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황동경(大荒東經) 번역

산해경/대황동경 2018. 2. 28. 00:00

대황동경1


1 원가기록(珂案):명도 장본 목록(明道藏本目錄),해내경(海內經)第十八之下注云:「책은 일천 일백 십 일 글자(本一千一百十一字),주석은 구백 육십 칠 글자(注九百六十七字)。此해내경(海內經)及대황경(大荒經) 책 밖에 있다(本皆進在外)。」「밖에 있다(進在外)」或作「밖에 빠져 있다(逸在外)」。이는 모두 곽박의 주석으로 의심(疑此皆곽박(郭璞)注語)。필원(畢沅)云:「곽박(郭)注本목록(目錄) 후반(下有)云:『해내경(海內經)及대황경(大荒經) 책 모두 밖에 있다(本皆進在外)。』이 경문 마지막 기록 또는 건평년에 책이 바르고 틀림을 검열한 항목이 기록에 없고(案此經末又無建平校進識),예문유취 십 삼 편의 기록에도 없다(又不在藝文十三篇之數),유수주(惟秀奏)云:『현재 열 여덟 편으로 만들어 정해짐(今定為十八篇)。』이 경문에 자세한 사항은(詳此經文),해외경 모든 편에 풀이 되었고(亦多是釋海外經諸篇),수등이 서술한 것으로 의심(疑即秀等所述也)。」학의행(郝懿行)云:「곽박은 이 말이 후반 다섯 편 모두 후세 사람들이 서술한 것이 근거라 하였고(據郭此言是此以下五篇皆後人所述也),다만 언제부터였는지 알 수 없으며(但不知所自始),곽박은 주석을 쓰고 말을 하지 않았다(郭氏作注亦不言及),모두 진나라 이전에 있었고(蓋在晉以前),곽박은 자세한 것을 알 수 없었을 뿐이다(郭氏已不能詳矣)。현재 책의 목차를 생각해 보면(今考本經(해외와 해내 각각의 책(海外、海內各經)——珂)篇第),모두 남서동북의 차례로 되었으나(皆以南西北東為敘),더욱이 책 뒤쪽은(茲篇以後),동남서북의 차례로 되었다(則以東南西北為次),모두 글쓴이가 나누어 구분지었으므로(蓋作者分別部居),뒤섞여 만족스럽지 않다(不令雜廁),옛 책과 분명하게 서로 다르다(所以自別於古經也)。해외해내경편 끝부분에 모두 건평 원년 사월 병술 이 다음에 삼십 구 글자가 있다(又海外海內經篇末皆有『건평 원년 사월 병술(建平元年四月丙戌)』已下三十九字),책이 바르고 틀림을 검열한 항목을 서술하게 되었는데(為校書識),이 뒤도 모두 없다(此下亦並無之)。이 후반 모든 편은(又此下諸篇),대체로 책의 해외내 모든 경은 해설이 더해졌고(大抵本之海外內諸經而加以詮釋0,글에 뛰어난 설명이 많아(文多凌雜),아무런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내력을 적은 기록이 없는 것은(漫無統紀),책이 여러 대동안 기록되어(蓋本諸家記錄),한 번에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非一手所成故也)。」필원과 학의행 설명이 비교적 맞다(畢、郝之說近是)。대황경은 후반 다섯 편이 해외와 해내 각각 편 글자가 되었다고 일컬으며(唯謂荒經以下五篇為詮釋海外、內各經文字),아직도 뜻이 서로 맞지 않는 곳이 있다(尚有未協)。더욱이 다섯 편의 옛 책은 따로 발행되어(蓋茲五篇古本別行),책이 완성되지 않아 산경과 해외와 해내 각 경의 후반에 있다(成書當不在山經及海外、內各經之後)。아직 경문이 흐트러진 것을 가지런히 바로잡지 못했기 때문에(以未經整理),글에 뛰어난 설명이 많고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내력을 적은 기록이 없다(故文多凌雜無統紀)。그러나 보면 볼 수록 새로운 맛이 없이 예스럽고 꾸밈이 없이 수수하며(然乃愈見其古樸),확실히 유수가 수정한 책 시기의 책 밖에 있다나 밖에 빠져 있다에 속하며(確屬劉秀校書時「책 밖에 있다(進在外)」或「밖에 빠져 있다(逸在外)」者),수등이 서술하게 되었다로 일컬으며 왜곡하다(謂為「수등이 서술하다(秀等所述)」則誣矣)。


東海之外大壑1,少昊之國2。

동해의 밖 대학에, 소호국이 있다.


少昊孺帝顓頊于此3,棄其琴瑟4。

소호와 함께 어린 제 전욱이 있었고, 그곳에 거문고와 비파를 버렸다.


有甘山者,甘水出焉5,生甘淵6。

감산이 있는데, 여기서 나오는 감수로, 감연이 만들어졌다.


1 곽박(郭璞)云:「시함신무(詩含神霧)曰:『동쪽에 무저곡이 있다(東注無底之谷)。』이 골짜기를 일컫는다(謂此壑也)。이소(離騷)(초사(楚辭) 원유(遠遊)——珂)曰:『나들이를 하다 큰 골짜기를 바라보다(降望大壑)。』」원가기록(珂案):열자(列子) 탕문편(湯問篇)云:「발해의 동쪽은(勃海之東),몇 억만 리인지 알 수 없으며(不知其幾億萬里),여기에 큰 골짜기가 있는데(有大壑焉),확실히 바닥이 없는 골짜기다(實惟無底之谷),골짜기 아래는 바닥이 없어(其下無底),이름을 귀허라 한다(名曰歸墟)。온 세상의 물과(八紘九野之水),은하수의 흐름이(天漢之流),들어가지 않는 곳이 없으며(莫不注之),많아지는 일과 적어지는 일이 없다(而無增減焉)。」이 골짜기다(即此壑也)。귀허 신화 관련(關於歸墟神話),已見해외동경(海外東經)「대인국(大人國)」節注。경문에(經文「동해의 밖에 큰 골짜기(東海之外大壑)」),예문유취(藝文類聚)卷九引作「동해의 밖에 큰 골짜기가 있다(東海之外有大壑)」,맞다(是也);유자가 빠짐(脫有字)。

2 곽박(郭璞)云:「소호 금천씨는(少昊金天氏),제지라 부른다(帝摯之號也)。」원가기록(珂案):서차삼경(西次三經)云:「장류산은(長留之山),그곳에 신 백제 소호가 산다(其神白帝少昊居之)。그곳에 짐승은 모두 머리에 무늬가 있고(,其獸皆文首),그곳에 새는 모두 꼬리에 무늬가 있으며(其鳥皆文尾),이곳에 무늬 있는 옥돌이 많다(是多文玉石)。여기가 바로 원신 외씨의 궁이다(實惟員神磈氏(학의행(郝懿行)說원신 외씨는 소호다(員神磈氏即少昊))之宮)。이 신은(是神也),저녁 노을을 관리한다(主司反景)。」이것이 소호가 맡은 일이다(是少昊之神職也)。소호는 동해에 나라를 세우게 되었는데(至於少昊在東海所建之國),則有춘추좌씨전(左傳) 소공(昭公)  십칠 년(十七年),담자의 대답과 소공의 말(郯子對昭公之言)云:「나의 선조 소호씨가 즉위할 때(我高祖少皞摯之立也),봉조가 날아들었기 때문에(鳳鳥適至),새를 계통으로 삼아(故紀於鳥), 새의 이름을 따서 벼슬의 이름을 지어 조사가 되었다(為鳥師而鳥名)。봉조씨는(鳳鳥氏),역법을 담당한 벼슬이다(歷正也);현조씨는(玄鳥氏),춘분과 추분을 관리한다(司分者也);백조씨는(伯趙氏),하지와 동지를 관리한다(司至者也);청조씨는(青鳥氏),입춘과 입하를 관리한다(司啟者也);단조씨는(丹鳥氏),입추와 입동을 관리한다(司閉者也);축구씨는(祝鳩氏),교육을 관리한다(司徒也);저구씨는(鳩氏),군사를 관리한다(司馬也);시구씨는(鳲鳩氏),토목을 관리한다(司空也);상구씨는(爽鳩氏),형벌을 관리한다(司寇也);골구씨는(鶻鳩氏),농업과 공업과 백성에 관한 일을 관리한다(司事也);오구는(五鳩),백성을 다스리는 벼슬이다(鳩民者也)。오치는 다섯 분야의 공인으로 이루어졌고(五雉為五工正)(오치는(五雉) 준치(鷷雉)치치(鶅雉)적치(翟雉)희치(鵗雉)휘치(翬雉)사람을 능력이나 재주에 따라 등용하고 배치하고(利器用),너그러운 마음과 깊은 생각을 바르게하여(正度量),백성을 평안하게 한다(夷民者也)。구호는 구농이 되는데(九扈為九農正),백성들로 하여금 제멋대로 하지 못하게 하는 벼슬이다(扈民無淫者也)(구호는(九扈) 춘호(春扈),하호(夏扈),추호(秋扈),동호(冬扈),극호(棘扈),행호(行扈),소호(宵扈),상호(桑扈),노호(老扈)。」「새를 계통으로 삼다(紀於鳥)」새의 이름으로 된 벼슬을 설명했고(而以鳥名官之說),저절로 신화의 역사가 변했다(自是神話之歷史化)。그 본디 모습을 찾아보면(推尋其本貌),소호는 동해에 새의 나라를 세우고(當即少昊在東海所建立之鳥國),새의 이름으로 벼슬을 만들었으며(以鳥名官之),모든 벼슬이 전부 새다(諸官實皆鳥也)。소호의 이름을 지고(少昊名摯),고지와 지통(古摯、鷙通(사기(史記) 백규전(白圭傳):「기회를 잡으면 사나운 짐승이나 새처럼 재빨랐다(趨時若猛獸摯鳥之發)。」지조는 사나운 새다(摯鳥即鷙鳥也),그 증거다(可證))),지는 소호의 이름이고 온갖 새의 왕이 되었다(則為此百鳥之王而名「摯」之少昊),신화 속 지조의 종류인가(神話中其亦鷙鳥之屬乎)?

3 곽박(郭璞)云:「유의 뜻은 자세하지 않다(孺義未詳)。」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十四)云:『유는(孺),젖먹이다(乳子也)。』장자(莊子) 천운편(天運篇)云:『까마귀와 까치는 알을 낳아 기른다(烏鵲孺)。』모두 양육한다는 뜻이다(蓋育養之義也)。」

4 곽박(郭璞)云:「그 골자기 쏙에 거문고와 비파가 있다(言其(송본(宋本)作금(今)——珂)壑中有琴瑟也)。」학의행(郝懿行)云:「이 말은 소호가 이곳에서 제전욱을 보살피고 길렀으며(此言少皞孺養帝顓頊於此),이곳에 머물며 거문고와 비파를 가지고 놀았다(以琴瑟為戲弄之具而留遺於此也)。소호는 전욱의 큰아버지고(……少皞即顓頊之世父),전욱이 바로 조카다(顓頊是其猶子),큰아버지가 나라로 돌아가자(世父就國),조카는 모시며 따랐고(猶子隨侍),저 어린 아이는(眷彼幼童),거문고와 비파를 즐겼다(娛以琴瑟),어린 아이 기초를 교육하고(蒙養攸基),이 일의 도리를 갖추며(此事理之平),부족한 것이 없는 사람이 되다(無足異者)。」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說맞다(是也);비록 역사로 인해 관점을 해석하여도(雖仍從歷史觀點解釋),이미 신화의 본 모습과 가깝다(已近神話本貌矣)。해내경(海內經)云:「황제의 아내 뢰조는(黃帝妻雷祖),창의를 낳았고(生昌意),창의는 한류를 낳았다(昌意生韓流),한류는 아녀라는 뇨자의 딸에게 장가를 들어(韓流取淖子曰阿女),제전욱을 낳았다(生帝顓頊)。」이 신화가 전욱의 혈통이다(此神話之顓頊世系也)。전욱은 황제의 증손자(顓頊乃黃帝曾孫)。소호의 혈통은 신화 속 어느 곳에서도 알려지지 않음(而少昊之世系於神話中則窅然無聞)。歷사기(史記)敘亦다른 설명이 많다(多異說),이는 황제의 자식이라 일컫고(或謂是黃帝之子(세본(世本))),또는 황제의 손자라 일컬으며(或謂是黃帝之孫(노사(路史))),줄곧 명확하지 않다(迄不能明)。然근거(據) 역사(繹史)卷七引제왕세기(帝王世紀)云:「전욱은 소호를 십 년간 보좌하며 살았는데(顓頊生十年而佐少昊),스무 살에 황제에 올랐다(二十而登帝位)。」則학의행(郝)疏이른바(所謂)「소호는 전욱의 큰아버지고(少皞即顓頊之世父),전욱은 그 조카다(顓頊是其猶子)」,대체로 믿을 수 있다(大致可信矣)。경문(經文)「어린 제전욱(孺帝顓頊)」之「유(孺)」,학의행(郝)釋為「보살피고 길르다(孺養)」,해답을 요구하는 물음이 없다(當無問題也)。

5 원가기록(珂案):대황남경(大荒南經)云:「대황의 안에(大荒之中),성산이 있는데(又有成山),여기서 감수가 끝난다(甘水窮焉)。」곽박(郭璞)注:「감수는 감산에서 나오며(甘水出甘山),이 속에서 끝난다(極此中也)。」이 감수는 동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며(是甘水由東而南),성산의 못에서 끝난다(窮於成山之淵也)。

6 곽박(郭璞)云:「한 방울 한 방울의 물이 쌓여 연못이 됨(水積則成淵也)。」원가기록(珂案):대황남경(大荒南經)云:「동남쪽 바다 밖(東南海之外),감수 사이에(甘水之閒),희화국이 있는데(有羲和之國),이름이 희화라는 여자가 있다(有女子名曰羲和),감연에서 해를 씻긴다(方浴日(원래 해를 씼는다(原作日浴),근거(據) 송본(宋本) 고침(改))于甘淵)。희화는(羲和者),제준의 아내이고(帝俊之妻),열 개의 해를 낳았다(生十日)。」경문(經文「동남쪽 바다 밖(東南海之外)」),북당서초(北堂書鈔)卷一四九引남자가 없고(無南字),남자가 없는 것이 맞다(無南字是也)。대황남경(大荒南經) 이 구절도 의심되며(此節疑)亦글에 이 글귀의 뒤쪽에 있는 글은(本當在此經「감산이 있는데(有甘山者),여기서 나오는 감수로(甘水出焉),감연이 만들어졌다(生甘淵)」之下),이는 간책이 어지럽고 어수선하여(乃簡策錯亂),저곳이 빠진 글자와 그릇된 글자가 되었다(誤脫於彼也)。이 경문의 감연은(此經甘淵) 확실히(實當即) 대황남경(大荒南經) 희화가 감연에서 해를 씻긴다(羲和浴日之甘淵),그 땅이 탕곡의 부상이다(其地乃湯谷扶桑也)。해외동경(海外東經)云:「탕곡 위에 부상국이 있는데(湯谷上有扶桑),열 개의 해가 몸을 씻는 곳이다(十日所浴)。」이곳이며(即此),소호가 조국의 수도를 세운 땅이다(亦即少昊鳥國建都之地)。열자(尸子)(손성연(孫星衍)輯本)卷上云:「궁상에 소호금천씨가 살았는데(少昊金天氏邑於窮桑),해의 여러 가지 빛깔이(日五色),궁상을 번갈아 비추었다(互照窮桑)。」이 말을 일컫는다(謂此也)。則이른바(所謂) 감연과 탕곡과 궁상은(甘淵、湯谷(부상(扶桑))、窮桑),하나의 땅이다(蓋一地也)。


大荒東南隅有山,名皮母地丘1。

대황 동남쪽 구석에 있는 산은, 이름을 피모지구라한다.


