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해내동경(海內東經) 번역
海內東北陬以南者1。
해내 동북쪽 구석 남쪽을 기재하다.
1 원가기록(珂案):이 경문의 위치와 해외동경 위치가 서로 반대이다(此經方位與해외동경(海外東經)方位恰相反)。
鉅燕在東北陬1。
거연은 동북쪽 구석에 있다.
1 원가기록(珂案):이 다음에 해내북경의 개국은 거연 남쪽에 있다 다음 열 글자가 붙어야 한다(此下當接해내북경(海內北經)「개국은 겨연 남쪽에 있다(蓋國在鉅燕南)」以下十節文字),說見해내남경(海內南經)「흉노(匈奴)」節注。
國在流沙中者埻端1、璽㬇2,在昆侖虛東南。
돈단과 새환은 사막 안에 있는 나라이고, 곤륜허 동남쪽에 있다.
一曰海內之郡,不為郡縣,在流沙中3。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마을이 되지 않았으며, 유사 안에 있다.
1 곽박(郭璞)云:「埻音돈(敦)。」학의행(郝懿行)云:「옥편(玉篇)作㙵[高下土改子]㙐,나라 이름(國名)。」
2 곽박(郭璞)云:「㬇音환(喚),或作견난(繭㬉)。」학의행(郝懿行)云:「난은 난자다(㬉即暖字也)。옥편(玉篇)作새난국(璽𥈉國)。」
3 학의행(郝懿行)云:「해내동경(海內東經)之篇而說유사 안과 밖의 나라(流沙內外之國),다음 동남쪽 모든 마을과 모든 물이 뒤섞였고(下又雜廁東南諸州及諸水),모두 옛 경문의 순서가 잘못된 것으로 의심(疑皆古經之錯簡)。」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說맞다(是也),이 다음 세 구절은 전부 해내서경 유사는 종산에서 나온다 구절 뒤로 옮겨야 한다(此下三節俱當移在海內西經「유사는 종산에서 나온다(流沙出鍾山)」節後),說見해내남경(海內南經)「흉노(匈奴)」節注。
國在流沙外者,大夏1、豎沙2、居繇3、月支之國4。
대하와 수사와 거요와 월지국은 유사 밖에 있는 나라이다
1 곽박(郭璞)云:「대하국 땅의 넓이는 이삼 백 리에 이르고(大夏國城方二三百里),여러 개의 나라로 나누어졌으며(分為數十國),땅의 기후가 날씨가 맑고 따뜻하며 바람이 부드러우며(地和溫(황비렬(黃丕烈)、주숙도(周叔弢)校온화(溫和),소은다(邵恩多)校同——珂)),온갖 곡식이 잘 자란다(宜五穀)。」학의행(郝懿行)云:「주서(周書) 왕회편(王會篇)云:『대하에는 풀과 나무가 많고 흰 소가 있다(大夏茲白牛)。』공조(孔晁)注云:『대하는(大夏),서북쪽 오랑캐다(西北戎)。』이윤(伊尹) 사방령(四方令)云:『북쪽에 대하(正北大夏)。』사기(史記) 대원전(大宛傳)云:『대하는 대완에서 서남쪽으로 이천 리 남짓에 있고(大夏在大宛西南二千餘里),규수의 남쪽이다(媯水南)。그곳은 흙을 쌓아 성을 세우는 풍속이 있고(其俗土著有城屋),더불어 대완의 풍속과 같다(與大宛同俗)。임금과 우두머리가 없고(無大王長),마을의 우두머리가 자주 바뀐다(往往城邑置小長)。』배송지(裴松之)注삼국지(三國志)(위지(魏志) 오환선비(烏丸鮮卑) 동이전(東夷傳))引위략(魏略)云:『서왕모 서쪽에 수유사가 있고(西王母西有脩流沙),수유사 서쪽에 대하국이 있다(脩流沙西有大夏國)。』」
2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十二)云:『옛날에 숙사에서 처음으로 바닷물을 끓여 소금을 만들었다(古者宿沙初作煮海鹽)。』숙사는 나라의 이름이고(宿沙蓋國名),숙과 수의 성조가 서로 비슷하다(宿、豎聲相近),수사로 의심(疑即豎沙也)。삼국지(三國志)注引위략(魏略)作견사국(堅沙國)。」원가기록(珂案):숙사는(宿沙),염제의 백성이고(炎帝臣),그곳은 바닷물을 끓여 소금을 만들며 옛 제나라 땅에 있다(其煮海鹽當在古齊地),수사와 동서에서 바라보고 있어 절대로 서로 같은 나라가 아니다(與豎沙東西地望絕不相侔),학의행(郝)說틀렸다(非也)。
