東口之山),군자국이 있다(有君子之國),그곳 사람은 옷과 갓을 차려입고 검을 찼다(其人衣冠帶劍)。」即此。

2 학의행(郝懿行)云:「후한서(後漢書)동이전(東夷傳)注引此經大虎作文虎,고유(高誘)注회남자(淮南)지형훈(墬形訓)亦作文虎,今此本作大,字形之訛也。」원가기록(珂案):장경(藏經)本正作文虎。

3 원가기록(珂案):경문의 방은(經文旁),장경(藏經)本作왼쪽과 오른쪽(左右)。

4 원가기록(珂案):설문해자(說文)四云:「동이는 대의를 따르는(東夷從大),군자다(大人也);동이 풍속은 어질고(夷俗仁),어진 사람은 장수하며(仁者壽),군자가 죽지 않는 나라다(有君子、不死之國)。」而박물지(博物志)외국(外國)云:「군자국 사람들은(君子國人),옷과 갓을 차려입고 검을 차고 있으며(衣冠帶劍),두 마리 범을 부린다(使兩虎),백성을 들판에서 나는 명주로 옷을 만들어 입고(民衣野絲),예의와 양보를 좋아하며 다툼을 싫어한다(好禮讓不爭)。국토는 천 리에 이르고(土千里),훈화초가 많다(多薰華之草)。백성은 병과 중풍이 많기 때문에(民多疾風氣),인구가 늘어나지 않는다(故人不蕃息)。」적은 여와 서로 반대다(適又與之相反)。대부분이 전해 들어 같이 않기 때문에(大抵傳聞不同),그 글귀가 각각 다르다(故各異其辭耳)。예문유취(藝文類聚)卷二十一引이 경문(此經)「옷과 갓을 차려입고 검을 차고 있다(衣冠帶劍)」다음에 네 글자가 있다(下有「국토가 사방 천 리에 이른다(土方千里)」四字),「그곳 사람들은 양보를 좋아한다(其人好讓)」다음에 다섯 글자가 있다(下有「때문에 군자국이 되었다(故為君子國)」五字),현재 책에는 없다(為今本所無)。

5 곽박(郭璞)云:「或作근(堇)。」

6 학의행(郝懿行)云:「목근(木堇)見이아(爾雅)(석초(釋草)),근의 다른 이름은 순이고(堇一名蕣),훈과 성조가 서로 비슷하다(與薰聲相近)。여씨춘추(呂氏春秋)중하기(仲夏紀)云:『목근영(木堇榮)。』고유(高誘)注云:『목근은 아침에 꽃이 피고 어두워지면 지며(木堇朝榮莫落),이것은 달마다 꽃이 피고 증발한다(是月榮華可用作蒸)。잡가에서는 조생이라 일컬으며(雜家謂之朝生),순이라고도 한다(一名蕣);시경(詩)(수레에 함께 탄 아가씨(有女同車))云:「얼굴이 무궁화꽃 같네(顏如蕣華)」맞다(是也)。』예문유취(藝文類聚)八十九卷引외국도(外國圖)云:『군자국은(君子之國),목근화가 많고(多木堇之華),백성들이 먹는다(人民食之)。낭사에서 삼만 리 떨어져 있다(去瑯邪三萬里)。』」


𧈫𧈫1在其北,各有兩首2。

홍홍은 그 북쪽에 있고, 각각 두 개의 머리가 있다。


一曰在君子國北。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군자국 북쪽에 있다.


1 곽박(郭璞)云:「音홍(虹)。」

2 곽박(郭璞)云:「홍은(虹),무지개다(螮蝀也)。」

   원가기록(珂案):홍은 홍을 다르게 쓴 것(𧈫即虹字之別寫)。이아(爾雅)석천(釋天)云:「체동은(螮蝀),홍이다(虹)。」곽박(郭璞)注云:「흔히 미인홍이라 한다(俗名為美人虹)。」시경(詩)체동(蝃蝀):「동쪽 하늘에 무지개가 있으면(蝃蝀在東),함부로 손가락질 하지마라(莫之敢指)。」체(蝃)音제(帝),체동은 체동이다(蝃蝀即螮蝀也)。이는 동쪽에 있는 무지개를 모홍이라 한다(此在東之蝃蝀蓋暮虹也);무지개는 해를 따라다리며 비추어지기 때문에(虹隨日所映),아침에는 서쪽에 있고 저녁에는 동쪽에 있다(故朝西而暮東也)。見於해외동경(海外東經)군자국 북쪽에(君子國北之「홍홍(𧈫𧈫)」),역시 모홍이다(亦暮虹);云「각각 두 개의 머리가 있다(各有兩首)」者,아마도 애매미가 포함된 말일 것이다(大約並蜺包括言之)。모시정의(毛詩正義)引곽씨(郭氏)음의(音義)云:「쌍무지개는 눈에 띌 만큼 뛰어나게 곱고 성대하여 수컷이 되었고(虹雙出色鮮盛者為雄),수컷은 홍이라 한다(雄曰虹);어두운 것은 암컷이 되었고(闇者為雌),암컷을 예라 한다(雌曰蜺)。」홍예를 보면(虹霓之見),옛날 사람들은 음양교가 된다는 것을(古人以為「음양교(陰陽交)」(고미서(古微書)모음(輯)춘추원명포(春秋元命苞))),회남자(淮南)설산편(說山篇)云「하늘에서 두 기운이 일어나면 무지개가 나타난다(天二氣則成虹)」맞다(是也)。「두 개의 머리(兩首)」者,또한 교차하는 모양이다(亦「교(交)」之象也)。그러므로 시경의 무지개는 혼인을 하지 않고 동거하는 여자를 비난하는 것이다(故詩蝃蝀以刺奔女)。그 봉건의식을 버리고(去其封建意識),무지개는 확실히 애정행복의 상징이 되었다(虹固為愛情幸福之象徵)。시경(詩)후인(候人)云:「무성하고 화려한 구름은(薈兮蔚兮),남산의 아침 무지개가 되었구나(南山朝隮);예쁘고 젊은 아름다운 여인이여(婉兮孌兮),이리도 사랑에 굶주렸구나(季女斯飢)。」「조제(朝隮)」即조홍이다(朝虹也),「사기(斯飢)」,사랑에 굶주리다(飢於愛也):무지개 있는 곳의 상징이(則虹所象徵者),이미 명확하다(亦已明矣)。송옥(宋玉)고당부(高唐賦)기록된(所記)무산신녀의 말(巫山神女之言):「첩은 무산의 절벽에 살고 있는데(妾在巫山之岨),아침에 조운이 되고(旦為朝雲),저녁에는 비가되어 내립니다(暮為行雨),아침 저녁 언제나(朝朝暮暮),양대의 아래 있습니다(陽臺之下)。」문일다(聞一多)고당신녀전설의 분석하며(高唐神女傳說之分析以)조운은 조홍이 된다고 했고(為朝雲即朝虹),신녀는 홍예의 변화라 하였다(神女即虹霓之所化),설명 역시 가깝다고 본다(說亦近是)。則이아(爾雅)「체동(螮蝀)」곽박(郭)설명(注)이른바(所謂)「흔히 민인홍이라 한다(俗名為美人虹)」者,본래 그것은 옛부터 전해지는 말이다(固自有其古傳也)。유경숙(劉敬叔)이원(異苑)云:「동진 의희 초기 시절(晉義熙初),진릉 사람 설원은 어지러움을 느껴 그 가마솥에 부은 물을 마시려고 했는데(晉陵薛願有虹飲其釜澳),물을 마시려 입을 벌리자 바로 사라졌다(須臾響便竭)。설원이 술을 실어와 마시려고(願輦酒灌之),술을 잔에 따르면 바로 말랐다(隨投隨涸),문득 금을 토해 가마솥이 가득 찼고(便吐金滿釜),이것이 괴롭고 번거로운 재앙이라 여겨 날마나 떨어 없앴더니 해가 지날수록 넉넉하고 많아졌다(於是災弊日祛而豐富歲臻)。」황휴복(黃休復)모정객화(茅亭客話)云:「위중명은 촉의 해를 제압하고(韋中令鎮蜀之日),서쪽 정자에서 손님들에게 연회를 베풀었는데(與賓客宴于西亭),갑자기 폭풍우가 내리어(或暴風雨作),홀연히 하늘 아래 생긴 홍예는(俄有虹蜺自空而下),정자로 바로 들어왔고(直入于亭),술자리에 앉아 머리를 숙여(垂首于筵中),그 음식들을 모두 섭취 하였다(吸其食饌且盡焉)。그 홍예의 머리는 나귀를 닯았고(其虹蜺首似驢),몸은 맑게 갠 날의 노을 같았으며(身若晴霞狀),여러 사람들이 미워하며 두려워하였다(公懼且惡之)。……열흘 동안 큰 절을 하며 기록하라 명했다(旬餘就拜中書令)。」이것이 비록 나중에 생긴 설명이지만(此雖後起之說),홍을 보면 사람이 사는 집의 즐겁고 기쁜 일이 생긴다 여겼고 초사와 다를 바가 없다(然虹見於人家之為禎祥則無異辭也)。


朝陽之谷1,神曰天吳,是為水伯。

조양의 골짜기는, 신 천오라 하고, 천오는 물 귀신 되었다.


𧈫𧈫北兩水閒。

홍홍 북쪽 양수 사이에 있다.


其為獸也,八首人面,八足八尾,皆青黃2。

그것은 짐승이 되었는데, 여덟 개의 머리에 사람 얼굴을 했으며, 여덟 개의 발고 여덟 개의 꼬리가 달렸고, 모두 푸르고 누렇다.


1 학의행(郝懿行)云:「이아(爾雅)云:『산의 동쪽을 조양이라 하고(山東曰朝陽(석산(釋山))),계에 들어가는 물을 곡이라 한다(水注谿曰谷(석수(釋水)))。』」

2 곽박(郭璞)云:「대황동경(大荒東經)云:열 개의 꼬리(十尾)。」원가기록(珂案):대황동경(大荒東經)云:「신선이 있는데 여덟 개의 머리에 사람 얼굴을 했으며(有神人八首人面),범의 몸에 꼬리가 열 개다(虎身十尾)。」「모두 푸르고 누렇다(皆青黃)」,하작(何焯)校本、황비렬(黃丕烈)주숙도(周叔弢)校本並作「등이 푸르고 누렇다(背青黃)」,문선(文選)사령운(謝靈運)유적석진범해(遊赤石進帆海)注引이 경문 역시(此經亦)作「등이 푸르고 누렇다(背青黃)」:作「등이 푸르고 누렇다(背青黃)」맞다(是也)。


青丘國在其北1,其狐四足九尾2。

청구국은 그 북쪽에 있고, 그곳 여우는 발이 네 개이고 꼬리가 아홉 개이다.


一曰在朝陽北。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조양 북쪽에 있다.


