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차육경(中次六經) 번역

산해경/중산경 2018. 2. 28. 00:00

中次六經縞羝山之首,曰平逢之山,南望伊洛,東望穀城之山1,無草木,無水,多沙石。

중차육경 호저산 산맥의 첫머리를, 평봉산이라 하는데, 남쪽으로 이수와 낙수을 바라보고, 동쪽으로 곡성산을 바라본다, 풀과 나무가 없고, 물이 없으며, 모래와 자갈이 많다.


有神焉,其狀如人而二首,名曰驕蟲2,是為螫蟲3,實惟蜂蜜之廬4。

여기 있는 신은, 그 모양이 머리가 두 개인 사람 같고, 이름을 교충이라 하는데, 이것은 쏘는 벌레들의 우두머리이고, 여기가 바로 벌들의 집이 모인 곳이다.


其祠之:用一雄雞,禳而勿殺5。

산의 제사는:수탉 한 마리를 사용하는데, 재앙을 물리치기 위해 기도를 드리며 수탉을 죽이기 않고 놓아준다.


1 곽박(郭璞)云:「제북 곡성현 서쪽에 있다(在濟北穀城縣西),황석공은 이 산 아래에 있는 돌이다(黃石公石在此山下),장량은 이 돌을 가져와 함께 묻혔다고 한다(張良取以合葬爾)。」원가기록(珂案):곡성산은 현재 산동성 동아현 동북쪽에 있다(穀城山在今山東省東阿縣東北),황산이라고도 한다(一名黃山)。

2 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九五0引此經作교충(嬌蟲)。

3 곽박(郭璞)云:「석충의 우두머리가 되었다(為螫蟲之長)。」

4 곽박(郭璞)云:「벌 떼가 모여 집을 만든 곳(言群蜂之所舍集)。밀 또는(蜜赤(또(亦))봉이라 한다(蜂名)。」

5 왕불(汪紱)云:「양은(禳),재앙을 피하기 위해 드리는 기도(祈禱以去災惡),사람으로 하여금 해하지 못하게 하고(使勿螫人),닭을 즉시 죽이지 않고 놓아준다(其雞則放而勿殺也)。」


西十里,曰縞羝之山,無草木,多金玉。

서쪽으로 십 리를 가면, 호저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又西十里,曰廆1山,其陰多㻬琈之玉。

또 서쪽으로 십 리를 가면, 괴산이라 하는데, 산의 북쪽에 서부옥이 많다.


其西有谷焉,名曰雚谷,其木多柳楮。

산의 서쪽에 있는 골짜기는, 이름을 관곡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버드나무와 닥나무가 많다.


其中有鳥焉,狀如山雞而長尾,赤如丹火而青喙,名曰鴒䳩2,其鳴自呼,服之不眯。

여기 산속에 있는 새는, 모양이 꼬리가 긴 산닭 같고, 푸른 부리에 불꽃 같이 붉으며, 이름을 영요라 하는데,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먹으면 가위눌리지 않는다.


交觴之水出于其陽,而南流注于洛;

산의 남쪽에서 나오는 교상수는, 남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간다.


俞隨之水出于其陰,而北流注于榖水。

산의 북쪽에서 나오는 유수수는, 북쪽으로 흘러 곡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音如괴위의 괴(瓌偉之瓌)。」

2 곽박(郭璞)云:「영요(鈴要)二音。」


又西三十里,曰瞻諸之山,其陽多金,其陰多文石。

또 서쪽으로 삼십 리를 가면, 첨제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금이 많고, 산의 북쪽에 문석이 많다.


㴬1水出焉,而東南流注于洛;

여기서 나오는 사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간다.


少水出其陰2,而東流注于穀水。

산의 북쪽에서 나오는 소수는, 동쪽으로 흘러 곡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音사(謝)。」

2 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校,經文출 다음에 우자가 보태져야 한다(出下應增于字)。


又西三十里,曰婁涿之山,無草木,多金玉。

또 서쪽으로 삼십 리를 가면, 누탁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瞻水出于其陽,而東流注于洛;

산의 남쪽에서 나오는 첨수는, 동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간다.


