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차삼경(北次三經) 번역

산해경/북산경 2018. 2. 28. 00:00

北次三經之首,曰太行之山。

북차삼경의 첫머리는, 태행산맥이라 한다.


其首曰歸山,其上有金玉,其下有碧1。

산의 시작을 귀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있고, 산 아래에 벽옥이 있다.


有獸焉,其狀如麢羊2而四角,馬尾而有距,其名曰䮝,善還3,其名自訆4。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네 개의 뿔이 달린 영양 같고, 꼬리는 말에 닭의 며느리발톱이 있다, 그 이름을 휘이라 하며, 빙빙 도는 것을 잘 한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有鳥焉,其狀如鵲5,白身6、赤尾、六足,其名曰䴅7,是善驚,其鳴自詨8。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까치 같고, 흰 몸과 붉은 꼬리와 여섯 개의 발이 있으며, 그 이름을 분이라 한다, 이것은 잘 놀라고,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1 학의행(郝懿行)云:「예문유취(藝文類聚)七卷引此經벽 다음에 옥자가 있다(碧下有玉字)。」

2 학의행(郝懿行)云:「유소(劉昭)注군국지(郡國志)引此經영은 미로 쓰여 있고(麢作麋),양은 없는 글자(無羊字)。」

3 원가기록(珂案):還音선(旋),춤을 추며 빙글빙글 돈다(盤旋而舞也)。䮝音휘(暉)。

4 원가기록(珂案):규와 규는 같다(訆同叫);오임신(吳任臣)本作규(叫)。

5 학의행(郝懿行)云:「광운(廣韻)설명(說)분은 고니와 비슷하다(䴅云似鵠)。」

6 학의행(郝懿行)云:「광운(廣韻)흰 몸 뒤에 눈이 세 개라는 두 글자가 있다(此下有三目二字)。」

7 곽박(郭璞)云:「音분(奔)。」

8 곽박(郭璞)云:「현재 오나라 사람들은 효라고 발음한다(今吳人謂呼為詨),音호와 교의 반절(呼交反)。」


又東北二百里,曰龍侯之山,無草木,多金玉。

또 동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용후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決決之水1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결결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多人魚,其狀如䱱魚2,四足,其音如嬰兒,食之無癡疾3。

그 안에 인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큰 잉어 같고, 발은 네 개다, 그 울음소리는 젖먹이 같으며, 먹으면 똑똑해 진다.


1 학의행(郝懿行)云:「태평어람(太平御覽)九百三十八卷引此經결수(決水),결자는 두 번 쓰지 않았다(決字不作重文)。」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校同학의행(郝)注。

2 곽박(郭璞)云:「제어는(䱱)見중산경(中山經)。혹은(或曰),인어는 즉 도룡뇽이다(人魚即鯢也),발이 네 개 달린 메기와 비슷하고(似鮎而四足),울음소리는 어린아이가 우는 소리 같다(聲如小兒嗁),현재도 제는 점이라 부른다(今亦呼鮎為䱱);音제(蹏)。」원가기록(珂案):중차칠경(中次七經)소실산(少室山)휴수(休水)제어가 많다(多䱱魚),即곽박(郭)注所云「見중산경(中山經)」者。또한 인어는(又人魚),서산경(西山經)죽산에서 나오는 죽수에도 있다(竹山竹水亦有之),見該節注4。

3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치는(癡),총명하지 못하다(不慧也)。』중산경(中山經)云:『제어를 먹은 사람은 의심이 없어진다(䱱魚食者無蠱疾)。』이것과 다르다(與此異)。」


又東北二百里,曰馬成之山,其上多文石,其陰多金玉。

또 동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마성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문석이 많고, 산의 북쪽에 금과 옥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白犬而黑頭,見人則飛1,其名曰天馬,其鳴自訆。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머리가 검은 흰 개 같고, 사람을 보면 날아다니며, 그 이름을 천마라 한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有鳥焉,其狀如烏,首白而身青、足黃,是名曰鶌鶋2,其鳴自詨,食之不飢,可以已寓3。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까마귀 같다, 푸른 몸에 발은 누렇고 머리는 희다, 이것의 이름은 굴거라 하며,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먹으면 배고프지 않고, 이것을 기르면 우가 낫는다.


1 곽박(郭璞)云:「몸의 날개로 자유롭게 날아다닌다(言肉翅飛行自在)。」

2 곽박(郭璞)云:「굴거(屈居)二音。」

3 곽박(郭璞)云:「모름(未詳);혹은(或曰),우는 오 같다(寓猶誤也)。」학의행(郝懿行)云:「우와 오는 모두 발음이 비슷하다(寓、誤蓋以聲近為義),혼망병으로 의심 된다(疑昏忘之病也)。왕인지(王引之)曰:『우는 우자를 임시로 빌려서 기록한 것이라 생각된다(案寓當是𤸒字之假借),옥편(玉篇)、광운(廣韻)並音우와 구의 반절(牛具切),사마귀 병(疣病也)。』」


又東北七十里,曰咸山,其上有玉,其下多銅,是多松柏,草多茈草。

또 동북쪽으로 칠십 리를 가면, 함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있고, 산 아래에 구리가 많다, 이곳엔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고, 풀은 자초가 많다.