1 학의행(郝懿行)云:「회남자(淮南) 지형훈(墬形訓)云:『동남쪽 부근을 파모산이라 한다(東南方曰波母之山)。』파모의 파자는 삼수변 빠졌기 때문에 피자가 되었다(蓋波母之波字脫水旁因為皮爾)。장용(臧庸)曰:『파모는 피모다(波母即皮母),같은 성조의 글자다(同聲字也)。』」


東海之外,大荒之中,有山名曰大言1,日月所出2。

동해의 밖, 대황의 안에는, 대언이라 불리우는 산이 있는데, 해와 달이 나온다


1 원가기록(珂案):초학기(初學記)卷五引此經作큰 골짜기(大谷)。

2 원가기록(珂案):산해경(山海經) 기록(記) 해와 달이 드나드는 산은 모두 여섯 곳이다(日月所出之山凡六)(양신(楊慎)보충설명(補注)云七,어림잡아 탕곡 부상을 더해야하나(蓋合湯谷扶木而計也),탕곡 부상은 단지 해가 나오는 땅이므로(然湯谷扶木僅日出之地),해와 달이 드나드는 곳의 땅은 아니다(非日月所出之地)):대언산과 합허산과 명성산과 국릉우천산과 의천소문산과 학명준질산은(曰大言山、曰合虛山、曰明星山、曰鞠陵于天山(양신(楊慎) 보충설명(補注)국릉만 쓰여있고(作鞠陵),우천 두 글자는 빠졌다(脫于天二字))、曰猗天蘇門山、曰壑明俊疾山),모두(皆在대황동경(大荒東經));쓰여진 해와 달이 드나드는 산 역시 여섯 곳이다(紀日月所入之山亦六)(양신(楊慎) 보충설명(補注)云五,蓋漏列龍山也):풍조옥문산과 룡산과 일월산과 오오거산과 상양산과 대황산은(曰豐沮玉門山、曰龍山、曰日月山、曰鏖鏊鉅山、曰常陽山、曰大荒山),모두(皆在대황서경(大荒西經));쓰여진 해와 달이 드나드는 산은 한 곳이고(紀日月所出入之山一):방산은(曰方山),역시(亦在대황서경(大荒西經)):이것은 각기 여기저기서 보고 들은 땅들은 기록하였기 때문에(是皆各隨所聞見而著其地),설명이 다르다(故說有不同)。이 대언산은(此大言山),해와 달이 나오는 첫 번째 산이다(為日月所出山之一也)。


有波谷山者,有大人之國1。

피곡산이 있고, 대인국이 있다.


有大人之市,名曰大人之堂2。

대인시장이 있는데, 이름을 대인당이라 한다.


有一大人踆其上,張其兩耳3。

그 위에 한 대인이 쭈그리고 앉아 있으며, 그 두 귀로 잘 들어준다.


1 곽박(郭璞)云:「진나라 영가 이 년(晉永嘉二年),시안현 남쪽 이십 리 오피 안에 추조가 모여 있고(有鶖鳥集於始安縣南廿里之陂(송본(宋本)、모의(毛扆)本作오피(驁陂)——珂)中),백들은 범을 사냥하기 전에 잔치를 잘 벌이며(民周虎張得之),나무 화살로 쇠로 된 화살촉을 쏘는데(木矢貫之鐵鏃),그 길이가 육 척 반이고(其長六尺有半),화살에 숫자가 있다(以箭計之),그 화살을 쏘는 사람 몸에 비해 길이가 일 장 오육 척이다(其射者人身應長一丈五六尺也)。又평주별가고회어(平州別駕高會語)云:『왜국 사람들은 일찍 다니며(倭國人嘗行),우연히 만난 바람을 타고 큰 바다 밖을 건넌다(遭風吹度大海外),왜국 사람들은 모두 키가 일 장 남짓이고(見一國人皆長丈餘),생김새는 호와 비슷하다(形狀似胡),이들은 장적의 종류다(蓋是長翟別種)。』화살이 함께 이 나라로 들어왔다(箭殆將從此國來也)。외전(外傳)(국어(國語) 노어(魯語)——珂)曰:『초요인은 키가 삼 척으로(焦僥人長三尺),작으며(短之至也),키가 큰 사람도 십 장에(長者不過十丈(장은 지로 바꾸어야 한다(丈當作之)——珂)),미치지 못한다(數之極也)。』하도오판에 따르면(按하도오판(河圖玉版))曰:『곤륜을 따라 북쪽으로 구만 리에 이르면(從昆侖以北九萬里),용백국 사람들을 만나는데(得龍伯國人),키가 삼십 장에(長三十丈),만 팔천 살을 살다 죽는다(生萬八千歲而死)。곤륜을 따라 동쪽으로 가면 대진인을 만나는데(從昆侖以東得大秦人),키는 십 장에(長十丈_,모두 비단을 입는다(皆衣帛)。이곳을 따라 동쪽으로 십만 리를 가면(從此以東十萬里),조인국을 만나는데(得佻人國),키가 삼십 장 오 척이다(長三十(십은 덧붙음(十字衍)——珂)丈五尺)。이곳을 따라 동쪽으로 십만 리를 가면(從此以東十萬里),중태국 사람을 만나는데(得中秦國人),키가 일 장이다(長一丈)。』곡량전(穀梁傳)曰:『장적의 몸은 아홉 이랑을 가로지르고(長翟身橫九畝),그 머리를 세우면(其頭),눈썹이 수레 앞턱을 가로 댄 나무로 보인다(眉見於軾)。』키가 큰 사람이다(即長數丈人也)。진나라 때 큰 사람이 임조에 나타났는데(秦時大人見臨洮),키가 오 장에(身長五丈),발자국이 육 척이었다(腳跡六尺)。이 말에 따르면(準斯以言),이 대인의 길고 짧음의(則此(차자는 덧붙인 것으로 의심(此字疑衍)——珂)大人之長短),크기를 알 수 없다(未可得限度也)。」원가기록(珂案):대인국 신화 관련(有關大人國神話),已見해외동경(海外東經)「대인국(大人國)」節注。국어(國語) 노어(魯語) 기록된(所記) 방풍 신화가(防風神話) 그 시작이다(蓋其朔矣)。나중에 나그네와 공자의 문답 기록(其後又記客與仲尼(공자(孔子))之問答)云:「나그네(客)曰:『방풍씨는 무엇을 지킵니까(防風氏何守也)?』중니(仲尼)曰:『왕망씨의 임금이다(汪芒氏之君也)。봉산과 우산을 지켰다(守封、嵎之山者也)칠이라는 성을었는데(漆姓)순임금과 하왕조와 상왕조 시절 왕망씨가 되었고(在虞夏商為汪芒氏),주나라 때는 장적이 되었으며(於周為長翟),현재는 대인이 되었다(今為大人)。』」대인의 기원 역시 그 전설에 의거한다(則大人之來源亦有其傳說之依據也)。신이경(神異經) 동남황경(東南荒經)云:「동남쪽 구석 대황 안에(東南隅大荒之中),박보가 있는데(有樸父焉),부부가 모두 키가 천 리에 이르렀다(夫婦並高千里)。하늘이 처음 세워졌을 때(天初立時),하늘은 그 부부에게 온갖 물길을 만들게 하였으나(使其夫妻導開百川),게을러서 일을 할 마음이 없없고(嬾不用意),동남쪽에 서있는 벌을 내렸다(謫之並立東南)。마시지도 못하고 먹지도 못하나(不飲不食),추위와 더위에 두려움이 없고(不畏寒暑),오로지 하늘의 이슬만 마신다(唯飲天露)。황하가 맑아질 때까지(須黃河清),기다렸다가 그 부부에게 온갖 물길을 만들게 하였다(當復使其夫婦導護百川)。」이 신화 속 대인이 가장 크고 가장 오래됨(是神話中大人之最大最古者)。至於초사(楚辭) 초혼(招魂)云:「혼이어 돌아오라(魂兮歸來),동방은 의탁할 곳이 아니니(東方不可以託兮),키다리는 키가 천 길이라(長人千仞),오로지 혼만을 찾아 먹는다네(惟魂是索些)。」이미 이것을 지식인들은 허구를 활용하는 것이라 하고(則已是文人幻設之詞),항상성이 있어 변치 않는 준칙이나 기준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할 수 있다(非可以為典要也)。

2 곽박(郭璞)云:「역시 산의 이름이고(亦山名),모양이 집 같고 한다(形狀如堂室耳)。대인들이 모임을 할 때는 산 위에 시장이 열렸다(大人時集會其上作市肆也)。」원가기록(珂案):대인시는(大人之市),已見해내북경(海內北經)。

3 곽박(郭璞)云:「준은 준으로도 쓰고(踆或作俊),모두 옛 준자다(皆古蹲字)。장자(莊子)曰:『회계에 쭈그리고 앉다(踆於會稽)』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引장자(莊子) 외물편(外物篇) 글에(文),「회계에 쭈그리고 앉다(踆於會稽)」,현재 책에는(今本作「쭈그리고 앉았도다(蹲乎會稽)」)。云:「임공자는 큰 낚시대와 긴 낚시줄을 만들고(任公子為大鉤巨緇),오십 마리의 불친소를 미끼로 만들어(五十犗以為餌),회계에 쭈그리고 앉아(蹲乎會稽),동해로 낚시대를 드리우고(投竿東海),매일매일 낚시를 하였지만(旦旦而釣),일년이 지나도 물고기를 낚지 못했다(期年不得魚)。이윽고 큰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已而大魚食),큰 낚시대를 집어(索巨鉤),가라앉은 낚시대를(錎沒而下),힘을 다해 들어올렸으나(騖揚而奮鬐),흰 물결이 산 같이 일어나고(白波若山),바닷물이 크게 요동치며(海水震蕩),귀신 소리가 같아(聲侔鬼神),천 리 밖 사람들도 두렵게 하였다(憚赫千里)。임공자는 물고기를 잡아(任公子得若魚),잘게 포를 떠 말리고(離而腊之),동쪽 제하부터(自制河以東),북쪽 창오 까지(蒼梧已北),이 물고기를 먹지 못한 사람이 없었다(莫不厭若魚者)。」모두 용백국 대인의 종류다(蓋亦龍伯大人之類也)。경문(經文「그 두 귀로 잘 들어준다(張其兩耳)」之「두 귀(兩耳)」),태평어람(太平御覽)卷三七七及卷三九四並引作「두 팔(兩臂)」,두 팔로 쓰는 것이 맞다(作「두 팔(兩臂)」是也)。


有小人國,名靖人1。

소인국이 있고, 이름은 정인이다.


1 곽박(郭璞)云:「시함신무(詩含神霧)曰:『동북쪽 끝자락에 있는 사람의 키는 구 촌이다(東北極有人長九寸)。』아마도 이 소인을 일컫는다(殆謂此小人也)。정이라고도 쓰는데(或作竫),발음이 같다(音同)。」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十)云:『정은(靖),작은 몸이다(細貌)。』가늘고 작다는 뜻이기 때문에(蓋細小之義),소인의 이름이 정인이다(故小人名靖人也)。회남자(淮南子)作정인(竫人),열자(列子)作정인(諍人),모두 옛 글자로 널리 쓰임(並古字通用)。열자(列子) 탕문편(湯問篇)云:『동북쪽 끝자락에 있는 사람의 이름은 정인인데(東北極有人名曰諍人),키가 구 촌이다(長九寸)。』與곽박(郭)引시함신무(詩含神霧)同。초학기(初學記)十九卷引곽박(郭氏)글(讚)云:『초요는 아주 작고(僬僥極麼),쟁인 또한 작으며(竫人又小),팔 다리와 머리와 몸뚱이가 충분하지 않고(四體取足),얼굴 모양이 조그맣다(眉目纔了)。』」원가기록(珂案):정인과 초요와 주요와 주유는(靖人、僬僥、周饒、侏儒),모두 하나의 소리로 전해지며(並一聲之轉),已見해외남경(海外南經)「주유국(周饒國)」節注。


有神,人面獸身,名曰犁𩵀之尸1。

신이 있는데, 얼굴은 인간이고 몸은 짐승이다, 이름을 이령시라 한다.


