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황북경(大荒北經) 번역

산해경/대황북경 2018. 2. 28. 00:00

東北海之外,大荒之中,河水之閒,附禺之山1,帝顓頊與九嬪葬焉2。

동북쪽 바다의 밖, 대황의 안, 하수의 사이, 부우산, 여기에 제전욱과 아홉 명의 아내들이 묻혀 있다.


爰有𩿨3久、文貝、離俞、鸞鳥、皇鳥4、大物、小物5。

여기에는 시구와 문패화 이유와 난조와 황조와 대물과 소물이 있다.


有青鳥、琅鳥、玄鳥、黃鳥、虎、豹、熊、羆、黃蛇、視肉、璿、瑰、瑤、碧,皆出衛于山6。

청조와 낭조와 현조와 황조와 범과 표범과 곰과 말곰과 황사와 시유과 선과 괴와 요와 벽이 있고, 모두 위우산에 나온다.


丘方圓三百里,丘南帝俊竹林在焉7,大可為舟8。

언덕은 넓이와 둘레가 삼백 리에 이르는데, 언덕 남쪽에 제준의 대나무 숲이 있으며, 배를 만들 수 있는 크기다.


竹南有赤澤水9,名曰封淵10。

대나무 숲 남쪽에 붉은 택수가 있는데, 이름을 봉연이라 한다.


有三桑無枝11。

삼상무지가 있다.


丘西有沈淵,顓頊所浴。

언덕 서쪽 있는 침연은, 전욱이 몸을 씻는 곳이다.


1 학의행(郝懿行)云:「해외북경(海外北經)作무우(務隅),해내동경(海內東經)作부어(鮒魚),이 경문에도 쓰인 부운산까지(此經又作附禺),모두 하나의 산이다(皆一山也),옛 글자로 두루 쓰임(古字通用)。문선(文選)注사조(謝朓) 애책문(哀策文)引이 경문에는 부우산이라고 쓰여 있고(此經作鮒禺之山),후한서(後漢書) 장형전(張衡傳)注引이 경문과 현재 책이 같다(此經與今本同)。」

2 곽박(郭璞)云:「이는 모두 특이하거나 색다른 풍속이고(此皆殊俗),뜻은 무덤이다(義所作冢)。」

3 원가기록(珂案):經文구(𩿨),손성연(孫星衍)校改치(鴟)。

4 원가기록(珂案):황조(皇鳥),송본(宋本)、모의(毛扆)本、장경본(藏經本)均作봉황(鳳鳥),왕념손(王念孫)亦校作봉조(鳳鳥)。

5 곽박(郭璞)云:「필요한 물품을 갖추다(言備有也)。」왕숭경(王崇慶)云:「큰 물건과 작은 물건은(大物小物),모두 죽은 사람과 가까웠던 사람이나 짐승을 함께 묻는 것을 갖추다(皆殉葬之具也)。」

6 곽박(郭璞)云:「그것은 산기슭에 있다(在其山邊也)。」학의행(郝懿行)云:「예문유취(藝文類聚)八十九卷、초학기(初學記)二十八卷引이 경문 모두 위구산으로 쓰여 있고(此經並作衛丘山),북당서초(北堂書鈔)一百三十七卷亦作위구(衛丘),이것은 옛 책에 위와 구가 같은 글자로 합쳐진 것을 알 수 있고(是知古本衛丘連文),모두 산에서 나온다는 네 글자가 서로 들어가며(而以皆出于山四字相屬),현재 책에 그 글귀가 오히려 잘못된 것이고(今本誤倒其句耳),마땅히 바로잡아야 한다(所宜訂正)。」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校亦同학의행(郝)注。부우산이 사지고 있는 각각의 물건들은(附禺山所有各物其部分)已見해외북경(海外北經)「무우산(務隅之山)」節。

7 학의행(郝懿行)云:「이 경문 제준은 전욱이다(此經帝俊蓋顓頊也):뒤쪽에(下)云언덕 서쪽 있는 침연은(丘西有沈淵),전욱이 몸을 씻는 곳이다(顓頊所浴),이것으로 알 수 있다(以此知之)。」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說틀린 것으로 의심(疑非)。이 경문에 이미 분명히 말하고 있다 언덕 남쪽에 제준의 대나무 숲은(此經既明言丘南帝俊竹林),배를 만들 수 있는 크기다(大可為舟);언덕 서쪽 있는 침연은(丘西沈淵),전욱이 몸을 씻는 곳이다(顓頊所浴);제준은 제준이고(則帝俊自帝俊),전욱은 전욱이다(顓頊自顓頊),어찌 제준을 전욱이 되었다 할 수 있나(又何得以帝俊為顓頊邪)?이것은 같지 않다(此不同)於대황남경(大荒南經) 기록(所記) 부정산(不庭之山),앞쪽(前)云「제준의 아내 아황은 이 삼신국을 낳았다(帝俊妻娥皇生此三身之國)」,뒤쪽(後)云「총연은(從淵),순임금이 몸을 씻던 곳이다(舜之所浴也)」,순임금도 아내 아황에게(以舜亦妻娥皇),총연의 순임금이 아황의 남편 제준이라 할 수 있고(固可以謂浴於從淵之舜即「아내 아황(妻娥皇)」之帝俊也),이것은 비교할 가치가 없기 때문에(而此則無可比附),두 임금이 하나로 합쳐졌다 할 수 있으며 서로 같다 일컫는다(故不可以以二帝偶共一地即謂彼此相同也)。

8 곽박(郭璞)云:「순임금의 숲 속 대나무의 한 마디가 배를 만들 수 있다(言舜林中竹一節則可以為船也)。」학의행(郝懿行)云:「초학기(初學記)(卷二十八)引신이경(神異經)云:『남쪽 황무지 안에 패죽이 있는데(南方荒中有沛竹),그 길이는 백 장이고(其長百丈),둘레는 이 장 오륙 척이며(圍二丈五六尺),두께는 팔구 촌이라(厚八九寸),배를 만들 수 있다(可以為船)。』광운(廣韻)引신이경(神異經)云:『사죽은 태극이라고도 하는데(篩竹一名太極),길이가 백장이라(長百丈),남쪽에서는 배를 만든다(南方以為船)。』옥편(玉篇)云:『담죽은 길이가 천 장이라(蕁竹長千丈),큰 배를 만든다(為大船也);바닷가에서 자란다(生海畔)。』이런 종류(即此類)。」

9 곽박(郭璞)云:「물의 빛깔이 붉다(水色赤也)。」

10곽박(郭璞)云:「봉은 크다를 말함(封亦大也)。」

11곽박(郭璞)云:「모두 높이가 백 길이다(皆高百仞)。」왕념손(王念孫)云:「모두 높이가 백 길 네 글자는 원래 글에 잘못 빠짐(皆高百仞四字乃正文誤入注),見예문유취(藝文類聚)八十八,又見태평어람(御覽) 목부(木部) 四(卷九五五),又見예문유취(類聚) 목부(木部)(卷八十九)。」원가기록(珂案):「삼상무지(三桑無枝)」已見북차이경(北次二經)、해외북경(海外北經)。


有胡不與之國1,烈姓2,黍食。

호불여국이 있는데, 열씨 성을 가지고 있고, 기장을 먹는다.


1 곽박(郭璞)云:「한 나라의 이름(一國復名耳),현재 오랑캐 말로 모두 통한다(今胡夷語皆通然)。」

2 학의행(郝懿行)云:「열씨 성은 염제 신농의 후손이고(烈姓蓋炎帝神農之裔),춘추좌씨전(左傳)(소공(昭公) 이십구 년(二十九年))열산씨라 한다(稱烈山氏),(예기(禮記))제법(祭法) 여산씨라 한다(稱厲山氏);정강성(鄭康成)注云:『여산은(厲山),시농이 다스리는 곳(神農所起)。열산이라고 한다(一日有烈山)。』」원가기록(珂案):현재 책(今本) 예기(禮記) 정(鄭)注云:「여산씨는(厲山氏),염제다(炎帝也),여산에서 일어났다(起於厲山)。열산씨라고도 한다(或曰有烈山氏)。」


大荒之中,有山,名曰不咸。

대황의 안에, 있는 산은, 이름을 불함이라 한다.


有肅慎氏之國1。

숙신씨국이 있다.


有蜚蛭,四翼2。

비질이 있는데, 날개 네 개다.


有蟲,獸首蛇身,名曰琴蟲3。

벌레가 있는데, 머리는 짐승이고 몸은 뱀이다, 이름을 금충이라 한다.


1 곽박(郭璞)云:「현재 숙신국은 요동에서 삼 천리 남짓 떨어져 있고(今肅慎國去遼東三千餘里),굴에 살고(穴居),옷이 없으며(無衣),돼지 가죽을 입는다(衣豬皮),겨울에는 기름을 몸에 바르는데(冬以膏塗體),두텁게 여러 번 나누어 발라(厚數分),바람과 추위를 견딘다(用卻風寒)。그곳 사람들은 모두 활솜씨가 뛰어났고(其人皆工射),활의 길이는 사 척에(弓長四尺),활의 힘이 셌다(勁彊)。화살을 싸리나무로 만들었고(箭以楛(송본(宋本) 호 뒤쪽에 목자가 있다(楛下有木字)——珂)為之),길이가 오 촌에(長尺五(장경본(藏經本) 오가 팔로 쓰여 있다(五作八)——珂)寸),청석을 화살촉으로 만들었다(青石為鏑),이는 춘추전국 시대에 진후의 뜰에 모인 매를 활을 쏴 잡았다(此春秋時隼集陳侯之庭所得矢也)。진나라 태흥 삼 년 평주자사 최비는 별가 고회를 보내(晉太興三年平州刺史崔毖遣別駕高會),숙신씨의 활과 화살을 바치게 하였는데(使來獻肅慎氏之弓矢),화살촉은 구리와 뼈로 만든 것과 비슷했다(箭鏃有似銅骨作者)。묻길(問)(장경본(藏經本) 문 뒤쪽에 유지자가 있다(問下有之字),맞다(是也)——珂)云,해내국에 전해져(轉與海內國),이것을 두루 쓰게 되었습니다(通得用此)。현재 이름은 읍루국이 되었고(今名之為挹婁國),좋은 담비와 붉은 옥이 나온다(出好貂、赤玉)。어찌 해외에서 전해지는 것에 따라 이정도에 이르렀는가(豈從海外轉而至此乎)?후한서(後漢書) 기록(所謂) 읍루가 맞다(挹婁者(송본(宋本)、오관(吳寬)抄本자가 국으로 쓰여 있다(者作國)——珂)是也)。」학의행(郝懿行)云:「숙신국은(肅慎國)見해외서경(海外西經)。곽박(郭)說숙신은(肅慎) 원래 위지동이전에(本魏志東夷傳),다만 원래 전해지는(但傳本作)『싸리나무의 길이가 척 팔 촌인 것을 쓴다(用楛長尺八寸)』,곽박의 설명과 다르고(與郭異),나머지는 같다(餘則同也)。현재(今之) 후한서(後漢書),곽박의 생각은 틀리고(非郭所見),이에 관해서는(而此)注引후한서(後漢書者),오지(吳志) 빈비전(嬪妃傳)云:『사승(謝承) 지은(撰) 후한서(後漢書) 백 권 남짓(百餘卷)。』그 책의 설명에 읍루는(其書說挹婁),옛 숙신씨국이다(即古肅慎氏之國也)。진후의 뜰에 모인 매를 몽땅 잡았는데(隼集陳侯之庭),노어에 그 일이 있다(魯語有其事)。」