條菅1之水出焉,而西南流注于長澤。

여기서 나오는 조간수는, 서남쪽으로 흘러 장택으로 들어간다,


其中多器酸,三歲一成2,食之已癘。

그 안에 기산이 많은데, 삼 년 한 번 나오며, 먹으면 돌림병이 낫는다.


1 원가기록(珂案):菅音간(姦)。

2 곽박(郭璞)云:「所모름(未詳)也。」왕숭경(王崇慶)云:「기산은 신 것만 먹을 수 있는데(器酸或物之可食而酸者),해주에서 나오는 소금의 종류 같다(如解州鹽池出鹽之類);연못에 물을 흐르지 않고 머물게 만들고(蓋澤水止而不流),신 맛이 나게 오래 쌓아 놓는데(積久或酸),그런 이유로 삼 년에 한 번 나온다(故曰三年一成)。」


又東北二百里,曰天池之山,其上無草木,多文石。

또 동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천지산이라 한다,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고, 문석이 많다.


有獸焉,其狀如兔而鼠首,以其背飛1,其名曰飛鼠。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쥐의 머리를 한 토끼 같고, 등 위의 털로 날아다니며, 그 이름을 비서이라 한다.


澠水出焉,潛于其下,其中多黃堊2。

여기서 나오는 승수는, 산 바닥에서 사라진다, 물안에 누런흙이 많다.


1 곽박(郭璞)云:「등 위에 털을 나는데 사용한다(用其背上毛飛),비는 의지하는 것을 말한다(飛則仰也) 낙하산으로 생각됨。」

2 곽박(郭璞)云:「악은(堊),흙이다(土也)。」원가기록(珂案):악은(堊)已見서차이경(西次二經) 대차산(大次之山),詳該節注1。


又東三百里,曰陽山,其上多玉,其下多金銅。

또 동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양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금과 구리가 많다.


有獸焉,其狀如牛而赤尾,其頸𦜜1,其狀如句瞿2,其名曰領胡3,其鳴自詨,食之已狂。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꼬리가 붉은 소 같고, 목에 혹이 있으며, 혹의 모양이 뒤집힌 국자 머리 같다, 그 이름을 영호라 한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먹으면 광증이 낫는다.


有鳥焉,其狀如雌雉,而五采以文,是自為牝牡,名曰象蛇,其鳴自詨。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암꿩 같고, 무늬가 다채롭다, 이것은 스스로 암컷과 수컷을 정하고, 이름을 상사라 한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留水出焉,而南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유수는, 남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有䱤4父之魚,其狀如鮒魚,魚首而彘身,食之已嘔。

물 에 있는 함보어는, 그 모양이 붕어 같고, 멧돼지 몸에 물고기 머리가 달렸다, 먹으면 구토를 멈춘다.


1 원가기록(珂案):𦜜音신(腎)。

2 곽박(郭璞)云:「목 위에 혹 덩어리가 있다(言頸上有肉𦜜);구구는(句瞿),구기다(斗也),音구(劬)。」

3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영은(領),항이다(項也);호는(胡),소의 턱밑살(牛顄垂也)。』이 소의 목살이 구기 같아서(此牛頸肉垂如斗),영호라는 이름이 되었다(因名之領胡與?)」

4 곽박(郭璞)云:「音함(陷)。」


又東三百五十里,曰賁聞之山,其上多蒼玉,其下多黃堊,多涅石1。

또 동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분문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창옥이 많고, 산 아래에 누런흙이 많고, 열석이 많다.


1 학의행(郝懿行)云:「반석이다(即礬石也)。회남자(淮南) 숙진훈(俶真訓)云:『열석으로 검게 물들일 수 있다(以涅染緇)。』고유(高誘)注云:『열은(涅),반석(礬石也)。』」


又北百里,曰王屋之山1,是多石。

또 북쪽으로 백 리를 가면, 왕옥산이라 하는데, 이곳에 돌이 많다.


水2出焉,而西北流于泰澤。

여기서 나오는 연수는, 서북쪽으로 흘러 태택으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현재 산서성 양성현 서남쪽에 있다(在今山西省陽城縣西南)。經태행산맥의 첫머리인(首太行山),하남성 제원현에서 시작해(則起自河南省濟源縣),산서성 가장자리 북쪽으로 들어간다(北入山西省境),더불어 왕옥산을 멀리 마주하고 있다(與王屋山遙相對),열자(列子) 태형이라 했다(謂之「태형(太形)」)。태형과 왕옥 두 산은(云太形王屋二山),길이가 칠백 리에 이르고(方七百里),높이가 만 길에 이른다(高萬仞),산은 본디 기주의 남쪽과 하양의 북쪽에 있다(本在冀州之南,河陽之北)。천제는 어리석은 노인이 정성을 다해 산을 옮기는 것에 감동 받아(天帝感愚公移山之誠),과아씨의 두 아들에게 명해(命夸蛾氏二子),두 산을 짊어지게 해(負二山),하나는 삭동에 두고(一厝朔東),하나는 옹남에 두었다(一厝雍南),두 산은 이 때부터 떨어지게 되었다(自此異之)。云云,즉 두 산은 신화전설로 이어져오는 하나의 이야기이다(則二山在神話傳說中原本一地也)。

2 곽박(郭璞)云:「音연(輦)。」


又東北三百里,曰教山,其上多玉而無石。

또 동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교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돌은 없지만 옥은 많다.