1 곽박(郭璞)云:「音령(靈)。」학의행(郝懿行)云:「옥편(玉篇)云:『롱(靇)同령(龗),又作령(靈),신이다(神也);或作령(𩵀)。』광운(廣韻)引此經作령(𩵀),云,或作령(龗),與옥편(玉篇)同。령(靇)見설문해자(說文)。」원가기록(珂案):설문해자(說文)十一云:「령(靇),룡이다(龍也)。」이령시는 사비시의 종류다(犁𩵀之尸蓋即奢比之尸之類也)。


有潏1山,楊水出焉。

휼산이 있는데, 여기서 양수가 나온다.


1 곽박(郭璞)云:「音如휼사의 휼(譎詐之譎)。」


有蒍國,黍食1,使四鳥:虎、豹、熊、羆2。

귀국이 있는데, 기장을 먹고, 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범과 표범과 곰과 말곰.


1 곽박(郭璞)云:「이 나라 안에는 오로지 잡곡만 있다(言此國中惟有黍穀也)。귀(蒍)音구와 위의 반절(口偽反)。」원가기록(珂案):귀국(蒍國)或當作규국(媯國)。규는(媯),물 이름이고(水名),순임금이 살던 땅이다(舜之居地也)。사기(史記) 진기세가(陳世家):「순임금이 일반 백성이었을 때(舜為庶人),요임금이 두 딸을 시집 보내고(堯妻之二女),규예에 살게 하였다(居於媯汭),후손들의 성씨가 되었다(後因為氏)。」규국은 순임금의 후손이다(媯國當即是舜之裔也)。산해경(山海經) 제준(帝俊)即순임금(舜(자세한 설명은(說詳)下「제준이 중용을 낳았다(帝俊生中容)」節注)),이 귀국은 확실히 제준의 후손이다(則此蒍國(규국(媯國))實當是帝俊之裔也)。又산해경(山海經) 기록(記) 제준의 후손은 모두 다음 말들이 있는데(帝俊之裔俱有「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使四鳥)」或「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使四鳥):표범과 범과 곰과 말곰(豹、虎(或범과 표범(虎、豹))、熊、羆」語)),이 귀국 역시(此蒍國(규국(媯國))亦「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使四鳥)」),제준의 후손이 어찌 바뀐 건지 의문이다(則其為帝俊之裔更無疑問矣)。

2 학의행(郝懿行)云:「경문은 모두 짐승을 말하며(經言皆獸),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는(而云使四鳥者),새와 짐승이 일반 명칭이여서다(鳥獸通名耳)。부린다는(使者),길들여서서 가축으로 부려먹는 것을 말한다(謂能馴擾役使之也)。」원가기록(珂案):경문(經文「범과 표범과 곰과 말곰(虎豹熊羆)」),송본(宋本作「표범과 범과 곰과 말곰(豹虎熊羆)」)。제준의 후손은 네 마리 짐승을 부리는 재주가 있다(帝俊之裔之有「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使四鳥):표범과 범과 곰과 말곰(豹、虎(或범과 표범(虎、豹))、熊、羆」能力者),서순전에 나오는데 익과 더불어 주와 범과 곰과 말곰의 쟁신 신화가 기록되었다(蓋出於書舜典所記益與朱、虎、熊、羆爭神神話)。서순전(書舜典)云:「임금(帝(순(舜)))曰:『누가 내가 다스리는 풀과 나무와 새와 짐승을 잘 관리하겠소(疇若予上下草木鳥獸)?』여러 신하(僉)曰:『익입니다(益哉)!』익이 절을 하며 머리를 조아리고(益拜稽首),주와 범과 곰과 말곰에게 양보하였다(讓于朱、虎、熊、羆)。임금(帝)曰:『그래(俞),가서(往哉)!네가 골라라(汝諧)。』」이는 그밖에 모양은 원래 역사이고(此其外貌固歷史也),그것의 배경은 확실히 신화다(而其實質則神話也)。한서(漢書) 인표고(人表考)(청나라(清) 양옥승(梁玉繩) 지음(撰))卷二云:「강동어로 표는 주라 한다(江東語豹為朱)。」則此「주와 범과 곰과 말곰(朱、虎、熊、羆)」옛 설명에서 이른바 순의 네 명의 신하들이고(舊注所謂舜之四臣者),확실히 네 마리 짐승이다(實「표와 범과 곰과 말곰(豹、虎、熊、羆)」四獸也)。익은(而益者),제비다(燕也),即시경(詩) 현조(玄鳥) 이른바(所謂)「은나라 땅이 매우 넓어(殷社芒芒)현조는 하늘의 명을 받들고(天命玄鳥),내려가 상을 만들었다(降而生商)」의 현조가 맞다(之玄鳥是也)。익은 고대 은나라 백성의 조상신이고(益為古代殷(상(商))民族之祖宗神),제준과 순임금 모두 이 신의 화신에 불과하다(帝俊與舜均無非此神之化身)。제준(帝俊)即은허복사(殷墟卜辭) 이른바(所稱)「왕조의 시조 준(高祖夋)」者,준(夋) 갑골문(甲骨文)作[그림●],或作[그림●],새의 머리에 사람 몸이거나 원숭이 몸으로 된 괴물이다(為一鳥頭人身或猴身之怪物)。옛부터 말하는(古既有「현조가 상을 낳다(玄鳥生商)」之說),그 새의 머리는 현조의 머리가 틀림 없다(其鳥頭者亦當為玄鳥(제비(燕))之頭無疑矣)。제준과 익은(則帝俊(순(舜))與益),확실히 둘은 하나이다(實二而一也)。서순전에서 순은 익을 우두머리로 만들어 풀과 나무와 새와 짐승을 길들이게 하였다(舜典謂舜使益馴草木鳥獸而為之長),익은(益「주와 범과 곰과 말곰에게 양보하였다(讓于朱、虎、熊、羆)」者),역사가들은 옛 신화의 수정과 거짓으로 꾸민 것이라 하였다(歷史家對古神話之修改與塗飾也)。추천 그 원래 모양은(推其本貌),점잖고 예절바른 생각이 아름다운 광경이고(想當無此彬彬有禮之美妙景象),더불어 양보하다고 일컫는 것이(與其謂之「양(讓)」),남보다 뛰어나다고 경쟁하는 것이라 일컫는 것이 낫다(毋寧謂之「쟁(爭)」之為愈也)。익과 더불어 표와 범과 곰과 말곰 네 마리 짐승이 신과 싸우지만 네 마리 짐승이 이기지 못하고(益與豹、虎、熊、羆四獸爭神而四獸不勝),끝내 익에게 신하가 되어 복종한다(終臣服於益),서순전(舜典)「임금이 말한(帝曰『가서 네가 골라라(往哉汝諧)』)」실제로 있는 본바탕인 이것을 가르킨다(之實質蓋指此也)。네 마리 짐승은 이미 익의 신하이고(四獸既臣於益),익의 자손들이 인간 세상에 나라를 세웠으며(故益之子孫為國於下方者),사람들이 네 마리 짐승의 능력을 부려먹었다(乃均有役使四獸之能力)。제준이 익이고(帝俊即益),故산해경(山海經) 제준의 후손 역시(帝俊之裔亦有「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使四鳥)」或「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使四鳥):표범과 범과 곰과 말곰(豹、虎、熊、羆)」한다고 기록되었다之記載)。


大荒之中,有山名曰合虛1,日月所出。

대황의 안에는, 합허라는 산이 있는데, 해와 달이 나온다.


1 원가기록(珂案):북당서초(北堂書鈔)卷一四九引이 경문에는 함이 합으로 쓰여 있다(此經合作含)。이 합허산은 해와 달이 나오는 두 번째 산이다(此合虛山為日月所出山之二也)。


有中容之國。

중용국이 있다.


帝俊生中容1,中容人食獸、木實2,使四鳥:豹、虎、熊、羆。

제준은 중용을 낳았고, 중용 사람들은 짐승과 나무 열매를 먹으며, 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표범돠 범과 곰과 말곰.


1 곽박(郭璞)云:「준 역시 순자를 임시로 빌린 발음(俊亦舜字假借音也)。」학의행(郝懿行)云:「초학기(初學記)九卷引제왕세기(帝王世紀)云:『제곡은 신기하고 기이한 것을 낳았고(帝嚳生而神異),스스로 말하길 그 이름을 준이라 했다(自言其名曰夋)。』준은 준으로 의심되며(疑即俊也),옛 글자로 두루 쓰임(古字通用)。곽박(郭)云준 역시 순자라는(俊亦舜字),증거가 아직 확실하지 않다(未審何據)。남황경(南荒經)云:『제준의 아내 아황(帝俊妻娥皇)。』곽박(郭)蓋本이 설명이 되어있다(此為說)。然서황경(西荒經)又云:『제준은 후직을 낳았다(帝俊生后稷)。』대대례(大戴禮) 제계편(帝繫篇)후직은 제곡이 낳았고(以后稷為帝嚳所產),이 제준이 제곡이다(是帝俊即帝嚳矣)。다만 경문 안 제준이 거듭 나오는데(但經內帝俊疊見),오로지 한 사람을 가르키는 것이 아닌듯 하다(似非專指一人)。이 제준이 중용을 낳았고(此云帝俊生中容),근거(據) 춘추좌씨전(左傳) 문공(文) 십팔 년(十八年)云,고양씨의 재자 여덟 사람(高陽氏才子八人),그 중에 중용이 있고(內有中容(현재 책에는 중용이라 쓰여 있다(今本作仲容)——珂)),그러므로 이 경문에 제준은 전욱이 되어야 한다(然則此經帝俊又當為顓頊矣)。경문에 뒤죽박준인 것은(經文踳駮),의문스러우나 섣불리 단정하지 않고 당분간 보류해 두다(當在闕疑)。」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설명(說) 제준은 제곡이고(帝俊即帝嚳),맞다(是也);然謂「곽박(郭)云준 역시 순자고(俊亦舜字),증거가 아직 확실하지 않다(未審何據)」,오히려 설명이 있다(則尚有說也)。대황남경(大荒南經)「제준의 아내 아황(帝俊妻娥皇)」순의 아내 아황과 같고(同於舜妻娥皇),그것이 근거가 첫 번째(其據一也)。해내경(海內經)「제준은 삼신을 낳았고(帝俊生三身),삼신은 의균을 낳았다(三身生義均)」,의균은 순의 자식 상균이고(義均即舜子商均(노사(路史) 후기 십일(後紀十一):「여앵은 의균을 낳았고(女罃(여영(女英))生義均),의균은 상을 하사받았다(義均封於商),이게 상균이 되었다(是為商均)。」說雖晚出,要當亦有所本)),그 근거가 두 번째(其據二也)。대황북경(大荒北經)云:「위구의 둘레는 삼백 리에 달하고(((위(衛))丘方圓三百里),언덕 남쪽에 제준의 대나무 숲이 있는데(丘南帝俊竹林在焉),넓이가 배를 만들 수 있을 정도다(大可為舟)。」순임금의 두 아내 역시 대나무의 신화전설과 관련이 있으니(而舜二妃亦有關於竹之神話傳說),그 근거가 세 번째(其據三也)。제준이 순이라는 여러 부분이 자세하게 충분히 있고(餘尚有數細節足證帝俊之即舜處),군더더기가 많지 않다(此不多贅)。是곽박(郭)所云확실히 책망할 것이 없다(實無可非議也)。제준 신화를 말하면 전욱 신화와 같다 할 수 있는데(至於帝俊神話之又或同於顓頊神話者),이것은 일부 신화가 공교롭게도 서로 같기 때문에(是部分神話偶然相同),제준이 전욱이 아니라 할 수 있다(非可以謂帝俊即顓頊也)。

2 곽박(郭璞)云:「이 나라 안에 붉은 나무와 검은 나무가 있는데(此國中有赤木玄木),그 꽃과 열매는 아름답다(其華實美);見여씨춘추(呂氏春秋)。」원가기록(珂案):여씨춘추(呂氏春秋) 본미편(本味篇)云:「지고의 동쪽(指姑之東),중용국에(中容之國),붉은 나무와 검은 나무의 잎이 있다(有赤木玄木之葉焉)。」고유(高誘)注云:「붉은 나무와 검은 나무는(赤木玄木),나뭇잎은 모두 먹을 수 있고(其葉皆可食),먹으면 신선이 된다(食之而仙也)。」即곽박(郭)注所引。단지 그 꽃은 잎으로 써야 하고(惟其華當作其葉),잘못된 글자(字之訛也)。


有東口之山。

동구산이 있다.


有君子之國,其人衣冠帶劍1。

군자국이 있는데, 그곳 사람들은 옷과 갓을 차려입고 칼을 차고 있다.


1 곽박(郭璞)云:「역시 범과 표범을 부리고(亦使虎豹),겸손한 태도로 사양하는 것을 좋아한다(好謙讓也)。」원가기록(珂案):군자국(君子國)已見해외동경(海外東經)。곽박(郭)注「역시 범과 표범을 부린다(亦使虎豹)」,태평어람(御覽)卷五二引作「범과 표범을 부려먹다(役使虎豹)」。


有司幽1之國2。

사유국이 있다.


帝俊生晏龍3,晏龍生司幽,司幽生思士,不妻;

제준은 안룡을 낳았고, 안룡은 사유를 낳았고, 사유는 사사를 낳았다, 사사는 아내가 없다.


思女,不夫4。

사녀는, 남편이 없다.


食黍,食獸,是使四鳥5。

기장을 먹었고, 짐승을 먹으며, 이들은 네 마리 짐승을 부렸다.


