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경(中山經) 번역

산해경/중산경 2018. 2. 28. 00:00

中山經薄山之首,曰甘棗之山。

중산경 박산 산맥의 첫머리를, 감조산이라 한다.


共1水出焉,而西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공수는, 서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上多杻木,其下有草焉,葵本而杏葉2,黃華而莢實,名曰籜3,可以已瞢4。

산 위에 유목이 많고, 산 아래에 있는 풀은, 살구나무 잎에 해바라기 뿌리이고, 꼬투리 열매에 꽃은 누렇다, 이름을 탁이라 하는데, 이것은 먼눈을 낫게 한다.


有獸焉,其狀如𤠢鼠5而文題,其名曰㔮6,食之已癭。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이마에 무늬가 있는 훼서 같고, 그 이름을 내라 하며, 먹으면 목의 혹이 낫는다.


1 곽박(郭璞)云:「音공(恭)。」

2 곽박(郭璞)云:「혹은 모형나무 잎이라 쓰여 있다(或作楛葉)。」

3 왕불(汪紱)云:「籜音탁(托)。」

4 곽박(郭璞)云:「音맹(盲)。」원가기록(珂案):설문해자(說文)四云:「맹은(瞢),눈의 시력이 없는 것이다(目不明也)。」

5 곽박(郭璞)云:「훼서(𤠢鼠),所아직 자세하지 않다(未詳),音훼(虺),글자는 훼라 쓰여 있다(字亦或作虺)。」

6 왕불(汪紱)云:「音내(耐);호은 내라 쓰여 있다(或作熊)。」


又東二十里,曰歷兒之山1,其上多橿,多櫔木2,是木3也,方莖而員葉,黃華而毛,其實如揀,服之不忘4。

또 동쪽으로 이십 리를 가면, 역아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강목이 많고, 여목이 많다, 이 나무는, 잎은 둥글고 줄기는 네모나며, 누런 꽃에 털이 나있다, 그 열매는 멀구슬나무 열매 같다, 먹으면 기억력이 좋아진다.


1 학의행(郝懿行)云:「수경(水經)注云:『하동군 남쪽에 역산이 있다(河東郡南有歷山),순임금이 밭을 갈던 곳이다(舜所耕處也)。』사기(史記)정의(正義)引괄지지(括地志)云:『박산은 역산이라도 불렀다(蒲山亦名歷山)。』即此也;박산에서 이어진 산기슭의 다른 이름이다(蓋與薄山連麓而異名)。」원가기록(珂案):순임금이 역산에서 밭을 갈고(舜所耕歷山),전설에 나오는 땅의 이름이다(蓋傳說中地名),밭을 간 장소가 많아서(所在多有),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非可實指),이것은 증거가 될 수 있는데(此藉使能證成),하지만 전설 중 하나에 불과하다(亦不過傳說中之一耳)。

2 곽박(郭璞)云:「音여(厲)。」

3 원가기록(珂案):이 나무는(是木),여목을 뜻한다(指櫔木)。

4 원가기록(珂案):經文간은(揀),왕불(汪紱)本、필원(畢沅)校本均作련(楝),왕념손(王念孫)、손성연(孫星衍)、학의행(郝懿行)亦均校作련(楝),련으로 쓰는 것이 맞다(作楝是也)。왕불(汪紱)云:「楝音련(煉)。연목은 회화나무 열매와 비슷하다(楝木似槐子),손가락의 끝 같은데(如指頭),색이 희고 끈끈하고(色白而粘),이것으로 옷을 두드려 빨 수 있이며(可搗以浣衣),먹으면 콩팥이 좋아진다(服之益腎)。이것을 먹으면 잊지 않는다는 것은(此服之不忘),사람의 기억력이 좋아지는 것을 일컫는다(謂令人健記),멀구슬나무 종류(蓋亦楝類也)。혹은 간이라 쓰다(或作簡),틀리다(非)。」


又東十五里,曰渠豬之山,其上多竹。

또 동쪽으로 십 오 리를 가면, 거저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대나무가 많다.


