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차오경(中次五經) 번역

산해경/중산경 2018. 2. 28. 00:00

中次五經薄山之首,曰苟床之山1,無草木,多怪石。

중차오경 박산 산맥의 첫머리를, 구상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괴석이 많다.


1 곽박(郭璞)云:「혹은 구림산이라 쓰여있다(或作苟林山)。」학의행(郝懿行)云:「중차오경 정리에 구림산이라 쓰여 있고(下文正作苟林山),문선(文選)강부(江賦)注引此經亦作구림산(苟林山)。」


東三百里,曰首山,其陰多榖柞,其草多𦬸芫1,其陽多㻬琈之玉,木多槐。

동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수산이라 하는데, 산의 북쪽에 닥나무와 상수리나무가 많고, 산에 풀은 삽주와 팥꽃나무가 많다, 산의 남쪽에 서부옥이 많고, 나무는 회화나무가 많다.


其陰有谷,曰机谷,多䲦2鳥,其狀如梟而三目,有耳,其音如錄3,食之已墊4。

산의 북쪽에 있는 골짜기는, 궤곡이라 하며, 지조가 많은데, 그 모양이 눈이 세 개인 올빼미 같고, 귀가 있으며, 그 울음소리는 사슴 같다, 먹으면 습진이 낫는다.


1 왕불(汪紱)云:「출은(𦬸),삽주다(山薊也),창출과 백출 두 종류가 있다(有蒼朮、白朮二種);원은(芫),원화다(芫華也);모두 먹는 약으로 쓰인다(皆入藥用)。」

2 왕불(汪紱)云:「䲦音지(地)。」

3 학의행(郝懿行)云:「녹의 잘못된 글자蓋鹿字假音;옥편(玉篇)作音如돼지(豕)。」

4 왕불(汪紱)云:「점은(墊),밑이 축축한 병(下溼病)。」


又東三百里,曰縣斸1之山,無草木,多文石。

또 동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현착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문석이 많다.


1 왕불(汪紱)云:「斸音착(斲),又音축(祝)。」


又東三百里,曰蔥聾之山1,無草木,多𢈦石2。

또 동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총롱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방석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중산경에 이 산이 있다(上文已有此山),이 산은 중산경에 나온 산의 산기슭으로 의심(疑是其連麓)。

2 곽박(郭璞)云:「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필원(畢沅):「방은 방으로 바꾸어야 한다(𢈦當為玤);설문해자(說文)云:『옥에 버금가는 돌이다(石之次玉者)。』」


東北五百里,曰條谷之山,其木多槐桐,其草多芍藥、𧄸冬1。

동북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조곡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회화나무와 오동나무가 많고, 산에 풀은 작약과 문동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문은 문으로 바꾸어야 한다(𧄸當為虋),音문(門),통상적으로 문이라고도 쓴다(俗亦作門);문동은 두 종류가 있다(門冬有二種):맥문동과(一麥門冬),천문동(一天門冬),모두 먹는 약으로 쓰인다(均入藥用)。


又北十里,曰超山,其陰多蒼玉,其陽有井,冬有水而夏竭1。

또 북쪽으로 십 리를 가면, 초산이라 하는데, 산의 북쪽에 창옥이 많고, 산의 남쪽에 우물이 있는데, 여름에는 말라있고 겨울에는 물이 차있다.


1 원가기록(珂案):중차십일경(中次一十一)經云:「시산에 있는 우물은(視山有井),여름에는 물이 있고(夏有水),겨울에는 말라있다(冬竭)。」이 산과 반대(與此適反)。


又東五百里,曰成侯之山,其上多櫄木1,其草多芃2。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성후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참죽나무가 많고, 산에 풀은 진교가 많다.


