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차십일경 (中次十一經) 번역

산해경/중산경 2018. 2. 28. 00:00

中次一十一山經1荊山之首,曰翼望之山。

중차십일경 형산 산맥의 첫머리를, 익망산이라 한다.


湍2水出焉,東流注于濟;

여기서 나오는 전수는, 동쪽으로 흘러 제수로 들어간다.


貺3水出焉,東南流注于漢,其中多蛟4

여기서 나오는 황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한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교룡이 많다.


其上多松柏,其下多漆梓,其陽多赤金,其陰多珉。

산 위에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옻나무와 가래나무가 많으며, 산의 남쪽에 적금이 많고, 산의 북쪽에 옥돌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원문에는(原當)作중차십일산(中次一十一山),이 책은 광무제 유수에 이르러 수정되어 기록되었다(迨劉秀校錄此書),원본을 산을 경으로 바꾸어야 한다(始改山為經),또한 고칠 부분이 남아 있다(亦有改而未盡者),산을 경으로 고치는 것이 맞다(即此是也),산과 경 두 글자는 저촉되기 때문에 함께 쓰면 안된다(於是山、經二字乃互相抵觸矣)。오임신(吳任臣)本산자를 뺌(挖去山字),맥락에서 뺀것은(空出一格),두 글자가 저촉되기 때문이다(殆亦已知其為抵觸),그러므로 원문의 기록을 따라서 산자는 남겨두고 경자는 빼야하는지 모르겠다(卻不知去經存山始符原貌也)。설명(說)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一篇시작(首)注1。

2 원가기록(珂案):湍音전(專)。

3 곽박(郭璞)云:「音황(況)。」

4 곽박(郭璞)云:「다리가 네 개 달린 뱀과 비슷하고(似蛇而四腳),작은 머리에 가는 목(小頭細頸),목에 흰 혹이 있다((경(頸))有白癭),큰 놈은 열 아름 정도 되고(大者十數圍),알은 조금 한 돌항아리 같으며(卵如一二石甕),사람을 삼킬 수 있다(能吞人)。」


又東北一百五十里,曰朝歌1之山。

또 동북쪽으로 일백 오십 리를 가면, 조가산이라 한다.


潕2水出焉,東南流注于滎,其中多人魚。

여기서 나오는 무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형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인어가 많다.


其上多梓柟,其獸多麢麋。

산 위에 가래나무와 녹나무가 많고, 산에 짐승은 영양과 사불상이 많다.


有草焉,名曰莽草3,可以毒魚。

여기 있는 풀은, 이름을 망초라 하는데, 이 독으로 물고기를 잡을 수 있다.


1 왕불(汪紱)云:「이 산은 하북 주임금 도읍의 조가가 아니다(此非河北紂都之朝歌)。」원가기록(珂案):上文已조가산(朝歌之山),見중차오경(中次五經)。

2 곽박(郭璞)云:「音무(武)。」

3 왕불(汪紱)云:「망초다(即芒草也)。참억새」원가기록(珂案):망초(芒草)已見上文중차이경(中次二經)간산(葌山)。


又東南二百里,曰帝囷之山1,其陽多㻬琈之玉,其陰多鐵。

또 동남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제균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서부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쇠가 많다.


帝囷之水出于其上,潛于其下,多鳴蛇2。

산 꼭대기에서 제균수가 나오나, 산 바닥에서 사라진다, 명사가 많다.


1 학의행(郝懿行)云:「균(囷),광운(廣韻)引作균(箘)。」

2 원가기록(珂案):명사(鳴蛇)已見上文중차이경(中次二經) 선산(鮮山)。


又東南五十里,曰視山,其上多韭。

또 동남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시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부추가 많다.


有井焉,名曰天井,夏有水,冬竭1。

여기 있는 우물은, 이름을 천정이라 하는데, 여름에는 물이 있고, 겨울에는 말라있다.


其上多桑,多美堊金玉。

산 위에 뽕나무가 많고, 부드러운 흰흙과 금과 옥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중차오경(中次五經)云:「초산의 있는 우물은(超山有井),여름에는 말라있으나 겨울에는 물이 있다(冬有水而夏竭)。」이곳과 반대이다(與此適反)。


又東南二百里,曰前山,其木多櫧1,多柏,其陽多金,其陰多赭。

또 동남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전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종가시나무가 많고, 측백나무가 많으며, 산의 남쪽에 금이 많고, 산의 북쪽에 붉은 흙이 많다.


1 곽박(郭璞)云:「조롱나무 열매와 비슷하고(似柞子),먹을 수 있으며(可食),사시사철 푸르다(冬夏生(청(青)),잘 썩지 않아 집 기둥으로 쓴다(作屋柱難腐);音제(諸),혹은 저라고도 쓴다(或作儲)。」


又東南三百里,曰豐山。

또 동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풍산이라 한다.


