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경(西山經) 번역

산해경/서산경 2018. 2. 28. 00:00

西山經華山之首,曰錢來之山,其上多松,其下多洗石1。

서산경 화산 산맥의 첫머리는, 전래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소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세석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羊而馬尾,名曰羬羊2,其脂可以已腊3。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말 꼬리를 한 양 같고, 이름을 함양이라 한다, 그 기름은 피부가 트는 병을 낫게 한다.


1 곽박(郭璞)云:「목욕 할 때 때를 밀 수 있다(澡洗可以磢體去垢圿)。창(磢),초와 양의 반절(初兩反)。」학의행(郝懿行)云:「창은 창으로 쓰여야 한다(磢當為㼽);설문해자(說文)云,더러운 기와와 돌을 닦는다(磋瓦石)。」

2 곽박(郭璞)云:「현재 대월저국에 큰 양이 있는데 말 꼬리를 한 나귀같다(今大月氐國有大羊如驢而馬尾);이아(爾雅)云,육 척 양을 함이라 한다(羊六尺為羬),이 양을 일컫는다(謂此羊也)。」원가기록(珂案):羬音함(咸)。곽박(郭)注월저국 큰 양 즉 큰 꼬리 양이다(月氐國大羊即大尾羊),꼬리를 먹을 수 있고(尾可供食),시육의 종류이다(蓋視肉之類也);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一「적산(狄山)」節注7。

3 곽박(郭璞)云:「피부가 튼 것을 치료한다(治體皴);腊音석(昔)。」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석은(昔),마른 살(乾肉也),석을 말한다(籀文作腊)。』이 석은 준과 석의 변한 글자(此借為皴腊之字)。현재 사람에게 양 기름을 바르면 튼 피부에 효과가 있다(今人以羊脂療皴有驗)。」


西四十五里,曰松果之山。

서쪽으로 사십 오 리를 가면, 송과산이라 한다.


濩水1出焉,北流注于渭,其中多銅。

여기서 나오는 호수는, 북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가고, 그 안에 구리가 많다.


有鳥焉,其名曰䳋渠2,其狀如山雞,黑身赤足,可以已𦢊3。

여기 있는 새는, 그 이름을 동거라 하는데, 그 모양이 산 닭 같고, 검은 몸에 붉은 발이다, 이것을 기르면 피부가 트고 붓는 병을 낫게 한다.


1 학의행(郝懿行)云:「수경(水經)注作관수(灌水)。」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필원(畢沅)并校改作관(灌)。

2 곽박(郭璞)云:「동은(䳋),音동궁의 동(彤弓之彤)。」

3 곽박(郭璞)云:「피부가 트고 붓는 것을 일컫는다(謂皮皴起也)。」원가기록(珂案):𦢊音폭(暴)。


又西六十里,曰太華之山1,削成而四方,其高五千仞2,其廣十里,鳥獸莫居。

또 서쪽으로 육십 리를 가면, 태화산이라 하는데, 네모나게 깍은 모양에, 그 높이는 오천 길에 이고, 그 넓이는 십리에 이른다, 새와 짐승이 살지 않는다.


有蛇焉,名曰肥𧔥3,六足四翼,見則天下大旱4。

여기 있는 뱀은, 이름을 비유라 하는데, 발이 여섯 개에 날개가 네 개다, 만나면 온 세상에 큰 가뭄이 든다.


1 원가기록(珂案):즉 서악 화산(即西岳華山),현재 섬서성 화음현 서남쪽에 있다(在今陝西省華陰縣西南)。

2 곽박(郭璞)云:「한 길은(仞),팔 척이다(八尺也)。산 위에 명성옥녀가 있고(上有明星玉女),옥 즙을 손에 쥐고(持玉漿),복용하면 하늘에 오른다(得上服之),즉 신선이다(即成仙)。길이 험하고 외져 지나기 힘들다(道險僻不通)。시함신무(詩含神霧)云。」학의행(郝懿行)云:「명성옥녀는(明星玉女),화산의 봉우리 이름이다(華山名也)。」

3 학의행(郝懿行)云:「유는 유가 되어야 한다(𧔥當為遺);유소(劉昭)注군국지(郡國志)及예문유취(藝文類聚)九十六卷并引此經作비유로 쓰여 있다(肥遺)。」

4 곽박(郭璞)云:「양시에 이 뱀은 양산 아래에서 보인다(湯時此蛇見於陽山下)。또 비유뱀이 있다(復有肥遺蛇),이것은 이름이 같다고 의심된다(疑是同名)。」원가기록(珂案):곽박(郭云)「또 비유뱀이 있다(復有肥遺蛇)」,見북차삼경(北次三經)혼석산과 팽비산(渾夕山、彭毗山)。또 비유조는(又有肥遺鳥),見此經下文영산(英山)。


