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차사경(西次四經) 번역

산해경/서산경 2018. 2. 28. 00:00

西次四經之首曰陰山1,上多穀2,無石,其草多茆、蕃3。

서차사경의 첫머리를 음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닥나무가 많고, 돌은 없다, 그 산에 풀은 순채와 단고추가 많다.


陰水出焉,西流注于洛。

여기서 나오는 음수는, 서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서차삼경에 음산이 나온다(上文已有陰山),같은 이름(與此同名)。

2 원가기록(珂案):經文곡은(穀),왕불(汪紱)本、모의(毛扆)校本、오임신(吳任臣)本並곡으로 쓰여 있다(作榖),맞다(是也)。

3 곽박(郭璞)云:「묘는(茆),부규다(鳧葵也) 순나물이라고도 함;번은(蕃),풋고추(青蕃),크기가 사초 비슷하다(似莎而大);묘번(卯煩)兩音。」원가기록(珂案):묘는(茆),송본(宋本)、오임신(吳任臣)本、왕불(汪紱)本、필원(畢沅)校本均묘라 쓰여 있다(作茆),묘와 묘는같은 글자(𦯄、茆字同),책에 묘라 써야한다(本當作𦯄),설문해자(說文)一云:「묘는(𦯄),부규다(鳧葵也)。」與곽박(郭)注合。


北五十里,曰勞山,多茈草1。

북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노산이라 하는데, 자초가 많다.


弱水出焉,而西流注于洛。

여기서 나오는 익수는, 서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간다.


1 오임신(吳任臣)云:「자초다(即紫草)。」


西五十里,曰罷父之山1。

서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파보산이라 한다.


洱水出焉,而西南流注于洛,其中多茈、碧2。

여기서 나오는 이수는, 서남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자석과 벽옥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파보(罷父),왕념손(王念孫)、오임신(吳任臣)、필원(畢沅)、학의행(郝懿行)並校作파곡(罷谷)。

2 학의행(郝懿行)云:「자와 벽은 다른 것(茈、碧二物也);자는 자석이다(茈即茈石)。」


北百七十里,曰申山,其上多穀1柞,其下多杻橿,其陽多金玉。

북쪽으로 일백 칠십 리를 가면, 신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닥나무와 상수리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유목과 강목이 많으며, 산의 남쪽에 금과 옥이 많다.


區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구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곡은(穀),왕불(汪紱)本、모의(毛扆)校本、오임신(吳任臣)本並곡으로 쓰여 있다(作榖),맞다(是也)。


北二百里,曰鳥山,其上多桑,其下多楮,其陰多鐵,其陽多玉。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조산이라 한느데, 산 위에 뽕나무가 많고, 산 아래 닥나무가 많다, 산의 북쪽에 쇠가 많고, 산의 남쪽에 옥이 많다.


辱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욕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又北二十里,曰上申之山,上無草木,而多硌石1,下多榛楛2,獸多白鹿。

또 북쪽으로 이십 리를 가면, 상신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고, 옥돌이 많으며, 산 아래에 개암나무와 싸리나무가 많고, 짐승은 흰 사슴이 많다.


其鳥多當扈3,其狀如雉,以其髯飛4,食之不眴目5。

그 산에 새는 당호가 많은데, 그 모양이 꿩 같고, 목구멍 아래에 난 깃털로 날아다니며, 먹으면 눈을 자주 깜빡거리는 것을 안 한다.


湯水出焉,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탕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옥돌 락은(硌),뢰석(磊硌),큰 돌의 모양(大石貌也);音락(洛)。」

2 곽박(郭璞)云:「개암은 작은 밤과 비슷하다(榛子似栗而小),맛이 좋다(味美);호목은 화살을 만들 수 있다(楛木可以為箭)。시경(詩)云:『개암나무와 싸리나무가 많기도 하다(榛楛濟濟)。』진호(臻怙)兩音。」

3 곽박(郭璞)云:「호라고도 쓰여 있다(或作戶)。」

4 곽박(郭璞)云:「구레나룻은(髯),목구멍 아래 난 깃털이다(咽下須毛也)。」

5 원가기록(珂案):순목은(眴目),순목이다(即瞬目);音순(舜)。


又北八十里,曰諸次之山,諸次之水出焉,而東流注于河。

또 북쪽으로 팔십 리를 가면, 제차산이라 하는데, 여기서 나오는 제차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是山也,多木無草,鳥獸莫居,是多眾蛇。

이 산은, 나무가 많고 풀은 없으며, 새와 짐승이 살지 않는다, 이 산에 여러 뱀이 많다.