有獸焉,其狀如蝯1,赤目、赤喙、黃身,名曰雍和,見則國有大恐。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원숭이 같은데, 붉은 눈과 붉은 주둥이와 누런 몸이며, 이름을 옹화라 한다, 만나면 나라에 큰 공포가 생긴다.


神耕父2處之,常遊清泠之淵,出入有光3,見則其國為敗。

신 경보가 사는 곳이며, 항상 청령연에서 노닐며, 드나들 때 빛이 나고, 만나면 그 나라에 흉년이 든다.


有九鍾焉,是知霜鳴4。

여기에 아홉 개의 쇠북이 있는데, 이것은 서리가 내리면 알아서 울린다.


其上多金,其下多榖柞杻橿。

산 위에 금이 많고, 산 아래에 닥나무와 상수리나무와 유목과 강목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원은 원과 같다(蝯同猿),현재 원자다(即今猿字)。

2 원가기록(珂案):유소(劉昭)注후한서(後漢書)군국지(郡國志)引문선(文選)남도부(南都賦)注云:「경보는(耕父),한귀다(旱鬼也)。가뭄 귀신」其注예의지(禮儀志)引동경부(東京賦)注同,현재 주는 없는 글자(今注並無之)。

3 곽박(郭璞)云:「청령수는 서악부 산 위에 있다(清泠水在西鄂縣山上),신이 올 때 광채가 나서 물이 붉다(神來時水赤有光耀),현재 사당이 있다(今有屋祠之)。」

4 곽박(郭璞)云:「서리가 내리면 종이 울린다(霜降則鍾鳴),그러므로 알게 된다(故言知也)。」학의행(郝懿行)云:「북당서초(北堂書鈔)一百八卷引此經及곽박(郭)注지는 화로 쓰여 있다(知並作和),현재 책에 잘못 쓰여진 글자로 의심(疑今本字形之訛)。」


又東北八百里,曰兔床之山,其陽多鐵,其木多藷藇1,其草多雞穀,其本如雞卵,其味酸甘,食者利于人。

또 동북쪽으로 팔백 리를 가면, 토상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쇠가 많고, 산에 나무는 서서가 많다, 산에 풀은 계곡이 많은데, 그 뿌리는 달걀 같고, 그 맛은 시고 달며, 먹은 사람은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


1 왕불(汪紱)云:「서서는 나무가 아니다(藷藇非木也),이것은 종가시나무와 도토리나무로 의심 되는데(此疑當是櫧芧),서는(芧),작은 밤나무(小栗也)。」


又東六十里,曰皮山,多堊,多赭,其木多松柏。

또 동쪽으로 육십 리를 가면, 피산이라 하는데, 흰흙이 많고, 붉은 흙이 많으며, 산에 나무는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다.


又東六十里,曰瑤碧之山1,其木多梓柟,其陰多青雘,其陽多白金。

또 동쪽으로 육십 리를 가면, 요벽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가래나무와 녹나무가 많고, 산의 북쪽에 질이 좋은 푸른 찰흙이 많고, 산의 남쪽에 백금이 많다.


有鳥焉,其狀如雉,恆食蜚2,名曰鴆3。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꿩 같고, 보통 바퀴벌레를 먹는다, 이름을 짐이라 한다.


1 원가기록(珂案):예문유취(藝文類聚)卷八九引此經요는 요로 쓰여 있다(瑤作搖)。

2 곽박(郭璞)云:「비는(蜚),부반(負盤也);音비(翡)。바퀴벌레」학의행(郝懿行)云:「비(蜚)見이아(爾雅),곽박(郭)注云:『비(蜚),부반(負盤),취충(臭蟲)。빈대』」

3 곽박(郭璞)云:「이것은 새의 한 종류로 고치다(此更一種鳥),짐은 뱀을 먹지 않는다(非食蛇之鴆也)。」원가기록(珂案):짐은 뱀을 먹는다(食蛇鴆)已見上文중차팔경(中次八經)여궤산(女几山)。


又東四十里,曰支離1之山。

또 동쪽으로 사십 리를 가면, 지리산이라 한다.


濟水2出焉,南流注于漢。

여기서 나오는 제수는, 남쪽으로 흘러 한수로 들어간다.