2 곽박(郭璞)云:「비(翡)、질(窒)兩音。」원가기록(珂案):문선(文選) 상림부(上林賦):「질조와 구노(蛭蜩蠼猱)。」사마표(司馬彪)注引이 경문에 비는 비로 쓰임(此經蜚作飛)。

3 곽박(郭璞)云:「뱀의 종류(亦蛇類也)。」학의행(郝懿行)云:「남산 사람들은 벌레가 뱀이 되었다고 한다(南山人以蟲為蛇),見해외남경(海外南經)。」


有人名曰大人。

이름이 대인이라는 사람이 있다.


有大人之國1,釐姓2,黍食。

대인국이 있는데, 리씨 성을 쓰고, 기장을 먹는다.


有大青蛇,黃頭3,食麈4。

큰 푸른 뱀이 있는데, 머리는 누렇고, 큰 사슴을 먹는다.


1 원가기록(珂案):대인국(大人國)已見해외동경(海外東經)及대황동경(大荒東經)。

2 학의행(郝懿行)云:「진어(晉語)(국어(國語) 진어(晉語)四——珂)사공계자(司空季子)說 황제의 자식 열 두 성씨 중에 희씨 성이 있다(黃帝之子十二姓中有僖姓),희와 리는 옛날에 널리 쓰였다(僖、釐古字通用),리는 희다(釐即僖也)。사기(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云:『왕망씨의 임금은(汪罔氏之君),봉산과 우산을 지키고(守封禺之山),리씨 성을 쓴다(為釐姓)。』색은(索隱)云:『리(釐)音희(僖)。』맞다(是也)。」원가기록(珂案):국어(國語) 노어(魯語)下云:「방풍은(防風),왕망씨의 임금인데(汪芒氏之君也),봉산과 우산을 지키는 사람이고(守封嵎之山者也),칠씨 성이 되었다(為漆姓);우나라와 하나라와 상나라는 왕망씨가 되었다고 했는데(在虞、夏、商為汪芒氏),주에서는 장적이 되었고(於周為長狄),현재는 대인이 되었다(今為大人)。」왕망씨는 왕망씨다(汪芒氏即汪罔氏),칠씨 성츤 리씨 성이다(漆姓即釐姓也)。대인은(則大人者),방풍의 후손이고(防風之後),역시 황제의 후손이다(亦黃帝之裔也)。

3 원가기록(珂案):예문유취(藝文類聚)卷六引 이곳은 머리가 네모나다로 쓰여 있다(此作頭方)。

4 곽박(郭璞)云:「현재 남쪽 동사는 사슴을 먹는데(今南方蛇食鹿),사슴 역시 큰 사슴의 종류(鹿亦麈屬也)。」원가기록(珂案):영산 역시 검은 뱀이 큰 사슴을 먹는데(榮山亦有玄蛇食麈),已見대황남경(大荒南經)。이 경문에 큰 사슴을 먹는다는(又此經文食麈),장경본(藏經本)作사슴을 먹는다(食鹿);설명에 쓰인 사슴은 큰 사슴의 종류고(注文鹿亦麈屬),장경본(藏經本) 사슴 역시 암사슴 종류다로 쓰여 있다(作鹿亦麀類)。


有榆山。

유산이 있다.


有鯀攻程州之山1。

곤공정주산이 있다.


1 곽박(郭璞)云:「모두 그 일 때문에 이름난 물건이다(皆因其事而名物也)。」학의행(郝懿行)云:「정주는(程州),나라 이름이고(蓋亦國名),우공공공국산의 종류와 같다(如禹攻共工國山之類)。」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說의심(疑是)。이 경문 뒤쪽에 있는(此經下文有「시주국이 있고(有始州之國),단산이 있다(有丹山)」),증거라 할 수 있다(可證)。우공공공산(禹攻共工國山)已見대황서경(大荒西經)。


大荒之中,有山名曰衡天。

대황의 안에, 이름이 형천이라는 산이 있다.


有先民之山1。

반민산이 있다.


有槃木千里2。

천 리에 반목이 있다.


1 원가기록(珂案):대황서경(大荒西經)云:「서북쪽 바다 밖(西北海之外),적수의 서쪽에(赤水之西),선민국이 있다(有先民之國)。」이것이 아니다(非此)。이 산의 지망은 동북쪽에 있다(此山地望當在東北)。

2 곽박(郭璞)云:「音반(盤)。」원가기록(珂案):대대례(大戴禮) 오제덕(五帝德)及사기(史記) 오제본기(五帝本紀),모두 이 말이 있다(均有「동쪽으로 반목에 이르다(東至于蟠木)」語),이것으로 의심(疑即此)。논형(論衡) 정귀편(訂鬼篇)引산해경(山海經)(현재 책에 없다(今本無))云:「넓고 큰 바다 안에(滄海之中),도삭산이 있는데(有度朔之山),산 위에 큰 복숭아나무가 있고(上有大桃木),나무가 꼬불꼬불하게 굽어 삼천 리에 이르고(其屈蟠三千里),나무의 가지 사이의 동북쪽을 귀문이라 하는데(其枝閒東北曰鬼門),온갖 귀신이 드나드는 곳이다(萬鬼所出入也)。나무 위에 두 신이 있는데(上有二神人),하나는 신도라 하고(一曰神荼),하나는 울루라 하며(一曰鬱壘),온갖 귀신을 조사하고 거느리며 관리한다(主閱領萬鬼)。나쁜짓을 하는 귀신은(惡害之鬼),갈대를 꼬은 줄로 사로잡아(執以葦索),범에게 먹이로 준다(而以食虎)。이에 황제가 의식을 행하며(於是黃帝乃作禮),악귀를 물리칠 때는(以時驅之),큰 복숭아나무 인형을 세우고(立大桃人),문틀에 신 신도와 울루와 범을 그리고(門戶畫神荼鬱壘與虎),갈대 꼬은 줄을 매달아 악귀를 막았다(懸葦索以禦凶)。」이(此)「나무가 꼬불꼬불하게 굽어 삼천 리에 이르다(屈蟠三千里)」의 큰 복숭아나무(之大桃木),當即「천 리에 이르다(千里)」반목의 종류(槃木之屬)。유소(劉昭)注후한서(後漢書) 예의지(禮儀志)亦引 이 경문 글이 조금 다르며(此經而文稍異),모구 이 경문에서 빠져있다(當皆此經之逸文也)。


有叔歜國1。

숙촉국이 있다.


顓頊之子,黍食,使四鳥:虎、豹、熊、羆。

전욱의 자식이고, 기장을 먹으며, 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범과 표범과 곰과 말곰.


有黑蟲如熊狀,名曰猎猎2。

흑충은 곰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름을 석석이라 한다.


1 곽박(郭璞)云:「(촉(歜))音작과 감의 반절(作感反);一音촉(觸)。」

2 곽박(郭璞)云:「或作삭(獡),音석(夕)同。」학의행(郝懿行)云:「옥편(玉篇)云:『작은(猎),진과 역의 반절(秦亦切),짐승 이름(獸名)。』광운(廣韻)亦云짐승 이름(獸名),引此經。충과 수는 일반적으로 쓰인다(蓋蟲、獸通名耳)。삭(獡)見설문해자(說文)(十)。」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音석(夕)同」,장경본(藏經本) 동자가 없다(無同字),동자는 덧붙인 것으로 의심(同字疑衍)。


有北齊之國,姜姓1,使虎、豹、熊、羆。

북제국이 있는데, 강씨 성을 쓰고, 호랑이와 표범과 곰과 말곰을 부린다.


1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十二)云:『강은(姜),신농이 강수에 살아 성이 되었다(神農居姜水以為姓)。』사기(史記) 제태공세가(齊太公世家)云:『성이 강씨(姓姜氏)。』기록(案) 대황서경(大荒西經)有 서주국이 있고(西周之國),희씨 성을 쓴다(姬姓),이곳에 북제국이 있고(此有北齊之國),강씨 성을 쓴다(姜姓),모두 주나라와 진나라 사람들 말이다(皆周秦人語也)。」


大荒之中,有山名曰先檻1大逢之山,河濟所入,海北注焉2。

대황의 안에, 이름이 선함대봉산이라는 산이 있는데, 황하와 제수가 들어가는 곳이다, 바닷물이 산 북쪽으로 들어간다.


其西有山,名曰禹所積石3。

그 서쪽에 산이 있는데, 이름을 우소적석이라 한다.