1 원가기록(珂案):열자(列子) 천서편(天瑞篇) 장담(張湛)注引 이 경문에 사유국은 사유국으로 쓰여 있다(此經司幽之國作思幽之國)。

2 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御覽)卷五十引이 경문에 국은 민으로 쓰여 있다(此經國作民)。

3 원가기록(珂案):해내경(海內經)云:「제준은 안룡을 낳았고(帝俊生晏龍),안룡은 거문고와 비파를 만들었다(晏龍是為琴瑟)。」이 경문에 안룡이다(即此晏龍也)。자세한(詳)해내경(海內經)「안룡(晏龍)」節注。

4 곽박(郭璞)云:「그곳 사람들은 기를 통하게 하여 바른 생각으로 감응하며(言其人直思感而氣通),부부가 잠자리를 하지 않고 자식을 낳는다(無配合而生子),此장자(莊子) 이른바(所謂) 고니는 서로 마주 보고(白鵠相視),눈동자를 움직이지 않아도 마음이 서로 꾀어 새끼가 태어나는 종류다(眸子不運而感風化之類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影송본(宋本) 태평어람(太平御覽)卷五十引作「그곳 사람들은 기를 통하게 하여 바른 생각을 하며(言其人直思而氣通),넋과 잠자리를 하여 자식을 낳는다(魄合而生子),此장자(莊子) 이른바(所謂) 두루미는 서로 마주 보고(白鶴相視),눈동자를 움직이지 않아도 서로 꾀어 새끼가 태어나는 종류다(眸子不運而風化之類也)」,감자 두 개는 없고(無二「감(感)」字),「부부가 잠자리를 하지 않다(無配合)」作「귀신과 잠자리를 한다(魄合)」,맞다(是也)。惟「고니(白鵠)」作「두루미(白鶴)」,잘못된 것으로 으심(疑訛)。장자(莊子) 천운편(天運篇)云:「흰 거위는 서로 마주 보고(白鶂之相視),눈을 움직이지 않아도 서로 꾀어 새끼가 태어난다(目子不運而風化)。」곽박(郭)引장자(莊子)蓋本此,고니와 두루미 모두 거위로 쓰여 있다(鵠、鶴均應作鶂)。

5 학의행(郝懿行)云:「네 마리 짐승 역시 범과 표와 곰과 말곰으로 되어있다(四鳥亦當為虎、豹、熊、羆),이 편에 네 마리 짐읏을 부린다가 많이 나오는데(此篇言使四鳥多矣),그 뜻이 모두 같다(其義並同)。」


有大阿之山者。

대아산이 있다.


大荒中有山名曰明星,日月所出1。

대황 안쪽에 있는 산을 명성이라 하는데, 해와 달이 나온다.


1 원가기록(珂案):이 명성산은(此明星山),해와 달이 나오는 세 번째 산이다(為日月所出山之三也)。


有白民之國。

백민국이 있다.


帝俊生帝鴻1,帝鴻生白民,白民銷姓,黍食,使四鳥:虎、豹、熊、羆2。

제준은 제홍을 낳았고, 제홍은 백민을 낳았다, 백민은 성이 소씨이며, 기장을 먹고, 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범과 표범과 곰과 말곰.


1 학의행(郝懿行)云:「제홍은(帝鴻),황제다(黃帝也),見가규(賈逵) 춘추좌씨전(左傳)(문공(文公) 십팔 년(十八年))注;제준이나 소전이 되었다(然則此帝俊又為少典矣),見대대례(大戴禮) 제계편(帝繫篇(제계편(帝繫篇)云:『소전은 헌원을 낳고(少典產軒轅),헌원은 황제가 되었다(是為黃帝)』——珂))。노사(路史) 후기(後紀)(후기(後紀) 십(十)注——珂)引此經云:『제율은 제홍을 낳다(帝律生帝鴻)。』율은(律),황제의 자다(黃帝之字也);나씨는 옛 책과 현재 책이 다르다 했다(或羅氏所見本與今異)。」원가기록(珂案):고대신화전설(古代神話傳說),여러 손을 거치고 대대로 전해지면서(由於輾轉相傳),시대가 지나고 오래되어(歷時既久),여러 가지가 뒤섞여 모여 혼란하고 일치하지 않는 곳이 너무 많은데(錯綜紛歧之處必多),이 경문에 제준은 제홍을 낳고(此經帝俊生帝鴻),제홍은 없어도 되며 황제인데(帝鴻不必即黃帝),설령 제홍일 지라도 황제다(縱帝鴻即黃帝矣),제준 역시 없어도 되면 소전인데(帝俊亦不必即少典),중요한 부분이 이지러졌다 의심 할 수 있다(要在闕疑可也)。

2 곽박(郭璞)云:「승황라는 짐승 있는데(又有乘黃獸),타면 오랜 삶을 누릴 수 있다(乘之以致壽考也)。」원가기록(珂案):백민의 승황은(白民乘黃),그 모양이 여우 같고(其狀如狐),타면 이천 살까지 살 수 있다(乘之壽二千歲),已見해외서경(海外西經)。此백민국(白民國)在대황동경(大荒東經),與해외서경(海外西經)之백민국(白民國) 위치가 아주 다르지만(方位迥異),하나의 나라다(是否即是一國),所자세하지 않다(未詳)也。


有青丘之國,有狐,九尾1。

청구국이 있다, 여우가 있는데, 꼬리가 아홉 개다.


1 곽박(郭璞)云:「태평하면 나타나는 길조다(太平則出而為瑞也)。」원가기록(珂案):청구국(青丘國) 구미호(九尾狐)已見해외동경(海外東經)。학의행(郝懿行)云:「곽박(郭氏)此注云『태평하면 나타나는 길조다(太平則出為瑞)』者,백호통(白虎通(봉선편(封禪篇)))云:『덕을 새와 짐승에게 배푸는 구미호를 볼 수 있다(德至鳥獸則九尾狐見)。』(문선(文選))왕포(王褒) 사자강덕론(四子講德論)云『옛 문왕은 동국에 주나라를 돌려주다고 구미호에게 승낙하였다(昔文王應九尾狐而東國歸周)。』이선(李善)注引춘추원명포(春秋元命苞)曰:『하늘을 명을 받은 문왕은 구미호다(天命文王以九尾狐)。』」이는 매우 뛰어난 신화 범위이고(則已超出神話範圍),미신 영역과 관련 친다(而涉迷信領域矣)。


有柔僕民,是維嬴土之國1。

유복민이 있는데, 이들이 바로 영토국이다.


1 곽박(郭璞)云:「영은 옥을 잘못 쓴 것이다(嬴猶沃衍也);音영(盈)。」원가기록(珂案):영토국(嬴土之國)猶대황서경(大荒西經)「옥국(沃之國)」也;已見해외서경(海外西經)「제요의 들판(諸夭之野)」節。


有黑齒之國1。

흑치국이 있다.


帝俊生黑齒2,姜姓,黍食,使四鳥。

제준은 흑치를 낳았고, 강씨 성을 쓰며, 기장을 먹는다, 네 마리 짐승을 부린다.


1 곽박(郭璞)云:「이가 검다(齒如漆也)。」원가기록(珂案):흑치국(黑齒國)已見해외동경(海外東經)。

2 곽박(郭璞)云:「성인의 신령한 변화는 좋지 않은 방법이기 때문에(聖人神化無方),그 후손들이 태어나 자라면(故其後世所降育),매우 이상한 모양의 사람들이 많이 있었고(多有殊類異狀之人),태어났다고 하는 글이 많아(諸言生者),그 후손들이라 주장하는 것이 많았다(多謂其苗裔),반드시 직접 낳은 것은 아니다(未必是親所產)。」


有夏州之國。

하주국이 있다.


有蓋余之國。

갑여국이 있다.


有神人,八首人面,虎身十尾,名曰天吳1。

신인이 있는데, 여덟 개의 머리에 사람 얼굴이며, 몸은 범이고 꼬리가 열 개이다, 이름을 천오라 한다.


1 곽박(郭璞)云:「수백(水伯)。」원가기록(珂案):천오(天吳)已見해외동경(海外東經)。


大荒之中,有山名曰鞠陵于天1、東極2、離瞀3、日月所出4。

대황의 안에는, 이름이 국릉우천과 동극과 곡무라는 산이 있다, 해와 달이 나온다.


名曰折丹5——東方曰折6,來風曰俊7——處東極以出入風8。

이름을 절단이라 하는데——동쪽에서는 절이라 부르고, 내풍에서는 준이라 부른다——바람을 드나드는 동쪽 끝에 산다.


1 곽박(郭璞)云:「音국(菊)。」

2 학의행(郝懿行)云:「회남자(淮南) 지형훈(墬形訓)云:『동방을 동극산이라 한다(東方曰東極之山)。』謂此。」

3 곽박(郭璞)云:「세 개의 산 이름(三山名也)。音곡무(穀瞀)。」학의행(郝懿行)云:「초학기(初學記)一卷引此經與今本同。注穀瞀二字當有訛文。」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세 개의 산 이름(三山名也)」,국릉우천과 동극과 곡무 세 개의 산(指鞠陵于天、東極、離瞀三山)。

4 원가기록(珂案):이 국릉우천산은(此鞠陵于天山(동극과 곡무 두 산을 포함한다(包括東極、離瞀二山))),해와 달이 나오는 네 번째 산이다(為日月所出山之四也)。

5 곽박(郭璞)云:「신인(神人)。」학의행(郝懿行)云:「이름을 절단이라 한다 앞쪽에 신이 있다 두 글자가 빠진 것으로 의심(名曰折丹上疑脫有神二字),대황남경(大荒南經)『인인호라는 신이 있다(有神名曰因因乎)』,증거라 할 수 있다(可證)。북당서초(北堂書鈔)一百五十一卷引이 경문에 절단이라 하는 사람이 있다고 쓰여 있고(此經作有人曰折丹),태평어람(太平御覽0九卷引역시 같다(亦同)。」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校맞다(是也);대황서경(大荒西經)「이름이 석이라는 사람이 있다(有人名曰石夷)」,대황동경(大荒東經)「이름이 원이라는 사람이 있다(有人名曰鵷)」,모두 증거라 할 수 있으니(均可證此經「이름을 절단이라 한다(名曰折丹)」앞쪽에 빠진(上脫)「신이 있다(有神)」或「사람이 있다(有人)」글자(字)。

6 곽박(郭璞)云:「외자다(單吁之)。」학의행(郝懿行)云:「우는 호로 바꾸어야 하며(吁當為呼),잘못된 글자(字之訛)。」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亦校作호(呼)。

7 곽박(郭璞)云:「내풍이라는 곳이 있는데 자세하지 않다(未詳來風所在也)。」오임신(吳任臣)云:「(대대례(大戴禮))하소정(夏小正)云:『정월은(正月),준풍이 부는 시기다(時有俊風)。』준풍은(俊風),봄철 바람이다(春月之風也),동쪽에서 봄을 관리 한다(春令主東方),이런 뜻을 가진다(意或取此)。」원가기록(珂案):오임신(吳)說참고 가능(可供參考)。산해경(山海經) 기록(記)에 사방신과 사방풍의 이름이 있는데 모두 사방신의 직업이고(有四方神與四方風之名並四方神之職守),이는 그 중 하나다(此其一也)。이 나머지 것들은(除此而外),尚見於대황남경(大荒南經):「이름이 인호라는 신이 있는데(有神名曰因乎)——남쪽에서는 인이라 하고(南方曰因),내풍에서는 민이라 한다(來風曰民)——바람이 드나드는 남쪽 끝에 산다(處南極以出入風)」;대황서경(大荒西經):「이름이 석이라는 사람이 있는데(有人名曰石夷)——서쪽에서는 이라 하고(西方曰夷),내풍에서는 위라 한다(來風曰韋)——서북쪽 끝에 살며(處西北隅),해와 달의 길고 짧음을 관리한다(以司日月之長短)」;대황동경(大荒東經)云:「원이라는 사람이 있는데(有人名曰鵷)——북쪽에서는 원이라 하고(北方曰鵷),내풍에서는 염이라 한다(來風曰𤟇)——원은 해와 달을 머무르는 동북쪽 끝에 산다(是處東北隅以止日月)」(앞쪽에 나온 각각의 경문 글자는(以上所舉各經文字),잘못된 곳이 특히 많은데(訛誤之處特多),이게 바로(茲就) 진몽가(陳夢家)의 은허복사종술(殷虛卜辭綜述)에 나왔고(所云) 모두 꾀 뒤섞여 이미 뜻이 바로잡아 정리되어 앞쪽과 같다(並略參己意釐訂如上),자세한 설명은 각 구절에 설명(說詳各該節注)):이 동쪽의 신 절단은 사방신이 되었다(並此東方之神折丹而為四也)。은허복사(卜辭) 사방풍의 이름이 있다(有四方風之名)。서요전(書堯典)亦云:「(요(堯))이에 희화에게 명하여(乃命羲和),하늘을 공경스럽게 따르고(欽若昊天),해와 달과 별의 운행을 관찰하여(歷像日月星辰),예의바르게 사람들에게 계절을 알리도록 하셨다(敬授人時)。희중에게도 명하여(分命羲仲),우이에 살게 하니(宅嵎夷),양곡이라 한다(曰暘谷)。떠오르는 해를 공손히 맞이하고(寅賓出日),봄 농사를 고르게 다스리게 하셨다(平秩東作)。낮밤의 길이가 같은 날(日中),조라는 별이(星鳥),하늘에 가운데 나타나는 시각을 중춘이라 하였다(以殷仲春)。그리하면 백성들은 들로 나가 농사를 지었고(厥民析),새와 짐승은 교미해 새끼를 낳았다(鳥獸孳尾)。거듭 희숙에게 명하여(申命羲叔), 남교에 살게 하였다(宅南交)。여름 농사를 고르게 다스리고(平秩南訛),공경하여 다루게 했다(敬致)。낮이 가장 긴 날(日永),화라는 별이(星火),하늘 정남쪽에 나타나는 시각을 중하라 하였다(以正仲夏)。이에 백성들은 옷을 벗고 밭을 갈고(厥民因),새와 짐승은 털갈이를 한다(鳥獸希革)。화중에게도 명하여(分命和仲),서쪽 땅에 살게 하니(宅西),매곡이라 한다(曰昧谷)。지는 해를 공손히 보내고(寅餞納日),가을 농사를 고르게 다스리게 하셨다(平秩西成)。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날(宵中),허라는 별이(星虛),하늘에 가운데 나타나는 시각을 중추라 하였다(以殷仲秋)。이에 백성들은 농사진 곡식을 거두어들이고(厥民夷),새와 짐승의 털은 함치르르하다(鳥獸毛毨)。거듭 화숙에게 명하여(申命和叔),삭방에 살게하니(宅朔方),유도라 한다(曰幽都)。해가 바뀜에 모든 사람은 일률적으로 지난해를 결산하고 새해의 계획을 세우도록 하였다(平在朔易)。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날(日短),묘라는 별이(星昴),하늘 정북쪽에 나타나는 시각을 중동이라 하였다(以正仲冬)。이에 백성들은 따뜻하게 지냈고(厥民隩),새와 짐승은 솜털이 났다(鳥獸氄毛)。。」이 사방신과 사방풍 신화의 역사가 변한 것이다(即此四方神與四方風神話之歷史化者也)。

8 곽박(郭璞)云:「이 사람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그에 맞게 바람을 다스린다(言此人能節宣風氣)。때에 마추어 바람을 드나들게 한다(時其出入)。」학의행(郝懿行)云:「대황남경(大荒南經)亦남쪽 끝에 살며 바람을 드나들게 하는 신이 있다(有神處南極以出入風也)。손은 동남쪽에 위치하고(蓋巽位東南),바람을 다스리기 때문에(主風),이 두 신이 관리하는데(故二神司之),때에 마추어 계절의 변화에 따라 그에 맞게 바람을 다스린다(時其節宣焉)。」


東海之渚中1有神,人面鳥身,珥兩黃蛇2,踐兩黃蛇,名曰禺䝞。

동해 모래섬 안에 있는 신은, 얼굴은 사람이고 몸은 새이며, 두 마리 누런 뱀을 귀에 걸고, 두 마리 누럼 뱀을 밟고 있다, 이름을 우호라 한다.