又北百八十里,曰號山,其木多漆、棕,其草多葯、虈、芎藭1。

또 북쪽으로 일백 팔십 리를 가면, 호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옻나무와 종려나무가 많고, 산에 풀은 백지와 향초인 효, 궁궁이 많다.


多汵石2。

감석이 많다.


端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단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약은(葯),백지의 별명이다(白芷別名) 백지는 구릿대의 뿌리다;효는(虈),향초다(香草也);궁궁은 강리라고도 한다(芎藭一名江蘺) 강리는 미무의 다른 이름이다。葯音오와 각의 반절(烏較反)。」원가기록(珂案):芎藭音궁궁(穹窮),즉 천궁이다(即川芎也) 천궁은 궁궁이의 뿌리다。

2 곽박(郭璞)云:「감은 금이라고도 발음한다(汵或音金);모름(未詳)。」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감은 감이라 쓴다(汵字作淦),천양지차(云泥也),예석은 진흙 같이 부르러고 연하다(藝石質柔軟如泥者),현재는 물 속 흙에 있는 것이 감석이다(今水中土中俱有此石也)。」


又北二百二十里,曰盂山,其陰多鐵,其陽多銅,其獸多白狼白虎,其鳥多白雉白翟1。

또 북쪽으로 이백 이십 리를 가면, 우산이라 하는데, 산의 북쪽에 쇠가 많고, 산의 남쪽에 구리가 많다, 산에 짐승은 흰 이리와 흰 범이 많고, 산에 새는 흰 꿩과 흰 색에 꽁지가 긴 꿩이 많다.


生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생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혹은 흰 물총새로 쓰여 있다(或作白翠)。」학의행(郝懿行)云:「치와 적은 같은 새이나 다른 종류다(雉、翟一物二種),經백치는 당연히 백취이다(白翟當為白翠)。」


西二百五十里,曰白於之山,上多松柏,下多櫟檀1,其獸多㸲牛、羬羊,其鳥多鴞2。

 서쪽으로 이백 오십 리를 가면, 백어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있고, 산 아래에 떡갈나무와 박달나무가 있다, 산에 짐승은 작우와 함양이 많고, 산에 새는 솔개가 많다.


洛水出于其陽,而東流注于渭;

산의 남쪽에서 나오는 낙수는, 동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간다.


夾水出于其陰,東流注于生水。

산의 북쪽에서 나오는 협수는, 동쪽으로 흘러 생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역목은 떡갈나무다(櫟即柞)。」

2 곽박(郭璞)云:「효는 푸른 빛깔의 비둘기와 비슷하다(鴞似鳩而青色)。」


西北三百里,曰申首1之山,無草木,冬夏有雪。

서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신수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사시사철 눈이 있다.


申水出于其上,潛于其下,是多白玉。

산 꼭대기에서 신수가 나오나, 산 바닥에서 사라진다, 이 산에 백옥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신수(申首),왕념손(王念孫)、오임신(吳任臣)、학의행(郝懿行)並校作유수(由首);신은 유자의 잘못된 글자다(申蓋由字之訛也)。


又西五十五里,曰涇谷之山1,涇水出焉,東南流注于渭,是多白金白玉。

또 서쪽으로 오십 오 리를 가면, 경곡산이라 하는데, 여거서 나오는 경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간다, 이 산에 백금과 백옥이 많다.


1 곽박(郭璞)云:「혹은 지산이라는 두 글자가 없다(或無之山二字)。」


又西百二十里,曰剛山,多柒木1,多㻬琈之玉。

또 서쪽으로 일백 이십 리를 가면, 강산이라 하는데, 옻나무가 많고, 서부옥이 많다.


剛水出焉,北流注于渭。

여기서 나오는 강수는, 북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간다.


是多神𩳁2,其狀人面獸身,一足一手,其音如欽3。

이 산에 신치가 많은데, 그 모양이 사람 얼굴에 짐승의 몸이며, 발이 한 개이고 손도 한 개이다, 그 울음소리는 신음 소리 같다.


1 왕불(汪紱)云:「칠은 즉 칠이다(柒即漆字)。」

2 곽박(郭璞)云:「치 역시 도깨비 종류다(𩳁亦魑魅之類也);音치와 회의 반절(恥回反)。

3 곽박(郭璞)云:「음도 음자를 빌려 발음한다(欽亦吟字假音)。」


又西二百里,至剛山之尾,洛水出焉,而北流注于河。

또 서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강산의 끄트머리에 이르는데, 여기서 나오는 낙수는 북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多蠻蠻1,其狀鼠身而鱉首,其音如吠犬。

그 안에 만만이 많은데, 그 모양이 자라 머리에 쥐의 몸을 하고 있다, 그 울음소리는 개가 짖는 것 같다.