教水出焉,西流注于河,是水冬乾而夏流,實惟乾河。

여기서 나오는 교수는, 서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가고, 이곳의 물은 여름에는 흐르고 겨울에 마른다, 여기가 바로 건하.


其中有兩山。

물안 양쪽에 산이 있다.


是山也,廣員三百步,其名曰發丸之山,其上有金玉。

이 산은, 둘레가 삼백 걸음이고, 그 이름을 발환이라 한다, 산 위는 금과 옥이 많다.


又南三百里,曰景山,南望鹽販之澤1,北望少澤,其上多草、藷藇2,其草多秦椒3,其陰多赭,其陽多玉。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경산이라 하는데, 남쪽으로 염판택을 바라보고, 북쪽으로 소택을 바라본다, 산 위에 풀과 서서가 많고, 분디가 많으며, 산의 북쪽에 붉은 흙이 많고, 산의 남쪽에 옥이 많다.


有鳥焉,其狀如蛇,而四翼、六目、三足,名曰酸與,其鳴自詨,見則其邑有恐4。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뱀 같은데, 네 개의 날개와 여섯 개의 눈과 세 개의 발이 달렸고, 이름을 산여이라 하며,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만나면 그 마을은 공황상태가 된다.


1 곽박(郭璞)云:「염지다(即鹽池也);현재 하동 의씨현에 있다(今在河東猗氏縣)。또 판은 없는 글자(或無販字)。」원가기록(珂案):수경(水經)注속수(涑水)及태평어람(太平御覽)卷八六五引이 주석 염지 앞에도 해현 두 글자가 있어야 한다(此注鹽池上並有解縣二字),則正심괄(沈括)몽계필담(夢溪筆談)所謂「해주 염택(解州鹽澤),소금 색이 붉디 붉은 건(滷色正赤),소문에 의하면(俚俗)치우의 피 때문이다(謂之『치우의 피(蚩尤血)』」者);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九「응룡이 치우와 과보를 죽였다(應龍殺蚩尤與夸父)」節注2。

2 곽박(郭璞)云:「뿌리가 양의 굽과 비슷하다(根似羊蹏),먹을 수 있다(可食);서서(曙豫)二音。」학의행(郝懿行)云:「현재의 산약(即今之山藥也)。」

3 곽박(郭璞)云:「열매가 산초의 가는 잎사귀 같다(子似椒而細葉),풀이다(草也)。」

4 곽박(郭璞)云:「혹은 먹으면 취하지 않는다(或曰食之不醉)。」


又東南三百二十里,曰孟門之山1,其上多蒼玉,多金,其下多黃堊,多涅石。

또 동남쪽으로 삼백 이십 리를 가면, 맹문산이라 한다, 산 위에 창옥이 많고, 금이 많으며, 산 아래에 누런흙이 많고, 열석이 많다.


1 곽박(郭璞)云:「시자(尸子)曰:『용문이 허물어지지 않고(龍門未辟),여량이 뚫리지 않았을 때(呂梁未鑿),황하는 맹문산 위에서 나와(河出於孟門之上),크게 넘쳐 거꾸로 흘렀다(大溢逆流),낮은 언덕 높은 언덕 가릴 것 없이(無有丘陵高阜),물에 잠겼다(滅之),이름하여 홍수라 하였다(名曰洪水)。』목천자전(穆天子傳)曰:『맹문산 북쪽에 올라 구하를 우러른다(北升孟門九河之隥)。』」


又東南三百二十里,曰平山。

또 동남쪽으로 삼백 이십 리를 가면, 평산이라 한다.


平水出于其上,潛于其下,是多美玉。

산 꼭대기에서 평수가 나오나, 산 바닥에서 사라진다, 이곳에 아름다운 옥이 많다.


又東二百里1,曰京山,有美玉,多漆木,多竹,其陽有赤銅,其陰有玄䃤2。

또 동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경산이라 하는데, 아름다운 옥이 있고, 옻나무가 많으며, 대나무가 많다, 산의 남쪽에 붉은 구리가 있고, 산의 북쪽에 현소가 있다.


高水出焉,南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고수는, 남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또 동쪽으로 이백 리에 이른다(又東二百里),하작(何焯)校이가 삼으로 쓰여 있다(二作三)。

2 곽박(郭璞)云「검고 고운 숫돌이다(黑砥石也);시자(尸子)曰:『검고 누렇고 고운 숫돌을 더하다(加玄黃砥)。』빛깔이 여러 개(明色非一也)。䃤音죽소의 소(竹篠之篠)。」


又東二百里1,曰虫尾之山,其上多金玉,其下多竹,多青碧。

또 동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충미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대나무가 많고, 청벽이 많다.