黃帝生禺䝞,禺䝞生禺京3,禺京處北海,禺䝞處東海,是為海神4。

황제는 우호를 낳았고, 우호는 우경을 낳았고, 우경은 북해에 살며, 우호는 동해에 산다, 이들은 모두 바다의 신이 되었다.


1 곽박(郭璞)云:「저는(渚),도다(島)。」

2 곽박(郭璞)云:「뱀으로 귀를 꿰었다(以蛇貫耳)。」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뱀으로 귀를 꿰었다(以蛇貫耳)」已見해외동경(海外東經)「사비시(奢比尸)」節。

3 곽박(郭璞)云:「即우강(禺彊)也。」학의행(郝懿行)云:「우강은(禺彊),북방신이고(北方神),已見해외북경(海外北經)。장자(莊子)(대종사(大宗師))석문(釋文)引此經云:『북해의 신은(北海之神),이름을 우강이라 하는데(名曰禺彊),영귀를 부린다(靈龜為之使)。』현재 경문에는 이 말이 없다(今經無此語)。其云『영귀를 부린다(靈龜為之使)』者,蓋근거(據) 열자(列子)(탕문평(湯問篇))云:『하혁(夏革)曰:「다섯 산의 뿌리는(五山之根),이어져 붙는 곳이 없어(無所連著),언제나 조수의 물결을 따라 위아래로 왕복하였다(常隨潮波上下往還),임금이 우강에게 명하여(帝命禺彊),열다섯 마리의 큰 자라에게(使巨鼇十五),머리를 들어 이게 하자(舉首而戴之),다섯 개의 산이 비로소 멈추었다(五山始峙)。」』云云。所謂영귀(靈龜),어찌 맞지 않는가(豈是與)?」

4 곽박(郭璞)云:「하나의 바다를 나누어 다스리는 신이 되었다(言分治一海而為神也)。호는 다른 책에 호로 쓰여 있다(䝞一本作號)。」원가기록(珂案):經文「황제는 우호를 낳다(黃帝生禺䝞)」이 뒤쪽 세 호자는(已下三䝞字及)곽박(郭)注「호는 다른 책에 호로 쓰여 있다(䝞一本作號)」의 호이고(之䝞),송본(宋本)、모의(毛扆)本、오임신(吳任臣)本 모두 호로 쓰여 있다(俱作䝞)。경문을 헤아리면(揆之經文),호로 쓰는 것이 맞다(則作䝞是也)。앞쪽 글에 이미(上文既稱「동해의 신은(東海之神),이름이 우호다(名曰禺䝞)」),뒤쪽 글(則下文「동해에 산며(處東海),이들이 바다의 신이다(是惟海神)」의 우호로부터 쓰였기 때문에 호로 쓰며(之禺䝞自應仍作䝞),호를 다르게 쓸 이유가 없다(無由而別作䝞之理)。그 호로 쓴 것은(其作䝞者),잘못 베껴 씀(或傳寫之訛也)。곽박(郭)注「호는 다른 책에 호로 쓰여 있다(䝞一本作號)」者,호는 설문해자와 옥편 모두 없는 글자이고(䝞說文玉篇均無此字),호의 다른 글자라 의심되며(疑即號之異文),해내경(海內經)云「제준이 우호를 낳다(帝俊生禺號)」맞다(是也)。우호와 우경은 하나의 바다를 나누어 다스리는 신이 되었고(禺䝞、禺京分治一海而為海神),우경은 이미 바다의 신과 바람의 신을 동시에 하고 있다(禺京既海神而兼風神矣(已見해외북경(海外北經)「북방(北方) 우강(禺彊)」節注)),우경의 아버지 우호 역시 분명히 바다의 신과 바람의 신을 동시에 하고 있으며(則其父禺䝞亦必海神而兼風神),사람 얼굴에 새의 몸의 모양으로 보이니(觀其人面鳥身之形),자식도 같은 모양이라(與子同狀),알 수 있다(可知也矣)。


有招搖山,融水出焉。

초요산이 있는데, 여기서 융수가 나온다.


有國曰玄股1,黍食,使四鳥2。

현고라 불리는 나라가 있는데, 기장을 먹으며, 네마리 짐승을 부린다.


1 곽박(郭璞)云:「넓적다리 아래가 모두 검다(自髀以下如漆)。」원가기록(珂案):현고국(玄股國)已見해외동경(海外東經)。

2 원가기록(珂案):해외동경(海外東經)作「(부린다(使))두 마리 새 사이에 끼어 있다(兩鳥夾之)」。


有困民國1,勾姓而食2。

곤민국이 있는데, 구씨 성을 쓰며 기장을 먹는다.


有人曰王亥3,兩手操鳥,方食其頭4。

왕해라는 사람이 있는데, 두 손에 새를 잡고, 그 머리부터 먹는다.


王亥託于有易、河伯僕牛5。

왕해는 유역과 하백에게 복우를 맡겼다.


有易殺王亥,取僕牛6。

유역은 왕해를 죽이고, 복우를 가졌다.


河念有易7,有易潛出,為國于獸,方食之,名曰搖民8。

하백은 유역을 걱정했고, 유역은 몰래 도망쳐, 나라를 세우려고 짐승을 팔기도 하고, 먹기도 했다, 이름을 요민이라 한다.


帝舜生戲,戲生搖民9。

제순은 희를 낳았고, 희는 요민을 낳았다.


1 원가기록(珂案):오기창(吳其昌(은허복사(卜辭)所見 은나라 선공선왕 세 번째 속고(殷先公先王三續考)——연경학보(燕京學報)第十四期))云:「대황동경(大荒東經)云:『곤민국이 있는데(有困民國),구씨 성을 쓰며 기장을 먹고(……勾姓而食),왕해라 불리는 사람이 있는데(有人曰王亥),이름을 요민이라 한다(……名曰搖民)。』而해내경(海內經)云:『영민이 있는데(有嬴民),발이 새이다(鳥足)。큰 돼지가 있다(有封豕)。』『곤민(困民)』之『곤(困)』,乃『인(因)』잘못된 글자(字之誤(이 두 글자는 매우 잘못 바뀌었다(此二字本極易誤)));『인민(因民)』、『요민(搖民)』、『영민(嬴民)』,하나의 성조로 전해진다(一聲之轉也)。」蓋오임신(吳)以해내경(海內經)「큰 돼지가 있다(有封豕)」為「왕래가 있다(有王亥)」(자세한 설명(說詳)該節注)의 잘못된 글이고(之誤文),저 경문에(彼經)「발이 새이다(鳥足)」之「영민(嬴民)」即이 경문에 요민이 바뀐 곳이기 때문에(此經有易所化之搖民),故云此經「곤민(困民)」之「곤(困)」乃「인(因)」잘못된 글자이고(字之誤),인과 영과 요는 하나의 성조로 전해진다(因、嬴、搖一聲之轉):그 설명이 맞다(其說是也)。사기(史記) 진본기(秦本紀)略云:「진나라 선조는 백예인데(秦之先柏翳(백익(伯益))),순인금이 영씨 성을 하사하였고(舜賜姓嬴氏),자식을 두 명 낳았는데(生子二人),하나는 대렴이고(一曰大廉),대렴의 고손자를 맹희라 한다(大廉玄孫曰孟戲),새의 몸에 사람 말을 한다(鳥身人言)。」이 경문 뒤쪽 글에(而此經下文)云:「제순은 희를 낳았고(帝舜生戲),희는 요민을 낳았다(戲生搖民)」。순과 백익은 모두 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已知舜與伯益均一人之化身矣(見前「귀국(蒍國)」節注)),백익의 후손 익과 순의 후손 익이 역시 분명 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則伯益之裔孟戲與舜之裔戲亦必為一人可知也)。맹희는 영씨 성을 쓰고(孟戲「새의 몸에 사람 말을 한다(鳥身人言)」而姓嬴),當即해내경(海內經)所記「발이 새이다(鳥足)」의 영민(之嬴民);희와 영민은 그 모양이 아직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戲與搖民雖未記其形貌),분명히 새의 모양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然亦必為鳥形可知),요민은 영민이라는 것이 증거라 할 수 있다(則搖民之為嬴民可以證成矣)。그 말에 의하면(準斯而言),이 경문 곤민은 인민의 잘못된 것이 맞다(此經「곤민(困民)」固當是「인민(因民)」之訛也);인과 영과 요는 하나의 소리로 전해진다(因、嬴、搖一聲之轉也)。

2 하작(何焯)云:「『먹는다(而食)』뒤쪽에 빠진 글귀가 있다(下有脫文)。」학의행(郝懿行)云:「『구씨 성을 쓰고(勾姓)』뒤쪽(下),『먹는다(而食)』앞쪽이 이지러져 빠졌다(上當有闕脫)。」원가기록(珂案):이자는 서자가 이지러져 무너진 것이다(而字或當是黍字之缺壞)。서는(黍),전서로 쓰면 그림체고(篆書作[그림●]),그 위쪽 부분의 화자의 반이 이지러졌이니(缺其上部禾字之半),모양이 비슷하여 잘못 바뀜(即與而形近易訛)。「구씨 성을 쓰고(勾姓),기장을 먹는다(黍食)」,뜻을 명확하게 알 수 있으니(則辭曉義明),완전하여 모자란 것이 없다(完整無缺矣)。

3 원가기록(珂案):왕해는 다른 이름이다(王亥一名),옛 책 속 혼란하여 일치하지 않는 것을 정리한 것(在古書中最為紛歧):은허복사와 옛 책 죽서기년과 이 경문 모두 왕해라 쓰여 있다(卜辭、古本竹書紀年及此經均作王亥);초사(楚辭) 천문(天問)作해(該),又作현(眩),云「해는 계의 덕을 따르다(該秉季德)」,「현의 동생은 모두 방자하다(眩弟並淫)」;여씨춘추(呂氏春秋) 물궁편(勿躬篇)作왕빙(王冰),云「왕빙은 소를 부리는 법을 만들었다(王冰作服牛)」;초학기(初學記)卷二十九引세본(世本)作篇作胲,云「해가 부리는 법을 만들었다(胲作服牛)」;태평어람(御覽)卷八九九引同書則作곤(鯀):곤이 아니라 해라는 것을 알 수 있고(知胲可誤鯀),현의 동생은 모두 음탕하다 현이 아니라 해라는 것을 알 수 있다(胲亦可誤為「현의 동생은 모두 방자하다(眩弟並淫)」之眩矣);而사기(史記) 은본기(殷本紀)作진(振),云「명이 죽자(冥卒),아들 진이 즉위했다(子振立)」;색은(索隱)引세본(世本)作핵(核);한서(漢書) 인표(人表)又作해(垓);산해경(山海經) 해내경(海內經) 가장 크게 잘못되었고(訛誤最大),乃作큰 돼지(封豕)(詳해내경(海內經)「영민과 큰 돼지(嬴民、封豕)」節注):그것은 확실히 모두 하나의 이름이 잘못 변한 것이다(其實皆一名之訛變也)。

4 원가기록(珂案):그림과 같다(當亦圖象如此)。

5 곽박(郭璞)云:「하백과 복우는 모두 사람의 성과 이름(河伯僕牛皆人姓名)。탁은(託),기다(寄也)。見급군죽서(汲郡竹書)。」원가기록(珂案):곽박(郭)云「하백과 복우는 모두 사람의 성과 이름(河伯僕牛皆人姓名)」,又云「見급군죽서(汲郡竹書)」,다만 뒤쪽 글에(但下文)곽박(郭)注引죽서(竹書)도리어 복우라는 글자 모양이 없고((卻無「복우(僕牛)」字樣),알려진(知)「복우는 사람의 성과 이름(僕牛人姓名)」蓋곽박(郭)억측이다(臆說也)。복우는(僕牛),천문(天問)作「박우(朴牛)」,왕일(王逸)注:「박은(朴),대다(大也)。」세본(世本)作「복우(服牛)」,복우는(服牛),길들인 소다(馴牛也)。모두 사람의 성과 이름의 뜻이 없다(均無「사람의 성과 이름(人姓名)」之意)。則복우는(僕牛者),사람의 성과 이름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亦非「사람의 성과 이름(人姓名)」可知已)。이 글귀의 뜻은 왕해가 길들여 기른 소와 양을 유역과 하백에 맡기다는 뜻(此句當言王亥託寄其所馴養之牛羊於有易與河伯)。

