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황서경(大荒西經) 번역

산해경/대황서경 2018. 2. 28. 00:00

有國名曰淑士,顓頊之子1。

숙사라 불리는 나라가 있는데, 전욱의 자식이다.


1 곽박(郭璞)云:「고양씨로부터 나왔다고 한다(言亦出自高陽氏也)。」


西北海之外,大荒之隅,有山而不合,名曰不周負子1,有兩黃獸守之。

서북쪽 바다의 밖, 대황의 구석에, 모여있지 않은 산이 있는데, 이름을 부주부자라 한다, 두 마리 누런 짐승이 지키고 있다.


有水曰寒暑之水2。

한서수라는 물이 있다.


水西有濕山,水東有幕山3。

물 서쪽에 습산이 있고, 물 동쪽에 막산이 있다.


有禹攻共工國山4。

우임금이 공공국을 공격한 산이 있다.


1 곽박(郭璞)曰:「회남자(淮南子)曰:『옛날에 공공과 전욱은 임금이 되기위해 다투었는데(昔者共工與顓頊爭帝),공공이 화를 내며 부주산을 들이받아(怒而觸不周之山),천추가 끊어지고(天維絕),지유가 부러졌다(地柱折)。』그래서 현재 이 산이 완전하지 못하고 이지러져 무너짐(故今此山缺壞不周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引회남자(淮南子) 천문편(天文篇) 글(文)。현재 책(今本)云:「옛날에 공공과 전욱은 임금이 되기위해 다투었는데(昔者共工與顓頊爭為帝),공공이 화를 내며 부주산을 들이받아(怒而觸不周之山),천추가 부러지고(天柱折),지유가 끊어졌다(地維絕)。하늘이 서북쪽으로 기울었기 때문에(天傾西北),해와 달과 별들이 여기로 이동하였다(故日月星辰移焉);땅이 동남쪽으로 푹 꺼져있기 때문에(地不滿東南),물과 비와 티끌이 여기로 돌아온다(故水潦塵埃歸焉)。」현재 쓰여진(今作)「추가 부러지고(天柱折),지유가 끊어졌다(地維絕)」(논형(論衡) 담천편(談天篇)、열자(列子) 탕문편(湯問篇)並同)다르게 되어있다(為異)。초사(楚辭) 천문(天問)云:「강회가 크게 성내니(康回馮怒),땅이 왜 동남쪽으로 기울었나(墬何故以東南傾)?」왕일(王逸)注云:「강회는(康回),공공의 이름이다(共工名也)。」又引회남자(淮南子),이 설명과 같다(與此注同)。여러 부분이 책과 다르다(蓋各所見本異也)。경문(經文)「부주부자(不周負子)」,문선(文選) 감천부(甘泉賦)、사현부(思玄賦)注及태평어람(太平御覽)卷五九引모두 부자 두 글자는 없다(並無「부자(負子)」二字),곽박(郭)注亦祗釋「부주(不周)」,「부자(負子)」두 글자는 덧붙은 글자(二字蓋衍文)。서차삼경(西次三經)云:「부주산은(不周之山),북쪽으로 제비산을 바라보고(北望諸毗之山),맞은편의 악숭산과 가까이 마주하고 있으며(臨彼嶽崇之山),동쪽으로 유택을 바라보고(東望泑澤),황하로 들어간다(河水所潛也)。여기 아름다운 과일이 있는데(爰有嘉果),그 열매는 복숭아 같고(其實如桃),그 잎은 대추나무 같으며(其葉如棗),꽃받침이 붉은 누런 꽃이 핀다(黃華而赤柎),먹으면 근심이 안 생긴다(食之不勞)。」곽박(郭璞)注云:「이산은 모양은 완전하지 못하고 이지러져 무너진 곳이 있어(此山形有缺壞不周處),이러한 이름이 되었다(因名)。서북쪽 부주풍은 이 산으로 부터 나온다(云西北不周風自此山出)。」即此。

2 원가기록(珂案):삼여첩(三餘帖)(見百二十卷本설부(說郛))云:「반양천(半陽泉)。직녀를 이곳을 지나 동자에게 보냈다고 전해지는데(世傳織女送董子(동영(董永))經此),동자가 슬퍼하며 마실려고(董子思飲),양북수에 입을 대며(揚北水與之), 춥다고 하였고(曰:『한(寒)。』) 직녀가 물에게 따뜻해져라하고 빌며(織女因祝水令暖),또 따뜻해라고 말하면서(又曰:『열(熱)。』) 여섯 가지 장신구를 뿌렸다(乃撥六英寶釵),하나씩 뿌리고 빌자(祝而畫之),물이 반은 차가워지고 반은 따뜻해져서(於是半寒半熱),서로 어울리며 마셨다(相和與飲)。」경문의 한서수는(經文寒暑之水),이런 종류 아닐까(亦斯之類與)?

3 곽박(郭璞)云:「音막(莫)。」

4 곽박(郭璞)云:「그 나라를 공격한다라는 말은(言攻其國),이 산에서 공공의 신하 상류를 죽였다(殺其臣相柳於此山)。(귀장(歸藏))(啟筮)曰:『공공은 사람 얼굴에(共工人面),뱀의 몸이고(蛇身),붉은 갈기가 있다(朱髮)』也。」

   원가기록(珂案):이 경문에 기록된(此經所記),두 가지 일이 있는데(蓋有二事),모두 공공 신화의 떨어진 부분이 흩어진 것으로 보인다(均共工神話之零片散見於此者)。一曰「옛날에 공공과 전욱은 임금이 되기위해 다투었는데(共工與顓頊爭為帝),공공이 화를 내며 부주산을 들이받았다(怒而觸不周之山)」,이 부주는 산의 이름이고(是以山名不周),곽박(郭)注引회남자(淮南子) 천문편(天文篇) 文是已。一曰우임금이 홍수를 다스리며(禹治洪水),공공을 쫓아냈고(逐共工),곽박(郭)引해외북경(海外北經) 우임금이 상류를 죽일 일(禹殺相柳(대황북경(大荒北經)作『상요(相繇)』)事是已)。자세한 것은(然細按之),공공과 전욱의 싸움과 우임금의 싸움이(共工與顓頊爭及共工與禹爭),단지 황제와 염제의 투쟁신화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要無非黃炎鬥爭神話之餘緒而已)。그 싸움의 상대가 같지 않고(以其所爭之對象不同),그 사람 역시 직접적이거나(而其人亦或為正面),다른 일면이고(或為反面),모든 신화가 널리 퍼져 변화 발전하였고(蓋皆神話流傳之演變),일률적으로 논하는 것이 아닐 수 있으며(可以一概而論也),자세한 설명은 이미(說已詳)해외북경(海外北經)「우임금이 상류를 죽였다(禹殺相柳_」節注中。곽박(郭)注引귀장계서(歸藏啟筮)「공공은 사람 얼굴에(共工人面),뱀의 몸이고(蛇身),붉은 갈기가 있다(朱髮)」,신이경(神異經)亦引쓰여 있으며(述之),而云「욕심이 많고 어리석으며 융통성이 없이 올곧고 고집이 세다(貪惡愚頑)」,흉보고 헐뜯다(則亦詆毀之甚矣)。


有神十人,名曰女媧之腸1,化為神,處栗廣之野2,橫道而處3。

열 명의 신이 있는데, 이름을 여과장이라 하며, 죽어서 신이 되었다, 율광의 들에 사는데, 길을 끊으며 산다.


1 곽박(郭璞)云:「或作여과복(女媧之腹)。」

2 곽박(郭璞)云:「여과는(女媧),옛 황제 시절 신인데(古神女而帝者),사람 얼굴에 뱀의 몸이고(人面蛇身),하루 종일 칠십 번 바뀌며(一日中七十變),그 배가 변하여 이 신이 되었다(其腹化為此神)。율광은(栗廣),들판의 이름이다(野名)。와는(媧),音과(瓜)。」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그 배가 변하여 이 신이 되었다(其腹化為此神)」,장경(藏經)本복은 장으로 쓰여 있고(腹作腸),태평어람(太平御覽)卷七八引同。

3 곽박(郭璞)云:「모든 번뇌를 끊는 수행이다(言斷道也)。」

   원가기록(珂案):여과의 이름은(女媧之名),처음 초사 천문에 나온다(首見於楚辭天問),云:「여과의 몸은(女媧有體),누가 그리 많들었을까(孰制匠之)?」왕일(王逸)注云:「떠도는 말에 여과는 사람 머리에 뱀의 몸이고(傳言女媧人頭蛇身),하루 종일 칠십 번 변하니(一日七十化),그 몸이 이와 같은데(其體如此),누가 그림을 그릴 수 있겠는가(誰所制匠而圖之乎)?」왕일의 뜻 기록이나 천문에서 일컫는 이 말은 여과가 사람을 만든 신화를 물어보는 것이기 때문에(案王之意或謂天問此語當因女媧造人神話而設問),여과가 다른 사람의 몸을 만들었다는 뜻이고(意謂女媧造就他人身體),그(其「사람 머리에 뱀의 몸이고(人頭蛇身),하루 종일 칠십 번 변하다(一日七十化)」之「체(體)」)又여과의 몸은 누가 처음 만들었는가(是誰所創造乎)?여과가 사람을 만든 신화(女媧造人神話) 두 번째(有二),一則풍속통의(風俗通)기록에(所記者),云:「일반적으로 전해지는 천지개벽은(俗說天地開闢),아직 사람이 없어서(未有人民),여과가 황토를 뭉쳐 사람을 만들다(女媧摶黃土作人),바쁘게 일을했는데(劇務),쉴 틈 없이 힘을 쓰다 지쳐서(力不暇供),진흙 안에 노끈을 집어넣고(乃引繩於泥中),들어서 사람을 만들었다(舉以為人)。부귀한 사람들은(故富貴者),황토인이다(黃土人);가난하고 천하거나 아주 평범한 사람들은(貧賤凡庸者),긍자다(人也)。」(태평어람(太平御覽)卷七八引)가난하고 천하거나 아주 평범한 사람들을 나누어(貧富貴賤之別),이는 계급 사회의 계급이 지워지지 않는 흔적이고(乃階級社會階級烙印),신화의 근본적인 뜻이 아니며(非神話本旨),말한 것도 업이 만들어졌다 할 수 있다(置勿論可也)。이 여과가 사람을 만든 신화가 아주 명백하게 드러나서 두드러지다(此女媧造人神話之彰明顯著者也)。一則見諸회남자(淮南子) 설림편(說林篇),비교적 의미가 뚜렷하지 않다(較隱晦),云:「황제는 음양을 낳았고(黃帝生陰陽),상변은 이목을 낳았고(上駢生耳目),상림은 비수를 낳았다(桑林生臂手),이곳이 여과가 칠십 번 변한 곳이다(此女媧所以七十化也)。」고유(高誘)注云:「황제는(黃帝),옛 천신이다(古天神也),처음 사람을 만들 때(始造人之時),변하여 음양을 낳았다(化生陰陽)。상변과 상림은 모두 신의 이름이다(上駢、桑林皆神名)。」이것은 여과가 여러 신들이 사람을 만드는 신화의 당사자가 되었다(則是以女媧為主之諸神造人神話也)。「황제가 음양을 낳았다(黃帝生陰陽)」,음양은 음양의 바탕이 생식기로 의심된다(疑陰陽即陰陽性性器官)。「여과가 칠십 번 변하다(女媧七十化)」,「화(化)」當作「낳고 기르다(化育)」풀이(解)。설문해자(說文)十二云:「여과는(女媧),옛 신성녀고(古之神聖女),온갖 것으로 변하는 사람이다(化萬物者也)。」即此「낳고 기르다(化育)」의 뜻이다(之意也)。곽박(郭)此注本諸회남자(淮南子),而以「변(變)」釋「화(化)」,謂「칠십 번 변하다(七十化)」為「칠십 번 변하다(七十變)」,원래 뜻을 잃다(失本旨矣)。이 여과의 묘사는 사람을 낳고 기르는 종류의 과정 속에 많이 있고(此寫女媧在多次誕育人類之過程中),여러 신들이 함께 모여 사람을 만드는 일을 하고(諸神俱同參加造人工作),여과를 도와 음양의 바탕이 생식기를 낳으며(有助其生陰陽性性器官者),음양을 도와 이목과 비수를 낳게 하다(有助其生耳目臂手者)。유감스럽게도 글의 뜻이 뚜렷하지 않고(惜詞旨隱晦),오래되고 사라져 전해지지 않는다(竟沈堙不傳)。여과의 업적은(女媧功烈),사람을 만든 것뿐만 아니고(非僅造人),하늘을 메운 일도 있다(又兼補天) 보천은 연석보천의 뜻이다(鍊石補天)。회남자(淮南子) 남명편(覽冥篇)云:「옛날에(往古之時),하늘을 바치는 기둥이 무너지고(四極廢),구주가 찢어져(九州裂),하늘을 겹쳐서 포개 덮지 못하고(天不兼覆),땅을 두루 떠받들지 못하여(地不周載),불이 번져 불꽃이 없어지지 아니하였고(火爁炎而不滅),물이 넘쳐나 멈추질 않았다(水浩洋而不息),사나운 짐승은 우매한 백성을 먹고(猛獸食顓民),사나운 새는 늙은이와 어린이만 낚아챈다(鷙鳥攫老弱)。그래서 여과가 여러 빛깔의 돌을 달구어 푸른 하늘을 메웠고(於是女媧煉五色石以補蒼天),자라의 발을 잘라 하늘을 바치는 기둥으로 세웠으며(斷鼇足以立四極),흑룡을 죽여 기주를 구제하였다(殺黑龍以濟冀州),갈대를 태운 재를 쌓아 홍수를 멈추게 하였다(積蘆灰以止淫水)。」이 여과는(是女媧者),그야말로 하늘과 땅이 처음 열리고 혼잡한 반고의 큰 신이다(誠天地初闢摩肩盤古之大神矣)。이 경문 기록에 여과장이 변해 율광의 들이라는 곳에서 열 명의 신이 되었고(宜此經記女媧之腸化為十神而處栗廣之野),반고가 죽어 가면서 변한 몸이 사극과 오악과 해와 달과 별들이 되었다(蓋猶盤古垂死化身而為四極五岳、日月星辰也)。옛 문서의 기록에 여과가 하늘을 메꿨다는(然古籍記女媧補天),공공 신화와 연관되어 있다(或又牽連於共工神話中)。논형(論衡) 담천편(談天篇)云:「공공과 전욱은 천자가 되기위해 싸웠으나(共工與顓頊爭為天子),견뎌내지 못하고(不勝),성을 내며 부주산에 부딪쳤고(怒而觸不周之山),그리하여 천추가 부러지고(使天柱折),지유가 끊어졌다(地維絕)。여과는 여러 빛깔의 돌을 녹이고 달궈 푸른 하늘을 메꾸고(女媧銷煉五色石以補蒼天),자라의 다리를 잘라 하늘을 바치는 기둥으로 세웠다(斷鼇足以立四極)。하늘의 서북쪽이 모자라(天不足西北),해와 달이 여기로 옮겨졌다(故日月移焉);땅의 동남쪽이 모자라(地不足東南),수많은 강물이 여기로 들어온다(故百川注焉)。」그 뒤(其後) 사기(史記) 사마정(司馬貞) 보충(補) 삼황본기(三皇本紀) 이로 인해(因之),여과가 하늘을 메웠다고 말한다(亦說女媧補天),공공이 산에 부딪침으로 인해 하늘과 땅이 부러지고 끊어졌고(是因共工觸山而使天地殘毀之故),공공에게 주어진 다툼의 대상 전욱은 축융이 되었다고 할 수 없다(不過易共工所與爭之對象顓頊為祝融而已)。두 글이 만약 틀리고 잘못 전해진 것이라면(二文若非訛傳),잘못된 기록이 얽혀(即係誤記),옛 신화의 원래 모습을 아직 얻지 못했다(實未得古神話本貌)。옛 신화에 여과가 하늘을 메꾼 하나의 일이 있고(古神話蓋以女媧補天為一事),공공이 산에 부딪친 하나의 일이 있다(共工觸山又為一事),두 가지 모두 서로 관계가 없다(二者並不相涉也)。여과가 메꿨다는 하늘은(女媧所補之「천(天)」),홍고 시절에(乃洪古時代),오늘날 무엇 때문인지 자세히 알 수 없다(由於今已不能詳悉之某種原因)——자연계가 크게 바뀌고 달라지거나 신국이 크게 뒤죽박죽되지다(自然界大變動或神國大擾亂)——하늘과 땅이 크게 부러지고 끊어지다의 하늘을 초래하다(所導致之「하늘을 바치는 기둥이 무너지고(四極廢)、구주가 찢어지다(九州裂)」之天地大殘毀之「천(天)」),그래서 이런 말이 있다(故有「자라의 다리를 잘라 하늘을 바치는 기둥으로 세웠다(斷鼇足以立四極)」等語)。공공이 산에 부딪쳐 파괴되어 만들어지다(而共工觸山所造成之毀壞),형세가 더 적게되고(則局面較小),다만(僅「하늘이 서북쪽으로 기울고(天傾西北),땅이 동남쪽으로 푹 꺼지다(地不滿東南)」),파괴된 뒤에(且毀壞以後),현재까지 새로 고쳤다고 듣지 못했으며(至今未聞修復),처름 해와 달이 서쪽으로 옮겨지고(故始日月西移),수많은 ㄴ강물이 동쪽으로 들어오며(百川東注),부주산이 무너져 에워싸지 못하다(不周壞而不帀)。부주산은(且不周),천추다(天柱也),공공이 산에 부딪쳐(共工觸山「천추가 부러지다(折天柱)」者),하늘을 받치는 하나의 기둥이 부러졌다(折天之一柱也),여과가 자라의 발을 잘라 하늘을 바치는 기둥을 세우게 되었는가(又何用女媧「자라의 발을 잘라 하늘을 바치는 기둥으로 세우다(斷鼇足以立四極)」為)?산에 부딪친 것과 하늘을 메운 것은 서로 관계가 없는 것이 확실하다(則觸山與補天之不相涉也明矣)。하늘을 메운 신화는 물론 산에 부딪친 신화의 앞쪽에 있다(補天神話自應在觸山神話之前)。여과 신화는(又女媧神話),조금 뒤에 나오는 복희 신화와 더불어 서로 합쳐지며(稍後又與伏羲神話相結合),여과와 복희는 오누이가 결혼을 하여 번식을 하는 사람의 종류를 일컫는다(謂女媧、伏羲兄妹締婚而繁衍人類)。통지(通志)卷一삼황기(三皇紀)第一引춘추세보(春秋世譜)云:「화서가 낳은 남자는 복희가 되었고(華胥生男子為伏羲),여자는 여과 되었다(女子為女媧)。」한나라 시대 돌에 새긴 그림 모양과 전해지는 그림에(而漢代石刻畫象與塼畫中),항상 사람 얼굴에 뱀의 몸을 한 복희와 여와가 교미하는 모양이 있다(恆有人面蛇身之伏羲、女媧交尾象)。문선(文選) 왕문고(王文考) 노나라(魯) 영광전부(靈光殿賦)亦云:「복희는 비늘이 달리 몸이고(伏羲鱗身),여과는 뱀의 몸이다(女媧蛇軀)。」여과로 알려진 오누이가 결혼했다는 설명 역시 오래 되다(知女媧兄妹結婚之說由來亦古矣)。당나라(唐) 이용(李冗) 독이지(獨異志)云:「옛날에 우주가 처음 열렸을 때(昔宇宙初開之時),여과 오누이 두 사람만 곤륜산에 있고(只有女媧兄妹二人在崑崙山),세상에는 아직 사람이 있은 적이 없다(而天下未有人民)。의논하여 부부가 되었고(議以為夫妻),스스로 부끄러워 하였다(又自羞恥)。오라비와 그 누이는 곤륜산에서 함께(兄即與其妹上崑崙山),기원하였다(咒)曰:『하늘이시여 만약 저희 오누이를 부부가 되게 맺어주고자 하신다면(天若遣我兄妹二人為夫妻),연기를 합치시고(而煙悉合);만약 아니라면(若不),연기가 흩터지게 하소서(使煙散)。』연기가 합쳐졌고(於煙即合),그 누이는 오라비에게 즉시 다가가(其妹即來就兄),풀을 묶어 만든 부채로(乃結草為扇),그 얼굴을 가렸다(以障其面)。오늘날 사람들이 아내를 맞아들이 때 부채를 잡는 것이(今時人取婦執扇),그 일을 본뜬 것이다(象其事也)。」이것 말고도(除)「풀을 묶어 만든 부채로(結草為扇),그 얼굴을 가렸다(以障其面)」여전히 봉건사회의 산물이 밖에도ㄷ(仍是封建社會產物外),신화의 줄거리다(神話之概略也)。이 하나의 신화는 현재 서남쪽 소수민족 지역에서 전해지고 있으며(此一神話今西南少數民族地區猶傳有之),그 내용이 처음과 비슷하게 바뀌었는데(其內容則更近原始),말하자면(云),복희와 여과는 오누이 사이로 훙수를 피해 호리병박으로 몸을 숨겼다 결혼하여 사람의 종류를 다시 만들었다(伏羲女媧兄妹入葫蘆逃避洪水而結婚而再造人類),이는 동시에 신화 속에서 여과가 사람을 만들고 하늘을 메운 부분의 줄거리다(則是已兼古神話中女媧造人、補天(여과가 하늘을 메운바가 있다고 말한다(女媧補天亦有「물이 넘쳐나 멈추질 않았다(水浩洋而不息)」、「갈대를 태운 재를 쌓아 홍수를 멈추게 하였다(積蘆灰以止淫水)」語))之部分情節矣)。