1 원가기록(珂案):장경본(藏經本)作광함(光檻)。

2 곽박(郭璞)云:「황하와 제수가 바다로 들어갔다(河濟注海),다시 바다 밖으로 나오며(已復出海外),이 산으로 들어간다(入此山中也)。」

3 원가기록(珂案):우소적선산은(禹所積石之山),已見해외북경(海外北經),자세한 설명은 끝부분 주석(詳該節注)。


有陽山者。

양산이 있다.


有順山者,順水出焉。

순산이 있고, 여기서 순수가 나온다.


有始州之國,有丹山1。

시주국이 있고, 단산이 있다.


1 곽박(郭璞)云:「이 산은 단주가 깨끗하게 나온다(此山純出丹朱也)。죽서(竹書)曰:『화갑이 서쪽을 정벌할 때(和甲西征),단산을 얻었다9得一丹山)。』현재 있는 곳에 단산이 있고(今所在亦有丹山),단주가 흙구덩이 속에서 나온다(丹出土穴中)。」


有大澤方千里,群鳥所解1。

대택의 넓이가 천리이 걸쳐 있고, 새떼가 털갈이를 하는 곳이다.


1 곽박(郭璞)曰:「목천자전(穆天子傳)(卷四)曰:『북쪽으로 광원의 들에 이르렀는데(北至廣原之野),날아 다니는 새가 그 깃털을 털갈이하고(飛鳥所解其羽),이곳에서 새와 짐승을 사로잡아(乃于此獵鳥獸),무리에서 뛰어난 것이(絕群),여러 수레를 깃털로 떠받들다(載羽百車)。』죽서(竹書)亦曰:『목왕이 북쪽을 정벌할 때(穆王北征),사막 천 리를 다니며(行流沙千里),쌓인 깃털이 천 리에 달했다(積羽千里)。』모두 대택을 일컫는다(皆謂此澤也)。」원가기록(珂案):대택은 두 곳이다(大澤有二):하나는(一乃) 해내북경(海內北經)「순임금의 아내 등비씨는 소명과 촉광을 낳았고(舜妻登比氏生宵明燭光),황하 대택에 살았다(處河大澤)」의 대택이고(之大澤),하나는 이 대택이다(一即此澤)。이 대택은(此澤即) 해외북경(海外北經) 기록된(所記)「과보는 해와 달음질을 다투었는데(夸父與日逐走),북쪽 대택을 마시려했다(北飲大澤)」及이 경문(此經)「과보가 대택으로 걸어갔다(夸父將走大澤)」의 대택이며(之大澤),자세한 설명은(說詳) 해내북경(海內北經)「소명(宵明)과 촉광(燭光)」節注。


有毛民之國1,依姓2,食黍,使四鳥。

모민국이 있는데, 의씨 성을 쓰고, 기장을 먹으며, 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


禹生均國,均國生役采3,役采生修4鞈5,修鞈殺綽人6。

우임금은 균국을 낳았다, 균국은 역채를 낳았다, 역채는 수겹을 낳았다, 수겹은 작인을 죽였다.


帝念之,潛為之國7,是此毛民。

우임금은 불쌍히 여겨, 몰래 나라를 세웠는데, 이들이 바로 모민이다.


1 곽박(郭璞)云:「그곳 사람들은 얼굴과 몸에 모두 털이 자란다(其人面體皆生毛)。」원가기록(珂案):모민국(毛民國)已見해외동경(海外東經)。

2 원가기록(珂案):국어(國語) 진어(晉語)四云:황제의 자식은 스물다섯 명이고(黃帝之子二十五宗),그 중에 성을 얻은 사람이 열네 사람이며(其得姓者十四人),열두 개의 성이 되었다(為十二姓),의씨 성이 있다(中有依姓)。근거(據) 이 모민은 황제의 후손이다(此則毛民當是黃帝之裔),해외동경(海外東經) 학의행(郝)注云우임금 후손이 아니다(禹裔非也)。우임금 역시 황제의 부족이고(然禹亦黃帝族),모민는(則毛民者),우임금은 직접적인 후손이 아니다(雖非其直接裔屬),모민는 같은 부족 자손이다(亦其同族子孫也);우의 증손 수겹이 작인을 죽였고(故禹之曾孫修鞈殺綽人),우임금이(禹乃)「불쌍히 여겨(念之)」而「몰래 만들다(潛為)」이 모민국(此毛民國),이러하다(以此也_。

3 곽박(郭璞)云:「채는 래로도 쓴다(采一作來)。」원가기록(珂案):장경본(藏經本)正作래(來),곽박 설명에 네 글자가 없다(無郭注四字)。

4 원가기록(珂案):장경본(藏經本)作순(循)。

5 곽박(郭璞)云:「音如단겹의 겹(單袷之袷)。」

6 곽박(郭璞)云:「사람 이름(人名_。」

7 곽박(郭璞)云:「몰래 도와주어 나라가 되었다(潛密用之為國)。」


有儋耳之國1,任姓2,禺號子,食穀。

담이국이 있는데, 임씨 성을 쓰고, 우호의 자식이며, 곡식을 먹는다.


北海之渚中3,有神,人面鳥身,珥兩青蛇,踐兩赤蛇,名曰禺彊4。

북해의 모래섬 안에, 있는 신은, 사람 얼굴에 새의 몸이고, 두 마리 푸른 뱀을 귀에 걸고, 두 마리 붉을 뱀을 밟고 있다, 이름을 우강이라 한다.


1 곽박(郭璞)云:「그곳 사람들은 귀를 크게 아래로 메고(其人耳大下儋),어깨 위로 늘어뜨리다(垂在肩上),주애와 담이는(朱崖儋耳),그 귀에 그림을 새겼고(鏤畫其耳),추방하였다(亦以放之也)。」원가기록(珂案):담이는(儋耳),회남자(淮南子) 지형편(墬形篇)作탐이(耽耳),박물지(博物志)卷一作담이(擔耳),글자에 따르면 담은 담이 되어야한다(依字儋當為聸)。설문해자(說文)十二云:「담은(聸),처진 귀(垂耳也)。」即곽박(郭)注이른바(所謂)「귀를 크게 아래로 메고(耳大下儋),어깨 위로 늘어뜨리다(垂在肩上)」의 뜻이다(之意也)。해외북경(海外北經) 섭이국이 있다(有聶耳國),이것이다(即此),자세한 설명은 끝부분 주석(說詳該節注)。

2 원가기록(珂案):국어(國語) 진어(晉語)說 황제의 자식 열 두 성씨 중에 임씨 성이 있다(黃帝之子十二姓中有任姓),이 경문 뒤쪽 글에 되풀이하다(此經下文復言)「우호의 자식(禺號子)」,우호는 우호다(禺號即禺䝞),황제의 자식은(乃黃帝之子),見대황동경(大荒東經),담이는 황제의 후손이다(故儋耳亦黃帝裔也)。

3 곽박(郭璞)云:「바다 가운데 있는 섬 안에 씨를 뿌려 먹이를 주다(言在海島中種粟給食),우강이라 일컫는다(謂禺彊也)。」원가기록(珂案):대황동경(大荒東經)云:「황제는 우호를 낳고(黃帝生禺䝞),우호는 우경을 낳았다(禺生禺京),우경은 북해에 살고(禺京處北海),우호는 동해에 산다(禺處東海),이들은 바다의 신이 되었다(是為海神)。」곽박(郭璞)注:「호는 다른 책에 호로 쓰였다(一本作號)。」又注「우경(禺京)」云:「우강이다(即禺彊也)。」이 우강은 확실히 우호의 자식이다(是禺彊固禺號子),그 지위는 북해의 바다 신이고(然其身份乃北海海神),곽박이 말하는 우호의 자식과 다르다(非如郭注所謂「바다 가운데 있는 섬 안에 씨를 뿌려 먹이를 주다(在海島中種粟給食)」之禺號子也)。이 경문의 뜻을 헤아리면(揆此經文意),이 우호의 자식은(此「북해의 섬 속 곡식을 먹는다(食穀北海之渚中)」之禺號子),임씨 성을 쓰는 담이국이다(乃任姓之儋耳國也)。자식은(謂之「자(子)」者),그 후손을 일컬으며(蓋謂其苗裔),그 친자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고 일컫는다(非必謂其親子也)。곽박(郭)注「우강을 일컫는다(謂禺彊也)」잘못됨(蓋誤)。또(又),옛날에(舊以)「북해의 섬 속 곡식을 먹는다(食穀北海之渚中)」글귀는(為句),역시 잘못됨(亦誤)。「곡식을 먹는다(食穀)」,한 마디로 쓰여 있는데(應作一句),상독에 속한다(屬上讀);「북해의 섬 속(北海之渚中)」,한 마디로 쓰여 있는데(應作一句),하독에 속한다(屬下讀),시작된다(始當)。

4 원가기록(珂案):우강(禺彊)已見해외북경(海外北經)及대황동경(大荒東經)。해외북경(海外北經)云,우강은 두 마리 푸른 뱀을 발로 밟고 있다(禺彊踐兩青蛇),이것과 다르다(與此異)。열자(列子) 탕문편(湯問篇)云:「황제는 우강에게 명하여 커다란 자라 열다섯 마리에게(帝令禺彊使巨鼇十五),머리를 들어 다섯 개의 산을 받치게 하였다(舉首而戴五山)。」見해외동경(海外東經)「대인국(大人國)」節注。


大荒之中,有山名曰北極天櫃1,海水北注焉。

대황의 안에, 이름이 북극천궤라는 산이 있는데, 바닷물이 산 북쪽으로 들어간다.


有神,九首人面鳥身,名曰九鳳2。

신이 있는데, 머리가 아홉 개에 사람 얼굴이고 새의 몸이다, 이름을 구봉이라 한다.


又有神銜蛇操蛇3,其狀虎首人身,四長肘,名曰彊良4。

또 입에 뱀을 물고 손에 뱀을 잡은 신이 있는데, 그 모양이 범의 머리에 사람 몸이고, 굽이 네 개에 팔꿈치가 길다, 이름을 강량이라 한다.