3 곽박(郭璞)云:「繇音요(遙)。」원가기록(珂案):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오환선비(烏丸鮮卑) 동이전(東夷傳)注引위략(魏略)作속요국(屬繇國)。
4 곽박(郭璞)云:「월지국에는 좋은 말과 맛있는 과일이 많고(月支國多好馬、美果),큰 꼬리 양이 있는데 당나귀 꼬리 같다(有大尾羊如驢尾),함양이다(即羬羊也)。소월지와 천축국은 큰 나라에 딸려서 그 지배를 받는 작은 나라다(小月支、天竺國皆附庸云)。」학의행(郝懿行)云:「이윤(伊尹) 사방령(四方令)云:『북쪽에 월씨(正北月氏)。』씨와 지는 같다(氏、支同)。삼국지(三國志)注引위략(魏略)作월저국(月氐國)。한서(漢書) 서역전(西域傳)云:『대월저국은 감씨가 다스리는 땅이다(大月氐國治監氏城)。』」원가기록(珂案):청나라(清) 장주(張澍) 모음(輯) 양주이물지(涼州異物志)云:「월씨국에 있는 양은(月氏國有羊),꼬리의 무게가 열 근이고(尾重十斤),잘라서 공물로 바치고 먹는다(割之供食),보통 익지 않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관례다(尋生如故)。」又云:「꼬리가 큰 양이 있는데(有羊大尾),수레를 밀고 갈 때는(車推乃行),그 몸에 포개고 이동한다(用累其身)。」即곽박(郭璞)注이른바(所謂)「큰 꼬리 양이 있는데 당나귀 꼬리 같다(有大尾羊如驢尾)」의 함양이다(之羬羊也)。
西胡白玉山1在大夏東,蒼梧2在白玉山西南,皆在流沙西,昆侖虛東南。
서호의 백옥산은 대하 동쪽에 있고, 창오는 백옥산 서남쪽에 있으며, 모두 유사 서쪽에 있다, 곤륜허 동남쪽이다.
昆侖山在西胡西,皆在西北3。
곤륜산은 서호 서쪽에 있고, 모두 서북쪽에 있다.
1 학의행(郝懿行)云:「삼국지(三國志)注引위략(魏略)云:『대진 서쪽에 해수가 있고(大秦西有海水),해수 서쪽에 하수가 있으며(海水西有河水),하수 서남에서 북으로 가면 대산이 있다(河水西南北行有大山),서쪽에 적수가 있고(西有赤水),적수 서쪽에 백옥산이 있으며(赤水西有白玉山),백옥산 서쪽에 서왕모가 있다(白玉山西有西王母)。』현재 쓰인 대산은 곤륜이다(今案大山蓋即昆侖也),백옥산과 서왕모 모두 나라의 이름이다(白玉山、西王母皆國名)。예문유취(藝文類聚)八十三卷引십주기(十洲記)曰:『주나라 목왕 때(周穆王時),서호에서 옥으로 만든 잔을 바쳤는데(西胡獻玉杯),이 백옥이 깨끗하여(是百玉之精),밤에도 밝게 빛이 났다(明夜照夕)。』云云。아름다운 옥이 나와서 백옥산이라 이름이 붙었다(然則白玉山蓋以出美玉得名也)。」
2 학의행(郝懿行)云:「이는 다른 창오로(此別一蒼梧),남해의 창오와 다르다(非南海蒼梧也)。」
3 곽박(郭璞)云:「지리지(地理志) 곤륜산은 임강 서쪽에 있고(昆侖山在臨羌西),서왕모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又有西王母祠也)。」원가기록(珂案):한서(漢書) 지리지(地理志)云:「금성군 임강 서북쪽 변방에 이르면(金城郡臨羌西北至塞外),서왕모의 돌무덤이 있다(有西王母石室)。」又云:「약수가 있는 곤륜산에서 제사를 지낸다(有弱水昆侖山祠)。」이것은(是)곽박(郭)所本也。
雷澤中有雷神1,龍身而人頭,鼓其腹2。
뇌택 안에 뇌신이 있는데, 용의 몸에 사람 머리를 했고, 배를 두드려 우레를 만든다.
在吳西3。
오나라 서쪽에 있다.
