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차십이경 (中次十二經) 번역

산해경/중산경 2018. 2. 28. 00:00

中次十二經洞庭山之首,曰篇1遇之山,無草木,多黃金。

중차십이경 동정산 산맥의 첫머리를, 편우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황금이 많다.


1 곽박(郭璞)云:「혹은 견이라 쓰여 있다(或作肩)。」


又東南五十里,曰雲山,無草木。

또 동남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운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다.


有桂竹,甚毒,傷人必死。

계죽이 있는데, 독이 심해, 나무에 사람이 다치면 반드시 죽는다.


其上多黃金,其下多㻬琈之玉1。

산 위에 황금이 많고, 산 아래에 서부옥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초학기(初學記)卷二十八引此經云:「운산의 꼭대기는(雲山之上),사실 매우 말랐다(其實乾腊)。」又引곽박(郭)注云:「석건은(腊乾),매화다(梅也)。」현재 경문에 없다(今經無之),빠짐(蓋脫)。


又東南一百三十里,曰龜山,其木多榖柞椆椐,其上多黃金,其下多青雄黃,多扶竹1。

또 동남쪽으로 일백 삼십 리를 가면, 구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닥나무와 상수리나무와 조목과 영수목이 많다, 산 위에 황금이 많고, 산 아래에 청웅황이 많으며, 부죽이 많다.


1 곽박(郭璞)云:「공죽(邛竹也)。마디가 길고 안이 꽉 차있다(高節實中),지팡이(中杖也);부로죽라고도 한다(名之扶老竹)。」


又東七十里,曰丙山,多筀竹1,多黃金銅鐵,無木。

또 동쪽으로 칠십 리를 가면, 병산이라 하는데, 계죽이 많고, 황금과 구리와 쇠가 많으며, 나무가 없다.


1 학의행(郝懿行)云:「계는 계로 바꾸어야 한다(筀亦當為桂),계양 지역에서 자라는 대나무(桂陽所生竹),그런 이유로 이름이 됨(因以為名也)。」


又東南五十里,曰風伯之山1,其上多金玉,其下多痠石2文石,多鐵,其木多柳杻檀楮。

또 동남쪽으로오십 리를 가면, 풍백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산석과 문석이 많으며, 쇠가 많다, 산에 나무는 버드나무와 유목과 박달나무와 닥나무가 많다.


其東有林焉,名曰莽浮之林,多美木鳥獸。

산의 동쪽에 있는 숲은, 이름을 망부림이라 하는데, 아름다운 나무와 새와 짐승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초학기(初學記)卷二十八引此經作봉백산(鳳伯之山),풍과 봉은 옛 책에 한 글자 였다(風、鳳古本一字也)。

2 곽박(郭璞)云:「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 산석의 뜻(痠石之義)。」오임신(吳任臣)云:「산은(痠),소와 관의 반절(蘇官反),音산(酸)。」


又東一百五十里,曰夫夫之山,其上多黃金,其下多青雄黃,其木多桑楮,其草多竹、雞鼓1。

또 동쪽으로 일백 오십 리를 가면, 부부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황금이 많고, 산 아래에 청웅황이 많으며, 산에 나무는 뽕나무와 닥나무가 많고, 산에 풀은 죽초와 계고가 많다.


神于兒居之,其狀人身而身操兩蛇,常遊于江淵,出入有光。

신 우아가 산다, 그 모양이 사람 몸에 두 마리의 뱀을 몸에 둘렀다, 항상 강과 못에서 노닐며, 드나들 때 빛이 난다.


1 필원(畢沅)云:「위에 나온 계곡초는(即上雞穀草),곡과 고는 성조가 비슷하다(穀、鼓聲相近)。」


又東南一百二十里,曰洞庭之山,其上多黃金,其下多銀鐵,其木多柤梨橘櫾,其草多葌蘪蕪1芍藥芎藭。

또 동남쪽으로 일백 이십 리를 가면, 동정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황금이 많고, 산 아래에 은과 쇠가 많으며, 산에 나무는 풀명자나무와 배나무와 귤나무와 유자나무가 많고, 산에 풀은 간과 미무)와 작약과 궁궁이 많다.