1 곽박(郭璞)云:「音궤(匱)。」원가기록(珂案):경문에 궤는(經文櫃),송본(宋本)、오관(吳寬)抄本、모의(毛扆)本장경본(藏經本)均作궤(樻)。

2 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氏)강부(江賦)(문선(文選) 곽박(郭璞) 강부(江賦)——珂)云:『아홉 개의 머리가 달린 기이한 재두루미(奇鶬九頭)。』이것으로 의심(疑即此)。」

3 원가기록(珂案):열자(列子) 탕문편(湯問篇) 우공의 일화(說愚公事)云:「뱀을 잡던 신이 듣고(操蛇之神聞之),천제에게 알리다(告之於帝)。」뱀을 잡던 신도 이에 근거하다(操蛇之神或本此)。

4 곽박(郭璞)云:「외수화 속에 있다(亦在畏獸畫中)。」학의행(郝懿行)云:「후한서(後漢) 예의지(禮儀志) 열두 신 설명(說十二神)云:『강량 조명공은 남을 착취하며 사는 것을 찢어 죽여 먹는다(強梁祖明共食磔死寄生)。』강량은 강량으로 의심(疑強梁即彊良),옛글자로 두루 쓰임(古字通也)。」원가기록(珂案):강량은(彊良),장경본(藏經本)作강량(強良)。


大荒之中,有山名曰成都載天。

대황의 안에, 이름이 성도재천이라는 산이 있다.


有人珥兩黃蛇,把兩黃蛇,名曰夸父。

두 마리 누런 뱀을 귀에 걸고, 두 마리 누런 뱀을 손에 잡은 사람이 있는데, 이름을 과보라 한다.


后土生信1,信生夸父。

후토는 신을 낳았고, 신은 과보를 낳았다.


夸父不量力,欲追日景,逮之于禺谷2。

과보는 힘을 주체하지 못하고, 해를 쫓았고, 우곡에 이르렀다.


將飲河而不足也,將走大澤,未至,死于此3。

과보는 황하를 마셨지만 부족하였고, 과보는 대택으로 달렸갔지만, 대택에 이르지 못하고, 이곳에서 죽었다.


應龍已殺蚩尤,又殺夸父4,乃去南方處之,故南方多雨5。

응룡은 치우를 죽였을 뿐만 아니라, 또 과보도 죽였다, 이에 남쪽으로 가서 살았다, 그런 이유로 남쪽에는 비가 많이 내린다.


1 학의행(郝懿行)云:「후토는(后土),공공씨의 자식 구룡이다(共工氏之子句龍也),見소공(昭) 십구 년(十九年) 춘추좌씨전(左傳),又見해내경(海內經)。」

2 곽박(郭璞)云:「우연은(禺淵),해가 들어가는 곳이고(日所入也),현재는 우로 쓴다(今作虞)。」

3 곽박(郭璞)云:「목말라 죽었다(渴死)。」원가기록(珂案):과보가 해를 쫓았다(夸父逐日)已見해외북경(海外北經)。

4 곽박(郭璞)云:「앞쪽에서 말하길 과보는 자신의 힘을 헤아리지 못하고(上云夸父不量力),해와 다투다 죽었으나(與日競而死),현재 과보가 다시 응룡에게 죽게 되었고(今此復云為應龍所殺),죽어서는 정해진 이름이 없었다(死無定名),하는 일 마다 맡기니(觸事而寄),확실히 과보가 변화한 방법이 없어서(明其變化無方),헤아릴 수 없다(不可揆測)。」원가기록(珂案):곽박이 심오한 이치로 풀이한 신화는(郭以玄理釋神話),아무래도 잃어버렸다(未免失之)。과보는 옛 부족의 이름이고(蓋夸父乃古巨人族名)(현주(玄珠) 중국 신화연구 ABC(中國神話研究ABC說)),한 사람의 이름이 아니다(非一人之名也)。「과보가 해를 쫓았다(夸父逐日)」與「응룡이 치우와 과보를 죽였다(應龍殺蚩尤與夸父)」모두 서로 같지 않은 과보의 신화와 관련이 있고(蓋均有關夸父之不同神話),곽발이 설명한 것과 같지 않다(非如郭注所謂「변화한 방법이 없다(變化無方)」也)。응룡이 치우와 과보를 죽일 일은(應龍殺蚩尤與夸父事)已見대황동경(大荒東經)。과보는(夸父),염제의 후손이고(炎帝之裔),치우와 함께 협동하여 황제에게 대적해 전쟁을 하였으며(與蚩尤並肩作戰以抗黃帝者也),운이 없게도 전쟁에서 패하여 응룡에게 죽음을 당했다(以不幸兵敗而為應龍所殺)。자세한 설명(說詳) 대황동경(大荒東經)「응룡(應龍)」節注。

5 곽박(郭璞)云:「용을 물을 살핀다 하는데(言龍水物),서로 느끼는 것이 비슷하기 때문이다(以類相感故也)。」


又有1無腸之國2,是任姓3,無繼子,食魚4。

또 무장국이 있는데, 이곳은 임씨 성을 쓰고, 의붓자식이 없으며, 물고기를 먹는다.


1 원가기록(珂案):장경본(藏經本) 우자는 없는 글자(無又字)。

2 곽박(郭璞)云:「為人長也。」원가기록(珂案):무장국(無腸國)已見해외북경(海外北經),云:「무장국 사람들은 키가 크다(無腸國其為人長)。」是此注所本。

3 원가기록(珂案):황제의 후손 열 두 성씨 중에 임씨 성이 있다(黃帝之裔十二姓中有任姓)(국어(國語) 진어(晉語)四),무장국 역시 황제의 후손이다(則無腸國亦當是黃帝裔也)。

4 곽박(郭璞)云:「계는 계가 되어야하고(繼亦當作綮),팔뚝과 창자를 일컫는다(謂膊腸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說틀리다(非是)。이 무계는(此無繼)(국(國))即해외북경(海外北經) 기록된 무계국이고(所記之無啟(현재 글자는 계로 쓰임(今字作䏿),잘못되었다(訛也))國),「무계(無啟)」即「무계(無繼)」也,說見해외북경(海外北經)「무계국(無綮國)」節注。이 무장국 사람들은 무계국 사람들의 후손이다(此言無腸國人乃無啟(繼)國人之裔也),옛 책에는 따로 나누어져 있고(舊本以「의붓자식이 없으며(無繼子),물고기를 먹는다(食魚)」另起),틀렸다(非也)。무계에 자가 있다고 이르는데(至於「무계(無繼)」而有「子」),바로 신화전설이 농담으로 처리되었는데(則正是神話傳說之詼詭處),「당연한 이치이고(揆之常情),도리에 맞지 않다(則無理矣)」(해외동경(海外東經)곽박(郭璞)注語)。


共工之臣名曰相繇1,九首蛇身,自環2,食于九土3。

공공의 신하 이름을 상요라 하는데, 아홉 개의 머리에 뱀의 몸이고, 몸은 똬리를 틀고 있으며, 온 세상에서 나오는 것을 먹는다.


其所歍所尼4,即為源澤5,不辛乃苦6,百獸莫能處7。

상류가 토하고 마른 곳은, 물이 나와 늪이 되었고, 맵지 않으면 써서, 온갖 짐승이 살 수 없다.


禹湮洪水,殺相繇8,其血腥臭,不可生穀9,其地多水,不可居也10。

우임금이 홍수를 막아, 상요를 죽였으나, 그 피에서 비린내가 나, 곡식이 나지 않고, 그 땅에는 물이 많아, 살 수 없다.


禹湮之,三仞11三沮12,乃以為池,群帝因是以為臺13。

우임금은 흙으로 매웠는데, 세 길 깊이로 세 번 묻었으나, 바로 연못이 되었고, 많은 임금들이 이것 때문에 대를 세우는 계기가 되었다.


在昆侖之北14。

곤륜의 북쪽에 있다


1 곽박(郭璞)云:「상류는(相柳也),말소리로 전해짐(語聲轉耳)。」원가기록(珂案):우임금이 상류를 죽인 일(禹殺相柳事)已見해외북경(海外北經)。

2 곽박(郭璞)云:「굴러서 빙빙 돌아감(言轉旋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굴러서 빙빙 돌아감은(轉旋) 장경본(藏經本)作휘감아 돌아감(蟠旋)。

3 곽박(郭璞)云:「탐욕스럽고 잔인하다(言貪殘也)。」원가기록(珂案):경문(經文)구토는(九土) 장경본(藏經本)作구산(九山),해외북경(海外北經)亦作구산(九山)。

4 곽박(郭璞)云:「오(歍),구(嘔),내뿜다이다(猶噴吒);니는(尼),지다(止也)。」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八)云:『오는(歍),마은에 있는 추악함을 게우는 것(心有所惡若吐也)。』又云:『구는(歐),토다(吐也)。』이아(爾雅) 석고(釋詁)云:『니는(尼),지다(止也)。』」

5 곽박(郭璞)云:「기력이 뛰어나다(言多氣力)。」원가기록(珂案):상요의 기력이 내뿜어지고 그친 곳이 연못의 근원지가 되었다(謂相繇之氣力能使其所歍所尼者成為源澤)。

6 곽박(郭璞)云:「기운이 아주 잔혹하다(言氣酷烈)。」

7 곽박(郭璞)云:「두려워하다(言畏之也)。」원가기록(珂案):연못의 근원지가 맵고 써서 두려워하는 것을 일컫는다(謂畏源澤之辛苦)。

8 곽박(郭璞)云:「우임금이 홍수를 막았기 때문에(禹塞洪水),물에 빠져 죽음(由以溺殺之也)。」원가기록(珂案):유는(由),인연이다(因緣也),우임금이 홍수를 막았기 때문에(謂禹塞洪水),상요가 물에 빠져 죽었다(因以溺殺相繇也);장경본(藏經本) 유는 인으로 쓰여 있다(由正作因)。

9 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 인사(人事)十六(卷三七五)곡자 앞에 오자가 있다(穀上有五字)。」

10곽박(郭璞)云:「상요의 기름과 피가 질펀하게 흘러(言其膏血滂流),깊은 못을 이루다(成淵水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연수는(淵水),장경본(藏經本) 수자가 없다(無水字)。

11王念孫云:「길을 읽으면 인이 되고(仞讀為牣),인은(牣),만이다(滿也),사기(史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云:『그 안이 가득 찼다(充仞其中)。』인과 인은 옛날에 두루 쓰였다(仞、牣古通用)。」

12곽박(郭璞)云:「우임금이 흙으로 막았으나(言禹以土塞之),땅이 움푹 파여 무너지다(地陷壞也)。」

13곽박(郭璞)云:「땅 아래로 흙을 쌓았고(地下宜積土),여러 임금들이 몰려와 이곳에 함께 대를 만들었다(故眾帝因來在此共作臺)。」원가기록(珂案):即해내북경(海內北經) 제요와 제곡등의 대(帝堯、帝嚳等臺)。

14원가기록(珂案):해내북경(海內北經)云:「대는 네모나고(臺四方),곤륜 동북쪽에 있다(在昆侖東北)。」


有岳之山1,尋竹生焉2。

악산이 있다(有岳之山), 여기서 심죽이 나온다(尋竹生焉).