陂水出于其陰,而北流注于穀水,其中多茈石、文石。

산의 북쪽에서 나오는 피수는, 북쪽으로 흘러 곡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자석과 문석이 많다.


又西四十里,曰白石之山。

또 서쪽으로 사십 리를 가면, 백석산이라 한다.


惠水出于其陽,而南流注于洛,其中多水玉。

산의 남쪽에서 나오는 혜수는, 남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수정이 많다.


澗水出于其陰,西北流注于穀水,其中多麋石、櫨丹1。

산의 북쪽에서 나오는 간수는, 서북쪽으로 흘러 곡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미석과 노단이 많다.


1 곽박(郭璞)云:「모두 들어보지 못함(皆未聞)。」학의행(郝懿行)云:「미석은 서미석일 수도 있다(麋石或是畫眉石),미와 미는 옛날에 같은 글자(眉麋古字通也);노단은 흑단으로 의심(櫨丹疑即黑丹),노와 노도 옛날에 같은 글자(櫨盧通也)。」


又西五十里,曰穀山,其上多穀,其下多桑。

또 서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곡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닥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뽕나무가 많다.


爽水出焉,而西北流注于穀水,其中多碧綠。

여기서 나오는 상수는, 서북쪽으로 흘러 곡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벽록이 많다.


又西七十二里,曰密山,其陽多玉,其陰多鐵。

또 서쪽으로 칠십 이 리를 가면, 밀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쇠가 많다.


豪水出焉,而南流注于洛,其中多旋龜,其狀鳥首而鱉尾,其音如判木1。

여기서 나오는 호수는, 남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선구가 많은데, 그 모양이 자라 꼬리가 달렸고 새 머리를 했다, 그 울음소리는 나무가 쪼개지는 소리 같다.


無草木。

풀과 나무가 없다.


1 원가기록(珂案):선구(旋龜)已見남산경(南山經) 유양산(杻陽之山)。


又西百里,曰長石之山,無草木,多金玉。

또 서쪽으로 백 리를 가면, 장석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其西有谷焉,名曰共谷,多竹。

산의 서쪽에 있는 골짜기는, 이름을 공곡이라 하는데, 대나무가 많다.


共水出焉,西南流注于洛,其中多鳴石1。

여기서 나오는 공수는, 서남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명석이 많다.


1 곽박(郭璞)云:「진나라 혜제 영강 원년(晉永康元年),양양군에서 명석을 진헌 하였는데(襄陽郡上鳴石),옥과 비슷하고(似玉),색은 푸르며(色青),돌을 두드리면 그 소리가 칠십 리까지 퍼졌다(撞之聲聞七八里),이와 같다(即此類也)。」원가기록(珂案):명석은(鳴石),경석의 종류(蓋磬石之類);곽박(郭)說양양군에서 명석을 진헌 하였는데(襄陽郡上鳴石),見진서(晉書) 오행지(五行志)。


又西一百四十里,曰傅山,無草木,多瑤碧。

또 서쪽으로 일백 사십 리를 가면, 부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요벽이 많다.


厭染之水出于其陽,而南流注于洛,其中多人魚1。

산의 남쪽에서 나오는 염염수는, 남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인어가 많다.


其西有林焉,名曰墦2冢。

산의 서쪽에 있는 숲은, 이름을 번총이라 한다.


