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차이경(南次二經) 번역

산해경/남산경 2018. 2. 28. 00:00

南次二經之首,曰柜山1,西臨流黃2,北望諸毗,東望長右3。

남차이경의 첫머리는, 구산이라 하는데, 서쪽으로 유황을 가까이 마주하고 있고, 북쪽으로 제비를 바라보고 있으며, 동쪽으로 장우를 바라보고 있다.


英水出焉,西南流注于赤水,其中多白玉,多丹粟4。

여기서 나오는 영수는, 서남쪽으로 흘러 적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백옥이 많고 단속이 많다.


有獸焉,其狀如豚,有距5,其音如狗吠,其名曰貍力6,見則其縣多土功。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새끼 돼지 같고, 닭의 며느리발톱이 있으며, 그 울음소리는 개가 짖는 것 같다, 그 이름을 이력이라 하는데, 만나면 그 고을에 토목공사가 많아진다.


有鳥焉,其狀如鴟而人手7,其音如痺8,其名曰鴸,其名自號也9,見則其縣多放士10。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사람 손이 달린 새매 같고, 그 울음소리는 비 같다, 그 이름을 주라 하는데, 울음소리 때문에 그 이름이 되었다, 만나면 그 고을에 방사가 많아진다. 


1 곽박(郭璞)云:「音구(矩)。」

2 원가기록(珂案):나라 이름이다(國名),즉 유황 풍씨(即流黃酆氏)、유황 신씨(流黃辛氏),見해내서경(海內西經)及해내경(海內經)。

3 곽박(郭璞)云:「제비와 장우(諸毗、長右),모두 산 이름이다(皆山名)。」원가기록(珂案):제비는 물 이름도 있다(諸毗亦水名),見後곽박(郭)注。毗音부와 이의 반절(符夷切),필원(畢沅)云。

4 곽박(郭璞)云:「가는 단사로 조 같다(細丹沙如粟也)。」

5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거는(距),닭의 뒷발톱(雞距也)。』」

6 원가기록(珂案):오임신(吳任臣)本有곽박(郭)注「이도라고도 쓴다(一作狸刀)」사자소학(四字),諸本모두 없다(俱無)。

7 곽박(郭璞)云:「그 다리가 사람 손 같다(其腳如人手)。」

8 곽박(郭璞)云:「모름(未詳)。」

9 원가기록(珂案):그 이름을 스스로 부르짖는다(自呼其名也);시경(詩):「산 새가 이름을 스스로 부르짖는다(山鳥自呼名)。」아래 나오는(下文)「기명자호(其鳴自呼)」、「기명자효(其鳴自詨)」등 모두 같은 뜻(等均此意)。

10원가기록(珂案):주의 신화 관련(關於鴸之神話),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一「환두국(讙頭國)」節注2及卷五「창오산(蒼梧山)」節注2。


東南四百五十里,曰長右之山1,無草木,多水。

동남쪽으로 사백 오십 리를 가면, 장우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물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禺而四耳,其名長右2,其音如吟3,見則郡縣大水4。

여기 있는 동물은, 그 모양이 네 개의 귀가 달린 원숭이 같고, 그 이름을 장우라 하고, 그 울음소리는 사람의 신음소리 같다, 만나면 마을에 물 난리가 난다


1 학의행(郝懿行)云:「광운(廣韻)引此經장우는 장설로 쓰여 있다(長右作長舌)。」

2 곽박(郭璞)云:「이 짐승이 산에서 발견되어(以山出此獸),그 이름이 되었다(因以名之)。」학의행(郝懿行)云:「광운(廣韻)引此經作장설(長舌)。」

3 곽박(郭璞)云:「사람이 신음하는 소리 같다(如人呻吟聲)。」

4 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군현(郡縣)앞에 기자가 있다(上有其字),맞다(是也)。


又東三百四十里曰堯光之山,其陽多玉,其陰多金1。

또 동쪽으로 삼백 사십 리를 가면, 요광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금이 많다.