1 원가기록(珂案):문선(文選)張協七命李善注引此經作岳山,지자는 없다(無之字)。

2 곽박(郭璞)云:「심은(尋),큰 대나무 이름(大竹名)。」원가기록(珂案):심은(尋),길다(長也)。양웅방(揚雄方)言:「관에서 서쪽으로(自關而西),진나라와 진나라 양익 사이에 온갖 물건이 길어 심이라 일컫는다(秦晉梁益之間凡物長謂之尋)。」해외북경(海外北經):「심목은 길이가 천 리에 이른다(尋木長千里)。」장목은 심목이라 하며(長木既曰尋木),심죽은 당연히 장죽이다(則尋竹自是長竹)。심은 단지 형용사이고(尋只是形容詞),곽박이 말한 심은 아마 틀렸다(郭以尋為「큰 대나무 이름(大竹名)」恐非)。옥편(玉篇) 심자가 있다(有𥳍字),云「대나무 길이가 천 장이다(竹長千丈)」,이것에 의해 심죽은 나중에 만들어진 글자(當是因尋竹而製之後起字也)。장경본(藏經本) 곽박(郭)注단지(只)作「큰 대나무(大竹)」,심과 명 둘 글자는 없다(無「심(尋)」)、「명(名)」二字),맞다(是也)。


大荒之中,有山名不句,海水入焉1。

대황의 안에, 이름이 불구라는 산이 있는데, 바닷물이 들어온다.


1 원가기록(珂案):장경본(藏經本) 수 뒤쪽에 북자가 있다(水下有北字),맞다(是也),說見대황남경(大荒南經)「천대고산(天臺高山)」節注。


有係昆1之山者,有共工之臺,射者不敢北鄉2。

계곤산이 있는데, 공공의 대가 있어, 활을 쏘는 사람은 감히 북쪽을 향해 활을 쏘지 못했다.


有人衣青衣,名曰黃帝女魃3。

푸른 옷을 입은 사람이 있는데, 이름을 황제여발이라 한다.


蚩尤作兵伐黃帝4,黃帝乃令應龍攻之冀州之野5。

치우가 병사를 동원해 황제를 공격했고, 황제는 응룡에게 기주의 들에서 공격하라 명했다.


應龍畜水,蚩尤請風伯雨師,縱大風雨6。

응룡이 물을 모으자, 치우는 풍백과 우사에게 부탁해, 큰 비바람을 불러왔다.


黃帝乃下天女曰魃7,雨止8,遂殺蚩尤9。

황제는 바로 발이라는 천녀를 지상으로 보내, 비를 멈추게 하여, 마침내 치우를 죽였다.


魃不得復上,所居不雨10。

발이 하늘로 올라가지 못하자, 사는 곳에 비가 내리지 않았다.


叔均11言之帝,後置之赤水之北12。

숙균은 황제에게 말해, 적수의 북쪽에 살게 하였다.


叔均乃為田祖13。

숙균은 전조가 되었다.


魃時亡之14。

발은 이따끔 도망쳐 나왔다.


所欲逐之者,令曰:「神北行15!」先除水道,決通溝瀆16。

쫓아내고 싶어하는 자들은, 외쳤다:「신이시여 북쪽으로 돌아가주십시오!」우선 물길을 청소하고, 도랑을 터서 흐르게 했다.


1 왕념손(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三十五作혜곤(傒昆)。」

2 곽박(郭璞)云:「두려워하다(言畏之也)。」원가기록(珂案):공공의 대(共工之臺)已見해외북경(海外北經_)。

3 곽박(郭璞)云:「音如한발의 발(旱之魃)。」학의행(郝懿行)云:「옥편(玉篇)引문자지귀(文字指歸)曰:『여발은(女妭),대머리라 머리털이 없고(禿無髮),정착하여 사는 곳에(所居之處),하늘에서 비를 내리지 않았다(天不雨也),감뭄이다(同魃)。』이현(李賢)注후한서(後漢書)(장형전(張衡傳))引이 경문에 발로 쓰임(此經作妭),云:『발 역시 발이다(亦魃也)。』근거(據) 이 경문에 발이 되어야 한다(此則經文當為妭),설명의 글도 발이 되어야 한다(注文當為魃),현재 책이 잘못됨(今本誤也)。태평어람(太平御覽)七十九卷引이 경문에는 발로 쓰여 있는데(此經作妭),증거라 할 수 있다(可證)。」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校同학의행(郝)注。오임신(吳任臣)本注글에도(文正作「音如한발의 발(旱魃之魃)」),경문에 발로 쓰는 것이 적합하다는 증거이다(可證經文實宜作「」),설명의 한발도 마땅히 한발로 써야 한다(注文「한발(旱妭)」宜作「한발(旱魃)」)。

4 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七十二引세본(世本)云:「치우가 무기를 만들다(蚩尤作兵)。」송충(宋衷)注云:「치우는(蚩尤),신농의 신하다(神農臣)。」맞다(是也)。則이른바(所謂)「치우가 무기를 만들어 황제를 공격했다(蚩尤作兵伐黃帝)」者,황제와 염제가 싸웠고 염제는 전쟁에서 패하고(蓋黃炎鬥爭、炎帝兵敗),치우가 분발하여 일어나 염제의 앙갚음을 하다(蚩尤奮起以與炎帝復仇也)。說已見해외서경(海外西經)「형천(形天)」節及대황동경(大荒東經)「응룡(應龍)」節注。

5 곽박(郭璞)云:「기주는(冀州)、하남 하류 지역(中土也);황제 역시 범과 표범과 곰과 말곰을 가르치고(黃帝亦教虎、豹、熊、羆),판천의 들에서 염제와 싸워 없앴다(以與炎帝戰于阪泉之野而滅之),見사기(史記)(오제본기(五帝本紀))。」

6 학의행(郝懿行)云:「종은 종이 되어야 한다(縱當為從)。사기(史記)(오제본기(五帝本紀))정의(正義)引此經云:『큰 바람과 비를 따르게하다(以從大風雨)。』예문유취(藝文類聚)七十九卷及태평어람(太平御覽)七十九卷引이 경문 역시 종으로 쓰여 있다(此經亦作從)。」원가기록(珂案):장경본(藏經本)正作종(從)。종은 종으로도 쓰이고(從通縱),예기(禮記) 곡례(曲禮):「욕심은 억제하여야 한다는 말(欲不可從)。」석문(釋文):「제멋대로 행동하여 거리낌이 없음(放縱也)。」

7 학의행(郝懿行)云:「태평어람(御覽)(卷七九)引이 경문에 발은 발로 쓰여 있고(此經魃作妭),장경본(藏經本) 이곳 역시 모두 발로 쓰여 있다(此下亦俱作妭)。」원가기록(珂案):당유갱(唐劉賡) 계서(稽瑞)引此經正作발(妭)

8 王念孫云:「사기(史記) 오제본기(五帝紀) 정의(正義)引此『비가 멈추다(雨止)』아쪽에 있는(上有)『비를 그치게 하다(以止雨)』세 글자(三字),후한서(後漢書) 장형전(張衡傳)注없다(無),태평어람(御覽) 삼십오(卅五) 같다(同),七十九同。」

