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중차팔경 (中次八經) 번역
中次八經荊山之首,曰景山,其上多金玉,其木多杼1檀。
중차팔경 형산 산맥의 첫머리를 경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에 나무는 상수리나무와 박달나무가 많다.
雎2水出焉,東南流注于江,其中多丹粟,多文魚3。
여기서 나오는 저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장강으로 들어가고, 물안에 단속이 많으며, 문어가 많다.
1 곽박(郭璞)云:「杼音연주의 주(椽柱之柱)。」
2 곽박(郭璞)云:「雎音옹저의 저(癰疽之疽)。」
3 곽박(郭璞)云:「얼룩 무늬가 있다(有斑彩也)。」원가기록(珂案):초사(楚辭)구가(九歌)하백(河伯)云:「흰 자라를 타고 문어를 쫓는다(乘白黿兮逐文魚)。」여기에 나옴(當即此)。
東北百里,曰荊山,其陰多鐵,其陽多赤金,其中多犛牛1,多豹虎,其木多松柏,其草多竹,多橘櫾2。
동북쪽으로 백 리를 가면, 형산이라 하는데, 산의 북쪽에 쇠가 많고, 산의 남쪽에 적금이 많으며, 산속에 리우가 많고, 표범과 범이 많다, 산에 나무는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고, 산에 풀은 죽초가 많으며, 귤나무와 유자나무가 많다.
漳水出焉,而東南流注于雎,其中多黃金,多鮫魚3。
여기서 나오는 장수(漳水)는, 동남쪽으로 흘러 저수(雎)로 들어간다, 그 안(中)에 황금(黃金)이 많고, 상어(鮫魚)가 많다.
其獸多閭麋4。
짐승(獸)은 염소(閭)과 사불상(麋)이 많다.
1 곽박(郭璞)云:「모우 종류(旄牛屬也),검은 빛(黑色),변두리 밖에 나타난다(出西南徼外也);音리(貍),一音래(來)。」
2 곽박(郭璞)云:「유는 큰 귤과 비슷하다(櫾似橘而大也),껍질이 두껍고 맛은 시다(皮厚味酸)。」원가기록(珂案):유는(櫾),본래 유로 쓴다(本字作柚)。황비열(黃丕烈)、주숙도(周叔弢)本云:「귤나무와 유자나무가 많다는 응당 산에 풀은 죽초가 많다 앞에 있어야 한다(多橘櫾並傳十字應在其草多竹上)。」
3 학의행(郝懿行)云:「교어는 현재 사어다(鮫魚即今沙魚)。」
4 원가기록(珂案):經文미(麋),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並校作주(麈);곽박(郭璞)云:「큰 사슴과 비슷하다(似鹿而大也)。」
又東北百五十里,曰驕山,其上多玉,其下多青雘,其木多松柏,多桃枝鉤端1。
또 동북쪽으로 백 오십 리를 가면, 교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질이 좋은 푸른 찰흙이 많으며, 산에 나무는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고, 도지죽과 구단죽이 많다.
神鼉圍2處之,其狀如人面3,羊角虎爪,恆遊于雎漳之淵,出入有光。
신 타위가 사는 곳이다, 그 모양이 사람 얼굴 같고, 양 뿔과 범 발톱이 있으며, 항시 저수와 장수의 웅덩이에서 노닐며, 드나들 때 빛이 난다.
1 원가기록(珂案):도지(桃枝)구단(鉤端)已見上文서산경(西山經) 파총산(嶓冢之山)。
2 왕불(汪紱)云:「𧕦音타(駝)。」
3 학의행(郝懿行)云:「광운(廣韻)타자(𧕦字)풀이책(注本)此文,면은 없는 글자(無面字)。」원가기록(珂案):經文면은(面),이자의 잘못된 글자로 의심(疑是而字之誤),다음 나오는 것으로 읽어(屬下讀)。곽박(郭璞)注해외동경(海外東經)모민국(毛民國)云:「사람들 키가 작고 몸이 작으며(為人短小),온몸에 털이 있다(而體盡有毛)。」송본(宋本)、모의(毛扆)本、필원(畢沅)校本、백자전서(百子全書)本、오임신(吳任臣)本면이 쓰여 있는 것이(而俱作面),증거가 된다(可證)。
又東北百二十里,曰女几之山,其上多玉,其下多黃金,其獸多豹虎,多閭麋麖麂1,其鳥多白鷮2,多翟,多鴆3。
또 동북쪽으로 백 이십 리를 가면, 여궤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황금이 많으며, 산에 짐승은 표범과 범이 많고, 염소과 사불상과 말코손바닥사슴과 짖는사슴이 많고, 산에 새은 긴꽁지흰꿩이 많고, 꽁지가 긴 꿩이 많고, 짐이 많다.