有獸焉,其狀如人而彘鬣,穴居而冬蟄,其名曰猾褢2,其音如斲木3,見則縣有大繇4。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멧돼지 갈기가 난 사람 같고, 겨울에 겨울잠을 자기 때문에 동굴에 산다, 그 이름을 활회라 하는데, 그 울음소리는 나무를 베는 소리 같다, 만나면 마을에 큰 노역이 생긴다


1 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八一三引此經作극광산(克光之山),산의 남쪽에 쇠가 많다(其陰多鐵)。

2 곽박(郭璞)云:「활회(滑懷)兩音。」

3 곽박(郭璞)云:「사람이 나무를 베는 소리 같다(如人斫木聲)。」

4 곽박(郭璞)云:「강제 노역을 일컫는다(謂作役也)。혹은 마을에 재앙이 난다(或曰其縣是亂)。」원가기록(珂案):요와 난은 모양이 서로 비슷하여 잘못 바뀐 모양(繇、亂形近易訛)。


又東三百五十里,曰羽山1,其下多水,其上多雨,無草木,多蝮虫。

또 동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우산이라 하는데, 산 아래는 물이 많고, 산 위에는 비가 많이 내리며, 풀과 나무가 없고, 살무사가 많다.


1 곽박(郭璞)云:「현재 동해 축기현 서남쪽에 우산이 있다(今東海祝其縣西南有羽山),즉 곤이 죽은 곳이고(即鯀所殛處),그 마을 길이 서로 맞아 어울리지 않는다 주장한다(計其道里不相應),비와 비슷하다(似非也)。」원가기록(珂案):곤이 죽은 기산(鯀殛羽山)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三「곤이 기름진 토양를 훔쳤다(鯀竊息壤)」節注4。


又東三百七十里,曰瞿父之山,無草木,多金玉。

또 동쪽으로 삼백 칠십 리를 가면, 구보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又東四百里,曰句餘之山1,無草木,多金玉。

또 동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구여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1 곽박(郭璞)云:「현재 회계 여요현이 남쪽에 있고(今在會稽餘姚縣南),구장현이 북쪽에 있다(句章縣北),이 두 현 때문에 이 이름이 되었다(故此二縣因此為名云);見장씨(張氏) 지리지(地理志)。」


又東五百里,曰浮玉之山,北望具區1,東望諸毗2。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부옥산이라 하는데, 북쪽으로 구구을 바라보고, 동쪽으로 제비를 바라본다.


有獸焉,其狀如虎而牛尾,其音如吠犬,其名曰彘,是食人。

여기 있는 짐승은, 기 모양이 소 꼬리를 한 범 같고, 그 울음소리는 개가 짖는 것 같다, 그 이름을 체라 하는데, 이것은 사람을 잡아먹는다.


苕水出于其陰,北流注于具區。

산의 북쪽에서 나오는 초수는, 북쪽으로 흘러 구구로 들어간다.


其中多鮆魚3。

그 안에 자어가 많다.


1 곽박(郭璞)云:「구구는(具區),현재 오현 서남쪽 태호이다(今吳縣西南太湖也),상서에서는 진택을 일컫는다(尚書謂之震澤)。」

2 곽박(郭璞)云:「물 이름(水名)。」

3 곽박(郭璞)云:「제어는 얇고 긴데(鮆魚狹薄而長頭),큰놈은 일척 가까이 되고(大者尺餘),태호 안에 많이 산다(太湖中今饒之),일명 갈치라고 한다(一名刀魚)。」원가기록(珂案):鮆音자(咨)。


又東五百里,曰成山,四方而三壇1,其上多金玉,其下多青雘。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성산이라 하는데, 네모난 제단을 세 개 쌓은 모양이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질이 좋은 푸른 찰흙이 많다.