1 원가기록(珂案):대황동경(大荒東經)云:「동해 안에 유파산이 있는데(東海中有流波山),뭍으로 둘러싸이고 끼인 바다가 칠천 리에 이른다(入海七千里)。산 위에 있는 짐승은(其上有獸),모양이 소 같고(狀如牛),푸른 몸에 뿔이 없으며(蒼身而無角),발이 하나다(一足),물에 드나들면 반드시 비바람이 친다(出入水則必風雨)。그 빛은 해와 달 같고(其光如日月),그 소리는 우레 같으며(其聲如雷),그것의 이름은 기라 한다(其名曰夔)。황제는 이것을 구해(黃帝得之), 그 가죽으로 북을 만들고(以其皮為鼓), 뇌수의 뼈로 북을 치면(橛以雷獸之骨), 소리가 오백 리까지 울려(聲聞五百里), 온 세상에 위엄을 보였다(以威天下)。」곽박(郭璞)注:「뇌수는(雷獸),뇌신이다(即雷神也),사람 얼굴에 용의 몸이고 자신의 배를 두드린다(人面龍身鼓其腹者);궐은 격과 같다(橛猶擊也)。」이 뇌신이다(即此雷神也)。
2 원가기록(珂案):사기(史記) 오제본기(五帝本紀) 정의(正義)引此經云:「뇌택에 있는 뇌신은(雷澤有雷神),용의 머리에 사람의 얼굴을 했으며(龍首人頰),자신의 배를 두드리면 우레가 친다(鼓其腹則雷)。」회남자(淮南子) 지형편(墬形篇)云:「뇌택에 있는 신은(雷澤有神),용의 몸에 사람의 머리를 했으며(龍身人頭),자신의 배를 두드리면 빛이 난다(鼓其腹而熙)。」모두 현재 책과 다르다(並與今本異也)。
3 곽박(郭璞)云:「현재 성양에 요임금 무덤과 임금이 올라가서 사방을 바라보던 대가 있다(今城陽有堯冢靈臺)。뇌택은 북쪽에 있다(雷澤在北也)。하도(河圖)曰:『큰 발자국이 뇌택에 있고(大跡在雷澤),화서가 밟고 복희를 낳았다(華胥履之而生伏羲)。』」원가기록(珂案):회남자(淮南子) 지형편(墬形篇) 고유(高誘)注云:「지리지(地理志)(한서(漢書))曰:『우공에 뇌택은 제음 성양 서북쪽에 있다(禹貢雷澤在濟陰城陽西北)。성양에 요임금 무덤이 있다(城陽有堯冢)。』」是곽박(郭)注所本也。과박(郭)引하도(河圖),又見태평어람(太平御覽)七八引시함신무(詩含神霧),云:「큰 발자국이 뇌택에 나타났는데(大跡出雷澤),화서가 그것을 밟고(華胥履之),복희를 낳았다(生宓犧)。」복희는 복희다(宓犧即伏羲也)。오승지(吳承志) 산해경(山海經) 지리금석(地理今釋)卷六云:「이 경문 있는(此經當在『시구는 바다 속에 있고(始鳩在海中),원려 남쪽이다(轅厲南)』下),그 다음은 배열하다 잃어버림(編失其次)。」又云:「뇌택은 진택이다(雷澤當作震澤)。설문해자(說文)(十一)비는 우레를 동반하고(雨部震),전자의 풀이와(篆解云),주문의 글의 진은 이와 같다(籀文震如此)。뇌택은 진택이다(雷澤即震澤)。한지에 구구의 연못은 회계군 오나라 서쪽에 있고(漢志具區澤在會稽郡吳西),양주에 늪이 있다(揚州藪),옛 글에 진택으로 되어있다(古文以為震澤)。진택은 오나라 서쪽에 있다(震澤在吳西),증거라 할 수 있다(可證)。」此해외동경(海外東經)「오나라 서쪽에 있다(在吳西)」의 뇌택은(之雷澤),확실히 이 진택은 태호이고(確當是震澤即太湖),제음에 성양을 억지로 비교해 찾지 못함(以濟陰城陽(현재 산동성 거현이 다스린다(今山東省莒縣治))比附失之)。
都州在海中1。
도주는 바다 안에 있다.
一曰郁州2。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울주라고도 한다.
