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산경(東山經) 번역

산해경/동산경 2018. 2. 28. 00:00

東山經之首,曰樕𧑤1之山,北臨乾昧2。

동산경의 첫머리는, 속주산이라 하는데, 북쪽으로 건매산과 가까이 마주하고 있다.


食水出焉,而東北流注于海。

여기서 나오는 식수는, 동북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其中多鱅鱅之魚,其狀如犁牛3,其音如彘鳴4。

물안에 용용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얼룩소 같고, 그 울음소리는 멧돼지가 우는 것 같다.


1 곽박(郭璞)云:「속주(速株)二音。」

2 곽박(郭璞)云:「역시 산 이름(亦山名也);音매(妹)。」

3 곽박(郭璞)云:「牛似虎文者。」

4 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九三九引此經止기음여체라 쓰여 있는데(作其音如彘),명은 없는 글자다(無鳴字),맞다(是也)。


又南三百里,曰藟1山,其上有玉,其下有金。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뇌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있고, 산 아래에 금이 있다.


湖水出焉,東流注于食水,其中多活師2。

여기서 나오는 호수는, 동쪽으로 흘러 식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활사가 많다.


1 곽박(郭璞)云:「音뢰(誄)。」

2 곽박(郭璞)云:「과두(科斗也) 올챙이,이아(爾雅)활동이라고도 일컫는다(謂之活東)。」


又南三百里,曰栒狀之山,其上多金玉,其下多青碧石。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순상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청벽과 돌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犬,六足,其名曰從從,其鳴自詨。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개 같고, 발이 여섯 개이며, 그 이름을 종종이라 한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有鳥焉,其狀如雞而鼠毛1,其名曰䖪2鼠,見則其邑大旱。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쥐의 털이 난 닭 같고, 그 이름을 자서라 하며, 만나면 그 마을에 큰 가뭄이 든다.


𣲵3水出焉,而北流注于湖水。

여기서 나오는 지수는, 북쪽으로 흘러 호수로 들어간다.


其中多箴魚,其狀如儵4,其喙如箴5,食之無疫疾。

물안에 잠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피라미 같고, 그 주둥이가 바늘 같으며, 먹으면 돌림병이 없어진다.


1 학의행(郝懿行)云:「모는(毛),설문해자(說文)꼬리라 쓰여 있다(作尾)。」

2 곽박(郭璞)云:「音자(咨)。」

3 곽박(郭璞)云:「音지(枳)。」

4 학의행(郝懿行)云:「숙은 즉 조다(儵即鯈字)。」

5 곽박(郭璞)云:「동해로 나간다(出東海);현재 강동의 물안에도 있다(今江東水中亦有之)。」


又南三百里,曰勃亝1之山,無草木,無水。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발제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물이 없다.


1 왕불(汪紱)云:「제는(亝),제의 옛 글자(古齊字)。」


又南三百里,曰番條之山,無草木,多沙。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번조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모래가 많다.


減水1出焉,北流注于海,其中多魚2。

여기서 나오는 감수는, 북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고, 물안에 자가사리가 많다.


1 곽박(郭璞)云:「音同감손의 감(減損之減)。」학의행(郝懿行)云:「감은 즉 감속의 글자(減即減損之字),감이라 쓰게 된 이유는(何須用音),경문에 감이라 쓰여 있다 알려졌만(知經文必不作減),어느 글자가 잘못된 것인지 확실하지 않다(未審何字之訛)。」

2 곽박(郭璞)云:「황협이라고도 한다(一名黃頰);音감(感)。」


又南四百里,曰姑兒之山,其上多漆,其下多桑柘。

또 남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고아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옻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뽕나무와 산뽕나무가 많다.


姑兒之水出焉,北流注于海,其中多鱤魚。

여기서 나오는 고아수는, 북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고, 물안에 자가사리가 많다.


又南四百里,曰高氏之山,其上多玉,其下多箴石1。

또 남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고씨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잠석이 많다.


諸繩之水出焉,東流注于澤,其中多金玉。

여기서 나오는 제승수는, 동쪽으로 흘러 못으로 들어가고, 물안에 금과 옥이 많다.


1 곽박(郭璞)云:「이것을 갈아 돌침을 만들 수 있다(可以為砥(폄(砭)))악창과 종기를 침술로 치료한다(針治癰腫者)。」


又南三百里,曰嶽山,其上多桑,其下多樗。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악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뽕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가죽나무가 많다.