有鳥焉,其名曰嬰勺,其狀如鵲,赤目、赤喙、白身,其尾若勺3,其鳴4自呼。

여기 있는 새는, 그 이름을 영작이라 하는데, 그 모양이 까치 같고, 붉은 눈과 붉은 부리와 흰 몸이며, 그 꼬리는 국자 같다,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多㸲牛,多羬羊。

작우가 많고, 함양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지리(支離),왕념손(王念孫)、손성연(孫星衍)、학의행(郝懿行)並校作공리(攻離)。

2 원가기록(珂案):經文제수(濟水),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並校作육수(淯水)。

3 곽박(郭璞)云:「술을 푸는 구기와 비슷하다(似酒勺形)。」학의행(郝懿行)云:「국자 비슷한 까치 꼬리(鵲尾似勺),그런 이유로 후세에 작미구로 쓰여 있다(故後世作鵲尾勺),이에 근거한다(本此)。」

4 원가기록(珂案):經文호(鳴),오관(吳寬) 초본(抄本)作명(名)。


又東北五十里,曰祑𥮐1之山,其上多松柏机柏2。

또 동북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질조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소나무와 측백나무와 무환자나무가 많다.


1 곽박(郭璞)云:「音조(彫)。」

2 원가기록(珂案):經文궤백(机柏),송본(宋本)作궤환(机桓),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亦並校作궤환(机桓),云即무환자나무(無患子),이것으로 옷을 빨면 때를 지울 수 있다(可以浣衣去垢)。


又西北一百里,曰堇理之山,其上多松柏,多美梓,其陰多丹雘,多金,其獸多豹虎。

또 서북쪽으로 일백 리를 가면, 근리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고, 맛있는 가래나무가 많으며, 산의 북쪽에 질이 좋은 붉은 찰흙이 많고, 금이 많다, 산에 짐승은 표범과 범이 많다.


有鳥焉,其狀如鵲,青身白喙,白目白尾,名曰青耕,可以禦疫,其鳴自叫。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까치 같고, 푸른 몸에 흰 부리이며, 흰 눈에 흰 꼬리이다, 이름을 청경이라 하는데, 이것을 기르면 전염병을 막을 수 있다, 울음소리에 따라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又東南三十里,曰依軲1之山,其上多杻橿,多苴2。

또 동남쪽으로 삼십 리를 가면, 의고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유목와 강목이 많고, 저목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犬,虎爪有甲,其名曰獜3,善駚𤘝4,食者不風5。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개 같은데, 범 발톱에 딱지가 있고, 그 이름을 린이라 하하며, 뛰어올라 부딪히는 것을 좋아한다, 먹은 사람은 중풍에 안 걸린다.


1 곽박(郭璞)云:「音고(枯)。」

2 곽박(郭璞)云:「모름(未詳);音저(葅)。」학의행(郝懿行)云:「모든 경문에 있는 산에 나무는 저목이 많다는(經內皆云其木多苴),저자는 조자를 임시로 빌려쓴 것으로 의심(疑苴即柤之假借字也);조를 빌려 저로 바꿈(柤之借為苴),이는 기를 빌려 기로 바꾼 것과 같다(亦如杞之借為芑矣)。」

3 곽박(郭璞)云:「몸에 비늘 껍떼기가 있다(言體有鱗甲);音린(吝)。」

4 곽박(郭璞)云:「위로 뛰어 땅에 몸을 부딪친다(跳躍自撲也);앙분(鞅奮)兩音。」

5 곽박(郭璞)云:「천풍을 두려워 하지 않는다(不畏天風)。」왕불(汪紱)云:「혹은 중풍에 걸리지 않는다(或云無風疾也)。」


又東南三十五里曰即谷之山,多美玉,多玄豹1,多閭麈,多麢㚟。

또 동남쪽으로 삼십 오 리를 가면, 즉곡산이라 하는데, 아름다운 옥이 많고, 검은 표범이 많고, 염소과 큰 사슴이 많으며, 영양과 작이 많다.


其陽多珉,其陰多青雘。

산의 남쪽에 옥돌이 많고, 산의 북쪽에 질이 좋은 푸른 찰흙이 많다.


1 곽박(郭璞)云:「검은 표범(黑豹也),현재 형주의 산속에서 검은 범이 나온다(即今荊州山中出(之)黑虎也)。」


又東南四十里,曰雞山,其上多美梓,多桑,其草多韭。

또 동남쪽으로 사십 리를 가면, 계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맛있는 가래나무가 많고, 뽕나무가 많으며, 산에 풀은 부추가 많다.


又東南五十里,曰高前之山。

또 동남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고전산이라 한다.


其上有水焉,甚寒而清1,帝臺之漿2也,飲之者不心痛。

산 위에 물이 있는데, 맑고 아주 차가우며, 신 제대의 마실 것이다, 마신 사람은 가슴 아픈 것이 안 생긴다.


其上有金,其下有赭。

산 위에 금이 있고, 산 아래에 붉은 흙이 있다.