1 필원(畢沅)云:「주경(水經)注(회하(淮水))引此作울산(郁山)。유소(劉昭)注군국지(郡國志)와 경문이 같다(與經文同)。」
2 곽박(郭璞)云:「현재 동해 구현 가장자리에 있고(今在東海朐縣界),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이 산은 창오부터 종남에 들어간다(世傳此山自蒼梧從南徙來),산 위는 모두 남방물야가 있다(上皆有南方物也)。郁音울(鬱)。」학의행(郝懿行)云:「유소(劉昭)注군국지(郡國志)引此注云:『창오에 들어가고(在蒼梧徙來),산 위는 모두 남방수목이 있다(上皆有南方樹木)。』현재 책과 다르다(與今本異)。현재 종남 두 글자는 덧붙인 것으로 의심(疑今本從南二字衍也)。수경(水經)注(회하(淮水))亦云:『이 산은 창오부터 여기로 들어가고(言是山自蒼梧徙此),산 위는 남방초목이 있다(云山上猶有南方草木)。』」
琅邪臺在渤海閒,琅邪之東1。
낭야대는 발해 사이에 있고, 낭야의 동쪽이다.
其北有山。
그 북쪽에 산이 있다.
一曰在海閒2。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바다 사이에 있다고 한다.
1 곽박(郭璞)云:「현재 낭야는 바닷가에 있는데(今琅邪在海邊),산이 높고 험준하며 우뚝 솟아 있어(有山嶣嶢特起),모양이 높이 쌓은 대 같다(狀如高臺),이것이 낭야대다(此即琅邪臺也)。낭야는(琅邪者),월왕 구천이 들어가 중국을 제패한 곳이다(越王句踐入霸中國之所都)。」학의행(郝懿行)云:「사기(史記) 봉선서(封禪書) 색은(索隱)及문선(文選)注사조 화왕이 팔공산에서 지은 시(謝朓和王著作八公山詩)引이 경문과 현재 책이 모두 같다(此經並與今本同)。월절서(越絕書)(외전기지(外傳記地))云:『구천이 도읍을 낭야로 옮기고(句踐徙琅邪),높이 세운 대를 보았다(起觀臺),대의 둘레는 칠 리에 이르고(臺周七里),동해를 바라보고 있다(以望東海)。』현재 자세한 이 경문은(今詳此經),원래 이 땅에 대가 있고(是地本有臺),구천이 더욱 높게 쌓았다고 한다(句踐特更增築之耳)。故사기(史記) 색은(索隱)云:이 산의 모양은 대 같다(是山形如臺也)。이 말을 얻었다(斯言得之_。」원가기록(珂案):사기(史記)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색은(索隱)引경문 역시 현재 책과 같다(經文亦同今本)。並云:「바닷가에 산이 있는데(蓋海畔有山),모양이 대 같고(形如臺),낭야에 있어(在瑯邪),낭야대라 한다(故曰瑯邪臺)。」
2 학의행(郝懿行)云:「낭야대는 현재 기주구에 있고(琅邪臺在今沂州府(현재 산동성 임기현(今山東省臨沂縣)——珂)),그 동북쪽에 있는 산은(其東北有山),노산이다(蓋勞山也)。노산은 바닷가에 있다(勞山在海閒),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一曰) 뇌산이라 한다(牢山)。」
韓鴈1在海中,都州南。
한안은 바다 안에 있고, 도주 남쪽이다(都州南).
1 학의행(郝懿行)云:「한안은 삼한의 옛 나라 이름이다(韓鴈蓋三韓古國名)。한에는 세 종류가 있는데(韓有三種),見위지동이전(魏志東夷傳)。」원가기록(珂案):위지동이전(魏志東夷傳)云:「한은 세 종류이고(韓有三種),마한(一曰馬韓),진한(二曰辰韓),변진이다(三曰弁辰)。」
始鳩1在海中,轅厲南2。
시구는 바다 안에 있고, 원려 남쪽이다.
1 곽박(郭璞)云:「나라 이름이다(國名)。或曰:새 이름이다(鳥名也)。」원가기록(珂案):당연히 이것은 나라 이름이다(當是國名)。
2 필원(畢沅)云:「원려는 한안이다(轅厲即韓鴈也);원과 한은 발음이 서로 비슷하고(轅、韓音相近),안과 려는 서로 비슷하 글자다(鴈、厲字相似)。」학의행(郝懿行)云:「원려는 한안이 잘못된 것으로 의심(轅厲疑即韓鴈之訛也);원과 한(轅、韓),안과 려 모두 모양이 서로 비슷하다(鴈、厲並字形相近)。」원가기록(珂案):필원(畢)、학의행(郝)之說맞다(是也),왕념손(王念孫)、손성연(孫星衍)校同。오승지(吳承志 산해경(山海經) 지리금석(地理今釋)卷六云,「뇌택 안에 뇌신이 있다(雷澤中有雷神)」구절은 이 구절 뒤에 있어야 하며(節當在此節之後),설명(說)見該節注。
會稽山在大楚南1。
회계산은 대초 남쪽에 있다.
