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서차이경(西次二經) 번역
西次二經之首,曰鈐山1,其上多銅,其下多玉,其木多杻橿。
서차이경의 첫머리는, 겸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구리가 많고, 산 아래에 옥이 많으며, 산에 나무는 유목과 강목이 많다.
1 곽박(郭璞)云:「音곤겸의 겸(髠鉗之鉗);혹은 냉으로 쓰여 있고(或作冷),또는 도르 쓰여 있다(又作塗)。」
西二百里,曰泰1冒之山,其陽多金,其陰多鐵。
서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태모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금이 많고, 산의 북쪽에 쇠가 많다.
浴水2出焉,東流注于河,其中多藻玉3,多白蛇4。
여기서 나오는 욕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가고, 물안에 연옥이 많고, 흰 뱀이 많다.
1 곽박(郭璞)云:「혹은 진으로 쓰여 있다(或作秦)。」원가기록(珂案):초학기(初學記)卷六及태평어람(太平御覽)卷六二引此經진이라 쓰였다(正作秦)。
2 원가기록(珂案):욕수(浴水),초학기(初學記)及태평어람(御覽)並引作낙수(洛水),맞다(是也)。
3 곽박(郭璞)云:「연옥(藻玉),기호 무늬가 있는 옥이다(玉有符彩者);혹은 간으로 쓰여 있다(或作柬),音연(練)。」원가기록(珂案):초학기(初學記)及태평어람(御覽)引此經많음이 있음으로 쓰였다(多作有)。
4 곽박(郭璞)云:「물 뱀이다(水蛇)。」
又西一百七十里,曰數歷之山,其上多黃金,其下多銀,其木多杻橿,其鳥多鸚䳇。
또 서쪽으로 일백 칠십 리를 가면, 수력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황금이 많고, 산 아래에 은이 많다, 산에 나무는 유목과 강목이 많고, 산에 새는 앵무가 많다.
楚水出焉,而南流注于渭,其中多白珠1。
여기서 나오는 초수는, 남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가고, 물안에 흰 진주가 많다.
1 곽박(郭璞)云:「현재 촉군 평택에서 푸른 진주가 나온다(今蜀郡平澤出青珠)。시자(尸子)曰:『물이 끊어지는 곳에 진주가 있다(水員折者有珠)。』」
又西北五十里高山1,其上多銀,其下多青碧2、雄黃,其木多棕,其草多竹。
또 서북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고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은이 많고, 산 아래에 청벽과 웅황이 많다, 산에 나무는 종려나무가 많고, 산에 풀은 대나무가 많다.
涇3水出焉,而東流注于渭,其中多磬石、青碧。
여기서 나오는 경수는, 동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가고 , 물안에 경석과, 청벽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오관(吳寬)초본(抄本)、오임신(吳任臣)本、왕불(汪紱)本、필원(畢沅)校本、백자전서(百子全書)本,경문의 고산 앞쪽에 왈자가 있는데(經文高山上並有曰字),이게 빠짐(此脫)。
2 곽박(郭璞)云:「벽옥도 역시 옥의 종류다(碧亦玉類也)。」원가기록(珂案):설문해자(說文)一云:「벽은(碧),푸른빛이 도는 돌이다(石之青美者)。」이 청소가 청벽으로 불리기도 했다(此碧所以稱青碧也)。
3 곽박(郭璞)云:「音경(經)。」
西南三百里,曰女床之山,其陽多赤銅,其陰多石涅1,其獸多虎豹犀兕。
서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여상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붉은 구리가 많고, 산의 북쪽에 석열이 많다, 산에 짐승은 범과 표범과 무소와 외뿔소가 많다.
有鳥焉,其狀如翟而五采文2,名曰鸞鳥,見則天下安寧3。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무늬가 다채로운 꽁지가 긴 꿩 같고, 이름을 난조라 한다, 만나면 온 세상에 걱정이나 탈이 없다.
1 오임신(吳任臣)云:「본초(本草):『흑석지는(黑石脂)一名석묵(石墨),一名석열(石涅),남인의 그림을 보면(南人謂之畫)미석(眉石)。』양신(楊慎)보충설명(補注)曰:『석열은 검은색으로 염색이 가능하다(石涅可以染黑色);논어(論語)「열은 검은빛이 아니다(涅而不淄)」,即此物也。또 책을 보면(又可以書字),석묵이라 일컫는다(謂之石墨)。』」
2 곽박(郭璞)云:「적은 큰 꿩과 비슷하다(翟似雉而大),꽁지가 길다(長尾)。혹은 락이라 쓰여 있다(或作𪇱);목이 붉은 매는(𪇱),수리의 종류다(雕屬也)。」원가기록(珂案):문선(文選)동경부(東京賦)설종(薛綜)注引此經꿩은 학으로 쓴다(翟作鶴),오채는 오색으로 쓴다(五采作五色)。
3 곽박(郭璞)云:「구설에(舊說)난은 닭과 비슷하다(鸞似雞),서조다(瑞鳥也),주서왕 때 서융이 헌상했다(周成王時西戎獻之。」
又西二百里,曰龍首之山,其陽多黃金,其陰多鐵。
또 서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용수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황금이 많고, 산의 북쪽에 쇠가 많다.