1 학의행(郝懿行)云:「만만수는(蠻蠻之獸),비익조의 다름 이름과 같다(與比翼鳥同名),수달로 의심 된다(疑即獱也)。빈과 만은 성조가 비슷하다(獱、蠻聲相近)。설문해자(說文)云:『편이나 빈으로 쓰여 있다(猵或作獱),수달 종류(獺屬)。』문선(文選)우렵부(羽獵賦)注引곽씨(郭氏)삼창해고(三蒼解詁)曰:『수달은 여우와 비슷하다(獱似狐),푸른 색이고(青色),물안에 산다(居水中),물고기를 먹는다(食魚)。』」


又西三百五十里,曰英鞮之山,上多漆木,下多金玉,鳥獸盡白。

또 서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영제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옻나무가 많고, 산 아래 금과 옥이 많으며, 새와 짐승이 모두 하얗다.


涴水出焉,而北流注于陵羊之澤。

여기서 나오는 완수는, 북쪽으로 흘러 능양택으로 들어간다.


是多冉遺之魚1,魚身蛇首六足,其目如馬耳,食之使人不眯2,可以禦凶。

이곳에 염유어가 많은데, 몸은 물고기에 뱀의 머리이며 발이 여섯 개이다, 염유어의 눈은 말의 귀 같고, 먹은 사람은 가위눌리지 않으며, 이것을 기르면 흉한 일을 막을 수 있다.


1 학의행(郝懿行)云:「태평어람(太平御覽)九三九卷引此經作무유어(無遺之魚),포이어로 의심된다(疑即蒲夷之魚也),見북차삼경(北次三經)갈석산(碣石之山)승수(下);포와 무는 성조가 비슷하고(蒲、無聲相近),이와 유는 소리가 같다(夷、遺聲同)。」

2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미는(眯),눈 안에 티가 들어감(艸入目中也)。』」설명(案):이 고미의 첫번째 뜻은(此固眯之一義),고미의 설명은 경문에 나온 미이며(然以此釋此經之眯),즉 적합하지 않다(則未當也)。「눈 안에 티가 들어갔다(艸入目中)」,우연히 일어난 사소한 일이고(偶然小事),약을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勿用服藥);즉 약을 복용하는 일은(即令服藥),또 어찌 할 수 있는가(亦何能)「使人不眯」?장자(莊子)천운편(天運篇)云:「꿈을 꾸지 않는다면(彼不得夢),반드시 자주 가위에 눌리게 될 것이다(必且數眯焉)。」석문(釋文)引사마표(司馬彪)云:「미는(眯),가위눌리다는 뜻이다(厭也)。」엽은(厭),일반 적으로 가위눌릴 엽으로 쓰이고(俗作魘),즉 가위눌리는 악몽의 의미다(即厭夢之義):이 글에 나오는 미의 올바를 풀이이다(此經文眯之正解也),더불어 다음 나오는(與下文)「이것을 기르면 흉한 일을 막을 수 있다(可以禦凶)」의 의미 또한 맞다(之義亦合)。서차삼경(西次三經)익망산(翼望之山)기여(鵸䳜),「먹으면 가위눌리는 악몽을 안 꾼다(服之使人不厭)」,곽박(郭)注云:「가위눌리는 악몽을 안 꾼다(不厭夢也)。」산경에 나오는 모든 말(山經凡言)「불미(不眯)」은,모두 이 풀이로 쓰여야 한다(均當作此解)。


又西三百里,曰中曲之山,其陽多玉,其陰多雄黃、白玉及金。

또 서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중곡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웅황과 백옥과 금이 많다.


有獸焉,其狀如馬而白身黑尾,一角,虎牙爪,音如鼓音1,其名曰駮,是食虎豹2,可以禦兵3。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몸은 희고 꼬리는 검은 말 같고, 뿔이 한 개이며, 범의 이빨과 발톱이다, 울음소리는 북소리 같고, 그 이름을 박이라 하며, 이것은 범과 표범을 먹는다, 이것을 기르면 날이 선 병기를 피할 수 있다.