1 곽박(郭璞)云:「궤는 큰 노루와 비슷하고(麂似獐而大),사자개 털(猥(노(㺜))毛),표범 다리(豹(구(狗))腳);音궤(几)。」
2 곽박(郭璞)云:「교는 긴 꼬리가 난 꽁과 비슷하고(鷮似雉而長尾),달리며 운다(走且鳴);音교(驕)。」
3 곽박(郭璞)云:「짐의 크기는 독수리 같고(鴆大如鵰),자줓빛 녹색(紫綠色),목이 길고 부리가 붉다(長頸赤喙),살무사 머리를 먹는다(食蝮蛇頭);수컷의 이름은 운일이고(雄名運日),암컷의 이름은 음해다(雌名陰諧也)。」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짐은(鴆),독이 있는 새(毒鳥也)。』몸에 독이 있어(體有毒),옛 사람들은 짐독이라 했다(古人謂之鴆毒)。」
又東北二百里,曰宜諸之山,其上多金玉,其下多青雘。
또 동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의제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질이 좋은 푸른 찰흙이 많다.
洈水1出焉,而南流注于漳,其中多白玉。
여기서 나오는 궤수는, 남쪽으로 흘러 장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백옥이 많다.
1 곽박(郭璞)云:「音궤(詭)。」
又東北二百里,曰綸山1,其木多梓柟,多桃枝,多柤2栗橘櫾,其獸多閭麈麢㚟3。
또 동북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윤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가래나무와 녹나무가 많고, 도지죽이 많으며, 풀명자나무와 밤나무와 귤나무와 유자나무가 많다, 산에 짐승은 염소과 큰 사슴과 영양과 작이 많다.
1 곽박(郭璞)云:「音윤(倫)。」
2 곽박(郭璞)云:「풀명자나무는 시큼하고 떫은 배나무와 비슷하다(柤似梨而酢濇)。」원가기록(珂案):柤音사(渣);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三「평구의 감사(平丘甘柤)」節注4。
3 곽박(郭璞)云:「작은 사슴 다리를 가진 토끼와 비슷하다(㚟似菟而鹿腳),푸른 빛(青色);音작(綽)。」
又東二百里,曰陸䣀1之山,其上多㻬琈之玉,其下多堊,其木多杻橿。
또 동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육궤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서부옥이 많고, 산 아래에 흰흙이 많으며, 산에 나무는 유목과 강목이 많다.
1 왕불(汪紱)云:「䣀音궤(跪)。」
又東百三十里,曰光山,其上多碧,其下多木1。
또 동쪽으로 백 삼십 리를 가면, 광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벽옥이 많고, 산 아래에 나무가 많다.
神計蒙處之,其狀人身而龍首,恆遊于漳淵,出入必有飄風暴雨。
신 계몽이 사는 곳이다, 그 모양이 용 머리에 사람 몸이다, 항시 장수의 웅덩이에서 노닐며, 드나들 때 반드시 회오리 바람과 폭우가 있다.
1 학의행(郝懿行)云:「목은 수가 잘못된 글자(木疑水字之訛)。」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校亦作수(水),왕불(汪紱)本목자가 수로 고쳐져 있다(木字正作水)。
又東百五十里,曰岐山,其陽多赤金,其陰多白珉1,其上多金玉,其下多青雘,其木多樗。
또 동쪽으로 백 오십 리를 가면, 기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적금이 많고, 산의 북쪽에 흰 옥돌이 많으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질이 좋은 푸른 찰흙이 많다, 산에 나무는 가죽나무가 많다.
神涉𧕦2處之,其狀人身而方面三足。
신 섭타가 사는 곳이다, 그 모양이 네모난 얼굴에 세 개의 발이 있는 사람 몸 이다.