渠豬之水出焉,而南流注于河。

여기서 나오는 거저수는, 남쪽으로 흘러 황하로 들어간다.


其中是多豪魚,狀如鮪1,赤喙尾赤羽,可以已白癬2。

물안에 호어가 많은데, 모양이 참다랑어 같고, 주둥이와 꼬리가 붉으며 비늘이 붉다, 이것을 먹으면 백선이 낫는다.


1 곽박(郭璞)云:「위는 철갑상어와 비슷하다(鮪似鱣也)。」원가기록(珂案):鮪音위(委)。

2 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七四二引此經,꼬리 앞에 적자가 있어야 하고(尾上有赤字),가이 앞에 먹으면 두 글자가 있어야 한다(可以上有食之二字);태평어람(同書)卷九三九引此經,붉은 부리 앞에 이자가 있어야 한다(赤喙上有而字)。


又東三十五里,曰蔥聾之山,其中多大谷,是多白堊,黑、青、黃堊1。

또 동쪽으로 삼십 오 리를 가면, 총롱산이라 하는데, 산속에 큰 골짜기가 많고, 이곳에 흰흙과 여러 가지 빛이 섞인 흙이 많다.


1 곽박(郭璞)云:「여러 가지 빛깔이 있는 색흙(言有雜色堊也)。」


又東十五里,曰涹山1,其上多赤銅,其陰多鐵。

또 동쪽으로 십 오 리를 가면, 왜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붉은 구리가 많고, 산의 북쪽에 쇠가 많다.


1 곽박(郭璞)云:「音왜(倭)。


又東七十里,曰脫扈之山。

또 동쪽으로 칠십 리를 가면, 탈호산이라 한다.


有草焉,其狀如葵葉而赤華,莢實,實如棕莢,名曰植楮,可以已癙1,食之不眯2。

여기 있는 풀은, 그 모양이 꽃은 붉고 잎은 해바라기 같며, 꼬투리 열매가 열리는데, 열매는 종려나무 꼬투리 같다, 이름을 식저라 한다, 이것은 나력을 낫게 한다, 먹으면 가위눌리지 않는다.


1 곽박(郭璞)云:「서는(癙),병(病也);회남자(淮南子)曰:『이두이서(貍頭已癙)』也。」원가기록(珂案):곽박(郭)引회남자(淮南子) 설산편(說山篇)文,「이서(已癙)」현재는 유서로 쓰인다(今作)「유서(愈鼠)」。

2 원가기록(珂案):불길한 꿈을 꾸지 않는 것을 일컫는다(謂不厭夢也),已見上文동차사경(西次四經)「영제산(英鞮之山)」注2。


又東二十里,曰金星之山,多天嬰,其狀如龍骨1,可以已痤2。

또 동쪽으로 이십 리를 가면, 금성산이라 하는데, 천영이 많으며, 그 모양이 용골 같다, 이것은 뾰루지를 낫게 한다.


1 학의행(郝懿行)云:「본초(本草) 별록(別錄)云:『용골은 진나라 땅의 하천과 골짜기에서 나오며(龍骨生晉地川谷)、태산 안수안 흙구덩이 안은 용이 죽은 곳이다(及太(대(大)?)山巖水岸土穴中死龍處)。』」

2 원가기록(珂案):설문해자(說文)七云:「좌는(痤),작은 종기다(小腫也)。」왕불(汪紱)以「피부 위의 외뢰병(皮上磈磊病)」으로 풀이 했는데(釋之),맞다(良是)。


又東七十里,曰泰威之山,其中有谷曰梟谷1,其中多鐵。

또 동쪽으로 칠십 리를 가면, 태위산이라 하는데, 산속에 있는 골짜기를 효곡이라 하며, 골짜기 속에 쇠가 많다.