1 곽박(郭璞)云:「혹은 잠으로 쓰여 있다(或作潛)。」

2 원가기록(珂案):經文제대의 즙(帝臺之漿),예문유취(藝文類聚)卷八引즙 다음에 수자가 있을 것으로 의심(漿下有水字),태평어람(太平御覽)卷五九同。중차칠경(中次七經)휴여산(休與之山)제대의 바둑돌이 있다(有帝臺之棋),제대의 바둑돌은 온갖 신들에게 기도를 하기 위한 장소(為帝臺所以禱百神者);또 고종산에 있다(又有鼓鍾之山),제대가 온갖 신들과 잔치를 벌이는 곳(為帝臺所以觴百神者),제대는(則帝臺者),한 지역을 다스리는 작은 천제고(蓋治理一方之小天帝),사람 서언왕 같은 부류가 맞다(猶人間徐偃王之類是也)。진서(晉書)속석전(束皙傳)云:「목천자전(穆天子傳)五篇,주나라 목왕이 서해로 놀러 갔는데(言周穆王遊行四海),제대와 서왕모를 보았다(見帝臺、西王母)。」현재 목천자전에 제대의 기록이 없다(今本穆傳已無帝臺事),한쪽 부분이 사라져 없어짐(蓋闕佚也)。


又東南三十里,曰游戲之山,多杻橿榖,多玉,多封石。

또 동남쪽으로 삼십 리를 가면, 유희산이라 하는데, 유목과 강목과 닥나무가 많고, 옥이 많으며, 봉석이 많다.


又東南三十五里,曰從山,其上多松柏,其下多竹。

또 동남쪽으로 삼십 오 리를 가면, 종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대나무가 많다.


從水出于其上,潛于其下,其中多三足鱉,枝尾1,食之無蠱疫2。

산 꼭대기에서 종수가 나오나, 산 바닥에서 사라진다, 물안에 삼족별이 많은데, 꼬리는 나뭇가지이고, 먹으면 치매가 없어진다.


1 곽박(郭璞)云:「세 발 자라의 이름은 내다(三足鱉名能),見이아(爾雅)。」

2 왕념손(王念孫)云:「낙마산에 있는 그 나라에 전염병이 창궐한다가 때문에 역자를 잘못씀(疫字因下文其國大疫而誤),질으로 바꾸어야 한다(當為疾);소실산(上文)云,큰 잉어를 먹으면 정신병이 없어 진다(䱱魚食之無蠱疾)。」원가기록(珂案):큰 잉어(䱱魚)已見중차칠경(中次七經) 소실산(少室之山)。


又東南三十里,曰嬰䃌1之山,其上多松柏,其下多梓櫄2。

또 동남쪽으로 삼십 리를 가면, 영진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가래나무와 참죽나무가 많다.


1 곽박(郭璞)云:「音진(真)。」

2 학의행(郝懿行)云:「춘은 춘자다(櫄即杶字),見설문해자(說文)。」


又東南三十里,曰畢山。

또 동남쪽으로 삼십 리를 가면, 필산이라 한다.


帝苑之水出焉,東北流注于視1,其中多水玉,多蛟。

여기서 나오는 제원수는, 동북쪽으로 흘러 시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수정이 많으며, 교룡이 많다.


其上多㻬琈之玉。

산 위에 서부옥이 많다.


1 왕불(汪紱)云:「시는 친으로 바꿔야 한다(視當作瀙),현재 남양과 여영 사이에 친수가 있다(今南陽汝寧間有瀙水)。」


又東南二十里,曰樂馬之山。

또 동남쪽으로 이십 리를 가면, 낙마산이라 한다.


有獸焉,其狀如彙1,赤如丹火,其名曰𤟑2,見則其國大疫。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고슴도치 같고, 불꽃 같이 붉으며, 그 이름을 려이라 하는데, 만나면 그 나라에 전염병이 창궐한다.


1 오임신(吳任臣)云:「휘는(彙),고슴도치다(蝟鼠也)。」

2 곽박(郭璞)云:「音려(戾)。」


又東南二十五里,曰葴1山,視水出焉2,東南流注于汝水,其中多人魚,多蛟,多頡3。

또 동남쪽으로 이십 오 리를 가면, 함산이라 하는데, 여기서 나오는 시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여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인어가 많고, 교룡이 많으며, 힐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葴音함(緘)。

2 곽박(郭璞)云:「혹은 시를 친으로 바꾸어야 한다(或曰視宜為瀙),친수는 현재 남양에 있다(瀙水今在南陽也)。」

3 곽박(郭璞)云:「푸른 개 같다(如青狗)。」


又東四十里,曰嬰山,其下多青雘,其上多金玉。

또 동쪽으로 사십 리를 가면, 영산이라 하는데, 산 아래에 질이 좋은 푸른 찰흙이 많고, 산 위에 금과 옥이 많다.


