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차사경(中次四經) 번역

산해경/중산경 2018. 2. 28. 00:00

中次四經釐山之首,曰鹿蹄之山,其上多玉,其下多金。

중차사경 리산 산맥의 첫머리를, 녹제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下)에 금이 많다.


甘水出焉,而北流注于洛,其中多泠石1。

여기서 나오는 감수는, 북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영석이 많다.


1 곽박(郭璞)云:「영석은(泠石),아직 듣지 못함(未聞也);영은 도로 쓰여 있다(泠或作涂)。」학의행(郝懿行)云「영은 감으로 바꾸어야 한다(泠當為汵);서차사경(西次四經)『호산(號山)감석이 많다(多汵石)』맞다(是也)。곽박(郭)云『영은 도로 쓰여 있다(泠或作涂)』,도 역시 이도 글자를 임시로 빌려 쓴 글자(涂亦借作泥塗字),감 또한 니를 바꾼 것이데(汵又訓泥),두 글자가 같은 뜻(二字義同),그러므로 널리 쓰는 말이다(故得通用)。도는 감의 잘못된 글자이며(又涂或淦字之訛也),설문해자(說文)감과 감은 같다(汵、淦同)。」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亦校영을 감으로 고치고 도를 감으로 고쳐 썼다(改泠作汵、涂作淦)。오관(吳寬)초본(抄本)作냉석(冷石),틀림(非)。


西五十里,曰扶豬之山,其上多礝石1。

서쪽으로 오십 리를 가면, 부저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연석이 많다.


有獸焉,其狀如貉2而人目,其名曰䴦3。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사람의 눈을 한 담비 같고, 그 이름을 은이라 한다.


虢水出焉,而北流注于洛,其中多瓀石4。

여기서 나오는 괵수는, 북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연석이 많다.


1 학의행(郝懿行)云:「연은 연으로 바꾸어야 한다(礝當為碝)。설문해자(說文)云:『연은(碝),옥에 버금가는 돌이다(石次玉者)。』옥편(玉篇)同,云亦作옥(瓀),引此經作연석(瓀石),혹은 책과 다르다고 생각한다(或所見本異也)。장읍(張揖)注상림부(上林賦)云:『연석의 흰 것은 얼음 같고(碝石白者如冰),반은 붉은 빛(半有赤色)。』」

2 곽박(郭璞)云:「학은 학으로도 쓰여 있다(貉或作𧴘),옛 글자(古字)。」、옥편(玉篇)云:「학은(𧴘), 학과 같다(同貈)。」

3 곽박(郭璞)云:「音은(銀);혹은 미라 쓰여 있다(或作麋)。」

4 곽박(郭璞)云:「물안에서 나온다(言亦出水中)。」학의행(郝懿行)云:「연 또한 연으로 바꾸어야 한다(瓀亦當為碝)。」


又西一百二十里,曰釐山,其陽多玉,其陰多蒐1。

또 서쪽으로 일백 이십 리를 가면, 리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꼭두서니가 많다.


有獸焉,其狀如牛,蒼身,其音如嬰兒,是食人,其名曰犀渠2。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소 같고, 몸이 푸르며, 그 울음소리는 젖먹이 같다, 이것은 사람을 잡아먹는데, 그 이름을 서거이라 한다.


滽滽之水出焉,而南流注于伊水。

여기서 나오는 용용수는, 남쪽으로 흘러 이수로 들어간다.


有獸焉,名曰𤢺3,其狀如獳犬而有鱗4,其毛如彘鬣5。

여기 있는 짐승은, 이름을 힐이라 하는데, 그 모양이 비늘이 있는 으르렁거리는 개 같고, 비늘 사이에 난 털은 멧돼지 갈기 같다.


1 곽박(郭璞)云:「音수(搜);모수는(茅蒐),현재 천초다(今之蒨草也)。」

2 학의행(郝懿行)云:「서거는 서우의 종류다(犀渠蓋犀牛之屬也)。오어(吳語)云:『방패를 들다(奉文犀之渠)。』오도부(吳都賦)云:『짐에 서거가 있다(戶有犀渠)。』옛날에 이 짐승의 가죽으로 방패를 덮어 씌웠다(疑古用此獸皮蒙楯),그런 이류로 방패의 이름이 서거가 되었다(故因名楯為犀渠矣)。」

3 곽박(郭璞)云:「音창힐의 힐(蒼頡之頡)。」

4 원가기록(珂案):문선(文選)강부(江賦)이선(李善)注引此經힐는 달로 쓰였다(𤢺作獺),누견은 유로 쓰여 있다(獳犬作鱬),비늘이 있다는 없는 글자(無有鱗字)。

5 왕불(汪紱)云:「비늘 사이에서 나온 털은 멧돼지 갈기 같다(毛出鱗間如彘鬣也)。」


又西二百里,曰箕尾之山,多穀1,多涂石2,其上多㻬琈之玉。

또 서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기미산이라 하는데, 닥나무가 많고, 도석이 많으며, 산 위에 서부옥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곡(穀),송본(宋本)、왕불(汪紱)本、오임신(吳任臣)本並作곡(榖),곡으로 쓰는 것이 맞다(作榖是也)。

2 원가기록(珂案):上文녹제산(鹿蹄之山)영석이 많다(多石),곽박(郭璞)注:「영은 도로 쓰여 있다(泠或作涂)。」即此。


又西二百五十里,曰柄山,其上多玉,其下多銅。

또 서쪽으로 이백 오십 리를 가면, 병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옥이 많고, 산 아래에 구리가 많다.


