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동차이경(東次二經) 번역
東次二經之首,曰空桑之山1,北臨食水,東望沮吳,南望沙陵,西望湣2澤。
동차이경의 첫머리는, 공상산이라 하는데, 북쪽으로 식수와 가까이 마주하고 있고, 동쪽으로 저오와 가까이 마주하고 있으며, 남쪽으로 사릉과 가까이 마주하고 있고, 서쪽으로 민택과 가까이 마주하고 있다.
有獸焉,其狀如牛而虎文,其音如欽3,其名曰軨軨4,其鳴自叫,見則天下大水。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범 무늬가 있는 소 같고, 그 울음소리는 신음하는 소리 같으며, 그 이름을 령령이라 한다, 울음소리에 따라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만나면 온 세상에 홍수가 난다.
1 곽박(郭璞)云:「이 산에서 거문고와 비피의 재료가 나온다(此山出琴瑟材),주례에 나와 있다(見周禮也)。」원가기록(珂案):회남자(淮南子)본경편(本經篇)云:「순임금의 시대 때(舜之時),공공이 움직여 물이 넘치자(共工振滔洪水),공상까지 올라왔다(以薄空桑)。」고유(高誘)注云:「공상은(空桑),땅의 이름이고(地名),노나라에 있다(在魯也)。」又문선(文選)사현부(思玄賦)舊注云:「소호 금천씨가 궁상에 살았다(少皞金天氏居窮桑),노나라 북쪽에 있다(在魯北)。」모두 이 공상이다(均即此)。
2 곽박(郭璞)云:「音민(旻)。」
3 곽박(郭璞)云:「혹은 음이라 쓰여 있다(或作吟)。」
4 곽박(郭璞)云:「音령(靈)。」
又南六百里,曰曹夕之山,其下多穀1而無水,多鳥獸。
또 남쪽으로 육백 리를 가면, 조석산이라 한다, 산 아래(下)에 물(水)은 없으나 닥나무(穀)가 많다, 새(鳥)와 짐승(獸)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곡은 곡으로 쓰여야 한다(穀當作榖),책에는 모두 잘못 쓰여 있다(諸本皆誤),唯오임신(吳任臣)本作곡(榖),맞다(是也)。
又西南四百里,曰嶧1皋之山,其上多金玉,其下多白堊,嶧皋之水出焉,東流注于激女之水2,其中多蜃珧3。
또 서남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역고산이라 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흰흙이 많다, 여기서 나오는 역고수는, 동쪽으로 흘러 격녀수로 들어가고, 물안에 대합과 꼬막이 많다.
1 곽박(郭璞)云:「音역(亦)。」
2 학의행(郝懿行)云:「이아(爾雅)상소(疏)引此經作격여수(激汝之水),옥편(玉篇)同。」
3 곽박(郭璞)云:「신은(蜃),조개다(蚌也);요는(珧),옥요다(玉珧),조개의 종류다(亦蚌屬);신요(腎遙)兩音。」학의행(郝懿行)云:「이아(爾雅)云:『요는 신보다 작다(蜃小者珧)。』即작은 조개(小蚌)也。」
又南水行五百里,流沙三百里,至于葛山之尾,無草木,多砥礪。
또 남쪽으로 물을 따라 오백 리, 사막을 따라 삼백 리를 가면, 갈산의 끄트머리에 이르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고운 숫돌과 거친 숫돌이 많다.
又南三百八十里,曰葛山之首,無草木。
또 남쪽으로 삼백 팔십 리를 가면, 갈산의 첫머리라 하는데 , 풀과 나무가 없다.
澧水出焉,東流注于余澤,其中多珠蟞魚1,其狀如胏2而有目3,六足有珠,其味酸甘,食之無癘4。
여기서 나오는 례수는, 동쪽으로 흘러 여택으로 들어가고, 물안에 주별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눈이 달린 허파 같고, 발이 여섯 개에 구슬을 지니고 있으며, 그 맛은 시고 달다, 먹으면 돌림병이 없어진다.