帝之二女居之2,是常遊于江淵。

천제의 두 딸이 산다, 이들은 항상 강과 못에서 노닌다.


澧沅之風,交瀟湘之淵,是在九江之閒,出入必以飄風暴雨。

예수와 원수의 바람이, 소수와 상수의 웅덩이에서 만나는데, 이곳은 구강의 사이에 있으며, 드나들 때 반드시 회오리바람과 폭우를 동반한다.


是多怪神,狀如人而載蛇3,左右手操蛇。多怪鳥。

이곳에 괴신이 많은데, 모양이 뱀을 머리에 얹은 사람 같고, 왼손과 오른손에 뱀을 쥐고 있으며, 괴조가 많다.


1 곽박(郭璞)云:「미무는(蘪蕪),맛이 좋은 사상과 비슷하다(似蛇床而香也)。」

2 곽박(郭璞)云:「천제의 두 딸이 강들의 신이 되었다(天帝之二女而處江為神也)。」왕불(汪紱)云:「제의 두 딸은(帝之二女),요임금의 두 딸 아황과 여영을 순임금에게 시집 보냈다(謂堯之二女以妻舜者娥皇女英也)。순임금이 남쪽을 돌아다니다(相傳謂舜南巡狩),창오에서 죽자(崩於蒼梧),두 아내는 울면서 달려가(二妃奔赴哭之),상강에서 뛰어들었다(隕於湘江),그리하여 상수의 신이 되었다고 전해진다(遂為湘水之神),굴원 구가에 나오는 상군과 상부인을 말하는 곳이다(屈原九歌所稱湘君、湘夫人是也)。」원가기록(珂案):요임금의 두 딸이 천제의 두 딸이다(堯之二女即天帝之二女也),옛 신화에 나오는 요임금 역시 천제다(蓋古神話中堯亦天帝也)。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七「소명과 촉광(宵明、燭光)」節注7及卷十三「창오구(蒼梧丘)」節注2。

3 학의행(郝懿行)云:「재 역시 대다(載亦戴也),옛 글자로 두루 쓰임(古字通)。」


又東南一百八十里,曰暴山1,其木多棕柟荊芑竹箭䉋箘2,其上多黃金玉,其下多文石鐵,其獸多麋鹿𪊨3就4。

또 동남쪽으로 일백 팔십 리를 가면, 폭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종려나무와 녹나무와 가시나무와 구기자나무와 대나무와 이대와 미죽과 이대가 많고, 산 위에 황금과 옥이 많으먀, 산 아래에 문석과 쇠가 많다, 산에 짐승은 사불상과 사슴과 큰 노루와 수리가 많다.


1 원가기록(珂案):문선(文選)초료부(鷦鷯賦)注引此經作경산(景山)。

2 곽박(郭璞)云:「균의 이대의 종류(箘亦篠類),나무 화살(中箭);見우공(禹貢)。」

3 원가기록(珂案):𪊨音궤(几),即큰 노루(麂)。

4 곽박(郭璞)云:「취는(就),수리다(鵰也);見광아(廣雅)。」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은 취자 앞에 산에 새가 많다 세 글자를 덧붙여 고쳤다(于就上校增其鳥多三字)。


又東南二百里,曰即公之山1,其上多黃金,其下多㻬琈之玉,其木多柳杻檀桑。

또 동남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즉공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황금이 많고, 산 아래에 서부옥이 많으며, 산에 나무는 버드나무와 유목과 박달나무와 뽕나무가 많다.


有獸焉,其狀如龜,而白身赤首,名曰蛫2,是可以禦火。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거북 같고, 흰 몸에 붉은 머리를 했으며, 이름을 궤라 하는데, 이것을 기르면 화재를 막을 수 있다.