又西八十里,曰小華之山1,其木多荊杞,其獸多㸲牛2,其陰多磬石3,其陽多㻬琈之玉4,鳥多赤鷩5,可以禦火,其草有萆荔6,狀如烏韭,而生于石上,亦緣木而生,食之已心痛。

또 서쪽으로 팔십 리를 가면, 소화산이라 하는데, 산 나무는 가시나무와 구기자나무가 많고, 산에 짐승은 작우가 많다, 산의 북쪽에 경석이 많고, 산의 남쪽에 서부옥이 많다, 새는 적별이 많고, 이것을 기르면 화재를 막을 수 있다, 산에 있는 풀 비려는, 모양이 맥문동 같고, 돌 위에 나기도 하고, 또 나무에 기생하여 살기도 한다, 먹으면 가슴 아픈 것이 멈춘다.


1 곽박(郭璞)云:「즉 소화산(即少華山)。」

2 곽박(郭璞)云:「현재 화음산 안에 산 소와 산 양이 많은데(今華陰山中多山牛山羊),무게가 모두 천 근이고( 肉皆千斤),소 즉 작우다(牛即此牛也);音작(昨)。」

3 곽박(郭璞)云:「이것으로 경쇠를 만들 수 있다(可以為樂石)。」

4 원가기록(珂案):서부는(㻬琈),音서부(嶼浮),옥 이름(玉名),형태(形態)모름(未詳),산경에 많이 기록됨(山經中多記有之),이것이 그 중 하나다(此其一也)。

5 곽박(郭璞)云:「적별은(赤鷩),꿩의 종류(山雞之屬);音별(鱉)。」

6 원가기록(珂案):비려는(萆荔),향기나는 풀(香草),초사(楚辭)이소(離騷)作폐려(薜荔),音폐려(蔽戾)。


又西八十里,曰符禺之山,其陽多銅,其陰多鐵。

또 서쪽으로 팔십 리를 가면, 부우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구리가 많고, 산의 북쪽에 철이 많다.


其上有木焉,名曰文莖,其實如棗,可以已聾。

산 위에 있는 나무는, 이름을 문경이라 하는데, 그 열매는 대추 같고, 이것은 귀먹은 것을 낫게 한다.


其草多條,其狀如葵,而赤華黃實,如嬰兒舌,食之使人不惑。

산의 풀은 조가 많은데, 그 모양이 해바라기 같고, 붉은 꽃에 누런 열매가 열린다, 열매는 젖먹이 혀 같이 생겼고, 먹으면 다른 사람에게 미혹되지 않는다.


符禺之水出焉,而北流注于渭。

여기서 나오는 부우수는, 북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간다.


其獸多蔥聾,其狀如羊而赤鬣1。

산에 짐슴은 총롱이 많은데, 그 모양이 붉은 갈기가 달린 양 같다.


其鳥多鴖2,其狀如翠3而赤喙,可以禦火4。

산에 새는 민이 많은데, 그 모양이 붉은 부리를 한 물총새 같고, 이것을 기르면 화재를 막을 수 있다.


1 학의행(郝懿行)云:「이것은 즉 야양의 하나로(此即野羊之一種),현재 하양이나 적별이다(今夏羊亦有赤鬣者)。」

2 곽박(郭璞)云:「音민(旻)也。」학의행(郝懿行)云:「민은 민으로 쓰여야 한다(鴖當為𪂆);태평어람(御覽)引此正作민(𪂆)。설문해자(說文)云:『민은(𪂆),새다(鳥也)。』광운(廣韻)云:『민조는 붉은 부리의 물총새와 비슷하다(𪂆鳥似翠而赤喙)。』」

3 곽박(郭璞)云:「물총새는 감색 제비와 비슷하다(翠似燕而紺色也)。」

4 곽박(郭璞)云:「기르면 화재를 막는다(畜之辟火災也)。」


又西六十里,曰石脆1之山,其木多棕柟,其草多條,其狀如韭,而白華黑實2,食之已疥。

또 서쪽으로 육십 리를 가면, 석취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종려나무와 녹나무가 많고, 산에 풀은 조가 많은데, 그 모양이 부추 같고, 흰 꽃에 검은 열매가 열린다, 먹으면 옴이 낫는다.


其陽多㻬琈之玉,其陰多銅。

산의 남쪽에 서부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구리가 많다.