1 곽박(郭璞)云:「그곳 사람들은 온갖 곡식을 먹고(其人食五穀),명주실로 비단 옷을 만들어 입는다(衣絲帛)。」왕념손(王念孫)云:「이는(此(가르킨다(指)곽박(郭)설명(注)——珂)원래 문장이다(是正文),見태평어람(御覽)남만(南蠻)육(六)。」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御覽)卷七九0(即남만(南蠻)육(六))引此經云:「청구국의 사람들은 온갖 곡식을 먹고(青丘國其人食五穀),명주실로 비단옷을 만들어 입으며(衣絲帛),그곳에 여우는 꼬리가 아홉 개다(其狐九尾)。」확실히 이 원래 문장이 잘못쓰여 있다(確是正文而誤作注者)。

2 곽박(郭璞)云:「급군죽서(汲郡竹書)曰:『하나라 왕 백저자가 동해로 출병하였고 왕수에 다달아(柏杼子征于東海及王壽),꼬리가 아홉 개인 여우 한 마리를 얻었다(得一狐九尾)。』이 종류다(即此類也)。」원가기록(珂案):왕수는(王壽),송본(宋本)作삼수(三壽)。노사(路史)후기(後紀)십삼(十三)云:「제저 오년(帝杼五歲),동해로 출병하여(征東海),삼수를 토벌하다(伐三壽)。」국명기(國名紀)己云:「임금 저가 동해로 출병하여(后杼征東海),왕수를 토벌하다(伐王壽)。」則或「삼(三)」或「왕(王)」,삼과 왕 중에 정하기 쉽지 않다(未易定也)。현재 책(今本)죽서(竹書)作「삼수(三壽)」,학의행(郝懿行)引왕수라는 증거가 없어져서(之以證「왕수(王壽)」之失),모두 확실하지 않다(蓋未審耳)。남산경(南山經)云:「청구산은(青丘之山),여기 있는 짐승은(有獸焉),그 모양이 꼬리가 아홉 개인 여우 같고(其狀如狐而九尾),그 울음 소리는 젖먹이 같으며(其音如嬰兒),사람을 잡아 먹는다(能食人),먹은 사람은 고독에 걸리지 않는다(食者不蠱)。」청구산은 청구국의 산이다(青丘之山當即青丘國之山也)。주서(周書)왕회편(王會篇)云:「청구의 여우는 꼬리가 아홉 개다(青丘狐九尾)。」대황동경(大荒東經)亦云:「청구국이 있는데(有青丘之國),꼬리가 아홉 개인 여우가 있다(有狐九尾)。」곽박(郭璞)注:「태평할 때 나타나 좋은 일이 생긴다(太平則出而為瑞也)。」이 청구는 구미호의 이름이고(是青丘者乃以九尾狐名),而회남자(淮南)지형편(墬形篇)이 나라가 없다(無此國)。오월춘추(吳越春秋)월왕무여외전(越王無余外傳)云:「우가 삼십 세까지 장가를 들지 못하고(禹三十未娶),도산에 도착해서야(行到塗山),나이 먹은 것을 두려워하였는데(恐時之暮),그가 세운 나라가 없어질까봐서이다(失其制度),스스로 말하길(乃辭)云:『내가 장가를 간다면(吾娶也),반드시 어떤 조짐이 있을 것이다(必有應矣)。』이에 꼬리가 아홉 개인 흰여우가(乃有九尾白狐),우에게 다가왔다(造於禹)。우(禹)曰:『흰색은 나의 옷이고(白者吾之服也),그 아홉 개의 꼬리는 왕의 증거다(其九尾者王之證也)。도산가(塗山之歌)曰:「홀로 어슬렁 거리며 짝을 찾는 흰여우(綏綏白狐),아홉 개의 꼬리가 복슬거리고 탐스럽도다(九尾厖厖);나의 집안에 경사스러운 일이 생겨 기쁘니(我家嘉夷),오신 손님이 왕이 되었구나(來賓為王);가문을 세우고 장가를 가니(成家成室),내가 저 번창을 만들었다(我造彼昌);하늘과 사람의 만남이(天人之際),이곳에서 이루어 졌네(於茲則行)。」확실하다(明矣哉)!』우임금은 도산에서 아내를 얻었고(禹因娶塗山),여교라 일컫는다(謂之女嬌)。」이 꼬리가 아홉 개인 흰여우는(此九尾白狐),이는 곽박이 설명한 태평할 때 나타나 좋은 일이 생긴다의 청구국 구미호다(當即是郭注所謂「태평할 때 나타나 좋은 일이 생긴다(太平則出而為瑞)」之青丘國九尾狐也)。한나라 시대(漢代)석각(石刻)화상(畫像)과及전화(磚畫)속에(中),구미호와 흰토끼와 두꺼비와 삼족오의 종류는 서왕모의 자리 옆에 자주 있었고(常有九尾狐與白兔、蟾蜍、三足烏之屬列於西王母座旁),상서로움을 뜻하며(以示禎祥),구미호는 자손이 많이 늘어나는 것을 뜻한다(九尾狐則象徵子孫繁息)(見백호통덕론(白虎通德論)봉선편(封禪篇)),역시 우임금이 도산에서 아내를 얻는 신화로 추측하는 바이다(亦禹娶塗山神話之遺意也)。「사람을 먹는다(食人)」의 전설은 차츰 사라졌는데((之傳漸隱),「상서로움이 된다(為瑞)」의 설명으로 끝이 났다(之說終張):신화전설이 변하여 발전한 이유는 문자가 익숙지 안아서이고(神話傳說之演變由野而文),이는 전체를 보지 못하고 한 부분만을 볼는 것이라 할 수 있다(此亦可以窺豹一斑也)。


帝命豎亥1步,自東極至于西極,五億十選2九千八百步3。

황제가 신하 수해에게 걸어보라 시켰는데, 동쪽끝에서 서쪽끝까지, 오억 십선 구천 팔백 걸음이였다.


豎亥右手把算,左手指青丘北4。

수해는 오른손으로 셈을 세고, 왼손으로는 청구 북쪽을 가르켰다.


一曰禹令豎亥。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우임금이 수해에게 시켰다고 한다.


一曰五億十萬九千八百步5。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오억 십만 구천 팔백 걸음이라고 한다.


1 곽박(郭璞)云:「수해는 꿋꿋하게 걸어다니는 사람(豎亥健行人)。」학의행(郝懿行)云:「광운(廣韻)作견해신인(堅𥩲神人),글자 모양이 다르다고 의심(疑字形之異)。」실명(失名)云:「수해는(豎亥)오월춘추(吳越春秋)(월왕무여외전(越王無余外傳))、옥해(玉海)作유해(孺亥)。」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수(豎)作수(竪),사부비요(四部備要)本오월춘추(吳越春秋)같다(同)。

2 곽박(郭璞)云:「선은(選),만이다(萬也)。」

3 왕념손(王念孫)云:「예문유취(類聚)지부(地部)(卷六)作팔 백 여덟 걸음(八百八步),초학기(初學)지부(地部)상(上)(卷五)같다(同)。태평어람(御覽)공예(工藝)칠(七)(卷七五0)팔백 다음에 팔십 두 글자가 더있다(八百下有八十二字)。」학의행(郝懿行)云:「유소(劉昭)注군국지(郡國志)云:『산해경에서 일컫는 우임금이 대장으로 하여금 동쪽 끝에서 서쪽 끝까지 걸으라 하였는데(山海經稱禹使大章步自東極至于西垂),이억 삼만 삼천 삼백 칠십 한 걸음이고(二億三萬三千三百里七十一步),또 수해로 하여금 남쪽 끝에서 북쪽 끝까지 걸으라 하였는데(又使豎亥步南極北盡于北垂),이억 삼만 삼천 오백 칠십 다섯 걸음이었다(二億三萬三千五百里七十五步)。』현재 기록된(今案)회남자(淮南)지형훈(墬形訓)이른바(所說),주요 요지가 서로 같다(大旨相同)。이 경문을 바로잡아서(以校此經),없는데(無『우임금이 대장으로 하여금(禹使大章)』云云),또한 그 수와 유소도(又其數與劉昭所)引맞지 않고(不合),아직 자세히 알지 못한다(未知其審)。又중산경(中山經)(끝부분(篇末))云:『하늘과 땅의 동쪽에서 서쪽까지 이만 팔천 리에 이르고(天地東西二萬八千里),남쪽에서 북쪽까지 이만 육천 리에 이른다(南北二萬六千里)。』이 중복되는 부분이 같지 않고(與此復不同者),이 계산은 바다 밖 계산이고(此通海外而計),그 근거는 중국 영토의 말하고 들리는것(彼據中國穀土而言耳)。」원가기록(珂案):신화전설이 소문으로 돌고돌아 같지 않고 다르며(亦神話傳說傳聞不同而異辭耳),해외와 곡토를 일컫는 것이 아니다(非「해외(海外)」、「곡토(穀土)」之謂也)。

4 왕념손(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三十六우는 좌로 쓰여 있고(右作左),좌는 우로 쓰여 있다(左作右)。예문유취(類聚)(卷六)같다(同)。」학의행(郝懿行)云:「말과 그림이 이와 같다(亦言圖畫如此也)。산은 산가지로 바꾸어야 한다(算當為筭);설문해자(說文)(五)云:산가지의 길이는 육 촌이고(筭長六寸),계산하는 도구다(計歷數者)。」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장경(藏經)本산이 산가지고 고처져 있다(算正作筭)。

5 곽박(郭璞)云:「시함신무(詩含神霧)曰:『하늘과 땅의 동쪽에서 서쪽까지 이억 삼만 삼천 리에 이르고(天地東西二億三萬三千里),남쪽에서 북쪽까지 이억 일천 오백 리에 이른다(南北二億一千五百里)。하늘과 땅 서로의 거리는 일억 오만 리에 이른다(天地相去一億五萬里)。』」


黑齒國在其北1,為人黑2,食稻啖蛇,一赤一青3,在其旁。

흑치국은 그 북쪽에 있고, 그곳 사람은 치아가 검으며, 벼를 먹고 뱀을 씹어먹는다, 붉은 뱀 한 마리와 푸른 뱀 한 마리가, 그 곁에 붙어 있다.


一曰:在豎亥北,為人黑首4,食稻使蛇,其一蛇赤。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수해 북쪽에 있고, 그곳 사람은 머리가 검으며, 쌀을 먹고 뱀을 부린다, 그 뱀 중 한 마리는 붉다.