1 오승지(吳承志) 산해경(山海經) 지리금석(地理今釋)卷六云:「초나라는 월나라로 쓰여야 하고(楚當作越),잘못 베껴 씀(傳寫訛誤)。월절서(越絕書) 기록(記) 월지전(越地傳)云:『우가 근심어린 백성을 물에서 구해(禹憂民救水),대월에 이르러(到大越),모산에 올라 회계를 지났다(上茅山大會計),모산의 이름이 바뀌어 회계라 한다(更名茅山曰會稽)。』即本此經。」
필원(畢沅)云:「右해내동경(海內東經) 옛 책(舊本) 합쳐지 뒤부분도 책이 되었는데(合『민삼강은(岷三江),처음(首……)』以下云云為篇),틀렸다(非),현재 부록은 뒤에 있다(今附在後)。」又云:「여기부터(自『민삼강은(岷三江),처음(首……)』다음 문장은 수경으로 의심(以下疑水經也)。」원가기록(珂案):필원(畢沅)之說맞다(是也)。「민삼강(岷三江),처음(首……)」다음 글자은 확실히 경문과 관계가 없다(以下文字確與經文無關),현재 필원의 설명을 쫓는다(今從필원(畢)說),부록은 경문 뒤에 있는데(附在經文之後),다만 곽박의 설명이 있고(祗存곽박(郭)注),그 나머지 다른 부분의 주석은 모두 생략하며(其餘他家注釋俱從略),다음 구절은 바꾸지 않고 나누지 않는다(不更分節次);간단히 고친 부분이 있는데(略有校改),바꾸지 않고 나온 곳을 기록(亦不更記出處)。()안에 쓴 기록은(作()記者), 본문과 빠진 글귀이고(正文、脫文)., []안에 쓴 기록은(作[]記者), 덧붙인 글이다(衍文)。
岷三江:首大江出汶山1,北江出曼山,南江出高山。高山在城(成)都西。入海,在長州南。
민삼강:대강이 처음 나오는 곳은 문산이고, 북강은 만산에서 나오며, 남강은 고산에서 나온다. 고산은 성도 도읍 서쪽에 있고. 바다로 들어가며, 장주 남쪽에 있다.
浙江出三天子都2,在其蠻東。在閩西北,入海,餘(暨)南3。
절강은 삼천자도에서 나오며, 절강은 만의 동쪽에 있다. 민의 서북쪽에 있고, 바다로 들어가며, 여기 남쪽이다.
廬江出三天子都,入江,彭澤西4。一曰天子鄣。
려강은 삼천자도에서 나와, 장강으로 들어가며, 팽택 서쪽이다.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천자장이라고도 한다.
淮水出餘山,餘山在朝陽東5,義鄉西,入海,淮浦北6。
회수는 여산에서 나오고, 여산은 조양 동쪽에 있으며, 의향 서쪽이다, 바다로 들어간다, 회포 북쪽이다.
湘水出舜葬東南陬,西環之7。入洞庭下8。一曰東南西澤。
상수는 순임금 무덤 동남쪽 구석에서 나와, 서쪽을 돌아서. 동정호 아래로 들어간다.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동남서택이라고도한다.
漢水出鮒魚之山9,帝顓頊葬于陽,九嬪葬于陰,四蛇衛之10。
한수는 부어산에서 나온다, 제 전욱이 산 남쪽에 묻혔고, 아홉 명의 아내들이 산의 북쪽에 묻혔으며, 뱀 네 마리가 지키고 있다.
濛水出漢陽西11,入江,聶陽西。
몽수는 한양 서쪽에서 나와, 장강으로 들어가며, 섭양 서쪽이다.
溫水出崆峒,(崆峒)山在臨汾南12,入河,華陽北。
온수는 공동산에서 나오며, 공동산은 임분 남쪽에 있고, 황하로 들어간다, 화양 북쪽이다.
潁水出少室,少室山在雍氏南,入淮西鄢北13。一曰緱氏14。
영수는 소실에서 나오며, 소실산은 옹씨 남쪽에 있다, 서언 북쪽 회수로 들어간다.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구씨라고도 한다.
汝水出天息山,在梁勉鄉西南,入淮極西北15。一曰淮在期思北16。
여수는 천식산에서 나오며, 양면향 서남쪽에 있다, 서북쪽 맨 끝 회수로 들어간다. 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 회수는 기사 북쪽에 있다.