9 원가기록(珂案):황제와 치우의 전쟁신화 관련(關於黃帝與蚩尤戰爭之神話),예부터 전설이 다양하다(古來傳說多端)。일찍 비교(較早者)有초학기(初學記)卷九引귀장계서(歸藏啟筮)云:「치우는 양수에서 나왔고(蚩尤出自羊水),여덟 개의 팔뚝과 여덟 개의 발과 투구를 뒤로 젖혀 썼고(八肱八趾疏首),구뇨에 올라 공상을 베었으며(登九淖以伐空桑),황제가 청구에서 죽였다(黃帝殺之於青丘)。」나중에(其後) 태평어람(太平御覽)卷七八引용어하도(龍魚河圖)云:「황제가 정사를 대행하기 앞서(黃帝攝政前),치우에게 형제가 여든한 사람이 있었는데(有蚩尤兄弟八十一人),모두 짐승의 몸에 사람 말을 했고(並獸身人語),구리 머리에 쇠 이마였다(銅頭鐵額),모래와 자갈을 먹고(食沙石子),무기로 몽둥이와 칼과 창과 큰 쇠뇌를 만들었으며(造立兵杖、刀、戟、大弩),위엄을 세상에 떨쳤다(威振天下)。사람을 잔인하게 죽였으며(誅殺無道),어질지 못하고 자애롭지 못했다(不仁不慈)。모든 사람들이 황제가 천자의 일을 행하길 바랐고(萬民欲令黃帝行天子事),황제는 어짊과 의로움으로도(黃帝仁義),치우를 막을 수 없었고(不能禁止蚩尤),끝내 버티지 못했다(遂不敵)。이에 하늘을 보며 한탄하니(乃仰天而歎),하늘에서 현녀를 내려보내 황제에게 병신신부를 주었고(天遣玄女下授黃帝兵信神符),치우를 정복하고(制伏蚩尤),여러 나라를 복종하게 하였다(以制八方)。치우가 죽은 뒤에도(蚩尤沒後),세상이 다시 혼란하고 평안하지 않자(天下復擾亂不寧),황제는 치우의 모양을 그림으로 그려(黃帝遂畫蚩尤形像),세상에 위엄을 떨쳤고(以威天下),세상은 치우가 죽지 않았다 일컬으며(天下咸謂蚩尤不死),팔방의 여러 나라가 복종하게 되었다(八方萬邦皆為殄服)。」쓰여진 한 전쟁의 경과는(記述此一戰爭之經過),대강 틀이 잡힘(粗具梗概)。현녀가 포함되었는데(而又涉及所謂「현녀(玄女)」者),태평어람(御覽)十五引황제에게 현녀가 전쟁하는 방법을 알려줌(黃帝玄女戰法)云:「황제는 치우와 아홉번 싸워 아홉번을 이기지 못했다(黃帝與蚩尤九戰九不勝)。황제는 태산으로 돌아가고(黃帝歸於太山),삼일 밤낮으로(三日三夜),안개가 그윽하였다(霧冥)。한 부인이 있었는데(有一婦人),사람 머리에 새의 모양이라(人首鳥形),황제는 꿇어 엎드려 이마를 땅에 대고 절하고 재차 업드려 절하며 감히 일어나지 못했다(黃帝稽首再拜伏不敢起),부인(婦人)曰:『나는 현녀다(吾玄女也),그대는 묻고 싶은 것을 물어보라(子欲何問)?』황제(黃帝)曰:『저는 만번 싸워 만번 이기고 싶습니다(小子欲萬戰萬勝)。』마침내 전쟁하는 방법을 얻었다(遂得戰法焉)。」현녀신화는 황제신화에 섞여 들어갔다(或即玄鳥神話(시경(詩) 현조(玄鳥):「하늘이 현조에게 명해(天命玄鳥),내려가 상나라를 이루게 하였다(降而生商)。」)而羼入黃帝神話者也)。이 밖에도(除此而外),아직(尚有) 태평어람(御覽)卷十五引지림(志林)(지나라(晉) 우희(虞喜) 지음(撰))云:「황제와 치우는 탁록의 들에서 전쟁을 했는데(黃帝與蚩尤戰於涿鹿之野),치우가 사흘 동안 큰 안개로 가득하게 만들어(蚩尤作大霧彌三日),군인 모두 현혹시켰다(軍人皆惑)。황ㅇ제는 이에 풍후에게 두기의 방법으로 사방을 구별하게 하여(黃帝乃令風后法斗機以別四方),마침내 치우를 사로잡았다(遂擒蚩尤)。」통전(通典) 악전(樂典)云:「치우씨는 이매를 거느리고 탁록에서 황제와 전쟁을 하였는데(蚩尤氏帥魑魅以與黃帝戰於涿鹿),황제는 뿔나팔을 불어 용의 소리를 만들고 막았다(帝命吹角作龍吟以禦之)。」모두 황제와 치우 전쟁신화의 한 구절이다(俱黃帝與蚩尤戰爭神話之一節)。전체가 늦게나마(以俱晚出),정통 사상의 지배를 받아들여(受正統思想支配),치우 모양이 요괴와 가까움을 벗어나지 못했으며(故不免或狀蚩尤而近妖),옛 신화의 원래 뜻을 잃었다(失古神話本恉矣)。然용어하도(龍魚河圖)猶謂「황제는 치우의 모양을 그림으로 그려(黃帝遂畫蚩尤形像),세상에 위엄을 떨쳤다(以威天下)」,치우는 옛 전설 속에서 치위와 명망이 높다고 알려졌다(知蚩尤在古傳說中位望高也)。술이기(述異記)잡서(雜敘) 치우일사(蚩尤軼事)云:「치우는 구름과 안개를 만들 수 있다(蚩尤能作雲霧)。탁록은 현재 기주에 있으며(涿鹿今在冀州),치우신은(有蚩尤神),풍속에(俗)云:사람 몸에 소의 발굽이고(人身牛蹄),네 개의 눈에 여섯 개의 손이다(四目六手)。현재 기주 사람들은 땅을 파 뼈다귀를 꺼냈는데(今冀州人掘地得髑髏),구리와 쇠 같았다(如銅鐵者),치우에 뼈다(即蚩尤之骨也)。현재 있는 치우의 이는(今有蚩尤齒),길이가 이 촌이고(長二寸),단단해 부수지 못한다(堅不可碎)。진나라에서 한나라 시절 전설에(秦漢間說):치우씨는 귀밑털이 검과 창 같고(蚩尤氏耳鬢如劍戟),머리에는 뿔이 있으며(頭有角),헌원과 싸울 때(與軒轅鬥),뿔로 사람을 부딪치니(以角觝人),사람들이 나아가지 못했다(人不能向)。현재 기주에 있는 치우희라는 놀이는(今冀州有樂名『치우희(蚩尤戲)』),기주 사람들이 둘 명씩 세 명씩 짝을 지어(其民兩兩三三),머리에 소뿔을 얹고 서로 부딪친다頭戴牛角而相觝)。한나라 시절 각저가 만들어져(漢造角觝),그것이 예로부터 전하여 오는 놀이다(蓋其遺制也)。태원 마을 사이에서(太原村落間),치우신에게 제사 지낼 때는(祭蚩尤神),소머리의 뿔을 사용하지 않는다(不用牛頭)。현재 기주에 있는 치우천은(今冀州有蚩尤川),탁록의 들이다(即涿鹿之野)。한나라 무제 때(漢武時),태원에 있는 치우신의 그림을 보면(太原有蚩尤神晝見),거북의 발에 뱀의 머리다(龜足蛇首);전염병을 막는다 하여(囗疫),그 풍속을 따라 사당을 세웠다(其俗遂為立祠)。」백성들 사이에서 치우의 흥취와 동정이 보인다(亦以見民間於蚩尤之興會與同情也)。

10곽박(郭璞)云:「오래도록 비가 아니 오는 날씨(旱氣在也)。」

11원가기록(珂案):대황남경(大荒南經)云:「창오의 들은(蒼梧之野),순임금과 숙균의 무덤이 있는 곳이다(舜與叔均之所葬也)。」곽박(郭璞)注:「숙균은(叔均),상균이다(商均也)。」대황서경(大荒西經)云:「직의 동생 태새는 수균을 낳았다(稷之弟台璽生叔均)。」해내경(海內經)云:「직의 손자를 숙균이라 한다(稷之孫曰叔均)。」모두 이 숙균이다(均此叔均也):같지 않고 다른 말이 전해진다(傳聞不同而異辭耳)。

12곽박(郭璞)云:「먼 곳에 무리짓다(遠徒之也)。」

13곽박(郭璞)云:「임금의 밭을 관리하다(主田之官)。시경(詩)(대전(大田))云:『농업을 다스리는 신이 있다(田祖有神)。』」

14곽박(郭璞)云:「두려운 것이 드러나 도망가다(畏見逐也)。」학의행(郝懿行)云:「망은 달아남을 좋아한다 일컫는다(亡謂善逃逸也)。」

15곽박(郭璞)云:「물이 있는 방향(向水位也)。」학의행(郝懿行)云:「북쪽으로 가는 사람에게(北行者),적수의 북쪽으로 돌아가라 명하다(令歸赤水之北也)。」

16곽박(郭璞)云:「내쫓으면 반드시 비가 내린다(言逐之必得雨),우선 물길을 없애는 것은(故見先除水道),지금 발을 내쫓는 것이 맞다(今之逐魃是也)。」학의행(郝懿行)云:「예문유취(藝文類聚)一百卷,引신이경(神異經)云:『남쪽에 있는 사람은 키가 이삼 척에(南方有人長二三尺),드러난 몸에 눈은 정수리 위에 있다(袒身而目在頂上),달리면 바람 같아(走行如風),이름을 발이라 한다(名曰魃),보면 나라에 큰 가뭄이 들고(所見之國大旱),가뭄이나 병충해 등으로 풀 한 포기 자라지 않는 땅이 천 리에 이른다(赤地千里)。다른 이름은 학이다(一名狢)。눈에 띈 놈을 잡아서(遇者得之),더러운 곳에 던지면 죽는데(投溷中乃死),가뭄의 재앙이 사라진다(旱災消)。』이는 옛부터 있던 발을 내쫓는 설명(是古有逐魃之說也)。위서재 함평 오 년에 진양에서 죽은 발을 얻었는데(魏書載咸平五年晉陽得死魃),키가 이 척에(長二尺),얼굴과 정수리에 각각 두 개의 눈이 있었다(面頂各二目)。문헌통고(通考)言영융 원년에 장안에서 여발을 붙잡았는데(永隆元年長安獲女魃),키가 일 척하고도 이 촌이다(長尺有二寸)。신이경의 설명이 꾸미지 않았다(然則神異經之說蓋不誣矣)。현재 산서 사람들은 한발의 신체에 흰털이 있다고 주장하며(今山西人說旱魃神體有白毛),날아서 자취를 감추고(飛行絕跡),동쪽으로 어리섞은 사람들이 함께 한발의 일을 때리고 있다(而東齊愚人有打旱魃之事)。그 설명이 허황되고 근거가 없기 때문에(其說怪誕不經),이 정리하여 준비한 글(故備書此正之)。」원가기록(珂案):신이경이 설명한 발은 이 한발의 신화가 변화하고 발전한 것이고(神異經所說之魃當已是旱魃神話之演變),옛부터 전해지는 황제여발이 아니다(非古傳黃帝女魃也)。


有人方食魚,名曰深目民之國1,昐姓,食魚2。

물고기를 잡아먹는 사람이 있는데, 이름을 심목민국이라 하고, 분씨 성을 쓰며, 물고기를 먹는다.