䦠2水出焉,而南流注于3虖勺4,其中多黃金5。

여기서 나오는 탁수는, 남쪽으로 흘러 호작으로 들어가고, 물안에 황금이 많다.


1 곽박(郭璞)云:「사람이 제단을 쌓아 포개 놓은 모양 같다(形如人築壇相累也);성역시 중일 뿐이다(成亦重耳)。」

2 곽박(郭璞)云:「音탁(涿)。」원가기록(珂案):장경(藏經)本시수(䦠水)作시수(𨴯水),왕념손(王念孫)校곽박(郭)注예전에 탁은 시 였다(昔涿作音豕),맞다(是也)。

3 곽박(郭璞)云:「서쪽으로 흘러 들어간다(一作流注于西)。」원가기록(珂案):是經文호작 앞에 서쪽이 있다(虖勺上有西字)。

4 곽박(郭璞)云:「虖音호(呼);작은 다로도 쓰여 있다(勺或作多),下同。」

5 곽박(郭璞)云:「현재 영창군에서 나오는 물은 금과 함께 곡식의 껍질이 나오고(今永昌郡水出金同糠),모래 안에 있다(在沙中)。시자(尸子)曰:『청수에서 황금과 옥영이 나온다(清水出黃金、玉英)。』」


又東五百里,曰會稽之山1,四方,其上多金玉,其下多砆石2。

또 동쪼으로 오백 리를 가면, 회계산이라 하는데, 네모나게 생겼다,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부석이 많다.


勺水出焉,而南流注于湨3。

여기서 나오는 작수는, 남쪽으로 흘러 결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현재 회계군 산음현 남쪽이고(今在會稽郡山陰縣南),산 위에 우임금 무덤과 우물이 있다(上有禹冢及井)。」

2 곽박(郭璞)云:「부는(砆),무부석이고(武夫石),옥과 비슷하다(似玉)。」원가기록(珂案):무부석(武夫石)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三「구구의 건목(九丘建木)」節注6。

3 원가기록(珂案):湨音결(決)。


又東五百里,曰夷山,無草木,多沙石,湨1水出焉,而南流注于列塗。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이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모래와 돌이 많으며, 여기서 나오는 격수는, 남쪽으로 흘러 열도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패라고도 쓴다(一作浿)。」


又東五百里,曰僕勾1之山,其上多金玉,其下多草木,無鳥獸,無水。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복구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풀과 나무가 많으며, 새와 짐승이 없고, 물도 없다.


1 곽박(郭璞)云:「석이라고도 쓴다(一作夕)。」학의행(郝懿行)云:「석은 다를 잘못 쓴 글자다(夕疑多字之訛)。」원가기록(珂案):구는 다를 잘못 쓴 글자(勾易訛為多字也)。


又東五百里,曰咸陰之山,無草木,無水。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함음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물도 없다.


又東四百里,曰洵山1,其陽多金,其陰多玉

또 동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순산이라고 하는데, 산의 남쪽에 금이 많고, 산의 북쪽에 옥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羊而無口,不可殺也2,其名曰䍺3。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입이 없는 양 같고, 죽이지 않으면 죽지 않는다, 그 이름을 환이라 한다.


洵水出焉,而南流注于閼4之澤,其中多芘蠃5。

여기서 나오는 순수는, 남쪽으로 흘러 알택으로 들어가고, 그 안에 자줏빛 소라가 많다.


1 곽박(郭璞)云:「순이라고도 쓴다(一作旬)。」

2 학의행(郝懿行)云:「죽일 수 없다(不可殺),죽일 수 없다(言不能死也);입이 없어 먹지 않는다(無口不食),눈으로만 산다(而自生活)。」

3 곽박(郭璞)云:「音환(還),或音환(患)。」

4 곽박(郭璞)云:「音알(遏)。」

5 곽박(郭璞)云:「자줏빛 소라다(紫色螺也)。」학의행(郝懿行)云:「곽박이 말한 자줏빛 소라는(郭云紫色螺),即知經文자는 자로 쓰여야 한다(芘當為茈),잘못된 글자(字之訛也)。자와 자는 옛날에 같을 글자로 통했다(古字通以茈為紫)。태평어람(御覽)引此經자는 자로도 쓰여 있다(芘作茈)。」원가기록(珂案):見태평어람(太平御覽)卷九四一。


又東四百里,曰虖勺之山,其上多梓柟1,其下多荊杞2。

또 동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호작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가래나무와 녹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가시나무와 구기자나무가 많다.