涇水出長城北山,山在郁郅長垣北17,[北]入渭18,戲北19。
경수는 장성 북산에서 나오고, 욱질과 장원 북쪽에 있는 산이며, 위수로 들어간다, 희의 북쪽이다.
渭水出鳥鼠同穴山,東注河,入華陰北20。
위수는 조서동혈산에서 나와, 황하 동쪽에 모였다, 화음 북쪽으로 들어간다.
白水出蜀,而東南注江21,入江州城下22。
백수는 촉에서 나와, 장강 동남쪽으로 모였다, 강주성 아래로 들어간다.
沅水[山]出象郡鐔城西23,[入]東注江,入下雋西24,合洞庭中25。
원수는 상군 심성 서쪽에서 나와, 장강 동쪽에 모였다, 하전 서쪽으로 들어가고, 동정호 안에서 합쳐진다.
贛水出聶都東山26,東北注江,入彭澤西。
감수는 섭도 동산에서 와, 장강 동북쪽에 모였다, 팽택 서쪽으로 들어간다.
泗水出魯東北而南,西南過湖陵西,而東南注東海,入淮陰北27。
사수는 노나라 동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다, 서남쪽 호릉 서쪽을 지나, 동해 동남쪽으로 모였다, 회음 북쪽으로 들어간다.
鬱水出象郡,而西南注南海,入須陵東南。
울수는 상군에서 나와, 남해 서남쪽으로 모였다, 수릉 동남쪽으로 들어간다.
肄28水出臨晉(武)西南,而東南注海,入番禺西29。
이수는 임진 무서 남쪽에서 나와, 바다 동남쪽으로 모였다, 번우 서쪽으로 들어간다.
潢水出桂陽西北山,東南注肄水,入敦浦西。
황수는 계양 서북쪽 산에서 나와, 이수 동남쪽에 모였다, 돈포 서쪽으로 들어간다.
洛水出(上)洛西山,東北注河,入成皋[之]西30。
낙수는 상낙 서쪽 산에서 나와, 황하 동북쪽에 모였다, 성고 서쪽으로 들어간다.
汾水出上窳北31,而西南注河32,入皮氏南33。
분수는 상유 북쪽에서 나와, 황하 서남쪽으로 모였다, 피씨 남쪽으로 들어간다.
沁水出井陘山東,東南注河,入懷東南34。
심수는 정형산 동쪽에서 나와, 황하 동남쪽에 모였다, 회동 남쪽으로 들어간다.
濟水出共山南東丘35,絕鉅鹿澤36,注渤海,入齊琅槐東北37。
제수는 공산 남쪽 동구에서 나와, 거록택에 끊어지고, 발해에 모였다, 제 낭괴 동북쪽으로 들어간다.
潦水出衛皋東38,東南注渤海,入潦陽39。
요수는 위호 동쪽에서 나와, 발해 동남쪽에 모였다, 요양으로 들어간다.
虖沱水出晉陽城南,而西至陽曲北,而東注渤海40,入[越]章武北41。
호타수는 진 양성 남쪽에서 나와, 서쪽으로 흐르다 양곡 북쪽에 이르러, 발해 동쪽으로 모였다, 장무 북쪽으로 들어간다.
漳水出山陽東,東注渤海,入章武南42。
장수는 산양 동쪽에서 나와, 발해 동쪽에 모였다, 장무 남쪽으로 들어간다.