又東三十里,曰虎首之山,多苴椆1椐。

또 동쪽으로 삼십 리를 가면, 호수산이라 하는데, 저목과 조목과 영수목이 많다.


1 곽박(郭璞)云:「조는(椆),모름(未詳)也;音조(彫)。」학의행(郝懿行)云:「유편(類篇)云:『조목은 추워도 시들지 않는다(椆寒而不凋)。』」


又東二十里,曰嬰矦之山,其上多封石,其下多赤錫。

또 동쪽으로 이십 리를 가면, 영후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봉석이 많고, 산 아래에 붉은 주석이 많다.


又東五十里,曰大孰之山。

또 동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대숙산(大孰之山)이라 한다.


殺水出焉,東北流注于視水1,其中多白堊。

여기서 나오는 살수는, 동북쪽으로 흘러 시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흰흙이 많다.


1 학의행(郝懿行)云:「시는 친으로 바꾸어야 한다(視當為瀙)。수경(水經)注云:『친수는 동북쪽으로(瀙水又東北),살수는 대숙산 서남쪽에서 나와(殺水出西南大孰之山),동북쪽으로 흘러 친수로 들어간다(東北流注於瀙)。』」


又東四十里,曰卑山,其上多桃李苴梓,多纍1。

또 동쪽으로 사십 리를 가면, 비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복숭아나무와 오얏나무와 저목과 가래나무가 많고, 뢰가 많다。


1 곽박(郭璞)云:「현재 호랑이콩이나 너구리콩 종류(今虎豆貍豆之屬);뢰는 등이라고도 한다(纍一名縢),音뢰(誄)。강낭콩 종류」


又東三十里,曰倚帝之山,其上多玉,其下多金。

또 동쪽으로 삼십 리를 가면, 의제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금이 많다.


有獸焉,狀如鼣鼠1,白耳白喙,名曰狙1如,見則其國有大兵。

여기 있는 짐승은, 모양이 폐서 같고, 흰 귀에 흰 주둥이이고, 이름을 저여이라 하는데, 만나면 그 나라에 큰 전쟁이 난다.


1 곽박(郭璞)云:「이아(爾雅)설명(說)열세 종류의 쥐가 있는데(鼠有十三種),그 종류 중 이 쥐가 있다(中有此鼠),형태는(形)所모름(未詳)也。音구폐의 폐(狗吠之吠)。」

2 왕불(汪紱)云:「狙音저(蛆)。」


又東三十里,曰鯢山,鯢水出于其上,潛于其下,其中多美堊。

또 동쪽으로 삼십 리를 가면, 예산이라 하는데, 산 꼭대기에서 예수가 나오나, 산 바닥에서 사라진다, 물안에 부드러운 흰흙이 많다.


其上多金,其下多青雘。

산 위에 금이 많고, 산 아래에 질이 좋은 푸른 찰흙이 많다.


又東三十里,曰雅山。

또 동쪽으로 삼십 리를 가면, 아산이라 한다.


澧水出焉,東流注于視水,其中多大魚。

여기서 나오는 례수는, 동쪽으로 흘러 시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큰 물고기가 많다.


其上多美桑,其下多苴,多赤金。

산 위에 맛있는 뽕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저목이 많으며, 적금이 많다.


又東五十五里,曰宣山。

또 동쪽으로 오십 오 리를 가면, 선산이라 한다.


淪水出焉,東南流注于視水1,其中多蛟。

여기서 나오는 윤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시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교룡이 많다.


其上有桑焉,大五十尺2,其枝四衢3,其葉大尺餘,赤理黃華4青柎,名曰帝女之桑5。

산 위에 있는 뽕나무는, 크기가 오십 척이고, 나뭇가지는 사방으로 뻗어 있으며, 그 잎은 크기가 한 척이 넘는다, 붉은 나무결에 누런 꽃이 피며 꽃받침이 푸르다, 이름을 제녀상이라 한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오십 오 리(五十五里),송본(宋本)、모의(毛扆)本均뒤에 오자가 없다(無下五字)。經文시수(視水),학의행(郝懿行)校친수로 바꾸어야 한다(仍當作瀙水)。