灌水出焉,而北流注于禺水。

여기서 나오는 관수는, 북쪽으로 흘러 우수로 들어간다.


其中有流赭3,以塗牛馬無病4。

그 안에 붉은 흙이 흐르고 있고, 이것을 소와 말에 바르 병이 없다.


1 원가기록(珂案):취는(脆),왕념손(王念孫)、필원(畢沅)、학의행(郝懿行)並校作취([月色])。

2 원가기록(珂案):부우산에 나온 조초과 이름은 같으나 모양이 다르다(條草與上文同名異狀)。

3 곽박(郭璞)云:「자는(赭),붉은 흙(赤土)。」

4 곽박(郭璞)云:「현대인은 소 뿔에 붉게 바르므로써(今人亦以朱塗牛角),악기를 막는다고 했다(云以辟惡)。말 혹은 뿔이다(馬或作角)。」


又西七十里,曰英山,其上多杻橿1,其陰多鐵,其陽多赤金。

또 서쪽으로 칠십 리를 가면, 영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유목고가 강목이 많고, 산의 북쪽에 철이 많으며, 산의 남쪽에 적금이 많다.


禺水出焉,北流注于招水2,其中多䰷魚3,其狀如鱉,其音如羊。

여기서 나오는 우수는, 북쪽으로 흘러 소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방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자라 같고, 그 울음소리는 양 같다.


其陽多箭䉋4,其獸多㸲牛、羬羊。

산의 남쪽에 이대와 미죽이 많고, 산에 짐승은 작우와 함양이 많다.


有鳥焉,其狀如鶉,黃身而赤喙,其名曰肥遺,食之已癘5,可以殺蟲。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메추라기 같고, 붉은 부리에 누러 몸이다, 그 새 이름을 비유라 하는데, 먹으면 돌림병이 낫고, 이것을 기르면 해충을 잡아 죽인다.


1 곽박(郭璞)云:「유목은 잎이 가는 산앵두나무와 비슷하다(杻似棣而細葉),토강이라고도 한다(一名土橿),音유(紐);강은(橿),수레의 재료가 되는 나무(木中車材),音강(姜)。」

2 곽박(郭璞)云:「音소(韶)。」

3 곽박(郭璞)云:「音同방합의 방(蚌蛤之蚌)。」

4 곽박(郭璞)云:「현재 한중군에서 미죽이 나온다(今漢中郡出䉋竹),마디가 길고 속이 두껍다(厚裏而長節),뿌리가 깊어(根深),겨울에도 땅에서 죽순이 나온다(筍冬生地中),사람이 파내서 먹기도 한다(人掘取食之)。䉋音미(媚)。」

5 곽박(郭璞)云:「려는(癘),역병이다(疫病也);혹은 악창이라고도 한다(或曰惡創)。」실명(失名)云:「一音뢰(賴)。」


又西五十二里,曰竹山,其上多喬木,其陰多鐵。

또 서쪽으로 오십 이 리를 가면, 산 위에 교목이 많고, 산의 북쪽에 철이 많다.


有草焉,其名曰黃雚,其狀如樗,其葉如麻,白華而赤實,其狀如赭1,浴之已疥,又可以已胕2。

여긱서 나오는 풀은, 그 이름을 황관이라 하는데, 그 모양이 가죽나무 같고, 그 잎은 마 같으며, 붉은 열매가 열리고 흰 꽃이 핀다, 그 열매 모양이 붉은 자주색인데, 이것으로 몸을 씻으면 옴이 낫고, 또 살갗의 종기가 낫는다.


竹水出焉,北流注于渭,其陽多竹箭3,多蒼玉。

여기서 나오는 죽수는, 북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가고, 강의 북쪽에 대나무와 조릿대가 많고, 창옥이 많다.


丹水出焉,東南流注于洛水,其中多水玉,多人魚4。

여긱서 나오는 단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수옥이 많고, 인어가 많다.


有獸焉,其狀如豚而白毛5,大如笄6而黑端7,名曰豪彘8。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흰 털이 난 새끼 돼지 같고, 털의 크기는 끝이 검은 비녀 같고, 이름을 호체라 한다.