有人名曰石夷1,來風曰韋2,處西北隅以司日月之長短3。

석이라 불리는 사람이 있는데, 내풍에서는 위라고 부른다, 서북쪽 구석에 살며 해와 달의 길고 짧음을 관리한다.


1 원가기록(珂案):근거(據) 대황동경(大荒東經)「(사람이 있는데(有人))이름을 절단이라 하고(名曰折丹),동쪽에서는 절이라 한다(東方曰折)」、「이름이 원이라는 사람이 있는데(有人名曰鵷),북쪽에서는 원이라 한다(北方曰鵷)」及대황남경(大荒南經)「이름이 인호라는 신이 있는데(有神名曰因乎),남쪽에서는 인이라 한다(南方曰因)」글의 규칙(文例),이 경문에 있는 이 구절 뒤쪽에(此經「이름이 석이라는 사람이 있다(有人名曰石夷)」句下),네 글자가 빠진 것으로 의심(疑脫「서쪽에서는 이라 한다(西方曰夷)」四字)。

2 곽박(郭璞)云:「래는 본으로도 쓴다(來或作本也)。」

3 곽박(郭璞)云:「해와 달의 구도를 절기마다 살핀다(言察日月晷度之節)。」학의행(郝懿行)云:「대황동경(大荒東經) 이미 원이 있는데 동쪽 끝에 살며 해와 달을 머물게 한다(既有𪂧處東極(극이 북이 되기도 하다(極應為北),見대황동경(大荒東經)『여화월모국(女和月母國)』節注4——珂)以止日月),해와 달의 길고 짧음을 관리하고(司其短長),이는(此又云『해와 달의 길고 짧음을 관리한다(司日月之長短)』者),서북쪽 구석에서 해와 달이 미치지 못하게 만들며(西北隅為日月所不到),그렇게 휘황차란한 빛과 나머지 그림자는(然其流光餘景),구도의 길고 짧음이 있는데(亦有晷度短長),관리하는 사람이다(故應有主司者也)。」원가기록(珂案):경문의 해와 달의 길고 짧음을 관리한다는(經文司日月之長短) 장경본에는 해와 달의 길고 짧음을 관리한다고 쓰여 있다(藏經本作司日月短長)。


有五采之鳥,有冠,名曰狂鳥1。

오채조가 있는데, 갓을 쓰고 있으며, 이름을 광조라 한다.


1 곽박(郭璞)云:「이아(爾雅)(석조(釋鳥))云:『광은(狂),몽조다(夢(현재는 몽이라 쓰여 있다(今本作㝱)——珂)鳥)。』即此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이아(爾雅) 석조(釋鳥),역시 이 경문을 가져다 씀(亦引此經文)。광은(狂),옥편(玉篇)作광(鵟),봉황의 종류로 의심(疑即鳳凰之屬),已見해외서경(海外西經)「멸몽조(滅蒙鳥)」節注。


有大澤之長山。

대택장산이 있다.


有白氏之國1。

백씨국이 있다.


1 원가기록(珂案):백씨국은(白氏之國),송본(宋本)、장경본(藏經本)、모의(毛扆)本、오임신(吳任臣)本씨가 모두 민으로 쓰여 있다(氏均作民),민이로 쓰는 게 맞다(作民是也)。백민국(白民國)已見해외서경(海外西經)。


西北海之外,赤水之東,有長脛之國1。

서북쪽 바다의 밖, 적수의 동쪽에, 장경국이 있다.


1 곽박(郭璞)云:「다리의 길이가 삼 장이다(腳長三丈)。」학의행(郝懿行)云:「장경은 장고다(長脛即長股也),見해외서경(海外西經)。곽박(郭)云다리의 길이가 삼 장이다(腳長三丈),이곳과 저곳의 설명이 같다(正與彼注同)。다른 책에는 삼 척으로 쓰여 있는데(一本作三尺),잘못되었다(誤也)。장경본(藏經本)作걸음 길이가 오 척이고(腳步五尺),역시 앞쪽의 설명과 맞지 않다(亦與前注不合)。」



有西周之國,姬姓1,食穀。

서주국이 있는데, 희씨 성을 쓰며, 곡식을 먹는다.


有人方耕,名曰叔均。

밭을 가는 사람이 있는데, 이름을 숙균이라 한다.


帝俊生后稷2,稷降以百穀3。

제준이 후직을 낳았고, 후직은 온갖 곡식을 가지고 하늘에서 내려왔다.


稷之弟曰台璽4,生叔均。

후직의 아우 태세는, 숙균을 낳았다.


叔均是代其父及稷播百穀,始作耕5。

숙균은 그 아버지와 후직을 대신하여 온갖 곡식의 씨를 뿌렸고, 처음으로 밭을 갈았다.


有赤國妻氏。

적국처씨가 있다.


有雙山6。

쌍산이 있다.


1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十二)云:『희는(姬),황제가 희수에 살아서(黃帝居姬水),성씨가 되었다(以為姓)。』사기(史記) 주본기(周本紀)云:『태의 땅에 기를 봉하여(封於邰),후직이라 하며(號曰后稷),별도로 희씨 성을 내렸다(別姓姬氏)。』(한서(漢書))지리지(地理志)云:『우부풍 태는(右扶風斄),후직의 지위에 봉해졌다(后稷所封)。』然則經言서주국(西周之國),이를 일컬음(蓋謂此)。」

2 곽박(郭璞)云:「준은 마땅히 곡이 되어야 하고(俊宜為嚳),곡은 차례로 두 명의 비를 얻었고 후직을 낳았다(嚳第二妃生后稷也)。」학의행(郝懿行)云:「제곡의 이름은 준이고(帝嚳名夋),준과 준은 옛날과 지금 글자로 의심(、俊疑古今字),곽박처럼 준을 고쳐 곡으로 만들 필요는 없다(不須依郭改俊為嚳也)。경문 속 제준은 여러 번 나오는데(然經中帝俊屢見),한 사람인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하다(似非一人),그것을 살펴봤다는 것을 아직 듣지 못함(未聞其審)。대대례(大戴禮)帝繫篇云:『제곡의 첫째 왕비는(帝嚳上妃),유태씨의 딸로(有邰氏之女也),강원씨라 하는데(曰姜原氏),후직을 낳았다(產后稷)。』사기(史記) 주본기(周本紀)同。곽박(郭)云곡은 차례로 두 명의 비를 얻었다는(嚳第二妃),잘못되었다(誤也)。」원가기록(珂案):經言「제준은 후직을 낳았다(帝俊生后稷)」,제곡은 후직을 낳았다(亦帝嚳生后稷也)。후직은 원래 서쪽 민족 지역에서 농업의 신에게 제사를 받드는 사람인데(后稷本西方民族所奉祀之農神),동쪽 민족 신화에서 억지로 가져다 붙인 것이며(而又附會於東方民族神話中),그래서(故言「제준이 낳았다(帝俊生)」也)。후직의 태어남과(實則后稷之生),제곡은 모두 관계가 없고(與俊嚳俱無關係),원시모권제사회 시기에 나오는 신화다(乃出於原始母權制社會時期「백성들이 어머니는 알고 있으나 아버지는 알지 못한다(民知有母而不知有父)」(상군서(商君書) 개색편(開塞篇)語)之「하늘에 감동되어 낳았다(感天而生)」之神話也)。시가 생기고 백성들이 처음 그 일을 읊었는데(詩生民首詠其事),그 뒤(其後) 사기(史記) 주본기(周本紀) 또한 그 기록을 따른다(又從而記之),云:「주나라 후직은(周后稷),이름이 기인데(名棄),그 어머니는 유태씨의 딸이고(其母有邰氏女),강원이라 불렀다(曰姜原),강원은 제곡의 첫째 왕비다(姜原為帝嚳元妃)。강원은 들에 나갔다(姜原出野),거인의 발자국을 보고(見巨人跡),기쁜 마음에(心忻然悅),밟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欲踐之)。몸을 움직여 밟으니(踐之而身動),아이를 밴 사람 같아졌다(如孕者)。시간이 지나고 자식을 낳으니(居期而生子),상서롭지 못하다 여기고(以為不祥),좁다란 골목에 버려졌으나(棄置之隘巷),말과 소가 지나면서도(馬牛過者),모두 밟지 않고 피하였다(皆辟不踐)。숲 속으로 옮겨 놓으려 했으나(徙置之林中),숲 속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었다(適會山林多人)。다른 곳으로 옮겨(遷之),개천 속 얼음 위에 버리니(而棄渠中冰上),새가 날라와 그 날개로 덮어주고 자리를 깔아주었다(飛鳥以其翼覆薦之)。강원은 신기하다 생각하여(姜原以為神),끝내 거두어 길렀다(遂收長養之)。처음에 버리려 하였으므로(初欲棄之),이름을 기라 하였다(因名曰棄)。」除「강원은 제곡의 첫째 왕비가 되었다(姜原為帝嚳元妃)」이 말은 신화가 서로 합쳐지게 되어 역사 말고는 믿을 수 없게 되었으며(一語為神話牽合於歷史不可信外),나머지는 골고루 그 끝이 간단하다(餘均得其略矣)。초사(楚辭) 천문(天問) 기록에(記) 후직의 신화(后稷之神話)亦云:「후직은 첫째 아들인데(稷維元子),임금은 어찌 미워하였는가(帝何竺之)?얼음 위에 버려졌는데(投之冰上),새는 어찌 따뜻하게 품었나(鳥何燠之)?어찌 힘껏 당긴 활에 화살을 끼우고(何馮弓挾矢),특출나게 군대를 인솔하였나(殊能將之)?처음에는 놀란 임금은 사납게 끊어 냈는데(既驚帝激切),어찌 크게 창성 하였나(何逢昌之)?」글귀를 따르면(從「어찌 힘껏 당긴 활에 화살을 끼우고(馮弓挾矢)」句觀),후직은 활을 잘 쏘는 예 같이 비슷하다 하며(似后稷亦如羿之以善射聞),옛 책이 흩어지고 없어져(以典籍散亡),그것을 자세하게 알 수 없다(其詳不可知矣)。

3 원가기록(珂案):경문(經文「직은 온갖 곡식을 가지고 하늘에서 내려왔다(稷降以百穀)」者),직은 하늘에서 좋은 곡식의 씨를 가지고 내려와 농사를 짓는데 쓰이게 되었다(謂稷自天降嘉穀之種以為農殖之需),직의 성격을 이로부터 알 수 있다(稷之神性於此可見)。상서(書) 여형(呂刑)云:「직이 씨를 하사하여 심었고(稷降播種),농사를 지어 좋은 곡식을 거뒀다(農殖嘉穀)。」이를 일컬음(此之謂也)。

