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차이경(北次二經) 번역

산해경/북산경 2018. 2. 28. 00:00

北次二經之首,在河之東1,其首枕汾2,其名曰管涔之山3。

북차이경의 첫머리는, 황하의 동쪽에 있으며, 그 첫머리가 분수의 상류와 가까이 마주하고 있고, 그 이름을 관잠산이라 한다.


其上無木而多草,其下多玉

산 위에 풀은 많으나 나무는 없고, 산 아래에 옥이 많다.


汾水出焉,而西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분수는, 서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왕숭경(王崇慶)云:「북차이경의 첫머리는(北次二經之首),뒤에 산자가 빠져 있다(下當遺山字)。」원가기록(珂案):왕숭경(王)의 생각이 맞다고 본다(所見甚是),만약 그렇지 않다면 말이 되지 않는다(否則不辭矣);여러 곳에서도 빠져 있다(諸家皆漏略)。그러므로 빠진 산자는(然所遺「산(山)」字),의수 앞에 있어야 하고(當在「의 첫머리之(首)」上),本作「북차이경의 첫머리는(北次二山之首)」,경문에 산자를 넣어 고쳐 써야 한다(迨改山字為經字),그래야만 말이 된다(始成此不辭之語)。여기 산해경의 경은 내용의 경이 확실하다(此亦為山海經之「경(經)」本當為「경력(經歷)」之「경(經)」確證之一也);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一篇首注1。

2 곽박(郭璞)云:「분수의 상류와 가까이 마주하고 있다(臨汾水上也);音분(墳)。」

3 곽박(郭璞)云:「涔音잠(岑)。」


又西1二百五十里,曰少陽之山,其上多玉,其下多赤銀2。

또 서쪽으로 이백 오십 리를 가면, 소양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붉은 은이 많다.


酸水出焉,而東流注于汾水,其中多美赭3。

여기서 나오는 산수는, 동쪽으로 흘러 분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부드러운 붉은 흙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서(西),송본(宋本)、오관(吳寬)초본(抄本)並북으로 쓰여 있다(作北),학의행(郝懿行)校장경(藏經)本역시 북으로 쓰여 있다(亦作北),여기도 북으로 쓰는게 맞다(作北是也)。

2 곽박(郭璞)云:「은의 종류(銀之精也)。」

3 곽박(郭璞)云:「관자(管子)曰:『산 위에 붉은 흙이 있고(山上有赭者),산 아래에 쇠가 있다(其下有鐵)。』」


又北五十里,曰縣雍之山,其上多玉,其下多銅,其獸多閭麋1,其鳥多白翟白䳑2。

또 북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현옹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구리가 많다, 산에 짐승은 염소와 사불상이 많고, 산에 새는 백적과 백유가 많다.


晉水出焉,而東南流注于汾水。

여기서 나오는 진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분수로 들어간다.


其中多鮆魚,其狀如儵而赤麟3,其音如叱,食之不驕4。

그 안에 제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비늘이 붉은 피라미 같다, 그 울음소리는 혀를 차는 소리 같고, 먹으면 겨드랑이에서 냄새가 안 난다.


1 곽박(郭璞)云:「려는 유다(閭即羭也),굽이 갈라진 당나귀와 비슷하다(似驢而岐蹏),뿔은 영양 같고(角如麢羊),산 나귀라고도 한다(一名山驢)。주서(周書)曰:『북당이려(北唐以閭)。』」

2 곽박(郭璞)云:「즉 백탁(即白鵫也);音어와 육의 반절(于六反)。」원가기록(珂案):백탁은 즉 백한(白鵫即白翰),已見上文서산경(西山經)파총산(嶓冢之山)。

3 곽박(郭璞)云:「작은 물고기를 숙이라 한다(小魚曰儵)。」원가기록(珂案):經文숙(儵),송본(宋本)作조(鯈),숙과 조는 같은 뜻(儵、鯈字通)。經文린(麟),송본(宋本)、왕불(汪紱)本、필원(畢沅)校本、백자전서(百子全書)本並作린(鱗),린과 린은 같은 발음이다(麟、鱗聲同)。