1 원가기록(珂案):사기(史記)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云:「점호혹궤(螹胡豰蛫)。집해(集解)서광(徐廣)曰:「螹音재와 렴의 반절(在廉反), 원숭이와 비슷하고(似猿), 검은 몸(黑身). 豰音호와 곡의 반절(呼谷反). 蛫音궤(詭).」인안(駰案):한서음의(漢書音義)曰「혹은(豰), 흰 여우 새끼다(白狐子也)」. 색은(索隱)참호혹궤(獑胡豰蛫). 장읍(張揖)曰:「참호는 원숭이와 비슷하고(獑胡似獼猴), 머리 위에 갈기가 있다(頭上有髦), 허리 뒤쪽이 검다(腰以後黑).」곽박(郭璞)曰:「혹은 큰 날다람쥐와 비슷하고(豰似鼯而大), 허리 뒤쪽이 누렇다(腰以後黃), 황요라고도 하며(一名黃腰), 원숭이를 먹는다(食獼猴). 혹은(豰), 흰 여우 새끼다(白狐子也). 궤는 듣지 못함(蛫未聞).」 又설문해자(說文)云「참호는 몸이 검고(獑胡黑身), 흰 허리에 白腰若帶, 손에 길고 흰 털이 있다(手有長白毛), 널빤지를 손에 쥐고 있는것 같다(似握板也)」」색은(索隱)재(載)요씨(姚氏)引此經作즉산(即山),공은 없는 글자(無公字);산경이라 쓰여 있고(作山經),해는 없는 글자(無海字)。

2 곽박(郭璞)云:「音궤詭。」


又東南一百五十九里,有堯山,其陰多黃堊,其陽多黃金,其木多荊芑柳檀,其草多藷藇𦬸。

또 동남쪽으로 일백 오십 구 리를 가면, 요산이라 하는데, 산의 북쪽에 누런흙이 많고, 산의 남쪽에 황금이 많으며, 산에 나무는 가시나무와 구기자나무와 버드나무와 박달나무가 많다, 산에 풀은 서서와 삽주가 많다.


又東南一百里,曰江浮之山,其上多銀砥礪,無草木,其獸多豕鹿。

또 동남쪽으로 일백 리를 가면, 강부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은과 고운 숫돌과 거친 숫돌이 많고, 풀과 나무가 없으며, 산에 짐승은 돼지와 사슴이 많다.


又東二百里1,曰真陵之山,其上多黃金,其下多玉,其木多榖柞柳杻,其草多榮草2。

또 동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진릉산이라 하는데, 산 위(上)에 황금(黃金)이 많고, 산 아래에 옥이 많고, 산에 나무는 닥나무와 상수리나무와 버드나무와 유목이 많고, 산에 풀은 영초가 많다.


1 원가기록(珂案):필원(畢沅)校本동자 뒤에 남자가 있다(東下有南字)。

2 원가기록(珂案):영초(榮草)已見上文중산경(中山經)首 고등산(鼓鐙之山)。


又東南一百二十里,曰陽帝之山,多美銅,其木多橿杻檿1楮,其獸多麢麝。

또 동남쪽으로 일백 이십 리를 가면, 양제산이라 하는데, 좋은 구리가 많고, 산에 나무는 강목과 유목과 산뽕나무와 닥나무가 많고, 산에 짐승은 영양과 사향노루가 많다.


1 원가기록(珂案):엄은(檿),산뽕나무(山桑也);音엄(掩)。


又南九十里,曰柴桑之山,其上多銀,其下多碧,多泠石1赭,其木多柳芑楮桑,其獸多麋鹿,多白蛇飛蛇2。

또 남쪽으로 구십 리를 가면, 시상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은이 많고, 산 아래에 벽옥 이 많으며, 영석과 붉은 흙이 많다, 산에 나무는 버드나무와 구기자나무와 닥나무와 뽕나무가 많고, 산에 짐승은 사불상과 사슴이 많고, 흰 뱀과 등사가 많다.


1 원가기록(珂案):영석은 감서으로 바꾸어야 한다(泠石當作汵石),已見上文중차사경(中次四經) 리산(釐山)。

2 곽박(郭璞)云:「즉 등사(即螣蛇),날라서 안개에 오른다(乘霧而飛者)。」원가기록(珂案):한비자(韓非子) 십과편(十過篇)云:「옛날에 황제가 태산 위 서쪽에서 귀신들을 만났는데(昔者黃帝合鬼神於西泰山之上),등사는 땅에 엎드렸다(騰蛇伏地)。」이 등사를 일컫는다(謂此也)。등사라고도 쓴다(一作螣蛇),見이아(爾雅) 석어(釋魚)。