4 곽박(郭璞)云:「音태(胎)。」

5 원가기록(珂案):해내경(海內經)云:「후직은 온갖 곡식의 씨를 뿌렸다(后稷是播百穀)。직의 손자를 숙균이라 하는데(稷之孫曰叔均),숙균이 처음으로 소를 부려 밭을 갊(是始作牛耕)。」即此。숙균을 후직의 제자라고도 하며(叔均或為后稷弟子),손자라고도 한다(或又為其孫者),전해지는 말이 같지 않고 문서의 기록이 조금씩 다르다(以傳聞不同而記載小有歧異也)。맹자(孟子) 등문공(滕文公) 상편(上篇)云:「후직은 백성들에게 곡식을 심고 거두는 것을 가르쳤고(后稷教民稼穡),온갖 곡식을 심고 기르니(樹藝五穀),온갖 곡식이 여물어 백성들을 살찌웠다(五穀熟而人民育)。」회남자(淮南子) 범론편(氾論篇)云:「주나라 기가 곡식을 심고 거두는 농사를 만들었고(周棄作稼穡),죽어서는 직이 되었다(死而為稷)。」후직은 신화전설 속에서 농사를 만든 사람이다(后稷在古神話傳說中為農事之創制發明者)。이 경문(此經)云「發明숙균은 그 아버지와 후직을 대신하여 온갖 곡식의 씨를 뿌렸고(叔均是代其父及稷播百穀),처음으로 밭을 갈았다(始作耕)」者,숙균은 후직의 일을 이어받아 더욱더 발전시킨 사람이다(蓋叔均又繼承后稷之業而發揚光大者也)。

6 원가기록(珂案):해내경(海內經)「교수와 숙균(巧倕、叔均)」節「대비적음(大比赤陰)」구절 뒤쪽에(句下) 학의행(郝懿行)注云:「『대비적음(大比赤陰)』네 글자를 깨닫기 어려운데(四字難曉),글자의 뜻을 찾아서 가져옴(推尋文義),이는 땅의 이름이다(當是地名)。대황서경(大荒西經)說 숙균이 처음 밭을 갊(叔均始作耕),又云,적국처씨가 있다(有赤國妻氏),대비적음이라 어찌 주장하는가(然則大比赤陰豈謂是與)?」학의행(郝)說대비적음은 적국처씨가(大比赤陰即赤國妻氏),맞다(是也),이것이 땅의 이름이라는 것은 틀렸고(然謂是地名則非),모두 사람의 이름으로 의심(疑均是人名)。「대비(大比)」之「비(比)」,或即「비(妣)」의 망가진 글자(之壞文),대비와 처씨가 뜻이 정확하고 서로 맞는다(大妣與妻氏義正相應),혹은 후직의 어머니 강원을 가리킬까(或指后稷之母姜原乎)?아직 정확한 증거라 할 수 없다(未可遽定也)。


西海之外,大荒之中,有方山者,上有青樹1,名曰柜格之松2,日月所出入也3。

서해의 밖, 대황의 안에, 방산이 있는데, 산 위에 푸른 나무들이 있으며, 이름을 구격송이라 한다, 해와 달이 드나드는 곳이다.


1 원가기록(珂案):초학기(初學記)卷一引此作청송(青松)。

2 곽박(郭璞)云:「나무 이름(木名),音구(矩)。」

3 원가기록(珂案):이 방산은 해와 달이 드나드는 오직 하나뿐이 산이다(此方山為日月所出入唯一之山也),지역은 서황에 있다(然而地在西荒),어찌하여 출인가(何可云「출(出)」),이 신화의 산은(此神話之山),정말로 곽말이 말한 것과 같다(誠如곽박(郭璞)所云:「항상 도리를 추천 할 수 없다(以常理推)」(해내서경(海內西經)「이부(貳負)」節곽박(郭)注)矣)。


西北海之外1,赤水之西,有先民之國2,食穀,使四鳥。

서북쪽 바다의 밖, 적수의 서쪽에, 선민국이 있는데, 곡식을 먹고, 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


1 학의행(郝懿行)云:「초학기(初學記)十卷引이 경문에 북자가 없다(此經無北字),명나라(明) 장본(藏本)亦同。」

2 학의행(郝懿行)云:「선은 천이 되어야 한다(先當為天),잘못된 글자(字之訛也)。회남자(淮南) 지형훈(墬形訓) 해외 삼십 육 개의 나라 중에 천민이 있다(海外三十六國中有天民),천은 옛날에 천으로 쓰고(天古作𠀡),또는 천으로 쓴다(或作𠀘),글자의 모양이 서로 비슷하고(字形相近),이것이 잘못을 초래하다(以此致訛)。」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說맞다(是也);왕념손(王念孫)校同。


有北狄之國。

북적국이 있다.


黃帝之孫曰始均,始均生北狄。

황제의 손자를 시균이라 부르며, 시균은 북적을 낳았다.


有芒山。

망산이 있다.


有桂山。

계산이 있다.


有榣山1。

요산이 있다.


其上有人,號曰太子長琴。

산 위에 있는 사람은, 태자장금이라 부른다.


顓頊生老童2,老童生祝融3,祝融生太子長琴,是處榣山,始作樂風4。

전운은 노동을 낳았고, 노동은 축융을 낳았고, 축융은 태자장금을 낳았다, 태자장금은 요산에 살며, 처음으로 음악을 만들었다.


1 곽박(郭璞)云:「이 산에 계수나무와 큰 나무가 있어(此山多桂及榣木),이름이 붙었다(因名云耳)。」

2 곽박(郭璞)云:「세본(世本)云:『전욱은 등분씨에게 장가를 들었고(顓頊娶于滕𤩳氏),여록이라 일컫는다(謂之女祿),노동을 낳았다(產老童)也。』」원가기록(珂案):등분은(滕𤩳),송본(宋本)、장경본(藏經本)作등분(滕墳),대대례(大戴禮) 제계편(帝繫篇)作등분(滕奔)。云「전욱은 등씨에게 장가를 들었고(顓頊娶於滕氏),등씨 분의 자식을 여록씨라 일컬었으며(滕氏奔之子謂之女祿氏),노동을 낳았다(產老童)。」서차삼경(西次三經)云:「귀산에(騩山),신 기동이 살고 있으며(神耆童居之),기동은 항시 종경을 울렸다(其音常如鐘磬)。」곽박(郭璞)注:「기동은(耆童),노동이고(老童),전욱의 자식이다(顓頊之子)。」이 노동이다(即此老童也)。

3 곽박(郭璞)云:「即중려(重黎)也,고신씨는 불을 맡은 신이였고(高辛氏火正),축융이라 한다(號曰祝融也)。」원가기록(珂案):근거(據) 해내경(海內經),축융은 염제의 후손이고(祝融乃炎帝之裔),근거(據) 이 경문에 황제의 후손으로 되었으며(此經則又為黃帝之裔(이 경문에 축융은 전욱의 손자다(此經祝融為顓頊孫),해내경(海內經) 전욱은 황제의 증손이다(顓頊為黃帝曾孫),故云)),전해지는 모든 말이 같지 않고 다르다(亦傳聞不同而各異其辭也)。

4 곽박(郭璞)云:「악풍곡을 만들었다(創制樂風曲也)。」학의행(郝懿行)云:「태평어람(太平御覽)五百六十五卷引이 경문에 풍자은 없다(此經無風字)。서차삼경(西次三經) 귀산(騩山)云:『노동은 항상 종경을 울렸다(老童發音常如鍾磬)。』장금이 악풍이라는 것을 나타내며(故知長琴解作樂風),그 방법 역시 수여하였다(其道亦有所受也)。」


有五采鳥三名:一曰皇鳥,一曰鸞鳥,一曰鳳鳥1。

다채로운 새 세 마리가 있다:한 마리는 황조하고, 한 마리는 난조하며, 한 마리는 봉조라 했다.


1 원가기록(珂案):경문 내에 다채로운 세가 여러 마리 나오는데(經內五采鳥凡數見),모두 봉황과 난조의 종류다(均鳳凰、鸞鳥之屬也)。명나라(明) 장본(藏本) 황조는 봉조로 쓰여 있고(皇鳥作鳳鳥),봉조는 봉황으로 쓰여 있다(鳳鳥作鳳皇),그 새와 다르다(與此異)。


有蟲狀如菟1,以後者裸不見2,青如猿狀3。

토끼 모양 같은 짐승이 있는데, 가슴 뒤로는 털이 없고 보이지 않는다, 푸른 원숭이 모양 같다.


1 학의행(郝懿行)云:「도와 토는 같다(菟、兔通)。이는 짐승이다(此獸也),충이라 일컫느데(謂之蟲者),자인 및 새와 짐승의 부류다(自人及鳥獸之屬),총괄하고 합하여 충이라 한다(通謂之蟲),見대대례(大戴禮)易본명편(本命篇)。」

2 곽박(郭璞)云:「가죽 빛이 푸르고(言皮色青),밖에서는 그것의 벌거벗은 모습을 볼 수 없다(故不見其裸露處)。」

3 곽박(郭璞)云:「모양이 원숭이와 비슷하다(狀又似猿)。」학의행(郝懿行)云:「이 짐승은 착이다(此獸即也)。설문해자(說文)(十)云:『착은(㲋),짐승이다(獸也),토끼와 비슷하고(似兔),푸른 빛을 뽐낸다(青色而大)。』此經云『모양이 토끼 같다(狀如菟)』맞다(是也)。원숭이 같다는 말은(又云如猿者),그 뱇깔을 말하며(言其色),토끼와 비슷하다는 말이 아니라(非謂狀似兔),원숭이와 비슷하다(又似猿也)。원은(猿),명나라(明) 장본(藏本)作원(蝯),맞다(是)。」


大荒之中,有山名曰豐沮玉門,日月所入1。

대황의 안에는, 이름이 풍저옥문이라는 산이 있는데, 해와 달이 들어가는 곳이다.


1 원가기록(珂案):이 풍저옥문산은 해와 달이 들어가는 첫번째 산이다(此豐沮玉門山為日月所入山之一也)。


有靈山1,巫咸、巫即、巫2、巫彭、巫姑、巫真、巫禮、巫抵、巫謝、巫羅十巫,從此升降,百藥爰在3。

영산이 있는데, 무함과 무즉과 무분과 무팽과 무고와 무진과 무례와 무저와 무사와 무라라는 열 명의 무녀는, 무리지어 산을 오르내렸으며, 여기에 온갖 약들이 있다.


1 원가기록(珂案):영산은(靈山),무산으로 의심(疑即巫山)。설문해자(說文)一云:「영은(靈),무다(巫也),옥으로 신령한 일을 한다(以玉事神)。」초사(楚辭) 구가(九歌) 동황태일(東皇太一):「신들린 무녀의 고운 옷(靈偃蹇兮皎服)。」왕일(王逸)注:「무당이다(巫也)。」운중군(雲中君):「무녀가 운신을 부르니 제단에 머무시며(靈連蜷兮既留)。」왕일(王逸)復注:「초나라 사람의 이름난 무당이 영자가 되었다(楚人名巫為靈子)。」이 영과 무는 옛 책에서 한 글자이고(是靈、巫古本一字),이 산에서 여러 무당이 약을 캐서 가고 오고 하는 것을(而此山復有諸巫採藥往來),「여기에 온갖 약들이 있다(百藥爰在)」,與대황남경(大荒南經) 무산의 광경이 서로 비슷하며(巫山「천제의 약을 넣어둔 곳간이(帝藥),여덟 채이다(八齋)」之情景相類),이 영산이 저 무산으로 의심된다(因疑此靈山即彼巫山也)。

2 원가기록(珂案):경문의(經文)「무분(巫肦)」,송본(宋本)作「무분(巫昐)」。

3 곽박(郭璞)云:「무당의 무리가 이 산을 오르내리며 약을 캔다(群巫上下此山采之也)。」원가기록(珂案):經言「열 명의 무녀는 무리지어 산을 오르내렸다(十巫從此升降)」,하늘에서 오르내리는 것을 따른다(即從此上下於天),신의 뜻을 선포하여 백성들 마음의 뜻을 표현한다(宣神旨、達民情之意)。영산은 산 속에 있는 하늘에 오르는 사다리다(靈山蓋山中天梯也)。여러 무당들은 절박한 일을 다루는 게 주된 일이나(諸巫所操之主業),무당은 의원이 아니다(實巫而非醫也)。곽박(郭)云「무당의 무리가 이 산을 오르내리며 약을 캔다는(群巫上下此山采之(약(藥))」者),특히 절박한 일을 다루는 나머지 일이고(特其餘業耳),이는 원인이 아닐 수 있다(非可以因有「여기에 온갖 약들이 있다(百藥爰在)」의원의 일을 무당의 일로 대신한다(語遂以醫職替巫職也)。說已見해외서경(海內西經)「개명 동쪽에서 여러 무당이 알유를 치료하였다(開明東諸巫療窫窳)」節注),並參見해내경(海內經)「구구와(九丘) 건목(建木)」節注。


西有王母之山1、壑山、海山2。

서쪽에 왕모산과 학산과 해산이 있다.


有沃之國3,沃民是處。

옥국이 있고, 이곳에 옥민이 산다.


沃之野,鳳鳥之卵是食4,甘露是飲。

옥의 들에서, 봉조의 알을 먹고, 단 이슬을 마신다.


凡其所欲,其味盡存5。

모든 것이 있어, 원하는 것을 먹을 수 있다.


爰有甘華、甘柤、白柳、視肉、三騅、璇瑰、瑤碧6、白木7、琅玕、白丹、青丹8,多銀鐵。

여기에는 감화와 감사와 흰 버들과 시육과 삼추와 선괴와 요벽과 흰 나무와 낭간과 백단과 청단이 있고, 은과 쇠가 많다.


鸞鳳9自歌,鳳鳥自舞,爰有百獸,相群是處,是謂沃之野10。

난조는 스스로 노래하고, 봉조는 스스로 춤을 춘다, 여기에는 온갖 짐승이 있는데, 서로 무리지어 살아, 이곳을 일컬어 옥의 들이라 한다.


