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경(南山經) 번역

산해경/남산경 2018. 2. 28. 00:00

南山經1之首曰䧿山2

남산경의 첫머리를 작산 산맥이라 한다.


其首曰招搖之山,臨于西海之上,多桂,多金玉。

그 시작을 초요산이라 하는데, 서해와 가까이 마주하고 있고, 계수나무가 많으며, 금과 옥이 많다.


有草焉,其狀如韭而青華3,其名曰祝餘,食之不飢。

여기 있는 풀은, 그 모양이 푸른 꽃이 핀 부추 같고, 그 이름을 축여라 하며, 먹으면 배고프지 않는다.


有木焉,其狀如穀4而黑理,其華5四照,其名曰迷穀,佩之不迷。

여기 있는 나무는, 그 모양이 나무결이 검은 닥나무 같고, 그 빛은 사방을 밝힌다, 그 이름을 미곡이라 하며, 몸에 지니면 헤매지 않는다.


有獸焉,其狀如禺而白耳,伏行人走,其名曰狌狌6,食之善走。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흰 귀를 가진 원숭이 같고, 기어 다니다가도 사람처럼 뛴다, 그 이름을 성성이라 하며, 먹으면 달리기를 잘 한다.


麗𪊨7之水出焉,而西流注于海,其中多育沛8,佩之無瘕9疾。

여기서 나오는 여궤수는 서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고, 그 안에 육패가 많은데, 지니면 기생충 병에 걸리지 않는다.


1 왕념손(王念孫)云:「문선(文選)두타사비문(頭陀寺碑文)注引경은 없는 글자(無經字)。」원가기록(珂案):경은 없는 글자(無經字)맞다(是也),說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一篇首注1。

2 학의행(郝懿行)云:「임방(任昉)술이기(述異記)作雀山,문선(文選)注왕건(王巾)두사사비(頭陀寺碑)引여기에는(此經)作작산(鵲山)。」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五十引여기 역시(此經亦)作작산(鵲山);작은(䧿),작의 옛 글자(古鵲字)。

3 원가기록(珂案):화는(華),화의 옛 글자(古花字);송본(宋本)作화(花),아래도 같다(下同此)。

4 원가기록(珂案):經文닥나무 같고(如穀)與下文그 이름이 미곡의 곡(其名曰迷穀之穀),송본(宋本)均作곡(榖),맞다(是也)。학의행(郝懿行)云:「도굉경(陶宏景)풀이책(注本)초경(草經)云:『곡은 현재 닥나무가 맞다(榖即今構樹是也);곡과 구는 같은 말이다(榖構同聲),故榖亦名構。』」

5 원가기록(珂案):화는(華),아름다운 빛(光華)。

6 왕념손(王念孫)云:「예문유취(類聚)수부(獸部)引짐승 몸에 사람 얼굴이 있다고 쓰여 있다(作有獸人面),이름을 성성이라 한다(名曰狌狌)。」원가기록(珂案):성성은 즉 성성이다(狌狌即猩猩);성성의 전선 관련(關於猩猩之傳說),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五「이름이 성성이라는 사람을 알아보자(狌狌知人名)」節注2。

7 곽박(郭璞)云:「𪊨音궤(几)。」

8 곽박(郭璞)云:「모름(未詳)。」

9 곽박(郭璞)云:「하는(瘕),기생충병이다(蟲病也)。」


又東三百里,曰堂1庭之山,多棪木2,多白猿,多水玉3,多黃金。

또 동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당정산이라 하는데, 재염나무가 많고, 흰 원숭이가 많으며, 수옥이 많고, 황금이 많다.