苕水出焉,東南流注于涇水1,其中多美玉。
여기서 나오는 동남쪽으로 흘러 경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아름다운 옥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모의(毛扆)校本동남류 앞에 으로가 있어야 한다(東南流上有而字)。
又西二百里,曰鹿臺之山,其上多白玉,其下多銀,其獸多㸲牛、羬羊、白豪1。
또 서쪽으로 이십 리를 가면, 녹대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백옥이 많고, 산 아래 은이 많다, 산에 짐승은 작우와 함양과 흰 호저가 많다.
有鳥焉,其狀如雄雞而人面,名曰鳧徯,其鳴自叫也2,見則有兵。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사람 얼굴을 한 수탉 같고, 이름을 부혜라 했다, 울음소리에 따라 그런 이름이 붙여졌으며, 만나면 전쟁이 난다.
1 곽박(郭璞)云:「호는(豪),환저다(貆豬也)。」원가기록(珂案):호는 즉 호저고(豪即豪彘),죽산에 이미 나왔다(已見上文竹山);그 털이 흰색이므로(以其毛白),옛부터 백호로 칭했다(故稱白豪)。
2 학의행(郝懿行)云:「북당서초(北堂書鈔)一百三十卷引此經얼굴은 머리로 쓰였다(面作首),호는 명으로 쓰였다(鳴作名),잘못 쓰인 글자(蓋形聲之訛)。」
西南二百里,曰鳥危之山,其陽多磬石,其陰多檀楮1,其中多女床2。
서남쪽으로 이십 리를 가면, 조위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경석이 많고, 산의 북쪽에 박달나무와 닥나무가 많다, 산속에 여상이 많다.
鳥危之水出焉,西流注于赤水,其中多丹粟。
여기서 나오는 조위수는, 서쪽으로 흘러 적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단속이 많다.
1 곽박(郭璞)云:「저는 닥나무다(楮即榖木)。」원가기록(珂案):닥나무는(榖木)已見남산경(南山經)首초요산(招搖之山),즉 닥나무다(即構樹)。
2 곽박(郭璞)云:「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
又西四百里,曰小次之山,其上多白玉,其下多赤銅。
또 서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소차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백옥이 많고, 산 아래에 붉은 구리가 많다.
有獸焉,其狀如猿,而白首赤足,名曰朱厭,見則大兵1。
여기서 나오는 짐승은, 그 모양이 원숭이 같고, 흰 머리에 붉은 발이다, 이름을 주염이라 하며, 만나면 큰 전쟁이 난다.
1 곽박(郭璞)云:「만나면 전쟁이 일어난다로 쓰여 있다(一作見則有兵起焉),만나면 전쟁이 생긴다라고도 쓰여 있다(一作見則為兵)。」학의행(郝懿行)云:「북당서초(北堂書鈔)一百十三卷、태평어람(太平御覽)三百二十九卷引此經並作만나면 전쟁이 난다(見則有兵)。」
又西三百里,曰大次之山,其陽多堊1,其陰多碧,其獸多㸲牛、麢羊。
또 서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대차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흰흙이 많고, 산의 북쪽에 벽옥이 많다, 산에 짐승은 작우와 영양이 많다.
1 곽박(郭璞)云:「악은 흙의 색과 비슷하다(堊似土色),매우 희다(甚白);音악(惡)。」학의행(郝懿行)云:「중산경(中山經):『총롱산(蔥聾之山),흰흙과 여러빛이 섞이 흙이 많다(多白堊,黑、青、黃堊)。』흙의 색이 하나가 아니다(明堊色非一),흰 것이 아닌 것만 이름이 악이다(不獨白者名堊也)。」
又西四百里,曰薰吳之山,無草木,多金玉。
또 서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훈오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又西四百里,曰㕄1陽之山,其木多稷2、柟、豫章3,其獸多犀、兕、虎、犳4、㸲牛。
또 서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지양산이라 하는데, 그 산에 나무는 즉목과 녹나무와 예장목이 많고, 그 산에 짐승은 무소와 외뿔소와 범과 작과 작우가 많다.
1 곽박(郭璞)云:「音지(旨)。」원가기록(珂案):經文지(㕄),왕념손(王念孫)、필원(畢沅)、학의행(郝懿行)並校作지(厎)。
2 곽박(郭璞)云:「즉목은 소나무와 비슷하고(稷似松),가시가 있으며有刺,나무결이 가늘다(細理);音즉(即)。」
3 곽박(郭璞)云:「예장은(豫章),큰 나무(大木),가래나무와 비슷하며(似楸),잎은 사시사철 푸르다(葉冬夏青),칠 년이 지나야 알 수 있다(生七年而後可知也)。」
4 곽박(郭璞)云:「작은(犳),音지와 삭의 반절(之藥反)。」학의행(郝懿行)云:「옥편(玉篇)云:『작은(犳),짐승으며(獸),표범 무늬다(豹文)。』音與곽박(郭)同。아마도 재규어인 듯하다」
又西二百五十里,曰眾獸之山,其上多㻬琈之玉,其下多檀楮,多黃金,其獸多犀兕。
또 서쪽으로 이백 오십 리를 가면, 중수산이라 하는데, 산 위는 서부옥이 많고, 산 아래에 박달나무와 닥나무가 많으며, 황금이 많다, 산에 짐승은 무소와 외뿔소가 많다.