1 곽박(郭璞)云:「혹은 곡은 없는 글자(或無谷字)。」


又東十五里,曰橿谷之山1,其中多赤銅。

또 동쪽으로 십 오 리를 가면, 강곡산이라 하는데, 산속에 붉은 구리가 많다.


1 곽박(郭璞)云:「혹은 단곡산이라 쓰여 있다(或作檀谷之山)。


又東百二十里,曰吳林之山,其中多葌草1。

또 동쪽으로 일백 이십 리를 가면, 오림산이라 하는데, 산속에 간초가 많다.


1 곽박(郭璞)云:「또는 관자(亦菅字)。」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간은(葌),향초이며(香艸),오림산에서 나온다(出吳林山)。』이 경문에 나온 설명이 근거 다(本此經為說也)。여러 경문(眾經)음의(音義)引성류(聲類)云:『간은(葌),난초다(蘭也)。』又引간록자서(字書)云:『간과 간은 같고(葌與蕑同),간은 난초다(蕑即蘭也)。』이 간과 향초는(是葌乃香艸),곽박(郭)注관자가 간으로 되었고(以葌為菅字),관은 띠의 종류이므로(菅乃茅屬),아마도 틀렸다(恐非也)。」


又北三十里,曰牛首之山。

또 북쪽으로 삼십 리를 가면, 우수산이라 한다.


有草焉,名曰鬼草1,其葉如葵而赤莖,其秀如禾,服之不憂。

여기 있는 풀은, 이름을 귀초라 하는데, 그 잎은 줄기가 붉은 해바라기 같고, 그 이삭은 벼 같으며, 먹으면 근심이 없다.


勞水出焉,而西流注于潏水2。

여기서 나오는 노수는, 서쪽으로 흘러 휼수로 들어간다, 


是多飛魚,其狀如鮒魚3,食之已痔衕。

이곳에 비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붕어 같고, 먹으면 치질과 설사가 낫는다.


1 원가기록(珂案):經文귀초(鬼草),태평어람(太平御覽)卷四六八引作귀목(鬼目)。

2 곽박(郭璞)云:「音如휼사의 휼(譎詐之譎)。」

3 원가기록(珂案):經文부어(鮒魚),태평어람(太平御覽)卷四四引어자는 없는 글자(無魚字)。


又北四十里,曰霍山,其木多榖。

또 북쪽으로 사십 리를 가면, 곽산이라 하는데, 산에 나무는 닥나무가 많다.


有獸焉,其狀如貍,而白尾有鬣,名曰朏朏1,養之可以已憂。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너구리 같고, 꼬리는 희고 갈기가 있으며, 이름을 비비이라 하는데, 이것을 기르면 우울함이을 낫는다.


1 왕불(汪紱)云:「朏音비(菲)。」


又北五十二里,曰合谷之山1,是多薝棘2。

또 북쪽으로 오십 이 리를 가면, 합곡산이라 하는데, 이곳에 첨극이 많다.


1 학의행(郝懿行)云:「옥편(玉篇)作금곡에 첨극이 많다(金谷多薝棘)。」

2 곽박(郭璞)云:「모름(未詳);音첨(瞻)。」학의행(郝懿行)云:「본초(本草)云:『천문동은 전극이라고도 한다(天𧄸冬一名顛棘)。』即이아(爾雅)『모는(髦),전극이다(顛棘)』也。담은(薝),옥편(玉篇)云:『정과 담의 반절(丁敢切)。』담과 전은 옛날에 같은 글자로 통했을 것으로 의심(疑薝、顛古字或通)。」


又北三十五里,曰陰山1,多礪石2、文石。

또 북쪽으로 삼십 오 리를 가면, 음산이라 하는데, 거친 숫돌과 문석이 많다.


少水出焉,其中多彫棠,其葉如榆葉而方,其實如赤菽3,食之已聾。

여기서 나오는 소수는, 물안에 조당이 많고, 그 잎은 네모난 느릅나무 잎 같으며, 그 열매는 붉은 콩 같다, 먹으면 귀먹은 것이 낫는다.