1 원가기록(珂案):심목국(深目國)已見해외북경(海外北經)。

2 곽박(郭璞)云:「오랑캐의 종류(亦胡類),다만 눈의 색이 매우 짙고(但眼絕深),황제 시절의 성이다(黃帝時姓也)。」학의행(郝懿行)云:「분은(昐),부와 문의 반절(府文切),見옥편(玉篇),등과 순 두 글자 모양과 성조 모두 비슷하다(與滕、荀二字形聲俱近)。진어(晉語)說황제의 자식 열 두 성씨 중에 등순씨 성이 있다(黃帝之子十二姓中有滕荀),곽박은 원래 분이 등이나 순을 쓴 것으로 의심했기 때문에( 疑郭本昐作滕或荀),황제 시절의 성씨라 한다(故注云黃帝時姓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황제 시절 성씨는(黃帝時姓),송본(宋本)、모의(毛扆)本作황제 시절에 이르러(黃帝時至),과연 그러하다 학의행의 이 설명이 삭제했다고 할 수 있다(果爾則학의행(郝)此注可刪矣)。


有鍾山者。

종산이 있다.


有女子衣青衣,名曰赤水女子獻1。

푸른 옷을 입은 여자가 있는데, 이름을 적수여자헌이라 한다.


1 곽박(郭璞)云:「여신이다(神女也)。」오승지(吳承志)云:「헌은 발로 써야 한다(獻當作魃)。앞쪽 글에 있는 푸른 옷을 입은 사람의 이름을 황제여발이라 하는데(上文有人衣青衣名曰黃帝女魃),적수의 북쪽에 살게 하였다(後置之赤水之北),적수여자발은 황제여발이다(赤水女子魃即黃帝女魃也)。이 글은 원래 앞쪽 글귀의 다른 글자이고(此文當本上句之異文),비교되는 두 글은(校者兩存之),뒤죽박죽이다(遂成歧出耳)。」원가기록(珂案):오승지(吳)說의심(疑是)。이 헌은 원래 발로 쓴 것으로 의심 되고(疑此獻本作魃),앞쪽 글에 모든 발자의 다른 글자로 되어 있고(所以為前文諸字之「다른 글자(異文)」);뒤쪽과 앞쪽 글 모든 발자는 모두 고쳐서 발이 되어야 하고(迨後前文諸字均改為魃),이 발자 역시 잘못되어 헌이 되었다(此魃字亦遂訛為獻耳)。


大荒之中,有山名曰融父山,順水入焉1。

대황의 안에, 융보산이라는 산이 있는데, 여기서 순수가 나온다.


有人名曰犬戎。

이름이 견융이라는 사람이 있다.


黃帝生苗龍,苗龍生融吾,融吾生弄2明,弄明生白犬3,白犬有牝牡4,是為犬戎,肉食。

황제는 모룡을 낳았고, 모룡은 융오를 낳았고, 융오는 농명을 낳았고, 농명은 백견을 낳았다, 백견은 암컷과 수컷이 있는데, 이들이 견융이 되었으며, 고기를 먹는다.


有赤獸,馬狀無首,名曰戎宣王尸5。

붉은 짐승이 있는데, 머리가 없는 말 모양이다, 이름을 융선왕시라 한다.


1 원가기록(珂案):앞쪽 글자(上文)云:「순산이 있고(有順山者),여기서 순수가 나온다(順水出焉)。」即此。

2 곽박(郭璞)云:「一作변(卞)。」

3 학의행(郝懿行)云:「한서(漢書) 흉노전(匈奴傳)注引 이 경문에 농명으로 쓰였고(此經作弄明),사기(史記) 주본기(周本紀) 정의(正義)引 이 경문에 병명으로 쓰였으며(此經作并明),병과 변은 모양과 성조가 잘못 전해진 것으로 의심(并與卞疑形聲之訛轉)。흉노전(匈奴傳) 색은(索隱)引이 경문 역시 병명으로 쓰여 있다(此經亦作并明)。又云『황제는 묘를 낳았고(黃帝生苗),묘는 용을 낳았고(苗生龍),용은 융을 낳았고(龍生融),융은 오를 낳았고(融生吾),오는 병명을 낳았고(吾生并明),병명은 백을 낳았고(并明生白),백은 견을 낳았다(白生犬),견은 두 장이 있는데(犬有二壯),이들이 견융이 되었다(是為犬戎)。』所引한 사람은(一人),모두 두 사람이 되었고(俱為兩人),자세하지 않다(所未詳聞)。」

4 곽박(郭璞)云:「자기들끼리 서로 합치다(言自相配合也)。」학의행(郝懿行)云:「사기(史記) 주본기(周本紀) 정의(正義)、한서(漢書) 흉노전(匈奴傳)注引이 경문 모두 백견은 암컷과 수컷 두 가지로 쓰여 있다(此經並作白犬有二牝牡),이른바 두 사람의 용모가 암컷과 수컷으로 되어 있다(蓋謂所生二人相為牝牡也)。장경본(藏經本) 백견 두 개는 암컷과 수컷이 있다(作白犬二犬有牝牡),뒤의 견자는 덧붙인 것으로 의심(下犬字疑衍)。」

5 곽박(郭璞)云:「견융 신의 이름(犬戎之神名也)。」

   원가기록(珂案):견융신화는 반호신화의 다른 이야기이고(犬戎神話蓋盤瓠神話之異聞),說已見해내북경(海內北經)「견봉국(犬封國)」節注。이것은 다른 신화는)此一神話),或又與해내경(海內經)所記「황제는 낙명을 낳았고(黃帝生駱明),낙명은 백마를 낳았고(駱明生白馬),백마는 곤이 되었다(白馬是為鯀)」有關,같은 신화가 나누어져 달라짐(或亦同一神話之分化也)。이 경문(此經)「말 모양에 머리는 없고(馬狀無首),이름을 융선왕시라 한다(名曰戎宣王尸)」之「견융의 신(犬戎之神)」,이는 죽임을 당한 뒤의 곤이 아닐까(其遭刑戮以後之鯀乎)?알 수 없다(不可知已)。


有山名曰齊州之山、君山、𩱕山1、鮮野山、魚山。

이름이 제주산과 군산과 잠산과 선야산과 어산이라는 산이 있다.


1 곽박(郭璞)云:「音잠(潛)。」


有人一目,當面中生1,一曰是威姓,少昊之子,食黍2。

눈이 한 개인 사람이 있는데, 눈이 얼굴 가운데 자리하고 있다,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이들은 위씨 성을 쓰고, 소호의 자식이며, 기장을 먹는다.


1 학의행(郝懿行)云:「이 사람들은 일목국이다(此人即一目國也),見해외북경(海外北經)。『얼굴 가운데 자리하고 있다(當面中生)』네 글자는(四字),장경본(藏經本)作곽박(郭)注,틀렸다(非)。」

2 원가기록(珂案):해내북경(海內北經)有귀국(鬼國),亦即此;위와 귀는 발음이 비슷하다(威、鬼音近)。


有繼無民,繼無民任姓1,無骨子2,食氣、魚3。

계무민이 있는데, 계무민은 임씨 성을 쓰고, 뼈대가 없으며, 기운과 물고기를 먹는다.


1 원가기록(珂案):경문에 두 글자(經文二)「계무(繼無)」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均校作「무계(無繼)」,即앞쪽 글에 무계다(上文無繼也)。

2 곽박(郭璞)云:「뼈가 없는 사람이 있다(言有無骨人也)。시자(尸子)曰:『서언왕은 힘줄은 있고 뼈는 없다(徐偃王有筋無骨)。』」원가기록(珂案):무골은(無骨),뒤쪽 글에 우려국(即下文牛黎之國),亦即해외북경(海外北經) 유리국(柔利國也)。유리와 우려의 발음은 모두 서로 비슷하다(柔利、牛黎音皆相近),見해외북경(海外北經)「유리국(柔利國)」節注。

3 학의행(郝懿行)云:「기운과 물고기를 먹는 사람(食氣、魚者),이 사람은 기운을 먹는 동시에 물고기도 먹는다(此人食氣兼食魚也)。대대례(大戴禮) 역본명편(易本命篇)云:『기를 먹는 사람은 정신이 맑어져 장수한다(食氣者神明而壽)。』」


西北海外,流沙之東,有國曰中1,顓頊之子,食黍。

서북쪽 바다 밖, 사막의 동쪽, 중편이라는 나라가 있는데, 전욱의 자식이고, 기장을 먹는다.


1 학의행(郝懿行)云:「편은(䡢),옥편(玉篇)云:부와 선의 반절(符善切);집운(集韻)云:비와 선의 반절(婢善切),音편(扁)。장경본(藏經本) 편은 륜으로 쓰여 있다(作輪)。」원가기록(珂案):하작(何焯)校송본(宋本)亦作륜(輪)。


有國名曰賴丘。

뇌구라는 나라가 있다.


有犬戎國1。

견융국이 있다.


有神2,人面獸身,名曰犬戎。

신이 있다는데, 사람 얼굴에 짐승의 몸이고, 이름을 견융이라 한다.


1 원가기록(珂案):견융국(犬戎國)已見해내북경(海內北經),亦即이 경문 앞쪽 글의 견융이다(此經上文之犬戎也)。

2 학의행(郝懿行)云:「견융은(犬戎),황제의 현손이고(黃帝之玄孫),已見앞쪽 글(上文),이 견융 역시 사람이다(是犬戎亦人也),신자는 잘못된 글자로 의심(神字疑訛_。사기(史記) 주본기(周本紀) 집해(集解)引이 경문에는 인자로 쓰여 있다(此經正作人字)。」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校同학의행(郝)注;신자는 근거에 의해 고쳐야 함(神字應據改)。


西北海外,黑水之北,有人有翼,名曰苗民1。

서북쪽 바다 밖, 흑수의 북쪽에, 날개가 달린 사람이 있는데, 이름을 묘민이라 한다.


顓頊生驩頭,驩頭生苗民2,苗民釐姓3,食肉。

전욱은 환두를 낳았고, 환두는 묘민을 낳았다, 묘민은 희씨 성을 쓰고, 고기를 먹는다.


有山名曰章山。

이름이 장산이라는 산이 있다.