1 곽박(郭璞)曰:「동이전(東夷傳)曰:왜국 동쪽으로 사십 리 남짓에(倭國東四十餘里),나국이 있고(有裸國),나국 동남쪽에 흑치국이 있으며(裸國東南有黑齒國),배로 일 년을 가야 도착 할 수 있다(船行一年可至也)。이물지(異物志)云:서도 사람들은 이가 물들어 있는데(西屠染齒),이 사람들이 추방된 것이다(亦以放此人)。」원가기록(珂案):삼국지(三國志)위지동이전(魏志東夷傳)云:「여왕국 동쪽으로 바다를 건너 천 리 남짓에(女王國東渡海千餘里),다른 나라들이 있는다 모두 왜와 같은 부류다(復有國皆倭種)。또 주유국이 있는데 그 남쪽에 있고(又有侏儒國在其南),사람들의 키는 삼사 척 정도며(人長三四尺),여왕국과 천 리 남짓 떨어져 있다(去女王四千餘里)。나국과 흑치국이 있는데(又有裸國、黑齒國),여러 나라들이 그 동남쪽에 있다(復在其東南),배로 일 년을 가야 도착 할 수 있다(船行一年可至)。」即곽박(郭)설명(注)인용했다(所引)。「사천 리 남짓(四千餘里)」현재 책(今本)곽박(郭)설명(注)作「사십 리 남짓(四十餘里)」,글자의 모양이 잘못됨(字形之訛也)。송본(宋本)、모의(毛扆)本、장경(藏經)本사십은 사천이로 쓰여 있다(四十仍作四千)。又문선(文選)오도부(吳都賦)유규(劉逵)注引이물지(異物志)云:「서도 사람들은 풀로 이를 물들였는데(西屠以草染齒),흰 것을 검게 하였다(染白作黑)。」即곽박(郭)설명(注)인용(所引)「서도 사람들은 이가 물들어 있다(西屠染齒)」。「이 사람들이 추방된 것이다(亦以放此人)」,태평어람(御覽)卷七九0引作「이것을 그대로 배껴 썼다(亦以倣此也)」,올바른 뜻(於義為長)。대황동경(大荒東經)云:「흑치국이 있다(有黑齒之國)。제준은 흑치를 낳았고(帝俊生黑齒),강씨 성을 쓰며(姜姓),기장을 먹는다(黍食),네 마리의 짐승을 부린다(使四鳥)。」주서(周書)왕회편(王會篇)云:「흑치와 백록과 백마(黑齒白鹿白馬)。」이 흑치국이다(即此黑齒國也)。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흑치민이 있다(有黑齒民)。

2 학의행(郝懿行)云:「흑 다음에 치자가 빠짐(黑下當脫齒字)。왕일(王逸)注초사(楚詞)초혼(招魂)云:『흑치는(黑齒),치아가 모두 검다(齒牙盡黑)。』고유(高誘)注회남자(淮南)지형훈(墬形訓)云:『그곳 사름들은 이가 검고(其人黑齒),벼를 먹고 뱀을 씹어 먹으며(食稻啖蛇),탕곡 꼭대기에 있다(在湯谷上)。』이것은 옛날 책 치자가 있다는 증거(是古本有齒字之證)。태평어람(太平御覽)三百六十八卷引이 경문에도 흑 다음에 치자가 있다(此經黑下亦有齒字)。」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御覽)九三三引이 경문에도 흑 다음에 치자가 있고(此經黑下亦有齒字),치자가 있는 것이 맞다(有齒字是也)。

3 곽박(郭璞)云:「또는 그 뱀 중 한 마리는 푸르다(一作一青蛇)。」

4 학의행(郝懿行)云「수는 치자가 잘못된 글자(首蓋齒字之訛也)。옛 글자의 수는 []로 쓰이고(古文首作𡆦[二加]),치는 []로 쓰이며(齒作𦥑[二加]),글자의 모양이 어려워짐(形近相亂),잘못 표시됨(所以致訛)。」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설명(說)맞는 것도 있고 틀린 곳도 있다(有是有非)。그 틀린 곳은(其非者),이 경문을 쓰는 것을 보았을 때(此經文例),한 편으로 다음 글은(一曰以下),모두 유수가 책을 교정 할 때 벌리고 나누어 다른 문장이 되었으며(皆劉秀校書時所列別本異文),위에 글에 이미 사람들은 이가 검다는 말이 있다(上文既有「사람들은 이가 검다(為人黑(치(齒)))」語),이곳을 사람들은 이가 검다로 고치지 않을 수 없다(則此處不當更作「사람들은 이가 검다(為人黑齒))」。흑수는(黑首),송본(宋本)、장경(藏經)本俱作흑수(黑手),발음이 같아 잘못되었고(同音易訛),시간이 지나고 과수나 과수로 쓰여 있다(猶世本敤手或又作敤首):더욱이 이 경문에 나온 흑수가 아니고 흑치다(尤可見此經黑首非黑齒也)。그것은(其是者),흑치국 백성은(黑齒國民),그것은 최고의 특징이고(其最要特徵),당연히도 이것은 검은 이이므로(仍當是黑齒),흑수라 이해 할 수 없다(無由是黑首之理),다른 책 다른 문장에 흑수라 쓰여 있는데(別本異文作黑首者),그 까닭은 치와 수가 옛 글의 모양이 비슷하여 잘못 표시된 것 같다고 학의행은 설명했으므로(亦緣齒、首古文形似而致誤如郝所說),유수가 과거에 교정한 것이(然當在劉秀校經以前),유수가 벌리고 나누어 다른 문자이 되어 본래 문장이 잘못되어 틀린 것이다(非劉秀所列別本異文本身有誤也)。


下有湯谷1。

땅에 탕곡이있다


湯谷上有扶桑2,十日所浴3,在黑齒北。

탕곡 위에 부상국이 있는데, 열 개의 해가 몸을 씻는 곳이며, 흑치국 북쪽에 있다.


居水中,有大木,九日居下枝,一日居上枝4。

물 가운데 자리 잡았는데, 큰 나무가 있고, 아홉 개의 해가 가지 아래 있으며, 한 개의 해는 가지 위에 있다.


1 곽박(郭璞)云:「골짜기 안에 물이 따뜻하다(谷中水熱也)。」원가기록(珂案):탕곡은(湯谷),양곡이라고도 쓴다(或作暘谷);회남자(淮南子)천문편(天文篇):「양곡에서 해가 돋고(日出于暘谷),함지에서 목욕한다(浴于咸池)。」서경(書)요전(堯典)「희중이라는 직책에게 시켜(分命羲仲),해가 돋는 우이에 살게 하였고(宅嵎夷),양곡이라 한다(曰暘谷)。」사기(史記)오제본기(五帝本紀)作양곡(暘谷)。색은(索隱)云:사기(史記)옛 책(舊本)作탕곡(湯谷),又引회남자(淮南子)옛 책(舊本)亦作탕곡(湯谷)。초사(楚辭)천문(天問):「탕곡으로부터 나오고(出自湯谷),몽사에서 머문다(次于蒙汜)。」탕곡으로 쓰여 있어 빠르게 알려짐(知固早有作湯谷者)。설문해자(說文)作양곡(暘谷)亦作양곡(崵谷)。귀장계서(歸藏啟筮)(옥함산방집일서(玉函山房輯佚書)모음(輯))作양곡(陽谷)。탕과 양과 양과 양은 같고(湯、暘、崵、陽一也),옛 책에는 정해진 젓이 없다(古書無定)。

2 곽박(郭璞)云:「부상은(扶桑),나무다(木也)。」왕념손(王念孫)云:「(문선(文選))월부(月賦)注引作:『탕곡 위에 부목이 있다(湯谷上有扶木);곽박(郭璞)曰:부목은(扶木),부상이다(扶桑也)。』」원가기록(珂案):이 근거에 따르면(據此),경문 의 부상은 부목으로 바꾸어야 한다(扶桑當作扶木);곽박(郭)설명(注)「부상은(扶桑),나무다(木也)」當作「부목은(扶木),부상이다(扶桑也)」。부상은(扶桑者),문선(文選)사현부(思玄賦)注引십주기(十洲記)云:「잎은 뽕나무와 비슷하고(葉似桑樹),높이는 천 장에 달하며(長數千丈),넓이는 이십 위다(大二十圍),두 나무가 같은 뿌리에서 나오며(兩兩同根生),서로 도움을 받으며 자라고(更相依倚),이것의 이름을 부상이라 한다(是以名之扶桑)。」신목이다(蓋神木也)。약목이라고도 한다(又名若木)。설문해자(說文)六作약(叒),云:「탕곡의 동쪽이 해가 처음 나오는 곳이다(日初出東方湯谷所登);부상은(榑桑),약목이다(叒木也),사형문자(象形)。」혹은 서쪽 끝에 있다고 전해진다(或又傳在西極)。대황북경(大荒北經)云:「대황의 안에(大荒之中), 형석산과 구음산과 회야산이 있다(有衡石山、九陰山、灰(원래 형으로 쓰여 있고(原作泂),근거(據)송본(宋本)고쳐짐(改))野之山)。산 위에 붉은 나무가 있는데(上有赤樹),푸른 잎에 붉은 꽃이 피며(青葉赤華),이름을 약목이라 한다(名曰若木),곤륜의 서쪽 끝 서부의 해가 지는 곳에서 자란다(生昆侖西附西極)(위의 일곱 글자는 경문에 잘못 고쳐져 쓰여 있다고 곽박이 설명했는데(以上七字係經文誤作郭注者),근거(據)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校되돌려놓았다(復))。」해내경(海內經)云:「남해의 안에(南海之內),흑수와 청수 사이에(黑水青水之閒),있는 나무의 이름을 약목이라 한다(有木名曰若木)。」이소(離騷)云:「약목을 꺽어 해를 가리도다(折若木以拂日兮)。」왕일(王逸)注:「약목은 곤륜 서쪽 끝에 있는데(若木在昆侖西極),그 빛이 아래의 땅까지 비추네(其華照下地)。」회남자(淮南)지형편(墬形篇)云:「약목은 건목 서쪽에 있고(若木在建木西),꼭대기에 열 개의 해가 있으며(末有十日),그 빛이 아래의 땅까지 비추네(其華照下地)。」모두 서쪽 끝의 약목이다(皆西極之若木也)。

3 원가기록(珂案):대황남경(大荒南經)云:「동남쪽 바다 밖(東南海之外),감수 사이에(甘水之間),희화국이 있다(有羲和之國)。이름이 희화라 불리우는 여자가 있는데(有女子名曰羲和),감연에서 해를 목욕 시킨다((方浴日(原作日浴,근거(據)송본(宋本)고침(改))于甘淵)。희화는(羲和者),제준의 아내이고(帝俊之妻),열 개의 해를 낳았다(生十日)。」열 개의 해이다(即此十日)。열 개의 해는 제준의 자식이다(十日,帝俊之子也)。