丹水出焉,南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단수는, 남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薄水出焉,而東南流注于黃澤。

여기서 나오는 박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황택으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또 동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又東二百里),하작(何焯)校이가 삼으로 쓰여 있다(二作三)。


又東三百里,曰彭𣬈1之山,其上無草木,多金玉,其下多水。

또 동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팽비산이라 한다,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으며, 산 아래에 물이 많다.


蚤林之水出焉,東南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조림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肥水出焉,而南流注于床水,其中多肥遺之蛇。

여기서 나오는 비수는, 남쪽으로 흘러 상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비유사가 많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팽비(彭𣬈),하작(何焯)校本、황비열(黃丕烈)、주숙도(周叔弢)校本均作팽피(鼓𣬈)


又東百八十里,曰小侯之山。

또 동쪽으로 백 팔십 리를 가면, 소후산이라 한다.


明漳之水出焉,南流注于黃澤。

여기서 나오는 명장수는, 남쪽으로 흘러 황택으로 들어간다.


有鳥焉,其狀如烏而白文,名曰鴣𪄶1,食之不灂2。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흰 무늬가 있는 까마귀 같고, 이름을 고습이라 하며, 먹으면 곁눈질을 안 한다.


1 곽박(郭璞)云:「고습(姑習)二音。」

2 곽박(郭璞)云:「곁눈질을 안 한다(不瞧目也)。혹은 눈을 부릅뜬다로 쓰여 있다(或作䂃)。音초(醮)。」


又東三百七十里,曰泰頭之山。

또 동쪽으로 삼백 칠십 리를 가면, 태두산이라 한다.


共1水出焉,南注于虖池2。

여기서 나오는 공수(共水)는, 남쪽으로 흘러 호타수로 들어간다.


其上多金玉,其下多竹箭。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대나무와 이대가 많다.


1 곽박(郭璞)云:「音공(恭)。」

2 곽박(郭璞)云:「호타(呼佗)二音;아래도 같다(下同)。」


又東北二百里,曰軒轅之山,其上多銅,其下多竹。

또 동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헌원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구리가 많고, 산 아래에 대나무가 많다.


有鳥焉,其狀如梟而白首,其名曰黃鳥1,其鳴自詨,食之不妒。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머리가 흰 올빼미 같고, 그 이름을 황조라 하며,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먹으면 샘을 안 낸다.


1 학의행(郝懿行)云:「주서(周書)왕회편(王會篇)云:『하늘로 황조를 날리므로써(方揚以黃鳥)。』이아(爾雅)云:『황조는(皇),황조(黃鳥)。』모두 이 경문의 황조다(蓋皆此經黃鳥也)。」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說非是,학의행(郝)此注移於대황남경(大荒南經)「무산 황조(巫山黃鳥)」節則是矣;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무산(巫山) 황조(黃鳥)」節注2。


又北二百里,曰謁戾之山,其上多松柏,有金玉。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알려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고, 금과 옥이 있다.


沁水出焉,南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심수는, 남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東有林焉,名曰丹林。

그 동쪽에 있는 숲은, 이름을 단림이라 한다.


丹林之水出焉,南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단림수는, 남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嬰侯之水出焉,北流注于氾水。

여기서 나오는 영후수는, 북쪽으로 흘러 범수로 들어간다.


東三百里,曰沮洳之山,無草木,有金玉。

동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저여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있다.


濝1水出焉,南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기수는, 남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音기(其)。」


又北三百里,曰神囷之山1,其上有文石,其下有白蛇,有飛蟲。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신균산이라 하는데, 산 위(上)에 문석(文石)이 있고, 산 아래(下)에 흰 뱀(白蛇)이 있고, 날벌레(飛蟲)가 있다.


黃水出焉,而東流注于洹2。

여기서 나오는 황수는, 동쪽으로 흘러 환수로 들어간다.


滏水出焉,而東流注于歐水。

여기서 나오는 부수는, 동쪽으로 흘러 구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音如창균의 균(倉囷之囷)。」학의행(郝懿行)云:「균은 즉 창균의 균이다(囷即倉囷之囷),곽박도 같은 발음이라 했다(郭氏復音如之),경문에 균이라 쓰여 있다 알려졌지만(知經文必不作囷),광운(廣韻)引作신균(神箘),이것으로 의심(疑是也)。」

2 곽박(郭璞)云:「洹音환(丸)。」


又北二百里,曰發鳩之山1,其上多柘木。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발구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산뽕나무가 많다.


有鳥焉,其狀如烏,文首、白喙、赤足2,名曰精衛,其鳴自詨。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까마귀 같은데, 무늬 있는 머리와 흰 부리와 붉은 발이며, 이름을 정위라 한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是炎帝之少女名曰女娃3,女娃游于東海,溺而不返,故為精衛,常銜西山之木石,以堙于東海4。

이것은 염제의 작은 딸이며 이름은 여와라 한다, 여왜는 동쪽 바다로 놀러 갔다가, 바다에 빠져 돌아오지 못 했고, 정위가 되었다, 항상 서쪽 산의 나무와 돌을 입으로 물고 와, 동쪽 바다를 메우려고 한다.