4 곽박(郭璞)云:「혹은 소라 쓰여 있다(或作騷),수컷의 구린내(騷臭也)。」학의행(郝懿行)云:「소취는 온저의 병이고(騷臭蓋即蘊羝之疾),호소라고도 한다(俗名狐騷也)。」원가기록(珂案):經文그 울음 소리는 혀를 차는 소리는(其音如叱),송본(宋本)、하작(何焯)校책의 질은 타로 쓰여 있다(本叱作吒)。


又北二百里,曰狐岐之山,無草木,多青碧。

또 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호기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청벽이 많다.


勝水出焉,而東北流注于汾水,其中多蒼玉。

여기서 나오는 승수는, 동북쪽으로 흘러 분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창옥이 많다.


又北三百五十里,曰白沙山,廣員三百里,盡沙也,無草木鳥獸。

또 북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백사산이라 하는데, 둘레가 삼백 리에, 모두 모래이며, 풀과 나무와 새와 짐승이 없다.


鮪水出于其上,潛于其下1,是多白玉。

산 꼭대기에서 유수가 나오나, 산 바닥에서 사라진다, 이곳에 백옥이 많다.


1 곽박(郭璞)云:「산의 꼭대기에서 나온다(出山之頂),그 바닥에서 멎는다(停其底也)。」


又北四百里,曰爾是之山,無草木,無水。

또 북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이시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물이 없다.


又北三百八十里,曰狂山,無草木。

또 북쪽으로 삼백 팔십 리를 가면, 광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다.


是山也,冬夏有雪。

이 산은, 사시사철 눈이 있다.


狂水出焉,而西流注于浮水,其中多美玉。

여기서 나오는 광수는, 서쪽으로 흘러 부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아름다운 옥이 많다.


又北三百八十里,曰諸餘之山,其上多銅玉,其下多松柏。

또 북쪽으로 삼백 팔십 리를 가면, 제여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구리와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다.


諸餘之水出焉,而東流注于旄水。

여기서 나오는 제여수는, 동쪽으로 흘러 모수로 들어간다.


又北三百五十里,曰敦頭之山,其上多金玉,無草木。

또 북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돈두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풀과 나무가 없다.


旄水出焉,而東流注于印澤1,其中多𩣡馬2,牛尾而白身,一角,其音如呼。

여기서 나오는 모수는, 동쪽으로 흘러 인택으로 들어가고, 그 안에 발마가 많은데, 몸은 희고 꼬리는 소에, 뿔은 하나다, 그 울음소리는 부르짖는 소리 같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인택(印澤),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並校공택(邛澤),即下文북효산(北囂山)공택(邛澤)也。왕불(汪紱)本、필원(畢沅)校本역시 모두 공택으로 쓰여 있다(亦俱作邛澤)。

2 곽박(郭璞)云:「音발(勃)。」


又北三百五十里,曰鉤吾之山,其上多玉,其下多銅。

또 북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구오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구리가 많다.


有獸焉,其狀如羊身人面,其目在腋下1,虎齒人爪,其音如嬰兒,名曰狍鴞,是食人2。

여기 짐승은, 그 모양이 몸은 양이고 얼굴은 사람 같은데, 그 눈은 겨드랑이 아래에 달렸고, 범 이빨에 사람 손톱이며, 그 울음소리는 젖먹이 같다, 이름을 포효라 하는데, 이것은 사람을 먹는다.