4 곽박(郭璞)云:「장주(莊周)云:『옛 날에 열 개의 해가 나란히 나와서(昔者十日並出),풀과 나무가 시들었다(草木焦枯)。』(원가기록(珂案):곽박(郭)引장주(莊周),제물론의 글을 따르면(蓋齊物論文),풀과 나무가 시들었다는 모든 것을 비춘다로 볼 수 있다(惟『草木焦枯』作『萬物皆照』)。)회남자(淮南子)亦云:『요임금이 예에게 열 개의 해를 쏘라고 시켰고(堯乃令羿射十日),그 중 아홉 개의 해(中其九日), 해 속의 까마귀가 모두 죽었다(日中烏盡死)。』이소(離騷)이른바(所謂)『예가 마침내 해를 쏘았고(羿焉畢日)?까마귀가 떨어지는구나(烏焉落羽)』者也。귀장(歸藏)정모경(鄭母經)云:『옛날에 예는 활을 잘 쐈는데(昔者羿善射),열 개의 해를 모두(畢十日),끝내 마추었다(果畢之)。』급군(汲郡)죽서(竹書)曰:『윤갑이 왕의 자리에 올라(胤甲即位),서하에 살았는데(居西河),하늘에는 요얼이 있어(有妖孽),열 개의 해가 나타났다(十日並出)。』확실히 이는 자연스럽지 않게(明此自然之異),전해져 내려왔다(有自來矣)。전해지길(傳)曰:하늘에 열 개의 해가 있어(天有十日),하루는 열 시간이다(日之數十)。이 아홉 개의 해는 나뭇가지 아래에 있고(此云九日居下枝),한 개의 해만 나뭇가지 위에 있다(一日居上枝)。대황경(大荒經)(대황동경(大荒東經)——珂)又云:『한 개의 해가 지면(一日方至),한 개의 해가 나온다(一日方出)。』확실히 하늘과 땅에는 열 개의 해가 있지만(明天地雖有十日),순서대로 하나씩 움직여 번갈아 나타나 밝게 비추고(自使以次第迭出運照),차후에라도 모두 보인다면(而今俱見),온 세상에 재앙이 되기 때문에(為天下妖災),예가 요임금의 명을 받들어(故羿稟堯之命),그 신령하고 참된 마음으로(洞其靈誠),하늘로 고개를 들어 활시위를 당겨(仰天控弦),아홉 개의 해를 깊은 곳으로 불러나게 했다(而九日潛退也)。이를테면 유명한 인물은 세찬 물줄기나 사나운 불길이라 할 수 있고(假令器用可以激水烈火),정성으로 움직이면 내린 서리가 해로 되돌아 갈 수 있으므로(精感可以降霜回景),예의 명리가 녹아 양오가 죽었으니(然則羿之鑠明離而斃陽烏),넉넉하지 못하여 어렵게 되었다(未足為難也)。만약 헤아림의 생각이 있었더라면(若搜(학의행(郝懿行)云:『규자가 잘못된 것으로 의심(疑當為揆字之訛)。』)之常情),도리나 이치에 맞지 않는다(則無理矣)。그러나 양보를 알았더라면(然推之以數),가는 곳마다 막히는 곳이 없었을 것이다(則無往不通)。높은 식견의 사람은(達觀之客),당연히 그 심오한 이치를 깨닫을 것이고(宜領其玄致),끝내 이해할 것이다(歸之冥會),옳은 것을 그르치면 막힐 것이 없다(則逸義無滯),기이한 말은 쓰지 못하게 되었다(言奇(장경(藏經)本기언으로 쓰여 있고(作奇言),손성연(孫星衍)校同——珂)不廢矣)。」

   원가기록(珂案):예가 열 개의 해를 활로 쏜 신화 관련(關於羿射十日之神話),처음 초사 천문에 보인다(始見於楚辭天問):「예는 어떻게 해에 활을 쏘았고(羿焉彃日)?까마귀는 어디로 떨어졌나(烏焉解羽)?」곽박(郭)注이른바(所謂)이소(離騷)者。그 뒤에(其後)회남자(淮南子)본경편(本經篇)乃그 일을 자세히 기록했다(詳載其事)云:「요임금 시절 열 개의 해가 나란히 떠서(堯之時十日並出),곡식을 태우고(焦禾稼),풀과 나무가 죽으니(殺草木),백성들 먹을 것이 없었다(而民無所食)。알유(猰貐)、착치(鑿齒)、구영(九嬰)、대풍(大風)、봉희(封豨)、수사(修蛇),모두 백성들에게 재앙을 끼쳤다(皆為民害)。요임금은 명을 따라 예는 주화의 들판에서 착치를 베었고(堯乃使羿誅鑿齒於疇華之野),구영은 흉수의 상류에서 죽였으며(殺九嬰於凶水之上),대풍은 청구의 못에서 주살로 잡았다(繳大風於青邱之澤),하늘 위 열 개의 해을 활로 쏘았고 하늘 아래 알유를 죽였으며(上射十日而下殺猰貐),수사는 동정호에서 절단 냈고(斷修蛇於洞庭),봉희는 상림에서 사로잡았다(禽封豨於桑林)。모든 백성들이 함께 기뻐하며(萬民皆喜),요를 임금으로 삼았다(置堯以為天子)。이것은 세상이 넓고 좁으며 험난하고 평탄하고 멀고 가까워(於是天下廣狹、險易、遠近),비로소 길이 생겼다(始有道里)。」곽박(郭)引회남자(淮南子)「예는 아홉 개의 해에 활을 쏘았고(羿射九日),해 속의 까마귀만 죽었다(日中烏盡死)」云云,현재 책에는 없다(今本無之)。논형 각 편에(而論衡各篇)所引,더욱이 현재 책에서는 어긋나 달라짐(尤與今本違異)。대작편(對作篇)云:「회남자(淮南)기록에 따르면(書言):요임금 시절에 열 개의 해가 나란히 떴는데(堯時十日並出),요임금이 열 개의 해를 향해 활을 쏘았다(堯上射十日)。」설일편(說日篇)云:「회남자(淮南)기록 역시(書又言):열 개의 해를 꿰뚫어 보다(燭十日)。요임금 시절에 열 개의 해가 나란히 떠서(堯時十日並出),세상 모든 것이 타고 시들었다(萬物焦枯)。요임금이 열 개의 해를 향해 활을 쏘아서(堯上射十日),나란히 뜨지 못하고 한 개의 해만 떴다(以故不並一日出也)。」감허편(感虛篇)云:「유자전(儒者傳)기록에 따르면(書言):요임금 시절(堯之時),열 개의 해가 나란히 떠서(十日並出),세상 모든 것이 타고 시들었다(萬物焦枯)。요임금이 열 개의 해을 향해 홨을 쏘아서(堯上射十日),아홉 개의 해는 죽고(九日去),한 개의 해만 떴다(一日常出)。」모두 열 개의 해를 쏜 사람이 예가 아니고 요임금으로 되어있다(均以射十日者為堯而非羿)。이른바(所謂)「유자전(儒者傳)기록(書)」,蓋亦「회남자(淮南)기록(書)」也。거듭된 풀이(尋繹)현재 책(今本)회남자(淮南子)글의 뜻은(文義),아래 글에도(下文既)云「모든 백성이 함께 끼뻐하며(萬民皆喜),요를 임금으로 삼았다(置堯以為天子)」,固예운(禮運)이른바(所謂)「어질고 능력있는 사람을 뽑아야 한다(選賢與能)」는 뜻이며(之意),해를 쏴 재앙이 되는 것들을 없애는 일들의 요임금이 한 것과 비슷하므로 요임금이 예로 하여금 가까이 있게 하여 인정과 도리를 베풀었는데(則以射日除害事逕屬之堯似較屬之堯所使羿更近情理),논형에 쓰여 있는 옛 책 회남자편은 진짜인가(或論衡作者所見乃真古本회남자(淮南子)歟)?해를 쏘아 재앙이 되는 것들을 없애는 신화와 관려되는 것으로 의심되므로(疑關於射日除害神話),처음 책의 있는 두 종류의 민간절설은(初本有兩種民間傳說),하나는 요임금이고(一屬之堯),하나는 예이다(一屬之羿)。예로 변한 것이 많아진 것은(屬之羿者更佔優勢),후세 사람들은(後人)乃於옛 책(古本)회남자(淮南子)「요임금은 그래서(堯乃)」다음에 덧붙은(下增)「예로 하여금(使羿)」두 글자(二字)가,현재 책의 상태가 되ㅓㅆ고(以為今本狀態),이것이 요임금이 해를 향해 활을 쏜다는 신화가 따라와 뒤섞이어(於是堯射日之神話遂泯),예가 해를 향해 활을 쏜다는 신화로 어느 순간에 바뀌었다(羿射日之神話獨昌焉)。나중에(至於)곽박(郭)注引회남자(淮南子)云:「예는 그 아홉 개의 해를 활로 쏘았고(羿射中其九日),해 속의 까마귀가 모두 죽었다(日中烏盡死)」者,전해지는데(傳)「해 속에 준오가 있다(日中有踆烏)」(회남자(淮南子)정신편(精神篇)),즉 삼족오이며(即三足烏),이는 양오나 금오로 일컫는다(又稱陽烏、金烏),천문(天問)이른바(所謂)「해를 쏘고(彃日)、깃털이 흩날리다解羽」者맞다(是也)。이것은 당연히 해의 정령이고(本當是日之精魂),동명(洞冥)기록(記)又해를 부린다(以為日馭)。云:「동북쪽에 지일의 풀이 있고(東北有地日之草),서남쪽에 춘생의 풀이 있으며(西南有春生之草) (태평광기에는 동북쪽 땅에 지초가 있고(東北地有芝草),서남쪽에 봄에 나는 물고기가 있다(西南有春生之魚),삼족오는 자주 땅으로 내려와 이 풀을 먹는다(三足烏數下地食此草)。희화는 해를 부리길 원하여(羲和欲馭),손으로 까마귀의 눈을 가려(以手揜烏目),땅으로 내려가는 것을 들어 주지 않았다(不聽下也)。풀을 먹으면 늙지 않을 수 있고(食草能不老),이 풀을 먹으면 새와 짐승을 부릴 수 있다(他鳥獸食此草),맛은 좋으나 혼미해져 움직일 수 못한다(則美悶不能動矣)。」(卷四)이것 역시 전설이 변하여 발전하였다(是又傳說之演變也)。


雨師妾在其北1,其為人黑,兩手各操一蛇,左耳有青蛇,右耳有赤蛇。

우사첩은 그 북쪽에 있고, 그곳 사람들은 검으며, 두 손에 각각 한 마리의 뱀을 잡고 있다, 왼쪽 귀에는 푸른 뱀이 있고, 오른쪽 귀에는 붉은 뱀이 있다.


一曰在十日北,為人黑身人面,各操一龜。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열 개의 해 북쪽에 있고, 그곳 사람들은 검은 몸에 사람 얼굴을 하고 있으며, 각각의 손에 한 마리의 거북을 잡고 있다.