1 곽박(郭璞)云:「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一曰)험산(險山)。」

2 곽박(郭璞)云:「여석은(礪石),돌에 갈리다(石中磨者)。」원가기록(珂案):마는(磨),마라는 글자의 근거다(字本作䃺),맷돌이다(石磑也),현재는 흔히 마자로 부른다(今俗呼磨子);이것으로 맷돌을 만들 수 있다(言可以為石磑者)。

3 곽박(郭璞)云:「숙은(菽),콩이다(豆)。」


又東北四百里,曰鼓鐙之山,多赤銅。

또 동북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고등산이라 하는데, 붉은 구리가 많다.


有草焉,名曰榮草,其葉如柳,其本如雞卵,食之已風。

여기 있는 풀은, 이름을 영초라 하는데, 그 잎은 버드나무 같고, 그 뿌리는 달걀 같으며, 먹으면 중풍이 낫는다.


凡薄山之首,自甘棗之山至于鼓鐙之山,凡十五山,六千六百七十里。

무릇 박산 산맥의 첫머리인, 감조산부터 고등산까지, 모두 열다섯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육천 육백 칠십 리에 이른다.


歷兒,冢也,其祠禮:毛,太牢之具;

역아산은, 신선과 귀신이 기거하는 곳이다, 산의 제사의 예법:제물은, 소를 통째로 제물로 바치는 태뢰을 갖춘다.


縣以吉玉1。

좋은 옥을 목에 건다.


其餘十三山者,毛用一羊,縣嬰用桑封,瘞而不糈。

나머지 열세 개의 산들은, 제물로 한 마리 양을 사용하고, 조규 엮어 신에게 바치며, 젯메쌀을 쓰지 않고 묻어 제사를 지낸다.


桑封者,桑主也2,方其下而銳其上,而中穿之加金3。

조규는, 조옥이다, 조옥의 아래쪽은 네모나고 조옥의 위쪽은 뾰족하다, 가운데 구멍이 나있고 금을 덧댔다.


1 곽박(郭璞)云:「현은(縣),제사를 드리는 산의 이름(祭山之名也);見이아(爾雅)。」원가기록(珂案):예를 들어(例以) 다음 구절의 현영이 있는데(下文縣嬰),현 다음에 나오는 영자는 빠진 것으로 의심(疑此處縣下脫嬰字)。

2 원가기록(珂案):강소원(江紹原) 중국 고대여행의 연구(中國古代旅行之研究)第一章注10謂經文상봉은 조규의 잘못 쓴 글자(桑封係藻珪之誤),상주는 조옥이고(桑主即藻玉),영은 신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묶은 옥을 칭한다(嬰係以玉獻神之專稱);이 설명이 맞다(其說近是),참고 가능(可供參考)。

3 원가기록(珂案):經文상봉과 상옥은 이미 풀이에 나왔고(桑封者桑主也已下十九字),필원(畢沅)주나라와 진나라 사람이 이것을 잘못 풀이한 것으로 의심되며 오래된 책에 마구 쓴 것으로 보인다(謂疑是周秦人釋語、舊本亂入經文者),맞다(或當是也)。상봉은 종강 지역에서 조규의 잘못된 풀이 같은데(桑封若從江說係藻珪之誤),풀이를 한다면 조규는 조옥의 형상이라 설명한다(則此釋乃耑在說明藻珪即藻玉之形狀),而곽박(郭璞)注乃云:「금과 은으로 꾸며, 신주에게 제사를 지낸다(言作神主而祭,以金銀飾之也)。공양전(公羊傳)曰:『우주는 뽕나무를 사용한다(虞主用桑)。우주는 궁중에서 우제를 지낼 때 쓰던 뽕나무로 만든 상주며 우제는 초우 제우 삼우의 총칭이다.』주는 옥으로 쓰기도 한다(主或作玉)。」아무래도 글자만 보고 대강 뜻을 짐작한 듯하며(未免望文生義),풀이를 하기 위해 제멋대로 하였다(漫為立說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