6 곽박(郭璞)云:「죽서(竹書)曰:『은나라 왕자 해는 유역에 손님으로 머물머 음란하게 놀다(殷王子亥賓于有易而淫焉),유역의 임금 면신에게 죽임을 당했다(有易之君綿臣殺而放之)。이러한 이유로 은나라 주갑미는 하백에게 군사를 빌려 유역을 토벌해(是故殷主(송본(宋本)作상(上),맞다(是也)——珂)甲微假師于河伯以伐有易),멸망시키고(滅之),끝내 유역의 임금 면신을 죽였다(遂殺其君綿臣也)。」원가기록(珂案):왕해가 죽임을 당한 이야기 관련(關於王亥被殺故事),초사(楚辭) 천문(天問) 그 일이 자세하게 쓰여 있다(敘其事較詳),云:「왕해는 그 아비 왕계의 덕을 지니니(該秉季德),그 아비 왕계는 크게 기뻐하였도다(厥父是臧),어찌 유호에서 나쁜 짓만 일 삼는데(胡終弊于有扈),소와 양을 길렀겠는가(牧夫牛羊)?방패를 가지고 춤을 추어서(干協時舞),어찌 마음을 품게하였나(何以懷之)?단단한 몸에 고운 살결을 가지니(平脅曼膚),어찌 살이 찌겠는가(何以而逢)?유호의 목수는(有扈牧豎),어찌 정을 통하였는가(云何而逢)?잠자리를 치우고 먼저 나왔는데(擊床先出),어찌 목숨을 잃었는가(其命何從)?왕항은 아비 왕계의 덕을 지니고(恆秉季德),어디서 큰 소를 얻었는가(焉得夫朴牛)?어디 가서 줄을 서 관리의 봉급을 받으며(何往營班祿),뉘우치고 한탄만 할 뿐인가(不但還來)?혼란하고 미천한 발자취를 쫓아서(昏微遵跡),유적이 평안치 않으니(有狄不寧),어찌 많은 새들이 가시나무에 모이고(何繁鳥萃棘),근심한 자식의 마음이 방자한가(負子肆情)?현의 동생은 모두 방자하여(眩弟並淫),그 형을 위태롭게 하였고(危害厥兄),어찌 변화하여 진심을 털어놓게 만들며(何變化以作詐),대를 잇는 자식에게 임금을 만나는가(而後嗣逢長)?」시와 글의 뜻이 오래 되고 심오하여 이해하기 어렵고(詩文義古奧),또한 서로 돌려가며 베끼어 쓰다 잘못되고 바뀌어(又兼傳寫訛挩),옳지 않는 풀이가 되었다(不可盡釋)。약속한 말에(約言之),처음 네 구절은 대략 쓰인 왕해가 유역에서 죽임을 당하여(首四句概敘王亥被殺於有易),소와 양을 잃어버린 일(喪失牛羊事)。다음 네 구절은 왕해와 왕항 형제가 처음으로 노래와 춤과 술과 음실을 손님을 맞아서 시중을 받는 장면(次四句寫王亥王恆兄弟初至有易備受歌舞飲饌接待情景)。다음 네 구절은 왕해의 음란함 때문에 죽임을 당하고(次四句寫王亥因「음(淫)」而被殺),왕해를 죽인 사람은 미워하고 원통하여 흥분한 유역의 목수(殺王亥者乃有易一激於一已嫉憤之「목수(牧豎)」)。다음 네 구절은 왕항이 유역에 용서를 구하며(次四句寫王恆至有易求情),그 형을 되돌려 받으려 소와 양을 잃어버리고(得其兄所喪失牛羊),그로인해 그리워하는 마음과(因有所戀),아닌 마음으로 귀국하다(不即返國)。다음 네 구절은 상갑미가 군대를 동원해 유역을 토벌하여(次四句寫上甲微興師伐有易),그 나라를 멸망시키고(滅其國家),방탕한 마음을 가진 배우자(肆情於婦子),전체가 무성한 잡목림으로 되어 국토가 이루어짐(使國土成為一片荊榛)。마지막 네 구절은 왕항은 그 형과 같이 음란하고(末四句譴責王恆既與兄並淫),속임수로 되돌아오게 하려다 그 형을 위태롭게 하였으나(復以詐術危害其兄),그 후손들은 도리어 왕성하게 번영하였다(其後嗣反而繁榮昌盛),하늘의 뜻을 믿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足見天道之難憑也)。시 속의 유호와 유적은(詩中有扈、有狄),유역이다(即有易也),혼미는 상갑미다(昏微即上甲微也(說見오기창(吳其昌) 은허복사(卜辭)所見은나라 선공선왕 세 번째 속고(殷先公先王三續考)))。주역(易) 대장(大壯) 육오효사(六五爻辭)云:「역에서 양을 잃었으나(喪羊于易),뉘우침이 없다(旡悔)。」려(旅) 상구효사(上九爻辭)云:「새가 둥지를 불사지르니(鳥焚其巢),나그네는 처음에 웃지만 나중에 크게 운다(旅人先笑後號咷)。역에서 소를 잃어버리니(喪牛於易),운수가 나쁘다(凶)。」말하는 사람 역시 이 왕해 고사를 말한다(說者亦以為是王亥故事云)。

7 원가기록(珂案):경문에(經文「하백이 유역을 걱정하다(河念有易)」),왕념손(王念孫)하 뒤쪽에 백자를 붙이다於「하(河)」下校增「백(伯)」字),맞다(是也)。

8 곽박(郭璞)云:「유역은 본래 하백과 사이가 좋고(言有易本與河伯友善),상갑미는 은나라의 현왕이라(上甲微殷之賢王),군사를 빌려 토벌하여 의를 행하니(假師以義伐罪),하백은 어쩔 수 없이 멸망을 도왔다(故河伯不得不助滅之)。그리하여 유역을 애달프게 생각하고(既而哀念有易),내쫓아 숨게 하였으며(使得潛化而出),교화하여 요민국이 되었다(化為搖民國)。」

9 원가기록(珂案):이 요민은 유역을 멸하고 교화하여 받아들이는(此言搖民除有易所化之一系而外),제순의 후손 희를 낳은 곳(復有一系是由帝舜之裔戲所生)。이는 요민 전설의 다른 이야기기 때문에(此乃搖民傳說之異聞),이곳에 덧붙여 씀(故附記於此)。역은 요민이 변한 것이고 희는 요민을 낳았다(易化搖民即戲生搖民也)。


海內有兩人1,名曰女丑2。

바다 안에 두 사람이 있는데, 이름을 여축이라 한다(名曰女丑).


女丑有大蟹3。

여축에 큰 게가 있다.


1 곽박(郭璞)云:「이는 유역이 변한 것이다(此乃有易所化者也)。」학의행(郝懿行)云:「두 사람인데 한 사람은 요민이 되었고(兩人蓋一為搖民),한 사람은 여축이 되었다(一為女丑)。」원가기록(珂案):곽박(郭)、학의행(郝)之說均틀렸다(非是)。경문(經文)「바다 안에 두 살미이 있는데(海內有兩人),이름을 여축이라 한다(名曰女丑)」의 사이에(之間),글자가 이지러지고 빠졌는데(文字當有闕脫),억지로 해석 할 수 없다(未可為解釋)。

2 곽박(郭璞)云:「即여축시다(女丑之尸);그것은 죽어서 변화한 것이다(言其變化無常也)。신의 지역 사람이 달아나면서 한 걸음에 나루터를 건너고(然則一以涉化津而遯神域者),갈 수 있는 곳이 없어(亦無往而不之),머물면서 느끼다(觸感而寄跡矣)。범려의 윤리에도(范蠡之倫),그 풍속을 들을 수 있다(亦聞其風者也)。」원가기록(珂案):여축시(女丑之尸)已見해외서경(海外西經);여축은 여무다(女丑蓋女巫也),곽바(郭)釋「죽어서 변화한 것이다(變化無常)」云云則단지 억지 설명이다(無非臆想之玄說耳)。

3 곽박(郭璞)云:「넓이가 천 리에 이른다(廣千里也)。」원가기록(珂案):큰 게(大蟹)及곽바(郭)注已見해내북경(海內北經)。경문에(經)云「여축에 큰 게가 있다(女丑有大蟹)」,又云「열 개의 해가 여축을 타죽였다(十日炙殺女丑)」(해외서경(海外西經)),여축이 햇볕을 쬐게어 죽는 여무가 되는 것이라 의심할 여지가 없다(則女丑之為女巫而被暴益無可疑矣)。자세한 설명(說詳)해외서경(海外西經)「서축시(女丑之尸)」節。


大荒之中,有山名曰孽搖頵羝1,上有扶木2,柱三百里,其葉如芥3。

대황의 안에는, 얼요군저라는 산이 있고, 산 위에 부목이 있는데, 기둥이 삼백 리에 이르며, 그 잎이 겨자 같다.


有谷曰溫源谷4。

온원곡이라는 골짜기가 있다.


湯谷上有扶木5。

탕곡 위에 부목이 있다.


一日方至,一日方出6,皆載于烏7。

하나의 해가 지면, 하나의 해가 뜨고, 모든 해에는 까마귀가 올라가 있다.


1 학의행(郝懿行)云:「여씨춘추(呂氏春秋) 유대편(諭大篇)云:『지대는 상상과 부정과 기모와 군저와 천적과 부주가 있다(地大則有常祥、不庭、歧母、群抵、天翟、不周)。』고유(高誘)注以부주는 산의 이름이 되었다(不周為山名),그 나머지는 모두 짐승의 이름이(其餘皆獸名),아니다(非也)。글의 뜻을 찾아 살펴보면(尋覽文義),모두 산의 이름이다(蓋皆山名耳)。그 군저는 이 경문의 군저이고(其群抵當即此經之頵羝),모양과 소리가 서로 비슷하며(形聲相近),옛 글자로 통한다(古字或通)。」

2 학의행(郝懿行)云:「부목은 부목으로 써야 한다(扶木當為榑木)。」

3 곽박(郭璞)云:「기는 솟은 높이다(柱猶起高也)。잎은 갓과 비슷하다(葉似芥菜)。」

4 곽박(郭璞)云:「온원은 탕곡이다(溫源即湯谷也)。」원가기록(珂案):탕곡(湯谷)已見해외동경(海外東經)。

5 곽박(郭璞)云:「부상은 산꼭대기에 있다(扶桑在上)。」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六)云:『해가 처음 동쪽 부상에서 나온다(日初出東方所登榑桑),약목이다(木也)。』即此,약은 약으로도 쓴다(通作若)。」

6 곽박(郭璞)云:「서로 교대하며 나타난다(言交會相代也)。」원가기록(珂案):해외동경(海外東經)云:「탕곡 위에 부상이 있는데(湯谷上有扶桑),열 개의 해가 몸을 씻는 곳이다(十日所浴);아홉 개의 해는 가지 아래 모여있고(……九日居下枝),한 개의 해는 가지 위에 있다(一日居上枝)。」그 가지 위의 해는(其居上枝之日),의심(疑)即회남자(淮南子) 천문편(天文篇)所云「부상에 올라(登于扶桑),처음 움직이려 한다(爰始將行)」,亦即이 경문(此經)所云「쏫아 오르다(方出)」의 해다(之日也)。

7 곽박(郭璞)云:「속에 삼족오가 있다(中有三足烏)。」원가기록(珂案):초사(楚辭) 천문(天問)云:「예는 어이해 해를 쏘았을까(羿焉彃日)?까마귀는 어이해 깃털을 떨어트렸을까(烏焉解羽)?」회남자(淮南子) 정신편(精神篇)云:「해 속에 준조가 있다(日中有踆烏)。」고유(高誘)注云:「준은(踆),준이다(猶蹲也),삼족오를 일컫는다(謂三足烏);踆音준(逡)。」


有神,人面、犬耳1、獸身,珥兩青蛇,名曰奢比尸2。

신이 있는데, 사람 얼굴에 개의 귀와 짐승의 몸이며, 푸른 뱀을 귀에 걸었다, 이름을 사비시라 한다.


1 원가기록(珂案):해외동경(海外東經)作「큰 귀(大耳)」,왕념손(王念孫) 근거(據)以改此經「개의 귀(犬耳)」之「개(犬)」作「대(大)」,송본(宋本)正作「대(大)」,作「대(大)」맞다(是也)。

2 원가기록(珂案):사비시(奢比之尸)已見해외동경(海外東經)。


有五采之鳥1,相鄉棄沙2。

오채조가 있는데, 서로 마주보고 춤을 춘다.


惟帝俊下友3。

이들은 제준의 하계 친구이다.


帝下兩壇,采鳥是司4。

제준은 두 개의 제단 아래에서, 다채로운 새들이 제단을 관리한다.