1 곽박(郭璞)云:「상으로 쓰여 있다(一作常)。」원가기록(珂案):문선(文選)상림부(上林賦)注引此經正作常。

2 원가기록(珂案):이아(爾雅)석목(釋木)云:「염은(棪),떡갈나무과(樕其)。」곽박(郭璞)注:「염은(棪),열매가 능금과 비슷하다(實似柰),붉어져야 먹을 수 있다(赤可食)。」音엄(掩)

3 곽박(郭璞)云:「수옥은(水玉),즉 수정이다(今水精也)。사마상여(相如)상림부(上林賦)曰:『水玉磊砢。』적송자(赤松子)가 업무를 맡았던 장소이다(所服);見열선전(列仙傳)。」원가기록(珂案):열선전(列仙傳)云:「적송자(赤松子)는,신농 때 비를 관장하는 신이며(神農時雨師),신농에게 수옥 복용법을 가르쳤는데(服水玉以教神農), 불에 들어가 몸이 불타도 견딜 수 있었다(能入火自燒)。염제의 딸은 적송자를 따라다녔고(炎帝少女追之),그녀 역시도 죽어서 그와 함께 신이 되었다(亦得仙俱去)。」


又東三百八十里,曰猿翼之山1,其中多怪獸,水多怪魚2,多白玉,多蝮虫3,多怪蛇,多怪木,不可以上。

또 동쪽으로 삼배 팔십 리를 가면, 원익산이라 하는데, 산속에 괴수가 많고, 물에는 괴어가 많으며, 백옥이 많고, 살무사가 많고, 괴사가 많으며, 괴목이 많다, 산 위로 오를 수 없다.


1 학의행(郝懿行)云:「초학기(初學記)二十七卷引此經作직익산(稷翼之山),백옥이 많다(多白玉)。」원가기록(珂案):왕념손(王念孫)云:「일체경음의(一切經音義)九十三引作즉익산(即翼之山),청국산에 나오는(下文又)즉익택이 있다(有即翼之澤)。」맞다(是也)。

2 곽박(郭璞)云:「모든 괴자는(凡言怪者),모두 모양이 굳세고 기이하며 끊임없이 변하여 달라짐을 일컫는다(皆謂貌狀倔奇不常也)。시자(尸子)曰:『서언왕은 괴이한 것을 좋아해(徐偃王好怪),깊은 물에 들어가 괴어를 잡았고(沒深水而得怪魚),깊은 산에 들어가 괴수를 잡았다(入深山而得怪獸者),집 안에 있는 마당에 많이 진열하였다(多列於庭)。』」

3 곽박(郭璞)云:「복충은(蝮虫),색은 줄 무늬 같고(色如綬文),코 위에 가시가 있으며(鼻上有鍼),큰 놈은 백여근정도 나간다(大者百餘斤),반비충이라고도 한다(一名反鼻虫);훼의 옛 글자(古虺字)。」


又東三百七十里,曰杻1陽之山,其陽多赤金,其陰多白金。

또 동쪽으로 삼백 칠십 리를 가면, 유양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적금이 많고, 산의 북쪽에 백금이 많다.


有獸焉,其狀如馬而白首,其文如虎而赤尾,其音如謠2,其名曰鹿蜀,佩之宜子孫。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머리가 흰 말 같고, 그 무늬는 붉은 꼬리를 한 범 같으며, 그 울음소리는 노래 같다, 그 이름을 녹촉이라 하고, 몸에 지니면 자손들 형편이 좋다.


怪水出焉,而東流注于憲翼之水。

여기서 나오는 괴수는, 동쪽으로 흘러 헌익수로 들어간다.


其中多玄龜,其狀如龜而鳥首虺尾,其名曰旋龜,其音如判木3,佩之不聾,可以為底4。

그 안에 현구가 많은데, 그 모양이 새 머리에 살무사 꼬리를 한 거북이 같다, 그 이름을 선구라 하며, 그 울음소리는 나무가 쪼개지는 소리 같다, 몸에 지니면 귀머거리가 되지 않으며, 이것을 기르면 부르튼 발이 낫는다.