穀水出焉,而東流注于洛,其中多珚玉3。

여기서 나오는 곡수는, 동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인옥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인어(人魚)已見上文서산경(西山經) 죽산(竹山) 죽수(竹水)、북차삼경(北次三經) 용후산(龍侯山) 결결수(決決水)及중차사경(中次四經) 웅이산(熊耳山)부호수(浮豪水)。

2 곽박(郭璞)云:「音번(番)。」

3 곽박(郭璞)云:「아직 듣지 못함(未聞也);珚音인(堙)。」원가기록(珂案):수경(水經)注곡수(穀水)引此經作군옥(㻒玉),影송본(宋本)태평어람(太平御覽)卷六二引作균옥(𤥳玉);옥편(玉篇)云:「균(㻒),제나라 옥(齊玉),기와 운의 반절(奇殞切)。」인옥은 균옥의 잘못됫 글자(則珚玉蓋𤥳玉之訛也)。


又西五十里,曰橐山,其木多樗1,多𣖾木2,其陽多金玉,其陰多鐵,多蕭3。

또 서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탁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가죽나무가 많고, 붉나무가 많다, 산의 남쪽에 금과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쇠가 많으며, 쑥이 많다.


橐水出焉,而北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탁수는, 북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多脩辟之魚,狀如黽4而白喙,其音如鴟,食之已白癬。

물안에 수벽어가 많은데, 모양이 흰 주둥이를 한 맹꽁이 같고, 그 울음소리는 새매 같다, 먹으면 백선이 낫는다.


1 학의행(郝懿行)云:「저는 노로 바꾸어야 한다(樗當為㭔);설문해자(說文)云:『노목은 타산에서 나온다(㭔木出橐山)。』이렇게 쓰여 있다(謂此也)。」

2 곽박(郭璞)云:「현재 촉나라 안에 비목이 있다(今蜀中有𣖾木),칠팔월에 이삭이 싹트고(七八月中吐穗),여문다(穗成),소금 가루가 쌓여 있는 것 같은 모양에(如有鹽粉著狀),이것으로 신 맛이 나는 국을 끓일 수 있다(可以酢羹);音비(備)。」원가기록(珂案):經文비목(𣖾木),왕념손(王念孫)云:「목은 덧붙인 글자(木字疑衍)。」

3 곽박(郭璞)云:「소와 호는(蕭,蒿);見이아(爾雅)。」학의행(郝懿行)云:「이아(爾雅)云:『소는(蕭),적이다(荻)。』곽박(郭)注云:『쑥이다(即蒿也)。』」

4 곽박(郭璞)云:「맹꽁이는(黽),개구리의 종류(蛙屬也)。」


又西九十里,曰常烝之山,無草木,多堊。

또 서쪽으로 구십 리를 가면, 상증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흰흙이 많다.


潐水1出焉,而東北流注于河,其中多蒼玉。

여기서 나오는 초수는, 동북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가고, 물안에 창옥이 많다.


菑水出焉,而北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치수는, 북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音초(譙)。」


又西九十里,曰夸父之山1,其木多棕柟,多竹箭,其獸多㸲、牛羬羊,其鳥多鷩2,其陽多玉,其陰多鐵。

또 서쪽으로 구십 리를 가면, 과보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종려나무와 녹나무가 많고, 대나무와 이대가 많으며, 산에 짐승은 작우와 함양이 많고, 산에 새는 적별이 많다, 산의 남쪽에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쇠가 많다.


其北有林焉,名曰桃林3,是廣員三百里,其中多馬4。

산의 서쪽에 있는 숲은, 이름을 도림이라 하는데, 이곳은 둘레가 삼백 리에 이르고, 숲 안에 말이 많다.


湖水出焉,而北流注于河,其中多珚玉5。

여기서 나오는 호수는, 북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가고, 물안에 인옥이 많다.


1 학의행(郝懿行)云:「진산이라고도 한다(山一名秦山),태화산과 서로 이어 붙어 있다(與太華相連),현재 하남 영보현 동남쪽에 있다(在今河南靈寶縣東南)。」

2 원가기록(珂案):송본(宋本)별앞에 적자가 있다(鷩上有赤字),하작(何焯)校亦적자가 더해졌다(增赤字)。

3 곽박(郭璞)云:「도림(桃林),현재 굉농 호현 문향 남쪽 골짜기 안이 이곳이다(今宏農湖縣閿鄉南谷中是也);야생마와 산양과 산소가 많이 있다(饒野馬山羊山牛也)。」원가기록(珂案):도임(桃林),필원(畢沅)說即등림(鄧林),이곳은 신화 중에 과보가 버린 지팡이가 자라 숲이 되었다(是神話中夸父棄杖所化而成林者);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三「과보와 해가 달리기를 했다(夸父與日逐走)」節注6。