2 곽박(郭璞)云:「둘레가 오 장이다(圍五丈也)。」

3 곽박(郭璞)云:「가지가 서로 엇걸려 여러 곳으로 뻗다(言枝交互四出)。」

4 원가기록(珂案):經文누런 꽃(黃華),예문유취(藝文類聚)卷八十八引作푸른 꽃(青華),태평어람(太平御覽)卷九五五引作푸른 잎(青葉)。

5 곽박(郭璞)云:「누에의 임자가 아낙네여서(婦女主蠶),상이 되었다(故以名桑)。」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九二一引광이기(廣異記)云:「남방 적제딸은 신선이 되는 도를 배웠는데(南方赤帝女學道得仙),남양 악산의 뽕나무 위에서만 살아서(居南陽崿山桑樹上),적제가 나무를 불태웠고(赤帝以火焚之),딸은 하늘로 올라갔다(女即升天),그런 이류로 이름이 제녀상이 됨(因名曰帝女桑)。」필원(畢沅)云:「기록(案)수경(水經)注,선산은 지금 하남 필양현의 경계인데((선(宣))山在今河南泌陽縣界),현재 이름이 없다(今失名)。」비양현은(泌陽縣),한나라 때 비양현으로 불렸고(漢時稱比陽縣),남양군에 속한다(屬南陽郡),즉 선산이 악산이였을 것이다(則宣山即崿山矣),선산 제녀상이 악산 제녀상이다(宣山帝女之桑即崿山帝女桑也)。적제의 딸은 뽕나무에 살다 불에 타 하늘에 올랐다(赤帝女居此桑火焚升天),뽕나무에 제녀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이다(故桑以帝女而名),곽박(郭)풀이(釋)以「부녀주잠(婦女主蠶)」云云,끝까지 뜻을 쓰지 않았다(殊未諦也)。


又東四十五里,曰衡山1,其上多青雘,多桑,其鳥多鸜鵒。

또 동쪽으로 사십 오 리를 가면, 형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질이 좋은 푸른 찰흙이 많고, 뽕나무가 많으며, 산에 새는 구관조가 많다.


1 곽박(郭璞)云:「현재 형산은 형양 상남현에 있다(今衡山在衡陽湘南縣),남악이다(南嶽也),떠도는 말로 구루산이라고 한다(俗謂之岣嶁山)。」원가기록(珂案):이 형산은 남악 형산이 아니다(此衡山非南嶽衡山),곽박(郭)注남악 형산이 되어야 한다(以為即南嶽衡山),잃어버리다(失之),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三「삼천자도산(三天子之都山)」節注1。


又東四十里,曰豐山1,其上多封石,其木多桑,多羊桃,狀如桃而方莖2,可以為皮張3。

또 동쪽으로 사십 리를 가면, 풍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봉석이 많고, 산에 나무는 뽕나무가 많고, 참다래나무가 많은데, 모양이 줄기가 네모난 복숭아나무 같다, 피부의 종기를 치료 할 수 있다.


1 원가기록(珂案):上文已有풍산(豐山),이 산까지 산기슭이 이어져 있고 하나의 산이 나누어 진 것이다(此山蓋與連麓而別一山),같은 산이 아니다(非重出也)。

2 곽박(郭璞)云:「귀도라고도 한다(一名鬼桃)。참다래다」

3 곽박(郭璞)云:「피부 종기를 고친다(治皮腫起)。」


又東七十里,曰嫗山,其上多美玉,其下多金,其草多雞穀。

또 동쪽으로 칠십 리를 가면, 구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아름다운 옥이 많고, 산 아래에 금이 많으며, 산에 풀은 계곡이 많다.


又東三十里,曰鮮山,其木多楢杻苴,其草多𧄸冬,其陽多金,其陰多鐵。

또 동쪽으로 삼십 리를 가면, 선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졸참나무와 유목과 저목이 많고, 산에 풀은 맥문동이 많으며, 산의 남쪽에 금이 많고, 산의 북쪽에 쇠가 많다.


有獸焉,其狀如膜大1,赤喙、赤目、白尾,見則其邑有火2,名曰𤝻即3。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서쪽 사막의 사나운 개 같고, 붉은 주둥이와 붉은 눈과 흰 꼬리를 했다, 만나면 그 마을에 불이 난다, 이름을 이즉이라 한다.


1 학의행(郝懿行)云:「대는 견자를 잘못 쓴 글자(大當為犬字之訛),광운(廣韻)作견(犬),증거가 된다(可證)。막견은(膜犬者),서막의 개인데(即西膜之犬),현재 그 개는 크고 거대하며 털이 두텁다(今其犬高大濃毛),매우 거칠고 사나우며 힘이 세다(猛悍多力也)。사자개」

2 학의행(郝懿行)云:「광운(廣韻)설명(說)이가 나타나면 큰 전쟁이 난다(𤝻即出則大兵)。」

3 곽박(郭璞)云:「音이(移)。」


又東三十里,曰章山1,其陽多金,其陰多美石。

또 동쪽으로 삼십 리를 가면, 장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금이 많고, 산의 북쪽에 아름다운 돌이 많다.