又東二百三十里1,曰榮余之山,其上多銅,其下多銀,其木多柳芑,其蟲2多怪蛇怪蟲。

또 동쪽으로 이백 삼십 리를 가면, 영여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구리가 많고, 산 아래에 은이 많으며, 산에 나무는 버드나무와 구기자나무가 많고, 산에 벌레는 괴사와 괴충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모의(毛扆)本,동자 뒤에 남자가 있다(東下有南字),하작(何焯)、황비열(黃丕烈)、주숙도(周叔弢)校同。

2 학의행(郝懿行)云:「해외남경(海外南經)云,남산인은 벌레는 뱀이 변한 것(南山人以蟲為蛇)。」


凡洞庭山之首,自篇遇之山至于榮余之山,凡十五山,二千八百里。

무릇 동정산 산맥의 첫머리인, 편우산부터 영여산까지, 모두 열다섯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이천 팔백 리에 이른다.


其神狀皆鳥身而龍首。

산의 신들 모습은 모두 용의 머리에 새의 몸이다.


其祠:毛用一雄雞、一牝豚刏1,糈用稌。

산의 제사는:제물은 한 마리 수탉과 한 마리 암퇘지를 잘라 사용하고, 찰벼를 젯메쌀로 쓴다.


凡夫夫之山、即公之山、堯山、陽帝之山皆冢也,其祠:皆肆瘞2,祈用酒,毛用少牢,嬰毛3一吉玉。

부부산과 즉공산과 요산과 양제산은 모두 신선과 귀신이 기거하는 곳이며, 산의 제사는:차려 놓은 모든 제물들을 제터에 묻고, 술을 사용해 산제사를 지낸다, 제물은 양을 통째로 제물로 바치는 소뢰를 사용하고, 길옥 한 개를 신에게 바친다.


洞庭、榮余山神也,其祠:皆肆瘞4,祈酒太牢祠,嬰用圭璧十五,五采惠之5。

동정산과 영여산은 신령이 사는 곳이며, 산의 제사는:모든 차려 놓은 제물들을 제터에 묻고, 술을 올리고 소를 통째로 제물로 바치는 태뢰로 제사를 지낸다, 규옥과 벽옥 열닷섯 개를 신에게 바치며, 다채롭게 꾸민다.


1 곽박(郭璞)云:「기 역시 베고 자르는 것을 말함(刏亦割刺之名)。」

2 곽박(郭璞)云:「사는(肆),차려 놓다(陳之也);제물과 옥을 차려 놓은 다음 제터에 묻는다(陳牲玉而後薶藏之)。」

3 원가기록(珂案):經文영모(嬰毛),강소원(江紹原)亦以為이것은 영용의 잘못된 글자(是嬰用之誤),已見上文。

4 곽박(郭璞)云:「땅에 묻기 전에 차려 놓는다(肆竟然後依前薶之也)。」

5 곽박(郭璞)云:「혜는 꾸미다는 뜻(惠猶飾也);사투리다(方言也)。」학의행(郝懿行)云:「혜의 뜻은 조회의 회와 같다(惠義同藻繪之繪),같은 소리로 임시로 빌린 글자(蓋同聲假借字也)。」


右中經之山志,大凡百九十七山,二萬一千三百七十一里。

중경에 기록된 산을 보면, 모두 일백 구십 칠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이만 일천 삼백 칠십 일 리에 이른다.


大凡天下名山五千三百七十(원가기록(珂案):후한서(後漢書)군국지(郡國志)유소(劉昭)注引此經作名山五千三百五十),居地,大凡六萬四千五十六里。

무릇 온 세상에 이름난 산이 오천 삼백 칠십 개이고, 오천 삼백 오십, 사람이 살고 있는 땅은,  무릇 육만 사천 오십 육 리에 이른다.


禹曰:天下名山,經1五千三百七十山,六萬四千五十六里2,居地也。

우임근이 말했다:온 세상있는 이름난 산을 돌아 나녔는데, 오천 삼백 칠십개의 산과, 육만 사천 오십 육 리에 이르는, 사람이 살고 있는 땅이다.


言其五臧3,蓋其餘小山甚眾,不足記云。

그 다섯 군데를 평가했고, 나머지 작은 산들이 많이 있지만, 충분히 기록하지 못했다.