1 곽박(郭璞)云:「자적색(紫赤色)。」

2 곽박(郭璞)云:「살갗의 종기를 치료한다(治胕腫也);音부(符)。」

3 곽박(郭璞)云:「전은(箭),조릿대(篠也)。」원가기록(珂案):조릿대는(篠),작은 대나무다(小竹也),見설문해자(說文)。

4 곽박(郭璞)云:「다리가 네 개인 큰 잉어 같다(如䱱魚四腳)。」원가기록(珂案):인어에 관한 것은(關於人魚),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七「능어(陵魚)」節注1。

5 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俱校모 다음에 부유모 글자가 있다(毛下復有毛字),다음 글자들도 읽는게(屬下讀),맞다(是也)。

6 곽박(郭璞)云:「계는(笄),비녀의 종류(簪屬)。」

7 원가기록(珂案):문선(文選)장양부(長楊賦)이선(李善)注引此經흑단(黑端)뒤에(下有)털을 쏜다는(以毛射物)네 글자가 있다(四字),현재 책에는 빠진 걸로 의심(疑今本脫去之)。

8 원가기록(珂案):즉 호저다(即豪豬),보통 산미치광이라고도 부른다(俗稱箭豬)。


又西百二十里曰浮山,多盼木1,枳葉而無傷2,木蟲居之3。

또 서쪽으로 일백 이십 리를 가면 부산이라 하는데, 반목이 많고, 가시가 없고 잎은 탱자나뭇잎 같다, 나무 속에 벌레가 산다.


有草焉,名曰薰草,麻葉而方莖,赤華而黑實,臭如蘼蕪4,佩之可以已癘。

여기 있는 풀은, 이름을 훈초라 하는데, 네모난 줄기에 삼 잎이다, 검은 열매가 열리고 붉은 꽃이 핀다, 냄새는 미무 같고, 몸에 지니면 돌리병이 낫는다


1 곽박(郭璞)云:「音미목반혜의 반(美目盼兮之盼)。」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既音반(盼),경문에 반이라 쓰여있다 알려졌지만(知經文必不作盼),어느 글자가 잘못된 것인지 확실하지 않다(未審何字之訛)。」

2 곽박(郭璞)云:「지는(枳),자침(刺針)(바늘(鍼))也,사람을 다치게 한다(能傷人),바늘 옛 이름(故名云)。」원가기록(珂案):광아(廣雅)云:「상은(傷),바늘이다(箴也)。」此言가시가 있는 탱자나뭇잎(枳葉有刺),반목 잎은 가시가 없는 탱자나뭇잎과 비슷하다(盼木葉似枳葉而無刺),상이 없는 이유다(故云無傷也)。

3 곽박(郭璞)云:「나무 안에 살고 있다(在樹之中)。」

4 곽박(郭璞)云:「미무(蘼蕪),향초(香草);역경(易)曰:『그 냄새가 난 같다(其臭如蘭)。』미무(眉無)兩音。미무는 궁궁이의 싹이다」


又西七十里,曰羭次之山,漆水出焉,北流注于渭。

또 서쪽으로 칠십 리를 가면, 유차산이라 하는데, 여기서 나오는 칠수는, 북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간다.


其上多棫橿1,其下多竹箭,其陰多赤銅,其陽多嬰垣之玉2。

산 위에 상수리나무와 강목이 많고, 산 아래에 대나무와 이대가 많다, 산의 북쪽에 붉은 구리가 많고, 산의 남쪽에 영원옥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禺而長臂,善投,其名曰囂3。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습이 긴 팔을 한 원숭이 같고, 던지는 것을 좋아한다, 그 이름을 효라 한다.


有鳥焉,其狀如梟,人面而一足,曰橐𩇯4,冬見夏蟄,服之不畏雷5。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올빼미 같곡, 발이 한 개에 사람 얼굴이다, 탁비라 하는데, 겨울에는 나타나고 여름에는 숨는다, 몸에 깃털을 달면 우레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1 곽박(郭璞)云:「역은(棫),상수리나무다(白桵也);音역(域)。」

2 곽박(郭璞)云:「원이나 단으로 쓰여 있다(垣或作短),혹은 근으로도 쓰여 있다(或作根),혹은 매로도 쓰여 있다(或作埋),전해지는 글에는 잘못된 것이 있어(傳寫謬錯),자세한 설명이 없다(未可得詳)。」원가기록(珂案):經文영원옥(嬰垣之玉),강소원(江紹原)謂當即영두옥(嬰脰之玉),見下文서차삼경(西次三經)「유산(泑山)」注2。

3 곽박(郭璞)云:「또한 외수화를 보면(亦在畏獸畫中),원숭이가 물건을 던지는 것과 비슷하다(似獼猴投擲也)。」원가기록(珂案):효는(囂),학의행(郝懿行)云,효와 노는 성조가 비슷하다(囂、夒聲相近);필원(畢沅)校本作효(囂),효와 노는 글꼴이 비슷하다(云囂、夒形相近);설문해자(說文)云:「노는(夒),어미 원숭이(母猴),사람과 비슷하다(似人)。」효는 노가 잘못된 글자다(囂當即夒之訛變也)。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九「동해기우(東海夔牛)」節注2。

4 곽박(郭璞)云:「音비(肥)。」원가기록(珂案):經文曰탁비(橐𩇯)앞에(上)왕념손(王念孫)校명자가 있어야 한다(增名字)。

5 곽박(郭璞)云:「새의 깃을 나타낸다(著其毛羽),착한 사람은 우레를 두려워 하지 않는다(令人不畏天雷也)。혹은 재로 쓰여 있다(或作災)。」


又西百五十里,曰時山,無草木。

또 서쪽으로 일백 오십 리를 가면, 시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다.