1 곽박(郭璞)云:「音유(紐)。」

2 곽박(郭璞)云:「사람이 노래하는 소리 같다(如人歌聲)。」

3 곽박(郭璞)云:「나무가 쪼개지는 소리 같다(如破木聲)。」

4 곽박(郭璞)云:「저는(底),린이다(躪也);위는 치이다(為猶治也)。외전(外傳)曰:『병은 반드시 치료해야 한다(疾不可為)。』」원가기록(珂案):저와 지는 같은 뜻이고(底同胝),발이 부르튼 것이다(足繭也);저가 되었다 할 수 있고(可以為底),이것을 기르면 부르튼 발을 치료할 수 있다(可以治足繭也)。


又東三百里柢山1,多水,無草木。

또 동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대산이라 하는데, 물이 많고, 풀과 나무가 없다.


有魚焉,其狀如牛,陵居,蛇尾有翼,其羽在魼2下,其音如留牛3,其名曰鯥,冬死而夏生4,食之無腫疾5。

여기 있는 물고기는, 그 모양이 소 같고, 언덕에 살며, 뱀 꼬리에 날개가 있다, 그 날개는 겨드랑이 아래 달려 있으며, 그 울음소리는 유우 같고, 그 이름을 육이라 하는데, 겨울에 겨울잠을 자고 여름에 움직인다, 먹으면 악창이 없어진다.


1 곽박(郭璞)云:「柢音대(蔕)。」원가기록(珂案):經文또 동쪽(又東),송본(宋本)또는 없는 글자(無又字),經文대산(柢山),송본(宋本)、오관(吳寬)초본(抄本)、명나라(明)장경(藏經)本,대 앞에 왈자가 있다(柢上有曰字),빠진 글자(此脫)。

2 곽박(郭璞)云:「또는 협이라 쓴다(亦作脅)。」학의행(郝懿行)云:「광아(廣雅)云:『거는(胠),협이다(脅也)。』經作거(魼者),같은 뜻이라 임시로 빌려쓴 글자(蓋同聲假借字0。」

 원가기록(珂案):유우(留牛)모름(未詳) 얼룩소일 가능성;동산경(東山經)首說용용어(鱅鱅之魚)「그 모양이 리우 같고(其狀如犁牛)」,곽박(郭璞)云:「범 무늬가 있는 소 같다(牛似虎文者)。」或即此;유와 리는 발음이 비슷하다(留、犁音相近)。

4 곽박(郭璞)云:「이것 역시 겨울잠을 자는 종류다(此亦蟄類也);죽었다 일컫는다(謂之死者),그 칩이라는 것은 죽어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言其蟄無所知如死耳)。」

5 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종은(腫),옹이다(癰也)。』」


又東四百里,曰亶爰之山1,多水,無草木,不可以上。

또 동쪽으로 사백 리를 가면, 선원산이라 하는데, 물이 많고, 풀과 나무가 없으며, 산 위로 오를 수 없다.


有獸焉,其狀如貍而有髦,其名曰類2,自為牝牡,食者不妒。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갈기가 있는 너구리 같고, 그 이름을 유라 한다, 스스로 암컷과 수컷을 정하고, 먹은 사람은 샘을 안 낸다.


1 곽박(郭璞)云:「亶音선(蟬)。」

2 곽박(郭璞)云:「유 혹은 패라 쓰여 있다(類或作沛),갈기 혹은 터럭이라 쓰여 있다(髦或作髮)。」양신(楊慎)云:「현재 운남 몽화부에 이 짐승이 있다(今雲南蒙化府有此獸),토박이는 향모라 한다(土人謂之香髦),모두 몸이 두 개다(具兩體)。」원가기록(珂案):經文유모(有髦),태평어람(太平御覽)卷九一三作유발(有髮)。


又東三百里,曰基山,其陽多玉,其陰多怪木1。

또 동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기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괴목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羊,九尾四耳,其目在背,其名曰猼訑2,佩之不畏3。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양 같고, 꼬리가 아홉 개에 귀가 네 개이며, 그 눈은 등에 달렸다, 그 이름을 박이라고 하며, 몸에 지니면 두려움이 없다.