1 원가기록(珂案):대황서경(大荒西經)云:「오채조는 세 개의 이름이 있다(有五采鳥三名):하나는 황조(一曰皇鳥),하나는 난조(一曰鸞鳥),하나는 봉조(一曰鳳鳥)。」

2 곽박(郭璞)云:「사의 뜻은 아직 듣지 못함(未聞沙義)。」학의행(郝懿行)云:「사는 사와 같다고 의심(沙疑與娑同),새들이 빙빙 돌며 가볍게 춤추는 모습(鳥羽娑娑然也)。」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云「사는 사와 같다고 의심(沙疑與娑同),새들이 빙빙 돌며 가볍게 춤추는 모습(鳥羽娑娑然)」,비슷하다(近之矣),기자는 풀이가 없다(而於棄字無釋)。기는 반자를 잘못 쓴 것으로 의심(棄疑是媻字之訛)。반사와(媻娑),파사는(婆娑),꾸불꾸불하게 빙빙 돌며 춤을 추는 모양(盤旋而舞之貌也)。오채조는(五采之鳥),난조와 봉조의 종류(蓋鸞鳳之屬也)。산해경(山海經) 여러 번(屢有「난조는 스스로 노래하고(鸞鳥自歌)、봉조는 스스로 춤을 춘다(鳳鳥自儛)」)(해외서경(海外西經)、대황남경(大荒南經)、대황서경(大荒西經)、해내경(海內經))쓰여 있고(之記載),이 경문의 오채조는(此經五采之鳥),서보 마주보고 꾸불꾸불하게 빙빙 돌며 춤을 춘다(相鄉媻娑),역시 스스로 노래하고 스스로 춤춘다는 뜻이다(蓋亦自歌自舞之意也)。

3 곽박(郭璞)云:「亦아직 듣지 못함(未聞)也。」원가기록(珂案):「제준과 하계 친구(惟帝俊下友)」者,제준은 오채조와 친구가 되었다(言惟帝俊下與五采鳥為友也)。제준 신은(帝俊之神),본래 현조고(本為玄鳥(說見前「귀국(蒍國)」節注)),현조는 재차 신화에 나오며(玄鳥再經神話之夸張),봉황과 난조의 종류가 되었다(遂為鳳凰、鸞鳥之屬)。초사(楚辭) 천문(天問):「간적은 대를 쌓아 제사를 지내니(簡狄在臺),제곡은 왜 그렇게 좋아했는가(嚳何宜)?현조가 알을 예물로 주니(玄鳥致貽),여자는 왜 그렇게 기뻐했는가(女何嘉(가는 원래 희로 쓰여 있다(嘉原作喜),근거(據) 문일다(聞一多)초사(楚辭)校고침(補改)))?」이소(離騷):「높이 솟은 요대를 바라보니(望瑤臺之偃蹇兮),유융의 아름다운 여자를 보이네(見有娀之佚女)。봉황은 이미 예물을 받았으나(……鳳鳥既受詒兮),고 신씨 나보다 앞설까 두렵네(恐高辛之先我)。」쓰여진 기록과 신화가 같다(同一作者記同一神話),현조가 되기도 하고(或為玄鳥),봉조가 되기도 하며(或為鳳鳥),현조가 봉로라 볼 수 있다(可見玄鳥即是鳳鳥)。이 제준의 오채조의 하계 친구가 된 이유다(此帝俊之所以「下友」於五采鳥也)。

4 곽박(郭璞)云:「산 아래에 순의 두 제단이 있고(言山下有舜二壇),오채조가 관리한다(五采鳥主之)。」원가기록(珂案):곽박(郭)注逕순을 제준이라 풀아하였는데(以舜釋帝俊者),저 마음 속에는(蓋在彼心目中),제준과 순임금이 둘이면서 하나다(帝俊與舜已是二而一也)。


大荒之中,有山名猗天蘇門,日月所生1。

대황의 안에는, 의천소문이라는 산이 있는데, 해와 달이 나온다.


有壎民之國2。

훤민국이 있다.


1 원가기록(珂案):이 의소천문산은(此猗天蘇門山),해와 달이 나오는 다섯 번째 산이다(為日月所出山之五也)。예문유취(類聚)卷一引이 경문에는 의천산과 천문산은(此經作猗天山、蘇門山),해와 달이 나온고 쓰여 있다(日月所出)。태평어람(御覽)卷三소문은 해와 달이 나오는 곳이다(作蘇門日月所出)。

2 곽박(郭璞)云:「音如훤화의 훤(諠譁之諠)。」


有綦山1。

기산이 있다.


又有搖山。

또 요산이 있다.

山2。

증산이 있다.


又有門戶山。

또 문호산이 있다.


又有盛山。

또 성산이 있다.


又有待山。

또 대산이 있다.


有五采之鳥。

오채조가 있다.


1 곽박(郭璞)云:「音기(忌)。」

2 곽박(郭璞)云:「音如부증의 증(釜甑之甑)。」


東荒之中,有山名曰壑明俊疾,日月所出1。

동황의 안에는, 학명준질이라는 산이 있는데, 해와 달이 나온다.


有中容之國2。

중용국이 있다.


1 원가기록(珂案):이 학명준질산은(此壑明俊疾山),해와 달이 나오는 여섯 번째 산이다(為日月所出山之六也)。

2 학의행(郝懿行)云:「중용국은(中容之國),已見上文。모든 글이 중복되고 혼잡하고(諸文重複雜沓),도덕에 어긋난듯 난잡하며(踳駮不倫),한 사람이 아니다(蓋作者非一人),한 집안이 아니기 때문에 글로 이루어짐(書成非一家故也)。」


東北海外,又有三青馬、三騅1、甘華。

동북쪽 바다 밖에는, 삼청마와 삼추와 감화가 있다.


爰有遺玉、三青鳥2、三騅、視肉3、甘華、甘柤,百穀所在4。

여기에는 유옥과 세 마리의 푸른 새와 삼추와 시육과 감화와 감조가 있고, 온갖 곡식이 있는 곳이다.


1 곽박(郭璞)曰:「말이 푸르고 흰 털이 섞여 있어 추가 되었다(馬蒼白雜毛為騅)。」원가기록(珂案):이아(爾雅) 석축(釋畜)云:「푸르고 흰 털이 섞여 있어(蒼白雜毛),추다(騅)。」是곽박(郭)注所本。然대황남경(大荒南經)又云:「붉은 말이 있는데(有赤馬),이름을 삼추라 한다(名曰三騅)。」則與「흰 털이 섞여 있어 추가 되었다(蒼白雜毛為騅)」의 설명이 서로 모순 된다(之說牴牾),所자세하지 않음(未詳)。이 경문의 삼청마와 삼추는 모두 대황남경 머릿말의 이른바 쌍쌍이란 짐승으로 의심(疑此經三青馬、三騅均대황남경(大荒南經)머릿말(首節)이른바(所謂)「쌍쌍(雙雙)」之獸),자세한 설명(詳該節注)。

2 원가기록(珂案):유옥은(遺玉),已見해외북경(海外北經)「평구(平丘)」節。삼청조는(三青鳥),已見해내북경(海內北經)。대황서경(大荒西經)亦云:「삼청조가 있느데(有三青鳥),붉은 머리에 검은 눈이고(赤首黑目),한 마리의 이름은 대려라 하고(一名曰大鵹),한 마리의 이름 소려라 하며(一名少鵹),한 마리의 이름은청조라 한다(一名曰青鳥)。」저 새는 서왕모에게 음식을 바치는 삼청조라하고(然彼乃為西王母取食之三青鳥),이는 쌍쌍이란 새의 종류로 의심(此則疑當是「쌍쌍(雙雙)」之鳥之類),詳대황남경(大荒南經)首節注。

3 곽박(郭璞)云:「취육은 눈이 있다(聚肉有眼)。」원가기록(珂案):시육(視肉)已見해외남경(海外南經)「적산(狄山)」節郭注。

4 곽박(郭璞)云:「저절로 자란다(言自生也)。」학의행(郝懿行)云:「해외북경(海外北經)云:『평구는 감사와 감화가 있고(平丘甘柤、甘華),온갖 과일이 있는 곳이다(百果所在)。』해외동경(海外東經)云:『차구는 감사와 감화가 있고(嗟丘甘柤、甘華),단 과일이 있는 곳이다(甘果所生)。』모두 유옥과 청마와 시육의 종류가 있고(皆有遺玉、青馬、視肉之類),이 경문도 그 글과 풀이가 비슷하다(此經似釋彼文也)。」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설명(說)틀림(非也)。황경(荒經)已下五篇,本「밖에 있다(進在外)」或「밖에 빠져 있다(逸在外)」의 옛 경문(之古經),아직 경문이 흐트러진 것을 가지런히 바로잡지 못했기 때문에(未經整理),앞쪽의 각 경문과(與以上各經),내용이 서로 같은 곳이 있기도 하며(內容或有相同),단지(但「글에 뛰어난 설명이 많고(文多凌雜),아무런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내력을 적은 기록이 없다(漫無統紀)」(학의행(郝懿行)語)),그 풀이는 스스로 할 수 없다(自不能以此釋彼)。


有女和月母之國1。

여화월모국이 있다.


有人名曰鵷2,北方曰鵷,來之風曰𤟇3,是處東極隅以止日月4,使無相閒出沒,司其短長5。

이름이 완이라는 사람이 있는데, 북쪽에서는 원이라 하고, 내풍에서는 염이라 부른다, 이곳 동쪽 끝자락 구석에서 해와 달을 머물게 하여, 서로 뒤섞여 나오지 않게 해, 그 길고 짧음을 관리한다.


1 학의행(郝懿行)云:「여화월모국은 희화와 상의의 부류다(女和月母即羲和常儀之屬也)。여와모라 일컫고(謂之女與母者),사기(史記) 조세가(趙世家) 색은(索隱)引초주(譙周)云:『내가 일찍이 흔히 있는 풍속을 들었는데(余嘗聞之代俗),동쪽과 서쪽의 해와 달이 드나드는 곳에는(以東西陰陽所出入),그 신에게 제사 지내며(宗其神),할아머지와 할머니라 일컫는다(謂之王父母)。』근거(據) 초주(譙周) 그 말은(斯語),이 경문의 이름이(此經『여화월모(女和月母)』之名),이기 때문이다(蓋以此也)。」

2 곽박(郭璞)云:「音완(婉)。」

3 곽박(郭璞)云:「역시 두 개의 이름이 있다(言亦有兩名也);音섬(剡)。」원가기록(珂案):경문(經文)「내풍(來之風)」準以대황동경(大荒東經)「내풍에서는 준이라 한다(來風曰俊)」、대황서경(大荒西經)「내풍에서는 위라 한다(來風曰韋)」문장의 규칙에(文例),지자는 덧붙인 글자(當衍「지(之)」字)。又정산(丁山) 중국고대종교와 신화고(中國古代宗教與神話考)云:「대황동경(大荒東經)之옛 책(古本)當為『북쪽에서는 완이라 부르고(北方曰鵷),풍에서는 염이라 부른다(風曰𤟇)』,장자(莊子) 책 속 역시 확실한 증거가 있다(書中亦有堅證):其천지편(天地篇)有曰:『순망이 큰 골짜기로 가다(諄芒將之大壑),동해의 바닷가에서 원풍을 우연히 만났다(適遇苑風於東海之濱)。원풍(苑風)曰:「당신은 어디로 가십니까(子將奚之)?」曰:「넓은 바다로 갑니다(將之大壑)。」』원풍은(苑風),當即대황경(大荒經) 이른바)所謂)『내풍에서는 염이라 부른다(來之風曰𤟇)』。」설명 역시 참고 가능(說亦可供參考)。

4 원가기록(珂案):경문(經文)「동쪽 끝자락 구석진 곳(處東極隅)」의심(疑)當作「동북쪽 구석진 곳(處東北隅)」,「동쪽 끝자락 구석(東極隅)」글의 뜻이 되지 않음(不成文義),첫째(一也);경문(經文) 앞 구절(前節言「동북쪽 바다 밖(東北海外)」),뒷 구절(後節言「대황 동북쪽 구석 안에(大荒東北隅中)」),분명 이 위치가 동북쪽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知此亦必位在東北),둘째다(二也);대황서경(大荒西經)云:「석이라는 사람이 있다(有人曰石夷),서북쪽 끝에 살며 해와 달의 길고 짧음을 관리한다(……處西北隅以司日月之長短)。」석이 역시 서쪽 신의 하나이고(石夷亦四方神之一),이미(既曰「서북쪽 구석진 곳(處西北隅)」,원과 서로 비교되고(與之相對之鵷),역시 반드시 동북쪽 구석진 곳이라 하니(亦必當曰「동북쪽 구석진 곳(處東北隅)」),셋째다(三也)。이 셋째를 보면(有此三者),이 경문의 동쪽 끝자락이 동북쪽이 잘못된 것이라고 알 수 있다(以知此經「동쪽 끝자락(東極)」當是「동북쪽(東北)」之誤)。

5 곽박(郭璞)云:「원은 해와 달이 드나드는 것을 살피고 관리하며(言鵷主察日月出入),서로 어긋나게 명을 받아(不令得相閒錯),그림자가 길고 짧음을 알 수 있다(知景之短長)。」


大荒東北隅中1,有山名曰凶犁土丘2。

대황 동북쪽 구석 안에, 흉려토구라는 산이 있다.


應龍處南極3,殺蚩尤與夸父4,不得復上5。

남쪽 끝 사는 응룡은, 치우와 과보를 죽여, 하늘로 되돌아가지 못했다.


故下數旱6,旱而為應龍之狀,乃得大雨7。

그런 이유로 지상은 자주 가뭄이 들었고, 가뭄이 들면 응룡의 형상을 만들었는데, 그리하면 큰 비가 내렸다.