1 학의행(郝懿行)云:「서유는 유서가 되어야하며(西有當為有西),태평어람(太平御覽)九百二十八卷引이 경문에 서왕모산로 쓴 것이 증거라 할 수 있다(此經作西王母山可證)。」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說맞다(是也),장경본(藏經本)正作「서왕모산이 있다(有西王母之山)」。왕념손(王念孫)、손성연(孫星衍)校同。뒤쪽 글에 서왕모에게 음식을 바치는 삼청조가 있는데(下文有為西王母取食之三青鳥),경문에도 서왕모산이 있다로 쓰여야 한다(可證經文確應作「서왕모산이 있다(有西王母之山)」)。

2 곽박(郭璞)云:「모두 대령산이 모인 것(皆群大靈之山)。」

3 곽박(郭璞)云:「그 땅이 걸고 기름지다(言其土饒沃(장경본(藏經本)作옥요(沃饒)——珂)也)。」왕념손(王念孫)云:「예문유취(類聚) 목부(木部)下(卷八九)옥 뒤쪽에 민자가 있다(沃(경문을 가리킨다(指經文)——珂)下有民字),문선(文選)十九之十三(낙신부(洛神賦)注——珂)同,태평어람(御覽) 거처(居處)六(卷一七八)同,진보(珍寶)八(卷八0九)同,우족(羽族)十五(卷九二八)同,목부(木部)六(卷九五七)同。」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懿行)校문선(文選) 낙신부(洛神賦)注引이 경문에 쓰여 있고(此經作「옥인국(沃人之國)」),당나라 시절 휘를 피하느라 고친 것으로 의심(疑避唐(이세민(李世民))諱改耳)。경문에 쓰인(經文)「옥국(沃之國)」써야함(正應作)「옥민국(沃民之國)」,「옥의 들판(沃之野)」即해외서경(海外西經) 제요의 들판(諸夭之野)也,已見該經「제요의 들판(諸夭之野)」節注。

4 원가기록(珂案):여씨춘추(呂氏春秋) 본미편(本味篇)云:「유서의 서쪽(流沙之西),단산의 남쪽에(丹山之南),봉의 알이 있는데(有鳳之丸),옥민이 먹는 음식이다(沃民所食)。」고유(高誘)注云:「환은(丸),옛 날 난자다(古卵字也)。」

5 곽박(郭璞)云:「그 좋은 맛을 원한다는 것은(言其所願滋味),이곳은 없는 것이 없다(此無所不備)。」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해외서경(海外西經)與이것이 거의 같다(此略同)。

6 곽박(郭璞)云:「선괴 역시 옥의 이름(璇瑰亦玉名),목천자전(穆天子傳)(卷四)曰:『가지가 선괴다(枝斯璿瑰)。』매와 회(枚、回)二音。」학의행(郝懿行)云:「선은 선이 되어야하고(璇當為璿),원래 선으로도 쓴다(本或作琁),잘못됨(誤也)。선과 경은 같고(琁與瓊同),見설문해자(說文)(一)。곽박(郭) 음이 매가 되었고(音此為枚),매자가 되어야 한다(則當為玫字),역시 잘못됨(亦誤也)。진작(晉灼)注한서(漢書)云:『매괴는(玫瑰),화제주다(火齊珠也)。』만약 경문이 매괴가 된다면(若經文為玫瑰),곽박(郭) 옥의 이름이라 할 수 없다(又不得云亦玉名矣)。이선(李善)注강부(江賦)及낙신부(洛神賦)引此經並作선괴(璿瑰),又引곽박(郭)注云:『선괴 역시 옥의 이름(璿瑰亦玉名也),선회(琁回)兩音。』이는 경문을 알 수 있고(是知經文)『선괴(璇瑰)』,注文『매회(枚回)』,모두 현재 잘못됨(並今本之訛矣)。대황북경(大荒北經)(시작 부분(首節)——珂)正作선괴요벽(璿瑰瑤碧),증거라 할 수 있다(可證)。又옥편(玉篇) 광운(廣韻)引此經並作선괴노(璿瑰瑙碧),요가 노자로 쓰였고(瑤作瑙字),모양이 비록 다르나(形雖異),음과 뜻이 같다(音義當同)。」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說맞다(是也)。곽박(郭)注매회(枚回),송본(宋本)作선회(旋回),왕념손(王念孫)校同。목천자전(穆天子傳)「가지가 선괴다(枝斯璿瑰)」구절에(句),곽박(郭璞)注:「선괴는 옥의 이름이다(璿瑰玉名)。선회(旋回)兩音。」知곽박(郭)注원래 매 발음이라 쓰지 않았는데(本不作枚音),매는 확실히 지금 잘못된 글자(枚實今本訛字)。

7 곽박(郭璞)云:「나무의 빛깔이 새하얗다(樹色正白)。현재 남쪽에 문목이 있는데(今南方有文木),검은 나무다(亦黑木也)。」학의행(郝懿行)云:「문목은 현재 오목이다(文木即今烏木也)。유규(劉逵)注오선부(吳都賦)云:『문목은 성질이 단단하며(文木材密緻),나무결이 없고(無理),검은 빛깔이 물소의 뿔 같다(色黑如水牛角),일남에 흔히 있다(日南有之)。』」

8 곽박(郭璞)云:「흑단이 있다(又有黑丹也)。효경(孝經) 원신계(援神契)云:『임금의 덕으로 임금의 무덤에서 흑단이 나온다(王者德至山陵而黑丹出)。』단은 이 빛깔의 이름으로 구분되고(然則丹者別是彩名),검거나 희거나 누런 빛 모두 단이라 한다(亦猶黑白黃皆云丹也)。」학의행(郝懿行)云:「흑단은 뒤쪽 글 현단이 맞다(黑丹即下文玄丹是也)。백단은(白丹者),갈관자(鶡冠子) 도만편(度萬篇)云:『기름진 이슬이 내려와(膏露降),백단이 생긴다(白丹發)。』그런 일이 있다(是其事也)。」

9 원가기록(珂案):난봉은(鸞鳳),장경본(藏經本)作난조(鸞鳥),오임신(吳任臣)本、왕불(汪紱)本、필원(畢沅)本同,作난조(鸞鳥) 맞다(是也);더욱이 각각의 경문 기록도 모두 난조로 쓰여 있고(茲經各卷所記均作鸞鳥),난봉으로 쓰인 곳은 없다(無作鸞鳳者),봉은 잘못된 글자(鳳字訛)。

10원가기록(珂案):경문의 옥의 들판은(經文沃之野),장경본(藏經本) 옥 다음에 민자가 많다(沃下多民字)。


有三青鳥,赤首黑目,一名曰大鵹1,一名少鵹,一名曰青鳥2。

세 마리의 푸른 새가 있는데, 붉은 머리에 눈은 검으며, 한 마리는 대려라 하고, 한 마리는 소려라 하며, 한 마리는 청조라 한다.


1 곽박(郭璞)云:「音려(黎)。」

2 곽박(郭璞)云:「모두 서왕모가 부리는 하인(皆西王母所使也)。」원가기록(珂案):삼청조는(三青鳥)已見해내북경(海內北經)「서왕모(西王母)」節。


有軒轅之臺,射者不敢西嚮射1,畏軒轅之臺2。

헌원의 대가 있는데, 활을 쏘는 사람은 감히 서쪽을 향해 활을 쏘지 못했는데, 헌원의 누대가 두려워서다.


1 학의행(郝懿行)云:「예문유취(藝文類聚)六十二卷引이 경문에는 사자가 없다(此經無射字),장경본(藏經本) 역시 사자가 없다(亦無射字),향은 향으로 써야(嚮作鄉),맞다(是也)。」원가기록(珂案):확의행(郝)說맞다(是也),왕념손(王念孫)、필원(畢沅)均校사를 덧붙임(衍射),손성연(孫星衍)校향을 향으로 씀(嚮作鄉)。대황북경(大荒北經)云:「공공의 대가 있느데(有共工之臺),활을 쏘는 사람은 감히 북쪽을 향해 활을 쏘지 못했다(射者不敢北鄉)。」쓰인 문장과 이 경문이 같다(文例與此經同),증거로 이 경문 뒤쪽의 사자는 확실히 덧붙인 글자라 할 수 있다(可證此經下射字實衍),향은 향으로 써야 한다(嚮應作鄉)。

2 곽박(郭璞)云:「공경하고 어려운 황제라는 신이다(敬難黃帝之神)。」학의행(郝懿行)云:「대 역시 언덕이다(臺亦丘也)。해외서경(海外西經)云:『감히 서쪽으로 활을 쏘지 못하는 건(不敢西射),헌원구가 두려워서다(畏軒轅之丘)。』」


大荒之中,有龍山,日月所入1。

대황의 안에, 용산이 있는데, 해와 달이 들어가는 곳이다.


有三澤水,名曰三淖,昆吾之所食也2。

삼택수가 있는데, 이름을 삼뇨라 하며, 곤오가 먹는 물이다.


1 원가기록(珂案):이 용산은 해와 달이 들어가는 두번째 산이다(此龍山為日月所入山之二也)。

2 곽박(郭璞)云:「목천자전(穆天子傳)(卷四)曰:『도수는(滔水),탁요씨가 먹는 물이다(濁繇氏之所食)。』역시 이런 종류다(亦此類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목천자전(穆天子傳)引경문의 이 두 글은 원래(經文此二語原作)「산해경(山海經)曰:『이름이 삼뇨라는 천이 있는데(有川名曰三淖),곤오가 먹는 물이다(昆吾之所食)。』역시 이런 종류(亦此類)。」와 이 경문이 조금 다르고(與此經略異),말을 잘 살피다(或省言之也)。학의행(郝懿行)云:「식은 그 나라와 마을에서 먹는다를 일컫는다(食謂食其國邑)。(국어(國語))정어(鄭語)云:『부산과 외산을 주산으로 삼고 탁수와 유수를 마신다(主芣騩而食溱洧)。』맞다(是也)。」


有人衣青,以袂蔽面1,名曰女丑之尸2。

푸른 옷을 입은 사람이 있는데, 소매로 얼굴을 가렸다, 이름을 여축시라 한다.


1 곽박(郭璞)云:「몌는(袂),수다(袖)。」

2 원가기록(珂案):여축시(女丑之尸)已見해외서경(海外西經),그 곳에서(彼)云「오른손으로 그 얼굴을 가렸다(以右手鄣其面)」,그림 모양이 같지 않다(蓋亦圖象之不同也)。


有女子之國1。

여자국이 있다.


1 곽박(郭璞)云:「왕기가 옥저국에 이르러(王頎至沃沮國),동쪽 끝자락에 도착해서(盡東界),그곳에 나이 많은 노인에게 물었다(問其耆老),云:『나라 사람이 배를 타고 물고기를 잡다 바람을 만났는데(國人嘗乘船捕魚遭風),수십 일 바람이 불어(見吹數十日),동쪽에 한 나라가(東一國),큰 바다 속에 있는데(在大海中),오로지 여자만 있고 남자는 없었다(純女無男)。』이 나라다(即此國也)。」원가기록(珂案):여자국(女子國)已見해외서경(海外西經)。곽박(郭)注本삼국위지(三國志) 위지(魏志) 오환선비동이전(烏丸鮮卑東夷傳)。


有桃山。
도산이 있다.


山。

맹산이 있다.


有桂山1。

계산이 있다.


有于土山。

우토산이 있다.


1 학의행(郝懿行)云:「앞쪽 글에 이미 망상과 계산이 있다(上文已有芒山、桂山)。망과 맹은 성조가 같다(芒、聲同也)。」


有丈夫之國1。

장부국이 있다.


1 곽박(郭璞)云:「그 나라는 결혼한 여자가 없다(其國無婦人也)。」원가기록(珂案):장부국(丈夫國)已見해외서경(海外西經)。


有弇州之山,五采之鳥仰天1,名曰鳴鳥2。

엄주산이 있는데, 오채조는 하늘을 우러러 보며, 이름을 명조라 한다.


爰有百樂歌之風3。

여기에는 온갖 음악과 노래와 춤이 있다.


1 곽박(郭璞)云:「입을 열어 하늘을 보고 숨을 내쉬다(張口噓天)。」

2 학의행(郝懿行)云:「명조는 봉의 종류다(鳴鳥蓋鳳屬也)。주서(周書) 군석(君奭)云:『 나는 새가 울고 있는 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했다(我則鳴鳥不聞)。』국어(國語)(주어(周語))云:『주나라가 일어날 때(周之興也),악작이 기산에서울었다(鸑鷟鳴於岐山)。』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說맞다(是也)。명조는(鳴鳥)即해내서경(海內西經)之맹조(孟鳥),亦即이아(爾雅) 석조(釋鳥)之몽조(鳥),모두 봉의 종류다(均鳳類也)。見해외서경(海外西經)「명몽조(滅蒙鳥)」節注。

3 곽박(郭璞)云:「여기에 여러 가지의 기악과 노래와 춤과 풍곡이 있다(爰有百種伎樂歌風曲)。」학의행(郝懿行)云:「문선(文選)注왕융(王融) 곡수시서(曲水詩序)引이 경문에 무는 무로 쓰여 있고(此經作舞),나머지는 같다(餘同)。설명의 원자는(注爰字),명나라(明) 장본(藏本)作언(言),맞다(是也)。」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亦校원은 언으로 쓰여 있다(爰作言)。


有軒轅之國1。

헌원국이 있다.


江山之南棲為吉2。

강과 산의 남쪽에 살아서 좋게 되었다.


不壽者乃八百歲3。

일찍 죽은 사람이 팔백 살이다.


1 곽박(郭璞)云:「그곳 사람은 사람 얼굴에 뱀의 몸이다(其人人面蛇身)。」원가기록(珂案):헌원국 사람(軒轅國人)「사람 얼굴에 뱀의 몸이고(人面蛇身),꼬리가 머리 위에 맞닿아 있다(尾交首上)」,見해외서경(海外西經)。又곽박(郭) 이 설명에 여섯 글자는 명나라 장본에 경문으로 쓰여 있다(此注六字明藏本作經文)。

2 곽박(郭璞)云:「궁산의 끝이다(即窮山之際也)。산에 살며 머무르게 되었다(山居為棲)。좋다 함은 나쁜 일과 일찍 죽을 일이 없다(吉者言無凶夭)。」

3 곽박(郭璞)云:「타고난 목숨이 수천 살이다(壽者數千歲)。」원가기록(珂案):헌원국은 궁산의 끝에 있고(軒轅國在窮山之際),일찍 죽은 사람이 팔백 살이다(不壽者八百歲),已見해외서경(海外西經)。


西海陼1中,有神人面鳥身,珥兩青蛇,踐兩赤蛇2,名曰弇茲。

서해 모래섬 안에, 얼굴은 사람이고 몸은 새인 신이 있는데, 두 마리 푸른 뱀을 귀에 걸고, 두 마리 붉은 뱀을 밟고 있다, 이름을 엄자이라 한다.


1 학의행(郝懿行)云:「이아(爾雅)(석지(釋地))云:『작은 모래톱을 저라 한다(小洲曰陼)。』저와 저는 같다(陼與渚同)。」

2 학의행(郝懿行)云:「이 신의 생김새는(此神形狀),전체가 북방 신 우강과 비슷한데(全似北方神禺彊),오로지 저기에 두 마리 푸른 뱀을 밟고 있다만 다르게 되어있다(唯彼作踐兩青蛇為異),見해외북경(海外北經)。」원가기록(珂案):이 신과 북방 신 우강과 동방 신 우호와 비슷한데 모두 같은 종류로 바다 신인 동시에 바람 신이다(此神與北方神禺彊、東方神禺禺䝞(대황동경(大荒東經))似均同屬海神而兼風神)。」


大荒之中,有山名日月山,天樞也。

대황의 안에는, 일월산이라는 산이 있는데, 하늘의 중심이다.


吳姖1天門,日月所入2。

오거천문은, 해와 달이 들어가는 곳이다.


有神,人面無臂,兩足反屬于頭山3,名曰噓4。

신이 있는데, 사람 얼굴에 팔이 없고, 두 발이 머리 위에 뒤집어져 붙어 있으며, 이름을 허라 한다.


顓頊生老童5,老童生重及黎6,帝令重獻上天,令黎邛下地7,下地是生噎8,處於西極,以行日月星辰之行次9。

전욱은 노동을 낳았고, 노동은 중과 려를 낳았다, 임금이 중에게 명하여 하늘에 관한 제사를 지내고, 려에게 명하여 땅에 관한 일을 하게하다, 땅에서 려는 열을 낳았고, 열은 서쪽 끝에 살며, 해와 달과 별들이 돌아다니는 것을 관리했다.