1 곽박(郭璞)云:「가죽나무와 비슷하고(似樗樹),끌채의 재료(材中車轅)。」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춘은(杶),춘으로도 쓴다(或作櫄),현재 춘자다(即今椿字也)。」

2 학의행(郝懿行)云:「봉은(芃),설문해자(說文)풀이 울창한 것을 가르친다(訓草盛),풀 이름이 아니다(非草名也)。봉은 교자를 잘못쓴 것으로 의심(疑芃當為芁字之訛);芁音교(交),즉 약초 진나라 약초(即藥草秦芁也),見본초(本草)。」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說맞다(是也),왕념손(王念孫)校同학의행(郝)注。


又東五百里,曰朝歌之山,谷多美堊。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조가산이라 하는데, 골짜기에 부드러운 흰흙이 많다.


又東五百里,曰槐山1,谷多金錫。

또 동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괴산이라 하는데, 골짜기에 금과 주석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필원(畢沅)本괴산은 괴산으로 쓰여 있다(槐山作𥡂山),괴는 직으로 바꾸어야 한다(云𥡂當為稷),직산은 현재 산서성 직산현에 있다(稷山在今山西省稷山縣),후직은 이곳에서 온갖 곡식의 씨를 뿌렸다(后稷播時百穀於此),그래서 산의 이름이 되었다(遂以名山)。후직 관련(關於后稷),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十一「서주국(西周國)」節注2、5。


又東十里,曰歷山1,其木多槐,其陽多玉。

또 동쪽으로 십 리를 가면, 역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회화나무가 많고, 산의 남쪽에 옥이 많다.


1 학의행(郝懿行)云:「역아산(即上文歷兒山);수경(水經)注云:하동군 남쪽에 역산이 있다(河東郡南有歷山),순임금이 밭을 갈던 곳(舜所耕處也)。」


又東十里,曰尸山,多蒼玉,其獸多麖1。

또 동쪽으로 십 리를 가면, 시산하라 하는데, 창옥이 많고, 산에 짐승은 말코손바닥사슴이 많다.


尸水出焉,南流注于洛水,其中多美玉。

여기서 나오는 시수는, 남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아름다운 옥이 많다.


1 곽박(郭璞)云:「작은 사슴과 비슷하다(似鹿而小),검은 빛(黑色)。」필원(畢沅)云:「곽박(郭)說틀렸다(非也)。이아(爾雅):『경은(麠),큰 사슴(大鹿)。』설문해자(說文)云:『소 꼬리에 뿔이 한 개다(牛尾一角),경이라고도 했다(或從京)。』이것은 큰 사슴이 맞다(則此是大鹿)。경은 모두 크다(凡云京皆大也),곽박(郭)잘못된 뜻(義失之)。」


又東十里,曰良餘之山,其上多榖柞,無石。

또 동쪽으로 십 리를 가면, 양여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닥나무와 상수리나무가 많고, 돌이 없다.


餘水出于其陰,而北流注于河;

산의 북쪽에서 나오는 여수는, 북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乳水出于其陽,而東南流注于洛。

산의 남쪽에서 나오는 유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간다.


又東南十里,曰蠱尾1之山,多礪石、赤銅。

또 동남쪽으로 십 리를 가면, 고미산이라 하는데, 거친 숫돌과 붉은 구리가 많다.


龍餘之水出焉,而東南流注于洛。

여기서 나오는 용여수는, 동남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간다.


1 학의행(郝懿行)云:「수경(水經)注作충미(蟲尾)。」


又東北二十里,曰升山,其木多榖柞棘,其草多藷藇蕙1,多寇脫2。

또 동북쪽으로 이십 리를 가면, 승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닥나무와 상수리나무와 멧대추나무가 많고, 산에 풀은 서서와 혜란이 많으며, 구탈이 많다.


黃酸之水出焉,而北流注于河,其中多璇玉3。

여기서 나오는 황산수는, 북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가고, 물안에 선옥이 많다.