逐1水出焉,北流注于渭,其中多水玉。

여기서 나오는 축수는, 북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가고, 그 안에 수옥이 많다.


1 곽박(郭璞)云:「혹은 수라고 쓰여 있다(或作遂)。」


又西百七十里,曰南山,上多丹粟。

또 서쪽으로 일백 칠십 리를 가면, 남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단속이 많다.


丹水出焉,北流注于渭。

여기서 나오는 단수는, 북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간다.


獸多猛豹1,鳥多尸鳩2。

짐승은 맹표가 많고, 새는 시구가 많다.


1 곽박(郭璞)云:「맹표는 작은 곰과 비슷하다(猛豹似熊而小),털이 얇고(毛淺),광택이 있으며(有光澤),뱀을 잡아 먹을 줄도 안다(能食蛇),구리와 철을 먹고(食銅鐵),촉에서 나온다(出蜀中)。표는 범으로도 쓰였다(豹或作虎)。」학의행(郝懿行)云:「맹표는 즉 맥표다(猛豹即貘豹也),맥표와 맹표는 비슷한 발음이다(貘豹、猛豹聲近而轉)。맥표는 불가사리를 말한다」

2 곽박(郭璞)云:「시구는(尸鳩),뻐꾸기 종류이다(布穀類也)。구는 구로도 쓰였다(鳩或作丘)。」학의행(郝懿行)云:「구역시 구라고도 쓴다(鳩或作丘者),발음이 비슷해 임시로 쓰였따(聲近假借字)。」


又西百八十里,曰大時之山,上多穀1柞2,下多杻橿,陰多銀,陽多白玉。

또 서쪽으로 일백 팔십 리를 가면, 대시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닥나무와 상수리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유목과 강목이 많다, 산의 북쪽에 은이 많고, 산의 남쪽에 백옥이 많다.


涔3水出焉,北流注于渭。

여기서 나오는 잠수는, 북쪽으로 흘러 위하로 들어간다.


清水出焉,南流注于漢水。

여기서 나오는 청수는, 남쪽으로 흘러 한수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곡자는(穀字)오임신(吳任臣)本作곡(榖),맞다(是也),닥나무(即構),책에 나온 곡자는 모두 잘못 쓰여 있다(諸本作穀皆誤)。

2 곽박(郭璞)云:「작은(柞),력이다(櫟)。」

3 곽박(郭璞)云:「音잠(潛)。」


又西三百二十里,曰嶓冢之山1,漢水出焉,而東南流注于沔;

또 서쪽으로 삼백 이십 리를 가면, 파총산이라 하는데, 여기서 나오는 한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면수로 들어간다.


囂水出焉,北流注于湯2水。

여기서 나오는 효수는, 북쪽으로 흘러 탕수로 들어간다.


其上多桃枝鉤端3,獸多犀兕熊羆,鳥多白翰4赤鷩。

산 위에 도지죽과 구단죽이 있고, 짐승은 무소와 외뿔소와 곰과 말곰이 있고, 새는 백한과 적별이 있다.


有草焉,其葉如蕙5,其本6如桔梗,黑華而不實,名曰蓇蓉7,食之使人無子。

여기 있는 풀은, 그 잎이 혜란 같고, 그 뿌리는 도라지 같으며, 열매는 열리지 않고 검은 꽃이다, 이름을 골용이라 하고, 먹은 사람은 자식을 가질 수 없다


1 곽박(郭璞)云:「嶓音파(波)。」

2 곽박(郭璞)云:「혹은 양이라 쓰여 있다(或作陽)。」

3 곽박(郭璞)云:「구단은(鉤端),도지죽의 종류(桃枝屬)。」원가기록(珂案):도지는(桃枝),대나무 이름이다(竹名);이아(爾雅) 석초(釋草):「도지는 네 치마다 마디가 있다(桃枝四寸有節)。」疏:「모든 대나무는 멀리 떨어져 있고 네 치마다 마디가 있따(凡竹相去四寸有節者),도지죽이라 한다(名桃枝竹)。」