1 곽박(郭璞)云:「우사는 병예라고 일컫는다(雨師謂屏翳也)。」학의행(郝懿行)云:「초사(楚詞) 천문(天問)云:『평호가 비를 내리다(蓱號起雨)。』왕일(王逸)注云:『평은(蓱),평예고(蓱翳),우사의 이름이다(雨師名也);호는(號),부르다의 뜻(呼也)。』초학기(初學記)(卷二)云:『우사는 병예라 불리고(雨師曰屏翳),또는 평호라 불린다(亦曰屏號)。열선전(列仙傳)云:「적송장는 신농 시절의 우사다(赤松子神農時雨師)。」풍속통의(風俗通)云:「현명은 우사가 되었다(玄冥為雨師)。」』현재 기록된 우사첩 역시 모두 나라의 이름이고(今案雨師妾蓋亦國名),이는 왕회편에 고매국과 같다(即如(주서(周書))王會篇有姑妹國矣)。초씨역림(焦氏易林)乃云:『우사가 며느리를 얻었다(雨師娶婦)。』글귀 때문에 구실이 됨(蓋假託為詞耳)。왕념손(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인개(鱗介)오(五)(卷九三三)첩은 없는 글자(無妾字)。」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亦우사만 풀이 되어 있고(只釋雨師),첩의 뜻은 풀이가 없다(未釋妾義),어찌 첩자는 없는가(或本無妾字歟)?그러한 근거는 경문에 쓰여 있는(然據經文所寫)「그곳 사람들은 검으며(其為人黑),두 손에 각각 한 마리 뱀을 쥐고 있다(兩手各操一蛇)」、「그곳 사람들은 검은 몸에 사람 얼굴을 하고 있으며(為人黑身人面),각각의 손에 한 마리의 거북을 잡고 있다(各操一龜)」에서 보인다(觀之),우사첩은 확실히 학의행의 말과 같다(則雨師妾當確如학의행(郝懿行)所云),이것은 나라 이름의 하나이고(是一國名),특히(特)곽박(郭璞)이 그 뜻을 풀이 하지 않은 것은(未審其義),오직 우사만 들어봤기 때문이다(祗釋雨師耳)。至태평어람(御覽)引첩자는 없고(無妾字),우연히 누락된 것에 불과하며(亦不過偶然漏落),크게 관련이 없다(非關宏旨也)。


玄股之國在其北1,其為人衣魚2食䳼3,使兩鳥夾之4。

현고국은 그 북쪽에 있고, 그곳 사람들은 물고기로 옷을 만들고 갈매기를 먹는다, 두 마리 새 사이에서 새를 부린다.


一曰在雨師妾北。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우사첩 북쪽에 있다.


1 곽박(郭璞)云:「넓적다리 아래가 모두 검기 때문이다(髀以下盡黑,故云)。」원가기록(珂案):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현고민이 있다(有玄股民)。대황동경(大荒東經)云:「초요산이 있는데(有招搖山),여기서 융수가 나온다(融水出焉)。현고라 불리는 나라가 있고(有國曰玄股),기장을 먹으며(黍食),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使四鳥)。」即此。

2 곽박(郭璞)云:「물고기 가죽으로 옷을 만들었다(以魚皮為衣也)。」

3 곽박(郭璞)云:「우는(䳼),물새의 종류(水鳥也);音우(憂)。」양신(楊慎)云:「우는 구이고(䳼即鷗),물고기를 입고 갈매기를 먹는다(衣魚食鷗),모두 물 속의 나라다(蓋水中國也)。」

4 원가기록(珂案):고유(高誘)注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云:「현고민은(玄股民),그곳 사람들은 넓적다리가 검고(其股黑),두 마리 새 사이에 끼어 있다(兩鳥夾之)。見산해경(山海經)。」근거는 이렇다(據此),경문에(經文則)「두 마리 새 사이에서 새를 부린다(使兩鳥夾之)」之「부린다(使)」덧붙여진 글자(字衍),「그곳 사람들(其為人)」다음에 넓적 다리가 검다는 두 글자는 빠져있다(下脫「넓적다리가 검다(股黑)」二字)。


毛民之國在其北1,為人身生毛2。

모민국은 그 북쪽에 있고, 그곳 사람들은 몸에 털이 자란다.


一曰在玄股北。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현고국 북쪽에 있다.


1 학의행(郝懿行)云:「모민국은 의씨 성을 쓰고(毛民國依姓),우임금의 후손이다(禹之裔也)。見대황북경(大荒北經)。」원가기록(珂案):대황북경(大荒北經)云:「모민국이 있는데(有毛民之國),의씨 성을 쓰고(依姓),기장을 먹으며(食黍),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使四鳥)。우임금은 균국을 낳았고(禹生均國),균국은 역채을 낳았고(均國生役采),역채는 수겹을 낳았고(役采生修鞈),수겹은 작인을 죽였다(修鞈殺綽人)。우임금은 불쌍히 여겨(帝念之),몰래 나라를 세웠는데(潛為之國),이들이 바로 모민이다(是此毛民)。」우임금이 몰래 나라를 세워주고(則禹所「潛為之國」者),이에 작인을 살해한 수겹을 빼고 수겹이 아닌 우임금의 후손들이 살았다(乃禹之裔修鞈所殺之綽人而非修鞈),학의행(郝)云모민은 우임금의 후손이다는(毛民禹裔),틀린 것으로 의심(疑非)。모민은 황제의 후손이고(毛民乃黃帝之裔),설명(說)見대황북경(大荒北經)「모민국(毛民國)」節注。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모민이 있다(有毛民),고유(高誘)注云:「그곳 사람들은 몸의 절반에 털이 나있고(其人體半生毛),털은 화살촉 같다(若矢鏃也)。」

2 곽박(郭璞)云:「현재 임해군에서 동남쪽으로 이천 리 떨어져 있다(今去臨海郡東南二千里),모인이 있는데 대해주도 위에 있고(有毛人在大海洲島上),사람들은 키가 작고 몸이 작으며(為人短小),而(송본(宋本)、오관(吳寬)초본(抄本)、모의(毛扆)本、명나라(明)장본(藏本)、태평어람(御覽)九三三引、대황북경(大荒北經)注실은 면으로 쓰여 있고(悉作面),얼굴로 쓰는 것이 맞다(作面是也)——珂)몸은 털로 덮혀 있고(體盡有毛),멧돼지나 곰 같고(如豬能)(태평어람(御覽)九三三引웅으로 쓰여 있고(作熊),앞에 속해 있는 것은(屬上讀),웅으로 쓰는 것이 맞다(作熊是也)——珂),굴 속에 살고(穴居),옷은 없다(無衣服)。진나라(晉)영가(永嘉)사 년(四年),오군 사염도위 대봉은 바닷가에서 배 한 척을 얻어 보관했는데(吳郡司鹽都尉戴逢在海邊得一船),배 위에 있던 남녀 네 명의(上有男女四人),모습이 모두 이와 같았다(狀皆如此)。말을 이해하지 못했고(言語不通),승상부로 보내어 배알하게 하였으나(送詣丞相府),다다르지 못하고(未至),길에서 죽었으며(道死),오직 한 사람만 살았다(唯有一人在)。상사의 아내가(上賜之婦),자식을 낳았는데(生子),사람이 모인 곳에 드나들었고(出入市井),점점 효인을 말하더니(漸曉人語),혼잣말을 하며 그곳으로 간다 하였고 이들이 모민이라 하였다(自說其所在是毛民也)。대황경(大荒(북(北))經)云『모민은 기장을 먹는다(毛民食黍)』者是矣。」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三七三引임해(臨海)이물지(異物志)云:「모인의 땅에는(毛人洲),불룩한 섬이 있고(在張嶼),털이 길고 짧아 곰 같다(毛長短如熊)。주나라 소작은 모인을 잡아(周綽得毛人),말릉으로 보내 배알하게 하였다(送詣秣陵)。」又卷七九0引토물지(土物志)云:「모인의 땅에는(毛人之洲),불룩한 섬이 있다(乃在漲嶼);몸에 옷은 없고(身無衣服),땅을 파 굴 속에 산다(鑿地穴處);雖云상인은(象人),말을 알아듣지 못한다(不知言語);제나라 사람은 키가 오 척이고(齊長五尺),털은 곰과 돼지 같다(毛如熊豕);무리를 지어 서로 쫓아다니고(眾輩相隨),이들은 새와 쥐를 잡는다(是捕鳥鼠)。」即곽박(郭)注이른바(所謂)임해군(臨海郡)모인이다(毛人也)。


勞民國在其北1,其為人黑2。

노민국은 그 북쪽에 있고, 그곳 사람들은 검다.


或曰教民3。

혹은 교민이라고 한다.


一曰在毛民北,為人面目手足盡黑4。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모민국 북쪽에 있고, 그곳 사람들은 얼굴과 눈과 손과 발이 전부 검다.


1 원가기록(珂案):회남자(淮南子)지형편(墬形篇)노민이 있다(有勞民),고유(高誘)注云:「노민은(勞民),올바른 도리가 조급하고 시끄러워 일정하지 않다(正理躁擾不定)。」

2 곽박(郭璞)云:「과일과 풀과 열매를 먹는다(食果草實也)。머리가 두 개인 한 마리 새가 있다(有一鳥兩頭)。」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注이 말이 경문에 있어야 하는 것으로 의심(此語疑本在經內),현재는 없어졌다(今亡)。又기굉국에 머리가 두 개인 새가 있다(奇肱國有鳥兩頭),見해외서경(海外西經),이것이 틀렸다(非此)。」원가기록(珂案):손성연(孫星衍)校本亦이 두 개의 말이 경문 안에 있어야 하는 것으로 의심(以此二語係經文誤入注中),처음에 고쳐야 한다고 한 것은(初云照改),나중에 또 나는 것은(後又云),이는 고칠 필요가 없다(此不必改)。이 두 말의 뜻을 헤야려 보면(揆此二語之意),모든 설도의 구절에도(均說圖之詞),마땅한 연결고리가 경문에 없는 것으로 의심(當係經文無疑)。손성연이 처음에 고쳐야 한다고 한 것은 나중에 또 나오는 것은 고칠 필요가 없다(孫初云照改後又云不必改者),或見태평어람(御覽)七九0引亦이는 주로 쓰여 있다(已作注),잘못되어 있는 것은(則誤當在)태평어람(御覽)引이전 것이다(以前也)。해외서경(海外西經)云:「기굉국에 어느 새가 있는데(奇肱之國……有鳥焉),머리가 두 개이고(兩頭),붉고 누러며(赤黃色),그 곁에 붙어 있다(在其旁)。」경문에 이어져 있는(亦係經文),이것이 증거가 될 수 있고 이 경문 역시 나와 있다(可證此亦當是經文)。

3 학의행(郝懿行)云:「노와 교는 서로 성조가 비슷하다(勞、教聲相近)。」

4 학의행(郝懿行)云:「현재 물고기 가죽을 입는 섬나라 오랑캐의 동북쪽에 노국이 있고(今魚皮島夷之東北有勞國),이곳으로 의심(疑即此),그곳 사람들은 모두 물고기 가죽을 입고 오랑캐 얼굴과 눈과 손과 발이 모두 검다(其人與魚皮夷面目手足皆黑色也)。」


東方句芒,鳥身人面,乘兩龍1。

동방 구망은, 몸은 새이고 얼굴은 사람이며, 두 마리의 용을 타고 있다.