漳水出焉,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장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현재 상당군 장자현 서쪽에 있다(今在上黨郡長子縣西)。」원가기록(珂案):장자현은 현재 산서성에 속한다(長子縣屬今山西省);발구산 또한 발포산과 녹곡산과 염산이라 했다(發鳩山亦名發苞山、鹿谷山、廉山),태행 산맥의 갈래(為太行山分支)。

2 학의행(郝懿行)云:「광운(廣韻)引此經作흰 머리(白首)붉은 부리(赤喙)。」

3 곽박(郭璞)云:「염제는(炎帝),신농씨(神農也);와(娃),오과 가의 반절(惡佳反),혹은 계를 잘못 쓴 것 같다(語誤或作階)。」원가기록(珂案):염제 신화 관련(關於炎帝之神話),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一「호인국(互人國)」節注2。

4 곽박(郭璞)云:「인은(堙),새다(塞也);音인(因)。」원가기록(珂案):술이기(述異記)云:「옛날에 염제의 딸이 동해에 빠져 죽었고(昔炎帝女溺死東海中),정위가 되었다(化為精衛)。바다제비와 짝을 이루어 자식을 나았는데(偶海燕而生子),태어난 암컷은 정위 같고(生雌狀如精衛),태어난 수컷은 바다제비 같았다(生雄如海燕)。현재 동해 정위는 서수하며 살고 있다(今東海精衛誓水處),바다에 빠져 물귀신이 되었고(曾溺此川),자신이 빠진 물을 절대 마시지 않겠다고 맹세하였다(誓不飲其水)。서조하고도 하고(一名誓鳥),원금이라고도 하며(一名寃禽),또한 지조라고도 불린다(又名志鳥),민간에서는 제녀작이라고 한다(俗呼帝女雀)。」즉 이 신화는 내려오며 발전하였다(則是此一神話之流傳演變也)。


又東北百二十里,曰少山,其上有金玉,其下有銅。

또 동북쪽으로 백 이십 리를 가면, 소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있고, 산 아래에 구리가 있다.


清漳之水出焉,東流1于濁漳之水。

여기서 나오는 청장수는, 동쪽으로 흘러 탁장수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동쪽으로 흘러 다음에 들어간다는 글자가 빠짐(東流下疑脫注字)。


又東北二百里,曰錫山,其上多玉,其下有砥。

또 동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석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고운 숫돌이 있다.


牛首之水出焉,而東流注于滏水。

여기서 나오는 우수수는, 동쪽으로 흘러 부수로 들어간다.


又北二百里,曰景山,有美玉。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경산이라 하는데, 아름다운 옥이 있다.


景水出焉,東南流注于海澤。

여기서 나오는 경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갯벌로 들어간다.


又北百里,曰題首之山,有玉焉,多石,無水。

또 북쪽으로 백 리를 가면, 제수산이라 하는데, 여기에 옥이 있고, 돌은 많으며, 물은 없다.


又北百里,曰繡山,其上有玉、青碧,其木多栒1,其草多芍藥、芎藭2。

또 북쪽으로 백 리를 가면, 수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과 청벽이 있고, 산에 나무는 순나무가 많고, 산에 풀은 작약과 궁궁이 많다.


洧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유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有鱯3、黽4。

물안에 큰 메기와 맹꽁이가 있다.


1 곽박(郭璞)云:「나무 가운데 줄기(木中枚也);音순(荀)。」원가기록(珂案):설문해자(說文)六云:「매는(枚),간이다(榦也),이것으로 지팡이를 만들 수 있다(可為杖)。」

2 곽박(郭璞)云:「작약은 신이라고도 한다(芍藥一名辛夷),또한 향초의 종류(亦香草屬)。」원가기록(珂案):궁궁(芎藭)已見서차사경(西次四經) 호산(號山)。

3 곽박(郭璞)云:「호는 큰 메기와 비슷하다(鱯似鮎而大),흰 색이다(白色也)。」

4 곽박(郭璞)云:「추맹은 청개구리와 비슷하다(䵸黽似蝦蟆),작고 푸르다(小而青);혹은(或曰),화맹이라고도 했다(鱯黽一物名耳)。」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맹꽁이는(䵸黽),학의행(郝懿行)경맹의 잘못 바뀐 글자(以為當為耿黽之訛);이아(爾雅)석어(釋魚):「맹은 물에 산다(在水者黽)。」곽박(郭)注云:「경맹이다(耿黽也);청개구리와 비슷하고 배가 불룩하다(似青蛙大腹),토압이라고도 한다(一名土鴨)。」即곽박(郭)추맹을 이렇게 설명 했다(此注之䵸黽也)。


又北百二十里,曰松山,陽水出焉,東北流注于河。

또 북쪽으로 백 이십 리를 가면, 송산이라 하는데, 여기서 나오는 양수는, 동북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又北百二十里,曰敦與之山,其上無草木,有金玉。

또 북쪽으로 백 이십 리를 가면, 돈여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있다.