4 곽박(郭璞)云:「백한은(白翰),백탁이다(白鵫也),혹는 탁치라고도 하며(亦名鵫雉),또 백치라고도 한다(又曰白雉)。」

5 곽박(郭璞)云:「혜는(蕙),향초다(香草),난초의 종류다(蘭屬也)。」

6 곽박(郭璞)云:「본은(本),근이다(根也)。」

7 곽박(郭璞)云:「蓇音골(骨)。」


又西三百五十里,曰天帝之山,上多棕柟,下多菅蕙1。

또 서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천제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종려나무와 녹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솔새와 혜란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狗,名曰谿邊2,席其皮者不蠱。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개 같고, 이름을 계변이라 하는데, 그 가죽으로 만든 돗자리에 있는 사람은 고독에 당하지 않는다.


有鳥焉,其狀如鶉,黑文而赤翁3,名曰櫟4,食之已痔。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메추라기 같고, 붉은 목털이 나있고 검은 무늬이다, 이름을 력이라 하는데, 먹으면 치질이 낫는다.


有草焉,其狀如葵5,其臭如蘼蕪,名曰杜衡6,可以走馬7,食之已癭8。

여기 있는 풀은, 그 모양이 해바라기 같고, 그 냄새는 미무 같다, 이름을 두형이라 하는데, 허리끈으로 쓰면 말이 잘 달리고, 먹으면 목의 혹을 낫게 한다.


1 곽박(郭璞)云:「관은(菅),띠 풀 종류이다(茅類也)。」

2 곽박(郭璞)云:「혹은 곡유라고 쓰여 있다(或作谷遺)。」

3 곽박(郭璞)云:「音급옹의 옹(汲甕之甕)。」원가기록(珂案):설문해자(說文)四云:「옹은(翁),목에 난 털이다(頸毛也)。」

4 곽박(郭璞)云:「音사력의 력(沙礫之礫)。」

5 곽박(郭璞)云:「사기(史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 색은(索隱)引此經作잎이 해바라기 같다(葉如葵)。」

6 곽박(郭璞)云:「향초다(香草也)。」

7 곽박(郭璞)云:「띠를 하면 사람이 말을 모는데 편하다(帶之令人便馬);혹은(或曰),말을 타면 건강해 진다(馬得之而健走)。」

8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영은(癭),목의 혹이다(頸瘤也)。』회남자(淮南)지형훈(墬形訓)云:『기운이 막히면 혹이 많다(險阻氣多癭)。』」


西南三百八十里,曰皋塗之山1,薔2水出焉,西流注于諸資之水;

서남쪽으로 삼백 팔십 리를 가면, 고도산이라 하는데, 여기서 나오는 색수는, 서쪽으로 흘러 제자수로 들어간다.


塗水出焉,南流注于集獲之水。

여기서 나오는 도수는, 남쪽으로 흘러 집획수로 들어간다.


其陽多丹粟,其陰多銀、黃金,其上多桂木。

산의 남쪽에 단속이 많고, 산의 북쪽에 은과 황금이 많다, 산 위에 계수나무가 많다.


有白石焉,其名曰礜,可以毒鼠3。

여기 있는 흰 돌은, 그 이름을 예라 하는데, 이 돌의 독으로 쥐를 잡을 수 있다.


有草焉,其狀如槁茇4,其葉如葵而赤背,名曰無條,可以毒鼠。

여기 있는 풀은, 그 모양이 고발 같고, 그 잎은 붉은 등을 한 해바라기 같다, 이름을 무조하 하는데, 이 풀의 독으로 쥐를 잡을 수 있다.


有獸焉,其狀如鹿而白尾5,馬腳人手6而四角,名曰𤣎如7。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흰 꼬리가 난 사슴 같고, 뿔리 네 개 달리고 뒷발을 말 다리에 앞발은 사람 손을 했다, 그 이름을 영여라 한다.


有鳥焉,其狀如鴟而人足,名曰數斯,食之已癭8。

여기 새는, 그 모양이 사람 발이 달린 새매 같고, 이름을 수사라 한다, 먹으면 목의 혹아 낫는다.