1 학의행(郝懿行)云:「거자는(姖字) 설문해자(說文) 옥편(玉篇) 없고(所無),장경본(藏經本)作희(姬)。」

2 원가기록(珂案):이 일월산은 해와 달이 들어가는 세번째 산이다(此日月山為日月所入山之三也)。

3 원가기록(珂案):산은 상자가 잘못된 것이다(山當為上字之訛),송본(宋本)、오관(吳寬)抄本、장경본(藏經本)作상(上)。왕념손(王念孫)、필원(畢沅)、소은다(邵恩多)校同。

4 곽박(郭璞)云:「소리내어 운다는 말(言噓啼也)。」원가기록(珂案):이 네 글자는(此四字)왕념손(王念孫)校作훌쩍이며 운다(音唏)。

5 학의행(郝懿行)云:「사기(史記) 초세가(楚世家)云:『고양은 칭을 낳고(高陽生稱),칭은 권장을 낳았다(稱生卷章)。』초주(譙周)云:『노동은 권장이다(老童即卷章)。』」원가기록(珂案):노동과 권장 모두 글자 모양이 서로 비슷하다(老童、卷章並字形相似)。

6 곽박(郭璞)云:「세본(世本)云:『노동은 근수씨의 교복에게 장가 들었고(老童娶于根水氏謂之驕福),중과 려를 낳았다(產重及黎)。』」학의행(郝懿行)云:「대대례(大戴禮) 제계편(帝繫篇)云:『노동은 갈수씨의 딸에게 장가 들었고(老童娶于竭水氏之子),고왜씨는(謂之高緺氏),중려와 오회를 낳았다(產重黎及吳回)。』사기(史記) 초세가(楚世家)云:『권장은 중려를 낳았다(卷章生重黎)。』서광(徐廣)注引세본(世本)云:『노동은 중려와 오회를 낳았다(老童生重黎及吳回)。』제계와 같다(與帝繫同)。모두다 중려는 한 사람이다(是皆以重黎為一人也)。이 경문에는 중과 려가 두 사람으로 되었는데(此經又以重、黎為二人),곽박(郭)引세본과 서광이 다르다((世本又與徐廣異),모두 자세하지 않다(並所未詳)。」원가기록(珂案):서경(書) 여형(呂刑)云:「(황제(皇帝))중과 려에게 명하여(乃命重、黎),땅과 하늘이 서로 통하던 것을 끊었다(絕地天通)。」국어(國語) 초어(楚語)亦云:「전욱이 제왕의 자리를 이어받자(顓頊受之),곧 남정 중에게 하늘에 관한 일을 주관하게 하여 신에 올리는 제사를 맡겼고(乃命南正重司天以屬神),화정 여에게 땅에 관한 일을 주관하게 하여 백성들을 다스리는 일을 맡겼다(命火正黎司地以屬民)。남정은 상고 시대 관직명으로 목정(木正)이라고도 한다, 화정은 상고 시대 관직명으로 북정(北正)이라고도 한다. 불을 관장함.」중과 려는 옛부터 전해지길 확실히 두 사람이다(則重、黎古傳實二人也),시간이 지나면서 한 사람이 되었다(至於後來又以為一人者),이 신화 전설이 변화 발전하여(則是神話傳說之演變),여러 가지가 뒤섞여 모여 혼란하고 일치하지 않아 정해지지 않았다(錯綜紛歧無定)충분히 다르지 않다(不足異也)。

7 곽박(郭璞)云:「옛날의 신들은 섞이고 어지럽혀져 구분되지 않아(古者人神雜擾無別),전욱이 곧 남정 중에게 하늘에 관한 일을 주관하게 하여 신에 올리는 제사를 맡겼고(顓頊乃命南正重司天以屬神),화정 여에게 땅에 관한 일을 주관하게 하여 백성들을 다스리는 일을 맡겼다(命火正黎司地以屬民)。중을 하늘을 맡고(重寔上天),려는 땅을 맡는다(黎寔下地)。헌과 공은(獻、邛),뜻이 아직 자세하지 않다(義未詳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이 말은(此語),국어 초어가 본 말이다(本於國語楚語)。초어(楚語)下云:「소왕이 관사부에게 묻길(昭王問於觀射父)曰:『주서에서 이릅나 중과 려는 확실히 하늘과 땅이 통하지 못하게 했는데(周書所謂重、黎實使天地不通者),무슨 까닭인가(何也)?만약 그렇지 않다면(若無然),사람들이 하늘에 오늘 수 있다는 말인가(民將能登天乎)?』대답하길(對)曰:『그러한 뜻이 아닙니다(非此之謂也)。옛날에는 사람과 신의 영역이 섞이지 않았습니다(古者民神不雜)。소호씨가 쇠락하고(及少皞之衰也),구려족이 어진 정치를 어지렵히자(九黎亂德),백성과 신의 관계가 마구 뒤섞여(民神雜糅),신을 믿지 못하게 되었습니다(不可方物)。전욱이 제왕의 자리를 이어받자(顓頊受之),곧 남정 중에게 하늘에 관한 일을 주관하게 하여 신에 올리는 제사를 맡겼고(乃命南正重司天以屬神),화정 여에게 땅에 관한 일을 주관하게 하여 백성들을 다스리는 일을 맡겼스며(命火正黎司地以屬民),다시 과거의 전통을 회복시키고(使復舊常),서로 침범하고 모독하지 못하게 한것이(無相侵瀆),이것을 땅과 하늘이 서로 통하던 것을 끊었다라고 일컫습니다(是謂絕地天通)。』」이 사회가 발전하여(此社會發展),첫번째 계급이 크게 나누어 지고 신화 속에 반영되어 있다(第一次階級大劃分在神話上之反映也)。「옛날에는 사람과 신의 영역이 섞이지 않았습니다(古者民神不雜)」,역사를 연구하는 사람들의 꾸미는 말(歷史家之飾詞也);「백성과 신의 관계가 마구 뒤섞여(民神雜糅)、신을 믿지 못하게 되었습니다(不可方物)」,원시 시대에 사람들이 모여 살때 실제의 형상을 그대로 찍어냄(原始時代人類群居之真實寫照也):그래서 소왕이 물었다(故昭王乃有「사람들이 하늘에 오늘 수 있다(民能登天)」之問)。공자진(龔自珍) 임계지제태관(壬癸之際胎觀)第一(見공자진전집(龔自珍全集))云:「처음 태어났을 때(人之初),천하와 통하였는데(天下通),사람이 하늘에 의사를 전달하려고(人上通),아침에도 하늘에 올라가고(旦上天),저녁에도 하늘에 올라가니(夕上天),하늘과 사람이(天與人),아침에도 말을하고(旦有語),저녁에도 말을 했다(夕有語)。」소왕의 물음에 대한 해답이라 할 수 있다(斯可以解答昭王之問矣)。그리하여(至於「다시 과거의 전통을 회복시키고(使復舊常)、서로 침범하고 모독하지 못하게 하다(無相侵瀆)」云云),단지(則無非)「땅과 하늘이 서로 통하던 것을 끊었다(絕地天通)」나중의 지배자가 만든(後統治者建立之)「새로운 질서다(新秩序)」,옛날 규율이 아니라 할 수 있다(非可以語於「옛날(舊)」與「규율(常)」也)。이 경문에(此經「임금이 중에게 명하여 하늘에 관한 제사를 지내고 려에게 명하여 땅에 관한 일을 하게하다(帝(전욱(顓頊))令重獻上天、令黎邛下地)」,국어에서 말하는(即國語之所謂)「땅의 백성과 하늘의 신이 서로 감응하는 하는 것을 막는다(絕地天通)」也;而곽박(郭璞)注云:「헌과 공은(獻、邛),뜻이 아직 자세하지 않다(義未詳)。」위소(韋昭)注국어(國語)「중을 하늘을 맡고(重寔上天)、려가 땅을 맡는다(黎寔下地)」두 말은(二語)云:「중은 하늘과 관련된 일을 하고(言重能舉上天),려는 땅과 관련된 일을 한다(黎能抑下地)。」이 경문과 비슷하여 헌과 공의 뜻을 설명할 수 있다(似即本此經「헌(獻)、공(邛)」義為說)。則「헌(獻)、공(邛)」의 뜻이 거의(之義殆即)「거(舉)、억(抑)」인가(乎)?중은 올리고 려는 누르니(重舉黎抑),하늘과 땅이 어긋나서(而天地遠睽),바른 신화 속에서(正神話中)「땅과 하늘이 서로 통하던 것을 끊었다(絕地天通)」의 모양을 그려낸다(之形象描寫也)。헌에는 거의 뜻이 있고(「헌(獻)」有「거(舉)」義),이해하기 쉽다(固易曉也);공은 어찌 억의 뜻이 있냐 하면(然「공(邛)」何以有「억(抑)」義),헤아리기 어열다(則難知矣)。공은 처음 책에 인으로 쓰였을 것으로 의심(疑「공(邛)」初本作「인(印)」),인은(印),갑골문 그림으로 쓰임(甲骨文作●),사람이 꿇어앉아 손으로 억누르는 모양이고(象以手抑人而使之跽[己改巳]),뜻이 억을 알려주며 안이라 가르치다(義即訓抑訓按),이 인의 원래 뜻이다(此印之本義也)。뒤에 인신의 인을 임시로 빌려다 쓰고(後假借為印信之印),점점 한 가지 단어에서만 쓰게 되었는데(漸成專用詞),억자를 바꿔 만들어서(又造「억(𢑏)」字以替之),억이 되었다(謂之為「억(抑)」),云:「안은(按也),뒤집어져 인이되다(從反印)。」(見설문해자(說文)九)그곳에 확실히 억과 인은 옛날에 한 글자였고(其實抑、印古本一字),인이 억이다(印即抑也)。「임금이 중에게 명하여 하늘에 관한 제사를 지내고(帝令重獻上天),려에게 명하여 땅에 관한 일을 하게하다(令黎印下地)」,위소(韋昭)所見산해경(山海經)或即이와 같고(如此),뜻도 같다(義固朗如也)。대개 나중에 인자는 한 획이 잘못되어 앙이 되고(殆後「인(印)」字一訛而為「앙(卬)」),재차 잘못되어 공과 공이 되었으며(再訛而為「공()」、「공()」),분명하지 않아 깨닫기 어렵다(則晦昧難曉矣)。현재(今)산해경(山海經)각각의 글에 앙과 공과 공이 쓰여 있는데(各本有作「앙(卬)」、有作「공(邛)」、亦有作「」者),글에 각각 같지 않다(書各不一)。나머지(余所) 근거(據) 학의행(郝懿行)기록되어 있는 원본에는 공으로 쓰여 있고(箋疏本作「공(邛)」),아직 모름(未知)곽박(郭璞)그때의 소견이 어떤지(當時所見何如)?云「뜻이 자세하지 않다(義未詳)」。글자에 이미 잘못이 있다고(則字已有訛誤),알 수 있다(又可知也)。

8 학의행(郝懿行)云:「이 말은 깨닫기 어렵다(此語難曉)。해내경(海內經)云:『후토는 열명을 낳았다(后土生噎鳴)。』이 경문과 관계되어 있고(此經與相涉),이지러지 빠진 글이 있고(而文有闕脫),끝내 복구하지 못하여 읽을 수 없다(遂不復可讀)。」원가기록(珂案):이 열은 앞쪽 글의 허고(此噎即上文之噓),亦即해내경(海內經)之열명(噎鳴)。해내경(海內經)云:「후토는 열명을 낳았다(后土生噎鳴)。」而「려가 땅에 관한 일을 하다(黎邛下地)」,이 려가 후토다(是黎即后土也);려는 명을 낳았고 역시 후토는 열명을 낳았다(黎所生之噎亦即后土所生之噎鳴也)。

9 곽박(郭璞)云:「해와 달과 별들의 순서를 관리하며 살핀다(主察日月星辰之度數次舍也)。」원가기록(珂案):국어(國語) 초어(楚語)云:「하나라와 상나라에 이르렀기 때문에(以至于夏商),중려씨가 대대로 하늘과 땅의 질서를 세우고(故重黎氏世敘天地)、하늘과 땅의 직분을 구별하였다(而別其分主者也)。」이 경문에 열은 서쪽 끝에서 해와 달과 별들이 순서대로 움직이는 역사를 가르치다(即此經噎處西極以行日月星辰行次之歷史化也)。


有人反臂,名曰天虞1。

팔이 뒤집어진 사람이 있는데, 이름을 천우이라 한다.


1 곽박(郭璞)云:「시우다(即尸虞也)。」학의행(郝懿行)云:「시우는 아직 나오지 않았고(尸虞未見所出),근거(據) 곽박(郭)注글을 써서 나타내고 있고(當有成文),경문 안에 있는 것으로 의심(疑在經內),현재 빠짐(今逸)。」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시우다(即尸虞也)」,송본(宋本)、모의(毛扆)本「즉(即)」作「역(亦)」。


有女子方浴月1。

달을 씻기는 여자가 있다.


帝俊妻常羲2,生月十有二,此始浴之3。

제준의 아내 상희는, 열 개의 달을 낳고 두 개를 더 낳았다, 처음 씻기기 시작했다.


1 학의행(郝懿行)云:「북당서초(北堂書鈔)一百五十卷引욕 앞에 징자가 있다(浴上有澄字)。」

2 원가기록(珂案):세본(世本) 제계편(帝繫篇)(장수졸집보(張澍輯補)注本)云:「제곡의 둘째 왕비 추자씨의 딸을(帝嚳下妃娵訾氏之女),상희라 했는데(曰常儀),상희는 제지를 낳았다(是生帝摯)。」희와 의는 성조가 비슷하고(羲、儀聲近),상희는 상의다(常羲即常儀也),제준 역시 제곡이다(帝俊亦即帝嚳也)。여씨춘추(呂氏春秋) 물궁편(勿躬篇)云:「상의는 달점을 만들었다(尚儀作占月)。」필원(畢沅)注云:「상희는 상의다(尚儀即常儀),무엇 때문에 옛날에 의를 읽을 때(古讀儀為何),후세 사람들에게 항아라는 상스러운 말이 있다(後世遂有嫦娥之鄙言)。」「상스러운 말(鄙言)」조금도 관계가 없으며(與否姑無論矣),영원히 없어지지 않는다(然其說則誠不可磨也)。이(是)「열두 개의 달을 낳았다(生月十二)」의 달의 신 상희 신화는(之月神常羲神話),달나라로 도망가는 항아의 신화가 점차 변화하고 발전하게 되었다(乃又逐漸演變而為奔月之嫦娥神話);상희는 원래 천제 제준의 아내가 되었고(常羲本為天帝帝俊之妻),야간 변하여 신 같은 예의 아내가 되었다(又一變而為其屬神羿之妻):신화전설이 변화하고 발전하여 정해진 것이 없고(神話傳說之演變無定),많은 것이 이와 같다(多如是也)。

3 곽박(郭璞)云:「희화가 해를 씻기다는 뜻과 같다(義與羲和浴日同)。」


有玄丹之山1。

현단산이 있다.


有五色之鳥,人面有髮2。

오색조가 있는데, 사람 얼굴에 머리털이 있다.


爰有青鴍 3、黃4,青鳥、黃鳥5,其所集者其國亡6。

여기에는 청문과 황오와 푸른 새와 누런 새가 있는데, 그것들이 모여 살면 그 나라가 망한다.


1 곽박(郭璞)云:「흑단이 나온다(出黑丹也)。」학의행(郝懿行)云:「앞쪽 글에 옥민국에 청단이 있다(上文沃民國有青丹),곽박(郭)云『흑단이 있다(又有黑丹也)』,이를 일컫는다(謂此)。」원가기록(珂案):장경본(藏經本) 경문에(經文)「현단산(玄丹之山)」뒤쪽에 자자가 있다(下有「자(者)」字)。

2 원가기록(珂案):이 사람 얼굴에 머리털이 있는 오색조는(此「사람 얼굴에 머리털이 있다(人面有髮)」之五色鳥),뒤쪽 글의 청문과 황오의 종류(即下文「청문(青鴍) 、황오(黃鷔)」之類),자세한 설명은 뒤쪽에 나옴(說詳後)。

3 곽박(郭璞)云:「音문(文)。」

4 곽박(郭璞)云:「音오(敖)。」

5 원가기록(珂案):경문에(經文)「청조(青鳥)、황조(黃鳥)」,아마 앞쪽에 청문과 황오의 풀이이고(大約即釋上「청문(青鴍) 、황오(黃鷔)」者),자세한 설명은 뒤쪽에 나옴(說詳後)。

6 원가기록(珂案):해외서경(海外西經)云:「차조(鳥)、첨조(𪆻鳥),그 색이 푸르고 누러며(其色青黃),지나간 나라는 망한다(所經國亡)。」又云:「청조(青鳥)、황조는 모여 산다(黃鳥所集)。」이것이다(即此是也)。其云「그 색이 푸르고 누렇다(其色青黃)」,저 경문 뒤쪽에 청조와 황조가 앞쪽에 차조와 첨조라는 것을 알 수 있다(可知彼經下文「청조(青鳥)、황조(黃鳥)」即上文「차조(鳥)、첨조(𪆻鳥)」),이 경문 뒤쪽에 청조와 황조 역시 앞쪽에 청문과 황오다(此經之下文「청조(青鳥)、황조(黃鳥)」亦即上文「청문(青鴍) 、황오(黃鷔)」矣)。해외서경(海外西經)又云:「차조는 사람 얼굴을 하고 산 위에 산다(鳥人面居山上)」,이 경문에 기록된 사람 얼굴에 머리털이 있다는 오색조가 차조와 첨조라는 것을 알 수 있고(可知此經所記「사람 얼굴에 머리털이 있다(人面有髮)」之五色鳥即「차조(鳥)、첨조(𪆻鳥)」),亦即「청문(青鴍) 、황오(黃鷔)」矣。옛 글자가 수수하고 허름하기 때문에(古文樸陋),많이 섞여 기록되었다(故記之凌雜也)。


有池名孟翼之攻顓頊之池1。

맹익이 전욱의 연못을 공격하다라는 뜻의 맹익공전욱지라는 이름의 연못이 있다.