1 원가기록(珂案):문선(文選)원소는 진림에게 예주를 토벌하라는 격문을 쓰게 하였다(진림(陳琳)為원소(袁紹)토벌(討)예주(豫州)격문(檄))注引이 경문에 그 모양이 같다는 세글자는 없는 글자다(此經無其狀如三字),그 눈은 그 입으로 쓰여야 한다(其目作其口);학의행(郝懿行)校장경(藏經)本역시 같다는 없는 글자(亦無如字),같다는 글자는 덧붙인 글자로 의심(如字疑衍)。

2 곽박(郭璞)云:「재물이나 음식에 욕심을 내며(為物貪惏),사람을 먹다 충분하지 못하면(食人未盡),자신의 몸을 해친다(還害其身),하나라 시대 솥에 모양이 있으며(像在夏鼎),춘추좌씨전에서는 도철이 맞다고 일컫는다(左傳所謂饕餮是也)。狍音포(咆)。」원가기록(珂案):포효관련(關於狍鴞),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송산(宋山) 풍목(楓木)」節注2。


又北三百里,曰北囂之山,無石,其陽多碧,其陰多玉。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북효산이라 하는데, 돌이 없고, 산의 남쪽에 벽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옥이 많다.


有獸焉,其狀如虎,而白身犬首,馬尾彘鬣,名曰獨𤞞1。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범 같고, 흰 몸에 개의 머리를 하고 있으며, 말 꼬리에 멧돼지 갈기가 있다, 이름을 독곡이라 한다.


有鳥焉,其狀如烏,人面,名曰𪄀𪃑2,宵飛而晝伏3,食之已暍4。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까마귀 같은데, 사람 얼굴이다, 이름을 반모라 한다, 낮에는 엎드려 있고 밤에는 날아 다니며, 먹으면 더위를 먹어서 생기는 병이 낫는다.


涔水出焉,而東流注于邛澤5。

여기서 나오는 잠수는, 동쪽으로 흘러 공택으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音곡(谷)。」

2 곽박(郭璞)云:「반모(般冒)兩音;혹은 하라 쓰여 있다(或作夏也)。」학의행(郝懿行)云:「하는 가와 비슷하다(夏形聲近賈),대황남경(大荒南經)매와 메까마귀가 있다(有鷹賈),곽박(郭)注云가 역시 매의 종류(賈亦鷹屬);수경(水經)注引장자(莊子)아가가 있다(有雅賈),모두 까마귀 종류다(蓋是烏類),經言이 새의 모습은 까마귀 같고(此鳥狀如烏),의심 된다(疑是也)。」

3 곽박(郭璞)云:「부엉이 종류(鵂鶹之屬)。」

4 곽박(郭璞)云:「더위먹다(中熱也);音알(謁)。」왕불(汪紱)云:「현재 부엉이 역시 체열과 두풍을 치료할 수 있다(今鵂鶹亦可治熱及頭風)。」

5 원가기록(珂案):即上文돈두산(敦頭之山)인택(印澤);공과 이 두 글자는 잘못 쓴 글자로 알 수 있다(以知邛、印二字之易訛也),則대황서경(大荒西經)「려공에게 땅을 아래로 내리라 명하다(黎邛下地)」를 바꾸다(之為)「려인에게 땅을 아래로 내리라 명하다(黎印下地)」,그러므로 이것이 하나의 증거가 된다(于此又得一證矣);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一「일월산(日月山)」節注7。


又北三百五十里,曰梁渠之山,無草木,多金玉。

또 북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양거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脩水出焉,而東流注于鴈門1,其獸多居暨,其狀如彙而赤毛2,其音如豚。

여기서 나오는 수수는, 동쪽으로 흘러 안문수로 들어가고, 산에 짐승은 거기가 많은데, 그 모양이 털이 붉은 고슴도치 같으며, 그 울음소리는 새끼돼지 같다.


有鳥焉,其狀如夸父3,四翼、一目、犬尾,名曰囂,其音如鵲,食之已腹痛,可以止衕4。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과보 같고, 네 개의 날개와 한 개의 눈과 개의 꼬리가 있으며, 이름을 효라 한다, 그 울음소리는 까치 같고, 먹으면 배를 앓는 병이 낫으며, 이것을 기르면 설사를 멈추게 할 수 있다.