1 곽박(郭璞)云:「音별(鱉)。」원가기록(珂案):문선(文選)강부(江賦)注、태평어람(太平御覽)卷九三九引此經어자 앞에 지자가 있다(魚上有之字);태평어람(御覽)주별은 주별로 쓰여 있다(珠蟞作珠鱉),여씨춘추(呂氏春秋)본미편(本味篇)作주별(朱鱉),학의행(郝懿行)云,주주와 별별은 옛날에 같을 글자로 통했다(珠朱、蟞鱉並古字通用)。
2 원가기록(珂案):經文자(胏),송본(宋本)、왕불(汪紱)本、오임신(吳任臣)本、필원(畢沅)校本並作폐(肺),폐로 쓰는게 맞다(作肺是也)。
3 학의행(郝懿行)云:「책의 그림에는 눈이 네 개다(此物圖作四目);초학기(初學記)八卷引남월지(南越志)云:『바다 안에 주별이 많고(海中多珠鱉),모양이 폐 같다(狀如胏)(원가기록(珂案):蘊石齋本초학기(初學記)作폐(肺)),눈이 네개 발이 여섯 개이며 구슬을 토한다(有四眼六足而吐珠)。』正與圖合,이 경문의 눈이 있다는 눈이 네 개로 의심 된다(疑此經有目當作四目),잘못 쓴 글자(字之訛也)。」원가기록(珂案):학의행(郝)설명(說)맞다(是也),왕념손(王念孫)校同학의행(郝)注。
4 곽박(郭璞)云:「시기병이 없다(無時氣病也)。여씨춘추(呂氏春秋)曰:『풍수어는(澧水之魚),이름을 주별이라 하는데(名曰朱蟞),여섯 개의 발에 구슬이 있다(六足有珠),아름다운 물고기(魚之美也)。』」
又南三百八十里,曰餘峨之山,其上多梓柟,其下多荊芑1。
또 남쪽으로 삼백 팔십 리를 가면, 여아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가래나무와 녹나무가 많고, 산 아래에 가시나무와 구기자나무가 많다.
雜余之水出焉,東流注于黃水。
여기서 나오는 잡여수는, 동쪽으로 흘러 황수로 들어간다.
有獸焉,其狀如菟而鳥喙,鴟目蛇尾,見人則眠2,名曰犰狳3,其鳴自訆,見則螽蝗為敗4。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새의 부리가 달린 토끼 같고, 새매의 눈에 뱀의 꼬리이며, 사람을 보면 죽은 시늉을 한다, 이름을 구여라 하는데,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으며, 만나면 농작물이 메뚜기 떼의 피해를 입는다.
1 학의행(郝懿行)云:「남산경(南山經)호작산 아래 가시나무와 구기자나무가 많다(虖勺之山下多荊杞),此經作기(芑),같은 발음으로 임시로 빌려 쓴 글자(同聲假借字也);아래 나오는 글자 모두 마찮가지다(下文並同)。」
2 곽박(郭璞)云:「죽은 체하다(言佯死也)。」
3 원가기록(珂案):經文구여(犰狳) 아르마딜로,왕념손(王念孫)、필원(畢沅)、학의행(郝懿行)並校作기여(𤜝狳),音기여(几余)。
4 원가기록(珂案):설문해자(說文)十三云:「종은(螽),황이다(蝗也);황은 종이다(蝗,螽也)。」종황은 하나의 생물(螽蝗只是一物)。經文종황은 재앙을 만든다(螽蝗為敗),태평어람(太平御覽)卷九一三引作충황은 재앙을 만든다(蟲蝗為敗),올바른 뜻(於義為長)。「재앙을 만든다(為敗)」者,곽박(郭璞)注云「밭의 채소를 먹는다(言傷敗田苗)」,맞다(是也)。
又南三百里,曰杜父之山,無草木,多水。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두보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물이 많다.
又南三百里,曰耿山,無草木,多水碧1,多大蛇。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경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자수정이 많으며, 큰 뱀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狐而魚翼,其名曰朱獳2,其鳴自訆,見則其國有恐。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물고기 지느러미가 달린 여우 같고, 그 이름을 주유라 하며,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만나면 그 나라는 공황상태가 된다.
1 곽박(郭璞)云:「수정의 종류(亦水玉類)。」
2 곽박(郭璞)云:「音유(儒)。」
又南三百里,曰盧其1之山,無草木,多沙石。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노기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모래와 자갈이 많다.
沙水出焉,南流注于涔水,其中多鵹鶘2,其狀如鴛鴦而人足3,其鳴自訆,見則其國多土功。
여기서 나오는 사수는, 남쪽으로 흘러 잠수로 들어간다, 물안에 여호가 많은데, 그 모양이 사람의 발을 한 원앙 같으며, 자신의 이름을 부르짖는다, 만나면 그 나라에 토목공사가 많아진다.
1 학의행(郝懿行)云:「태평어람(太平御覽)九百二十五卷引此經노기는 헌기로 쓰여 있다(盧其作憲期)。」
2 곽박(郭璞)云:「音려(黎)。」
3 곽박(郭璞)云:「현재 제호의 발은 사람의 다리 모양과 꽤 비슷하다(今鵜鶘足頗有似人腳形狀也)。제호는 펠리칸」
又南三百八十里,曰姑射之山1,無草木,多水。
또 남쪽으로 삼백 팔십 리를 가면, 고야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물이 많다.