溹水1出于其陽,而東流注于泰陸之水;

산의 남쪽에서 나오는 색수는, 동쪽으로 흘러 태육수로 들어간다.


泜水2出于其陰,而東流注于彭水。

산의 북쪽에서 나오는 저수는, 동쪽으로 흘러 팽수로 들어간다.


槐水出焉,而東流注于泜澤。

여기서 나오는 괴수는, 동쪽으로 흘러 저택으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溹音색(索)。

2 원가기록(珂案):泜音저(底)。


又北百七十里,曰柘山,其陽有金玉,其陰有鐵。

또 북쪽으로 백 칠십 리를 가면, 자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금과 옥이 있고, 산의 북쪽에 쇠가 있다.


歷聚之水出焉,而北流注于洧水1。

여기서 나오는 역취수는, 북쪽으로 흘러 유수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洧音유(鮪)。


又北三百里,曰維龍之山,其上有碧玉,其陽有金,其陰有鐵。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유룡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벽옥이 있고, 산의 남쪽에 금이 있고, 산의 북쪽ㄱ에 쇠가 있다.


肥水出焉,而東流注于皋澤,其中多礨石1。

여기서 나오는 비수는, 동쪽으로 흘러 고택로 들어가고, 물안에 뇌석이 많다.


敞鐵之水出焉,而北流注于大澤。

여기서 나오는 창철수는, 북쪽으로 흘러 대택으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모름(未詳)也。音뢰(雷)。혹은 루라고 쓰여 있다(或作壘);괴루는(磈壘),큰 돌의 모양(大石貌)。혹은 돌의 이름(或曰石名)。」왕불(汪紱)云:「비수 안에 괴루와 큰 돌이 많다(言肥水中多磈礨大石也)。」


又北百八十里,曰白馬之山,其陽多石玉,其陰多鐵,多赤銅。

또 북쪽으로 백 팔십 리를 가면, 백마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돌과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쇠가 많고, 붉은 구리가 많다.


木馬之水出焉,而東北流注于虖沱1。

여기서 나오는 목마수는, 동북쪽으로 흘러 호타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호타(呼佗)二音。」원가기록(珂案):經文호타(虖沱),송본(宋本)作호타(虖池),即上文태두산(泰頭之山)호타(虖池)맞다(是也),곽박(郭)注並云「호타(呼佗)二音。」


又北二百里,曰空桑之山1,無草木,冬夏有雪。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공상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사시사철 눈이 있다.


空桑之水出焉,東流注于虖沱。

여기서 나오는 공상수는, 동쪽으로 흘러 호타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동차이경에 이미 이 산이 있다(上已有此山),같은 이름으로 의심(疑同名也)。」학의행(郝懿行)云:「동차이경에 이산이 있다(東經有此山),북차이경에는 없다(此經已上無之),북차이경을 조사해(檢此篇)북차이경의 첫머리인(北次二經之首),관잠산부터 돈제산까지(自管涔之山至于敦題之山),모두 열일곱 개의 산으로 되어있다(凡十七山),지금은 열여섯 개의 산이 분명하다(今才得十六山),이 한 개의 산이 빠진 것이 정확하다(疑經正脫此一山也)。」


又北三百里,曰泰戲之山,無草木,多金玉。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태희산이라 한다,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羊,一角一目,目在耳後,其名曰䍶䍶1,其鳴自訆。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양 같고, 뿔 한 개에 눈도 한 개이고, 귀 뒤에 눈이 있으며, 그 이름을 동동이라 한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虖沱2之水出焉,而東流注于漊3水。

여기서 나오는 호타수는, 동쪽으로 흘러 루수로 들어간다.


液4女之水出于其陽,南流注于沁水。

산의 남쪽에서 나오는 역녀수는, 남쪽으로 흘러 심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音옥동의 동(屋棟之棟)。」

2 원가기록(珂案):上文공상산(空桑之山)호타수(虖沱)及이 산(此山)호타수(虖沱)는,송본(宋本)均作호타(虖池)。

3 곽박(郭璞)云:「音루(樓)。」원가기록(珂案):經文루(漊),오관(吳寬)초본(抄本)作루(婁)。

4 곽박(郭璞)云:「液音열역의 역(悅懌之懌)。」


又北三百里,曰石山,多藏1金玉。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석산이라 하는데, 좋은 금과 옥이 많다.


濩濩2之水出焉,而東流注于虖沱;

여기서 나오는 확확수는, 동쪽으로 흘러 호타수로 들어간다.


鮮于之水出焉,而南流注于虖沱3。

여기서 나오는 선우수는, 남쪽으로 흘러 호타수로 들어간다.


1 학의행(郝懿行)云:「장은(藏),장의 옛 글자(古字作臧),좋다(善也);서차삼경(西次三經)괴강산(槐江之山)좋은 황금과 옥이 많다(多藏黃金玉),같은 의미다(義與此同)。」

2 곽박(郭璞)云:「音척확의 확(尺蠖之蠖)。」

3 원가기록(珂案):經文二호타(虖沱),송본(宋本)均作호타(虖池),오임신(吳任臣)本同。又오임신(吳任臣)本남쪽 앞에 서쪽이 있다(南上有西字)。


又北二百里,曰童戎之山。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동융산이라 한다.