1 학의행(郝懿行)云:「사기(史記)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색은(索隱)引此經作비도(鼻塗)。」

2 곽박(郭璞)云:「音색(色);혹은 기로 쓰여 있다(或作蕢),또는 복으로 쓰여 있다(又作葍)。」

3 곽박(郭璞)云:「현재 여석이며 쥐를 죽인다(今礜石殺鼠),音예(豫);누에가 먹으면 살이 찐다(蠶食之而肥)。」

4 곽박(郭璞)云:「고발은(槁茇),향초(香草)。」필원(畢沅)云:「즉 고본이다(即槁本也);두 발음이 비슷하다(本、茇聲之緩急)。」원가기록(珂案):고본은(槁本)見중차삼경(中次三經)청요산(青要之山),槁作藁,같은 글자다(字同)。

5 학의행(郝懿行)云:「사기(史記)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색은(索隱)引此經흰 꼬리 두 글자는 없다(無白尾二字)。」

6 곽박(郭璞)云:「앞쪽 두 다리가 사람 손과 비슷하다(前兩腳似人手)。」

7 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並校영여는 확여로 쓰여야 한다(𤣎如當作玃如)。

8 곽박(郭璞)云:「혹은 간질로 쓰여 있다(或作癎)。」


又西百八十里,曰黃山,無草木,多竹箭。

또 서쪽으로 일백 팔십 리를 가면, 황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대나무와 이대가 많다.


盼水出焉1,西流注于赤水,其中多玉。

여기서 나오는 반수는, 서쪽으로 흘러 적수로 들어가고, 그 안에 옥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牛,而蒼黑大目,其名曰𤛎2。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소 같고, 푸프고 검은빛에 큰 눈을 하고 있다, 그 이름을 민이라 한다.


有鳥焉,其狀如鴞,青羽赤喙,人舌能言,名曰鸚3。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솔개 같고, 푸른 날개에 붉은 부리이며, 혀는 사람 같아 말을 할 수 있다, 이름을 앵무라 한다.


1 곽박(郭璞)云:「音미목반혜의 반(美目盼兮之盼)。」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既音반(盼),경문에 반이라 쓰여있다 알려졌지만(知經文必不作盼),어느 글자가 잘못된 것인지 확실하지 않다(未審何字之訛)。」원가기록(珂案):부산애 나온 반목과(上文浮山盼木),곽박(郭)음이 같다고 했다(音與此相同)。

2 곽박(郭璞)云:「音민(敏。」원가기록(珂案):주서(周書)왕회편(王會篇)云:「초나라에서 모든 소를 조사했는데(數)楚每牛),모두 소들이 였다(每牛者),소의 작은 놈이다(牛之小者也)。」即此。

3 원가기록(珂案):앵무다(即鸚鵡)。


又西二百里,曰翠山,其上多棕柟,其下多竹箭,其陽多黃金1、玉,其陰多旄牛、麢、麝2;

또 서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취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종려나무와 녹나무가 많고, 산 아래는 대나무와 이대가 많다, 산의 남쪽에 황금과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모우와 영양과 사향노루가 많다.


其鳥多鸓3,其狀如鵲,赤黑而兩首四足,可以禦火。

산에 새는 유가 많은데, 그 모양이 까치 같고, 두 개의 머리에 네 개의 발이 달렸으며 붉고 검은빛이다, 이것을 기르면 화재를 막을 수 있다.


1 원가기록(珂案):항인(項絪)本、필원(畢沅)校本、백자전서(百子全書)本黃下금은 없는 글자 이다(無金字)。

2 곽박(郭璞)云:「영양은 양과 비슷한데 뿔이 크고 가늘어 먹을 수 있다(麢似羊而大角細食),절벽 사이에 있는 것을 좋아한다(好在山崖間);사향노루는 작은 노루와 비슷하다(麝似獐而小),향이 난다(有香)。」

3 원가기록(珂案):경문(經文) 유는(鸓),왕념손(王念孫)、필원(畢沅)、학의행(郝懿行)並校作첩(䴑);音첩(疊)。


又西二百五十里,曰騩山1,是錞2于西海,無草木,多玉。

또 서쪽으로 이백 오십 리를 가면, 외산이라 하는데, 이 산은 서해까지 이어져 있다, 풀과 나무가 없고, 옥이 많다.


淒3水出焉,西流注于海,其中多采石4、黃金,多丹粟。

여기서 나오는 처수는, 서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고, 그 안에 채석과 황금이 많으며, 단속이 많다.