有鳥焉,其狀如雞而三首六目,六足三翼,其名曰𪁺𩿧4,食之無臥5。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머리는 세 개이고 눈이 여섯 개인 닭 같고, 발이 여섯 개에 날개가 세 개다, 그 이름을 창부라 하는데, 먹으면 잠을 적게 잔다.


1 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太平御覽)卷五○引此經괴목이 많다(多怪木) 앞에(上)금이 많다 두 글자가 있다(有多金二字)。

2 곽박(郭璞)云:「박이(博施)二音。이는(施)(이(訑))이로 쓰기도 한다(一作阤)。」

3 곽박(郭璞)云:「두려움을 모른다(不知恐畏)。」

4 원가기록(珂案):태평어람(御覽)卷五0引此作별부(鷩𩿧),필원(畢沅)、학의행(郝懿行)均校作별부(鷩𩿧)。

5 곽박(郭璞)云:「다른 사람보다 잠을 적게 잔다(使人少眠)。」


又東三百里,曰青丘之山1,其陽多玉,其陰多青䨼2。

또 동쪽으로 삼백 리를 가면, 청구산이라 하는데, 산의 남쪽에 옥이 많고, 산의 북쪽에, 질 좋은 푸른 찰흙이 많다.


有獸焉,其狀如狐而九尾3,其音如嬰兒,能食人;食者不蠱4。

여기 있는 짐승은, 그 모양이 꼬리가 아홉 개 달린 여우 같고, 그 울음소리는 젖먹이 같으며, 사람을 잡아 먹는다, 먹은 사람은 고독에 걸리지 않는다.


有鳥焉,其狀如鳩,其音若呵5,名曰灌灌6,佩之不惑。

여기 있는 새는, 그 모양이 비둘기 같고, 그 울음소리는 꾸지는 소리 같다, 이름은 관관이라는데, 몸에 지니면 미혹되지 않는다.


英水出焉,南流注于即翼之澤7。

여기서 나오는 영수는, 남쪽으로 흘러 즉익택으로 들어간다.


其中多赤鱬8,其狀如魚而人面,其音如鴛鴦,食之不疥9。

그 안에 붉은 인어가 많은데, 그 모양이 사람 얼굴을 한 물고기 같고, 그 울음소리는 원앙 같다, 먹으면 옴이 안 생긴다.


1 곽박(郭璞)云:「또 청구국은 바다 밖에 있다(亦有青丘國在海外)。」원가기록(珂案):청구국(青丘國)見해외동경(海外東經)(해경신석(海經新釋)卷四)。

2 학의행(郝懿行)云:「호는 확으로 쓰여야 한다(䨼當為雘);설문해자(說文)云:『확은(雘),질 좋은 찰흙(善丹也)。』초학기(初學記)五卷引此經正作확(雘)。」원가기록(珂案):필원(畢沅)校本亦作확(雘)。

3 곽박(郭璞)云:「즉 구미호다(即九尾狐)。」

4 곽박(郭璞)云:「먹으면 그 육신이 요사스러운 기운에 빠져 벗어나지 못한다(噉其肉令人不逢妖邪之氣)。혹은(或曰):고(蠱),고독(蠱毒)。」

5 곽박(郭璞)云:「사람이 서로 말다툼을 하며 내는 소리 같다(如人相呵呼聲)。」

6 곽박(郭璞)云:「혹은 환환이라고 쓰여 있다(或作濩濩)。」원가기록(珂案):여씨춘추(呂氏春秋)본미편(本味篇)云:「맛있는 고기는(肉之美者),성성의 입술(猩猩之唇),환환의 발바닥(獾獾之炙),준연의 꽁지살(雋觾之翠),술탕의 팔뚝(述蕩之掔),긴 털을 가진 코끼리의 코(旄象之约)。」고유(高誘)注:「환환은(獾獾),새 이름(鳥名),모양은 듣지 못했다(形則未聞)。환은 확으로도 쓴다(獾一作獲)。」즉 이새다(即此鳥也)。