皋水出焉,東流注于澧水,其中多[月色]石2。

여기서 나오는 고수는, 동쪽으로 흘러 례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취석이 많다.


1 곽박(郭璞)云:「혹은 동산으로 쓴다(或作童山)。」학의행(郝懿行)云:「경문의 장산은 고산으로 바꾸어야 한다(經章山當為皋山),주석의 동산을 장산으로 바꾸어야 한다(注童山當為章山),글자의 형태가 잘못됨(並字形之訛也)。見수경(水經)注。」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校同학의행(郝)注。

2 곽박(郭璞)云:「듣지 못함(未聞)。」원가기록(珂案):[月色],俗作脆;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취는([月色]),작고 가늘어 쉬이 부러진다(小耎易斷也)。』이 돌은 가늘고 얇아 쉬이 부서진다(此石耎薄易碎),그런 이유로 이름이 되었다(故以名焉)。」


又東二十五里,曰大支之山,其陽多金,其木多榖柞,無草木1。

또 동쪽으로 이십 오 리를 가면, 다지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금이 많고, 산에 나무는 닥나무와 상수리나무가 많으며, 산에 풀과 나무가 없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풀과 나무가 없다(無草木),송본(宋本)、모의(毛扆)本均止作풀이 없다(無草),하작(何焯)校亦목자는 덧붙인 글자(衍木字),학의행(郝懿行)校同:목자는 덧붙인게 확실하다(木字實衍)。


又東五十里,曰區吳之山,其木多苴。

또 동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구오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저목이 많다.


又東五十里,曰聲匈之山,其木多榖,多玉,上多封石。

또 동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성흉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닥나무가 많고, 옥이 많으며, 산 위에 봉석이 많다.


又東五十里,曰大騩之山1,其陽多赤金,其陰多砥石。

또 동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대귀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적금이 많고, 산의 북쪽에 고운 숫돌이 많다.


1 곽박(郭璞)云:「上已이 산이 있는데(有此山),이름이 같은 것으로 의심(疑同名)。」원가기록(珂案):대귀산(大騩山)已見중차필경(中次七經)。


又東十里,曰踵臼之山,無草木。

또 동쪽으로 십 리를 가면, 종구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다.


又東北七十里,曰歷1石之山,其木多荊芑,其陽多黃金,其陰多砥石。

또 동북쪽으로 칠십 리를 가면, 역석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가시나무와 구기자나무가 많고, 산의 남쪽에 황금이 많고, 산의 북쪽에 고운 숫돌이 많다.


有獸焉,其狀如貍,而白首虎爪,名曰梁渠,見則其國有大兵。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너구리 같고, 흰 머리에 범 발톱이며, 이름을 양거라 한다, 만나면 그 나라에 큰 전쟁이 난다.


1 곽박(郭璞)云:「혹은 마로 쓴다(或作磨)。」


又東南一百里,曰求山。

또 동남쪽으로 일백 리를 가면, 구산이라 한다.


求水出于其上,潛于其下,中有美赭。

산 꼭대기에서 구수가 나오나, 산 바닥에서 사라진다, 물안에 부드러운 붉은 흙이 있다.


其木多苴,多䉋1。

산에 나무는 저목이 많고, 미죽이 많다.


其陽多金,其陰多鐵。

산의 남쪽에 금이 많고, 산의 북쪽에 쇠가 많다.


1 곽박(郭璞)云:「조릿대의 종류(篠屬)。」학의행(郝懿行)云:「조릿대(篠),이대(箭),見이아(爾雅)。又중차십이경(中次十二經)云:『폭산에 대나무와 이대와 미죽과 이대가 많다(暴山多竹箭䉋箘)。』이 미죽도 이대의 종류(是䉋亦箘屬),나무 화살(中箭也)。」


又東二百里,曰丑陽之山,其上多椆椐。

또 동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축양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조목과 영수목이 많다.


有鳥焉,其狀如烏而赤足,名曰䳅鵌1,可以禦火。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발이 붉은 까마귀 같고, 이름을 지도라 한다, 이것을 기르면 화재를 막을 수 있다.


1 원가기록(珂案):䳅鵌音지도(枳徒)。송본(宋本)、모의(毛扆)本、왕불(汪紱)本並作지여(䳅餘)。


又東三百里,曰奧山,其上多柏杻橿,其陽多㻬琈之玉。

또 동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오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측백나무와 유목과 강목이 많고, 산의 남쪽에 서부옥이 많다.