皋涂之水出焉,而東流注于漊液水。

여기서 나오는 고도수는, 동쪽으로 흘러 루액수로 들어간다.


又北三百里,曰高是之山。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고시산이라 한다.


滋水1出焉,而南流注于虖沱,其木多棕,其草多條。

여기서 나오는 자수는, 남쪽으로 흘러 호타수로 들어가고, 산에 나무는 종려나무가 많고, 산에 풀은 조초가 많다.


滱水2出焉,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구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音자(茲)。」

2 곽박(郭璞)云:「音구(寇)。」


又北三百里,曰陸山,多美玉。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육산이라 하는데, 아름다운 옥이 많다.


𨜰水1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강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혹은 담수로 쓰여 있다(或作郯水)。」


又北二百里,曰沂1山。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기산이라 한다.


般2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반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音기(祈)。」

2 곽박(郭璞)云:「音반(盤)。」


北百二十里,曰燕山,多嬰石1。

북쪽으로 백 이십 리를 가면, 연산이라 하는데, 영석이 많다.


燕水出焉,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연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사람이 목걸이를 한 듯한 모양의 무늬가 있는 옥과 비슷한 돌(言石似玉有符彩嬰帶),이른바(所謂) 연석(燕石)者。」학의행(郝懿行)云:「영은 연이 내려오는 소리로 의심(嬰疑燕聲之轉),영대의 의미를 모른다(未必取嬰帶為義)。」


又北山行五百里,水行五百里,至于饒山。

또 북쪽으로 산을 따라 오백 리, 물을 따라 오백 리를 가면, 요산에 이른다.


是無草木,多瑤碧,其獸多橐駞1,其鳥多鶹2。

이곳엔 풀과 나무가 없고, 요벽이 많으며, 산에 짐승은 탁타가 많고, 산에 새는 류가 많다.


歷虢之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역괵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有師魚,食之殺人3。

물안에 사어가 있는데, 먹으면 사람을 죽인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탁타(橐駞),송본(宋本)作탁타(橐駝),已見上文북산경(北山經)괵산(虢山)。

2 곽박(郭璞)云:「모름(未詳)。혹은(或曰),류는(鶹),올빼미다(鵂鶹也)。」

3 곽박(郭璞)云:「모름(未詳)。혹은 예라 쓰여 있다(或作鯢)。」학의행(郝懿行)云:「사(師),옥편(玉篇)作사(鰤),아니다(非也)。곽박(郭)云或作예(鯢)者,사와 예는 전해지는 소리(師、鯢聲之轉),예는 인어다(鯢即人魚也),已見용후산(上文)。유양잡조(酉陽雜俎)云:『골짜기 사이에 사람을 먹는 예어가(峽中人食鯢魚),얼켜있는 나무 위에(縛樹上),매질하면 닥나무 즙 같은 흰 즙이 나오는데(鞭至白汁出如構汁),먹을 수 있지만(方可食),독이 있다(不爾有毒也)。』이것이 맞는 말이다(正與此經合)。」


又北四百里,曰乾山,無草木,其陽有金玉,其陰有鐵而無水1。

또 북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건산이라 하는데, 산에 풀과 나무가 없고, 산의 남쪽에 금과 옥이 있고, 산의 북쪽에 물은 없으나 쇠가 있다.


有獸焉,其狀如牛而三足,其名曰獂2,其鳴自詨。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세 개의 발을 가진 소 같고, 그 이름을 원이라 하며,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1 왕불(汪紱)云:「이를 근거로(據此),건은 간으로 발음해야 한다(則乾當音干)。」

2 학의행(郝懿行)云:「원은 원으로 바꾸어야 한다(獂當為豲),見설문해자(說文)。」원가기록(珂案):필원(畢沅)校本원은 원으로 쓰여 있다(獂正作豲)。


又北五百里,曰倫山。

또 북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윤산(倫山)이라 한다.


倫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윤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有獸焉,其狀如麋,其川在尾上1,其名曰羆2。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사불상 같고, 꼬리 위에 구멍이 있고, 그 이름을 비이라 한다。


1 곽박(郭璞)云:「천은(川),규다(竅也)。」필원(畢沅)云:「이아(爾雅)云:『백주연(白州驠)。』곽박(郭)云:『주는(州),규다(竅)。』천은 주로 바꾸어야 한다(則川當為州)。」원가기록(珂案):經文천(川),왕념손(王念孫)、손성연(孫星衍)並校作주(州)。

2 학의행(郝懿行)云:「장경(藏經)本作비구(羆九),郭氏도찬(圖讚)亦作비구(羆九),疑經文비 다음에 구자가 있다(羆下有九字),현재 책에 빠졌다(今本脫去之)。」원가기록(珂案):經文비(羆),왕념손(王念孫)、손성연(孫星衍)亦均校作비구(羆九)。


又北五百里,曰碣石之山。

또 북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갈석산이라 한다.