1 곽박(郭璞)云:「나무의 신이다(木神也);그가 관리하는 구역은 흰 옷을 입니다(方面素服)。묵자(墨子)曰:옛 날 진나라 목공은 공명정대하고 덕이 있어(昔秦穆公有明德),상제는 구망에게 목숨을 십 구년 늘리라 하였다(上帝使句芒賜之壽十九年)。」원가기록(珂案):묵자(墨子)명귀하편(明鬼下篇)云:「옛 날에 정나라 목공은(昔者鄭穆公),한낮에 사당에서 휴식을 취했는데(當晝日中處乎廟),왼쪽으로 신이 들어가더라(有神入門而左),새의 몸에(鳥身),얼굴 모양이 네모났다(面狀正方)。정나라 목공이 이를 보고(鄭穆公見之),두려워하며 달아났다(乃恐懼奔)。신(神)曰:『두려워하지 말아라(無懼),군주가 얻은 여자는 공명정대하고 덕이 있으니(帝享女明德),나에게 여자를 주면 수명을 십년에 구년을 더 주겠다(使予賜女壽十年有九);만약 나라가 번창하고(使若國家蕃昌),자손들이 무성하니(子孫茂),정나라는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毋失鄭)。』목공 재차 머리를 숙여 절을 하였다(穆公再拜稽首),曰:『감히 신께 이름을 묻겠습니다(敢問神名)?』曰:『나는 구망이라 한다(予為句芒)。』」此即곽박(郭)注所引;惟정나라 목공(鄭穆公)곽박(郭)引진나라 목공으로 쓰여 있다(作秦穆公)。논형(論衡)복허편(福虛篇)及무형편(無形篇),역시 모두 진나라 목공으로 쓰여 있다(亦均引作秦穆公)。정나라 목공은 공명정대한 덕행이 없다고 생각되며(鄭穆公無「공명정대한 덕행(明德)」可考),진나라 목공은 검은 양 가죽 다섯 개와 백리해를 서로 바꾸자고 하였고(秦穆公則尚有以五羊皮易百里奚舉為相(사기(史記) 진본기(秦本紀)))、준마 고기를 먹은 야인 무리들을 용서하고 그들의 도움으로 진나라를 무찔렀다(赦食駿馬肉之野人卒得其助以克晉(여씨춘추(呂氏春秋) 애사편(愛士篇)))의 종류(之類「공명정대한 덕행(明德)」)),그러므로 현재 책 묵자의 정나라 목공은 잘못된 것이다(故今本墨子作鄭穆公訛也)。상서대전(尚書大傳)云:「동쪽의 끝(東方之極),갈석 동쪽 부터 부목의 들판 해가 나오는 곳까지(自碣石東至日出榑木之野),임금 태호 신 구망이 관리한다(帝太皞神句芒司之)。」여씨춘추(呂氏春秋)명춘기(孟春紀)고유(高誘)注云:「구망은(句芒),소호씨의 자손을 중이라 일컫고(少皞氏之裔子曰重),나무를 도와 덕을 베푸는 임금이며(佐木德之帝),죽어서는 나무를 관리하는 신이 되었다(死為木官之神)。」이는 구망이다(即此句芒也)。소호씨의 아저씨로 전해지기도 하며(然或又傳為少皞之叔),춘추좌씨전(左傳) 소공 이십구 년((昭公二十九年):「소호씨는 네명의 숙부가 있는데(少皞氏有四叔)중(曰重),해(曰該),수(曰修),희(曰熙)라하며금과 목과 수를 책임졌다(實能金木及水)。중은 구망이 되었고(使重為句芒),해는 욕수가 되었고(該為蓐收),수와 희는 현명이 되었다(修及熙為玄冥)。」옛부터 전해질 때 정해진 것이 없었다(則知古來傳說本無定也)。


  건평원년 사월 병술날은(建平元年四月丙戌)(오임신(吳任臣)云:「애제 을묘년이다(哀帝乙卯歲也)。」원가기록(珂案):기원전 육 년(即公元前六年)),대조 태상의 신하 망은(待詔太常屬臣望)(오임신(吳任臣)云:「태상의 처음 이름은 봉상인데(太常初名奉常),경제 육년에 고쳤다(景帝六年改),그곳은 육태와 육령 관청에 속해 있다(其屬有六太、六令等官)。망은 정망으로 의심(望疑是丁望)。」)바로 잡으면(校治),시중 광록훈의 신하 공은(侍中光祿勳臣龔)(오임신(吳任臣)云:「시중은 처음에 벼슬이었다(侍中加官也)。광록훈은 처음으로 낭중령이 되었고(光祿勳初為郎中令),무제 태초원년에 이름을 바꾸었다(武帝太初元年更名)。공은(龔),왕공이다(王龔也)。」)、시중 봉거도위 광록대부의 신하 수는(侍中奉車都尉光祿大夫臣秀)(오임신(吳任臣)云:「봉거도위는 무제 시절 만든 것이고(奉車都尉武帝時置),녹봉은 이천석에 정도다(秩比二千石)。광록대부는 처음으로 중대부가 되었고(光祿大夫初為中大夫),역시 초기원년에 바뀌었다(亦太初元年改)。수는(秀),유흠이다(劉歆也)。유흠은 나중에 이름을 유수로 바꾸었다」)領主省。

해외동경(海外東經) 원문

산해경/해외동경 2018. 2. 28. 00:00

海外自東南陬至東北陬者。肆[聿改差]丘1,爰有遺玉、青馬、視肉、楊柳2、甘柤3、甘華,百果所生。在東海,兩山夾丘,上有樹木。一曰嗟丘,一曰百果所在,在堯葬東4。

1 郭璞云:「音嗟,或作髮。」郝懿行云:「北堂書鈔九十二卷引嗟正作髮,即郭所見本也。嗟,古或作肆[聿改差],爾雅釋詁云:『嗟,咨也。』廣韻作嗟丘。玉篇云:『[上髟下左],好也。』義與此異。淮南墬形訓作華丘。」

2 珂案:淮南子墬形篇作楊桃。

3 珂案:甘柤,已見海外北經「平丘甘柤」節注4;淮南子墬形篇作甘樝。

4 珂案:堯葬狄山,已見海外南經。


大人國1在其北,為人大,坐而削船2。一曰在肆[聿改差]丘北。

1 珂案:大荒東經云:「東海之外,大荒之中,有山名曰大言,日月所出。有波谷山者,有大人之國。有大人之市,名曰大人之堂。有一大人踆其上,張其兩臂(臂原作耳,從王念孫、畢沅、郝懿行諸家校改)。」即此大人國也。淮南子墬形篇亦有大人國,高誘注云:「東南墟土,故人大。」蓋本大戴禮易本命篇「虛土之人大」為說也。然北方亦有大人,海內北經云:「大人之市在海中。」大荒北經云:「有人名曰大人。有大人之國,釐姓,黍食。」則不限於東南矣。大人傳說之見於史籍者,始國語魯語。魯語云:「吳伐越,墮會稽,獲骨焉,節專車。吳子使來好聘,且問之仲尼,仲尼曰:『昔禹會群神於會稽之山,防風氏後至,禹殺而戮之,其骨節專車。』」其後春秋文公十一年穀梁傳亦記之:「長狄也兄弟三人,佚宕中國,瓦石不能害。叔孫得臣最善射者也,射其目,身橫九畝,斷其首而載之,眉見於軾。」神話中天堂亦有大人:楚辭招魂:「一夫九首,拔木九千些。」地府亦有大人:「土伯九約,其角觺觺些;敦血拇,逐人駓駓些;參目虎首,其身若牛些。」而大人之鼻祖,則在列子湯問篇所記龍伯國大人:「渤海之東有大壑焉,名曰歸墟。其中有五山焉:一曰岱輿,二曰員嶠,三曰方壺,四曰瀛洲,五曰蓬萊。其山高下周旋三萬里,其頂平處九千里,山之中間相去七萬里,以為鄰居焉。所居皆仙聖之種,一日一夕飛相往還者不可數焉。常隨潮波上下往還,不得蹔峙焉。仙聖毒之,訴之於帝。帝恐流於西極,失群仙聖(仙字原無,從楊伯峻列子集釋補)之居,乃命禺彊使巨鼇十五,舉首而戴之,迭為三番,六萬歲一交焉,五山始峙而不動(而不動三字原無,從楊伯峻列子集釋補)。而龍伯國有大人,舉足不盈數步而暨五山之所,一釣而連六鼇,合負而趣,歸其國,灼其骨以數焉。於是岱輿、員嶠二山流於北極,沈於大海,仙聖之播遷者巨億計。帝憑怒,侵減龍伯之國使阨,侵小龍伯之民使短,至伏羲神農時,其國人猶數十丈。」而博物志外國云:「大人國,其人孕三十六年,生白頭,其兒則長大,能乘雲雨而不能走,蓋龍類;去會稽四萬六千里。」「龍類」之說,或本此也。

2 郝懿行云:「削當讀若稍,削船謂操舟也。」


奢比之尸在其北1,獸身、人面、大耳2,珥兩青蛇3。一曰肝榆之尸在大人北。

1 郭璞云:「亦神名也。」郝懿行云:「管子五行篇云:『黃帝得奢龍而辯於東方。』又云:『奢龍辯乎東方,故使為土師。』此經奢比在東海外,疑即是也。羅泌路史(後紀五)亦以奢龍即奢比。三才圖會作奢北。又淮南墬形訓云:『諸比,涼風之所生。』諸比,神名,或即奢比之異文也。」

2 珂案:大荒東經云:「有神,人面、犬(宋本作大)耳、獸身,珥兩青蛇,名曰奢比尸。」即此。

3 郭璞云:「珥,以蛇貫耳也,音釣餌之餌。」珂案:郭注「以蛇貫耳」,蓋貫耳以為飾也。山海經記珥蛇之神多處,除此而外,尚有此經之雨師妾「左耳有青蛇,右耳有赤蛇」,海外西經之蓐收「左耳有蛇」,海外北經之禺彊「珥兩青蛇」,大荒東經之禺[豸虎]「珥兩黃蛇」,大荒南經之不廷胡余「珥兩青蛇」,大荒西經之弇茲「珥兩青蛇」、夏后開「珥兩青蛇」,大荒北經之夸父「珥兩青蛇」。