7 원가기록(珂案):위쪽을 나온(見上文)「원익산(猿翼之山)」주석(注1)。

8 원가기록(珂案):鱬音유(儒);적유는(赤鱬),인어의 종류(蓋人魚之類)。參見해경신석(海經新釋)卷七「능어(陵魚)」節注1。

9 곽박(郭璞)云:「질로도 쓴다(一作疾)。」


又東三百五十里,曰箕尾之山1,其尾踆2于東海,多沙石。

또 동쪽으로 삼백 오십 리를 가면, 기미산이라 하는데, 산 끝자락은 동해까지 이어져 있다, 모래와 돌이 많다.


汸3水出焉,而南流注于淯,其中多白玉。

여기서 나오는 방수는, 남쪽으로 흘러 육하로 들어가고, 물안에 백옥이 많다.


1 학의행(郝懿行)云:「옥편(玉篇)作기산(箕山),미는 없는 글자(無尾字)。」

2 곽박(郭璞)云:「준은 준의 옛 글자(踆古蹲字),바다와 가까이 마주하고 있다(言臨海上);音존(存)。」학의행(郝懿行)云:「설문해자(說文)云:『준은(蹲),준이다(踞也)。』又云:『준은(夋),거이다(倨也)。』준은 없는 글자(無踆字)。」

3 곽박(郭璞)云:「音방(芳)。」


凡䧿山之首,自招搖之山,以至箕尾之山,凡十山,二千九百五十里。

무릇 작산 산맥의 시작은, 초요산부터, 기미산까지, 모두 열 개의 산으로 되어있고, 이천 구백 오십 리에 이른다.


其神狀皆鳥身1而龍首,其祠之禮:毛2用一璋玉瘞3,糈用稌米4,一璧,稻米、白菅為席5。

산의 신들 모양은 모두 용의 머리를 하고 새의 몸을 했다, 사용하는 제물과 한 개의 장옥을 함께 묻어 제사 지내고, 젯메쌀은 찹쌀을 사용하며, 벽옥 하나를 넣어, 볏짚과 흰 골풀로 돗자리를 만든다.


1 학의행(郝懿行)云:「북당서초(北堂書鈔)一百三十三卷引此經作사람의 몸(人身)。」

2 곽박(郭璞)云:「제물의 고르고 그 털빛을 손에 든다(言擇牲取其毛色也)。」원가기록(珂案):털은 신들에게 제사 지내는 곳에서 사용하는 털로 만든 물건을 일컫는다(毛謂祀神所用毛物也),돼지 닭 개 양 등을 말한다(豬雞犬羊等均屬之)。이 말은(此言)「毛用一璋玉瘞」者,제사 지낼 때 사용하는 털로 만든 물건과 장옥을 함께 묻는다(以祀神毛物與璋玉同瘞也)。곽박(郭)注확실하지 않다(不確),諸家亦竟無釋。

3 곽박(郭璞)云:「반쪽 홀을 장이라 한다(半圭為璋);예는(瘞),매다(薶也)。」

4 곽박(郭璞)云:「서는(糈),신에게 바치는 쌀 이름(祀神之米名),先呂反;도는(稌),찹쌀(稌稻也),他睹反。」원가기록(珂案):초사(楚辭)이소(離騷)云:「무녀 무함이 저녁에 내려온다니(巫咸將夕降兮),산초와 쌀을 가지고 기다리노라(懷椒糈而要之)。」왕일(王逸)注:「서는(糈),흰 쌀(精米),그러므로 신에게 제사 지낸다(所以享神)。」

5 곽박(郭璞)云:「간은(菅),띠의 종류(茅屬也);音간(間)。」학의행(郝懿行)云:「돗자리(席者),신에 의해 짓밟힌다(藉以依神)。」