繩水出焉,而東流注于河,其中多蒲夷之魚1。

여기서 나오는 승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가고, 물안에 포이어가 많다.


其上有玉,其下多青碧。

산 위에 옥이 있고, 산 아래에 청벽이 많다.


1 곽박(郭璞)云:「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원가기록(珂案):포이어(蒲夷魚)疑即염유어(冉遺魚),已見서차사경(西次四經)영제산(英鞮之山)。


又北水行五百里,至于鴈門之山1,無草木。

또 북쪽으로 물을 따라 오백 리를 가면, 안문산에 이르는데, 풀과 나무가 없다.


1 원가기록(珂案):해내서경(海內西經)云:「안문산은(鴈門山),산의 사이에서 기러기가 나온다(鴈出其閒)。고류의 북쪽에 있다(在高柳北)。」이 산이다(即此山也)。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六「안문산(鴈門山)」節注1。


又北水行四百里,至于泰澤。

또 북쪽으로 물을 따라 사백 리를 가면, 태택에 이른다.


其中有山焉,曰帝都之山,廣員百里,無草木,有金玉。

물안 있는 산을, 제도산이라 하는데, 둘레가 백 리이고, 풀과 나무가 없며, 금과 옥이 있다.


又北五百里,曰錞于毋逢之山,北望雞號之山1,其風如䬅2。

또 북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순우무봉산이라 하는데, 북쪽으로 계호산을 바라보며, 산에 바람은 빠른 바람 같다.


西望幽都之山3,浴水出焉4。

서쪽으로 유도산을 바라보며, 여기서 욕수가 나온다.


是有大蛇,赤首白身,其音如牛,見則其邑大旱。

이곳에 큰 뱀이 있는데, 머리는 붉고 몸은 희며, 그 울음소리는 소 같다, 만나면 그 마을에 큰 가뭄이 든다.


1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옥편(玉篇)引此經並作유호산(惟號之山)。」

2 곽박(郭璞)云:「협은(䬅),갑자기 세차게 일어나는 바람의 모양(急風貌也);音렬(戾)。혹은(或云),표풍(飄風也)。」

3 원가기록(珂案):유도산은 북해의 안에 있다(幽都之山在北海之內),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三「유도산(幽都山)」節注1。

4 곽박(郭璞)云:「욕은(浴)(수(水))即흑수(黑水)也。」


凡北次三經之首,自太行之山以至于無逢之山,凡四十六山,萬二千三百五十里。

무릇 북차삼경의 첫머리인, 태행산부터 무봉산까지, 모두 마흔 여섯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만 이천 삼백 오십 리에 이른다.


其神狀皆馬身而人面者廿神。

산의 신들 모양은 모두 사람 얼굴에 말의 몸을 한 스무 명의 신이다.


其祠之,皆用一藻茞瘞之1。

산의 제사는, 모두 사용한 하나의 조와 신을 땅에 묻는다.


其十四神狀皆彘身而載2玉。

산의 열네 명의 신들 모양은 모두 옥을 머리에 얹고 있고 멧돼지의 몸을 했다.


其祠之,皆玉,不瘞3。

산의 제사는, 제물은 모두 옥이며, 묻지 않는다.


其十神狀皆彘身而八足蛇尾。

산의 열 명의 신들 모양은 모두 여덟 개의 발에 뱀의 꼬리가 달린 멧돼지 몸을 했다.


其祠之,皆用一璧瘞之。

산의 제사는, 모두 사용한 한 개의 벽옥을 묻어 제사를 지낸다.


大凡四十四神,皆用稌糈米祠之,此皆不火食4。

대체로 마흔 네 명의 신이고, 제사를 지내는 젯메쌀은 모두 찰벼를 사용하며, 이곳에서는 모두 음식에 불을 사용하지 않고 날것으로 먹는다.


1 곽박(郭璞)云:「조는(藻),취조(聚藻);신은(茞),향초(香草),난초의 종류(蘭之類),音창과 대의 반절(昌代反)。」원가기록(珂案):經文조신은(藻茞),강소원(江紹原)중국 고대여행의 연구(中國古代旅行之研究)第一章注10조규를 잘못 쓴 것으로 의심 된다(謂疑是藻珪之誤),이 설명의 근거가 이것인데(其說近是),이것을 참고하 였다(可供參攷);옛날에 신에게 기도를 할 때 옥을 모두 땅에 묻었다(古祠神皆以玉瘞),취조와 향초를 묻었다는 것은 듣지 못했다(未聞以聚藻香草瘞者)。參見중산경(中山首)經문장의 끝부분(篇末)注2。

2 학의행(郝懿行)云:「재는 재이고(載亦戴也),옛날에 같은 글자로 통했다(古字通)。」

3 곽박(郭璞)云:「사용한 옥은 묻지 않는다(不薶所用玉也)。」

4 학의행(郝懿行)云:「모두 불을 사용하지 않고 날로 먹는다(皆生食不火之物)。」


右北經之山志,凡八十七山,二萬三千二百三十里。

북경에 기록된 산을 보면, 모두 여든일곱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이만 삼천 이백 삼십 리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