又西五百里,曰皇人之山,其上多金玉,其下多青雄黃1。
또 서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황인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청웅황이 많다.
皇水出焉,西流注于赤水,其中多丹粟。
여기서 나오는 황수는, 서쪽으로 흘러 적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단속이 많다.
1 오임신(吳任臣)云:「소송(蘇頌)云:『계주산 안에(階州山中),푸르고 검은빛으로 굳은 웅황이 있다(雄黃有青黑色而堅者),이름을 훈황이라 한다(名曰熏黃)。』청웅황의 뜻이 바로 이것이다(青雄黃意即此也)。」
又西三百里,曰中皇之山,其上多黃金,其下多蕙、棠1。
또 서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중황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황금이 많고, 산 아래에 혜란과 해당화가 많다.
1 곽박(郭璞)云:「붉은 팥배나무 종류(彤棠之屬也)。혜도 고로 쓰여있다(蕙或作羔)。」
又西三百五十里,曰西皇之山,其陽多金,其陰多鐵,其獸多麋1鹿、㸲牛。
또 서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서황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금이 많고, 그 삼의 북쪽에 쇠가 많다, 산에 짐승은 사불상과 사슴과 작우가 많다.
1 곽박(郭璞)云:「사불상은 크기가 작은 소 같다(麋大如小牛),사슴 종류다(鹿屬也)。」
又西三百五十里,曰萊山,其木多檀楮,其鳥多羅羅1,是食人。
또 서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내산이라 하는데, 그 산에 나무는 박달나무와 닥나무가 많고, 그 산에 새는 라라가 많다. 이 새는 사람을 잡아먹는다.
1 곽박(郭璞)云:「라라조는(羅羅之鳥),所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也。」학의행(郝懿行)云:「해외북경(海外北經)有푸른 짐승(青獸),모양이 범 같고(狀如虎),이름을 라라라 한다(名曰羅羅),이 새와 이름이 같다(此鳥與之同名)。」
凡西次二經之首,自鈐山至于萊山,凡十七山,四千一百四十里。
무릇 서차이경의 첫머리인, 겸산부터 내산까지, 모두 열일곱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사천 일백 사십 리에 이른다.
其十神者,皆人面而馬身。
산의 열 명의 신들은, 모두 말의 몸에 사람 얼굴이다.
其七神皆人面牛身,四足而一臂,操杖以行:是為飛獸之神;
산의 일곱 명의 신은 모두 사람 얼굴에 소의 몸이고, 팔이 한 개에 발이 네 개이며, 지팡이를 손에 쥐고 걸어 다닌다: 이것은 날짐승들의 신이다.
其祠之,毛用少牢1,白菅為席。
산의 제사는, 양을 통째로 제물로 바치는 쇠로이고, 흰 솔새로 돗자리를 만든다.
其十輩2神者,其祠之,毛一雄雞,鈐而不糈3;毛采4。
열 명의 신들은, 산의 제사는, 한 마리 수탉은 제물로 쓰며, 제사에 젯메쌀을 쓰지 않고, 여러 가지 빛이 섞인 닭을 쓴다.
1 곽박(郭璞)云:「나라에서 제사 지낼 때 양과 돼지를 통째로 제물로 바치는 것이 소뢰이다(羊豬為少牢也)。」
2 학의행(郝懿行)云:「배는 류다(輩猶類也)。」
3 곽박(郭璞)云:「검은(鈐),제사에 사용되는 그릇의 이름으로 쓰임(所用祭器名),所모름(未詳)也。혹은 젯메쌀 없이 기도를 드린다로 생각된다(或作思訓祈不糈),쌀 없이 제사를 지낸다(祠不以米)。」학의행(郝懿行)云:「검은 기로 의심된다고 전해진다(鈐疑祈之聲轉耳),經文젯메쌀 없이 기도를 드린다(祈而不糈),즉 제사에 쌀을 쓰지 않는다(即祠不以米之義);해석이 아직 자세하지 않음(思訓未詳)。」
4 곽박(郭璞)云:「여러 가지 빛이 섞인 닭을 말한다(言用雜色雞也)。」원가기록(珂案):이 사람 얼굴에 말의 몸을 한 열 명의 신들에게 제사를 지낼 때(此言祠此人面馬身之十輩神),제물은 여러 가지 빛이 섞인 한 마리 수탉을 사용하고(毛物但用一雜色雄雞),쌀은 사용하지 않는다(而不以米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