1 곽박(郭璞)云:「音외(巍);一音외효의 외(隗囂之隗)。」

2 곽박(郭璞)云:「순은 마땅히 둑이다(錞猶隄埻也);音장과 윤의 반절(章閏反)。」왕불(汪紱)云:「순은 마땅히 쪼그리고 앉다(錞猶蹲也)。」원가기록(珂案):汪說於義近之,순자는 준자의 발음을 빌린다(錞蓋蹲字假音也)。

3 곽박(郭璞)云:「혹은 수로 쓰여 있다(或作浽)。」

4 곽박(郭璞)云:「채석은(采石),아름다운 빛이 있는 돌이다(石有采色者);현재 자황과 공청과 벽록의 종류이다(今雌黃、空青、碧綠之屬)。」


凡西經之首,自錢來之山至于騩山,凡十九山,二千九百五十七里。

무릇 서산경의 첫머리인, 전래산부터 외산까지, 모두 열일곱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이천 구백 오십 칠리에 이른다.


華山冢也1,其祠之禮:太牢2。

화산은 신선과 귀신이 기거하는 곳이다, 그 산의 제사 예법 : 소를 통째로 제물로 바치는 태뢰이다.


羭山神也,祠之用燭3,齋百日以百犧4,瘞用百瑜5,湯6其酒百樽,嬰7以百珪百璧。

유산은 신령이 사는 곳이다, 제사에 쓰는 불은 등불을 쓰고, 백 일 동안 몸과 마음을 깨끗이하고 백 마리의 짐승을 바치며, 백 개의 유옥을 묻어 제사를 지내고, 백 동이의 술을 따뜻하게 데워, 백 개의 규옥과 백 개의 벽옥을 신에게 바친다.


其餘十七山之屬,皆毛牷8用一羊祠之9。

산의 나머지 열일곱 개의 산들은, 모든 제물의 짐승은 한 마리의 양을 사용해 제사를 지낸다.


燭者百草之未灰10,白蓆采等純之11。

등불들은 온갖 풀로 만들어 쉽게 재가 되지 않고, 가장자리를 오색으로 한 흰색 돗자리를 만든다.


1 곽박(郭璞)云:「무덤은(冢者),신선과 귀신이 기거하는 곳이다(神鬼之所舍也)。」

2 곽박(郭璞)云:「소와 양과 돼지를 잡아 태뢰를 행한다(牛羊豕為太牢)。」

3 곽박(郭璞)云:「혹은 양으로 쓰여 있다(或作煬)。」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촉은(燭),마당에서 불타는 촛불이다(庭燎火燭也);양은(煬),말려서 굽는다(炙燥也)。』」

4 곽박(郭璞)云:「제물이 순수한 빛이 나게 만든다(牲純色者為犧)。」원가기록(珂案):經文재(齋),왕불(汪紱)本作제(齊),맞다(是也),옛날에 재자는 제로 많이 썼다(古齋字多作齊)。

5 곽박(郭璞)云:「유는 아름다운 옥의 이름이다(瑜亦美玉名);音유(臾)。」

6 곽박(郭璞)云:「혹은 따뜻하다로 쓰여 있다(或作溫)。」학의행(郝懿行)云:「湯讀去聲;현대인은 끓인 술이 데운 술이라고 근거한다(今人呼溫酒為湯酒本此)。」원가기록(珂案):끓인 술은(湯酒),현재를 술을 데웠다고 쓴다(今作燙酒)。

7 곽박(郭璞)云:「영은 둥글게 차려 놓고 제사를 지내는 것을 일컫는다(嬰謂陳之以環祭也);혹은 영을 옛날 양병을 말한다(或曰嬰即古罌字),사발이라 일컫는다(謂盂也)。」원가기록(珂案):강소원(江紹原)중국 고대여행의 연구(中國古代旅行之研究)第一章注10云,영은 신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묶은 옥을 칭한다(嬰係以玉祀神之專稱),其說近是,참고 가능(可供參考)。

8 곽박(郭璞)云:「전은 제물의 몸이 전부 갖추어진 것을 일컫는다(牷謂牲體全具也)。」원가기록(珂案):牷音전(全)。

9 실명(失名)云:「이오(二吳)(오관(吳琯)、오임신(吳任臣))本均作소뢰나 태뢰(牢),아마도 그렇지 않다(恐非)。」원가기록(珂案):經文한 마리 양을 사용해 제사를 지내며(用一羊祠之),왕불(汪紱)本용자는 없는 글자(無用字)。

10학의행(郝懿行)云:「옛 사람들이 사용하던 초의 시작(此蓋古人用燭之始),經云『百草未灰』,이것은 옛 사람들이 초를 만든 걸로 안다(是知上世為燭),또 삼를 찌고 갈대로 홰를 만들어 사용한다(亦用麻蒸葦苣為之)。자세히 나왔다(詳見)시소(詩疏)及주례소(周禮疏)。」

11곽박(郭璞)云:「순은(純),연이다(緣也);오색 가장자리(五色純之),그 무늬 색깔이 순서가 있다(等差其文綵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