有木焉,其狀如棠,而員葉赤實,實大如木瓜,名曰櫰木4,食之多力。

여기 있는 나무는, 그 모양이 팥배나무 같은데, 잎은 둥글고 붉은 열매가 열리며, 열매의 크기는 모과 같다, 이름을 회화나무라 한다, 먹으면 힘이 세진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울음 소리는 북소리 같고(音如鼓音),왕념손(王念孫)、필원(畢沅)、학의행(郝懿行)並校마지막 음자는 없는 글자(無下音字)。

2 곽박(郭璞)云:「이아(爾雅)說박(駮),악랄하고 뿔과 범 발톱이 있다(不道有角及虎爪)。박 또한 외수화를 보면(駮亦在畏獸畫中)。」원가기록(珂案):이아(爾雅) 석수(釋獸)云:「박은 말 같고(駮如馬),어금니가 크고(倨牙),범과 표범을 먹는다(食虎豹)。」박 관련(關於駮),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三「북해제수(北海諸獸)」節注2。

3 곽박(郭璞)云:「기르면 날이 선 병기를 피한다(養之辟兵刃也)。」

4 곽박(郭璞)云:「音회(懷)。」


又西二百六十里,曰邽1山。

또 서쪽으로 이백 육십 리를 가면, 규산이라 한다.


其上有獸焉,其狀如牛,蝟毛,名曰窮奇,音如狗,是食人2。

산 위에 짐승이 있는데, 그 모양이 소 같고, 고슴도치 털이며, 이름을 궁기라 한다, 울음소리는 개가 짖는 것 같고, 이것은 사람을 먹는다.


濛水出焉,南流注于洋水,其中多黃貝3,蠃魚,魚身而鳥翼,音如鴛鴦,見則其邑大水。

여기서 나오는 몽수는, 남쪽으로 흘러 양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황패와, 나어가 많은데, 새의 날개가 달린 물고기 몸이다, 울음소리는 원앙 같고, 그 마을에 홍수가 난다.


1 곽박(郭璞)云:「音규(圭)。」

2 곽박(郭璞)云:「혹은 범과 비슷하다고 한다(或云似虎),고슴도치 털에 날개가 있다(蝟毛有翼)。」원가기록(珂案):궁기 관련(關於窮奇),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七「궁기(窮奇)」節注1。

3 곽박(郭璞)云:「조개(貝),갑각류(甲蟲),몸이 올챙이 같다(肉如科斗),하지만 머리와 꼬리에 귀가 있다(但有頭尾耳)。」


又西二百二十里,曰鳥鼠同穴之山1,其上多白虎、白玉。

또 서쪽으로 이백 이십 리를 가면, 조서동혈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흰 범과 백옥이 많다.


渭水出焉,而東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위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多鰠魚2,其狀如鱣魚3,動則其邑有大兵4。

그 안에 소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철갑상어 같고, 이 물고기가 움직이면 그 마을에 큰 전쟁이 난다.


濫5水出于其西,西流注于漢水。

산의 서쪽에서 나오는 함수는, 서쪽으로 흘러 한수로 들어간다.


多𩶯魮之魚6,其狀如覆銚7,鳥首而魚翼魚尾,音如磬石之聲,是生珠玉。

함수에 여빈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냄비가 엎어진 것 같고, 물고기 지느러미에 물꼬리 꼬리이며, 새의 머리를 하고 있다, 울음소리는 경석을 두드리는 소리 같고, 이 물고기는 주옥을 낳는다.


1 곽박(郭璞)云:「현재 농서 수양현 서남쪽 산(今在隴西首陽縣西南山),조서동혈이 있고(有鳥鼠同穴),새 이름을 도라하고(鳥名曰䳜),쥐 이름을 돌이라한다(鼠名曰鼵)。돌은 사람 비에 사는 꼬리가 짧은 쥐 같고(鼵如人家鼠而短尾),도는 황색 제비와 비슷하다( 䳜似燕而黃色)。땅을 깊게 파고 들어가(穿地入數尺),쥐는 안쪽에(鼠在內),새는 바깥쪽에 함께 산다(鳥在外而共處)。손씨(孔氏) 상서전(尚書傳)曰,암컷과 수컷이 하나다(共為雌雄);장씨(張氏)지리기(地理記)云,암컷과 수컷이 아니다(不為牝牡也)。」

2 곽박(郭璞)云:「音소(騷)。」

3 곽박(郭璞)云:「전어는(鱣魚),큰 물고기다(大魚也),입이 턱 아래에 있다(口在頷下),몸이 단단한 비늘로 싸여 있다(體有連甲也)。」

4 곽박(郭璞)云:「혹은 뒷글자 무종동 글자가 빠져있다(或脫無從動則以下語者)。」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유자는 잘못된 글자로 의심된다(疑有訛誤)。