滔雕之水出焉,而北流注于洛。

여기서 나오는 도조수는, 북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간다.


其中多羬羊。

산속에 함양이 많다.


有木焉,其狀如樗,其葉如桐而莢實,其名曰茇,可以毒魚1。

여기 있는 나무는, 그 모양이 가죽나무 같은데, 그 잎은 꼬투리 열매가 열리는 오동나무 같고, 그 이름을 발이라 하며, 이 독으로 물고기를 잡을 수 있다.


1 곽박(郭璞)云:「발은 애로도 쓴다(茇一作艾)。」학의행(郝懿行)云:「이아(爾雅)云:『원은(杬),물고기 독(魚毒)。』설문해자(說文)원은 원이라 쓰느 풀을 따랐으며(杬從艸作芫),애자로 의심(疑作艾者),글자의 모양이 원과 비슷하여 잘못됨(因字形近芫而訛)。」


又西二百里,曰白邊之山,其上多金玉,其下多青雄黃。

또 서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백변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청웅황이 많다.


又西二百里,曰熊耳之山,其上多漆,其下多棕。

또 서쪽으로 이백 리를 가면, 웅이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옻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종려나무가 많다.


浮濠之水出焉,而西流注于洛,其中多水玉1,多人魚。

여기서 나오는 부호수는, 서쪽으로 흘러 낙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수정이 많으며, 인어가 많다.


有草焉,其狀如蘇而赤華,名曰葶薴2,可以毒魚。

여기 있는 풀은, 그 모양이 붉은 꽃이 핀 차조기 같고, 이름을 정녕이라 하는데, 이 독으로 물고기를 잡을 수 있다.


1 원가기록(珂案):후한서(後漢書)군국지(郡國志)유소(劉昭)注引此經서쪽 다음에 북쪽이 있다(而西下有北字),수옥은 미옥으로 쓰여 있다(水玉作美玉)。

2 곽박(郭璞)云:「정녕과 정녕(亭甯、耵聹二音)。」


又西三百里,曰牡山1,其上多文石,其下多竹箭竹䉋,其獸多㸲牛、羬羊,鳥多赤鷩2。

또 서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모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문석이 많고, 산 아래에 이대와 미죽이 많고, 산에 짐승은 작우와 함양이 많고, 새는 적별이 많다.


1 학의행(郝懿行)云:「이아(爾雅)疏引此經作빈산(牝山),장경(藏經)本作장산(壯山)。」

2 곽박(郭璞)云:「音폐(閉);꿩이다(即鷩雉也)。」


又西三百五十里,曰讙舉之山。

또 서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환거산이라 한다.


雒水出焉,而東北流注于玄扈之水,其中多馬腸之物1。

여기서 나오는 낙수는, 동북쪽으로 흘러 현호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마장의 물건이 많다.


此二山者,洛閒也2。

이 두 개의 산은, 낙수 사이에 있다.


1 학의행(郝懿行)云:「上文만거산(蔓渠山)마복(馬腹),어느 책에는(一本)作마장(馬腸),모두 이것이 맞다(蓋此是也)。대황서경(大荒西經)여과장(女媧之腸)或作여과복(女媧之腹),그 본보기다(亦其例)。」

2 원가기록(珂案):謂환거산과 현호산 두 산을 끼고 낙수가 산의 사이에 있다(讙舉、玄扈二山夾洛水閒也)。수경(水經)注낙수(洛水)云:「현호수는(玄扈之水),현호산에서 나온다(出于玄扈之山)。」산의 물은 산의 이름을 따라 정해진다(蓋山水兼受其目矣)。


凡釐山之首,自鹿蹄之山至于玄扈之山,凡九山,千六百七十里。

무릇 리산 산맥의 첫머리인, 녹제산부터 현호산까지, 모두 아홉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일천 육백 칠십 리에 이른다.


其神狀皆人面獸身。

산의 신들 모습은 사람 얼굴에 짐승의 몸을 했다.


其祠之,毛用一白雞,祈而不糈1,以采衣之2。

산의 제사는, 제물은 한 마리 흰 닭을 사용하고, 젯메쌀을 쓰지 않고 산제사를 지낸다, 닭은 화려하게 꾸민다.


1 곽박(郭璞)云:「계속 기도한다(言直祈禱)。」학의행(郝懿行)云:「기는 기로 바꾸어야 한다(祈當為𧗓)。」원가기록(珂案):설문해자(說文)五云:「기는(𧗓),제물 잘라 그 피로 제사를 지낸다(以血有所刉涂祭也);피가 난다는(從血),기의 소리는(幾聲),거와 희의 반절(渠稀切)。」이것을 바꾸어 기로 쓴 것이고(則以作𧗓為是),기는 제사 예법의 하나(𧗓為祭禮之一),계속 기도한다의 잘못이므로 틀렸다(非「계속 기도한다(直祈禱)」之謂也)。

2 곽박(郭璞)云:「여러 색으로 닭을 꾸민다(以采飾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