1 곽박(郭璞)云:「옥과 비슷한 돌(石似玉者);音민(旻)。」
2 곽박(郭璞)云:「도와 하의 반절(徒何切);수라고도 쓴다(一作𧔳),소와 유의 반절(笑遊切)。」학의행(郝懿行)云:「수자의 음과 뜻(𧔳字音義)並所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
又東百三十里,曰銅山,其上多金銀鐵1,其木多榖柞柤栗橘櫾,其獸多犳2。
또 동쪽으로 일백 삼십 리를 가면, 동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은과 쇠가 많고, 산에 나무는 닥나무와 상수리나무와 풀명자나무와 밤나무와 귤나무와 유자나무가 많으며, 산에 짐승은 작이 많다.
1 학의행(郝懿行)云:「동산은(銅山),세 가지가 생산되어서 이름이 알려짐(蓋以所產三物得名)。」
2 학의행(郝懿行)云:「작은(犳),혹은 표로도 쓴다(本或作豹),틀림(非)。犳音작(灼),표범 무늬 짐승(豹文獸也);見서차이경(西次二經) 지양산(厎陽之山)。」원가기록(珂案):오임신(吳任臣)本、필원(畢沅)本作표(豹)。
又東北一百里,曰美山,其獸多兕牛,多閭麈,多豕鹿,其上多金,其下多青雘。
또 동북쪽으로 일백 리를 가면, 미산이라 하는데, 산에 짐승은 외뿔소와 소가 많고, 염소과 큰 사슴이 많으며, 돼지와 사슴이 많다, 산 위에 금이 많고, 산 아래에 질이 좋은 푸른 찰흙이 많다.
又東北百里,曰大堯之山,其木多松柏,多梓桑,多机1,其草多竹,其獸多豹虎麢㚟。
또 동북쪽으로 백 리를 가면, 대요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많고, 가래나무와 뽕나무가 많으며, 느티나무가 많다, 산에 풀은 죽초가 많고, 산에 짐승은 표범과 범과 영양과 작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기(机)已見上文북산경(北山經)首단호산(單狐之山)。
又東北三百里,曰靈山,其上多金玉,其下多菁雘,其木多桃李梅杏1。
또 동북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영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질이 좋은 푸른 찰흙이 많으며, 산에 나무는 복숭아나무와 오얏나무와 매화나무와 살구나무가 많다.
1 곽박(郭璞)云:「매화나무는 떫은 살구나무와 비슷하다(梅似杏而酢也)。」
又東北七十里,曰龍山,上多寓木1,其上多碧,其下多赤錫,其草多桃枝鉤端。
또 동북쪽으로 칠십 리를 가면, 용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겨우살이가 많고, 산 위에 벽옥이 많고, 산 아래에 붉은 주석이 많으며, 산에 풀은 도지죽과 구단죽이 많다.
1 곽박(郭璞)云:「혼자 살지 못하고 남에서 빌붙어 삶(寄生也),완동이라고도 함(一名宛童);見이아(爾雅)。」
又東南五十里,曰衡山,上多寓木榖柞,多黃堊白堊。
또 동남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형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겨우살이와 닥나무와 상수리나무가 많고, 누런흙과 흰흙이 많다.
又東南七十里,曰石山,其上多金,其下多青雘,多寓木。
또 동남쪽으로 칠십 리를 가면, 석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이 많고, 산 아래에 질이 좋은 푸른 찰흙이 많으며, 겨우살이가 많다.
又南百二十里,曰若山1,其上多㻬琈之玉,多赭2,多邽石3,多寓木,多柘。
또 남쪽으로 백 이십 리를 가면, 약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서부옥이 많고, 붉은 흙이 많으며, 규석이 많다, 겨우살이가 많고, 산뽕나무가 많다.
1 곽박(郭璞)云:「약은 전이라고도 쓴다(若或作前)。」
2 곽박(郭璞)云:「붉은 흙(赤土)。」
3 곽박(郭璞)云:「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왕념손(王念孫)云:「아래 나온(下文) 호미산(虎尾之山) 규석이 많다(多封石),규와 규 두 글자 중 하나는 반드시 잘못됨(邽、封二字必有一誤);문장에 쓰인 규석은(篇內作邽石者二),규석으로 바뀌어야한다(作封石者六。」원가기록(珂案):이 규석은 규석으로 쓰여야 한다(是邽石當作封石也)。학의행(郝懿行)校同。
又東南一百二十里,曰彘山,多美石,多柘。
또 동남쪽으로 일백 이십 리를 가면, 체산이라 하는데, 아름다운 돌이 많고, 산뽕나무가 많다.
又東南一百五十里,曰玉山,其上多金玉,其下多碧鐵,其木多柏1。
또 동남쪽으로 일백 오십 리를 가면, 옥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벽옥과 쇠가 많다, 산에 나무는 측백나무가 많다.