奧水出焉,東流注于視水。

여기서 나오는 오수는, 동쪽으로 흘러 시수로 들어간다.


又東三十五里,曰服山,其木多苴,其上多封石,其下多赤錫。

또 동쪽으로 삼십 오 리를 가면, 복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저목이 많고, 산 위에 봉석이 많으며, 산 아래에 붉은 주석이 많다.


又東百十里1,曰杳山,其上多嘉榮草,多金玉。

또 동쪽으로 일백 일십 리를 가면, 묘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가영초가 많고, 금과 옥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백 십 리(百十里),송본(宋本)、오관(吳寬)초본(抄本)、모의(毛扆)本、왕불(汪紱)本、오임신(吳任臣)本、필원(畢沅)校本並作삼백 리(三百里)。


又東三百五十里,曰几山,其木多楢檀杻,其草多香1。

또 동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궤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졸참나무와 박달나무와 유목이 많고, 산에 풀은 향초가 많다.


有獸焉,其狀如彘,黃身、白頭、白尾,名曰聞𧲂2,見則天下大風。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멧돼지 같고, 누런 몸과 흰 머리와 흰 꼬리를 했으며, 이름을 문린이라 하는데, 만나면 온 세상에 큰 바람이 분다.


1 학의행(郝懿行)云:「풀은 향초가 많다(草多香者),동정산에 작약과 미무와 궁궁의 종류가 많다와 같다(即如下文洞庭之山草多葌蘼蕪芍藥芎藭之屬也)。」

2 곽박(郭璞)云:「音린(鄰);린은 령으로도 쓴다(𧲂亦作粼),音령(瓴)。」


凡荊山之首,自翼望之山至于几山,凡四十八山,三千七百三十二里。

무릇 형산 산맥의 첫머리인, 익망산부터 궤산까지, 모두 마흔열덟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삼천 칠백 삼십 이 리에 이른다.


其神狀皆彘身人首。

그 신의 모습은 모두 멧돼지 몸에 사람 머리이다.


其祠:毛用一雄雞祈1,瘞用一珪,糈用五種之精2。

산의 제사:제물은 한 마리 수탉을 사용해 산제사를 올리고, 서옥 한 개를 사용해 제터에 묻는다, 다섯 종류의 쌀을 젯메쌀로 사용한다.


禾山3帝也,其祠:太牢之具,羞瘞,倒毛4;

화산은 천제가 사는 곳이며, 산의 제사는:소를 통째로 제물로 바치는 태뢰를 갖추고, 제사에 쓰는 음식과, 희생물을 뒤집어 제터에 묻는다. 


用一璧,牛無常5。

한 개의 벽옥을 사용하며, 소는 없어도 된다.


堵山、玉山冢也6,皆倒祠7,羞毛少牢,嬰毛吉玉8。

도산과 옥산은 신선과 귀신이 기거하는 곳이다, 모든 제물은 뒤집고, 제사에 바치는 제물은 양을 통째로 제물로 바치는 소뢰로 하며, 길옥을 신에게 바친다.


1 학의행(郝懿行)云:「기는 기로 바꾸어야 한다(祈當為𧗓)。」

2 곽박(郭璞)云:「맛이 좋은 다섯 가지 곡식을 준비한다(備五穀之美者)。」원가기록(珂案):다섯 가지 쌀로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을 일컫는다(謂用五種精米以祀神);중차십경(中次十經)末云:「젯메쌀은 다섯 가지의 쌀을 사용한다(糈用五種之糈)。」이 정자는 정자의 잘못된 글자다(此精字或是糈字之訛)。

3 학의행(郝懿行)云:「중차십일경에는 화산이 없다(上文無禾山),혹은 제균산의 빠진 글귀(或云帝囷山之脫文),혹은 구산의 잘못된 글(或云求山之誤文)。」

4 곽박(郭璞)云:「제사에 쓰는 음식과 산 제물을 땅에 묻는다(薦羞反倒牲薶之也)。」

5 왕불(汪紱)云:「제물의 준비가 필요 없다(不必犧牷具也)。」

6 학의행(郝懿行)云:「도산(堵山)見중차십경(中次十經),옥산(玉山)見중차팔경과 중차구경(中次八、九經),이 경문에도 이 두 산이 없다(此經都無此二山),어는 글자가 잘못된 글자인지 확실하지 않다(未審何字之訛)。」

7 학의행(郝懿行)云:「도사는(倒祠),도모를 일컫는다(亦謂倒毛也)。」

8 원가기록(珂案):經文영모길옥(嬰毛吉玉),강소원(江紹原)亦모는 용자의 잘못 쓴 글자(以為毛係用字之訛),已見上文중차팔경(中次八經)말단(末段)注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