곽박(郭璞)云:
1 현재 강이나오는 문산은 민산의 군에서 현으로 격상되었고(今江出汶山郡升遷縣岷山),동남쪽은 촉군 건을 지나 강양에 이르게 되며(東南經蜀郡犍為至江陽),동북쪽은 파동 건평 의도 남군 강하 익양 안풍을 지나 여강 남쪽 끝에 이른다(東北經巴東建平宜都南郡江夏弋陽安豐至廬江南界),동북쪽은 회남 하비를 지나 광릉군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東北經淮南下邳至廣陵郡入海)。
2 지리지 기록에 절강은 신안 이현 남쪽 만 안에서 나와(按地理志浙江出新安黟縣南蠻中),동쪽 바다로 들어간다(東入海),현재 전당 절강이 맞다(今錢塘浙江是也)。이는 흡이다(黟即歙也)。절(浙)音절(折)。
3 여기현은 회계에 속한다(餘暨縣屬會稽),현재 영흥현이 되었다(今為永興縣)。
4 팽택은 현재 팽려다(彭澤今彭蠡也),심양 팽택현에 있다(在尋陽彭澤縣)。
5 조양현은 현재 신야에 속한다(朝陽縣今屬新野)。
6 현재 회수는 평지현 동백산에서 나와(今淮水出義陽平氏縣桐柏山),동북쪽 여남 여음 회남 초국 하비를 지나 광릉 회포현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東北經汝南汝陰淮南譙國下邳至廣陵(淮浦)縣入海)。
7 환은(環),요다(繞也)。현재 상수는 영릉 영도현 양호 삭산에서 나와(今湘水出零陵營道縣陽湖(朔)山),장강으로 들어간다(入江)。
8 동정은(洞庭),구덩이다(地穴也),장사 파릉에 있다(在長沙巴陵)。현재 오현 남태호 안에 포산이 있는데(今吳縣南太湖中有包山),산 아래 동정이 있고(下有洞庭),줄기를 따라 물밑에서 조용히 움직인다(穴道潛行水底),막히지 않은 곳이 없어(云無所不通),지맥이라 부른다(號為地脈)。
9 상서(書)曰:「파총에서 나오는 양수는(嶓冢導漾),동으로 흘러 한수가 되었다(東流為漢)。」수경 기록에(按水經),한수는 무도 저현 동랑곡에서 나와(漢水出武都沮縣東狼谷),한중 위흥을 지나 남향에 이르고(經漢中魏興至南鄉),동쪽은 양양을 지나 강하 안륙현에 이르러 장강으로 들어간다(東經襄陽至江夏安陸縣入江)。따로 떨어져 면수가 되고(別為沔水),창랑수가 된다(又為滄浪之水)。
10 뱀 네 마리가 산 아래서 지키고 있다(言有四蛇衛守山下)。
11 한양현은 주제에 속한다(漢陽縣屬朱提)。
12 현재 온수는 경조 음반현에 있고(今溫水在京兆陰盤縣),물이 항상 따뜻하다(水常溫也)。임분현은 평양에 속한다(臨汾縣屬平陽)。
13 현재 영수는 하남 양성현 건산에서 나와(今潁水出河南陽城縣乾山),동남쪽은 영천 여음을 지나 회남 하채에 이르러(東南經潁川汝陰至淮南下蔡),회수로 들어간다(入淮)。언은 현재 언릉현이고(鄢今鄢陵縣),영천에 속한다(屬潁川)。
14 구씨현은 하남에 속한다(縣屬河南);音구(鉤)。
15 현재 여수는 남양 노양현 대우 맹산에서 나와(今汝水出南陽魯陽縣大盂(孟)山),동북쪽은 하남 양현에 이르고(東北至河南梁縣),동남쪽은 양성 영천 여남을 지나 여음 포신현에 이르러 회수로 들어간다(東南經襄城潁川汝南至汝陰襃信縣入淮)。회극은(淮極),땅 이름이다(地名)。
16 기사현은 익양에 속한다(期思縣屬弋陽)。
17 모두 마을 이름이다(皆縣名也)。질(郅)音질(桎)。
18 현재 경수는 안정 조나현 서쪽 계두산에서 나와(今涇水出安定朝䢷縣西笄頭山),동남쪽은 신평 부풍을 지나 경조 고릉현에 이르러 위수로 들어간다(東南經新平扶風至京兆高陵縣入渭)。
19 희는(戲),땅 이름이다(地名),현재 신풍현이다(今新豐縣也)。
20 조서동혈산은 현재 농서 수양현에 있고(鳥鼠同穴山今在隴西首陽縣),위수가 그 동쪽에서 나오며(渭水出其東),남안 천수 약양 부풍 시평 경조 굉농 화음현을 지나 황하로 들어간다(經南安天水略陽扶風始平京兆宏農華陰縣入河)。
21 색이 희읍스름하고 탁하다(色微白濁),현재 재동 백수현에 있고(今在梓潼白水縣),수원지는 임조의 서쪽 서경산 앞으로 모였다(源從臨洮之西西傾山來),답중을 지나(經沓中),동쪽으로 흘러 음평을 관통하여 한수현에 이르러 한수로 들어간다(東流通陰平至漢壽縣入潛)。