滂水3出焉,而東流注于海。

여기서 나오는 방수는, 동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재는(梓),산재다(山楸也);녹은(柟),큰 나무(大木),잎은 뽕나무와 비슷하다(葉似桑),현재 남으로 쓴다(今作楠),音남(南)。」

2 곽박(郭璞)云:「기는(杞),구기자다(苟杞也),열매가 붉다(子赤)。」

3 곽박(郭璞)云:「音방타의 타(滂沱之滂)。」


又東五百里,曰區吳之山,無草木,多沙石。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구오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모래와 자갈이 많다.


鹿水出焉,而南流注于滂水。

여기서 나오는 녹수는, 남쪽으로 흘러 방수로 들어간다.


又東五百里,曰鹿吳之山,上無草木,多金石。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녹오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돌이 많다.


澤更之水出焉,而南流注于滂水。

여기서 나오는 택경수는, 남쪽으로 흘러 방수로 들어간다.


水1有獸焉,名曰蠱雕2,其狀如雕而有角,其音如嬰兒之音,是食人。

여기 짐승은 물에 있는데, 이름을 고조라 하는데, 그 모양이 뿔이 있는 독수리 같고, 그 울음소리는 젖먹이 울음소리 같다, 이것은 사람을 잡아먹는다.


1 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校물은 덧붙인 글자(衍水字)。

2 곽박(郭璞)云:「고는 찬으로도 쓰여 있다(蠱或作纂)。」


東五百里,曰漆吳之山,無草木,多博石1,無玉。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칠오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박석이 많고, 옥이 없다.


處于2東海3,望丘山,其光載出載入4,是惟日次5。

바다 동쪽까지 이어지고, 언덕과 산을 바라보며, 그 빛이 나타났다 사라졌다 하는데, 이곳은 해가 머무는 곳이다.


1 곽박(郭璞)云:「박석이 토대가 될 수 있다(可以為博石)。」

2 하작(何焯)云:「처우 앞쪽에 빠진 글자가 있다(處于之上疑有脫文)。」

3 학의행(郝懿行)云:「동쪽 바다는(東海),바다 동쪽이라고도 쓰여 있다(一本作海東)。」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오관(吳寬) 초본(抄本)並作바다 동쪽(海東),즉 동자는바다 뒤로 와야한다(則東字宜屬下讀)。

4 곽박(郭璞)云:「신광이 숨었다 빛났다 하는 곳이다(神光之所潛燿)。」

5 곽박(郭璞)云:「이곳은 햇빛이 머물며 쉬는 곳이다(是日景之所次舍)。」


凡南次二經之首,自柜山至于漆吳之山,凡十七山,七千二百里。

무릇 남차이경의 첫머리인, 구산부터 칠오산까지, 모두 열일곱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칠천 이백 리에 이른다.


其神狀皆龍身而鳥首。

산의 신들 모양은 모두 용 머리에 새의 몸이다.


其祠:毛用一璧瘞,糈用稌1。

산의 제사는:사용하는 제물과 한 개의 벽옥을 함께 묻어 제사 지내고, 여물지 않은 벼를 젯메쌀로 쓴다


1 곽박(郭璞)云:「여물지 않는 벼다(稻穬也)。」학의행(郝懿行)云:「광자는 잘못 쓴듯 하다(穬字疑衍),혹은 경의 잘못 쓴 글자(或梗字之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