天地之東西二萬八千里,南北二萬六千里,出水之山者八千里,受水者八千里,出銅之山四百六十七,出鐵之山三千六百九十4。

하늘과 땅의 동쪽에서 서쪽까지 이만 팔천 리에 이르고, 남쪽에서 북쪽까지 이만 육천 리에 이른다, 물이 나오는 산들이 팔천 리에 이르고, 물을 받는 곳이 팔천 리에 이른다, 구리가 나오는 산이 사백 육십 칠 개이고, 철이 나오는 산이 삼천 육백 구십 개이다.


此天地之所分壤樹穀也,戈矛之所發也,刀鎩5之所起也,能者有餘,拙者不足6。

이 세상에 먹을 것을 심을 수 있는 흙이 있고, 창들을 만든 곳이며, 화폐가 만들어진 곳이다, 재능이 있는 사람은 여유가 있고, 어리석은 사람은 넉넉하지 못하다.


封于太山,禪于梁父,七十二家7,得失之數,皆在此內,是謂國用8。

태산의 산정에서 하늘을 제사지내고, 부근의 양보라는 작은 동산에서 땅을 제사지냈다, 일흔두 명의 제사를 지냈다, 얻음과 잃음의 숫자이다, 이러한 모든 것이 안에 있다, 이것을 국용이라 부른다.


1 학의행(郝懿行)云:「경은 우임금이 지나다닌 곳이다(經言禹所經過也)。」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설명(說)맞다(是也),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一篇首注1。

2 원가기록(珂案):유소(劉昭)注군국지(郡國志)引此經作오천 삼백 오십개의 이름난 산과(名山五千三百五十),육만 사천 오십 육 리를 돌아다녔다經六萬四千五十六里。

3 학의행(郝懿行)云:「장은(藏),옛날에 장으로 썼다(古字作臧),재와 랑의 반절(才浪切);한서(漢書)云,산과 바다와 하늘과 땅의 평가(山海天地之臧),이를 근거로 오장아라 일컫는다(故此經稱五臧)。」

4 원가기록(珂案):유소(劉昭)注군국지(郡國志)引此經作삼천 육백 구(三千六百九),십은 없는 글자(無十字);또 앞쪽 문장에 물이 나오는 산들이 팔천 리에 이르고(又上句作出水者八千里),지산 두 글자는 없는 글자(無之山二字)。관자(管子)지수편(地數篇)同。

5 원가기록(珂案):관자(管子)지수편(地數篇)作도폐(刀幣)。화폐(刀錢)

6 원가기록(珂案):유소(劉昭)注군국지(郡國志)作검소하면 여유가 있고(儉則有餘),사치하면 부족하다(奢則不足)。

7 곽박(郭璞)云:「관자(管子)지수(地數)云:『봉선을 하던 왕은(封禪之王),일흔두 명이다(七十二家也)。』원가기록(珂案):이 말은 관중이 제나라 환공의 말에 대답한 것이다(此為管仲對齊桓公之言),우임금의 말이 아니다(非禹言也)。봉(封)이란 옥으로 만든 판에 원문(願文)을 적어, 돌로 만든 상자에 봉하여 하늘 신(天神)에게 비는 일이었고, 선(禪)이란 토단(土壇)을 만들어 땅의 신(地神)에게 비는 일이었다

8 필원(畢沅)云:「이 때부터 하늘과 땅의 베품으로 토양에 나무와 곡식들이 이미 내려 왔고(自此天地之分壤樹穀者已下),주나라와 진나라 사람들은 석어를(當是周秦人釋語),헌 책에 경문이 어지럽게 함부로 들어가는 것(舊本亂入經文)。」학의행(郝懿行)云:「현재 기록에 우임금 말한 부분은(今案自禹曰已下),모두 주나라 사람들이 구전으로 이어온 것이다(蓋皆周人相傳舊語),그런 이유로(故)관자(管子)덧붙여 짐(援入)지수편(地數篇),오장산경의 끝부분에 부분이 더해짐(而校書者附著五臧山經之末)。」


右五臧山經五篇,大凡一萬五千五百三字(학의행(郝懿行)云:현재 이만 일천 이백 육 다섯 글자(今二萬一千二百六十五字))

오장산경 오편을 보면, 모두 일만 오천 오백 세 글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