1 곽박(郭璞)云:「혜는(蕙),향초다(香草也)。」원가기록(珂案):혜는(蕙)已見上文서산경(西山經)부산(浮山)及파총산(嶓冢山)。

2 곽박(郭璞)云:「구탈초는 남쪽에서 자라고(寇脫草生南方),길이는 일 장을 넘기도 하며(高丈許),줄기 안에 박속이 있고 연잎과 비슷하다(似荷葉而莖中有瓤),새하얗고(正白),영계인은 낮에 심고 물을 주면 나무가 자란다고 했다(零桂人植而日灌之以為樹也)통초라고도 한다(通草)。」

3 곽박(郭璞)云:「옥에 버금가는 돌(石次玉者也);璇音선(旋)。」


又東十二里,曰陽虛之山,多金,臨于玄扈之水1。

또 동쪽으로 십이 리를 가면, 양허산이라 하는데, 금이 많고, 현호수와 가까이 마주하고 있다.


1 곽박(郭璞)云:「하도(河圖)曰:『창힐은 황제의 신하가 됨(蒼頡為帝),남쪽으로 사냥을 나갔다가(南巡狩),양허산에 올라(登陽虛之山),현호락의 물굽이를 내려봤는데(臨于玄扈洛汭),글자를 짊어진 기이한 거북은(靈龜負書),붉은 등껍질에 푸른 무늬로 새겨져 있었다(丹甲青文以授之)。』이 물안에서 나왔다(出此水中也)。」


凡薄山之首,自苟林之山至于陽虛之山,凡十六山,二千九百八十二里。

무릇 박산 산맥의 첫머리인, 구림산부터 양허산까지, 모두 열여섯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이천 구백 팔십 이 리에 이른다.


升山冢也,其祠禮:太牢,嬰用吉玉。

승산은 신선과 귀신이 기거하는 곳이다, 제사 예절:소를 통째로 제물로 바치는 태뢰를 갖추고, 좋은 옥을 신에게 바친다.


首山䰠也,其祠用稌、黑犧、太牢之具、糱釀1;

수산은 귀신이 사는 곳이다, 산의 제사는 검은 제물로 하며 소를 통째로 제물로 바치는 태뢰를 갖추고, 찰벼로 단술을 담군다. 


干儛2,置鼓3;

간무를 추고, 북을 친다. 


嬰用一璧。

벽옥 하나를 신에게 바친다.


尸水,合天也4,肥牲祠之,用一黑犬于上,用一雌雞于下,刉一牝羊,獻血5。

시수는, 천신이 물을 건너는 곳인데, 살찌운 제물로 제사를 지내고, 검은 개 한 마리)를 상류에 바치며, 수탉 한 마리를 하류에 바친다, 암양 한 마리를 베어, 제물의 피를 바치어 제사를 지낸다.


嬰用吉玉,采之6,饗之7。

좋은 옥을 신에게 바치며, 오색 비단으로 단장하고, 잔치를 벌인다.


1 곽박(郭璞)云:「누룩으로 단술을 만든다(以糱作醴酒也)。」

2 곽박(郭璞)云:「간무는(干儛),만무다(萬儛);간은(干),방패다(楯也)。」

3 곽박(郭璞)云:「두드리며 추는 춤(擊之以舞)。」

4 곽박(郭璞)云:「하늘 신이 걸어서 물을 건너는 곳(天神之所馮也)。」

5 곽박(郭璞)云:「피로 지내는 제사(以血祭也);기는(刉),규를 뜻하다(猶刲也)。」원가기록(珂案):기는(刉),本作기(刏),音기(機);소나 양등을 죽여 피를 가지고 그릇에 피를 발라 제사를 지냄(謂殺牛羊等取血以釁也)。

6 곽박(郭璞)云:「또는 오색 비단으로 꾸미고 입는다(又加以繒彩之飾也)。」

7 곽박(郭璞)云:「억지로 권유하다(勸強之也)。특생궤식례(特牲饋食禮)曰:『제사를 주관하며(執奠),술과 음식을 대접하다(祝饗)。』맞다(是也)。」원가기록(珂案):의례(儀禮)특생궤식례(特牲饋食禮)云:「신주에 절을하고 절을 받는다(尸答拜),제사를 주관하며(執奠),술과 음식을 대접한다(祝饗)。」정현(鄭)注云:「향은(饗),억지로 권유한다(勸強之也)。」是곽박(郭)注所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