1 곽박(郭璞)云:「삼묘의 백성(三苗之民)。」원가기록(珂案):삼묘국(三苗國)已見해외남경(海外南經)。신이경(神異經) 서황경(西荒經)云:「서쪽 황무지 안에 있는 사람은(西方荒中有人),얼굴과 눈과 손과 발이 모두 사람 모양이고(面目手足皆人形),겨드랑이 아래에 날개가 있으나(而胳下有翼),날지 못한다(不能飛);사람의 됨됨가 도철 같아(為人饕餮),음탕하고 방종하며 도리가 없다(淫逸無理),이름을 묘민이라 한다(名曰苗民)。」說本此。

2 원가기록(珂案):환두국(驩頭國)亦見해외남경(海外南經),단주국이다(即丹朱國也)。此云『환두는 묘민을 낳았다(驩頭生苗民)』者,단주와 묘민신화의 다른 이야기(蓋丹朱與苗民神話之異傳),확실히 이 두 부족은 관계가 밀접하다(明此兩族關係密切也)。

3 원가기록(珂案):리와 희는 같고(釐與僖同),說見上「대인국(大人國)」節注。묘민 역시 황제의 후손이다(苗民亦黃帝之裔也)。


大荒之中,有衡石山、九陰山、泂野之山1,上有赤樹,青葉,赤華,名曰若木2。

대황의 안에는, 형석산과 구음산과 형야산이 있는데, 산 위에 있는 붉은 나무들은, 푸른 잎에, 붉은 꽃이며, 이름을 약목이라 한다.


1 학의행(郝懿行)云:「수경(水經) 약수(若水)注、문선(文選) 감천부(甘泉賦)及월부(月賦)注、예문유취(藝文類聚)八十九卷引이 경문 모두 화야의 산이로 쓰여 있다(此經並作灰野之山)。」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及장경본(藏經本)正作화야의 산(灰野之山),근거에 의해 고쳐야 함(應據改)。

2 곽박(郭璞)云:「곤륜 서쪽 부근 서쪽 끝자락에서 자라고(生昆侖西附西極),그 빛이 몸을 드러내고 아래를 비춘다(其華光赤下照地)。」학의행(郝懿行)云:「약은(若),설문해자(說文)(六)作약(叒),云『해가 처음 나와 동쪽 탕곡의 부상에 오르다(日初出東方湯谷所登榑桑),약은(叒),나무다(木也),상형문자(象形)。』현재 기록(今案) 설문해자(說文)所言이 동쪽 끝자락에 약목은(是東極若木),이 경문(此經)及해내경(海內經)所說乃서쪽 끝자락 약목(西極若木),같은 곳이 아니다(不得同也)。이소(離騷)云:『약목을 꺽고 해를 가리다(折若木以拂日)。』왕일(王逸)注云:『약목은 곤륜 서쪽 끝자락에 있고(若木在昆侖西極),그 빛은 아래의 땅을 비춘다(其華照下地)。』회남자(淮南) 지형훈(墬形訓)云:『약목은 건목 서쪽에 있고(若木在建木西),꼭대기에 열 개의 해가 있으며(末有十日),그 빛이 아래의 땅까지 비추네(其華照下地)。』皆곽박(郭)注所本也。又문선(文選) 월부(月賦)注引 이 경문은 약목 뒤에 다섯 글자가 있다(此經若木下有『해가 들어가는 곳(日之所入處)』五字)。수경(水經) 약수(若水)注引이 경문은 약목 뒤쪽에 여덟 글자가 있다(此經若木下有『곤륜산 서쪽 부근 서쪽 끝자락에서 자란다(生昆侖山西附西極)』八字),증거(證)以왕일(王逸) 이소(離騷)注『약목은 곤륜 서쪽 끝자락에 있다(若木在昆侖西極)』,則知수경(水經)注所引여덟 글자(八字),옛 책 경문에 있다(古本蓋在經文),현재는 곽박의 설명에만 잘못 들어감(今誤入郭注爾)。又곽박(郭)注『그 빛이 몸을 드러내고 아래를 비춘다(其華光赤下照地)』,왕일(王逸) 이소(離騷)注亦有『그 빛은 아래의 땅을 비춘다(其華照下地)』다섯 글자(五字),이러한 서로의 근거가(以此互證),이 글귀 역시 경문 속에 있다고 의심(疑此句亦當在經中),현재 책에는 잘못들어간 설명(今本誤入注也)。」


有牛黎之國1。

우려국이 있다.


有人無骨,儋耳之子2。

무골이라는 사람이 있는데, 담이의 자식이다.


1 원가기록(珂案):우려국(牛黎之國)即해외북경(海外北經) 유리국이다(柔利國也),그곳 사람들은 무릎이 반대로 돌아가 있으며 발이 굽어 위로 되있다(其人反曲足居上),故此經云「무골(無骨)」矣。

2 곽박(郭璞)云:「담이 사람은 무골자를 낳았다(儋耳人生無骨子也)。」원가기록(珂案):담이(儋耳)已見前。


西北海之外,赤水之北,有章尾山1。

서북쪽 바다의 밖, 적수의 북쪽에, 장미산이 있다.


有神,人面蛇身而赤2,直目正乘3,其瞑4乃晦,其視乃明5,不食不寢不息,風雨是謁6。

신이 있는데, 사람 얼굴에 붉은 빛 뱀의 몸이며, 눈을 세로로 뜨는데, 그 눈을 감으면 어두워지고, 그 눈을 뜨면 밝아진다, 먹지도 않고 자지도 않으며 쉬지도 않는다, 이것은 비바람을 부른다.


是燭九陰7,是謂燭龍8。

이것은 비밀리에 사사로이 일을 행하거나 청탁하는 것을 꿰뚫어 본다, 이것을 촉룡이라 일컫는다.


1 원가기록(珂案):해외북경(海外北經)作종산(鍾山),이 장미산으로 쓰는데(此作章尾山),장과 종은 비스하기 때문이다(章、鍾聲近而轉也)。

2 곽박(郭璞)云:「몸의 길이가 천 리에 이른다(身長千里)。」왕념손(王念孫)云:「몸의 길이가 천 리에 이른다는 네 글자 역시 본문에 잘못 들어감(身長千里四字亦正文誤入注)。태평어람(御覽) 신귀부(神鬼部)二(卷八八二)그르치지 아니함(不誤),예문유취(類聚) 영이(靈異)下(卷七十九)같다(同),다만 척으로 쓰여 있다(唯作尺)。」원가기록(珂案):해외북경(海外北經) 경문 역시 네 글자가 있는데(經文亦有「몸의 길이가 천 리에 이른다(身長千里)」四字),부족한 근거가(足證)곽박(郭)此注확실히 얽혀 경문에 잘못 들어감(確係經文誤入)。

3 곽박(郭璞)云:「직목은(直目),목종이다(目從也);뜻을 아직 듣지 못함(正乘未聞)。」필원(畢沅)云:「승은 아마도 징조를 임시로 빌린 발음이고(乘恐朕字假音),속자로 진으로 쓴다(俗作眹也)。」원가기록(珂案):짐의 뜻은 원래 배를 이끄는 이음새고(朕義本訓舟縫),거듭 인용하여(引申之),다른 물건을 서로 맞대어 꿰매는 것(他物交縫處),모두 짐이라 한다(皆得曰朕)。이 말은 촉룡의 눈이 빈틈이 없이 똑바로 서다(此言燭龍之目合縫處直也)。

4 원가기록(珂案):문선(文選) 사현부(思玄賦) 이선(李善)注、예문유취(類聚)七十九引이 경문 모두 면으로 쓰여 있다(此經並作眠),속자다(俗字也)。

5 곽박(郭璞)云:「보면 낮이 되고(言視為晝),잠자면 밤이 된다(眠為夜也)。」

6 곽박(郭璞)云:「비바람을 부를 수 있다(言能請致風雨)。」필원(畢沅)云:「알은(謁),열자를 임시로 빌린 발음(噎字假音)。」원가기록(珂案):필원(畢)說맞다(是也),비바람으로 현혹케한다(言以風雨為食也)。

7 곽박(郭璞)云:「구음의 어두운 그림자를 비춘다(照九陰之幽陰也)。」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장경본(藏經本)、모의(毛扆)本어두운 그림자는 으슥한 곳이라 쓴다(幽陰作幽隱),맞다(是也)。

8 곽박(郭璞)曰:「이소(離騷)曰:『해는 어찌 이르지 못했는가(日安不到)?촉룡은 무엇을 비추는가(燭龍何燿)?』시함신무(詩含神霧)曰:『하늘을 서북쪽이 모라자고(天不足西北),음양의 알림이 있고 없으므로(無有陰陽消息),용은 불의 정기를 머금고 있는 동안 천문 속에서 비춘다(故有龍銜精以往照天門中)』云。회남자(淮南子)曰:『위우산을 덮고 있어(蔽於委羽之山),하늘의 해를 보지 못한다(不見天日也)。』」학의행(郝懿行)云:「초사(楚詞) 천문(天問)作『촉룡은 무엇을 비추나(燭龍何照)』,곽박(郭)引조는 요로 쓰여 있다(照作燿也)。이선(李善)注설부(雪賦)引시함신무(詩含神霧)云:『용은 불의 정기를 머금다 천문 속에서 비춘다(有龍銜火精以照天門中)』,此注所引화자가 빠짐(脫火字也)(장경본(藏經本) 곽박(郭)注正作불의 정기(火精)——珂)。又引회남자(淮南子)者,지형훈(墬形訓)云:『촉룡은 안문 북쪽에 있어(燭龍在鴈門北),위우산을 덮고 있으니(蔽於委羽之山),해를 보지 못한다(不見日)。』고유(高誘)注云:『위우는(委羽),북쪽 산의 이름(北方山名)。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一曰):용이 빛을 머금고 태음을 비춘다(龍銜燭以照太陰),길이기 천 리에 이른다(蓋長千里)。』云云。」원가기록(珂案):경문에서 일컫는 촉룡은(經文是謂燭龍),문선(文選) 사현부(思玄賦) 이선(李善)注引作「이것은 촉음이라 일컫는다(是謂燭陰);곽박(郭璞)曰:촉룡이다(即燭龍也)」。촉음신화 관련(關於燭陰神話)已見해외북경(海外北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