1 곽박(郭璞)云:「맹익은(孟翼),사람의 성과 이름(人姓名)。」원가기록(珂案):맹익공전욱지는(孟翼之攻顓頊之池者),이 경문 앞쪽에 우공공공국산도(蓋猶此經上文禹攻共工國山),모두 사건 때문에 이름이 생긴 곳이다(皆因事以名地也)。맹익 역시 공공의 종류다(孟翼或亦共工之類),맹익이 전욱을 공격한다는(其攻顓頊者),역시 황제와 염제의 다툼의 잔여물이다(亦黃炎鬥爭之餘緒也)。


大荒之中,有山,名曰鏖鏊鉅1,日月所入者2。

대황의 안에, 있는 산은, 이름을 오오거라 하는데, 해와 달이 들어가는 곳이다.


1 곽박(郭璞)云:「鏊音如오(敖)。」

2 원가기록(珂案):이 오오거산은 해와 달이 들어가는 네번째 산이다(此鏖鏊鉅山為日月所入山之四也)。


有獸,左右有首,名曰屏蓬1。

짐승이 있는데, 왼쪽과 오른쪽에 머리가 있어서, 이름을 병봉이라 한다.


1 곽박(郭璞)云:「병봉이다(即并封也),말에 가벼움과 무거움이 있다(語有輕重耳)。」학의행(郝懿行)云:「해외서경(海外西經)云:병봉은 앞 뒤로 모두 머리가 있는데(并封前後有首),이는 왼쪽과 오른쪽에 머리가 있다는 말이고(此云左右有首),한 물건이 아닌 듯 하다(又似非一物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說병봉은 병봉이(屏蓬即并封),맞다(是也);앞 뒤와 왼쪽과 오른쪽에 머리가 있다는(或前後、或左右有首者),모두 짐승의 암컷과 수컷이 서로 합쳐진 모양이고(皆獸牝牡相合之象),학의행(郝)云「한 물건이 아닌 듯 하다(似非一物)」,그 설명이 꺼림칙하다(其說泥矣)。已見해외서경(海外西經)「병봉(并封)」節注。


有巫山者1。

무산이 있다.


有壑山者2。

학산이 있다.


有金門之山,有人名曰黃姖3之尸。

금문산이 있는데, 이름이 황거시라 불리는 사람이 있다.


有比翼之鳥4。

비익조가 있다.


有白鳥青翼,黃尾,玄喙5。

날개가 푸른 흰 색가 있는데, 꼬리는 누렇고, 부리는 검다.


有赤犬,名曰天犬,其所下者有兵6。

붉은 개가 있는데, 이름을 천견이라 하며, 그것이 산에서 내려오면 전쟁이 일어난다.


1 원가기록(珂案):무산(巫山)已見대황남경(大荒南經)。

2 원가기록(珂案):上文已有학산(壑山)、해산(海山)。

3 원가기록(珂案):거는(姖),장경본(藏經本)作희(姬)。

4 원가기록(珂案):비익조(比翼鳥)已見해외남경(海外南經)。

5 곽박(郭璞)云:「기조(奇鳥)。」

6 곽박(郭璞)云:「주서(周書)云:『천구가 잠시 땅에 머무르면(天狗所止地盡傾),하늘을 비추는 여광이 유성이 되는데(餘光燭天為流星),길이가 수십 장이다(長數十丈),그 빠르기는 바람 같고(其疾如風),그 소리는 우레 같으며(其聲如雷),그 빛은 번개 같다(其光如電)。』오초칠국이 반란을 일으키고 양국을 지날 때 천구가 짖었다(吳楚七國反時吠過梁國者是也)。」왕념손(王念孫)云:「개원점경(開元占經) 요이점편(妖異占篇)引곽박(郭)注云:『주서(周書)云:「천구가 갑자기 땅에 머무르면(天狗所止地蓋傾),하늘을 날아다닌다는 선인의 여광이 유성이 되는데(餘光飛天為流星),길이가 수십 장이다(長數十丈),그 빠르기는 바람 같고(其疾如風),소리는 우레 같으며(聲如雷),모양은 번개 같다(走如電)。」오초칠국이 반란을 일으키고 양구을 지날 때 나타남(吳楚七國反時過梁野)。』」학의행(郝懿行)云:「붉은 개의 이름은 천견이고(赤犬名天犬),이 짐승 이름이 되었다(此自獸名),亦如서차삼경(西次三經) 음산에 이름이 천구라는 짐승이 있다(陰山有獸名天狗耳),곽박(郭)注천구성이 되기도 하며(以天狗星當之),마치 잘못되었다(似誤也)。其引주서(周書),주서에 없어지며 빠짐(逸周書無之)。」


西海之南,流沙之濱,赤水之後,黑水之前,有大山,名曰昆侖之丘1。

서해의 남쪽, 사막의 끝, 적수의 뒤, 흑수의 앞에, 큰 산이 있는데, 이름을 곤륜구라 한다.


有神——人面虎身,有文有尾2,皆白——處之3。

신이 있는데——사람 얼굴에 범의 몸이고, 무늬가 있는 꼬리가 있으며, 모두 희다——곤륜구에 산다.


其下有弱水之淵環之4,其外有炎火之山,投物輒然5。

산 아래는 익수연이 둘러싸고 있고, 그 바깥에 염화산이 있는데, 물건이 던지면 쉽게 타버린다.


有人,戴勝,虎齒,有豹尾,穴處,名曰西王母6。

사람이 있다, 옥승을 착용했고, 범 이빨에, 표범 꼬리가 있다, 동굴에 살며, 이름을 서왕모라 한다.


此山萬物盡有7。

이 산에는 온갖 물건들이 있다.


1 원가기록(珂案):곤륜구(昆侖之丘)已見서차삼경(西次三經)、해내서경(海內西經)。해내서경(海內西經)구가 허로 쓰임(丘作虛)。

2 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三八引이 경문에는 두 개의 유자가 없다(此經無兩有字),두 개의 유자는 덧붙인 것으로 의심(兩有字疑衍)。

3 곽박(郭璞)云:「그 꼬리는 흰 점 무늬가 있다(言其尾以白為點駮)。」원가기록(珂案):서차삼경(西次三經)云:「昆侖之丘,實為帝之下都,神陸吾司之。其神狀虎身而아홉 개의 꼬리(九尾),사람 얼굴에 범 발톱이다(人面而虎爪)。이 신은(是神也),하늘의 아홉 구역과(司天之九部),천제의 정원 계절을 다스린다(及帝之囿時)。」이 신이다(即此神)。

4 곽박(郭璞)云:「그 물은 기러기 털도 뜨지 못한다(其水不勝鴻毛)。」원가기록(珂案):약수(弱水)已見해내서경(海內西經)。고소설구침(古小說鉤沉) 모음(輯) 현중기(玄中記)云:「세상의 약은(天下之弱者),곤륜에 약수가 있는데(有崑崙之弱水焉),기러기 털이 뜨지도 못한다(鴻毛不能起也)。」설명이 이와 같다(說與此同)。사기(史記) 대원전(大宛傳) 색은(索隱)引여지도(輿地圖)云:「곤륜의 약수는(昆侖弱水),용도 오르지 못하게 한다(非乘龍不至)。」더욱이 약수는 건너기 어렵다(則尤見其難渡也)。곽박(郭氏) 도찬(圖讚)云:「곤산에서 약수가 나오는데(弱出昆山),이곳은 기러기 털도 가라앉는다(鴻毛是沉);북쪽에서 사막에 가라앉고(北淪流沙),남쪽에서 화림을 비춘다(南映火林);물의 기이함을 생각컨데(惟水之奇),그 깊이를 헤아릴 수 없다(莫測其深)。」화림은(火林),뒤쪽 글의 염화산이다(即下文炎火之山也)。

5 곽박(郭璞)云:「현재 부남 동쪽으로 만리 떨어진 곳에(今去扶南東萬里),기박국이 있다(有耆薄國);동쪽으로 다시 오천 리를 가면(東復五千里許),화산국이 있고(有火山國),그곳에 산은 아무리 장마가 되어도(其山雖霖雨),항시 불타고 있다(火常然)。불 속에 흰 쥐가 있는데(火中有白鼠),때때로 산의 주변으로 나와 먹을 것을 구하며(時出山邊求食),사람들이 잘 잡아(人捕得之),털로 천을 만드는데(以毛作布),현재 화한포다(今之火澣布是也)。이 산의 종류(即此山之類)。」원가기록(珂案):신이경(神異經) 남황경(南荒經)云:「남황의 밖에 화산이 있는데(南荒外有火山),그 안에서 자라는 부진목은(其中生不盡之木),밤낮으로 불에 타거나(晝夜火然),폭풍이 지나거나(得暴風不猛),세차게 쏟아지는 비가 내려도 없어지지 않는다(猛雨不滅)。부진목 안에 있는 쥐는(不盡木中有鼠),무게는 천 근에(重千斤),털의 길이가 이 척이 넘으며(毛長二尺餘),가늘기가 실 같다(細如絲)。다만 불 속에는 붉게 빛나고(但居火中洞赤),밖으로 나왔을 때는 흰 털이다(時時出外而毛白),물을 피해 다니는데 물을 뿌리면 바로 죽는다(以水逐而沃之即死)。그 털로 길쌈하여(取其毛績紡),방직하면 천을 만들 수 있다(織以為布用之);만약 더러워졌을 (若有垢涴),불사지르면 깨끗해진다(以火燒之則淨)。」即곽박(郭氏) 설명하는 바(所說也)。而수신기(搜神記) 화한포(火澣布)則이 곤륜 염화산에 있다(是崑崙炎火之山所有),云:「곤륜허는(崑崙之墟),첫번째 땅이고(地首也),이곳이 천제의 하계 도읍인 것은(是惟帝之下都),그 밖이 약수의 못으로 끊어지고(故其外絕以弱水之淵),염화산이 둘러싸고 있다(又環以炎火之山)。산 위의 풀과 나무와 새와 짐승은(山上草木鳥獸),모두 염화의 속에서 나고 자란다(皆生育滋長於炎火之中)。이런 까닭에 화한포는(故有火澣布),이 산의 새와 짐승의 가죽이 아니다(非此山鳥獸之皮枲),그것은 새와 짐승의 털이다(則其鳥獸之毛也)。」전설의 발전이(則又傳說之發展也),경문의 풀이와 비슷하다(可逕以之釋經矣)。

6 왕념손(王念孫)云:「(문선(文選))사현부(思玄賦)注引이 경문에 표범 꼬리 앞쪽에 유자가 없다(此經豹尾上無有字),서산경(西山經)(서차삼경(西次三經)——珂)역시 없다(亦無),(후한서(後漢書))장현전(張衡傳)꼬리가 있다로 쓰여 있고(作有尾),표자가 없다(無豹字)。」원가기록(珂案):경문에 표범 꼬리가 있다의 유자는 확실히 덧붙였다(經文有豹尾之有字實衍)。

7 곽박(郭璞)云:「하도옥판(河圖玉版)亦曰:『서왕모는 곤륜산에 산다(西王母居昆侖之山)。』서산경(西山經)(서차삼경(西次三經)——珂)曰:『서왕모는 옥산에 산다(西王母居玉山)。』목천자전(穆天子傳)(卷五)曰『곧 엄산의 돌에 명성과 업적을 세겼고(乃紀名跡于弇山之石),서왕모산이라 한다(曰西王母之山)』也。서왕모는 비록 곤륜궁에 살지만(然則西王母雖以昆侖之宮),굴을 나누어 별도의 궁이 있기 마련이고(亦自有離宮別窟),놀며 휴식하는 곳이며(游息之處),하나의 산에서만 살고 있지 않다(不專住一山也)。적힌글이 각각의 추천된 소견이라 말할 수 있다(故記事者各舉所見而言之)。」학의행(郝懿行)云:「현재 책(今本) 목천자전(穆天子傳)作『엄산의 돌에 명성과 업적을 세겼다(紀丌跡于弇山之石)』,기는 기를 임의로 빌려다 쓴 글자(丌即其之假借字也)。곽박(郭)云『서왕모는 비록 곤륜궁에서(西王母雖以昆侖之宮)』,산다가 되어야한다(以當為居)。이는(以),옛 글자 이로 쓴다(古字作㠯);거는(居),옛 글자 거로 쓴다(古文作凥),모두 모양이 비슷하여 잘못되었다(皆形近而訛也)。장경본(藏經本)作『비록 곤륜에서 살게 되었다(雖以昆侖為宮)』,그 뜻이 통한다(其義亦通也)。경문에서 말하는 서왕모는 굴에 산다는(經言西王母穴處者),장자(莊子) 대종사편(大宗師篇)云:『서왕모는 소광에 앉았다(西王母坐乎少廣)。』석문(釋文)引사마표(司馬彪)云:『소광은(少廣),굴의 이름(穴名)。』이곳은 사람이 사는 곳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是知此人在所),깊게 팬 커다란 굴에서 살게 되었다(乃以窟穴為居)。故목천자전(穆天子傳)(卷三)얹다(載):『천자는 읊다(為天子吟)曰:「범과 표범은 무리를 짓고(虎豹為群),새와 짐승은 함께 산다(鳥獸與處)(현재 책에는 까치와 함께 산다(今本作於鵲與處)——珂)。」』그것은 확실히 도다(蓋自道其實也)。그 책에 설명이 서왕모는 옥궐금당에 산다(它書或說西王母所居玉闕金堂),다만 실상이 없는 말이 되었다(徒為虛語耳)。」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비록 곤륜궁에서(雖以昆侖之宮)」,왕념손(王念孫)亦校이가 거로 쓰임(以作居)。


大荒之中,有山名曰常陽之山1,日月所入2。

대황의 안에, 이름이 상양산이라는 산이 있는데, 해와 달이 들어가는 곳이다.


1 학의행(郝懿行)云:「或說(필원(畢沅)說——珂)해외서경(海外西經) 형천은 상양산에 묻혔고 이 산이다(形天葬常羊之山即此),틀렸다(非也);상양산(常羊之山)見뒤쪽 글(下文)。」원가기록(珂案):이 상양산과 뒤쪽에 나오는 편구와 상양산의 상양산은(此常陽山與下文「편구(偏句)、상양산(常羊之山)」(두 산 이름(二山名))之常羊山),모두 해외서경 형천이 묻힌 상양산으로 의심(疑均해외서경(海外西經)刑天所葬之常羊山);황경의 땅 이름은 겹치고 중복되는 것이 많고(荒經地名多複沓重出),기록이 하나가 아니며(記非一手),충분히 다르다(不足異也)。

2 원가기록(珂案):이 상양산은 해와 달이 들어가는 다섯번째 산이다(此常陽之山為日月所入山之五也)。


有寒荒之國。

한황국이 있다.


有二人女祭、女薎1。

여제와 여멸 두 사람이 있다.


1 곽박(郭璞)云:「잔을 잡고(或持觶),도마를 잡았다(或持俎)。」원가기록(珂案):여제과 여멸은(女祭、女薎),即해외서경(海外西經)의 여제와 여척이고(之女祭、女戚),신에게 제사 지내는 여자 무당이다(蓋祀神之女巫也),자세한 설명은 끝부분 주석(說詳該節注)。


有壽麻之國1。

수마국이 있다.