1 곽박(郭璞)云:「물 이름(水名)。」

2 곽박(郭璞)云:「위는(彙),쥐와 비슷하고(似鼠),(붉은(赤))털은 가시 같고(毛如刺)(고슴도치(蝟))也;彙音위(渭)。」

3 곽박(郭璞)云:「혹은 거보라 쓰여 있다(或作舉父)。」원가기록(珂案):거보(舉父)已見上文서차삼경(西次三經)숭오산(崇吾之山)。

4 곽박(郭璞)云:「설사를 치료한다(治洞下也);音동(洞)。」


又北四百里,曰姑灌之山,無草木,是山也,冬夏有雪。

또 북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고관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으며, 이 산은, 사시사철 눈이 있다.


又北三百八十里,曰湖灌之山,其陽多玉,其陰多碧,多馬。

또 북쪽으로 삼백 팔십 리를 가면, 호관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벽옥이 많고, 말이 많다.


湖灌之水出焉,而東流注于海,其中多䱇1。

여기서 나오는 호관수는, 동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고, 물안에 드렁허리가 많다.


有木焉,其葉如柳而赤理。

여기 있는 나무는, 그 붉은 나무결에 잎은 버드나무 같다.


1 곽박(郭璞)云:「역시 선어다(亦鱓魚字)。」


又北水行五百里,流沙三百里,至于洹山,其上多金玉。

또 북쪽으로 물을 따라 오백 리를 가다, 사막을 따라 삼백 리를 가면, 원산에 이른다, 산 위는 금과 옥이 많다.


三桑生之,其樹皆無枝,其高百仞1。

세 그루의 뽕나무가 자라는데, 세 나무 모두 나뭇가지가 없고, 나무의 높이가 백 길에 이른다.


百果樹生之。

온갖 과일이 나무에 열린다.


其下多怪蛇。

산 아래에 괴상한 뱀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세 그루 뽕나무 관련(關於三桑),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三「삼상무지(三桑無枝)」節注1。


又北三百里,曰敦題之山,無草木,多金玉。

또 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돈제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是錞1于北海。

이 산은 북쪽 바다까지 이어져 있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순의 의미는(錞之義),已見上文서산경(西山經)외산(騩山)곽박(郭)注,곽박(郭)云순은 제방이다(錞猶隄埻也);학의행(郝懿行)云,모두 제방의 의미(蓋埤障之義)。왕불(汪紱)풀이(釋)순은 준자를 빌려 발음한다(錞為蹲字假音),그것이 부합하다(尤洽)。


凡北次二經之首,自管涔之山至于敦題之山,凡十七山,五千六百九十里。

무릇 북차이경의 첫머리인, 관잠산에서 돈제산까지, 모두 열일곱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오천 육백 구십 리에 이른다.


其神皆蛇身人面。

산의 신은 모두 뱀의 몸에 사람 얼굴이다.


其祠:毛用一雄雞彘瘞1;

산의 제사:제물로 사용한 한 마리 수탉과 멧돼지를 함께 묻어 제사를 지낸다.


用一璧一珪,投而不糈2。

사용한 벽옥 한 개와 서옥 한 개는, 젯메쌀 대신 던진다.


1 곽박(郭璞)云:「묻는다(薶之)。」원가기록(珂案):매와 매는 같다(薶同埋),송본(宋本)매로 쓰여 있다(作埋);제물로 사용한 한 마리 수탉과 한 마리 멧되지를 묻는 것을 일컫는다(謂毛物用一雄雞與一彘埋之也)。

2 곽박(郭璞)云:「산속에서 옥을 던지는 것은 신에 대한 예의(擿玉於山中以禮神),묻지 않는다(不薶之也)。」원가기록(珂案):젯메쌀 없이는(不糈),쌀을 쓰지 않고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不以精米祠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