1 곽박(郭璞)云:「졸참나무로 쓰기도 한다(一作楢)。」
又東南七十里,曰灌山1,其木多檀,多邽石,多白錫。
또 동남쪽으로 칠십 리를 가면, 환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박달나무가 많고, 규석이 많으며, 흰 주석이 많다.
郁水出于其上,潛于其下,其中多砥礪。
산 꼭대기에서 욱수가 나오나, 산 바닥에서 사라진다, 물안에 고운 숫돌과 거친 숫돌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八一二引此經作탁산(濯山)。글에 나온 규석은 응당 규석으로 쓰여야 한다(下文邽石亦應作封石)。
又東北百五十里,曰仁舉之山,其木多榖柞,其陽多赤金,其陰多赭。
또 동북쪽으로 백 오십 리를 가면, 인거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닥나무와 상수리나무가 많고, 산의 남쪽에 적금이 많으며, 산의 북쪽에 붉은 흙이 많다.
又東五十里,曰師每之山,其陽多砥礪,其陰多青雘,其木多柏,多檀,多柘,其草多竹。
또 동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사매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고운 숫돌과 거친 숫돌이 많고, 산의 북쪽에 질이 좋은 푸른 찰흙이 많다, 산에 나무는 측백나무가 많고, 박달나무가 많으며, 산뽕나무가 많다, 산에 풀은 죽초가 많다.
又東南二百里,曰琴鼓之山,其木多榖柞椒柘1,其上多白珉,其下多洗石2,其獸多豕鹿,多白犀,其鳥多鴆。
또 동남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금고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닥나무와 상수리나무와 산초나무와 산뽕나무가 많고, 산 위에 흰 옥돌이 많으며, 산 아래에 세석이 많다, 산에 짐승은 돼지와 사슴이 많고, 흰 무소가 많다, 산에 새는 짐이 많다.
1 곽박(郭璞)云:「산초나무는 뭉쳐나는 작은 나무(椒為樹小而叢生),아래에 풀과 나무가 있으면 독을 쏴 죽인다(下有草木則蠚死)。」
2 원가기록(珂案):세석(洗石)已見上文서산경(西山經)首 전래산(錢來之山)。
凡荊山之首,自景山至琴鼓之山,凡二十三山,二千八百九十里。
무릇 형산 산맥의 첫머리인, 경산부터 금고산까지, 모두 스물세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이천 팔백 구십 리에 이른다.
其神狀皆鳥身而人面。
산의 신들 모습은 모두 사람 얼굴에 몸은 새이다.
其祠:用一雄雞祈瘞1,用一藻圭,糈用稌。
산의 제사는:한 마리 수탉을 사용해 제터에 묻어 산제사를 지내고, 하나의 연옥과 규옥을 사용하며, 찰벼를 젯메쌀로 쓴다.
驕山,冢也,其祠:用羞酒少牢祈瘞,嬰毛2一璧。
교산(驕山)은, 신선과 귀신이 기거하는 곳(冢也)이다, 그곳의 제사는(其祠):먼저 술을 땅에 부어 신에게 올리고(羞酒) 양(羊)을 통째로 제물로 바치는 소뢰(少牢)를 사용해(用) 제터에 묻고(瘞) 산제사(祈)를 지낸다, 벽옥 하나를 신에게 바친다.
1 곽박(郭璞)云:「땅에 묻는 것으로 신에게 기도하여 소원 성취를 빎(禱請已薶之也)。」학의행(郝懿行)云:「기는 기로 바꾸어야 한다(祈當為𧗓)。」원가기록(珂案):기(𧗓)見上文중차사경(中次四經)끝 부분(末段)注1。
2 원가기록(珂案):經文영모(嬰毛),강소원(江紹原) 중국 고대여행의 연구(中國古代旅行之研究)謂當係영용의 잘못됨(嬰用之誤),맞다(是也)。영은 신에게 옥을 바치는 것을 말하며(嬰為以玉獻神之專稱),영용일벽은(嬰用一璧者),한 개의 벽옥을 신이게 바치며 기도를 드린다(以一璧祠祭于神也)。이 근거는(準此),위에 나온 용일조규는(上文用一藻圭),영용일조규로 쓰여야 하는 것으로 의심(亦疑當作嬰用一藻圭),영자가 빠짐(脫嬰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