南嶽娶州山女,名曰女虔。

남악이 주산의 딸에게 장가를 갔고, 이름을 여건이라 한다.


女虔生季格,季格生壽麻2。

여건은 계격을 낳았고, 계격은 수마를 낳았다.


壽麻正立無景,疾呼無響3。

수마는 똑바로 서면 그림자가 없으며, 다급히 외쳐도 소리가 없다.


爰有大暑,不可以往4。

여기는 너무 더워서, 지나갈 수 없다.


1 곽박(郭璞)云:「여씨춘추(呂氏春秋)曰:『남쪽에 수마를 복종시키고(南服壽麻),북쪽에 탑이를 길들이다(北懷闒耳)。』」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引여씨춘추(呂氏春秋) 임수편(任數篇)文也,남은 서가 되어야하고(南當為西),잘못된 글자(字之訛)。수마는(壽麻),수미로 쓴다(彼作壽靡)。고유(高誘)注云:『서극국은(西極之國),미를 마로 쓴다(靡亦作麻)。』현재 기록된 마와 미를 옛날에 같은 글자(今案麻、靡古字通)。(한서(漢書))지리지(地理志)云:『익주군(益州郡) 수미(收靡)。』이기(李奇)云:『靡音마(麻),승마(即升麻也)。』」원가기록(珂案):장경본(藏經本) 곽박(郭)注남쪽에 수마를 복종시키고에서 남은 서로 써야 한다(南服壽麻南正作西)。

2 오임신(吳任臣)云:「관편(冠篇):『황제 홍이 처음 남악에 궁을 만들어서(黃帝鴻初為南岳之官),이름이 남악이다(故名南岳)。』여건은(女虔) 학문의 세계에서(學海)作여엄(女𢇘)。又노사(路史)(후기(後紀)六)曰:『제홍은 백민과 희를 낳았고(帝鴻生白民及嘻),희는 계격을 낳았고(嘻生季格),계격은 제괴를 낳았다(季格生帝魁)。』注云:『희가 남악이다(嘻其南岳也)。』누가 옳은지 확실하지 않다(未審孰是)。」원가기록(珂案):오임신(吳)所引관편(冠編)及노사(路史) 아무리 모두 나중에 나타난 억지소리라도(雖均後起臆說),아직 부족한 근거이다(未足為據),이 남악은 황제와 연관된 사람이라 의심된다(然此南嶽疑實亦當為黃帝系人物也)。경문에(經)又云:「수마는 똑바로 서면 그림자가 없으며(壽麻正立無景),다급히 외쳐도 소리가 없다(疾呼無響),여기는 너무 더워서(爰有大暑),지나갈 수 없다(不可以往)。」모두 의심(并疑)與대황북경(大荒北經) 황제와 여발의 신화와 관계가 있고(黃帝女魃之神話有關),수마는 그 황제와 여발의 바뀌어서 달리 된것인가(壽麻其黃帝女魃之轉化乎)?

3 곽박(郭璞)云:「그 타고난 바탕의 형상과 기운이 사람과 다르다(言其稟形氣有異於人也)。열선전(列仙傳)曰:『현속은 그림자가 없다(玄俗無景)。』」학의행(郝懿行)云:「회남자(淮南) 지형훈(墬形訓)言『건목은 한낮에도 그림자가 없으며(建木日中無景),큰 소리를 내도 메아리가 없다(呼而無響)』也。습유기(拾遺記)(卷一)云:『발제국은(勃鞮之國),사람들 모두 한낮에도 그림자가 없다(人皆日中無景)。』열선전(列仙傳)云:『현속은(玄俗者),스스로 하한 사람이라 하였고(自言河閒人也),파두와 운영으로 경단을 만들어(餌巴豆雲英),시장에서 약으로 팔았다(賣藥於市),일곱 알을 일 전에 팔았는데(七凡(환(丸))一錢),온갖 질병이 나았다(治百病)。하간의 임금이 위병이 나서(王病瘕),약을 먹고(服藥),십여 마리의 뱀을 배설하였다(用下蛇十餘頭)。임금 집안의 늙은 시종들 말하길(王家老舍人自言)아버지 세대에서도 현속을 만났는데(父世見俗),현속이 다닐때 그림자가 없었다(俗行無景),임금이 현속을 한낮에 불렀는데(王呼俗著日中),확실히 그림자가 없었다(實無景)。』기록(案) 이 근거로(此據) 유규(劉逵)注위도부(魏都賦)所引,현재 열선전 책은 같지 않다(與今列仙傳本不同)。」

4 곽박(郭璞)云:「강한 햇볕에 사람이 타 죽는다(言熱炙殺人也)。」원가기록(珂案):초사(楚辭) 초혼(招魂)云:「서쪽의 재앙은(西方之害),그 땅은 사람을 데게 하고(其土爛人),물을 구하려해도 조금의 물도 얻을 수 없다(求水無所得些)。」왕일(王逸)注云:「서쪽 땅의 덥고 따뜻한 기운이 아주 높아(言西方之土溫暑而熱),사람의 육체를 불살라 문드러지게 하고(燋爛人肉),목이 말라 물을 마시려해도(渴欲求水),물이 나오는 곳이 없어(無有源泉),물을 얻을 수 없다(不可得之)。」이 종류(亦此類也)。


有人無首,操戈盾立,名曰夏耕之尸1。

머리가 없는 사람이 있는데, 창과 방패를 들고 서있다, 이름을 하경시라 한다.


故成湯伐夏桀于章山,克之2,斬耕厥前3。

장산에서 하나라 걸왕을 탕왕이 징벌하였고, 이겨서, 경의 머리를 배었다.


耕既立,無首,[上禾下龰]4厥咎5,乃降于巫山6。

경은 벌떡 일어나, 머리도 없이, 꾸짖으며 그대로 도망쳤고, 곧 무산에서 내려갔다.


1 곽박(郭璞)云:「亦형천의 종류(形天尸之類)。」

2 곽박(郭璞)云:「우장은(于章),산 이름(山名)。」원가기록(珂案):곽박(郭)以「우장(于章)」산 이름이 되었다(為山名),잘못되었다(蓋誤也)。장산이 처음 산 이름이고(章山始是山名),우는 전치사다(于乃介詞),마치 뒤쪽에 무산에서 내려갔다의 우다(猶下文「이에 무산에서 내려갔다(乃降于巫山)」之于也。

3 곽박(郭璞)云:「머리 역시 전에 있다(頭亦在前者)。」

4 원가기록(珂案):「[上禾下龰]송본(宋本)、모의(毛扆)本모두 주로 쓰임(均作走)。[上禾下龰],주의 본 글자(走本字)

5 곽박(郭璞)云:「도망치는 죄인(逃避罪也)。」원가기록(珂案):장경본(藏經本) 립자는 머리도 없이 뒤쪽에 있다(立字在無首字下)。

6 곽박(郭璞)云:「무산에 숨어서(自竄於巫山),무산은 현재 건평 무현에 있다(巫山今在建平巫縣)。」학의행(郝懿行)云:「(한서(漢書))지리지(地理志)云:『남군에 무(南郡巫)。』응소(應劭)注云:『무산은 서남쪽에 있다(巫山在西南)。』곽박(郭)云『현재 건평 무현에 있다(今在建平巫縣)』者,見진서(晉書) 지리지(地理志)。」

   원가기록(珂案):하경이 머리가 잘린 신화는(夏耕斷首神話),탕왕을 신성한 영웅인물로 충분히 표현한 것이고(充分表現成湯亦是具有神性之英雄人物),탕왕이 하나라를 징벌한 것도(故其伐夏也),신의 도움을 얻은 것이다(亦得神助)。묵자(墨子) 비공(非攻)下云:「한군데로 몰려들자(遝至乎),하늘의 잔인한 명으로(天有酷命),온갖 곡식이 말라 죽고(五穀焦死),나라에 귀신을 부르며(鬼呼國),해와 달이 갑자기 나타나(日月不時),추위와 더위가 뒤섞기고(寒暑雜至),학이 열흘 밤을 울더라(鶴鳴十夕餘)。하늘은 탕에게 명하여 오궁에서(天乃命湯於鏕宮),하나라의 큰 명을 가져다 바침(用受夏之大命)。탕이 어찌 감히 그 무리에 부모를 모시며(湯焉敢奉率其眾),이 마을은 하나라 가장자리에 있다(是以鄉有夏之境)。임금은 이에 음으로 하여금 사납게 파괴한 하나라의 도읍(帝乃使陰暴毀有夏之城)。조금은(少少),신래의 보고(有神來告)曰:『하나라에 큰 난리가 나(夏德大亂),공격하러 갔지만(往攻之),나는 반드시 너를 감당할 수 있다(予必使汝大堪之)。나는 이미 하늘에 명을 받을어(予既受命於天),하늘의 명으로 축융이 하나라 도읍으로 불을 가지고 내려왔다(天命融(축융(祝融))隆(강(降))火於夏城之閒),서북의 구석으로(西北之隅)。』탕이 걸의 무리를 대우하여(湯奉桀眾),하나라를 이겼고(以克有夏),야박한 제후의 무리들(屬諸侯於薄)。」이는 그들을 소집하다(是其徵也)。그렇지만(雖然),이미 숙명론의 성향을 두르다(已帶宿命論之色彩)。초사(楚辭) 천문(天問)云:「의복의 가장자리를 흰 꾸밈구슬로 장식하고(緣鵠飾玉),후제는 이들에게 대접하며(后帝是饗),어찌 하나라의 후사를 도모하였고(何承謀夏),걸은 멸망하여 끝이 났는가(桀終以滅喪)?임금이 나들이하며 도시를 살피다(帝乃降觀),이지를 만났다(下逢伊摯),어찌 명조에서 추방하는 벌을 내리자(何條放致罰),백성들이 크게 기뻐하였나(而黎服大說)?」하나라와 은나라의 일은(夏殷之事),이 몇 마디의 말을 대충 추려 한데 뭉뚱그림(概括於此數語矣)。


有人名曰吳回,奇左1,是無右臂2。

이름이 오회라는 사람이 있는데, 옆이 기이하였고, 오회는 오른팔이 없다.


1 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校改경문(經文)「기이한 왼팔(奇左)」為「기이한 팔뚝(奇厷)」,아마도 그렇지 않다(恐非)。

2 곽박(郭璞)云:「이상한 팔뚝(即奇肱也)。오회는(吳回),축융의 동생이고(祝融弟),화정 불을 관리하는 신이 되었다(亦為火正也)。」학의행(郝懿行)云:「이는 기굉국이 아니다(此非奇肱國也)。설문해자(說文)(十四)云:『혈은(孑),오른팔이 없다(無右臂也)。』이런 종류다(即此之類)。오회는(吳回者),대대례(大戴禮) 제계편(帝繫篇)云:『노동은 중려와 오회를 낳았다(老童產重黎及吳回)。』사기(史記) 초세가(楚世家)云:『제곡은 중려를 베고 그 동생 오회에게 중려의 자리에 앉히고(帝嚳誅重黎而以其弟吳回為重黎),뒤에 다시 화정의 자리를 잇게하였으며(後復居火正),축융이 되었다(為祝融)。』이것은 모두 중려가 한 사람으로 되었고(是皆以重黎為一人),오회도 한 사람이 되었다(吳回為一人)。세본 역시 같다(世本亦同)。이 경문 앞쪽 글에 중려는 두 사람이라고 되었는데(此經上文則以重黎為二人),려는 오회와 비슷하다(似黎即吳回)。故잠부론(潛夫論) 지씨성(志氏姓)云:『려는(黎),전욱씨 후손 오회다(顓頊氏裔子吳回也)。』고유(高誘)注회남자(淮南)(시칙편(時則篇))亦云:『축융은(祝融),전욱의 손자고(顓頊之孫),노동은 오회의 자식이다(老童之子吳回也);려라고도 하며(一名黎),고신씨 화정이 되었다(為高辛氏火正),호는 축융이 되었다(號為祝融)。』其注여씨춘추(呂氏春秋)(맹하편(孟夏篇))又云:『오국 회록의 신탁은 부엌에서 받는다(吳國回祿之神託於竈)。』與注회남자(淮南) 다르다(異也)。왕부(王符)、고유(高誘) 모두 려는 오회이고(並以黎即吳回),이 경문과 뜻이 어울린다(與此經義合)。중과 려는 연이어 불을 관리하는 신이 되었기 때문에(重、黎相繼為火官),모두 이름이 축융이다(故皆名祝融矣)。」


有蓋山之國。

개산국이 있다.


有樹,赤皮支榦,青葉,名曰朱木1。

나무가 있는데, 껍질과 가지와 줄기가 붉고, 잎이 푸르며, 이름을 주목이라 한다.


1 곽박(郭璞)云:「或作주위목(朱威木)也。」원가기록(珂案):주목(朱木)已見대황남경(大荒南經),푸른 잎은 푸른 꽃으로 쓰여 있고(青葉作青華),맞다(是也),이 글자 모양은 잘못되었다(此蓋字形之訛)。


有一臂民1。

일비민이 있다.


1 곽박(郭璞)云:「북쪽 끝 아래에도 일각인이 있다(北極下亦有一腳人),見하도옥판(河圖玉版)。」

 원가기록(珂案):일비민은 일비국이다(一臂民即一臂國),已見해외서경(海外西經)。


大荒之中,有山名曰大荒之山,日月所入1。

대황의 안에, 이름이 대황산이라는 산이 있는데, 해와 달이 들어가는 곳이다.


有人焉三面,是顓頊之子,三面一臂2,三面之人不死3,是謂大荒之野。

여기에 얼굴이 세 개인 사람이 있는데, 이것은 전욱의 자식이며, 얼굴이 세 개에 팔이 하나다, 얼굴이 세 개인 사람은 안 죽는다, 이곳을 일컬어 대황의 들이라한다.


1 원가기록(珂案):이 대황산은(此大荒之山),해와 달이 들어가는 여섯번째 산이다(蓋日月所入山之六也)。

2 곽박(郭璞)云:「왼팔이 없다(無左臂也)。」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十四)云:『혈은(孓),왼팔이 없다(無左臂也)。』이것이다(即此)。」

3 곽박(郭璞)云:「사람 머리의 세 측면에 각각 얼굴이 있다(言人頭三邊各有面也)。현토 태수 왕기가 옥저국에 이르렀고(玄菟太守王頎至沃沮國),그곳에 나이 많은 노인에게 물었다(問其耆老),云『뒤집어져 부서진 배가 하나 있는(復有一破船),물결이 이는 바닷가에서(隨波出在海岸邊),부서진 배에 탄 사람이(上有一人),이마 가운에 얼굴이 겹쳐 있었고(頂中復有面),더불어 말을 나누지 못하고(與語不解),먹지 않아 죽었다(了不食而死)』。이는 양 옆에 얼굴을 가진 사람이다(此是兩面人也)。여씨춘추(呂氏春秋)曰『한 개의 팔에 세 얼굴의 마을(一臂三面之鄉)』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說本삼국지 위지동이전(三國志魏志東夷傳),所引여씨춘추(呂氏春秋) 구인편(求人篇) 글에(文),云「우가 서쪽에 세 개의 얼굴에 한 개의 팔인 마을에 이르렀다(禹西至三面一臂之鄉)」。注글에(文)「이마 가운데 얼굴이 겹쳐 있다(頂中復有面)」글귀(句),송본(宋本)、명장본(明藏本)、모의(毛扆)本、오임신(吳任臣)本、필원(畢沅)校本、백자전서(百子全書)本,정은 모두 항으로 쓰여 있고(頂均作項),삼국지 위지동이전(三國志魏志東夷傳)亦 항으로 쓰여 있다(作項),항으로 쓰는 것이 맞다(作項是也),정은 잘못된 글자(頂字訛)。


西南海之外,赤水之南,流沙之西,有人珥兩青蛇,乘兩龍,名曰夏后開1。

서남쪽 바다의 밖, 적수의 남쪽, 사막의 서쪽에, 두 마리 푸른 뱀을 귀에 건 사람이 있는데, 두 마리의 용을 타고 있다, 이름을 하후개라 한다.