君子國1在其北,衣冠帶劍,食獸,使二大虎2在旁3,其人好讓不爭4。有薰5華草,朝生夕死6。一曰在肝榆之尸北。

1 珂案:淮南子墬形篇有此國。大荒東經云:「有東口之山,有君子之國,其人衣冠帶劍。」即此。

2 郝懿行云:「後漢書東夷傳注引此經大虎作文虎,高誘注淮南墬形訓亦作文虎,今此本作大,字形之訛也。」珂案:藏經本正作文虎。

3 珂案:經文旁,藏經本作左右。

4 珂案:說文四云:「東夷從大,大人也;夷俗仁,仁者壽,有君子、不死之國。」而博物志外國云:「君子國人,衣冠帶劍,使兩虎,民衣野絲,好禮讓不爭。土千里,多薰華之草。民多疾風氣,故人不蕃息。」適又與之相反。大抵傳聞不同,故各異其辭耳。藝文類聚卷二十一引此經「衣冠帶劍」下有「土方千里」四字,「其人好讓」下有「故為君子國」五字,為今本所無。

5 郭璞云:「或作堇。」

6 郝懿行云:「木堇見爾雅(釋草),堇一名蕣,與薰聲相近。呂氏春秋仲夏紀云:『木堇榮。』高誘注云:『木堇朝榮莫落,是月榮華可用作蒸。雜家謂之朝生,一名蕣;詩(有女同車)云:「顏如蕣華」是也。』藝文類聚八十九卷引外國圖云:『君子之國,多木堇之華,人民食之。去瑯邪三萬里。』」


1在其北,各有兩首2。一曰在君子國北。

1 郭璞云:「音虹。」

2 郭璞云:「虹,螮蝀也。」

   珂案:即虹字之別寫。爾雅釋天云:「螮蝀,虹。」郭璞注云:「俗名為美人虹。」詩蝃蝀:「蝃蝀在東,莫之敢指。」蝃音帝,蝃蝀即螮蝀也。此在東之蝃蝀蓋暮虹也;虹隨日所映,故朝西而暮東也。見於海外東經君子國北之「」,亦暮虹;云「各有兩首」者,大約並蜺包括言之。毛詩正義引郭氏音義云:「虹雙出色鮮盛者為雄,雄曰虹;闇者為雌,雌曰蜺。」虹霓之見,古人以為「陰陽交」(古微書輯春秋元命苞),淮南說山篇云「天二氣則成虹」是也。「兩首」者,亦「交」之象也。故詩蝃蝀以刺奔女。去其封建意識,虹固為愛情幸福之象徵。詩候人云:「薈兮蔚兮,南山朝隮;婉兮孌兮,季女斯飢。」「朝隮」即朝虹也,「斯飢」,飢於愛也:則虹所象徵者,亦已明矣。宋玉高唐賦所記巫山神女之言:「妾在巫山之岨,旦為朝雲,暮為行雨,朝朝暮暮,陽臺之下。」聞一多高唐神女傳說之分析以為朝雲即朝虹,神女即虹霓之所化,說亦近是。則爾雅「螮蝀」郭注所謂「俗名為美人虹」者,固自有其古傳也。劉敬叔異苑云:「晉義熙初,晉陵薛願有虹飲其釜澳,須臾響便竭。願輦酒灌之,隨投隨涸,便吐金滿釜,於是災弊日祛而豐富歲臻。」黃休復茅亭客話云:「韋中令鎮蜀之日,與賓客宴于西亭,或暴風雨作,俄有虹蜺自空而下,直入于亭,垂首于筵中,吸其食饌且盡焉。其虹蜺首似驢,身若晴霞狀,公懼且惡之。……旬餘就拜中書令。」此雖後起之說,然虹見於人家之為禎祥則無異辭也。


朝陽之谷1,神曰天吳,是為水伯。在北兩水閒。其為獸也,八首人面,八足八尾,皆青黃2。

1 郝懿行云:「爾雅云:『山東曰朝陽(釋山),水注谿曰谷(釋水)。』」

2 郭璞云:「大荒東經云:十尾。」珂案:大荒東經云:「有神人八首人面,虎身十尾。」「皆青黃」,何焯校本、黃丕烈周叔弢校本並作「背青黃」,文選謝靈運遊赤石進帆海注引此經亦作「背青黃」:作「背青黃」是也。


青丘國在其北1,其狐四足九尾2。一曰在朝陽北。

1 郭璞云:「其人食五穀,衣絲帛。」王念孫云:「此(指郭注——珂)是正文,見御覽南蠻六。」珂案:御覽卷七九0(即南蠻六)引此經云:「青丘國其人食五穀,衣絲帛,其狐九尾。」確是正文而誤作注者。

2 郭璞云:「汲郡竹書曰:『柏杼子征于東海及王壽,得一狐九尾。』即此類也。」珂案:王壽,宋本作三壽。路史後紀十三云:「帝杼五歲,征東海,伐三壽。」國名紀己云:「后杼征東海,伐王壽。」則或「三」或「王」,未易定也。今本竹書作「三壽」,郝懿行引之以證「王壽」之失,蓋未審耳。南山經云:「青丘之山,有獸焉,其狀如狐而九尾,其音如嬰兒,能食人,食者不蠱。」青丘之山當即青丘國之山也。周書王會篇云:「青丘狐九尾。」大荒東經亦云:「有青丘之國,有狐九尾。」郭璞注:「太平則出而為瑞也。」是青丘者乃以九尾狐名,而淮南墬形篇無此國。吳越春秋越王無余外傳云:「禹三十未娶,行到塗山,恐時之暮,失其制度,乃辭云:『吾娶也,必有應矣。』乃有九尾白狐,造於禹。禹曰:『白者吾之服也,其九尾者王之證也。塗山之歌曰:「綏綏白狐,九尾厖厖;我家嘉夷,來賓為王;成家成室,我造彼昌;天人之際,於茲則行。」明矣哉!』禹因娶塗山,謂之女嬌。」此九尾白狐,當即是郭注所謂「太平則出而為瑞」之青丘國九尾狐也。漢代石刻畫像及磚畫中,常有九尾狐與白兔、蟾蜍、三足烏之屬列於西王母座旁,以示禎祥,九尾狐則象徵子孫繁息(見白虎通德論封禪篇),亦禹娶塗山神話之遺意也。「食人」之傳漸隱,「為瑞」之說終張:神話傳說之演變由野而文,此亦可以窺豹一斑也。


帝命豎亥1步,自東極至于西極,五億十選2九千八百步3。豎亥右手把算,左手指青丘北4。一曰禹令豎亥。一曰五億十萬九千八百步5。

1 郭璞云:「豎亥健行人。」郝懿行云:「廣韻作堅[立亥]神人,疑字形之異。」失名云:「豎亥吳越春秋(越王無余外傳)、玉海作孺亥。」珂案:宋本豎作,四部備要本吳越春秋同。

2 郭璞云:「選,萬也。」

3 王念孫云:「類聚地部(卷六)作八百八步,初學地部上(卷五)同。御覽工藝七(卷七五0)八百下有八十二字。」郝懿行云:「劉昭注郡國志云:『山海經稱禹使大章步自東極至于西垂,二億三萬三千三百里七十一步,又使豎亥步南極北盡于北垂,二億三萬三千五百里七十五步。』今案淮南墬形訓所說,大旨相同。以校此經,無『禹使大章』云云,又其數與劉昭所引不合,未知其審。又中山經(篇末)云:『天地東西二萬八千里,南北二萬六千里。』與此復不同者,此通海外而計,彼據中國穀土而言耳。」珂案:亦神話傳說傳聞不同而異辭耳,非「海外」、「穀土」之謂也。

4 王念孫云:「御覽三十六右作左,左作右。類聚(卷六)同。」郝懿行云:「亦言圖畫如此也。算當為筭;說文(五)云:筭長六寸,計歷數者。」珂案:宋本、藏經本算正作筭。

5 郭璞云:「詩含神霧曰:『天地東西二億三萬三千里,南北二億一千五百里。天地相去一億五萬里。』」


黑齒國在其北1,為人黑2,食稻啖蛇,一赤一青3,在其旁。一曰:在豎亥北,為人黑首4,食稻使蛇,其一蛇赤。

1 郭璞曰:「東夷傳曰:倭國東四十餘里,有裸國,裸國東南有黑齒國,船行一年可至也。異物志云:西屠染齒,亦以放此人。」珂案:三國志魏志東夷傳云:「女王國東渡海千餘里,復有國皆倭種。又有侏儒國在其南,人長三四尺,去女王四千餘里。又有裸國、黑齒國,復在其東南,船行一年可至。」即郭注所引。「四千餘里」今本郭注作「四十餘里」,字形之訛也。宋本、毛扆本、藏經本四十仍作四千。又文選吳都賦劉逵注引異物志云:「西屠以草染齒,染白作黑。」即郭注所引「西屠染齒」。「亦以放此人」,御覽卷七九0引作「亦以倣此也」,於義為長。大荒東經云:「有黑齒之國。帝俊生黑齒,姜姓,黍食,使四鳥。」周書王會篇云:「黑齒白鹿白馬。」即此黑齒國也。淮南子墬形篇有黑齒民。

2 郝懿行云:「黑下當脫齒字。王逸注楚詞招魂云:『黑齒,齒牙盡黑。』高誘注淮南墬形訓云:『其人黑齒,食稻啖蛇,在湯谷上。』是古本有齒字之證。太平御覽三百六十八卷引此經黑下亦有齒字。」珂案:御覽九三三引此經黑下亦有齒字,有齒字是也。

3 郭璞云:「一作一青蛇。」

4 郝懿行云「首蓋齒字之訛也。古文首作冏[口改三],齒作自[二改三]

,形近相亂,所以致訛。」珂案:郝說有是有非。其非者,此經文例,一曰以下,皆劉秀校書時所列別本異文,上文既有「為人黑(齒)」語,則此處不當更作「為人黑齒」。黑首,宋本、藏經本俱作黑手,同音易訛,猶世本敤手或又作敤首:尤可見此經黑首非黑齒也。其是者,黑齒國民,其最要特徵,仍當是黑齒,無由是黑首之理,別本異文作黑首者,亦緣齒、首古文形似而致誤如郝所說,然當在劉秀校經以前,非劉秀所列別本異文本身有誤也。


下有湯谷1。湯谷上有扶桑2,十日所浴3,在黑齒北。居水中,有大木,九日居下枝,一日居上枝4。

1 郭璞云:「谷中水熱也。」珂案:湯谷,或作暘谷;淮南子天文篇:「日出于暘谷,浴于咸池。」書堯典「分命羲仲,宅嵎夷,曰暘谷。」史記五帝本紀作暘谷。索隱云:史記舊本作湯谷,又引淮南子舊本亦作湯谷。楚辭天問:「出自湯谷,次于蒙汜。」知固早有作湯谷者。說文作暘谷亦作崵谷。歸藏啟筮(玉函山房輯佚書輯)作陽谷。湯、暘、崵、陽一也,古書無定。