22 강주현은 파군에 속한다(江州縣屬巴郡)。
23 상군은 현재 일남이다(象郡今日南也)。심성현은 현재 무릉에 속한다(鐔城縣今屬武陵);音심(尋)。
24 하전현은 현재 장사에 속한다(下雋縣今屬長沙);音작과 연의 반절(昨兗反)。
25 수경(水經)曰:「원수는 장가 차난현에서 나오고(沅水出牂牁且蘭縣),동북쪽은 심성현에 이르러(又東北至鐔城縣),원수가 되었다(為沅水)。동쪽은 임원현 남쪽을 지나고(又東過臨沅縣南),동쪽으로 장사 하전현에 이른다(又東至長沙下雋縣)。」
26 현재 감수는 남강 남야현 서북쪽에서 나온다(今贛水出南康南野縣西北);音감(感)。
27 현재 사수는 노나라 변현에서 나와(今泗水出魯國卞縣),서남쪽은 고평 호륙현에 이르고(西南至高平湖陸縣),동남쪽은 패나라 팽성 하비를 지나 임회 하상현에 리르러 회수로 들어간다(東南經沛國彭城下邳至臨淮下相縣入淮)。
28 音如이습의 이(肄習之肄)。
29 번우현은 남해에 속한다(番禺縣屬南海),월나라 성의 아래다(越之城下也)。
30 상서(書)云:「웅이에서 부터 낙수가 나온다(道洛自熊耳)。」수경 기록에 낙수는 현재 상락 총령산에서 나와(按水經洛水今出上洛冢嶺山),동북쪽은 굉농을 지나 하남 공현에 이르러 황하로 들어간다(東北經宏農至河南鞏縣入河)。성고현 역시 하남에 속한다(成皋縣亦屬河南也)。
31 音유(愈)。
32 현재 분수는 태원 진양 옛 분양현에서 나와(今汾水出太原晉陽故汾陽縣),동남쪽은 진양을 지나고(東南經晉陽),서남쪽은 하서 평양을 지나며(西南經河西平陽),하동 분음에 이르러 황하로 들어간다(至河東汾陰入河)。
33 피씨현은 평양에 속한다(皮氏縣屬平陽)。
34 회현은 하내에 속하고(懷縣屬河內),하내 북쪽에 정형산이 있다(河內北有井陘山)。
35 공과 공은 같다(共與恭同)。
36 절은(絕),절로 추측된다(猶截度也);거록은(鉅鹿),현재 고평에 있다(今在高平)。
37 현재 제수는 형양 권현에서 나오고(今濟水自滎陽卷縣),동쪽은 진류를 지나 잠음 북쪽에 이르고(東經陳留至潛陰北),동북쪽은 고평에 이르며(東北至高平),동북쪽은 제남을 지나 낙안 박창현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東北經濟南至樂安博昌縣入海),현재 갈석이다(今碣石也)。모든 물이 나오는 곳이고(諸水所出),또한 물이 지나는 길이 착오가 있다(又與水經違錯)。무릇 산과 내가 이름은 같으나 다른 종류도 있고(以為凡山川或有同名而異實),이름은 다르나 같은 종류도 있다(或同實而異名),한 종류가 이름이 여러 개이다(或一實而數名), 맞는 것 같으면서도 틀리고(似是而非),틀린 것 같으면서도 맞다(似非而是),또한 세월이 오래되고(且歷代久遠),옛날과 현재가 변해 바뀌었으며(古今變易),초나라 말과 하나라 말이 있어(語有楚夏),부르는 이름이 같이 않아(名號不同),자세하게 알 수 없다(未得詳也)。
38 변방 밖 위고산에서 나온다(出塞外衛皋山)。현토군 고구려현에 요산이 있는데(玄菟高句驪縣有潦山),소요수가 나오는 곳이다(小潦水所出)。서하 남쪽 대요로 들어간다(西河(南)注大潦),音요(遼)。
39 요양현은 요동에 속한다(潦陽縣屬潦東)。
40 하간 낙성을 지나(經河閒樂城),동북쪽은 발해로 들어간다(東北注渤海也)。진양 양곡현은 모도 태원에 속한다(晉陽陽曲縣皆屬太原)。
41 장무는(章武),고을 이름(郡名)。
42 신성 판음현 역시 장수가 있다(新城汴陰縣亦有漳水)。
건평 원년 사월 병술(建平元年四月丙戌),대조 태상의 속신들은 살펴보고 비교하여 수정하였으며(待詔太常屬臣望校治),시중 광록 훈신 공과 시중 봉거 도위 광록 대부 신수는 영주를 살펴보았다(侍中光祿勳臣龔、侍中奉車都尉光祿大夫臣秀領主省)。(학의행(郝懿行)云:「해외와 해내경 여덟 편은(右海外、海內經八篇),모두 사천 이백 이천 여덟 글자다(大凡四千二百二十八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