1 왕념손(王念孫)云:「태평어람(御覽)十一作동황의 북쪽 구석(東荒之北隅),삼십 오도 같다(卅五同)。예문유취(類聚) 재이부(災異部)(卷一百)作동황 북쪽 구석(東荒北隅)。」원가기록(珂案):影송본(宋本) 태평어람(御覽)卷卅五作동황의 북쪽 구석(東荒之北隅),卷十一仍從예문유취(類聚)作동황 북쪽 구석(東荒北隅)。

2 학의행(郝懿行)云:「사기(史記) 오제기(五帝紀) 색은(索隱)引황보밀(皇甫謐)云:『황제는 응룡에게 흉려의 골짜기에서 치우를 죽이라 하였다(黃帝使應龍殺蚩尤於凶黎之谷)。』即此。려와 리는 옛 글자로 두루 쓰임(黎、犁古字通)。」원가기록(珂案):당나라(唐) 왕관(王瓘) 헌원본기(軒轅本紀)(見운급칠첨(雲笈七籤_卷一百)云:「(황제(黃帝))여산의 언덕에서 치우를 죽였다(殺蚩尤於黎山之丘)。」說本此。然치우가 죽임을 당한 땅은(蚩尤被殺之地),남쪽에 있다고 전해진다(或又傳在南方)。대황남경(大荒南經)云:「송산이 있는데(有宋山者),산 위에 있는 나무는(有木生山上),이름을 풍목이라 한다(名曰楓木)。풍목은(楓木),치우가 그 차꼬와 수갑을 버린 곳이고(蚩尤所棄其桎梏),이것을 풍목이라 일컫는다(是謂楓木)。」곽박(郭璞)注云:「치우는 황제에게 붙잡혀(蚩尤為黃帝所得),형틀에 채워진 채 죽었고(械而殺之),남겨진 그 형틀은(已摘其械),변하여 나무가 되었다(化而為樹也)。」或又동쪽에 있다고 전해진다(傳在東方)。초학기(初學記)卷九引귀장계서(歸藏啟筮)云:「치우는  양수에서 나왔고(蚩尤出自羊水),여덟 개의 팔뚝과 여덟 개의 발과 투구를 뒤로 젖혀 썼고(八肱、八趾、疏首),구뇨에 올라 공상을 베었으며(登九淖以伐空桑),황제가 청구에서 죽였다(黃帝殺之於青丘)。」청구는(青丘),동쪽 땅의 이름이다(東方地名也)。或又중기에 있다고 전해진다(傳在中冀)。주서(周書) 상맥편(嘗麥篇)云:「치우는 축제와(蚩尤乃逐帝(적제(赤帝))),탁록하에서 싸우려 했는데(爭于涿鹿之河(아(阿))),적제가 크게 두려워(赤帝大懾),황제에게 이야기 하였고(乃說於黃帝),중기에서 치우를 잡아 죽였다(執蚩尤殺之於中冀),이름을 절비의 들판이라고도 한다(用名之曰絕轡之野)。」중비는(中冀)蓋即 대황북경(大荒北經) 기록된(所記) 기죽의 들판이고(冀州之野),亦即탁록하다(涿鹿之河(아(阿))也)。然노사(路史) 후기(後紀)四云:「(황제(黃帝))전쟁에서 치우를 잡아 중기에서 죽였다고 전해지는데(傳戰執尤於中冀而殊之),해를 일컫는다(爰謂之解)。」해는(解者),송의 해주이고(宋之解州),현재 산서의 해현이다(今山西之解縣也)。심괄(沈括) 몽계필담(夢溪筆談)卷三云:「해주의 소금연못에(解州鹽澤),소금밭 빛은 새빨간데(滷色正赤),치우의 피라고 하더라(俚俗謂之『치우의 피(蚩尤血)』)。」則해주는 비록 노사의 중기 같다 할 수 없으나((解州雖不必如노사(路史)所附會之中冀),후손들은 치우가 그 땅에서 죽임을 당한 것이라는 신화로 인식한다(後世固亦有蚩尤被殺於其地之神話也)。치우가 죽임을 당한 땅은(蚩尤被殺之地),여러 설명과 같지 않고(於不同之諸說中),기주의 들판이 탁록의 언덕이라는 것이 가장 가까울 것이다(要以冀州之野即涿鹿之阿為近正)。이에 따라 경문의 흉려토구는 응룡이 사는 땅이 확실하고(至此經之凶犁土丘固應龍所居之地),치우와 과보가 죽임을 당한 땅이라 할 수 없으며(未必即蚩尤夸父被殺之地),황제는 응룡에게 이 언덕에서 치우를 죽이라 하였다는(云黃帝使應龍殺蚩尤於此丘者),경문을 잘못 이해하여 억지로 끌어다 부쳤다(亦由誤讀經文而生之附會也)。

3 곽박(郭璞)云:「응룡은(應龍),날개가 달린 용이다(龍有翼者也)。」원가기록(珂案):광아(廣雅) 석어(釋魚)云:「날개가 있으면 응룡이라 부른다(有翼曰應龍)。」곽박(郭)說本此。又경문(經文「응룡은 남쪽 끝에 산다(應龍處南極)」),흉려토구산의 남쪽 끝을 일컫는다(蓋謂處凶犁土丘之南極也)。

4 곽박(郭璞)云:「치우는 무기를 만들었다(蚩尤作兵者)。」원가기록(珂案):관자(管子) 지수편(地數篇)云:「갈로산에서(葛盧之山),나오는 물을 들추면(發而出水),금이 딸려 나오는데(金從之),치우가 거둬들여 만든 것이(蚩尤受而制之),검과 갑옷과 모와 극이 되었다(以為劍、鎧、矛、戟);옹호산에서(雍狐之山),나오는 물을 들추면(發而出水),금이 딸려 나오는데(金從之),치우가 거둬들여 만든 것이(蚩尤受而制之),옹호의 극과 예과가 되었다(以為雍狐之戟、芮戈)。」여씨춘추(呂氏春秋) 탕병편(蕩兵篇)云:「사람들(人)曰:『치우는 무기를 만들었다(蚩尤作兵)。』」태평어람(太平御覽)卷七八引용어하도(龍魚河圖)云:「치우가 병기 창과 도와 극와 대노를 만들었다(蚩尤造立兵杖、刀、戟、大弩)。」대황북경(大荒北經)亦云:「치우가 무기를 만들어 황제를 공격했다(蚩尤作兵伐黃帝)。」此곽박(郭)注所本也。此經「응룡은 치우와 과보를 죽였다(應龍殺蚩尤與夸父)」,又見於대황북경(大荒北經),云「응룡은 이미 치우를 죽였고(應龍已殺蚩尤),과보 또한 죽였다(又殺夸父)」。응룡은 치우와 과보를 죽였다는(應龍殺蚩尤與夸父者),과보는 치우와 함께 염제의 후손이고(蓋夸父與蚩尤同為炎帝之裔),황제와 염제의 다툼 속에 있는(在黃炎鬥爭中),치우는 염제의 원수를 갚기 위해 병사를 일으켰고(蚩尤起兵為炎帝復仇),과보 역시 치우의 전쟁 부대로 들어갔다(夸父亦加入蚩尤戰團),전쟁에 져서 죽임을 당했다(以兵敗而被殺也)。說已見해외서경(海外西經)「형천(形天)」節注。

5 곽박(郭璞)云:「응룡은 땅바닥에서 살게 된다(應龍遂住地下)。」학의행(郝懿行)云:「초학기(初學記)三十卷引此經云:『응룡은 땅에 살게 된다(應龍遂在地)。』蓋引곽박(郭)注之文也。현재 문장의 주자는 재로 써야 한다(今文住字當作在),하자는 덧붙인 글자(下字蓋衍)。」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校與학의행(郝)同。

6 곽박(郭璞)云:「하늘에서 비를 만들지 못한다(上無復作雨者故也)。」

7 곽박(郭璞)云:「현재의 토룡이 본래 이것이다(今之土龍本此);기에 응하여 조화에 힘입어 그윽한 가운데 감응하고(氣應自然冥感),사람답지 아니한 능력을 가지게 되었다(非人所能為也)。」학의행(郝懿行)云:「유소(劉昭)注(후한서(後漢書))예의지(禮儀志)引이 경문과(此經及) 곽박(郭)注모두 현재 책과 같다(並與今本同)。토룡은 비를 부른다(土龍致雨)見회남자(淮南) 설산훈(說山訓)及지형훈(墬形訓)。又초사(楚詞) 천문(天問)云:『응룡을 어찌 꾀했을까(應龍何畫)?강과 바다를 어찌 넘었을까(河海何歷)?』왕일(王逸)注云:『우임금이 홍수를 다스리던 시절(或曰禹治洪水時),꼬리로 그림을 그리는 신룡이 있었는데(有神龍以尾畫(지(地))),물을 가로질러 인도하여 흐르게 하였고(導水徑所當決者),그로인해 다스려졌다(因而治之)。』후손들은 응룡이 비를 부른다고 기록하였고(案後世以應龍致雨),뜻은 이것이 근거다(義蓋本此也)。」


東海中有流波山,入海七千里1。

동해 안에 유파산이 있는데, 뭍으로 둘러싸이고 끼인 바다가 칠천 리에 이른다.


其上有獸,狀如牛,蒼身而無角,一足,出入水則必風雨,其光如日月,其聲如雷,其名曰夔。

산 위에 있는 짐승은, 모양이 소 같고, 푸른 몸에 뿔이 없으며, 발은 한 개다, 물에 드나들면 반드시 비바람이 치는데, 그 빛은 해와 달 같고, 그 소리는 우레 같다, 그 이름을 기라 한다.


黃帝得之,以其皮為鼓2,橛以雷獸之骨,聲聞五百里,以威天下3。

황제는 이것을 잡아, 그 가죽으로 북을 만들고, 뢰수의 뼈로 북을 쳤는데, 소리가 오백 리까지 울려, 온 세상에 위엄을 보였다.


1 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御覽)卷五十引이 경문에 칠천은 칠십으로 쓰여 있다(此經七千作七十),蓋잘못됨(訛)也。

2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五)云:『기는(夔),신령한 역귀다(神魖也),용 같으며(如龍),다리가 하나에(一足),종종 걸음으로 걷고(从夂),모양은 뿔과 손이 있고 사람 얼굴의 모양이다(象有角手人面之形)。』설종(薛綜)注(문선(文選))동경부(東京賦)云:『기는(夔),나무와 돌의 도깨비고(木石之怪),용 같으며(如龍),뿔이 있다(有角),비늘과 껍데기의 빛은 해와 달 같고(鱗甲光如日月),만나면 그 마을에 큰 가뭄이 든다(見則其邑大旱)。』위소(韋昭)注국어(國語)(노어(魯語))云:『기는 발이 한 개다(夔一足),월나라 사람들은 산조라 일컬었다(越人謂之山繰(뒤쪽 빠진 글자(下尚漏引「사람 얼굴에 원숭이 몸을 했으며 말을 할 줄 안다(人面猴身能言)」數字)——珂))。』 설명된 기의 모양과 이 경문이 다르게 쓰여 있다(案此三說夔形狀俱與此經異也)。장자(莊子) 추수편(秋水篇) 석문(釋文)引이(李)云:『황제의 자리에 있는 동안(黃帝在位),제후가 동해 유산에서 기이한 동물을 얻었는데(諸侯於東海流山得奇獸),그 모양이 소 같고(其狀如牛),푸른 빛에 뿔은 없으며(蒼色無角),발은 하나이나 걸을 수 있고(一足能走),드나들는 순간 비바람이 치며(出入水即風雨),눈빛이 해와 달 같았다(目光如日月),그 울음소리는 우레 같고(其音如雷),이름을 기라 한다(名曰夔)。황제가 죽여서(黃帝殺之),그 가죽을 가지고 북에 씌우고 치자(取皮以冒鼓),소리가 오백 리까지 울렸다(聲聞五百里)。』이 경문의 근거가 설명이 되었다(蓋本此經為說也)。그 글과 현재 책이 서로 조금 같지 않다(其文與今本小有異同):유파산은 유산이라고 쓰여 있고(流波山作流山),그 빛은 해와 달 같고는 눈빛이 해와 달 같았다고 쓰여 있으며(其光如日月作目光如日月),현재 책과 비교해 볼 수 있다(似較今本為長也)。그 가죽으로 북을 만들고는 그 가죽을 북에 씌우고로 쓰여 있는데(又以其皮為鼓作以其皮冒鼓),유규(劉逵)注오도부(吳都賦)引이 경문에도 모자를 썼다(此經亦作冒字),맞다(是也)。초학기(初學記)九卷引제왕세기(帝王世紀)作유파산(流波山),현재 책도 같다(與今本同),뒤쪽 글은 조금 다르다(而下文小異)。」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御覽)卷五十引이 경문에는 그 소리가 우레 같다는 그 울음소리는 우레 같고로 쓰여 있고(此經其聲如雷作其音如雷),그 이름은 기라 한다는 이름은 기라 한다로 쓰여 있으며(其名曰夔作名曰夔),그 가죽은 북이 되었다는 그 가죽으로 북을 만들었다로 쓰여 있다(以其皮為鼓作以其皮作鼓)。

3 곽박(郭璞)云:「뇌수는 뇌신이다(雷獸即雷神也),사람 얼굴에 용의 몸이고(人面龍身),자신의 배를 두드린다(鼓其腹者)。궐은 격이여야 한다(橛猶擊也)。」원가기록(珂案):뇌신(雷神)已見해외동경(海外東經)。학의행(郝懿行)云:「장자(莊子) 석문(釋文)本此經及유규(劉逵)注오도부(吳都賦)引此經,궐은 뇌수의 뼈와 온 세상에 위엄을 보였다 네 글자 함께 없는 글자고(並無橛以雷獸之骨及以威天下四字),북당서초(北堂書鈔)一百八卷引네 글자가 있다(有四字)。」

   원가기록(珂案):유파산의 한 개의 다리를 가진 기 신화 역시 황제와 치우 전쟁 신화의 일부이다(流波山一足夔神話亦黃帝與蚩尤戰爭神話之一節)。역사(繹史)卷五引황제내전(黃帝內傳)云:「황제는 치우를 베었고(黃帝伐蚩尤),현녀는 황제에게 기우로 스물 여덟 개의 북을 만들어 주었는데(玄女為帝製夔牛鼓八十面),우레가 오백 리까지 울리고(一震五百里),우레가 멀리 나아가 삼천 팔백 리까지 퍼졌다(連震三千八百里)。」오임신(吳任臣) 산해경(山海經)廣注(대황북경(大荒北經))引광성자전(廣成子傳)云:「치우는 구리 머리에 돌을 삼키며(蚩尤銅頭啖石),하늘을 날고 낭떠어진 곳을 내달리던 자인데(飛空走險),규우의 가죽으로 북을 만들어(以馗牛皮為鼓),아홉 번 쳐서 멈추게 하자(九擊止之),도리어 날지도 달리지도 못 하였고(尤不能飛走),마침내 죽였다(遂殺之)。」即그 일이다(其事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