2 郭璞云:「扶桑,木也。」王念孫云:「(文選)月賦注引作:『湯谷上有扶木;郭璞曰:扶木,扶桑也。』」珂案:據此,經文扶桑當作扶木;郭注「扶桑,木也」當作「扶木,扶桑也」。扶桑者,文選思玄賦注引十洲記云:「葉似桑樹,長數千丈,大二十圍,兩兩同根生,更相依倚,是以名之扶桑。」蓋神木也。又名若木。說文六作,云:「日初出東方湯谷所登;榑桑,木也,象形。」或又傳在西極。大荒北經云:「大荒之中,有衡石山、九陰山、灰(原作泂,據宋本改)野之山。上有赤樹,青葉赤華,名曰若木,生昆侖西附西極(以上七字係經文誤作郭注者,據王念孫、郝懿行校復)。」海內經云:「南海之內,黑水青水之閒,有木名曰若木。」離騷云:「折若木以拂日兮。」王逸注:「若木在昆侖西極,其華照下地。」淮南墬形篇云:「若木在建木西,末有十日,其華照下地。」皆西極之若木也。

3 珂案:大荒南經云:「東南海之外,甘水之間,有羲和之國。有女子名曰羲和,方浴日(原作日浴,據宋本改)于甘淵。羲和者,帝俊之妻,生十日。」即此十日。十日,帝俊之子也。

4 郭璞云:「莊周云:『昔者十日並出,草木焦枯。』(珂案:郭引莊周,蓋齊物論文,惟『草木焦枯』作『萬物皆照』。)淮南子亦云:『堯乃令羿射十日,中其九日,日中烏盡死。』離騷所謂『羿焉畢日?烏焉落羽』者也。歸藏鄭母經云:『昔者羿善射,畢十日,果畢之。』汲郡竹書曰:『胤甲即位,居西河,有妖孽,十日並出。』明此自然之異,有自來矣。傳曰:天有十日,日之數十。此云九日居下枝,一日居上枝。大荒經(大荒東經——珂)又云:『一日方至,一日方出。』明天地雖有十日,自使以次第迭出運照,而今俱見,為天下妖災,故羿稟堯之命,洞其靈誠,仰天控弦,而九日潛退也。假令器用可以激水烈火,精感可以降霜回景,然則羿之鑠明離而斃陽烏,未足為難也。若搜(郝懿行云:『疑當為揆字之訛。』)之常情,則無理矣。然推之以數,則無往不通。達觀之客,宜領其玄致,歸之冥會,則逸義無滯,言奇(藏經本作奇言,孫星衍校同——珂)不廢矣。」

   珂案:關於羿射十日之神話,始見於楚辭天問:「羿焉彃日?烏焉解羽?」郭注所謂離騷者。其後淮南子本經篇乃詳載其事云:「堯之時十日並出,焦禾稼,殺草木,而民無所食。猰貐、鑿齒、九嬰、大風、封豨、修蛇,皆為民害。堯乃使羿誅鑿齒於疇華之野,殺九嬰於凶水之上,繳大風於青邱之澤,上射十日而下殺猰貐,斷修蛇於洞庭,禽封豨於桑林。萬民皆喜,置堯以為天子。於是天下廣狹、險易、遠近,始有道里。」郭引淮南子「羿射九日,日中烏盡死」云云,今本無之。而論衡各篇所引,尤與今本違異。對作篇云:「淮南書言:堯時十日並出,堯上射十日。」說日篇云:「淮南書又言:燭十日。堯時十日並出,萬物焦枯。堯上射十日,以故不並一日出也。」感虛篇云:「儒者傳書言:堯之時,十日並出,萬物焦枯。堯上射十日,九日去,一日常出。」均以射十日者為堯而非羿。所謂「儒者傳書」,蓋亦「淮南書」也。尋繹今本淮南子文義,下文既云「萬民皆喜,置堯以為天子」,固禮運所謂「選賢與能」之意,則以射日除害事逕屬之堯似較屬之堯所使羿更近情理,或論衡作者所見乃真古本淮南子歟?疑關於射日除害神話,初本有兩種民間傳說,一屬之堯,一屬之羿。屬之羿者更佔優勢,後人乃於古本淮南子「堯乃」下增「使羿」二字,以為今本狀態,於是堯射日之神話遂泯,羿射日之神話獨昌焉。至於郭注引淮南子云:「羿射中其九日,日中烏盡死」者,傳「日中有踆烏」(淮南子精神篇),即三足烏,又稱陽烏、金烏,天問所謂「彃日、解羽」者是也。本當是日之精魂,洞冥記又以為日馭。云:「東北有地日之草,西南有春生之草,三足烏數下地食此草。羲和欲馭,以手揜烏目,不聽下也。食草能不老,他鳥獸食此草,則美悶不能動矣。」(卷四)是又傳說之演變也。


雨師妾在其北1,其為人黑,兩手各操一蛇,左耳有青蛇,右耳有赤蛇。一曰在十日北,為人黑身人面,各操一龜。

1 郭璞云:「雨師謂屏翳也。」郝懿行云:「楚詞天問云:『蓱號起雨。』王逸注云:『蓱,蓱翳,雨師名也;號,呼也。』初學記(卷二)云:『雨師曰屏翳,亦曰屏號。列仙傳云:「赤松子神農時雨師。」風俗通云:「玄冥為雨師。」』今案雨師妾蓋亦國名,即如(周書)王會篇有姑妹國矣。焦氏易林乃云:『雨師娶婦。』蓋假託為詞耳。王念孫云:「御覽鱗介五(卷九三三)無妾字。」珂案:郭注亦只釋雨師,未釋妾義,或本無妾字歟?然據經文所寫「其為人黑,兩手各操一蛇」、「為人黑身人面,各操一龜」觀之,則雨師妾當確如郝懿行所云,是一國名,特郭璞未審其義,祗釋雨師耳。至御覽引無妾字,亦不過偶然漏落,非關宏旨也。


玄股之國在其北1,其為人衣魚2食[鳥區]3,使兩鳥夾之4。一曰在雨師妾北。

1 郭璞云:「髀以下盡黑,故云。」珂案:淮南子墬形篇有玄股民。大荒東經云:「有招搖山,融水出焉。有國曰玄股,黍食,使四鳥。」即此。

2 郭璞云:「以魚皮為衣也。」

3 郭璞云:「[鳥區],水鳥也;音憂。」楊慎云:「[鳥區]即鷗,衣魚食鷗,蓋水中國也。」

4 珂案:高誘注淮南子墬形篇云:「玄股民,其股黑,兩鳥夾之。見山海經。」據此,經文則「使兩鳥夾之」之「使」字衍,「其為人」下脫「股黑」二字。


毛民之國在其北1,為人身生毛2。一曰在玄股北。

1 郝懿行云:「毛民國依姓,禹之裔也。見大荒北經。」珂案:大荒北經云:「有毛民之國,依姓,食黍,使四鳥。禹生均國,均國生役采,役采生修鞈,修鞈殺綽人。帝念之,潛為之國,是此毛民。」則禹所「潛為之國」者,乃禹之裔修鞈所殺之綽人而非修鞈,郝云毛民禹裔,疑非。毛民乃黃帝之裔,說見大荒北經「毛民國」節注。淮南子墬形篇有毛民,高誘注云:「其人體半生毛,若矢鏃也。」

2 郭璞云:「今去臨海郡東南二千里,有毛人在大海洲島上,為人短小,而(宋本、吳寬抄本、毛扆本、明藏本、御覽九三三引、大荒北經注悉作面,作面是也——珂)體盡有毛,如豬能(御覽九三三引作熊,屬上讀,作熊是也——珂),穴居,無衣服。晉永嘉四年,吳郡司鹽都尉戴逢在海邊得一船,上有男女四人,狀皆如此。言語不通,送詣丞相府,未至,道死,唯有一人在。上賜之婦,生子,出入市井,漸曉人語,自說其所在是毛民也。大荒(北)經云『毛民食黍』者是矣。」珂案:太平御覽卷三七三引臨海異物志云:「毛人洲,在張嶼,毛長短如熊。周綽得毛人,送詣秣陵。」又卷七九0引土物志云:「毛人之洲,乃在漲嶼;身無衣服,鑿地穴處;雖云象人,不知言語;齊長五尺,毛如熊豕;眾輩相隨,是捕鳥鼠。」即郭注所謂臨海郡毛人也。


勞民國在其北1,其為人黑2。或曰教民3。一曰在毛民北,為人面目手足盡黑4。

1 珂案:淮南子墬形篇有勞民,高誘注云:「勞民,正理躁擾不定。」

2 郭璞云:「食果草實也。有一鳥兩頭。」郝懿行云:「郭注此語疑本在經內,今亡。又奇肱國有鳥兩頭,見海外西經,非此。」珂案:孫星衍校本亦以此二語係經文誤入注中,初云照改,後又云,此不必改。揆此二語之意,均說圖之詞,當係經文無疑。孫初云照改後又云不必改者,或見御覽七九0引亦已作注,則誤當在御覽引以前也。海外西經云:「奇肱之國……有鳥焉,兩頭,赤黃色,在其旁。」亦係經文,可證此亦當是經文。

3 郝懿行云:「勞、教聲相近。」

4 郝懿行云:「今魚皮島夷之東北有勞國,疑即此,其人與魚皮夷面目手足皆黑色也。」


東方句芒,鳥身人面,乘兩龍1。

1 郭璞云:「木神也;方面素服。墨子曰:昔秦穆公有明德,上帝使句芒賜之壽十九年。」珂案:墨子明鬼下篇云:「昔者鄭穆公,當晝日中處乎廟,有神入門而左,鳥身,面狀正方。鄭穆公見之,乃恐懼奔。神曰:『無懼,帝享女明德,使予賜女壽十年有九;使若國家蕃昌,子孫茂,毋失鄭。』穆公再拜稽首,曰:『敢問神名?』曰:『予為句芒。』」此即郭注所引;惟鄭穆公郭引作秦穆公。論衡福虛篇及無形篇,亦均引作秦穆公。鄭穆公無「明德」可考,秦穆公則尚有以五羊皮易百里奚舉為相(史記秦本紀)、赦食駿馬肉之野人卒得其助以克晉(呂氏春秋愛士篇)之類「明德」,故今本墨子作鄭穆公訛也。尚書大傳云:「東方之極,自碣石東至日出榑木之野,帝太皞神句芒司之。」呂氏春秋孟春紀高誘注云:「句芒,少皞氏之裔子曰重,佐木德之帝,死為木官之神。」即此句芒也。然或又傳為少皞之叔,左傳昭公二十九年:「少皞氏有四叔:曰重,……使重為句芒。」則知古來傳說本無定也。


  建平元年四月丙戌(吳任臣云:「哀帝乙卯歲也。」珂案:即公元前六年),待詔太常屬臣望(吳任臣云:「太常初名奉常,景帝六年改,其屬有六太、六令等官。望疑是丁望。」)校治,侍中光祿勳臣龔(吳任臣云:「侍中加官也。光祿勳初為郎中令,武帝太初元年更名。龔,王龔也。」)、侍中奉車都尉光祿大夫臣秀(吳任臣云:「奉車都尉武帝時置,秩比二千石。光祿大夫初為中大夫,亦太初元年改。秀,劉歆也。」)領主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