5 곽박(郭璞)云:「音함(檻)。」

6 곽박(郭璞)云:「여빈(如玭)兩音。」

7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조는(銚),냄비다(溫器也)。』」


西南三百六十里,曰崦嵫之山1,其上多丹木,其葉如穀2,其實大如瓜,赤符3而黑理,食之已癉,可以禦火。

서남쪽으로 삼백 육십 리를 가면, 엄자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단목이 많다, 그 잎은 닥나무 같고, 그 열매의 크기는 오이 같으며, 나무결이 검고 꽃받침이 붉다, 먹으면 황달이 낫고, 이것을 기르면 화재를 막을 수 있다.


其陽多龜,其陰多玉。

산의 남쪽에 거북이 많고, 산의 북쪽에 옥이 많다.


苕4水出焉,而西流注于海5,其中多砥礪6。

여기서 나오는 초수는, 서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고, 그 안에 고운 숫돌과 거친 숫돌이 있다.


有獸焉,其狀馬身而鳥翼,人面蛇尾,是好舉人7,名曰孰湖。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말의 몸에 새의 날개가 달렸고, 사람 얼굴에 뱀 꼬리가 있으며, 이것은 사람을 안아 들기를 좋아한다, 이름을 숙호라 한다.


有鳥焉,其狀如鴞而人面,蜼身犬尾8,其名自號也,見則其邑大旱。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사람 얼굴을 한 솔개이고, 거미원숭이 몸에 개의 꼬리가 있으며,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만나면 그 마을에 큰 가뭄이 든다.


1 곽박(郭璞)云:「해가 지며 산으로 들어간다(日沒所入山也),見이소(離騷)。엄자(奄茲)兩音。」원가기록(珂案):이소(離騷)云:「해가 숨는 산인 엄자에게 일러 가까이 못오게 하라(望崦嵫而勿迫)。」왕일(王逸)注:「엄자(崦嵫),해가 들어가는 산이다(日所入山也);산 아래 몽수가 있고(下有蒙水),몽수 안에 우연이 있다(水中有虞淵)。」

2 원가기록(珂案):經文곡(穀),송본(宋本)、왕불(汪紱)本、오임신(吳任臣)本作곡(榖),맞다(是也)。

3 필원(畢沅)云:「부 대신 쓴 글자(借為柎也)。」

4 곽박(郭璞)云:「혹은 약이라 쓰여 있다(或作若)。」

5 곽박(郭璞)云:「우대전(禹大傳)曰:『유반수는(洧盤之水),엄자산에서 나온다(出崦嵫山)。』」원가기록(珂案):초사(楚辭) 이소(離騷)云:「아침에 유반수에서 머리를 감는다(朝濯髮乎洧盤)。」왕일(王逸)注引우대전(禹大傳)與곽박(郭)注同,是곽박(郭)유반수가 즉 초수다(以洧盤即苕水矣)。

6 곽박(郭璞)云:「마석이다(磨石也);지는 곱고(精為砥),려는 거칠다(麄為礪也)。」

7 곽박(郭璞)云:「사람을 안아 들고 기뻐한다(喜抱舉人)。」

8 곽박(郭璞)云:「유는(蜼),원숭이 종류다(獼猴屬也),音증유의 유(贈遺之遺),一音뢰(誄),見중산경(中山經)。꼬리 또는 눈초리로 쓰여 있다(尾又作眥)。」원가기록(珂案):유(蜼)見중차구경(中次九經) 격산(鬲山)。


凡西次四經自陰山以下,至于崦嵫之山,凡十九山,三千六百八十里。

무릇 서차사경은 음산부터, 엄자산까지, 모두 열아홉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삼천 육백 팔십 리에 이른다.


其神祠禮,皆用一白雞祈。

산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법, 모두 흰 닭 한 마리를 사용해 산제사를 지낸다.


糈以稻米,白菅為席。

찹쌀을 젯메쌀을 쓰고, 흰 솔새로 돗자리를 만든다.


右西經之山(학의행(郝懿行)云:「산 다음에 지자가 빠져야 한다(山下脫志字)。」원가기록(珂案):산 다음에 지자는 없는 글자(山下本無志字),지자는 후대에 함부로 더해졌다(志字乃後人所妄加),說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一篇首注1),凡七十七山,一萬七千五百一十七里。

서경에 기록된 산을 보면, 모두 일흔일곱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일만 칠천 옫백 일십 칠 리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