4 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一五八引此經,말이 만다(多馬) 다음에 조보가 도림에서 얻은 화류와 녹이를 주나라 목왕이 탈 수 있게 헌상 하였다라는 열여섯 글자가 있어야 한다(下尚有造父於其中得驊騮騄耳之乘以獻穆王十六字),혹은 쓸모없는 부분(或係逸落之)곽박(郭)注잘못 들어가 있다(誤入經文也)。

5 원가기록(珂案):인옥은 균옥이라고 바꾸어야 한다(珚玉亦當為㻒玉),已見上文부산(傅山)注3。


又西九十里,曰陽華之山,其陽多金玉,其陰多青雄黃,其草多藷藇,多苦辛1,其狀如橚2,其實如瓜,其味酸甘,食之已瘧。

또 서쪽으로 구십 리를 가면, 양화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금과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청웅황이 많으며, 산에 풀은 서서가 많고, 고신이 많은데, 그 모양이 개오동나무 같고, 고신 열매는 오이 같다, 고신의 맛은 시고 달며, 먹으면 학질이 낫는다.


楊水出焉,而西南流注于洛,其中多人魚。

여기서 나오는 양수는, 서남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인어가 많다.


門水出焉,而東北流注于河,其中多玄䃤3。

여기서 나오는 문수는, 동북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가고, 물안에 검고 고운 숫돌이 많다.


𦁎4姑之水出于其陰,而東流注于門水,其上多銅。

산의 북쪽에서 나오는 자고수는, 동쪽으로 흘러 문수로 들어가고, 산 위에 구리가 많다.


門水出5于河,七百九十里入雒水6。

문수는 황하에서 나와, 칠백 구십 리를 흘러 낙수로 들어간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고신(苦辛),송본(宋本)、오관(吳寬)초본(抄本)、모의(毛扆)本均作고신(苦莘),소은(邵恩)多校本同 고신은 참마。

2 곽박(郭璞)云:「추자다(即楸字也)。」

3 곽박(郭璞)云:「검고 고운 숫돌이 물안에서 나온다(黑砥石生水中)。」

4 곽박(郭璞)云:「𦁎音자(藉)。」

5 원가기록(珂案):經文출(出),송본(宋本)、모의(毛扆)本作지(至)。

6 왕념손(王念孫)云:「문수는 황하에서 나온다는 말은(門水出于河云云),乃곽박(郭)注잘못 쓰였다(誤入)正文,물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황하에서 강이 나오는 이치다(水無出河出江之理),문수는 황하에 이른다가 맞다(作至于是也)。」


凡縞羝山之首,自平逢之山至于陽華之山,凡十四山,七百九十里。

무릇 호저산 산맥의 첫머리인, 평봉산에서 양화산까지, 모두 열네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칠백 구십 리에 이른다.


嶽在其中1,以六月祭之2,如諸嶽之祠法,則天下安寧。

악은 열네 개의 산 중에 있는데, 유월에 제사를 지내고(祭之), 모든 산(諸嶽)의 제사 예법(祠法)은 같다, 제사를 지내면 온 세상(天下)에 걱정이나 탈이 없다(安寧).


1 왕불(汪紱)云:「이 경문에 중악이 없는데(此條無中嶽),악은 그 중에 있기 때문에(而曰嶽在其中),모두 온 세상 중 낙양에 살며(蓋以洛陽居天下之中),임금은 사악에서 망제를 지낼 때(王者於此以時望祭四嶽),사악이 아닌 악에서 제사를 지낸다(以其非嶽而祭四嶽),그러므로 악은 열네 개의 산 중에 있다(故曰嶽在其中);이것은 아마도 동주 시대의 책이다(此殆東周時之書矣)。」

2 곽박(郭璞)云:「유월 또는 육년 사이에(六月亦歲之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