開上三嬪于天2,得九辯與九歌以下3。

하후개는 3명의 궁녀를 하늘에 올리고, 구변과 구가를 얻어 내려왔다.


此天穆之野,高二千仞4,開焉得始歌九招5。

이 천목의 들은, 높이가 이천 길이며, 하후개는 여기서 얻은 구초를 처음으로 노래했다.


1 원가기록(珂案):개는 계다(開即啟也),한나라 사람 경제의 휘라 고침(漢人避景帝(유계(劉啟))諱改)。

2 곽박(郭璞)云:「빈은(嬪),부다(婦也),천제에게 아름다운 여자를 받친다는 말(言獻美女(송본(宋本)作인(人)——珂)於天帝)。」학의행(郝懿行)云:「이소(離騷)云:『계는 구변과 구가를 노래하다(啟九辯與九歌)。』천문(天問)云:『계는 제사를 지내고 상제의 손님으로 가(啟棘賓商),구변과 구가를 얻었다(九辯九歌)。』이 빈과 빈은 옛 글자로 같다(是賓、嬪古字通)。극과 극은 같다(棘與亟同)。계는 천제에게 세 번의 손님을 초대되었고(蓋謂啟三度賓于天帝),구주의 음악을 얻었다(而得九奏之樂也)。故귀장(歸藏) 정모경(鄭母經)云:『하후계의 서는(夏后啟筮),하늘에서 용을 올라 타고 날으니(御飛龍登于天),좋다(吉)。』바로 그 일을 일컫는다(正謂此事)。주서(周書) 왕자진편(王子晉篇)云:『나는 삼 년 뒤에(吾後三年),천제가 있는 곳에 중요한 손님이 된다(上賓于帝所)。』그것이 증거다(亦其證也)。곽박(郭)注크게 틀림(大誤)。」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說지극히 맞다(甚是)。천문(天問)「계는 제사를 지내고 상제의 손님으로 가(啟棘賓商)」,현대 사람의 연구가 근거(據近人研究),상은 제의 모양이 잘못된것(商乃帝之形訛),「계는 조속히 제사를 지내고 상제의 손님으로 가(啟棘賓商)」者,即「계는 천제의 손님으로 자주 같다(啟亟賓帝)」也,是知곽박(郭)注所云為「크게 틀림(大誤)」也。

3 곽박(郭璞)云:「모두 천제의 음악 이름이다(皆天帝樂名也),개는 하늘에 올라 훔쳐왔다(開登天而竊以下用之也)。하후개의 서(開筮)(하후계의 서(啟筮)——珂)曰:『그 옛날 구명은(昔彼九冥),이 임금의 말씀과 함께 궁궐에 쓰였고(是與帝辯同宮之序),이를 구가라 일컫는다(是謂九歌)。』又曰:『훔지지 않고는 말씀과 구가를 나라에 가져 올 수 없었다(不得竊辯與九歌以國于下)。』의구가 귀장에 보인다(義具見於歸藏)。」

4 곽박(郭璞)曰:「죽서(竹書)曰『전욱은 백곤을 낳았는데(顓頊產伯鯀),이것이 마치 해 같았다(是維若陽),천목의 양지에 살았다(居天穆之陽)』也。」원가기록(珂案):경문에 천목의 들은(經文天穆之野),왕념손(王念孫)校改作대목의 들(大穆之野),然「천목(天穆)」、「대목(大穆)」,옛 책에 모두 나온다(古書並見),천과 대는 옛 책에 하나의 글자(天、大古本一字),고칠 필요가 없다(不必改也)。

5 곽박(郭璞)云:「죽서(竹書)曰『하후개는 춤을 추며 구초를 노래한다(夏后開舞九招)』也。」원가기록(珂案):경문에(經文_及곽박(郭)注구초(九招),명장본(明藏本) 글자가 모두 소로 쓰였다(字均作韶)。경문(經文)「여기서 얻은 구초를 처음으로 노래했다(開焉得始歌九招)」,왕념손(王念孫)校改「얻은 것을 처음으로(得始)」為「처음 얻다(始得)」,확실히 현재 문법에 따르게 되었다(固於今文法為順),옛 문법의 법칙이라 할 수 없고(然未可以律古文法),고칠 필요가 없다(亦不必改也)。하후개가 용을 타고 하늘에 손님으로 간 신화 관련(關於夏后開(계(啟))乘龍賓天神話),詳해외서경(海外西經)「하후계(夏后啟)」節。


有互人之國1。

호인국이 있다.


炎帝之孫2名曰靈恝3,靈恝生互人,是能上下于天4。

염제의 손자 이름은 영계이고, 영계는 호인은 낳았으며, 호인은 하늘에 오르고 내릴 수 있다.


1 곽박(郭璞)云:「사람 얼굴에 물고기 몸(人面魚身)。」원가기록(珂案):경문(經文) 호인국은(互人之國),왕념손(王念孫)校호를 저로 고침(改互作氐),맞다(是也),見해내남경(海內南經)「저인국(氐人國)」節注。곽박(郭)注「ㅅ람 얼굴에 물고기 몸(人面魚身)」네 글자(四字_,필원(畢沅)校本경문에도 쓰여 있다(以作經文),云장경본(藏經本)作경문(經文)。학의행(郝懿行)云乃곽박(郭)本해내남경(海內南經)之文。현재 기록에 이 네 글자는 곽박의 설명으로 인해 쓰여 있다(今案宋本此四字仍作곽박(郭)注),則학의행(郝)說맞다(是也)。

2 곽박(郭璞)云:「염제는(炎帝),신농이다(神農)。」원가기록(珂案):한서(漢書) 인표(人表)「염제 신농씨(炎帝神農氏)」장안(張晏)注曰:「불로 큰 덕을 쌓은 왕이기 때문에(以火德王),호를 몀제라 한다(故號曰炎帝);쟁기를 만들었기 때문에(作耒耜),신농이라 한다(故曰神農)。」염제와 신농은 선진고적에 서로 논의 되지 않고 있으며(然炎帝與神農在先秦古籍本不相謀),한참 뒤인 한나라에 이르러 처음 합쳐져 하나가 되었다(至漢以後始合而為一也)。사기(史記) 오제본기(五帝本紀)云:「헌원의 시절에(軒轅之時),신농씨가 쇠퇴하다(神農氏衰)。」又云:「헌원은 덕을 쌓고 병사를 모아(軒轅乃脩德振兵),판천의 들에서 염제와 싸웠다(以與炎帝戰於阪泉之野)。」이 염제가 신농이 되었다(是以炎帝為神農矣)。역사(繹史)卷四引주서(周書)云:「신농의 시절에(神農之時),하늘에서 조가 내렸고(天雨粟),신농은 밭을 갈고 내린 조를 심었다(神農遂耕而種之),도기를 굽고 쇠붙이를 제련해 도끼를 만들었고(作陶冶斧斤),쟁기와 호미가 되었다(為耒耜鉏鎒),풀숲을 개간하였고(以墾草莽),그 뒤에 온갖 곡식이 창성하였으며(然後五穀興助),온갖 과일 열매를 맺는 곶간이 되었다(百果藏實)。」습유기(拾遺記)卷一亦云:「염제의 시절에 붉은 참새가 아홉 개의 이삭이 달리 벼를 물고 있다가(炎帝時有丹雀銜九穗禾),그것을 땅에 떨어뜨렸고(其墜地者),염제를 그것을 주워다(帝乃拾之),밭에 심었다(以植於田),먹은 사람은 늙어도 죽지 않았다(食者老而不死)。」이 염제 신농의 호가 신농이 된 까닭이다(此炎帝神農之所以號為「신농(神農)」也)。염제 신농 신화와 관련이 있고(有關炎帝神農之神話),그것을 가장 잘 쓴 저자를 발굴해 상약과 편약이 되었다(其最著者厥為嘗藥與鞭藥)。회남자(淮南子) 수무편(脩務篇)云:「신농은 온갖 풀의 맛을 맛보았는데(神農嘗百草之滋味),하루에 칠십 개의 독을 먹기도 하였다(一日而遇七十毒)。」수신기(搜神記)卷一云:「신농이 붉은 채찍을 온갖 풀에 채찍질 하여(神農以赭鞭鞭百草),그 평기와 독기와 한기와 온기의 성질을 모두 알아냈고(盡知其平毒寒溫之性),냄새와 맛의 주인을 알았고(臭味所主),온갖 곡식을 파종하였다(以播百穀)。」술이기(述異記)因謂「태원신 부강에(太原神釜岡),신농이 약초를 맛볼 때 사용했던 솥이 있다(有神農嘗藥之鼎);성양산 안에(成陽山中),신농이 약을 채찌질한 곳이 있다(有神農鞭藥處)」:신화가 옛 텃의 증거를 가리킨다(神話而又加以遺跡之指證焉)。而명나라(明) 주유(周游) 개벽연역(開闢衍繹)第十八回왕자승(王子承)「역의(釋疑)」且云:「후세에 전해지는 신농은 영롱하 옥체에(後世傳言神農乃玲瓏玉體),그 간과 폐 오장을 볼 수 있다고(能見其肝肺五臟),이 일이 전해짐(此寔事也)。만약 영롱한 옥체가 아니라면(若非玲瓏玉體),약을 맛볼 때 하루에 스무 개의 독을 먹고(嘗藥一日遇十二毒),어찌 해독할까(何以解之)?다만 염제가 여러 가지 약을 맛보아서(但傳炎帝嘗諸藥),중독된 이를 해독하였고(中毒者能解),배에 들어간 백종충을 맛보았고(至嘗百足蟲入腹),한 다리로 이루어지 벌레도 먹으니(一足成一蟲),마침내 끊임없이 변화하게 되었고(遂致千變萬化),염제는 그 독을 해독할 수 없어서 죽음에 이르고(炎帝不能解其毒而致死),결코 그럴 리가 없음(萬無是理),이것이 잘못 전해짐(此訛傳耳)。」물론(無論)「식사(寔事)」或「와전(訛傳)」,중요한 것은 후세에 신농이 약을 맛본다가 민간전설이 되었고(要為後世神農嘗藥之民間傳說),의문이 없을 수 있다(可無疑問)。염제가 덕을 베푸는 것 역시 전해지며(則炎帝之德施亦溥),사랑하는 마음도 단단하다(愛念亦堅矣)。서차삼경(西次三經)云:「발구산(發鳩之山),여기에 있는 새는(有鳥焉),그 모양이 까마귀 같은데(其狀如烏),무늬 있는 머리와 흰 부리와 붉은 발이며(文首、白喙、赤足),이름을 정위라 한다(名曰精衛),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其名自詨)。이것은 염제의 작은 딸이며 이름은 여와라 한다(是炎帝之少女名曰女娃),여왜는 동쪽 바다로 놀러 갔다가(女娃遊於東海),바다에 빠져 돌아오지 못 했기 때문에(溺而不返),정위가 되었다(故為精衛),항상 서쪽 산의 나무와 돌을 입으로 물고 와 동쪽 바다를 메우려고 한다(常銜西山之木石以堙於東海)。」그 확실한 뜻은 아버지의 모습이 착하고 어질어 그리워하는 마음이 끝이 없다(其堅志乃甚有父風而令人嚮慕無窮焉)。

3 곽박(郭璞)云:「音如권계의 계(券契之契)。」

4 곽박(郭璞)云:「구름과 비를 내릴 수 있다(言能乘雲雨也)。」원가기록(珂案):이 경문의 호인국은(此經互人國)即해내남경(海內南經) 저인국(氐人國),已見해내남경(海內南經)「저인국(氐人國)」節注。


有魚偏枯,名曰魚婦。

반신불수인 물고기가 있는데, 이름을 어부라 한다.


顓頊死即復蘇1。

전욱은 죽자마자 바로 되살아났다.


風道北來,天乃大水泉2,蛇乃化為魚,是為3魚婦。

북쪽에서 바람이 불어, 저승에 홍수가 나서 하늘까지 찼다, 이때 뱀에서 물고기로 변했고, 이것이 어부가 되었다.


顓頊死即復蘇4。

전욱은 죽자마자 바로 되살아 났다.


1 곽박(郭璞)云:「그것은 사람으로 변화할 수 있다(言其人能變化也)。」

2 곽박(郭璞)云:「샘물이 바람을 타고 사납게 넘쳐 나오다(言泉水得風暴溢出)。도는(道),쫓는다(猶從也);한비자(韓非)(십과편(十過篇))曰:『검은 두루미 열여섯 마리가(玄鶴二八),남쪽 길을 따라오다(道南方而來)。』」

3 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作위(謂)。

4 곽박(郭璞)曰:「회남자(淮南子)曰:『후직과 용은 건목 서쪽에 있는데(后稷龍在建木西),그곳은 사람이 죽었다 다시 되살아며(其人死復蘇),그 안에서 물고기가 되었다(其中為魚)。』이를 일컫는다(蓋謂此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引회남자(淮南子) 지형편(墬形篇)文,현재 책(今本)云:「후직의 무덤은 건목 서쪽에 있는데(后稷壟在建木西),그곳은 사람이 죽었다 다시 되살아며(其人死復蘇),되살아난 사람은 반은 물기기로 그 사이에 있다(其半魚在其閒)。」故곽박(郭)注용은 롱이 되어 있고(龍當為壟),중은 반이 되어 있으며(中當為半),모두 글자 모양이 잘못됨(並字形之訛也)。송본(宋本)、명장본(明藏本) 중이 반으로 쓰여 있다(中正作半)。근거(據) 경문의 뜻은(經文之意),어부는 전욱이 변한 것(魚婦當即顓頊之所化)。그것은 어부가 되었다고 불리는 까닭이다(其所以稱為「어부(魚婦)」者),그것은 바람을 타고 샘이 솟아올르고 뱀이 변하여 물고기의 기능이 되었으니(或以其因風起泉湧、蛇化為魚之機),물고기와 몸이 한덩어리가 되는 중에 다시 되살아나(得魚與之合體而復蘇),몸의 절반은 사람으로 되어있고(半體仍為人軀),절반은 물고기로 변하게 되었다(半體已化為魚),그래서 어부라 한다(故稱「어부(魚婦)」也)。후직은 죽었다 다시 되살아났는데(后稷死復蘇),亦稱「되살아난 사람은 반은 물기기로 그 사이에 있다(其半魚在其閒)」,옛날에는 확실히 이런 종류의 기이한 이야기와 괴상한 말이 백성들 사이에 널리 퍼져 알려졌다(知古固有此類奇聞異說流播民間也)。


有青鳥,身黃,赤足,六首,名曰𪇆鳥1。

푸른 새가 있는데, 몸은 누렇고, 발은 붉으며, 머리가 여섯 개이다, 이름을 촉조라 한다.


1 곽박(郭璞)云:「音촉(觸)。」원가기록(珂案):해내서경(海內西經)云:「개명 남쪽에 있는 수조는(開明南有樹鳥),머리가 여섯 개다(六首)。」이것으로 의심(疑即此)。


有大巫山。

대무산이 있다.


有金之山。

금산이 있다.


西南,大荒之中隅1,有偏句、常羊之山2。

서남쪽, 대황의 구석에, 편구산과 상양산이 있다.


1 원가기록(珂案):장경본(藏經本) 우 앞쪽에 중은 없는 글자(隅上無中字)。

2 학의행(郝懿行)云:「해외서경(海外西經)云:『황제가 형천의 머리를 잘라(帝斷形天之首),상양산에 묻었다(葬之常羊之山)。』회남자(淮南) 지형훈(墬形訓)云:『서남쪽을 편구산이라 한다(西南方曰編駒之山)。』편구는 편구로 의심(編駒疑即偏句)。여씨춘추(呂氏春秋) 유대편(諭大篇)云:『지대에는 상상과 부정이 있다(地大則有常祥不庭)。』상상이 상양으로 의심(疑常祥即常羊也)。부정(不庭)已見대황남경(大荒南經)。」


  살피다(按):하후개는 계이고(夏后開即啟),한나라 경제의 휘를 피하기 위해서다(避漢景帝諱)云。(원가기록(珂案):이 부연 설명이 원래 책에 가지고 있다(此按語為原書所有),쓴 사람이 자세하지 않다(未詳作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