濼1水出焉,東流注于澤,其中多金玉。

여기서 나오는 낙수는, 동쪽으로 흘러 못으로 들어가고, 물안에 금과 옥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濼音락(落)。


又南三百里,曰山1,其上無草木,其下多水,其中多堪㐨2之魚。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시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풀과 나무가 없고, 산 아래에 물이 많고, 물안에 감서어가 많다.


有獸焉,其狀如夸父而彘毛,其音如呼,見則天下大水。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멧돼지 털이 난 과보 같고, 그 울음소리는 호통 같으며, 만나면 온 세상에 홍수가 난다.


1 학의행(郝懿行)云:「시는 즉 시가 잘못하여 딴 글자로 된 글자(即豺別字)。」

2 곽박(郭璞)云:「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音서(序)。」


又南三百里,曰獨山,其上多金玉,其下多美石。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독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미석이 많다.


末塗之水出焉,而東南流注于沔,其中多䖺䗤1,其狀如黃蛇,魚翼,出入有光,見則其邑大旱。

여기서 나오는 말도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면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조용이 많은데, 그 모양이 누런 뱀 같고, 물고기 지느러미가 있으며, 드나들 때 빛이 난다, 만나면 그 마을에 큰 가뭄이 든다.


1 곽박(郭璞)云:「조용(條容)二音。」


又南三百里,曰泰山1,其上多玉2,其下多金。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태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금이 많다.


有獸焉,其狀如豚而有珠,名曰狪狪3,其鳴自訆。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구슬을 지닌 새끼돼지 같고, 이름을 통통이라 한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訆).


環水出焉,東流注于江4,其中多水玉。

여기서 나오는 환수는, 동쪽으로 흘러 장강으로 들어가고, 물안에 수정이 많다.


1 곽박(郭璞)云:「즉 동악 대종이다(即東嶽岱宗也)。현재 태산 봉고현 서북쪽에 있다(今在泰山奉高縣西北),산의 아래에서 꼭대기까지 사십 팔 리에 이르고 삼백 보다(從山下至頂四十八里三百步也)。」원가기록(珂案):태산은 현재 산동성 태안현 북쪽에 있다(泰山在今山東省泰安縣北)。

2 원가기록(珂案):사기(史記)진시황(秦始皇)본기(本紀)정의(正義)引此經옥은 돌로 쓰여 있다(玉作石)。

3 원가기록(珂案):狪音통(通)。

4 곽박(郭璞)云:「바다라 쓰기도 한다(一作海)。」


又南三百里,曰竹山,錞于江1,無草木,多瑤碧。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죽산이라 하는데, 장강까지 이어져 있고, 풀과 나무가 없으며, 요벽이 많다.


激水出焉,而東南流注于娶檀之水,其中多茈羸2。

여기서 나오는 격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취단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자리가 많다.


1 곽박(郭璞)云:「애라 쓰기도 한다(一作涯)。」

2 학의행(郝懿行)云:「리는 라로 바꾸어야 한다(羸當為蠃),잘못된 글자(字之訛);자라는(茈蠃),자주색 소라다(紫色蠃也)。」원가기록(珂案):오임신(吳任臣)、하작(何焯)、필원(畢沅)校同;왕불(汪紱)本正作라(蠃)。


凡東山經之首,自樕𧑤之山以至于竹山,凡十二山,三千六百里。

무릇 동산경의 첫머리인, 속주산부터 죽산까지, 모두 스물 두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삼천 육백 리에 이른다.


其神狀皆人身龍首。

산의 신들 모양은 모두 몸은 인간에 머리는 용이다.


祠:毛用一犬祈,䎶用魚1。

제사는:제물은 한 마리의 개를 사용해 산제사를 지내고, 물고기의 피를 바르고 제사를 지낸다.


1 곽박(郭璞)云:「제물을 바치기 위해 피를 바르고 제사를 지낸다(以血塗祭為䎶也)。공양전(公羊傳)云:『제물의 코를 꿰어 끌어 당겨 제사를 지낸다(蓋叩其鼻以䎶社)。』音조이의 이(釣餌之餌)。」원가기록(珂案):경문과 주서의 이는(經文及注文之䎶),왕불(汪紱)本、필원(畢沅)本均作이(衈),학의행(郝懿行)亦校作이(衈),이는 피를 바르는 것을 일컫는다(謂衈者釁也),먼저 귀 옆의 털을 잘라 바치고 제물를 찌르고 베어 피를 바른다(將刲割牲以釁、先滅耳旁毛薦之);又謂곽박(郭)引공양전(公羊傳)乃공량전(穀梁傳) 잘못됨(之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