1 원가기록(珂案):해내북경(海內北經)열고야가 있다(有列姑射),고야국이 있다(有姑射國),즉 고야국의 고야산이다(即此姑射之山之國也);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七「열고야(列姑射)」節注1。
又南水行三百里,流沙百里,曰北姑射之山,無草木,多石。
또 남쪽으로 물을 따라 삼백 리, 사막을 따라 백 리를 가면, 북고야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돌이 많다.
又南三百里,曰南姑射之山,無草木,多水。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남고야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물이 많다.
又南三百里,曰碧山,無草木,多大蛇,多碧、水玉。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벽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큰 뱀이 많으며, 벽옥과 수정이 많다.
又南五百里,曰緱氏之山1,無草木,多金玉。
또 남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구씨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原水出焉,東流注于沙澤。
여기서 나오는 원수는, 동쪽으로 흘러 사택으로 들어간다.
1 곽박(郭璞)云:「한 편으로 일러 말하기를(一曰) 협씨산(俠氏之山)。」
又南三百里,曰姑逢之山,無草木,多金玉。
또 남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고봉산이라 하는데, 풀과 나무가 없고, 금과 옥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狐而有翼,其音如鴻鴈,其名曰獙獙1,見則天下大旱。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날개가 달린 여우 같고, 그 울음소리는 기러기 같으며, 그 이름을 폐폐이라 하는데, 만나면 온 세상에 큰 가뭄이 든다.
1 곽박(郭璞)云:「音폐(斃)。」
又南五百里,曰鳧麗之山,其上多金玉,其下多箴石。
또 남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부려산이라 하는데, 산 위에 금과 옥이 많고, 산 아래에 잠석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狐,而九尾、九首、虎爪1,名曰蠪姪2,其音如嬰兒,是食人。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여우 같고, 아홉 개의 꼬리와 아홉 개의 머리와 범의 발톱을 했다, 이름을 농질이라 하는데, 그 울음소리는 젖먹이 같다, 이것은 사람을 잡아먹는다.
1 학의행(郝懿行)云:「광운(廣韻)說농질은 아홉 개의 머리 두글자가 없다(蠪蛭無九首二字),나머지 역시 같다(餘並同)。」
2 곽박(郭璞)云:「용질(龍蛭)二音。」원가기록(珂案):경문의 농질과 주석의 농질은(經文蠪姪、注文龍蛭),왕념손(王念孫)、학의행(郝懿行)並校作농질과 농질(蠪蛭、龍姪)。
又南五百里,曰䃌山1,南臨䃌水,東望湖澤。
또 남쪽으로 오백 리를 가면, 진산이라 하는데, 남쪽으로 진수와 가까이 마주하고 있고, 동쪽으로 호택와 가까이 마주하고 있다.
有獸焉,其狀如馬,而羊目2、四角、牛尾,其音如獆狗,其名曰峳峳3,見則其國多狡客4。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말 같고, 양의 눈과 네 개의 뿔과 소의 꼬리를 했으며, 그 울음소리는 개가 짖는 것 같다, 그 이름을 유유이라 하는데, 만나면 그 나라에 교활한 사람이 많아진다.
有鳥焉,其狀如鳧而鼠尾,善登木,其名曰絜鉤,見則其國多疫。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쥐 꼬리를 한 오리 같고, 나무에 잘 오르며, 그 이름을 결구이라 하는데, 만나면 그 나라에 전염병이 많아진다.
1 왕숭경(王崇慶)云:「䃌音진(真)。」
2 학의행(郝懿行)云:「장경(藏經)本눈은 머리로 쓰여 있다(目作首)。」
3 곽박(郭璞)云:「音유(攸)。」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옥편(玉篇)유자는 없다(無峳字),유는 조를 잘못 쓴 것으로 의심(疑峳當為莜),옛부터 초자는 초자로 썼다(古從艸之字或從屮),초는 초다(屮亦艸也),해내경(海內經)균구가 있다(有[上屮下囷]狗),즉 균구다(即菌狗),그 본보기다(亦其例)。」
4 곽박(郭璞)云:「교는(狡),교활하다(狡猾也)。」
凡東次二經之首,自空桑之山至于䃌山,凡十七山,六千六百四十里。
무릇 동차이경의 첫머리인, 공상산부터 진산까지, 모두 열일곱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육천 육백 사십 리에 이른다.
其神狀皆獸身人面載觡1。
산의 신들 모양은 모두 몸은 짐승에 얼굴은 사람이고 가지가 있는 사슴의 뿔이 있다.
其祠:毛用一雞祈,嬰用一璧瘞。
산의 제사는:제물은 한 마리 닭을 사용해 산제사를 지내고, 벽옥 하나를 제터에 묻어 신에게 바친다.
1 곽박(郭璞)云:「사불상과 사슴의 가지가 있는 뿔(麋鹿(종류(屬))角為觡);音격(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